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132B1 -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132B1
KR102092132B1 KR1020120138274A KR20120138274A KR102092132B1 KR 102092132 B1 KR102092132 B1 KR 102092132B1 KR 1020120138274 A KR1020120138274 A KR 1020120138274A KR 20120138274 A KR20120138274 A KR 20120138274A KR 102092132 B1 KR102092132 B1 KR 102092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effect
hovering
inpu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150A (ko
Inventor
이유진
권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8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132B1/ko
Priority to US14/092,293 priority patent/US9898139B2/en
Priority to TW102143351A priority patent/TWI641972B/zh
Priority to BRBR102013030676-2A priority patent/BR102013030676A2/pt
Priority to AU2013263830A priority patent/AU2013263830A1/en
Priority to EP13195070.1A priority patent/EP2738651A3/en
Priority to RU2013153227/08A priority patent/RU2013153227A/ru
Priority to CA2835524A priority patent/CA2835524A1/en
Priority to CN201310637046.XA priority patent/CN103853494B/zh
Priority to JP2013248987A priority patent/JP2014110055A/ja
Publication of KR20140070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150A/ko
Priority to AU2019246927A priority patent/AU201924692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표시부 상의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 상의 입력 수단의 제1 높이를 상기 표시부의 제1 위치에서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수단의 상기 제1 위치에 해당되는 제1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1 위치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수단이 상기 표시부 상에 가로 질러 상기 표시부의 제2 위치에서 상기 표시부 상의 상기 입력 수단의 제2 높이를 감지하는 과정-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1 높이와 다름-과; 상기 입력 수단의 상기 제2 높이에 해당되는 제2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2 위치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호버링 입력 효과의 크기는, 상기 입력 수단의 높이가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2 높이로 변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2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HOVERING INPUT EFF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호버링 입력 효과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에 속한다.
전자 장치의 입력 모듈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종래에 키보드나 마우스 같은 입력 모듈이 전자 장치에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이 입력 모듈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의 역할과 함께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입력 모듈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이 구현된 터치 패널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를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나의 지점을 터치하는 것 이외의 다른 입력은 받아들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직접적으로 손가락을 닿게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터치 이외의 인터페이스는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터치스크린은 직접적인 터치에 대한 효과만을 화면상에 표시할 뿐, 그 이외의 효과는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직접적인 터치 이외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한 효과를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와 터치용 펜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택된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호버링 입력 이벤트와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호버링 포인터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호버링 입력 이벤트와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표시부 상의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 상의 입력 수단의 제1 높이를 상기 표시부의 제1 위치에서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수단의 상기 제1 위치에 해당되는 제1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1 위치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수단이 상기 표시부 상에 가로 질러 상기 표시부의 제2 위치에서 상기 표시부 상의 상기 입력 수단의 제2 높이를 감지하는 과정-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1 높이와 다름-과; 상기 입력 수단의 상기 제2 높이에 해당되는 제2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2 위치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호버링 입력 효과의 크기는, 상기 입력 수단의 높이가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2 높이로 변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2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호버링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터치용 펜 또는 손가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용 펜은 코일을 내장하고,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용 펜을 감지하는 EMR 방식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통한 터치와 상기 EMR 방식 터치 패널을 통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구별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터치용 펜이고,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상기 터치용 펜에 형성된 버튼 눌림, 상기 터치용 펜에 대한 두드림, 상기 터치용 펜이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함, 아이콘에 대한 터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파이는 정도가 변경되는 조각칼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스프레이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퍼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번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잉크 번짐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흩뿌리기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스템프 효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입력 효과에 대한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와 선택된 상기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호버링 포인터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표시부 상의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 상의 입력 수단의 제1 높이를 상기 표시부의 제1 위치에서 감지하고, 상기 입력 수단의 상기 제1 위치에 해당되는 제1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1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 수단이 상기 표시부 상에 가로 질러 상기 표시부의 제2 위치에서 상기 표시부 상의 상기 입력 수단의 제2 높이를 감지-상기 제2 높이는 상기 제1 높이와 다름-하고, 상기 입력 수단의 상기 제2 높이에 해당되는 제2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2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제2 호버링 입력 효과의 크기는, 상기 입력 수단의 높이가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2 높이로 변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표시부의 상기 제2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호버링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터치용 펜 또는 손가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용 펜은 코일을 내장하고, 상기 표시부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용 펜을 감지하는 EMR 방식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통한 터치와 상기 EMR 방식 터치 패널을 통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구별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터치용 펜이고,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상기 터치용 펜에 형성된 버튼 눌림, 상기 터치용 펜에 대한 두드림, 상기 터치용 펜이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함, 아이콘에 대한 터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파이는 정도가 변경되는 조각칼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스프레이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퍼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번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잉크 번짐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흩뿌리기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스템프 효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효과에 대한 선택을 검출하고, 선택된 상기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호버링 포인터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와 터치용 펜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파이는 정도가 변경되는 조각칼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스프레이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퍼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튀기는 정도가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번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잉크 번짐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흩뿌리기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스템프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선택된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호버링 입력 이벤트와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호버링 포인터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호버링 입력 이벤트와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과 EMR 방식으로 조합되어 구현된 터치스크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입력 모드에 진입하여 입력 영역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를 감지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파이는 정도가 변경되는 조각칼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스프레이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퍼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튀기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번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잉크 번짐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흩뿌리기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스템프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선택된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호버링 입력 이벤트와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호버링 포인터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호버링 입력 이벤트와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과 같은 외부 장치 연결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상기 장치(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Cradle),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DMB 안테나,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무선으로 상기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다른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PC,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대표적인 예로서 모바일 장치(100)일 수 있으나, 태블릿, 데스크탑 PC, 스마트 TV, 노트북, 뮤직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 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표시부(190) 및 표시부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이어폰 연결잭(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표시부(190), 및 표시부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G(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 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표시부(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표시부(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장치는 도킹 스테이션일 수 있고, 상기 데이터는 외부 입력 장치 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등으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표시부(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와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170)은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는 장치(100)의 동작(예, 장치(100)의 회전,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할 수 있고,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할 수도 있으며,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170)은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표시부(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9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전자기유도(EMR:Electronic Magnetic Resonance) 방식(이하 EMR 방식이라 칭함),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상기 방식이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표시부(190)가 배치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90)은 장치(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상기 장치(10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가지고 있는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애플리케이션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전환키(191-4)는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애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 19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홈 버튼(161a)은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버튼(161a)이 눌려지면(또는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61a)이 눌려지면(또는 터치되면),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연결된 연결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장치(100)의 전면(100a)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장치(100)의 후면(100c)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63)는 상기 장치(100)의 전면(100a)에 배치될 수 있다.
