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525B1 - 체액 검사 기반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 - Google Patents

체액 검사 기반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525B1
KR102476525B1 KR1020210024490A KR20210024490A KR102476525B1 KR 102476525 B1 KR102476525 B1 KR 102476525B1 KR 1020210024490 A KR1020210024490 A KR 1020210024490A KR 20210024490 A KR20210024490 A KR 20210024490A KR 102476525 B1 KR102476525 B1 KR 102476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
mmu
probe
hsa
mir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831A (ko
Inventor
임은경
임재우
문민호
김수진
강병훈
강태준
정주연
서승범
손성욱
이규선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2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525B1/ko
Priority to JP2023551136A priority patent/JP2024507897A/ja
Priority to PCT/KR2022/002357 priority patent/WO2022182061A1/ko
Publication of KR2022012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16Hybridisation assay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means
    • C12Q1/6818Hybridisation assay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means involving interaction of two or more labels, e.g. resonant energy transf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5/00Reactions involving modified oligonucleotides, nucleic acids, or nucleotides
    • C12Q2525/30Oligonucleotides characterised by their secondary structure
    • C12Q2525/301Hairpin oligonucleo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5/00Nucleic acid analysis characterised by mode or means of detection
    • C12Q2565/10Detection mode being characterised by the assay principle
    • C12Q2565/101Interaction between at least two lab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78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miRNA, siRNA or ncRN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액 검사 기반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노이즈 등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실시간 진단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미량으로 존재하는 miRNA를 높은 검출 효율로 검출하고 이를 진단함으로써 알츠하이머 병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우수한 진단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체액 검사 기반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 {Degenerative brain disease diagnosis and monitoring technology based on body fluid test}
본 발명은 체액 검사 기반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이다.
분자 진단은 DNA나 RNA와 같은 핵산을 검출 또는 분석하는 진단 방법으로 염기서열의 특이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른 진단 방법에 비해 매우 정확하고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자 진단은 암 진단, 사람 또는 가축의 감염성 질병진단, 병원균 항생제 내성 검사, 식품 검사, 혈액 검사, 유전학적 검사 등 응용범위가 매우 넓어 시장 규모가 크고 성장속도가 빠른 분야이다. 특히 현장 분자진단은 의료지원에 대한 접근성 강화, 결과에 대한 즉각적 분석과 처방, 방문 횟수 및 대기시간 감소 등을 통해 분자진단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특히, 천연 상태 그대로 검출하기 어려운 핵산을 표지하여 검출하는 방법은 분자생물학이나 세포생물학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왔다. 특이적인 혼성화 반응 (specific hybridization reaction)을 이용하는 서던 블로팅(Southern blotting), 노던 블로팅 (Northern blotting), 인시츄 혼성화 (in situ hybridization), 핵산 마이크로어레이 (microarray)에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표지 물질이 부착된 핵산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에서 표지된 단량체 (표지된 dNTP) 또는 표지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DNA를 증폭함과 동시에 DNA를 표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렇게 표지된 DNA를 마이크로어레이로 검출할 수 있다.
PCR과 동시에 핵산을 표지하는 방법은 표지를 위한 별도의 단계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는 반면, 형광 염료 등으로 표지된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표지되지 않은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PCR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RNA는 PCR 방법으로 증폭할 수 없기 때문에 PCR로 표지하는 방법으로 RNA를 검출하려면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를 통해 cDNA를 제조하는 단계가 필요하고, 특히 마이크로 RNA (microRNA, miRNA)와 같이 길이가 짧은 경우 cDNA 제조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보다 향상된 민감도와 특이도를 갖는 핵산 검출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앞서 설명된 방법들의 경우, 많은 양의 검출 핵산을 보유한 경우에 타겟이 되는 핵산을 검출하기에 용이한 방법들이다. 현재도 많이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은 양의 타겟 핵산이 존재할 시에는 이를 검출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민감도가 낮음), 다른 저해제들로 인해서 특정 타겟만을 검출하지 못하고, 비특정 타겟을 잘못 검출하는 경우 (특이도가 낮음)가 빈번하다.
한편, 등온 (isothermal), 비 효소 (enzyme-free) 신호증폭 반응인 헤어핀 자기조립 (catalytic hairpin assembly)은 단일가닥 핵산이 촉매로 작용하여, 두 종의 준 안정적인 헤어핀 프로브에 대해 가닥 치환 반응을 반복적으로 야기하여, 두 종의 헤어핀 프로브가 결합된 형태인 이중가닥 산물을 다량 생성하는 반응으로서 다양한 생체물질의 검출 기술 개발에 활용되어 왔다.
퇴행성 뇌질환은 확진하는 것이 어렵고, 더욱이 일차 의료 현장에서는 주로 임상 양상에 의존하여 진단적 평가를 시행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진단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치매의 객관적 진단을 위해 구조적, 기능적 뇌 영상들이 시도되어 왔으나, 이들의 역할은 주로 다른 치매를 배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수준이며, 뇌영상 이상 소견은 정상 노인에서도 가능하므로 확진을 위한 진단법은 아니다.
즉, 현재까지 가장 확실한 진단 방법은 죽은 후 부검을 통해 얻은 알츠하이머 환자 뇌(Postmortem)에서 바이오마커 (아밀로이드 베타 & 인산화된 타우 단백질)를 확인하는 것인데, 이는 초기/중기 치매 진단 마커가 아닌 말기 치매 진단 마커에 더 가깝다. 이에 따라, 현재 뇌척수액검사는 체액 검사의 표준으로 주로 아밀로이드 베타 펩타이드를 표적으로 하는 검사 방법에 불과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뇌척수액 검사 기술 개량 및 표준화 연구와 아울러 체액 내 존재하는 진단 바이오 마커 발굴 및 이를 검출할 수 있는 고감도 검출 기술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3332호
본 발명자들은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하여, 2종의 프로브를 각기 다른 리포솜 내에 넣고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완충용액(반응 버퍼)에 의해 리포솜이 분해(degradation)가 일어나는 경우 방출 후에 반응을 수행하도록 시스템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프로브 간 간섭에 의한 노이즈 등의 문제를 최소화하여 소량 존재하는 miRNA 등을 쉽게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퇴행성 뇌질환 진단 효율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여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5' 말단에 리포터 및 3'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miRNA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5' 말단에 리포터 및 3'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은 5' 말단에 리포터 및 3'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miRNA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이드로겔(hydrogel)"은 물을 기본 성분으로 포함하는 겔, 물을 분산매로 하는 겔 또는 친수성 겔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하이드로겔 입자는 친수성 모노머 또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하이드로겔 입자는 천연 폴리머,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 포스파티딜콜린(Posphatidyl cholin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알긴산(Alginate), 키토산(Chitosan), 폴리 카프로락톤(Poly(e-caprolactone)), 폴리 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 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에틸렌 글리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트리칼슘 포스페이트(Tricalcium phosph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천연 폴리머는 카라기난, 아가 또는 아가로스를 예로 들 수 있는 홍조류 유래 다당류, 만난,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또는 그 유도체를 예로 들 수 있는 만노오즈 함유 다당류 및 로커스트콩검, 구아검, 산탄검, 아라비아검, 젤란검 또는 카라야검을 예로 들 수 있는 천연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는 친수성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HEA)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서, 하이드로겔 입자는 폭넓은 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HEA)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의 혼합의 비율은 1: 0.5 내지 2 중량비가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대략 1: 1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친수성 수용액 내에 대략 3: 0.5 내지 2: 내지 0.5 내지 2(친수성 수용액: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보다 바람직하게 3:1:1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을 구성할 수 있는 폴리머는 광경화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경화가 일어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이드로겔은 광경화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광개시제는 빛의 사용으로 자유라디칼 중합 및/또는 가교를 개시할 수 있다. 광개시제의 적합한, 그러나 비한정적인, 예는 벤조인 메틸 에테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2-하이드록시-2-메틸 프로피오페논 (HMPP),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그리고 Darocur(상표명) 및 Irgacure(상표명) 타입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Darocur 1173 및 2959이다. 벤조일포스핀 개시제의 예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로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클로로벤조일)-4-N-프로필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및 비스-(2,6-디클로로벤조일)-4-N-부틸페닐포스핀 옥사이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매크로머에 혼입될 수 있는, 또는 특정 모노머로 사용될 수 있는 반응성 광개시제도 적합하다.
