KR102476610B1 - 터치 패드,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및 전자 장치, 및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드,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및 전자 장치, 및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6610B1 KR102476610B1 KR1020160028475A KR20160028475A KR102476610B1 KR 102476610 B1 KR102476610 B1 KR 102476610B1 KR 1020160028475 A KR1020160028475 A KR 1020160028475A KR 20160028475 A KR20160028475 A KR 20160028475A KR 102476610 B1 KR102476610 B1 KR 1024766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parent
- piezoelectric film
- film layer
- transparent piezoelectric
- touch pa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1432 poly(L-lact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1609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9405 Polyvinylidenefluoride (PVDF) Fil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Substances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HBAQYPYDRFILMT-UHFFFAOYSA-N 8-[3-(1-cyclopropylpyrazol-4-yl)-1H-pyrazolo[4,3-d]pyrimidin-5-yl]-3-methyl-3,8-diazabicyclo[3.2.1]octan-2-one Chemical class C1(CC1)N1N=CC(=C1)C1=NNC2=C1N=C(N=C2)N1C2C(N(CC1CC2)C)=O HBAQYPYDRFILM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97 surface acoustic wav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3 ion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0 phys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VUUCUFDAHKLKT-UHFFFAOYSA-M sodium;2,4,6-trinitrophenolate Chemical compound [Na+].[O-]C1=C([N+]([O-])=O)C=C([N+]([O-])=O)C=C1[N+]([O-])=O ZVUUCUFDAHKLK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71 vacuum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09—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a bearing
- G01L5/0019—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a bearing by using strain gages, piezoelectric, piezo-resistive or other ohmic-resistance based sens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Abstract
터치 패드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터치 패드는, 접촉 압력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 신호가 가변되는 투명 압전 필름층, 및 투명 압전 필름층 상의 복수의 영역에 배치되어, 배치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터치 패드,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및 전자 장치, 및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터치 패드,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및 전자 장치, 및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터치 패드와 같은 접촉 감지 장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되어 마우스, 키보드 등의 별도의 장치 없이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한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입력 장치로서, 노트북과 같이 별도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기 곤란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접촉 감지 장치 중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입력 장치인 터치 스크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 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제한된 폼 팩터에서 다양한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접촉 감지 장치로 터치 스크린의 채용 비율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접촉 감지 장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R) 방식 및 표면 초음파(Surface Acoustic Wave; SAW)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기존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었던 정전용량 방식과 차별화된 입력 방법 및 입력에 따른 피드백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터치의 감도를 높이고, 다양한 터치의 강도 및 유형을 인식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개시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터치의 강도를 구별하여 인식하고, 터치한 영역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터치 패드,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및 전자 장치 및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는, 접촉 압력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 신호가 가변되는 투명 압전 필름층, 및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의 복수의 영역에 배치되어, 배치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전극층은,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셀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은, 제1 투명 압전 필름층, 및 상기 제1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배치된 제2 투명 압전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제1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 면에,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일렬로 배치된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 면에,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일렬로 배치된 제2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층의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층의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은 직교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은, 상기 전극층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 전극을 통하여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인가된 전압에 대응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은, PLLA(Poly-L-Lactide Acid) 필름, PDLA(Poly-D-Lactide Acid) 필름 및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은, 상기 PLLA 필름 및 상기 PDLA 필름이 교차하여 적층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은, 상기 PLLA 필름 및 상기 PDLA 필름 중 어느 하나가 