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449B1 -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 - Google Patents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449B1
KR102476449B1 KR1020200056814A KR20200056814A KR102476449B1 KR 102476449 B1 KR102476449 B1 KR 102476449B1 KR 1020200056814 A KR1020200056814 A KR 1020200056814A KR 20200056814 A KR20200056814 A KR 20200056814A KR 102476449 B1 KR102476449 B1 KR 102476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of
standing
fastening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867A (ko
Inventor
오창영
Original Assignee
국내공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내공영(주) filed Critical 국내공영(주)
Priority to KR102020005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44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0Snow traps ; Removing snow from roofs; Snow melt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는 상부에 헤드부를 가지는 복수개의 스탠딩 심이 구비되는 지붕에 장착되며; 각 스탠딩 심에 결합되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심결합부와, 상기 심결합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가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심결합부는 스탠딩 심을 사이에 두고 폭 방향으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제2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돌출부가 구비되어 제2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하부에는 제2 플레이트를 향하여 하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가 구비되어; 체결수단 체결 시 상기 경사부가 헤드부의 하부를 상향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A Guard Device Preventing Objects On A Roof From Falling}
본 발명은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노우 등 지붕의 이물이 경사를 타고 내려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물의 지붕에 쌓인 눈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붕에 스노우 가드 장치를 설치하였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스노우 가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스노우 가드 장치는 복수개의 스탠딩 심(201)이 구비되는 지붕(200)에 장착되어 지붕에 쌓인 눈이 지붕 아래로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스노우 가드 장치는 복수개의 브라켓(110) 및 가드 바아(150)를 포함한다.
브라켓(110)은 스탠딩 심(201)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가드 바아(150)는 브라켓(110)에 체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브라켓(110)은 지붕(200)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탠딩 심(201)에 각각 체결되며, 가드 바아(150)는 복수개의 브라켓(110)에 체결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 바아(150)의 길이 방향이 지붕(200)의 횡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가드 바아(150)가 지붕(200)에 장착된다.
가드 바아(150)는 단면이 원형인 막대 형상을 가진다.
브라켓(110)은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21) 및 체결부재(131)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21)는 전체적으로 유사한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1)는 상부에 제1 관통홀(113)을 구비하며, 제1 플레이트(111)의 하부는 스탠딩 심(201)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플레이트(121)는 제2 관통홀(123)을 구비하며 제1 플레이트(111)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스탠딩 심(201)의 다른 일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관통홀(113)과 제2 관통홀(123)은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21)가 서로 체결을 위해 밀착되는 경우 상호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체결부재(131)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111,121)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임의의 체결부재로 할 수 있다. 체결부재(131)는 볼트(133)와 너트(135)로 구현되며, 제1 및 제2 플레이트(111)에는 볼트(133)가 삽입되는 체결홀(115,125)이 각각 형성된다.
제2 플레이트(121)는 지붕(200)의 스탠딩 심(20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채널(127)이 형성된다. 상기 채널(127)은 제2 플레이트(121)의 하부에 그 횡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탠딩 심(201)의 상부는 그 하부에 비해서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게 되며 두께가 두꺼운 스탠딩 심(201)의 상부가 채널(127)에 삽입됨으로써, 브라켓(110)이 스탠딩 심(201)에 보다 견고하게 체결되게 된다.
제1 플레이트(111)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제2 플레이트(121)의 상부는 제1 플레이트(111)의 상부와 밀착될 수 있는 평평한 플레이트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는 채널(127)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2 플레이트(121)의 하부는 제1 플레이트(111)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된 후, 다시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다시 제1 플레이트(111)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됨으로써, 채널(127)이 형성된다. 이때, 제2 플레이트(121)의 가장 아래 부분(129)은 제1 플레이트(111)와 평행하도록 연장되며, 제1 플레이트(111)와는 약간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110)의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21)는 체결부재(130)에 의해 서로 체결되며,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2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에 지붕(200)의 스탠딩 심(201)이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제1 플레이트(111)의 하부, 즉, 스탠딩 심(201)의 일측을 지지하는 부분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117)가 형성된다. 