광개시제가 함유되면, 중합은 화학선 방사에 의해, 예를 들어 적합한 파장을 갖는 특정 자외선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스펙트럼 요건은 적당하다면 적합한 광증감제의 첨가로 제어될 수 있다.
하이드로겔은 내부에 세공이 열린 공극성 구조를 통해 리포솜을 담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하이드로겔의 공극성 구조에 의해 외부 물질(진단을 위한 miRNA)의 확산을 통한 내부 유입에 유리하며, 하이드로겔 내부의 다면의 3차원 구조에 의해 화학적 결합없이 리포솜을 하이드로겔 내부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리포솜은 인위적으로 만든 1개 이상의 지질 2중층(lipid bilayer)으로 되어 있는 구형의 소낭(vesicle)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리포솜을 구성하는 지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지질일 수 있다. 상기 지질로는 예를 들어 인지질, 당지질, 스테롤류, 양이온성 지질 등, 폴리글리세롤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알킬글리코시드, 알킬메틸글루카미드, 알킬수크로스에스테르, 디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디알킬폴리글리세롤에테르 등, 폴리옥시에틸렌-폴리락트산 등의 양친매성 블록공중합체 등, 장쇄 알킬아민류 또는 장쇄 지방산 하이드라자이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콜린(대두 포스파티딜콜린, 난황 포스파티딜콜린, 보바인 포스파티딜콜린, 디라우로일포스파티딜콜린,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등),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디라우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또는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오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등), 포스파티딜세린(디라우로일포스파티딜세린,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세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세린 또는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세린 등), 포스파티딘산, 포스파티딜글리세롤(디라우로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또는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등), 포스파티딜이노시톨(디라우로일포스파티딜이노시톨,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이노시톨,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이노시톨 또는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이노시톨 등), 리조포스파티딜콜린, 스핑고미엘린,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또는 수소첨가 인지질 등의 천연 또는 합성 인지질 중에서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지질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로 당지질, 스핑고 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세로 당지질로는, 디갈락토실디글리세리드류(디갈락토실디라우로일글리세리드, 디갈락토실디미리스토일글리세리드, 디갈락토실디팔미토일글리세리드 또는 디갈락토실디스테아로일글리세리드 등) 또는 갈락토실디글리세리드류(갈락토실디라우로일글리세리드, 갈락토실디미리스토일글리세리드, 갈락토실디팔미토일글리세리드 또는 갈락토실디스테아로일글리세리드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핑고 당지질로는, 예를 들어 갈락토실셀레브로시드, 락토실셀레브로시드 또는 간글로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테롤류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헥사숙시네이트, 3β-[N-(N',N'-디메틸아미노에탄)카르바모일]콜레스테롤, 에르고스테롤 또는 라노스테롤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지질은 다이옥타데실아미도글리실스페르미딘(DOGS), 다이메틸다이옥타데실암모늄브로마이드(DDAB), L-a-다이올레오일 포스타티딜에탄올아민(DOPE), [N-(N,N'-다이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DC-Chol), N-[1-(2,3-다이올레일옥시)프로필]-N,N,N-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OTMA), 2,3-다이올레오일옥시-N-[2-(스페르민카보자미드-O-에틸]-N,N-다이메틸-프로판아미늄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DOSPA), 1-[2-(올레오일옥시)-에틸]-2-올레일-3-(2-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 클로라이드(DOTIM), 1,2-다이미리스틸옥시프로필-3-다이메틸-하이드록시 에틸 암모늄 브로마이드(DMRIE), 1,2-다이미리스토일-3-다이메틸암모늄 프로판(DMDAP), 1,2-다이팔미토일-3-다이메틸암모늄 프로판(DPDAP), 1,2-다이라우로일-3-다이메틸암모늄 프로판(DLDAP), 1,2-다이스테아로일-3-다이메틸암모늄 프로판(DSDAP), 1,2-다이올레오일-3-다이메틸암모늄 프로판(DODAP), 1,2-다이미리스틸-3-다이메틸암모늄 프로판(DMDAP), 1,2-다이팔미틸-3-다이메틸암모늄 프로판(DPDAP), 1,2-다이라우릴-3-다이메틸암모늄 프로판(DLDAP), 1,2-다이스테아릴-3-다이메틸암모늄 프로판(DSDAP), 1,2-다이올레일-3-다이메틸암모늄 프로판(DODAP), 1,2-다이미리스토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DMTAP), 1,2-다이팔미토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DPTAP), 1,2-다이라우로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DLTAP), 1,2-다이스테아로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DSTAP), 다이올레오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DOTAP), 1,2-다이미리스틸-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DMTAP), 1,2-다이팔미틸-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DPTAP), 1,2-다이라우릴-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DLTAP), 1,2-다이스테아릴-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DSTAP), 1,2-다이올레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DOTAP) 등일 수 있다.
상기 리포솜 형성 지질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 양태에 따르면, 리포솜의 제조는 통상의 제조 공정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질막 수화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지질막을 수화시켜 리포솜을 형성하는 것이며, 지질막을 수화시키기 위한 용액은 지질막을 수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양태에 따르면,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PC), 다이올레오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Dioleoyl-3-trimethylammonium propane, DOTAP) 및 콜레스테롤(5-Cholesten-3β-ol)을 혼합하여 제조된 리포솜일 수 있다.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PC), 콜레스테롤(5-Cholesten-3β-ol) 및 다이올레오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Dioleoyl-3-trimethylammonium propane, DOTAP)를 대략 1: 0.2 내지 0.8: 0.05 내지 0.2, 바람직하게 1: 0.5:0.1의 몰비(PC:콜레스테롤:DOTAP)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리포솜은 프로브를 담지할 수 있는 지질 2중층(lipid bilayer)으로 되어 있는 구형의 소낭(vesicle)이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용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리포솜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솜은 계면활성제에 의해 분해되고, 이에 따라 이에 담지된 프로브를 하이드로겔 내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예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세틸 브롬화 트리메틸암모늄염(cetyl trimethylammonium bromide), 헥사데실 브롬화 암모늄염(hexadec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도데실 베타인(dodecyl betaine), 도데실 디메틸아민 산화물(dodecyl dimethylamine oxide), 디메틸팔미토일암모니오프로판 설포네이트(3-(N,Ndimethylpalmitylammonio) propane sulfonate), 트윈-20 (Tween 20), 트윈-80(Tween 80), 트리톤 X-100(Triton-X-100),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 monooleyl ether),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도데실 에테르 (triethylene glycol monododecyl ether), 옥틸 글루코사이드(octyl glucoside), N-노나노일메틸글루카민 (N-nonanoyl-N-methylglucamine)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트리톤 X-100(Triton-X-100)일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완충용액 내 대략 0.5 중량 %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 0.6 중량 %내지 2 중량 %, 보다 바람직하게 약 1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포솜은 5' 말단에 리포터 및 3'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거나, 또는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할 수 있다.
즉, 제1프로브와 제2프로브를 각각 별개의 리포솜에 담지함으로써 이들 각각이 반응전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로부터 발생가능한 노이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프로브는 헤어핀 구조를 가진다. 헤어핀 구조는 자연 발생이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상보적인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검출 프로브의 두 말단에 첨가하여 검출 프로브가 헤어핀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2개의 상보적인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헤어핀 구조의 팔(줄기)를 형성한다. 헤어핀 구조의 상기 팔(arm) 은 임의의 원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팔의 길이는 2-15 nt, 예를 들어, 3-7 nt, 4-9 nt, 5-10 nt, 6-12 nt 일 수 있다.
제1프로브는 5' 말단에 리포터 및 3'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를 가진다. 제1프로브는 검출 프로브에 해당한다.
이의 5' 말단의 리포터 그룹은 독립적으로 형광(fluorescent) 그룹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LEX-350, FAM, VIC, TET, CAL Fluor® Gold 540, JOE, HEX, CAL Fluor Orange 560, TAMRA, CAL Fluor Red 590, ROX, CAL Fluor Red 610, TEXAS RED, CAL Fluor Red 635, Quasar 670, CY3, CY5, CY5.5, Quasar 705와 같은 형광 그룹을 가질 수 있다.