적층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은,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CNT(Carbon Nano Tube), ITO(Indium Tin Oxide) 또는 그래핀(Graphe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은,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의 터치 패드 및 상기 터치 패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윈도우 커버를 포함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을 통해 감지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접촉 압력이 가해진 위치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을 통해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변화의 크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은, 접촉 압력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이 가변되는 투명 압전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의 복수의 영역에, 상기 영역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을 정의하는 패턴을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턴이 형성된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 이외의 영역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턴은,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셀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도록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을 정의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턴은,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을 정의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는, 제1 투명 압전 필름층 및 제2 투명 압전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이 직교하도록 상기 제1 투명 압전 필름층 및 상기 제2 투명 압전 필름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은, PLLA(Poly-L-Lactide Acid) 필름, PDLA(Poly-D-Lactide Acid) 필름 및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PLLA 필름 및 상기 PDLA 필름이 교차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PLLA 필름 및 상기 PDLA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 복수의 투명 전극은,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CNT(Carbon Nano Tube), ITO(Indium Tin Oxide) 또는 그래핀(Graphe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은 도 4에 도시된 터치 패드의 A-A'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 내지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에 사용되는 투명 압전 필름의 변형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5은 터치 패드에 사용되는 복수의 투명 압전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은 도 4에 도시된 터치 패드의 A-A'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 내지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에 사용되는 투명 압전 필름의 변형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5은 터치 패드에 사용되는 복수의 투명 압전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가락(10)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가락(10)에 의한 터치의 강도를 구별하여, 구별된 터치의 강도에 따라 다른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가락(10)에 의한 터치에 대한 피드백으로 터치 영역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지 않는 터치 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실제 구현시에는 폴더블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였지만, 실제 구현시에는 전자 장치(100)에 저장부, 통신부, 오디오 출력부 등 다양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터치 스크린(11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스크린(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1), 터치 패드(112) 및 윈도우 커버(11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1), 터치 패드(112) 및 윈도우 커버(11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110)은,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1),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상부에 배치되는 터치 패드(112)를 포함한다. 이 때, 터치 패드(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압전 필름층 및 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터치 패드(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하부가 아닌 상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화면을 직접 보면서 누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11)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11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및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터치 패드(112)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접촉 압력에 의해 전압이 발생하는 압전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드(112)는 접촉 압력에 따라 다른 크기 전압이 발생하는 압전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압전 필름층은 복수 개일 수 있다. 한편, 압전 필름층은 전극을 통해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변형이 발생하여 이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압전 필름층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을 투과하는 투명 압전 필름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드(112)를 구성하는 투명 압전 필름층은 PLA(Poly Lactide Acid) 필름 및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PLA는 카이랄 분자(chiral molecule)로 구성된 2가지의 거울상 이성질체인 PLLA(Poly-L-Lactide Acid) 및 PDLA(Poly-D-Lactide Acid)일 수 있다. 이 때, 거울상 이성질체는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모두 동일하나, 탄소 주위의 4개의 작용기가 모두 다른 비대칭 탄소를 가지고 있어 서로 거울상은 되지만 겹쳐지지 않는 이성질체를 말한다.