장치(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61d), 음량 업 버튼(161f) 및 음량 다운 버튼(161g)을 포함하는 음량 조절 버튼(161e),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MB 안테나(141a)는 장치(1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장치(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치(100)의 후면(100c) 상부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상기 장치(100)와 별도로 구성된 펜(2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68)가 구비될 수 있으며, 펜 삽입구(168)에 펜(20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펜(200)은 후술할 기능을 갖는 버튼(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90)이 정전용량 방식과 EMR 방식으로 조합되어 구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과 EMR 방식으로 조합되어 구현된 터치스크린(190)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90)은 표시 패널(197), 제1 터치 패널(198), 제2 터치 패널(199)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97)은 LCD, AMOLED 등과 같은 패널이 될 수 있으며, 장치(100)의 각종 동작 상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영상을 표시한다.
제1 터치 패널(198)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서, 유리의 양면에 얇은 금속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산화 인듐주석) 막 등)을 코팅하여 유리표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유전체로 코팅된 패널이다. 이러한 제1 터치 패널(198)의 표면에 입력 수단(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이 터치되면 정전기에 의해 일정량의 전하가 상기 터치된 위치로 이동하고, 제1 터치 패널(198)은 전하의 이동에 따른 전류의 변화량을 인식해서 상기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1 터치 패널(198)을 통해서는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며, 상기 입력 수단인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의 감지가 모두 가능하다.
제2 터치 패널(199)은 EMR 방식 터치 패널로서, 복수의 루프 코일이 미리 정해진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터치 패널(199)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티치용 펜(200)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상기 터치용 펜(200)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류를 기초로 하여, 상기 터치용 펜(200)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220)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제2 터치 패널(199)은 상기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Hovering) 위치, 터치 위치, 그리고 상기 장치(100)로부터 상기 터치용 펜(200)까지의 높이가 감지된다. 제2 터치 패널(199)을 통해서는 전자기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입력 수단이라면 호버링 및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며, 상기 제2 터치 패널(19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용 펜(200)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 감지 전용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용 펜(200)은 전자기 펜 또는 EMR 펜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용 펜(200)은 상기 제1 터치 패널(198)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공진회로가 포함되지 아니한 일반적인 펜과는 상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0)는 제1 터치 패널 컨트롤러와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패널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터치 패널(198)로부터 손 또는 펜 터치 감지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컨대 X, Y, Z 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는 제2 터치 패널(199)로부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또는 터치 감지에 의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및 제2 터치 패널 컨트롤러로부터 각각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97), 제1 터치 패널(198), 제2 터치 패널(199)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손가락이나 펜, 또는 터치용 펜(200) 등의 호버링 또는 터치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197)에 미리 정해진 형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제1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터치 패널은 상기 터치용 펜(200)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와 상기 터치용 펜(200)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먼저 입력 모드에 진입하여 입력 영역을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한다(S110 단계).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장치(100)를 입력 모드로 진입시킨다. 상기 입력 모드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받아 저장부(175)에 저장하거나 표시부(19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입력 모드에 진입하여 입력 영역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상기 장치(100)의 홈 화면을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낸다. 상기 홈 화면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홈 화면에는 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아이콘(602)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아이콘(602)에 대한 선택을 검출하여 상기 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은 예를 들면, 상기 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아이콘(602)에 대한 터치(604)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아이콘(602)에 대한 터치(604)를 검출하여 상기 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6b는 노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노트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입력 영역(600)이 상기 표시부(19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표시부(190)에 표시된 입력 영역(600)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 영역(600)에 대한 손가락 또는 펜과 같은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한 터치를 검출하여 입력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추출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입력 영역(600)에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추출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저장부(175)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120 단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장치(100)에서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장치(100)에서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은 활성화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불활성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은 활성화되어 있는지 불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을 검출하여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키거나 불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이 상기 장치(100)에서 활성화되어 있다고 확인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130단계로 진행한다. 하지만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이 상기 장치(100)에서 불활성화되어 있다고 확인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료한다. 이때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기능을 의미하는데, 이는 하기에서 설명된다.
다음으로,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호버링 위치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를 감지한다(S130 단계). 상기 제어부(110)는 S120 단계에서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입력 수단의 호버링 위치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를 감지한다.