이의 3'말단의 소광자 그룹은 형광(fluorescence)을 흡수/켄칭할 수 있는 분자 또는 그룹이다. 예를 들어, DABCYL, BHQ (e.g. BHQ-1 or BHQ-2), ECLIPSE, 및/또는 TAMRA와 같은 그룹이 이용될 수 있다.
제2프로브는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혼성화'는 상보적인 단일가닥 핵산들이 이중-가닥 핵산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혼성화는 2 개의 핵산 가닥 간의 상보성이 완전할 경우(perfect match) 일어나거나 또는 일부 부정합(mismatch) 염기가 존재하여도 일어날 수 있다. 혼성화에 필요한 상보성의 정도는 특히 온도와 같은 혼성화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제1프로브 및 제2프로브는 헤어핀 자기조립 (catalytic hairpin assembly, CHA)에 이용된다. 이는 단일가닥 핵산이 촉매로 작용하여, 두 종의 준 안정적인 헤어핀 프로브에 대해 가닥 치환 반응을 반복적으로 야기하여, 두 종의 헤어핀 프로브가 결합된 형태인 이중가닥 산물을 다량 생성하는 반응에 해당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1프로브는 각각 형광단 (FAM) 및 ?처 (BHQ1)로 개질되어 있으며, 표적 mRNA는 fluorescence recovery을 시작하고 toehold-mediated hairpin DNA circuit (ii)를 통해 제1프로브와 제2프로브의 조립을 촉매하게 된다.
위 반응을 통하여 기존 기술의 낮은 민감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온도의 변화 및 온도 조절 장치 없이 반응을 수행할 수 있고, 효소 또는 기타 기질의 첨가가 불필요하며, 복잡하고 시간 소요적인 실험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은 상태로 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즉, 5' 말단에 리포터 및 3'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은 제1프로브와 제2프로브를 각각 담지하는 리포솜으로 인해 위 프로브를 분리하여 보존하여 이들의 상호 간섭에 의한 노이즈 등을 제거한다. 또한, 이들은 계면활성제 등으로 인하여 리포솜의 막이 파괴될 때 리포솜 내에서 방출되어 표적 miRNA와 반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miRNA 검출용 조성물은 mi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CHA 반응 통해 miRNA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마이크로 RNA(MicroRNA, miRNA)는 약 22개의 뉴클레오타이드의 짧은 단일가닥으로 구성된 비암호화 RNA로 식물, 동물, 바이러스 등에서 발견된다. "miRNA(microRNA)"는 짧은 비암호화(noncoding) RNA로, 전사(transcription)와 해독(translation) 수준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miRNA는 진화를 통해 보존되면서 세포주기, 분화, 발달, 대사, 패터닝(patterning) 및 노화와 같은 근본적인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고 있다.
miRNA와 이에 조절되는 표적 유전자는 다양한 질환의 기작에 miRNA의 중요한 역할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암, 퇴행성 질환,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환에 따라 비정상적인 miRNA의 발현의 증가 혹은 감소양상을 보임으로써 miRNA를 질환의 진단 및 예측 및 예후에 이용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써 인식되고 있다. 생물학적 물질 내에 miRNA는 매우 극소량 존재하며 이를 검출하기 위해 선택적이고 고감도의 분석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miRNA 검출 방법은 제1프로브와 제2프로브를 각각 담지하는 리포솜으로 인해 위 프로브를 분리하여 보존하여 이들의 상호 간섭에 의한 노이즈 등을 제거하고 CHA 반응을 통해 시그널을 크게 증폭시킴으로써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miRNA를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극미량은 시료 내 나노몰(nM), 피코몰(pM) 등의 소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검출대상이 되는 miRNA는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검출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5' 말단에 리포터 및 3' 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 병, 헌팅턴 병, 알츠하이머 병, 경도인지장애, 노인성 치매, 당뇨성 치매, 알코올성 치매, 혈관성 치매,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Spinocerebellar Atrophy), 뚜렛 증후군(Tourette`s Syndrome), 프리드리히 보행실조(Friedrich`s Ataxia), 마차도-조셉 병(Machado-Joseph`s disease), 루이 소체 치매(Lewy Body Dementia), 근육긴장이상(Dystonia), 진행성 핵상 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및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퇴행성 뇌질환은 중추신경계의 신경세포에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면서 여러가지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대부분 질병의 발병이 서서히 시작하며 출생 후 오랜 기간 정상적인 기능을 하다가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일단 발병하면 사망 시까지 수년 또는 수십 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병이 진행하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바람직하게 알츠하이머 병이다.
퇴행성 뇌질환의 진단의 목적은 표적 miRNA의 검출 및/또는 이를 통한 질환의 진단일 수 있다. '표적 miRNA'는 검출하고자 하는 모든 종류의 miRNA을 의미하며, 혼성화, 어닐링(annealing) 또는 증폭 조건 하에서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와 어닐링 또는 혼성화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양태에 따르면, 표적 miRNA는 mmu-miR-1187, mmu-miR-1306-3p, mmu-miR-7038-3p, mmu-miR-5113, mmu-miR-669n, mmu-miR-669c-5p, mmu-miR-365-2-5p, mmu-miR-3095-3p, mmu-miR-365-1-5p, mmu-miR-1931, mmu-miR-1306-5p, mmu-miR-7001-5p, mmu-miR-23a-5p, mmu-miR-574-5p, mmu-miR-3061-5p, mmu-miR-8117, mmu-miR-15a-3p, mmu-miR-665-5p, mmu-miR-669m-5p, mmu-miR-466m-5p, mmu-miR-668-5p, mmu-miR-6997-5p 및 mmu-miR-7684-5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miR에 상응하는 인간 miR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sa-miR-1306-3p, hsa-miR-365b-5p, hsa-miR-365a-5p, hsa-miR-1306-5p, hsa-miR-23a-5p, hsa-miR-574-5p, hsa-miR-15a-3p, hsa-miR-665 및 hsa-miR-668-5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miRNA는 퇴행성 뇌질환을 가진 환자군에서 그 발현 수준이 증가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miRNA는 mmu-miR-1187, hsa-miR-23a-5p, hsa-miR-365a-5p 및 hsa-miR-574-5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miRNA 검출용 조성물 및/또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은 생물학적 시료로부터의 임의의 miRNA를 검출 및/또는 진단할 수 있다. 용어 "생물학적 시료"는 임의의 RNA 를 포함하는 임의의 시료를 의미한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대상으로부터 수득한 임의의 조직 또는 체액일 수 있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대상의 가래, 혈액, 혈청, 혈장, 혈구(예를 들어, 백혈구), 조직, 생검 샘플, 도말 샘플, 세척 샘플, 면봉 샘플, 세포 함유 체액, 유동 핵산, 소변, 복막액 및 흉수, 해마, 뇌 척수액, 대변, 누액 또는 이로부터의 세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생물학적 시료는 조직학적 목적 하에 취해진 조직 절편, 즉 동결 또는 고정 절편 또는 그의 미세해부 세포 또는 세포외 부분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대상에게 위해를 끼치지 않는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시료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완충용액에 혼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또는 키트는 검출 효능이 매우 우수하여, 매우 적은 농도의 miRNA 검출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인체 내 미량으로 존재하는 miRNA를 표적으로 하여 검출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별도의 분리된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5' 말단에 리포터 및 3'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은 하이드로겔 내에서 분리되어 존재하지만, 표적 핵산 서열에 대한 검출을 위해 계면활성제의 처리를 통해 리포솜의 막을 분해하고 반응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완충용액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5' 말단에 리포터 및 3' 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miRNA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5' 말단에 리포터 및 3' 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키트는 특정 반응에서 사용되는 시약의 최적량은, 본 명세서에 개시사항을 습득한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키트는 앞서 언급된 구성성분들을 포함하는 별도의 포장 또는 컴파트먼트(compartment)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키트는 사용 지침(instruction) 및 기타 검출에 필요한 도구 또는 장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트는 계면활성제를 별도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5' 말단에 리포터 및 3' 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시료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miRNA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miRNA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완충용액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완충용액이 리포솜의 막을 분해하고, 이로부터 방출되는 제1프로브와 반응을 통해 CHA 반응을 수행하여 형광 변화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검출 방법은 반응물의 형광 발색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반응물의 형광 발색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광 발색 변화의 측정은 형광장비의 측정 파장을 고정하여 측정하는 통상의 형광 측정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광 장비의 측정 파장을 고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AM형광의 경우 ex;495/em;520의 파장에서의 반응물의 형광 강도를 측정하며 1 내지 2시간동안 5 내지 10분 간격으로 형광 변화를 관찰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5' 말단에 리포터 및 3' 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시료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단 방법은 정상군과 퇴행성 뇌질환을 가진 군 간에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miRNA에 대한 검출 및 이를 통한 진단을 목적한다.