이 때, 투명 압전 필름층은 복수의 투명 압전 필름을 적층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투명 압전 필름을 적층한 투명 압전 필름층의 상세한 구조는 이하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터치 패드(112)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압전 필름층 상에 배치된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드(112)는 투명 압전 필름층 상의 복수의 영역에 배치되어, 배치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전압을 감지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극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은 프로세서(120)와 직접 또는 터치 IC를 통해 연결되어 프로세서가 감지된 전압에 기초하여 터치가 발생한 영역 및 터치의 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극층은 복수의 전극이 배치된 영역의 전압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압전 필름층 상에 복수의 전극이 배치된 영역에 전압을 인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층의 특정 전극을 통해 전압이 인가되면, 압전 필름층 상에 특정 전극이 배치된 영역에서 인가된 전압에 대응되는 진동이 발생될 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전극은 프로세서(1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압전 필름층 상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전극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을 투과하는 투명 전극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드(112)를 구성하는 투명 전극은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CNT(Carbon Nano Tube), ITO(Indium Tin Oxide) 또는 그래핀(Graphene)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극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전극은 셀 형태 또는 라인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층은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셀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전극층은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을 일렬로 배치한 것일 수 있다. 이 때, 터치 패드(112)는 복수의 투명 압전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투명 압전 필름층에 각각 배치된 라인 형태의 투명 전극이 직교하는 형태로 복수의 압전 필름층을 점착할 수 있다. 터치 패드(112)의 구체적인 구조는 이하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윈도우 커버(113)는 터치 스크린(110)의 최상층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1) 및 터치 패드(112)를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커버(113)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MMA(Polymethylmethacrylate) 및 CPI(Colorless Polyimide)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강화 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110)에 포함된 터치 패드(112)에 의해 감지된 터치에 대응되는 컨텐츠 또는 화면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터치 스크린(1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터치 패드(112) 상에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터치에 대응되는 컨텐츠 또는 화면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20)는 터치 패드(112) 상에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감지된 터치의 강도에 따라 대응되는 컨텐츠 또는 화면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터치 패드(112)에서 접촉 압력의 크기에 따라 대응되는 크기의 전압이 발생되면, 발생된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컨텐츠 또는 화면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패드(112)에서 접촉 압력에 따라 발생된 전압의 크기 및 이에 대응되는 컨텐츠 또는 화면 동작은,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것일 수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10) 상에 동일한 위치를 터치하더라도, 터치의 강도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터치 패드(112) 상에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진동이 발생하도록 터치 패드(11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터치 패드(112) 상에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압이 인가된 영역에 진동이 발생하도록 터치 패드(1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터치 패드(112)의 전극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전극이 셀 형태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112)는 투명 압전 필름층(400), 투명 압전 필름층(400)에서 발생한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제1 투명 전극(401) 및 투명 압전 필름층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2 투명 전극(402)을 포함한다. 이 때, 제1 투명 전극(401) 및 제2 투명 전극(402)은 셀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셀 형태의 제1 투명 전극(401) 및 제2 투명 전극(402)은 혼합되어 투명 압전 필름층(400) 상부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1 투명 전극(401) 및 제2 투명 전극(402)의 위치 및 비율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제1 투명 전극과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2 투명 전극이 다른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제1 투명 전극을 통해서도 투명 압전 필름층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투명 압전 필름층(400)은 접촉 압력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의 전압을 갖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압전 필름층(400)은 접촉 압력에 의한 변형에 의해 전기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투명 압전 필름층(400)은 변형의 정도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전압이 가변될 수 있다.
복수의 투명 전극 중 제1 투명 전극(401)을 통해 투명 압전 필름층(400)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 투명 전극(401) 각각은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제1 투명 전극(401)을 통해 투명 압전 필름층(400)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의 전압을 감지하여, 전압이 감지된 제1 투명 전극(401)의 위치 및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접촉 압력이 가해진 위치 및 접촉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제2 투명 전극(402)을 통해 투명 압전 필름층(40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 때, 제2 투명 전극(402) 각각은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투명 전극 중 제2 투명 전극(402)은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투명 압전 필름층(400)에 전압을 인가하여, 투명 압전 필름층(400)의 전압이 인가된 영역만이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면, 터치한 영역만이 진동하여 전체 터치 스크린이 진동하였던 기존에 비해, 적은 힘으로 진동을 구현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전압이 인가된 영역에만 진동이 발생된다고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터치 패드(112)의 전극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전극이 라인 형태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112)는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에서 발생한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제1 투명 전극(501),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2 투명 전극(502), 제2 투명 압전 필름층(510), 제2 투명 압전 필름층(510)에서 발생한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제3 투명 전극(511), 제2 투명 압전 필름층(510)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4 투명 전극(512)을 포함한다. 