상기 장치(100)의 터치스크린(190)은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97), 제1 터치 패널(198), 제2 터치 패널(199)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97)은 상기 장치(100)의 각종 동작 상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1 터치 패널(198)은,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패널(198)의 표면에 입력 수단(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이 터치되면 정전기에 의해 일정량의 전하가 상기 터치된 위치로 이동하고, 제1 터치 패널(198)은 전하의 이동에 따른 전류의 변화량을 인식해서 상기 터치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패널(198)을 통해서는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며, 상기 입력 수단인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의 감지가 모두 가능하다.
상기 제2 터치 패널(199)은,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EMR 방식 터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패널(199)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와 전자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터치 패널(199)의 근방에 공진회로와 코일를 내장하는 터치용 펜(200)이 위치하면, 상기 제2 터치 패널(199)은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Hovering) 위치, 터치 위치, 그리고 상기 장치(100)로부터 상기 터치용 펜(200)까지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용 펜(200)은 전자기 펜 또는 EMR 펜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터치 패널(198)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터치 패널(199)을 통해 상기 터치용 펜(200)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에 의한 터치와 상기 터치용 펜(200)에 의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를 감지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와 터치용 펜(2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자 장치(110)의 제어부(110)는 호버링 위치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호버링 위치란 상기 터치용 펜(200)의 펜촉(230)으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100)의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표시부(190)까지 수직으로 내려온 지점(700)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h)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펜촉(230)으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100)의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표시부(190)까지 수직으로 내려온 길이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EMR 방식 터치 패널로 형성된 상기 제2 터치 패널(199)을 통해, 공진회로와 코일를 내장하는 터치용 펜(200)과의 상기 호버링 위치(700)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h)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한다(S140 단계).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상기 터치용 펜에 형성된 버튼 눌림, 상기 터치용 펜에 대한 두드림, 상기 터치용 펜이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함, 아이콘에 대한 터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용 펜(20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용 펜(200)은 버튼(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버튼(220)의 눌림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용 펜(200)의 버튼(220)이 눌려지면, 상기 터치용 펜(20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적 신호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변경된 전자기적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가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경된 전자기적 신호는 예를 들어,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이 눌려질때 상기 터치용 펜(200)에 포함된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유도 자계가 변경되어 생성되는 전자기적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EMR 방식 터치 패널인 상기 제2 터치 패널(199)을 통하여 상기 변경된 전자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이 발생하면, 상기 터치용 펜(20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적 신호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변경된 전자기적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가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경된 전자기적 신호는 예를 들어,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이 발생될때 상기 터치용 펜(200)에 포함된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유도 자계가 변경되어 생성되는 전자기적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EMR 방식 터치 패널인 상기 제2 터치 패널(199)을 통하여 상기 변경된 전자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이 발생하면, 상기 터치용 펜(200)의 펜촉(230)과 호버링 위치가 반복적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크게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호버링 위치가 반복적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크게 변하는 경우,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이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함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용 펜(200)이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하면,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도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EMR 방식 터치 패널로 형성된 상기 제2 터치 패널(199)을 통해, 공진회로와 코일를 내장하는 터치용 펜(200)이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함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손가락, 펜, 또는 터치용 펜(200)과 같은 사용자 입력 수단의 터치스크린(190) 상의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아이콘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여 상기 아이콘에 대한 터치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한다(S150 단계). 상기 제어부(110)는 S14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용 펜에 형성된 버튼 눌림인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로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S13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S13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호버링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와 상기 호버링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파이는 정도가 변경되는 조각칼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스프레이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퍼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번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잉크 번짐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흩뿌리기 효과,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스템프 효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인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시간 높이가 높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일 수도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를 표시부(190) 상의 입력 영역(8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8a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81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810)까지의 실시간 높이(h1)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h1)가 낮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8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82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820)까지의 실시간 높이(h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8b의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도 8a의 상기 실시간 높이(h1)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8b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낮아짐에 따라 굵기를 굵게 하여 붓 쓰기 효과(802)를 상기 입력 영역(800)에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91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910)까지의 실시간 높이(h3)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9a의 상기 실시간 높이(h3)가 도 8b의 상기 실시간 높이(h2)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9a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3)가 낮아짐에 따라 굵기를 굵게 하여 붓 쓰기 효과(902)를 상기 입력 영역(900)에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92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920)까지의 실시간 높이(h4)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9b의 상기 실시간 높이(h4)가 도 9a의 상기 실시간 높이(h3)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9b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4)가 낮아짐에 따라 굵기를 굵게 하여 붓 쓰기 효과(904)를 상기 입력 영역(9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8a 내지 도 9b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도 8 및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용 펜에 형성된 버튼 눌림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다른 예를 도 10 내지 도 21에서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파이는 정도가 변경되는 조각칼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S15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S14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와 같이,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인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파이는 정도가 변경되는 조각칼 효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파이는 정도가 큰 조각칼 효과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시간 높이가 높을수록 파이는 정도가 큰 조각칼 효과일 수도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파이는 정도가 변경되는 조각칼 효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파이는 정도가 변경되는 조각칼 효과를 표시부(190) 상의 입력 영역(10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파이는 정도가 큰 조각칼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입력 영역(1000)에 구 형태의 조각상(1001)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도 10b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01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010)까지의 실시간 높이(h1)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h1)가 낮을수록 파이는 정도가 큰 조각칼 효과(1002)를 상기 입력 영역(10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02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020)까지의 실시간 높이(h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1a의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도 10b의 상기 실시간 높이(h1)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11a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낮아짐에 따라 파이는 정도를 크게 하여 조각칼 효과(1004)를 상기 입력 영역(1000)에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03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030)까지의 