구체적으로, 표적 miRNA는 표적 miRNA는 mmu-miR-1187, mmu-miR-1306-3p, mmu-miR-7038-3p, mmu-miR-5113, mmu-miR-669n, mmu-miR-669c-5p, mmu-miR-365-2-5p, mmu-miR-3095-3p, mmu-miR-365-1-5p, mmu-miR-1931, mmu-miR-1306-5p, mmu-miR-7001-5p, mmu-miR-23a-5p, mmu-miR-574-5p, mmu-miR-3061-5p, mmu-miR-8117, mmu-miR-15a-3p, mmu-miR-665-5p, mmu-miR-669m-5p, mmu-miR-466m-5p, mmu-miR-668-5p, mmu-miR-6997-5p 및 mmu-miR-7684-5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miR에 상응하는 인간 miR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sa-miR-1306-3p, hsa-miR-365b-5p, hsa-miR-365a-5p, hsa-miR-1306-5p, hsa-miR-23a-5p, hsa-miR-574-5p, hsa-miR-15a-3p, hsa-miR-665 및 hsa-miR-668-5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프로브는 위 언급된 miRNA에 대하여 상보적 서열을 포함한다.
상기 miRNA는 정상군과 대비하여 퇴행성 뇌질환 환자군에서 그 발현 수준이 증가하는 miRNA에 해당한다.
즉, 5' 말단에 리포터 및 3' 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시료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5' 말단에 리포터 및 3' 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시료와 반응시키는 단계;
(b) 상기 시료와의 반응물의 광 발색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형광 발색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광발색 변화의 확인 또는 형광 발색 변화의 측정을 통해 퇴행성 뇌 질환의 발병을 진단하는 단계.
본 발명은 Inlet;
Inlet으로부터 Outlet으로 연결되는 미세관 통로;
상기 미세관 통로로부터 분지되어 구성되는 Outlet의 검출부;을 포함하는 미세 유체칩으로서, 상기 검출부는 형광 표지를 위한 5' 말단에 리포터 및 3' 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것인, miRNA 검출용 미세 유체칩을 제공한다.
Inlet;
Inlet으로부터 Outlet으로 연결되는 미세관 통로;
상기 미세관 통로로부터 분지되어 구성되는 Outlet의 검출부;을 포함하는 미세 유체칩으로서, 상기 검출부는 형광 표지를 위한 5' 말단에 리포터 및 3' 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미세 유체칩을 제공한다.
미세유체 칩은 미세 유체 채널을 통해 유체를 흘려보내 여러 가지 실험 조건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유리, 실리콘 등의 기판(또는 칩 재료)을 이용하여 미세 채널을 만들고, 이러한 채널을 통해 유체(예를 들어, 액체 시료)를 이동시킨 후, 미세유체 칩 내의 복수의 검출부 등을 통해 반응과 검출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도 15를 기초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미세유체칩(001)에는 Inlet(002)가 위치하며, 이에 inlet으로부터 Outlet으로 시료 및/또는 계면활성제가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미세관 통로(003)를 포함한다. 위 미세관 통로를 통해서 유체(예를 들어 시료(표적 핵산 등을 포함) 및 계면활성제 등)가 Outlet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세관 통로(003)는 분지(004)를 가진다.
이러한 분지는 inlet으로부터의 유체 흐름방향으로의 연장선과 각각 대략 45° 각을 이루면서 분지되어 두개의 각각의 검출부(005)로 연결된다. 즉, 분지되어 구성되는 Outlet의 2개의 검출부(005)를 포함한다.
검출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이 배치된다. 이러한 하이드로겔은 투여되는 시료 및/또는 계면활성제로 인하여 리포솜이 분해되고 이에 따라 CHA 반을 수행하게 되어 형광 변화를 나타낸다.
상기 검출부는 항존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제1검출부 및 표적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제2검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검출부의 항존유전자는 GAPDH(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Cypl, 알부민, 액틴(actin), 튜 블린(tubulin), HRPT (cyclophiiin hypoxant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L32, 28S, U6, 18S 등과 같이 유전자 발현 패턴을 표준화하는데 쉽게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항존 유전자의 사용을 통해서 표적(타겟) 유전자의 신호를 보정하여 개인마다의 정량적인 유전자의 양 차이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제1검출부의 제1프로브 및 제2프로브는 항존유전자 검출을 위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2검출부는 표적 miRNA 검출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2검출부의 제1프로브 및 제2프로브는 표적 miRNA 검출을 위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양태에 따르면, 6mm의 하이드로겔의 팽윤을 통해 대략 8 mm의 검출부를 구성하였으며, 이의 높이는 대략 1 mm로 설정하였다.
전체 칩의 경우 가로 약 65 mm, 세로 25 mm 로 구조체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미세유체칩은 유체가 흐르는 방향(가로)로 대략 50 내지 100 m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로 방향으로 대략 15 내지 40 m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드로겔의 경우 대략 4 mm 내지 12 mm의 지름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높이는 대략 0.5 mm 내지 2 m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mmu-miR-1187, has-mirR-365a-5p, has-mirR-23a-5p 및, has-mirR-574-5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mi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진단"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한 객체의 감수성(susceptibility)을 판정하는 것, 한 객체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을 현재 가지고 있는 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걸린 한 객체의 예후(prognosis)를 판정하는 것, 또는 테라메트릭스(therametrics)(예컨대, 치료 효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객체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을 포함한다.
miRNA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방법이든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 PCR, 리가제 연쇄 반응(LCR), 전사증폭(transcription amplification), 자가유지 서열 복제, 핵산에 근거한 서열 증폭(NASBA)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4종의 miRNA의 염기서열은 NCBI 등의 데이터베이스에 공지된바, 당업자라면 상기 miRNA 발현수준의 측정에 요구되는 적절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4종의 마커 각각은 퇴행성 뇌질환을 가진 환자군에서 그 발현 수준이 증가하는 특징을 가진다.
"miRNA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상기 mi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miRNA을 증폭시킬 수 있는 제제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mi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발명의 목적에 맞게 적절한 제제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제는 상기 유전자의 발현 수준 측정을 위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표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지에는 리간드, 비드(bead), 방사성 핵종, 효소, 기질, 보조인자, 억제제, 형광물질(fluorescer), 화학발광물질, 자성 입자, 합텐 및 염료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리간드에는 바이오틴, 아비딘 및 스트렙토아비딘 등이 포함되고, 상기 효소에는 루시퍼라아제, 퍼옥시다아제 및 베타 갈락토시다아제 등이 포함되며, 상기 형광물질에는 플루오레세인, 쿠마린, 로다민, 피코에리트린 및 설포로다민산 클로라이드(텍사스 레드: Texas red)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검출 가능한 표지물로 공지의 표지물 대부분이 사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발명의 목적에 맞게 적절한 표지물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 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염기서열로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template)와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주형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서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miRNA 증폭에 사용되는 프라이머는, 적절한 버퍼 중의 적절한 조건(예를 들면, 4개의 다른 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페이트 및 DNA, RNA 폴리머라제 또는 역전사 효소와 같은 중합제) 및 적당한 온도하에서 주형-지시 DNA 합성의 시작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단일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될 수 있는데, 상기 프라이머의 적절한 길이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서열은 상기 유전자의 miRNA의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완전하게 상보적일 필요는 없으며, 혼성화할 정도로 충분히 상보적이면 사용가능하다.