이 때, 제1 투명 전극(501) 내지 제4 투명 전극(512)는 라인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 상에 형성된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 및 제2 투명 압전 필름층(510) 상에 형성된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은 직교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라인 형태의 제1 투명 전극(501) 및 제2 투명 전극(502)은 혼합되어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의 상부에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로로 뻗은(x축 방향) 라인 형태인 제1 투명 전극(501) 및 제2 투명 전극(502)은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의 상부에 위 아래 방향(y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라인 형태의 제3 투명 전극(511) 및 제4 투명 전극(512)은 혼합되어 제2 투명 압전 필름층(510)의 상부에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로로 뻗은(y축 방향) 라인 형태인 제3 투명 전극(511) 및 제4 투명 전극(512)은 제2 투명 압전 필름층(510)의 상부에 양 옆 방향(x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가로로 뻗은 라인 형태의 투명 전극이 형성된 제1 투명 압전 필름층이 상부에, 세로로 뻗은 라인 형태의 투명 전극이 형성된 제2 투명 압전 필름층이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제1 투명 압전 필름층이 하부에, 제2 투명 압전 필름층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1 투명 전극(501) 내지 제4 투명 전극(512)의 위치 및 비율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압을 감지하는 제1, 3 투명 전극과 전압을 인가하는 제2, 4 투명 전극이 다른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제1, 3 투명 전극을 통해서도 투명 압전 필름층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 및 제2 투명 압전 필름층(510)은 도 3의 투명 압전 필름층(400)과, 제1 투명 전극(501) 및 제3 투명 전극(511)은 도 3의 제1 투명 전극(401)과, 제2 투명 전극(502) 및 제4 투명 전극(512)는 도 3의 제2 투명 전극(402)과 동일한 동작을 하는 구성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패드의 A-A'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패드를 구성하는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의 A-A'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때,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은 x축 방향으로 뻗은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501, 502)이 y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형태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의 상부에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에서 발생한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제1 투명 전극(501),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 투명 전극(502)이 혼합되어 배열되어 있다.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의 일부 영역이 사용자의 터치와 같은 접촉 압력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면, 변형이 일어난 영역에 전기 신호가 발생하고, 전기 신호가 발생한 영역에 위치한 복수의 제1 투명 전극(501)을 통해 발생한 전기 신호의 전압이 감지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압이 감지된 제1 투명 전극(501)의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 스크린의 y축 방향에서 어느 위치에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y축 방향으로 뻗은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x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2 투명 압전 필름층 상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투명 전극의 위치에 의해 터치 스크린의 x축 방향의 어느 위치에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는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을 갖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등의 접촉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 상에 접촉 압력이 발생한 위치의 x, y 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접촉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제1 투명 압전 필름층(500) 및 제2 투명 압전 필름층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의 전압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전자 장치는 발생되는 전압의 크기에 의해 접촉 압력의 크기, 즉 터치의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투명 압전 필름층을 준비한다(S710). 이 때, 투명 압전 필름층은 접촉 압력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 신호가 가변되는 투명 압전 필름층일 수 있다. 이 때, 투명 압전 필름층은 하나 이상의 투명 압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투명 압전 필름층은 형성될 전극의 형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투명 압전 필름층이 준비될 수 있다.
그 다음, 투명 압전 필름층 상의 복수의 영역에 복수의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S720). 이 때, 복수의 투명 전극은 투명 압전 필름층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은,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전극층을 증착하고,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을 정의하는 패턴을 증착된 전극층 상부에 형성한 후,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 이외의 영역을 에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전극층을 증착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제 구현시에는 필름을 부착하는 형태로 패턴이 형성될 전극층을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전극층이 증착된 이후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을 정의하는 패턴을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먼저 형성하고, 패턴이 형성된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전극층을 형성한 후,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 이외의 영역을 에칭하여 형성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때,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을 정의하는 