걸림돌기(117)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걸림돌기(117)가 형성됨으로써, 제 1 플레이트(111)와 지붕(200)의 스탠딩 심(201)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게 되어 걸림돌기(117)가 제1 플레이트(111)의 하부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제1 플레이트(111)와 지붕(200)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스노우 가드 장치 브라켓(110)이 스탠딩 심(201)에 미끄럼 접촉하는 구조이므로 눈 등 이물에 의하여 가드 바아(150)에 하향 외력이 작용할 때, 브라켓(110)이 스탠딩 심(20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393766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브라켓이 지붕 표면을 가압하는 구조로 가드 바아에 외력이 작용할 때 접지 저항력이 증가하여 브라켓의 미끄럼 하락을 방지할 수 있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헤드부를 가지는 복수개의 스탠딩 심이 구비되는 지붕에 장착되며; 각 스탠딩 심에 결합되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심결합부와, 상기 심결합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가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심결합부는 스탠딩 심을 사이에 두고 폭 방향으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제2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돌출부가 구비되어 제2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하부에는 제2 플레이트를 향하여 하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가 구비되어; 체결수단 체결 시 상기 경사부가 헤드부의 하부를 상향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2 플레이트는 판상으로서 가드바가 삽입되는 제2 바공과, 상기 제2 바공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2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는 가드바가 삽입되는 제1 바공과 상기 제1 바공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제1 체결공이 형성된 판상의 상부연장부와, 상기 상부연장부의 하단에서 제2 플레이트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연결부와, 상기 상부연결부의 단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제2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하단에서 제2 플레이트를 향하여 하향 연장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된 하부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의 내면은 제2 플레이트를 향하며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체결시 상기 경사면이 헤드부의 하부를 상향 가압하여 제1 플레이트의 경사면에는 하향하는 반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하부연장부의 하단에서 경사면의 상단까지의 상하 방향 거리(제1 거리)는 지붕의 상면에서 헤드부 하단까지의 거리인 헤드부 이격거리보다 크고, 하부연장부의 하단에서 경사면의 하단까지의 상하 방향 거리(제2 거리)는 상기 헤드부 이격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체결수단이 체결되어 제2 플레이트의 상부연장부 내면과 제2 플레이트 내면이 접하고, 헤드부의 하단이 경사면은 하향 가압하여 하부연장부의 하단이 지붕 표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 플레이트 내면과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 내면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헤드부의 폭보다 작아, 상기 헤드부는 폭 방향 양측에서 제2 플레이트와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는 심결합부 체결시 심결합부를 이루는 제1 플레이트가 스탠딩 심을 경사 상향 가압하여 마찰력이 증대되고, 지붕 표면을 향하여 하향하여 하단이 지붕 표면을 가압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가드바에 하향 외력이 작용하면 제1 플레이트와 지붕 표면의 접지 마찰 저항이 증가하여 오히려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의 미끄럼 하락이 방지되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노우 가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스노우 가드 장치가 지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종래의 스노우 가드 장치의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종래의 스노우 가드 장치의 브라켓이 지붕의 스탠딩 심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가 스탠딩 심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가 스탠딩 심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5의 가로 방향을 "폭 방향"이라 한다. 그리고 스탠딩 심(RH)이 연장된 방향인 도 7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300)는 복수개의 스탠딩 심(RH)이 구비되는 지붕(R)에 장착되어 지붕(R)에 쌓인 눈이 지붕(R) 아래로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스탠딩 심(RH)이 구비되는 지붕(R)은 돌출이음 접기 공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이음 접기 공법은 복수개의 금속 플레이트를 그 끝단의 일부가 서로 포개진 상태로 금속 플레이트의 끝단을 접어서 복수개의 금속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지붕을 형성하는 공법을 의미한다. 따라서, 돌출이음 접기 공법에 의해 형성된 지붕(R)에는 그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부에 헤드부(RH1)를 가지는 복수개의 스탠딩 심(RH)이 구비된다.
상기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300)는 각 스탠딩 심(RH)에 결합되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심결합부와, 상기 심결합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가드바(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심결합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이음 접기 공법에 의해 형성된 지붕(R)에 복수개의 스탠딩 심(RH)에 각각 체결되며, 가드바(340)는 복수개의 심결합부에 체결된다. 따라서 가드바(340)의 길이 방향이 지붕(R)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가드바(340)가 지붕(R)에 장착된다. 가드바(340)가 지붕(R)에 장착됨으로써, 지붕(R) 위에 쌓인 눈 등의 이물이 한꺼번에 지붕(R)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드바(340)는 긴 막대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가드바(340)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심결합부는 상기 스탠딩 심(RH)을 사이에 두고 폭 방향으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310) 및 제2 플레이트(320)와, 상기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플레이트(320)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플레이트(320)에는 상기 가드바(340)가 삽입되는 제2 바공(320-1)과, 상기 제2 바공(320-1)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이격되어 체결수단(330)이 삽입되는 제2 체결공(320-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310)는 일부가 절곡되어 제2 플레이트(320)를 향하여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310)는 상부연장부(311)와, 상부연결부(313)와, 돌출부(315)와, 경사부(317)와, 하부연장부(3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연장부(31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연장부(311)에는 가드바(340)가 삽입되는 제1 바공(310-1)과, 제1 바공(310-1)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이격되어 체결수단(330)이 삽입되는 제1 체결공(310-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바공(310-1)은 제2 바공(320-1)과 마주하여 형성되며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1 체결공(310-3)은 제2 체결공(320-3)과 마주하여 형성되며 서로 연통된다.