'프로브'는 miRNA와 특이적 결합을 이룰 수 있는, 라벨링(labeling)된 핵산 단편 또는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일 사슬 DNA(single stranded DNA) 프로브, 이중 사슬 DNA(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RNA 프로브, 올리고펩타이드(oligonucleotide peptide) 프로브, 폴리펩타이드 프로브(polypeptide)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mmu-miR-1187, has-mirR-365a-5p, has-mirR-23a-5p 및, has-mirR-574-5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mi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예로, RT-PCR 키트일 수 있으나, miRNA의 발현량을 측정할 수 있는 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RT-PCR 키트는 RT-PCR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T-PCR 키트는, 상기 유전자에 대한 특이적인 각각의 프라이머 외에도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pH 및 마그네슘 농도는 다양), 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dNTPs), 디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ddNTPs), Taq-폴리머라아제 및 역전사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RNAse 억제제, DEPC-수(DEPC-water),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량 대조군으로 사용되는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퇴행성 뇌질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퇴행성 뇌질환 진단이 필요한 대상체 유래의 시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시료에서 mmu-miR-1187, has-mirR-365a-5p, has-mirR-23a-5p 및, has-mirR-574-5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mi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마커의 농도를 정상 대조군의 검사결과와 비교하여, 검사 대상자의 퇴행성 뇌질환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노이즈 등의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실시간 진단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미량으로 존재하는 miRNA를 높은 검출 효율로 검출하고 이를 진단함으로써 알츠하이머 병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우수한 진단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통해 퇴행성 뇌질환 모델에서 발현 차이를 나타내는 miRNA로 상향 조절 miRNA 25종, 하향 조절 miRNA 70종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mmu-miR-1187, mmu-miR-23a-5p, mmu-miR-365-1-5p 및 mmu-miR―574-5p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HA 반응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프로브 설계의 반응 결과를 확인한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표적 서열과 CHA 반응에 사용되는 프로브에 의한 반응을 형광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프로브가 리포솜 내에 봉입된 것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의 제조 공정 및 제조 결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세칩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칩의 전체 반응을 위한 구성 및 검출부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솜에 봉입된 프로브가 계면활성제 처리에 따라 방출되고 반응에 참여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최적화된 하이드로겔에서의 프로브의 확산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프로브가 담지된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스템의 민감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5XFAD 마우스의 해마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RNA로부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miRNA의 검출이 확인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14는 5XFAD 마우스의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RNA로부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miRNA의 검출이 확인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칩의 구성성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바이오마커의 발굴
(1) 실험 동물 모델
실험 동물모델로 4개월령 5XFAD 알츠하이머 치매 마우스(n=5)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4개월령의 야생형(wild-type)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5XFAD 알츠하이머 치매 마우스는 암컷 이형 접합(heterozygous) 5XFAD 트랜스제닉(transgenic) 마우스(B6SJL/mice배경; 4개월령)를 사용하였다. 5XFAD 마우스는 유전형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5XFAD 마우스의 야생형(WT) 한배 새끼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2) 혈장 채취
아버틴 (2,2,2-Tribromoethanol, Avertin, Sigma aldrich)을 이용하여 마우스를 마취하였으며, 이후 마취된 마우스의 안와정맥총에서 일회용 마이크로 헤마토크리트 모세관(Micro-Hematocrit Capillary Tube, Marienfeld Superior)을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혈액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해파린 (heparin, 0.1 mg/mL) 2 μL를 넣은 후, 4 ℃에서 13,000 rpm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3) 마우스 뇌 조직 적출
혈액 채취를 끝난 마우스에서 뇌를 적출하였으며, 이후 적출한 마우스의 뇌를 조심스럽게 브레인 매트릭스 (Brain matrix)와 도루코 면도날을 이용하여 해마(Hippocampus), 해마이행부(Subiculum), 전두피질(Frontal cortex) 부분을 분리하였다. 각 부위는 Paxinos and Franklin's the Mouse Brain in Stereotaxic Coordinates를 참고하여 정하였으며, 해마의 경우 브레그마 (Bregma, 시상봉합과 관상봉합의 접합점)로부터 꼬리방향으로 1 mm 떨어진 지점부터 3 mm (-1.00 mm ~ -3.00mm from bregma) 까지의 부분을 적출하였다. 해마이행부의 경우 브레그마로부터 꼬리방향으로 2 mm 떨어진 지점부터 4 mm (-2.00 mm -4.00mm from bregma) 까지의 부분을 적출하였다. 전두피질의 경우 브레그마로부터 머리방향으로 2mm 떨어진 지점부터 4 mm (+2.00 mm ~ + 4.00 mm from bregma) 까지의 부분을 적출하였다.
(4) miRNA 추출
추출한 마우스 뇌 조직은 멸균된 패슬을 장착한 글라인더를 이용하여 분쇄하였고 RNeasy Mini 키트(Qiagen)를 이용하여 조직의 miRNA를 추출하였다. 혈장 RNA는 ExoRNeasy Maxi 키트(Qiagen)를 이용해 추출하였다. 추출된 RNA의 농도는 분광광도계(Nanodrop2000,Thermo)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조직에서 추출된 RNA 샘플은 100ng / uL의 농도로 마이크로어레이를 진행하였고, 마크로젠(Macrogen, korea) 업체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miRNA 발현량 차이를 분석하여 질환 검출의 타겟으로 하는 miRNA 후보군을 선정하였다.
(6)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CR, qRT-PCR
조직과 혈장에서 추출된 RNA는 miScript II RT kit를 사용하여 역전사 시켜 cDNA를 합성하였고, PCR은 miScript SYBR Green PCR Kit(Qiagen)의 프로토콜을 따라 수행하였다. mRNA 분석은 CFX96™ Real-Time 장비(Bio-rad)에서 진행하였고 모든 실험은 3회 반복실험으로 수행하였다. 각 시료는 U6(항존유전자)로 정규화(normalization)하여 정량적인 결과를 획득하였다.
사용된 서열 정보 및 miR의 정보와 Fold change 수준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서열 정보
Transcript ID Fold Change miR-Sequence Hsa-miR
Log2(5XFAD / WT) Transcript ID sequence
mmu-miR-1187 6.66 UAUGUGUGUGUGUAUGUGUGUAA
(서열번호 1)
mmu-miR-1306-3p 3.65 ACGUUGGCUCUGGUGGUGAUG(서열번호 2) hsa-miR-1306-3p ACGUUGGCUCUGGUGGUG
(서열번호 24)
mmu-miR-7038-3p 3.58 CACUGCUCCUGCCUUCUUACAG(서열번호 3)
mmu-miR-5113 3.23 ACAGAGGAGGAGAGAGAUCCUGU(서열번호 4)
mmu-miR-669n 3 AUUUGUGUGUGGAUGUGUGU(서열번호 5)
mmu-miR-669c-5p 3 AUAGUUGUGUGUGGAUGUGUGU(서열번호 6)
mmu-miR-365-2-5p 2.83 AGGGACUUUCAGGGGCAGCUGUG(서열번호 7) hsa-miR-365b-5p AGGGACUUUCAGGGGCAGCUGU
(서열번호 25)
mmu-miR-3095-3p 2.79 AAGCUUUCUCAUCUGUGACACU(서열번호 8)
mmu-miR-365-1-5p 2.73 AGGGACUUUUGGGGGCAGAUGUG(서열번호 9) hsa-miR-365a-5p AGGGACUUUUGGGGGCAGAUGUG
(서열번호 26)
mmu-miR-1931 2.67 AUGCAAGGGCUGGUGCGAUGGC(서열번호 10)
mmu-miR-1306-5p 2.61 CACCACCUCCCCUGCAAACGUCC(서열번호 11) hsa-miR-1306-5p CCACCUCCCCUGCAAACGUCCA
(서열번호 27)
mmu-miR-7001-5p 2.46 AGGCAGGGUGUGAGCGUGAGCAU(서열번호 12)
mmu-miR-23a-5p 2.38 GGGGUUCCUGGGGAUGGGAUUU(서열번호 13) hsa-miR-23a-5p GGGGUUCCUGGGGAUGGGAUUU
(서열번호 28)
mmu-miR-574-5p 2.26 UGAGUGUGUGUGUGUGAGUGUGU
(서열번호 14)
hsa-miR-574-5p UGAGUGUGUGUGUGUGAGUGUGU
(서열번호 29)
mmu-miR-3061-5p 2.2 CAGUGGGCCGUGAAAGGUAGCC
(서열번호 15)
mmu-miR-8117 2.17 GCUCGUGUGGAACAGAAGGGG(서열번호 16)
mmu-miR-15a-3p 2.17 CAGGCCAUA C UGUGCUGCCUCA(서열번호 17) hsa-miR-15a-3p CAGGCCAUAU U GUGCUGCCUCA
(서열번호 30)
mmu-miR-665-5p 2.17 AGGGGCCUCUGCCUCUAUCCAGGAUU(서열번호 18) hsa-miR-665 ACCAGGAGGCUGAGGCCCCU(서열번호 31)
mmu-miR-669m-5p 2.13 UGUGUGCAUGUGCAUGUGUGUAU(서열번호 19)
mmu-miR-466m-5p 2.13 UGUGUGCAUGUGCAUGUGUGUAU(서열번호 20)
mmu-miR-668-5p 2.12 GUAAGUGUGCCUCGGGUGAGCAUG(서열번호 21) hsa-miR-668-5p UGCGCCUCGGGUGAGCAUG
(서열번호 32)
mmu-miR-6997-5p 2.03 UAACAGGCUGGAGAGGUGCAGA(서열번호 22)
mmu-miR-7684-5p 2.01 UCUGGGAAGCCUGGGCAGCAG(서열번호 23)    
(7) 실험 결과
상기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통한 실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miRNA로 상향 조절 miRNA 25종, 하향 조절 miRNA 70종을 확인하였다.