패턴은,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셀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도록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을 정의한 것이거나,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을 정의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을 정의하는 패턴은,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전극층을 증착한 이후 패터닝된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 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터닝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을 정의하는 패턴은, 패터닝된 필름이나, 패터닝된 몰드를 이용하여 투명 압전 필름층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형성되는 전극층은, 진공 증착, 스퍼터링, 이온 플레이팅과 같은 물리적 증착 방식, 화학적 증착 방식, 브러쉬 페인팅 및 스프레이 방식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 이외의 영역은 에칭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에칭은 화학적 부식 작용을 이용한 가공법으로, 에칭 용액은 질산, 불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피크린산 소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투명 압전 필름층 상에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일렬로 배열되어 전극층이 형성되는 경우, 터치 영역의 x, y 좌표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이 형성된 복수의 투명 압전 필름층이 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투명 압전 필름층에 형성된 복수의 투명 전극과 제2 투명 압전 필름층에 형성된 복수의 투명 전극이 직교하도록 제1 투명 압전 필름층 및 제2 투명 압전 필름층을 배치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드에 사용되는 압전 필름의 변형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압전 필름은 PLA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드로잉 방향(drawing direction)이 x축 방향인 압전 필름(800)에 전압을 가하는 경우, 전압에 의해 드로잉 방향과 45˚를 이루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형태로 변형되는 압전 필름(801)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드로잉 방향은 압전 필름 롤(roll)을 제조한 경우, 압전 필름 롤을 풀어낼 때의 힘의 방향을 의미한다. 즉, 드로잉 방향은 압전 필름 롤의 축과 수직인 방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8은 드로잉 방향과 45˚를 이루는 방향으로 재단한 압전 필름의 변형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드로잉 방향과 45˚를 이루는 방향으로 재단된 압전 필름(800)의 한쪽 에지를 고정하고 전압을 가하는 경우, 전압에 의해 변형된 압전 필름(802)은 고정하지 않은 반대쪽 에지가 아래(또는 위)로 휘는 벤딩 형태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도 9는 드로잉 방향으로 재단한 압전 필름의 변형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드로잉 방향으로 재단한 압전 필름(800)의 한쪽 에지를 고정하고 전압을 가하는 경우, 전압에 의해 변형된 압전 필름(803)은 고정하지 않은 반대쪽 에지의 양 끝이 아래(또는 위)로 휘는 트위스트 형태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압전 필름에 전압을 가할 때, 압전 필름은 재단 방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는 터치의 강도 뿐만 아니라, 단순 누르는 터치 또는 눌러서 비트는 터치 등 다양한 터치의 형태를 구분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는 터치 패드에 사용되는 복수의 투명 압전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은 거울상 이성질체인 PLLA 필름과 PDLA 필름을 교차 적층하여 투명 압전 필름층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투명 압전 필름층은 복수의 PLLA 필름 및 PDLA 필름을 교차 적층하여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압전 필름층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압전 필름층은 PDLA 필름과 PLLA 필름의 드로잉 방향을 맞추어 적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투명 압전 필름층의 접촉 압력 센싱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많은 전압이 발생하거나, 적은 전압을 인가하여도 많은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을 누르는 힘의 변화가 적더라도 발생되는 전압의 변화는 커져, 전자 장치는 터치의 강도를 보다 여러 단계로 나누어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터치 스크린에 터치 압력이 발생될 경우에, 전압이 발생되는 복수의 필름층 및 각 필름층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크기로 터치 압력의 강도를 세분하여 구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5는 복수의 PLLA 필름을 적층하여 투명 압전 필름층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2 내지 도 14에는, 복수의 PLLA 필름을 적층하기 위하여 드로잉 방향을 맞추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의 PLLA 필름에 기재된 'PLLA'는 압전 필름의 종류 및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실제 구현시에는 기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PLLA 필름의 드로잉 방향은 PLLA 필름이 놓인 xy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LLA'라고 기재된 정면에 x축이 위치하고, 양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y축이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PLLA 필름의 드로잉 방향은 xy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이 때, y축을 축으로 하여 PLLA 필름을 뒤집으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LA'가 거꾸로 기재되고, 드로잉 방향은 도 12의 드로잉 방향과 y축을 중심으로 대칭이게 된다.
이후, 도 13에 도시된 PLLA 필름을 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에 도시된 PLLA 필름과 드로잉 방향이 일치하게 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LLA 필름을 y축을 중심으로 뒤집은 후 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여 드로잉 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으로 한정하고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x축을 중심으로 뒤집은 후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하여 드로잉 방향을 일치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12에 도시된 PLLA 필름 및 도 14에 도시된 PLLA 필름을 교차 적층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PLLA 필름을 이용한 투명 압전 필름층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LLA'가 기재된 면과 'PLLA'가 거꾸로 기재된 면이 동일한 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PLLA'가 기재된 면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 'PLLA'가 거꾸로 기재된 면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측면에 위치하도록 적층될 것이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PLLA 필름만을 적층하여 투명 압전 필름층을 