상기 상부연결부(313)는 상기 상부연장부(311)의 하단에서 제2 플레이트(3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부연결부(313)는 상기 상부연장부(311)의 하단에서 제2 플레이트(3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거나, 상기 상부연결부(313)의 하면 제2 플레이트(3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315)는 상기 상부연결부(313)의 폭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된다. 상기 돌출부(315)는 상기 제2 플레이트(320)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경사부(317)는 상기 돌출부(315)의 하단에서 제2 플레이트(32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경사부(317)의 내면은 제2 플레이트(320)를 향하며 하향 경사진 경사면(317-1)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연장부(319)는 상기 경사부(317)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된다.
상기 제1 플레이트(3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플레이트(320)를 향하여 개구된 오목부가 형성되며, 오목부는 상기 상부연결부(313)와 돌출부(315) 및 경사부(317)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330)은 상기 제1 플레이트(310) 및 제2 플레이트(32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임의의 체결수단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체결수단(330)은 볼트(331)와 너트(333)로 구비된다. 상기 볼트(331)는 상기 제2 체결공(320-3)과 제1 체결공(310-3)을 차례로 관통하여 삽입되고, 너트(333)가 체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330)이 체결되며,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가 폭 방향 내측("A"방향)으로 가까워지고, 상기 제1 플레이트(310)의 상부연장부(311)의 내면과 제2 플레이트(320) 내면이 접하게된다.
상기 하부연장부(319)의 하단에서 경사면(317-1)의 상단까지의 상하 방향 거리(제1 거리, H1)는 지붕(R)의 상면에서 헤드부(RH1) 하단까지의 거리인 헤드부 이격거리(H3)보다 크고, 하부연장부(319)의 하단에서 경사면(317-1)의 하단까지의 상하 방향 거리(제2 거리, H2)는 상기 헤드부 이격거리(H3)보다 작다.
체결수단(330) 체결 시, 상기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가 가까워지며 상기 경사부(317)는 헤드부(RH1)의 하부를 상향 가압한다. 이때, 상기 경사부(317)의 경사면(317-1)이 헤드부(RH1)의 하부를 상향 가압함으로써 상기 경사면(317-1)에는 하향하는 반력이 발생하게 되고, 헤드부(RH1)의 하단은 경사면(317-1)을 하향 가압하여 하부연장부(319)의 하단이 지붕(R) 표면을 가압한다.
도 5와 같이 제1 플레이트(310)의 상부연장부(311)의 내면과 제2 플레이트(320)가 접했을 때, 상기 제2 플레이트(320) 내면과 제1 플레이트(310)의 돌출부(315) 내면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헤드부(RH1)의 폭보다 작다.
따라서 체결수단(330) 체결 시 상기 헤드부(RH1)는 폭 방향 양측에서 제2 플레이트(320)와 제1 플레이트(310)의 돌출부(315)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기 헤드부(RH1)가 제2 플레이트(320)와 제1 플레이트(310)의 돌출부(315)에 의하여 폭 방향 내향 가압되며, 가압에 의하여 헤드부(RH1)의 하단이 경사면(317-1)을 더욱 하향 가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RH1)의 하단이 경사면(317-1)을 하향 가압하면(F1) 제1 체결공(310-3)과 볼트(331) 사이의 공차에 의하여 제1 플레이트(310)에는 지붕(R)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여, 하부연장부(319)의 하단이 지붕(R) 상면을 하향 가압(F2)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눈 등 이물이 지붕(R)에 쌓여 지붕(R) 경사를 따라 하향(도 7에서 오른쪽 "A" 방향)하여 가드바(340)를 하향 가압하면(P), 도 7에서 우측 단부(하부)에는 "C2"로 도시한 바와 같은 하향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일으키는 외력이 발생하고, 좌측인 단부(상부)에는 "C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일으키는 외력이 발생하여, 눈 등의 이물이 가드바(340)를 하향 가압하면 우측 단부(하부)의 하부연장부(319) 하단이 지붕(R) 표면을 더욱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눈 등에 의하여 가드바(340)를 가압하는 하중이 커질수록 하부에서 지붕(R) 표면과 하부연장부(319) 하단 사이의 마찰력은 더욱 커지게 되어, 눈 등의 하중에 의하여 가드 장치(300)가 밀려 내려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320)에는 폭 방향 내측면 하부에 복수개의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걸림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제2 플레이트(320)와 스탠딩 심(RH)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게 되어 걸림돌기가 제2 플레이트(320)의 하부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제2 플레이트(320)와 지붕(R)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0: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
310: 제1 플레이트 311: 상부연장부
313: 상부연결부 315: 돌출부
317: 경사부 319: 하부연장부
310-1: 제1 바공 310-3: 제1 체결공
320: 제2 플레이트 320-1: 제2 바공
320-3: 제2 체결공 330: 체결수단
331: 볼트 333: 너트
340: 가드바

Claims (5)

  1. 상부에 헤드부(RH1)를 가지는 복수개의 스탠딩 심(RH)이 구비되는 지붕(R)에 장착되며; 각 스탠딩 심(RH)에 결합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심결합부와, 상기 심결합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가드바(340)를 포함하며;