실시간 높이(h3)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1b의 상기 실시간 높이(h3)가 도 11a의 상기 실시간 높이(h2)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11b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3)가 낮아짐에 따라 파이는 정도를 크게 하여 조각칼 효과(1006)를 상기 입력 영역(10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0a 내지 도 11b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파이는 정도가 큰 조각칼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용 펜에 형성된 버튼 눌림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파이는 정도가 큰 조각칼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스프레이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S15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S14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인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스프레이 효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뿌려지는 면적이 작은 스프레이 효과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시간 높이가 높을수록 뿌려지는 면적이 작은 스프레이 효과일 수도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스프레이 효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스프레이 효과를 표시부(190) 상의 입력 영역(12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뿌려지는 면적이 작은 스프레이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입력 영역(1200)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도 12b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21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210)까지의 실시간 높이(h1)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h1)가 낮을수록 뿌려지는 면적이 작은 스프레이 효과(1202)를 상기 입력 영역(12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22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220)까지의 실시간 높이(h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3a의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도 12b의 상기 실시간 높이(h1)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13a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낮아짐에 따라 뿌려지는 면적을 작게 하여 스프레이 효과(1204)를 상기 입력 영역(1200)에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23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230)까지의 실시간 높이(h3)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3b의 상기 실시간 높이(h3)가 도 13a의 상기 실시간 높이(h2)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13b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3)가 낮아짐에 따라 뿌려지는 정도를 작게 하여 스프레이 효과(1206)를 상기 입력 영역(12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2a 내지 도 13b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뿌려지는 정도가 작은 스프레이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용 펜에 형성된 버튼 눌림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뿌려지는 정도가 작은 스프레이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퍼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S15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S14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 및 도 15과 같이,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인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퍼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퍼지는 면적이 작은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시간 높이가 높을수록 퍼지는 면적이 작은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일 수도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퍼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퍼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표시부(190) 상의 입력 영역(14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퍼지는 면적이 작은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입력 영역(1400)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도 14b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41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410)까지의 실시간 높이(h1)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h1)가 낮을수록 퍼지는 면적이 작은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1402)를 상기 입력 영역(14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42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420)까지의 실시간 높이(h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5a의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도 14b의 상기 실시간 높이(h1)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15a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낮아짐에 따라 퍼지는 면적을 작게 하여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1404)를 상기 입력 영역(1400)에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5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43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430)까지의 실시간 높이(h3)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5b의 상기 실시간 높이(h3)가 도 15a의 상기 실시간 높이(h2)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15b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3)가 낮아짐에 따라 뿌려지는 정도를 작게 하여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1406)를 상기 입력 영역(14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4a 내지 도 15b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퍼지는 정도가 작은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용 펜의 두드림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퍼지는 정도가 작은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튀기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S15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S14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과 같이,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인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튀기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튀기는 면적이 작은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시간 높이가 높을수록 튀기는 면적이 작은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일 수도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튀기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튀기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표시부(190) 상의 입력 영역(16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튀기는 면적이 작은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입력 영역(1600)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61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610)까지의 실시간 높이(h1)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h1)가 낮을수록 튀기는 면적이 작은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1602)를 상기 입력 영역(16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62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620)까지의 실시간 높이(h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6b의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도 16a의 상기 실시간 높이(h1)보다 높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16b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높아짐에 따라 튀기는 면적을 크게 하여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1604)를 상기 입력 영역(16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튀기는 정도가 작은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용 펜의 두드림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튀기는 정도가 작은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번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잉크 번짐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S15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S14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과 같이,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인 상기 터치용 펜(200)에 대한 두드림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번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잉크 번짐 효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번지는 면적이 작은 잉크 번짐 효과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시간 높이가 높을수록 번지는 면적이 작은 잉크 번짐 효과일 수도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번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잉크 번짐 효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번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잉크 번짐 효과를 표시부(190) 상의 입력 영역(17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번지는 면적이 작은 잉크 번짐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입력 영역(1700)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71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710)까지의 실시간 높이(h1)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h1)가 낮을수록 번지는 면적이 작은 잉크 번짐 효과(1702)를 상기 입력 영역(17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72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720)까지의 실시간 높이(h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7b의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도 17a의 상기 실시간 높이(h1)보다 높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17b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높아짐에 따라 번지는 면적을 크게 하여 잉크 번짐 효과(1704)를 상기 입력 영역(17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번지는 정도가 작은 잉크 번짐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용 펜에 형성된 버튼 눌림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번지는 정도가 작은 잉크 번짐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흩뿌리기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S15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S14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 및 도 19와 같이,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인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흩뿌리기 효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뿌려지는 정도가 작은 흩뿌리기 효과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시간 높이가 높을수록 뿌려지는 정도가 큰 흩뿌리기 효과일 수도 있다. 