생성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PDLA 필름을 적층하여 투명 압전 필름층을 생성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투명 압전 필름층의 접촉 압력 센싱 감도(sensitivity)를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압전 필름층을 복수의 필름을 적층하여 구성한 경우, 하나의 필름으로 구성된 것과 비교하여, 동일한 힘을 가하더라도 발생되는 전기 신호의 전압의 크기가 커지므로, 터치 스크린은 보다 미세한 접촉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면, 더 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을 누르는 힘의 변화가 적더라도 발생되는 전기 신호의 전압의 변화는 커져, 전자 장치는 터치의 강도를 보다 미세하게 나누어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복수의 필름을 적층한 투명 압전 필름층 전체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전압을 감지하여 접촉 압력의 크기를 판단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투명 압전 필름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필름 각각에서 발생되는 각 전기 신호의 전압을 감지하여 접촉 압력의 크기를 판단하는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의 강도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고, 터치 영역의 국부적인 진동이 가능하여 소비 전력이 감소하며, 터치의 감도가 향상되어 누르는 힘이 적어도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는 비록 한정된 예시적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개시는 상기의 예시적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전자 장치
110 : 터치 스크린
111 : 디스플레이 패널
112 : 터치 패드
113 : 윈도우 커버
120 : 프로세서
110 : 터치 스크린
111 : 디스플레이 패널
112 : 터치 패드
113 : 윈도우 커버
120 : 프로세서
Claims (20)
- 터치 패드에 있어서,
투명 압전 필름층; 및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의 복수의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에서의 터치 압력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전압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1 투명 전극, 및
상기 투명 압전 필름 층에 제2 전압을 인가하는 복수의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투명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투명 전극은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 면에 동일한 방향의 라인 형태로 일렬로 배치되는 터치 패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셀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것인 터치 패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은,
제1 투명 압전 필름층; 및 상기 제1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배치된 제2 투명 압전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제1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 면에,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일렬로 배치된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 면에,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일렬로 배치된 제2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층의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층의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은 직교하는 형태인 터치 패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은,
상기 전극층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투명 전극을 통하여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인가된 전압에 대응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터치 패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은,
PLLA(Poly-L-Lactide Acid) 필름, PDLA(Poly-D-Lactide Acid) 필름 및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터치 패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은,
상기 PLLA 필름 및 상기 PDLA 필름이 교차하여 적층된 것인 터치 패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은,
상기 PLLA 필름 및 상기 PDLA 필름 중 어느 하나가 적층된 것인 터치 패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은,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CNT(Carbon Nano Tube), ITO(Indium Tin Oxide) 또는 그래핀(Graphene)으로 구성된 터치 패드. - 터치 스크린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부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터치 패드; 및
상기 터치 패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윈도우 커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9항의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복수의 제1 투명 전극을 통해 감지된 제1 전압에 기초하여 접촉 압력이 가해진 위치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1 투명 전극을 통해 감지된 제1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제1 전압의 크기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투명 압전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의 복수의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에서의 터치 압력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전압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1 투명 전극, 및
상기 투명 압전 필름 층에 제2 전압을 인가하는 복수의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투명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투명 전극은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 면에 동일한 방향의 라인 형태로 일렬로 배치되는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전극층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을 정의하는 패턴을 상기 증착된 전극층 상부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 이외의 영역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셀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도록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을 정의하는 것인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라인 형태의 복수의 투명 전극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 영역을 정의하는 것인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는,
제1 투명 압전 필름층 및 제2 투명 압전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투명 압전 필름층 상부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이 직교하도록 상기 제1 투명 압전 필름층 및 상기 제2 투명 압전 필름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은,