상기 상향 및 하향 조절되는 miRNA 중 상향 조절되는 miRNA에 대하여 qRT-PCR을 수행한 결과를 도 2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에서는 상향 조절되는 인자들의 Fold change와 매칭되는 인간 miRNA를 나타낸다.
특히,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 어레이 결과로 발현량이 1.5배 이상 증가한 miRNA 후보군 중 가장 높은 발현량을 보이는 1종인 mmu-miR-1187와 인간의 miRNA sequence가 동일한 3종인 mmu-miR-23a-5p, mmu-miR-365-1-5p 및 mmu-miR―574-5p를 miR 후보군으로 선택하였다.
상기 mmu-miR-23a-5p, mmu-miR-365-1-5p 또는 mmu-miR―574-5p에 대해 각각 대응하는 인간 miRNA는 hsa-miR-23a-5p, hsa-miR-365a-5p 또는 hsa-miR-574-5p이다.
<실시예 2> mRNA 검출용 자가 신호 증폭 DNA 프로브 설계
본 발명에 따른 CHA의 반응 원리를 도 3 에 나타내었다. 도 3은 하이드로 겔에서 신호 증폭을 위한 프로브 A (PA) 및 프로브 B (PB)로 구성된 CHA 회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회로의 PA 가닥은 각 끝에서 각각 형광 단 (FAM) 및 ?처 (BHQ1)로 개질되어 있으며, 표적 mRNA는 fluorescence recovery (i)을 시작하고 toehold-mediated hairpin DNA circuit (ii)를 통해 PA와 PB의 조립을 촉매하게 된다.
헤어핀 구조의 프로브 A와 B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프로브의 염기서열은 표 2에 표기하였다.
name Length (nt) Sequences (5' to 3')
H1 54 [FAM]tgtgtgtgtgagtgtgggatcgaaagtgtgtgcacactcacacacacacactca[BHQ1]
(서열번호 33)
H2 58 Tgtgggatcgaaagtgtgtgtgtgtgagtgtgcacacactttcgatcccacactcaca(서열번호 34)
Target-574 23 Tgagtgtgtgtgtgtgagtgtgt(서열번호 35)
1MS-574 23 Tgagtgtgggtgtgtgagtgtgt(서열번호 36)
2MS-574 23 Tgagtctgggtgtgtgagtgtgt(서열번호 37)
*Target: Target sequence, **1MS: 1 base mismatched sequence, ***2MS: 2 base mismatched sequence
프로브는 비효소 방식의 형광 신호 증폭 이론을 따라 설계되었다. 프로브 A의 염기서열 5'말단에는 6-카복시플루오레세인(6-Carboxylfluorescein,6-FAM)을 결합하였다. 프로브 A의 염기서열 3'말단에는 소광 블랙홀(quencher blackhole) ?처-1(BHQ1)을 결합하였다. 프로브는 90℃로 5분동안 끓여주고 상온에서 천천히 냉각시켜 어닐링(annealing)하였다. 모든 프로브는 사용하기 전까지 냉동으로 보관하였다.
설계된 프로브군의 상호간 결합성은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 영동(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AGE)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전기 영동 겔은 아크릴아마이드 10%로 제작하였으며 1X TBE 완충액과 80 V의 전압 하에서 90분간 실시하였다. 이후 겔-레드(GelRed)로 10분간 염색하여 DNA의 위치를 표시한 후 젤-닥(Gel-doc, 바이오-라드) 장비로 촬영하였다.
합성된 프로브 세트를 이용하여 위 반응을 Gel electrophoretic analysis를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설계된 프로브군의 상호간 결합성은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 영동(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AGE)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전기 영동 겔은 아크릴아마이드 10%로 제작하였으며 1X TBE 완충액과 80 V의 전압 하에서 90분간 실시하였다. 이후 겔-레드(GelRed)로 10분간 염색하여 DNA의 위치를 표시한 후 젤-닥(Gel-doc, 바이오-라드) 장비로 촬영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온에서 위 프로브 세트에 의해 반응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반응의 형태 및 결과를 형광 분석을 통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의 a에 따르면, 프로브 B의 역할로 인해 동일 시간 내 더 많은 양의 형광 신호가 발생함(A+Target 대비 A+B+Target)을 보여주며, 타겟 없는 조건에서는 안정적으로 유지(A+B)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도 5의 b에 따르면, 표적 miRNA에서 1개(1MS)-2개(2MS)의 염기 서열을 교체한 실험군 DNA(control)를 사용하여 검출 프로브의 선택성을 확인한 결과, 표적 miRNA와 반응시 형광이 가장 높으며 control 유전자 반응의 형광과 차이가 큰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Catalytic hairpin assembly (CHA) 시스템이 표적 miRNA 검출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PEGDA) 제조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60 g을 다이클로로메테인(dichloromethane, DCM) 75 mL에 용해하였다. 용액이 투명하게 변하는 것을 확인한 후 용액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N-Diisopropylethylamine,DIPEA) 7 mL를 첨가하였다. 용액이 담긴 초자를 4 ℃를 유지하며 아크릴일 클로라이드(Acryloyl chloride) 6.5 mL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은 질소 하에서 환류(reflux) 시키며 8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차광된 장소에서 진행하였다. 반응물에 디에틸에테르 1L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얻었으며, 이 침전물은 진공 챔버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합성물을 추가적으로 다이클로로메테인 75 mL와 2 몰농도의 탄산 칼륨(Potassium carbonate, K2CO3) 500 mL에 용해하여 8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반응하고 디에틸에테르에 1L를 첨가하여 제조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침전하여 얻어낸다. 이후 진공 챔버에서 건조하여 파우더 형태의 결과물을 만들었다.
이를 PEGDA 소재의 하이드로겔로써 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
<실시예 4> 프로브가 담지된 리포솜의 제조
리포솜은 고전적인 지질막 수화법(lipid film hydration method)으로 제조하였다. 클로로포름 용액 10 mL에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PC) 7mg, 다이올레오일-3-트리메틸암모늄 프로판(Dioleoyl-3-trimethylammonium propane, DOTAP) 0.7mg, 콜레스테롤(5-Cholesten-3β-ol) 1.95mg을 용해하였다. 상온에서 회전식 진공 증발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증발시켜 얇은 지질막을 제조하였다. TE 완충액에 10 nM 농도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용액 1 mL를 지질 필름에 첨가한 후 볼텍스 믹서를 사용하여 지질막을 초자로부터 분리하였다. 용액은 4℃온도에서 8시간 내지 12시간 보관하였다. 비봉입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을 4℃에서 4000rpm으로 60분간 아미콘(Amicon) 원심 필터로 여과하였다.
상기 제조된 프로브가 리포솜 내에 봉입된 것을 확인하고자 초록색 형광(FAM)이 달린 DNA 프로브를 리포솜에 봉입시킨 후 리포솜 염색 다이(dye_빨강)를 사용하여 형광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가지 형광이 같은 위치에서 보이는 것을 통해 프로브가 리포솜에 봉입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프로브가 담지된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의 제조
중량비 2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중량비 2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0피코몰의 프로브가 봉입된 리포솜, 중량비 0.1%의 2-하이드록시-2-메틸 프로피오페논(2-Hydroxy-2-methylpropiophenon, HMPP)를 조합하였다. 제조된 용액은 자외선램프(365nm)에 약 2분간 노출시켜 광중합을 통해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하이드로겔은 2시간동안 멸균수(DW)에 담아 비봉입 리포솜을 제거하였다.