도 18a에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뿌려지는 정도가 작은 흩뿌리기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로 상기 실시간 높이가 높을수록 뿌려지는 정도가 작은 흩뿌리기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흩뿌리기 효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뿌려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흩뿌리기 효과를 표시부(190) 상의 입력 영역(18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a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뿌려지는 정도가 작은 흩뿌리기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81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810)까지의 실시간 높이(h1)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이동에 따른 상기 호버링 위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8a와 같이, 상기 터치용 펜(200)의 이동에 따라, 제1 호버링 위치(1812)가 제2 호버링 위치(1822)로 이동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도 18b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1)에 대응하여 상기 호버링 위치의 이동을 따라 흩뿌리기 효과(1802)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뿌려지는 정도가 작은 흩뿌리기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83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830)까지의 실시간 높이(h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9a의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도 18a의 상기 실시간 높이(h1)보다 높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19a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높아짐에 따라 뿌려지는 정도를 크게 하여 흩뿌리기 효과(1804)를 상기 입력 영역(18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183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1830)까지의 실시간 높이(h2)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이동에 따른 상기 호버링 위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9a와 같이, 상기 터치용 펜(200)의 이동에 따라, 제1 호버링 위치(1832)가 제2 호버링 위치(1842)로 이동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9a의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도 18a의 상기 실시간 높이(h1)보다 높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19b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높아짐에 따라 뿌려지는 정도를 크게 하여 흩뿌리기 효과(1804)를 상기 입력 영역(1800)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8a 내지 도 19b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뿌려지는 정도가 작은 흩뿌리기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용 펜에 형성된 버튼 눌림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뿌려지는 정도가 작은 흩뿌리기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스템프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일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은 미리 정해질 수 있고,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a와 같이, 상기 아이콘은 'STAMP'으로 미리 정해질 수 있고, 상기 아이콘(2001)은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인 상기 'STAMP' 아이콘(2001)에 대한 터치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스템프 효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스템프 효과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시간 높이가 높을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스템프 효과일 수도 있다. 도 20 및 도 21에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스템프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로 상기 실시간 높이가 높을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스템프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0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STAMP' 아이콘(2001)에 대한 터치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TAMP' 아이콘(2001)에 대한 터치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스템프 효과일 수 있다. 상기 스템프 효과는 상기 입력 영역에 스템프를 찍는 표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스템프 효과를 표시부(190) 상의 입력 영역(20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스템프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20b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201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2010)까지의 실시간 높이(h1)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h1)가 낮을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스템프 효과(2000)를 상기 입력 영역(20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1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202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2020)까지의 실시간 높이(h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21a의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도 20b의 상기 실시간 높이(h1)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21a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낮아짐에 따라 크기를 작게 하여 스템프 효과(2004)를 상기 입력 영역(2000)에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1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203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2030)까지의 실시간 높이(h3)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21b의 상기 실시간 높이(h3)가 도 21a의 상기 실시간 높이(h2)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21b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3)가 낮아짐에 따라 크기를 작게 하여 스템프 효과(2006)를 상기 입력 영역(2000)에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1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이 상기 장치(100)의 표시부(190)에 터치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이 상기 장치(100)의 표시부(190)에 닿아 터치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터치용 펜(200)이 상기 장치(100)의 표시부(190)에 닿아 터치된 상태는, 상기 터치용 펜(200)이 상기 장치(100)의 표시부(190)에 닿지않고 호버링된 상태와는 구별된다. 그리고, 도 21c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가 영(0)이 되므로, 도 21c의 상기 실시간 높이가 도 21b의 상기 실시간 높이(h3)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21c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크기를 작게 하여 스템프 효과(2008)를 상기 입력 영역(20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이 상기 장치(100)의 표시부(190)에 터치되기 전에는 상기 스템프 효과를 도 20b, 도 21a, 도 21b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하고, 상기 터치용 펜(200)이 상기 장치(100)의 표시부(190)에 터치되어 스템프가 찍힌 것을 표현하기 위해 도 21c와 같이 상기 스템프 효과(2008)를 실선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도 20 및 도 21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콘에 대한 터치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스템프 효과를 입력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선택된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호버링 입력 이벤트와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S210 내지 S250 단계는, 상기 도 5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S110 내지 S150 단계와, S212 단계 및 S214 단계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도 5에서 설명된 단계들과 동일한 단계들은 설명을 간략히 하고자 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먼저 입력 모드에 진입하여 입력 영역을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한다(S210 단계).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장치(100)를 입력 모드로 진입시킨다. 도 2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입력 모드에 진입하여 입력 영역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를 참조하면, 노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장치(100)가 입력 모드에 진입하여 입력 영역(2300)을 표시부(190)에 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손가락이나 펜과 같은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입력 영역(2300)에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를 표시부(19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175)에 저장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 효과에 대한 선택을 검출한다(S212 단계). 상기 제어부(110)는 입력 효과에 대한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효과는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되는 다양한 방식에 따른 효과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효과는 펜 쓰기 효과, 붓 쓰기 효과, 스프레이 효과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 효과들 중에서 하나의 입력 효과에 대한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효과들이 아이콘들로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아이콘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입력 효과가 선택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a를 참조하면, 터치스크린(190) 상에 펜 쓰기 효과에 대응하는 아이콘(2360)과 붓 쓰기 효과에 대응하는 아이콘(2350)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아이콘(2350, 236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입력 효과가 선택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선택된 상기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14).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S212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효과는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고,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는 미리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효과에 해당하는 펜 쓰기 효과와 붓 쓰기 효과 중에서, 상기 붓 쓰기 효과만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S212 단계에서 선택된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붓 쓰기 효과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a와 같이, 상기 붓 쓰기 효과에 대응하는 아이콘(2350)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선택된 상기 붓 쓰기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다음 단계인 S220 단계로 진행시키고, 상기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종료시킨다.
다음으로,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220 단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장치(100)에서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장치(100)에서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은 활성화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불활성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은 활성화되어 있는지 불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이 상기 장치(100)에서 활성화되어 있다고 확인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S230단계로 진행한다. 하지만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이 상기 장치(100)에서 불활성화되어 있다고 확인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종료한다.