PLLA(Poly-L-Lactide Acid) 필름, PDLA(Poly-D-Lactide Acid) 필름 및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PLLA 필름 및 상기 PDLA 필름이 교차하여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압전 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PLLA 필름 및 상기 PDLA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명 전극은,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CNT(Carbon Nano Tube), ITO(Indium Tin Oxide) 또는 그래핀(Graphene)으로 구성된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277,282 US10635222B2 (en) | 2015-10-02 | 2016-09-27 | Touch pad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touch pad |
PCT/KR2016/010945 WO2017057938A1 (ko) | 2015-10-02 | 2016-09-30 | 터치 패드,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및 전자 장치, 및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236535P | 2015-10-02 | 2015-10-02 | |
US62/236,535 | 2015-10-0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0071A KR20170040071A (ko) | 2017-04-12 |
KR102476610B1 true KR102476610B1 (ko) | 2022-12-12 |
Family
ID=585803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8475A KR102476610B1 (ko) | 2015-10-02 | 2016-03-09 | 터치 패드,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및 전자 장치, 및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
KR1020160040403A KR102476614B1 (ko) | 2015-10-02 | 2016-04-01 | 터치 스크린,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0403A KR102476614B1 (ko) | 2015-10-02 | 2016-04-01 | 터치 스크린,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698510B2 (ko) |
KR (2) | KR1024766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61586A1 (zh) * | 2016-03-25 | 2017-09-28 | 华为技术有限公司 | 触摸屏设备以及执行操作的方法及装置 |
WO2018038367A1 (ko) * | 2016-08-26 | 2018-03-01 | 주식회사 하이딥 | 스트레인 게이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스트레인 게이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
KR101920440B1 (ko) * | 2017-08-21 | 2018-11-20 | (주)실리콘인사이드 | 3d 터치 구현을 위한 셀프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
KR101979647B1 (ko) | 2017-09-19 | 2019-05-17 | 주식회사 우정하이텍 |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포스 터치 센서 |
CN107608564A (zh) * | 2017-10-26 | 2018-01-19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触控面板及触控装置 |
KR20200100223A (ko) | 2019-02-15 | 2020-08-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입력감지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KR102371459B1 (ko) * | 2020-05-25 | 2022-03-0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물체 인식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77200A1 (en) * | 2013-11-21 | 2015-05-2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ulti-layer piezoelectric polymer film devices and methods |
JP2015111391A (ja) * | 2013-11-11 | 2015-06-18 |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圧電シート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入出力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23846B1 (en) | 1998-01-26 | 2001-11-27 | University Of Delaware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manual input |
US20090002199A1 (en) | 2007-06-28 | 2009-01-01 | Nokia Corporation | Piezoelectric sensing as user input means |
US8174372B2 (en) | 2008-06-26 | 2012-05-08 | Immersion Corporation | Providing haptic feedback on a touch surface |
KR101150158B1 (ko) * | 2009-08-14 | 2012-05-25 | 주성엔지니어링(주)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
US8390594B2 (en) | 2009-08-18 | 2013-03-05 | Immersion Corporation | Haptic feedback using composite piezoelectric actuator |
KR101109226B1 (ko) | 2009-12-21 | 2012-01-30 | 삼성전기주식회사 | 압전 액추에이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
US8669963B2 (en) * | 2010-02-03 | 2014-03-11 | Interlink Electronics, Inc. | Sensor system |
KR101093615B1 (ko) | 2010-03-19 | 2011-12-15 | 전자부품연구원 | 3차원 감지 패널 |
JP5216041B2 (ja) | 2010-04-07 | 2013-06-19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透明圧電シートをそれぞれ有するフレーム付透明圧電シート、タッチパネル、および電子装置 |
JP2011242386A (ja) | 2010-04-23 | 2011-12-01 | Immersion Corp | 接触センサと触覚アクチュエータとの透明複合圧電材結合体 |
KR20130109090A (ko) | 2010-06-11 | 2013-10-07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힘 측정을 갖는 포지셔널 터치 센서 |
US20120019449A1 (en) | 2010-07-26 | 2012-01-26 | Atmel Corporation | Touch sensing on three dimensional objects |
US9569003B2 (en) * | 2010-09-30 | 2017-02-14 | Broadcom Corporation | Portable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touch screen |
KR101809191B1 (ko) | 2010-10-11 | 2018-0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패널 |
KR101459307B1 (ko) | 2010-12-24 | 2014-11-07 | 그래핀스퀘어 주식회사 | 그래핀을 이용한 압력 및 위치 동시감지 터치센서 |
JP5708167B2 (ja) | 2011-04-06 | 2015-04-30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超音波探触子及び超音波診断装置 |
WO2013021835A1 (ja) | 2011-08-11 | 2013-02-14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タッチパネル |
EP2587347A3 (en) | 2011-10-25 | 2016-01-20 | Broadcom Corporation | Portable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touch screen |
TWI455004B (zh) | 2011-12-20 | 2014-10-01 | Wistron Corp | 觸控顯示面板及其驅動方法 |
KR20130085201A (ko) | 2012-01-19 | 2013-07-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20130116167A (ko) | 2012-04-12 | 2013-10-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3차원객체 감지 장치 및 방법 |