위 전체 공정과 확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의 a는 PEGDA 하이드로겔 제조의 전체 공정을 나타내며, b 및 c는 제조된 하이드로겔의 사진을 나타낸다.
<실시예 6> 미세 유체칩의 제조
실리콘 웨이퍼에 SU-8 감광 수지를 이용한 무늬를 도 8에 제시된 대로 제작하여 주조틀(높이 100 ㎛)을 만들었다. 제작된 주조틀에 3D 프린터로 제작된 지름 6밀리미터, 높이 1밀리미터의 구조물을 부착한 후 액상의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을 주조틀에 고형화시켜 칩을 만들고, 칩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붙여 미세 유체 채널 장치를 만들었다.
이에 상기 제조한 하이드로겔을 올려 miRNA 분석에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위 미세 유세칩을 이용한 분석 원리에 대해서는 도 9에 나타내었다.
Inlet을 통해 투입된 시료 및 계면활성제는 미세관 통로를 통해 outlet의 검출부로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리포솜이 분해되어 프로브가 나오게 되고 이러한 프로브와 검출 miRNA의 반응에 의해 형광 발색 변화를 나타낸다.
도 9의 a는 검출부의 일예시적 크기를 나타내며, 도 9의 b 내지 d는 이들의 크기 및 구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6mm의 하이드로겔의 팽윤을 통해 대략 8 mm의 검출부를 구성하였으며, 이의 높이는 대략 1 mm로 설정하였다.
전체 칩의 경우 가로 약 65 mm, 세로 25 mm 로 구조체를 설정하였다.
<실시예 7> 프로브가 담지된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의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가 담지된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이드로겔의 내부에 리포솜의 봉입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하이드로겔의 최적화 진행
PEG(polyethylene glycol)은 하이드로겔 제작시 함께 첨가되며 내부에 세공(pore)를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농도가 높을수록 세공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하이드로겔 내부의 세공(구멍)의 양을 조절하여 검출에 가장 적합한 조건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조된 20 % PEG 조건 하에 형광 변화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2mg/mL FITC-Dextran70K (almost 12 nm of diameter) 및 1 uM Cy5 modified oligonucleotides (20 nt) 를 사용하여 mRNA diffusion을 확인하였을 때 적절한 확산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프로브가 담지된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시스템의 민감도 평가
프로브의 하이드로겔 민감도를 평가하여 검출 한도를 측정하였다.구체적으로, 0.63 pmol부터 10 pmol까지 농도를 달리하면서 검출 민감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검출 한도는 0.92 pmol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0> 마우스 해마 조직으로부터 추출된 miRNA 검출 결과
제공받은 쥐 해마 조직(n=7)에서 추출한 RNA(250 ng/gel)를 실시예 5의 검출용 하이드로겔에 적용시켜 형광 반응 변화를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5XFAD 마우스로부터 분리된 RNA로부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miRNA의 검출이 확인되었으며, 야생형과 대비하여 유의적 형광 차이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miRNA에 대한 검출능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마우스 혈액으로부터 추출된 miRNA 검출 결과
제공받은 쥐 혈액(n=7)에서 추출한 RNA(100 ng/gel)를 실시예 5의 검출용 하이드로겔에 적용시켜 형광 반응 변화를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5XFAD 마우스로부터 분리된 RNA로부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miRNA의 검출이 확인되었으며, 야생형과 대비하여 유의적 형광 차이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miRNA에 대한 검출능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미세 유체 시스템에 적용
상기 실시예 6의 미세 유체칩을 기초로 하여 위 마우스의 해마 조직 또는 혈액으로부터 추출한 RNA를 이용하여 혈액 내 miRNA 발현 변화 확인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작된 칩의 출입구를 막고, 진공 챔버를 이용해 30분간 칩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켜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었다. 약 100 uL의 샘플 용액을 입구로 주입하고 2시간 반응시킨 후 젤-닥 장비로 형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001 미세유체칩
002 인렛(Inlet)
003 미세관 통로
004 분지
005 검출부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Degenerative brain disease diagnosis and monitoring technology based on body fluid test <130> KRIBB1.83P <160> 37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1187 <400> 1 uaugugugug uguaugugug uaa 23 <210> 2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1306-3p <400> 2 acguuggcuc ugguggugau g 21 <210> 3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7038-3p <400> 3 cacugcuccu gccuucuuac ag 22 <210> 4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5113 <400> 4 acagaggagg agagagaucc ugu 23 <210> 5 <211> 20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669n <400> 5 auuugugugu ggaugugugu 20 <210> 6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669c-5p <400> 6 auaguugugu guggaugugu gu 22 <210> 7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365-2-5p <400> 7 agggacuuuc aggggcagcu gug 23 <210> 8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3095-3p <400> 8 aagcuuucuc aucugugaca cu 22 <210> 9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365-1-5p <400> 9 agggacuuuu gggggcagau gug 23 <210> 10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1931 <400> 10 augcaagggc uggugcgaug gc 22 <210> 11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1306-5p <400> 11 caccaccucc ccugcaaacg ucc 23 <210> 12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7001-5p <400> 12 aggcagggug ugagcgugag cau 23 <210> 13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23a-5p <400> 13 gggguuccug gggaugggau uu 22 <210> 14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574-5p <400> 14 ugagugugug ugugugagug ugu 23 <210> 15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3061-5p <400> 15 cagugggccg ugaaagguag cc 22 <210> 16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8117 <400> 16 gcucgugugg aacagaaggg g 21 <210> 17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15a-3p <400> 17 caggccauac ugugcugccu ca 22 <210> 18 <211> 26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665-5p <400> 18 aggggccucu gccucuaucc aggauu 26 <210> 19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669m-5p <400> 19 ugugugcaug ugcaugugug uau 23 <210> 20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466m-5p <400> 20 ugugugcaug ugcaugugug uau 23 <210> 21 <211> 24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668-5p <400> 21 guaagugugc cucgggugag caug 24 <210> 22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6997-5p <400> 22 uaacaggcug gagaggugca ga 22 <210> 23 <211> 21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mu-miR-7684-5p <400> 23 ucugggaagc cugggcagca g 21 <210> 24 <211> 18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1306-3p <400> 24 acguuggcuc ugguggug 18 <210> 25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365b-5p <400> 25 agggacuuuc aggggcagcu gu 22 <210> 26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365a-5p <400> 26 agggacuuuu gggggcagau gug 23 <210> 27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1306-5p <400> 27 ccaccucccc ugcaaacguc ca 22 <210> 28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23a-5p <400> 28 gggguuccug gggaugggau uu 22 <210> 29 <211> 23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574-5p <400> 29 ugagugugug ugugugagug ugu 23 <210> 30 <211> 2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15a-3p <400> 30 caggccauau ugugcugccu ca 22 <210> 31 <211> 20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665 <400> 31 accaggaggc ugaggccccu 20 <210> 32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sa-miR-668-5p <400> 32 ugcgccucgg gugagcaug 19 <210> 33 <211> 5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1 <400> 33 tgtgtgtgtg agtgtgggat cgaaagtgtg tgcacactca cacacacaca ctca 54 <210> 34 <211> 5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2 <400> 34 tgtgggatcg aaagtgtgtg tgtgtgagtg tgcacacact ttcgatccca cactcaca 58 <210> 3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arget-574 <400> 35 tgagtgtgtg tgtgtgagtg tgt 23 <210> 3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MS-574 <400> 36 tgagtgtggg tgtgtgagtg tgt 23 <210> 37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MS-574 <400> 37 tgagtctggg tgtgtgagtg tgt 23

Claims (16)

  1. 5' 말단에 리포터 및 3'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miRNA 검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의 입자는 천연 폴리머,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 포스파티딜콜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알긴산(Alginate), 키토산(Chitosan), 폴리 카프로락톤(Poly(e-caprolactone)), 폴리 락트산(Poly(zlactic acid)), 폴리 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에틸렌 글리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트리칼슘 포스페이트(Tricalcium phosph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입자인, miRNA 검출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리포솜을 구성하는 지질은 인지질, 당지질, 스테롤류 및 양이온성 지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miRNA 검출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5' 말단에 리포터는 ALEX-350, FAM, VIC, TET, CAL Fluor® Gold 540, JOE, HEX, CAL Fluor Orange 560, TAMRA, CAL Fluor Red 590, ROX, CAL Fluor Red 610, TEXAS RED, CAL Fluor Red 635, Quasar 670, CY3, CY5, CY5.5 및 Quasar 70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3'말단의 소광자는 DABCYL, BHQ, ECLIPSE, 및 TAMR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miRNA 검출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miRNA 검출용 조성물과 별도의 분리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완충용액을 포함하는, miRNA 검출용 조성물.