다음으로,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호버링 위치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를 감지한다(S230 단계). 상기 제어부(110)는 S220 단계에서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호버링 위치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를 감지한다.
다음으로,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한다(S240 단계).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상기 터치용 펜에 형성된 버튼 눌림, 상기 터치용 펜에 대한 두드림, 상기 터치용 펜이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함, 아이콘에 대한 터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수단은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용 펜(20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용 펜(200)은 버튼(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버튼(220)의 눌림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한다(S250 단계). 상기 제어부(110)는 S24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용 펜에 형성된 버튼 눌림인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로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S13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S23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호버링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와 상기 호버링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인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시간 높이가 높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일 수도 있다. 도 2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를 표시부(190) 상의 입력 영역(23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23b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231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2310)까지의 실시간 높이(h1)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h1)가 낮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23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3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232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2320)까지의 실시간 높이(h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23c의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도 23b의 상기 실시간 높이(h1)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23c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낮아짐에 따라 굵기를 굵게 하여 붓 쓰기 효과(2302)를 상기 입력 영역(23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23b 내지 도 23c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212 단계 내지 S214 단계에서 선택된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선택된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호버링 입력 이벤트와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입력 효과가 호버링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호버링 입력 이벤트와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호버링 포인터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호버링 입력 이벤트와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S310 내지 S350 단계는, 상기 도 5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S110 내지 S150 단계와, S332 단계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도 5에서 설명된 단계들과 동일한 단계들은 설명을 간략히 하고자 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먼저 입력 모드에 진입하여 입력 영역을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한다(S310 단계).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장치(100)를 입력 모드로 진입시킨다. 도 2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입력 모드에 진입하여 입력 영역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장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를 참조하면, 노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장치(100)가 입력 모드에 진입하여 입력 영역(2500)을 표시부(190)에 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손가락이나 펜과 같은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입력 영역(2500)에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를 표시부(19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175)에 저장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320 단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장치(100)에서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장치(100)에서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은 활성화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불활성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은 활성화되어 있는지 불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이 상기 장치(100)에서 활성화되어 있다고 확인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S330단계로 진행한다. 하지만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이 상기 장치(100)에서 불활성화되어 있다고 확인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종료한다.
다음으로,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호버링 위치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를 감지한다(S330 단계). 상기 제어부(110)는 S320 단계에서 상기 호버링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호버링 위치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까지의 실시간 높이를 감지한다.
다음으로, 호버링 포인터를 표시부 상에 표시한다(S332 단계). 상기 제어부(110)는 호버링 포인터를 표시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호버링 포인터는 상기 S33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호버링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b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호버링 위치에 호버링 포인터(2512)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 수단의 이동에 따라 상기 호버링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호버링 포인터의 위치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c와 같이, 상기 입력 수단(200)의 이동에 따라 제1 호버링 위치(2512)가 제2 호버링 위치(2522)로 변경되면, 상기 호버링 포인터의 위치도 제1 호버링 포인터(2512)에서 제2 호버링 포인터(2522)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한다(S340 단계).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상기 터치용 펜에 형성된 버튼 눌림, 상기 터치용 펜에 대한 두드림, 상기 터치용 펜이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함, 아이콘에 대한 터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수단은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용 펜(20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용 펜(200)은 버튼(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버튼(220)의 눌림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한다(S350 단계). 상기 제어부(110)는 S34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용 펜에 형성된 버튼 눌림인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로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S33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S330 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호버링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실시간 높이와 상기 호버링 위치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인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시간 높이가 높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일 수도 있다. 도 2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용 펜(200)에 형성된 버튼(220) 눌림에 해당하는 호버링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호버링 입력 효과는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여 굵기가 변경되는 붓 쓰기 효과를 표시부(190) 상의 입력 영역(25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26a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261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2610)까지의 실시간 높이(h1)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h1)가 낮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25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6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의 호버링 위치(2622)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입력 수단(2620)까지의 실시간 높이(h2)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 26b의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도 26a의 상기 실시간 높이(h1)보다 높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 26b와 같이 상기 실시간 높이(h2)가 높아짐에 따라 굵기를 얇게 하여 붓 쓰기 효과(2602)를 상기 입력 영역(23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26a 내지 도 26b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실시간 높이가 낮을수록 굵기가 굵어지는 붓 쓰기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호버링 포인터를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고, 호버링 입력 이벤트와 상기 실시간 높이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상기 입력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호버링 포인터를 보면서 입력 수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호버링 포인터를 표시부 상에서 볼 수 있으므로, 입력 수단이 호버링된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100 : 전자 장치