KR101542043B1 (ko) * | 2012-06-27 | 2015-08-0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패널 |
WO2014008401A1 (en) | 2012-07-05 | 2014-01-09 | Northeastern University |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high-resolution tactile displays |
KR101915064B1 (ko) | 2012-08-23 | 2018-11-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EP2893423B1 (en) | 2012-09-04 | 2020-01-15 | JOANNEUM RESEARCH Forschungsgesellschaft mbH | Printed piezoelectric pressure sensing foil |
KR101974579B1 (ko) | 2012-09-05 | 2019-08-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압력 센서 및 압력 센싱 방법 |
KR102092132B1 (ko) | 2012-11-30 | 2020-04-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9983715B2 (en) | 2012-12-17 | 2018-05-29 | Apple Inc. | Force detection in touch devices using piezoelectric sensors |
KR102051518B1 (ko) | 2013-01-28 | 2019-1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가 동력 터치 센서 겸용 에너지 수확 장치 |
US9489047B2 (en) | 2013-03-01 | 2016-11-08 | Immersion Corporation | Haptic device with linear resonant actuator |
KR101526043B1 (ko) * | 2013-03-04 | 2015-06-04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압전 고분자를 이용한 햅틱 피드백 스크린 |
KR102082425B1 (ko) | 2013-06-10 | 2020-02-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평판표시장치 |
KR20150032028A (ko) | 2013-09-16 | 2015-03-25 | 유재천 | 3d 공간-터치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JP6020742B2 (ja) | 2013-10-25 | 2016-11-02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子機器、および、操作入力プログラム |
KR102086402B1 (ko) | 2013-11-06 | 2020-03-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표시장치 |
WO2015068709A1 (ja) | 2013-11-08 | 2015-05-14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
KR20160084838A (ko) | 2013-12-05 | 2016-07-14 | 주식회사 와이드벤티지 | 제한된 수의 자기장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처리 장치 |
KR101883209B1 (ko) | 2013-12-12 | 2018-08-30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마이크로기계식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디스플레이 |
KR101457336B1 (ko) * | 2014-02-21 | 2014-11-13 | 주식회사 트레이스 | 3축 자기력 센서와 자기력 펜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융합 디지타이저 |
JP2015162153A (ja) | 2014-02-28 | 2015-09-07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WO2016122173A1 (ko) | 2015-01-27 | 2016-08-0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터치 윈도우 |
-
2016
- 2016-03-09 KR KR1020160028475A patent/KR10247661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4-01 KR KR1020160040403A patent/KR10247661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9-29 US US15/764,590 patent/US1069851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11391A (ja) * | 2013-11-11 | 2015-06-18 |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圧電シート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入出力装置 |
WO2015077200A1 (en) * | 2013-11-21 | 2015-05-2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ulti-layer piezoelectric polymer film devices and method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284915A1 (en) | 2018-10-04 |
KR102476614B1 (ko) | 2022-12-13 |
US10698510B2 (en) | 2020-06-30 |
KR20170040071A (ko) | 2017-04-12 |
KR20170040076A (ko) | 2017-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76610B1 (ko) | 터치 패드,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및 전자 장치, 및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 |
US9626062B2 (en) |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521681B1 (ko) | 터치패널 | |
US20140293151A1 (en)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103751B1 (ko) | 메쉬형 전극패턴을 갖는 터치스크린 패널 | |
US20120162099A1 (en) | Touch screen | |
US10394339B2 (en) | Sensor, input device, keyboard,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20018200A1 (en) | Transparent conductive film for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104281306B (zh) | 触控式显示装置与其制造方法 | |
US10379641B2 (en) | Touch screen apparatus having additional sensing electrode located in non-active area | |
US10234959B2 (en) | Input apparatus, key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 |
US20120081329A1 (en) | Digital resistive type touch panel | |
US20150122625A1 (en) |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 |
TW201633070A (zh) | 輸入裝置、感測器、鍵盤及電子機器 | |
US8686309B2 (en) | Touch panel having conductive zone for avoiding false operation | |
JP2014081910A (ja) |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140009435A1 (en) | Hybrid touch panel | |
US20140253826A1 (en) | Touch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140125624A1 (en) | Touch screen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10635222B2 (en) | Touch pad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touch pad | |
US9081455B2 (en)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140253825A1 (en)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10627965B2 (en) |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20120118606A1 (en) | Conductiv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575957B1 (ko) | 터치 입력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