  6. 5' 말단에 리포터 및 3' 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의 입자는 천연 폴리머,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 포스파티딜콜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알긴산(Alginate), 키토산(Chitosan), 폴리 카프로락톤(Poly(e-caprolactone)), 폴리 락트산(Poly(zlactic acid)), 폴리 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에틸렌 글리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트리칼슘 포스페이트(Tricalcium phosph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입자인,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리포솜을 구성하는 지질은 인지질, 당지질, 스테롤류 및 양이온성 지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5' 말단에 리포터는 ALEX-350, FAM, VIC, TET, CAL Fluor® Gold 540, JOE, HEX, CAL Fluor Orange 560, TAMRA, CAL Fluor Red 590, ROX, CAL Fluor Red 610, TEXAS RED, CAL Fluor Red 635, Quasar 670, CY3, CY5, CY5.5 및 Quasar 70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3'말단의 소광자는 DABCYL, BHQ, ECLIPSE, 및 TAMR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브는 mmu-miR-1187, mmu-miR-1306-3p, mmu-miR-7038-3p, mmu-miR-5113, mmu-miR-669n, mmu-miR-669c-5p, mmu-miR-365-2-5p, mmu-miR-3095-3p, mmu-miR-365-1-5p, mmu-miR-1931, mmu-miR-1306-5p, mmu-miR-7001-5p, mmu-miR-23a-5p, mmu-miR-574-5p, mmu-miR-3061-5p, mmu-miR-8117, mmu-miR-15a-3p, mmu-miR-665-5p, mmu-miR-669m-5p, mmu-miR-466m-5p, mmu-miR-668-5p, mmu-miR-6997-5p, mmu-miR-7684-5p, hsa-miR-1306-3p, hsa-miR-365b-5p, hsa-miR-365a-5p, hsa-miR-1306-5p, hsa-miR-23a-5p, hsa-miR-574-5p, hsa-miR-15a-3p, hsa-miR-665 및 hsa-miR-668-5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상보적인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브는 mmu-miR-1187, hsa-miR-23a-5p, hsa-miR-365a-5p 및 hsa-miR-574-5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상보적인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
  12. 제6항에 있어서,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과 별도의 분리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완충용액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miRNA 검출용 키트.
  14.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용 키트.
  15. 5' 말단에 리포터 및 3' 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시료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miRNA 검출 방법.
  16. 5' 말단에 리포터 및 3' 말단에 소광자가 접합된 표적 mi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1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 및 제1프로브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헤어핀 구조의 제2프로브를 담지하는 리포솜;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시료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방법.
KR1020210024490A 2021-02-24 2021-02-24 체액 검사 기반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 KR102476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490A KR102476525B1 (ko) 2021-02-24 2021-02-24 체액 검사 기반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
JP2023551136A JP2024507897A (ja) 2021-02-24 2022-02-17 体液検査基盤の退行性脳疾患の診断およびモニタリング技術
PCT/KR2022/002357 WO2022182061A1 (ko) 2021-02-24 2022-02-17 체액 검사 기반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490A KR102476525B1 (ko) 2021-02-24 2021-02-24 체액 검사 기반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831A KR20220120831A (ko) 2022-08-31
KR102476525B1 true KR102476525B1 (ko) 2022-12-13

Family

ID=8304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490A KR102476525B1 (ko) 2021-02-24 2021-02-24 체액 검사 기반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507897A (ko)
KR (1) KR102476525B1 (ko)
WO (1) WO202218206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5287A1 (en) * 2015-11-20 2017-05-26 Braindtech S.R.L. Microglia microvesicles contained microrna-based methods for the diagnosis, prognosis and treatment monitoring of neurological, neurodegenerative and inflammation-based diseases
KR101769244B1 (ko) 2016-04-01 2017-08-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내 타겟 분자의 탐지를 위한 바이오 이미징 프로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8650A1 (en) * 2012-07-25 2014-01-30 Rush University Medical Center Mirnas as novel therapeutic targets and diagnostic biomarkers for parkinson's disease
KR102246424B1 (ko) * 2016-05-31 2021-04-30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전자 기기
KR102072487B1 (ko) 2018-02-01 2020-02-04 한국과학기술원 헤어핀 자기조립을 이용한 리보뉴클레아제 h 활성의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5287A1 (en) * 2015-11-20 2017-05-26 Braindtech S.R.L. Microglia microvesicles contained microrna-based methods for the diagnosis, prognosis and treatment monitoring of neurological, neurodegenerative and inflammation-based diseases
KR101769244B1 (ko) 2016-04-01 2017-08-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내 타겟 분자의 탐지를 위한 바이오 이미징 프로브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S OMEGA 2020, VOL. 5, P.1764?1772 [DOI: 10.1021/ACSOMEGA.9B01457]
J. VET. SCI. (2009), VOL. 10(1), P. 35_42 [DOI: 10.4142/JVS.2009.10.1.35]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_차세대의료기기플랫폼기술, [과제고유번호 2018M3A9E2022819], 주관:연세대학교 함승주, 20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형광 신호 증폭 프로브 기반 초정밀 고감도 exoNA 측정 기술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번호 2018M3A9E2022821, 2020.12.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831A (ko) 2022-08-31
WO2022182061A1 (ko) 2022-09-01
JP2024507897A (ja)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2636B2 (en) Solution mixer, fluidic device, and solution mixing method
ES2415245T3 (es) Métodos de uso de miARN para la detección de muerte celular in vivo
ES2547715T3 (es) Análisis de ácido nucleico
US20090092974A1 (en) Microrna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leukemia and uses thereof
CA2554818A1 (en)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ncers with microrna located in or near cancer-associated chromosomal features
US20160215279A1 (en) Nanozymes, methods of making nanozymes, and methods of using nanozymes
ES2549410T3 (es) Controles para ensayos con ácidos nucleicos
JP2010510769A (ja) 食道癌の診断ならびに患者の生存の予後および改善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CN107083433B (zh) lncRNA在肝癌诊疗中的应用
JPWO2015045666A1 (ja) 流体デバイス、エキソソームの分析方法、生体分子分析方法及び生体分子検出方法
KR20190020133A (ko) 염색체에 대한 인-시츄 혼성화를 위한 dna 탐침
ES2472965T3 (es) Nuevo tipo de sondas universales para la detección de variantes gen�micas
US20240002934A1 (en) Composition for detecting target nucleic acid and method for detecting target nucleic acid using same
KR102476525B1 (ko) 체액 검사 기반 퇴행성 뇌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
KR20140079255A (ko) 소포 중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유방암 진단용 조성물 및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유방암 진단 방법
CN105602951B (zh) 长链非编码rna loc284454的干扰制剂及其应用
CN105506154B (zh) 原位杂交检测鼻咽癌组织中长链非编码rna loc284454试剂的应用
EP3257940A1 (en) Dna aptamer capable of binding to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h1975)
CN112771158A (zh) 碱性磷酸酶组合物以及去磷酸化核酸和标记化核酸的制造方法
EP4234714A1 (en) Multiplexed system for the detection of disease-related micrornas in biological samples
CN112752842A (zh) 碱性磷酸酶组合物以及去磷酸化核酸和标记化核酸的制造方法
CN105483273B (zh) 检测鼻咽癌患者血清中长链非编码rna loc284454表达量的试剂的应用
CN104894244B (zh) 长链非编码rna afap1‑as1的引物、检测试剂及其应用
WO2004040014A2 (en) Gene expression in biological conditions
KR20230153706A (ko) 핵산의 검출 또는 분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핵산의 검출 또는 분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