110 : 제어부
175 : 저장부
190 : 표시부
200 : 터치용 펜

Claims (22)

  1. 호버링 입력 효과들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 상에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을 기반으로 효과 종류의 선택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입력 영역 상에서 터치 펜의 호버링 중에, 상기 터치 펜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상기 터치 펜의 위치 및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상기 터치 펜의 높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펜의 높이는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펜의 촉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감지된 터치 펜의 위치 및 상기 감지된 터치 펜의 높이의 변화에 따라서 호버링 입력 이벤트의 위치 및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의 높이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펜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역 내에 상기 확인된 호버링 입력 이벤트의 변화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선택된 효과 종류를 표현하고,
    상기 선택된 효과 종류가 붓 쓰기인 경우,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의 굵기는 상기 확인된 호버링 입력 이벤트의 위치 및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펜의 촉 사이의 상기 거리의 변화에 의해 확인되는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의 높이의 변화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변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펜의 위치 및 상기 터치 펜의 높이를 감지하는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펜은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펜을 감지하는 EMR 방식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통한 터치와 상기 EMR 방식 터치 패널을 통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구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상기 터치 펜의 버튼 눌림, 상기 터치 펜의 두드림,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른 상기 터치 펜의 빠른 이동, 또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는, 파이는 정도가 변경되는 조각칼 효과, 뿌려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스프레이 효과, 퍼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 번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잉크 번짐 효과, 뿌려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흩뿌리기 효과, 또는 표시되는 스템프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효과 종류에 대응하는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표시하는 기능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펜에 대한 포인터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0. 호버링 입력 효과들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입력 영역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기반으로 효과 종류의 선택을 확인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입력 영역 상에서 터치 펜의 호버링 중에, 상기 터치 펜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상기 터치 펜의 위치 및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상기 터치 펜의 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 펜의 높이는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펜의 촉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감지된 터치 펜의 위치 및 상기 감지된 터치 펜의 높이의 변화에 따라서 호버링 입력 이벤트의 위치 및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의 높이의 변화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펜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역 내에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의 변화에 대응하는 호버링 입력 효과를 표시하고,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는, 상기 선택된 효과 종류를 표현하고,
    상기 선택된 효과 종류가 붓 쓰기인 경우,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의 굵기는 상기 확인된 호버링 입력 이벤트의 위치 및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펜의 촉 사이의 상기 거리의 변화에 의해 확인되는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의 높이의 변화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변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펜의 위치 및 상기 터치 펜의 높이를 감지하는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펜은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펜을 감지하는 EMR 방식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통한 터치와 상기 EMR 방식 터치 패널을 통한 호버링 또는 터치를 구별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입력 이벤트는 상기 터치 펜의 버튼 눌림, 상기 터치 펜의 두드림,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른 상기 터치 펜의 빠른 이동, 또는 아이콘에 대한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는, 파이는 정도가 변경되는 조각칼 효과, 뿌려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스프레이 효과, 퍼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물방울 낙하 표시 효과, 번지는 면적이 변경되는 잉크 번짐 효과, 뿌려지는 정도가 변경되는 흩뿌리기 효과, 또는 표시되는 스템프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효과 종류에 대응하는 상기 호버링 입력 효과를 표시하는 기능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펜에 대한 포인터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20138274A 2012-11-30 2012-11-30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2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274A KR102092132B1 (ko) 2012-11-30 2012-11-30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4/092,293 US9898139B2 (en) 2012-11-30 2013-11-27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overing input effe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BRBR102013030676-2A BR102013030676A2 (pt) 2012-11-30 2013-11-28 Dispositivo eletrônico para fornecer efeitos de entrada que paira no ar e método para controlar os mesmos
TW102143351A TWI641972B (zh) 2012-11-30 2013-11-28 提供懸浮輸入效果的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AU2013263830A AU2013263830A1 (en) 2012-11-30 2013-11-29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overing input effe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3195070.1A EP2738651A3 (en) 2012-11-30 2013-11-29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overing input effe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U2013153227/08A RU2013153227A (ru) 2012-11-30 2013-11-29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эффектов ввода наведением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CA2835524A CA2835524A1 (en) 2012-11-30 2013-11-29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overing input effe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310637046.XA CN103853494B (zh) 2012-11-30 2013-12-02 提供悬浮输入效果的电子装置及控制该电子装置的方法
JP2013248987A JP2014110055A (ja) 2012-11-30 2013-12-02 ホバリング入力効果を提供する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U2019246927A AU2019246927B2 (en) 2012-11-30 2019-10-11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overing input effe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274A KR102092132B1 (ko) 2012-11-30 2012-11-30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150A KR20140070150A (ko) 2014-06-10
KR102092132B1 true KR102092132B1 (ko) 2020-04-14

Family

ID=4972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274A KR102092132B1 (ko) 2012-11-30 2012-11-30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898139B2 (ko)
EP (1) EP2738651A3 (ko)
JP (1) JP2014110055A (ko)
KR (1) KR102092132B1 (ko)
CN (1) CN103853494B (ko)
AU (2) AU2013263830A1 (ko)
BR (1) BR102013030676A2 (ko)
CA (1) CA2835524A1 (ko)
RU (1) RU2013153227A (ko)
TW (1) TWI64197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784B1 (ko) 2022-05-27 2022-12-01 주식회사 보나 자이로 센서 기반의 광학식 전자펜의 호버링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2093B2 (en) 2014-05-13 2017-02-28 Synaptics Incorporated Passive pen with ground mass state switch
CN105468133B (zh) * 2014-08-25 2021-02-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处理方法和装置
KR20160034135A (ko) 2014-09-19 201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99589B1 (ko) 2014-11-05 202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그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20160056609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트레이스 3차원 호버링 디지타이저
TWI575429B (zh) * 2014-11-24 2017-03-2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電容式觸控面板模組之操作模式切換方法
US10180736B2 (en) 2014-11-26 2019-01-15 Synaptics Incorporated Pen with inductor
CN105843429A (zh) * 2015-01-14 2016-08-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悬浮触控方法
KR20160106985A (ko) * 2015-03-03 2016-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US9830003B2 (en) * 2015-08-18 2017-11-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ing button components in electronics
KR102476610B1 (ko) 2015-10-02 2022-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드,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및 전자 장치, 및 터치 패드의 제조 방법
US10635222B2 (en) 2015-10-02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d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touch pad
US10296088B2 (en) * 2016-01-26 2019-05-21 Futurewei Technologies, Inc. Haptic correlated graphic effects
US10732719B2 (en) * 2016-03-03 2020-08-04 Lenovo (Singapore) Pte. Ltd. Performing actions responsive to hovering over an input surface
US11334212B2 (en) 2019-06-07 2022-05-17 Facebook Technologies, Llc Detecting input in artificial reality systems based on a pinch and pull gesture
US11422669B1 (en) * 2019-06-07 2022-08-23 Facebook Technologies, Llc Detecting input using a stylus in artificial reality systems based on a stylus movement after a stylus selection action
KR20200142343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US11163428B1 (en) * 2020-06-15 2021-11-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ing a hover graphic with a dynamic time delay
JP2022108147A (ja) * 2021-01-12 2022-07-2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KR20220138660A (ko) * 2021-04-06 2022-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5040A1 (en) * 2002-11-14 2004-06-03 Oh Eui Yeol Touch panel for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706B2 (ja) * 1990-06-12 2000-07-24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座標読取装置およびその高さ情報算出方式
US7728825B2 (en) * 2005-03-22 2010-06-01 Microsoft Corporation Targeting in a stylus-based user interface
US20060267966A1 (en) * 2005-05-24 2006-11-30 Microsoft Corporation Hover widgets: using the tracking state to extend capabilities of pen-operated devices
JP4415327B2 (ja) 2005-12-02 2010-02-17 株式会社Inax ミラーキャビネット用照明装置
JP4787087B2 (ja) 2006-03-23 2011-10-05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US7903094B2 (en) 2006-06-23 2011-03-08 Wacom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peration input method, and sensing device
WO2008020446A1 (en) 2006-08-15 2008-02-21 N-Trig Ltd. Gesture detection for a digitizer
JP2008065730A (ja) * 2006-09-11 2008-03-21 Nec Corp 携帯通信端末装置、携帯通信端末装置における座標入力方法および座標入力装置
US7877707B2 (en) * 2007-01-06 2011-01-25 Apple Inc. Detecting and interpreting real-world and security gestures on touch and hover sensitive devices
US8219936B2 (en) 2007-08-30 2012-07-10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ing a user's gesture in the proximity of an electronic device
JP2009157448A (ja) 2007-12-25 2009-07-1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手書き情報入力表示システム
US8363019B2 (en) 2008-05-26 2013-01-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ing proximity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1516361B1 (ko) * 2008-05-26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센서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0103A (ko) * 2008-11-05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맵 상에서의 3차원 개체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8610744B2 (en) * 2009-07-10 2013-12-1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natural media painting using proximity-based tablet stylus gestures
JP5886489B2 (ja) * 2009-09-21 2016-03-1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US8487889B2 (en) 2010-01-15 2013-07-16 Apple Inc. Virtual drafting tools
JP5237980B2 (ja) 2010-03-04 2013-07-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座標入力装置、座標入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US9990062B2 (en) * 2010-03-26 2018-06-0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KR101743948B1 (ko) 2010-04-07 201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렉티브 디스플레이에서 근접 센싱을 위한 방법 및 근접 센싱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JP5625599B2 (ja) * 2010-08-04 2014-11-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752435A (zh) 2011-04-19 2012-10-2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光标的手机及其控制光标的方法
US8854342B2 (en) * 2012-03-02 2014-10-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cle-based digital airbrushing
CN102662506A (zh) 2012-03-07 2012-09-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触控方法及终端
US20130271362A1 (en) * 2012-04-12 2013-10-17 Sergiy Lozovsky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Enhanc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5040A1 (en) * 2002-11-14 2004-06-03 Oh Eui Yeol Touch panel for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784B1 (ko) 2022-05-27 2022-12-01 주식회사 보나 자이로 센서 기반의 광학식 전자펜의 호버링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2507A (zh) 2014-08-16
EP2738651A3 (en) 2016-07-20
CN103853494B (zh) 2019-07-19
TWI641972B (zh) 2018-11-21
KR20140070150A (ko) 2014-06-10
AU2013263830A1 (en) 2014-06-19
RU2013153227A (ru) 2015-06-10
AU2019246927B2 (en) 2021-04-01
US9898139B2 (en) 2018-02-20
JP2014110055A (ja) 2014-06-12
BR102013030676A2 (pt) 2015-01-27
CN103853494A (zh) 2014-06-11
AU2019246927A1 (en) 2019-10-31
EP2738651A2 (en) 2014-06-04
US20140152623A1 (en) 2014-06-05
CA2835524A1 (en)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132B1 (ko) 호버링 입력 효과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40196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US9261995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lecting object by using multi-touch with related reference point
US9946345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to input unit
KR102113683B1 (ko) 문지르기 제스처를 검출하여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77497B2 (en)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set by a user in a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KR101990567B1 (ko) 외부 입력 장치와 결합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15720B1 (ko) 진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11497A (ko) 터치 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을 삭제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US201600482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bration
US2015006202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KR20140105331A (ko)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객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40067334A (ko) 터치 입력 방법 및 휴대 단말
EP2808774A2 (en)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in response to user input
KR102091710B1 (ko) 좌표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8091B1 (ko) 오브젝트에 대한 사전 실행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8963A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40131051A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46832B1 (ko)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 지점을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5957B1 (ko) 종료 효과를 표시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4070729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40092106A (ko)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단말과 저장 매체
KR102086454B1 (ko) 휴대용 장치에서 텍스트 선택 방법 및 장치
KR20140113757A (ko)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미디어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50025655A (ko)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