    상기 심결합부는 스탠딩 심(RH)을 사이에 두고 폭 방향으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310) 및 제2 플레이트(320)와, 상기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3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310)에는 제2 플레이트(320)로부터 이격된 돌출부(315)가 구비되어 제2 플레이트(3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하부에는 제2 플레이트(320)를 향하여 하향하는 경사면(317-1)을 형성하는 경사부(317)와 상기 경사부(317)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된 하부연장부(319)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연장부(319)의 하단에서 경사면(317-1)의 상단까지의 상하 방향 거리(제1 거리, H1)는 지붕의 상면에서 헤드부(RH1) 하단까지의 거리인 헤드부 이격거리(H3)보다 크고, 하부연장부(319)의 하단에서 경사면(317-1)의 하단까지의 상하 방향 거리(제2 거리, H2)는 상기 헤드부 이격거리(H3)보다 작으며;
    상기 체결수단(330)의 체결로 헤드부(RH1)의 하단이 경사면(317-1)을 하향 가압하여 제1 플레이트(310)에 지붕(R)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여 하부연장부(319)의 하단이 지붕(R) 표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3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320)는 판상으로서 가드바(340)가 삽입되는 제2 바공(320-1)과, 상기 제2 바공(320-1)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체결수단(330)이 삽입되는 제2 체결공(320-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310)는 가드바(340)가 삽입되는 제1 바공(310-1)과 상기 제1 바공(310-1)의 길이 방향 양측으로 체결수단(330)이 삽입되는 제1 체결공(310-3)이 형성된 판상의 상부연장부(311)와, 상기 상부연장부(311)의 하단에서 제2 플레이트(3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연결부(313)와, 상기 상부연결부(313)의 단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제2 플레이트(320)로부터 이격된 돌출부(315)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317)는 상기 돌출부(315)의 하단에서 제2 플레이트(320)를 향하여 하향 연장되고, 상기 하부연장부(319)는 상기 경사부(317)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며;
    상기 경사면(317-1)은 경사부(317)의 내면을 형성하고 제2 플레이트(320)를 향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300).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체결수단(330)이 체결되어 제1 플레이트(310)의 상부연장부(311) 내면과 제2 플레이트(320) 내면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3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320) 내면과 제1 플레이트(310)의 돌출부(315) 내면 사이의 폭 방향 거리는 헤드부(RH1)의 폭보다 작아, 상기 헤드부(RH1)는 폭 방향 양측에서 제2 플레이트(320)와 제1 플레이트(310)의 돌출부(315)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300).
KR1020200056814A 2020-05-13 2020-05-13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 KR102476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814A KR102476449B1 (ko) 2020-05-13 2020-05-13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814A KR102476449B1 (ko) 2020-05-13 2020-05-13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867A KR20210138867A (ko) 2021-11-22
KR102476449B1 true KR102476449B1 (ko) 2022-12-12

Family

ID=7871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814A KR102476449B1 (ko) 2020-05-13 2020-05-13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4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442Y1 (ko) 2002-04-22 2002-07-13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지붕용 금속패널의 이음장치
KR200393766Y1 (ko) * 2005-04-07 2005-08-30 선이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스노우 가드 장치
US20050257434A1 (en) 2004-05-24 2005-11-24 Mark Hockman Decorative snow guard and attach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9259B1 (en) * 1999-10-20 2002-12-31 Mark E. Hockman Non-deforming roof snow brake
KR20130066886A (ko) * 2011-12-13 2013-06-21 주신기업(주) 건축물의 지붕 판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442Y1 (ko) 2002-04-22 2002-07-13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지붕용 금속패널의 이음장치
US20050257434A1 (en) 2004-05-24 2005-11-24 Mark Hockman Decorative snow guard and attachment device
KR200393766Y1 (ko) * 2005-04-07 2005-08-30 선이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스노우 가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867A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0690B2 (en) Aerodynamic skirt securing connector with angular assembly capability
KR102256356B1 (ko) 데크조립체
CA2907941C (en) Attachment element
KR102460462B1 (ko) 충격 흡수용 알루미늄데크
KR102320288B1 (ko) 조립식 앵글
JP3867719B2 (ja) 留め付け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並びに外壁施工方法
KR102476449B1 (ko) 지붕 이물 추락 가드 장치
KR101400684B1 (ko) 가구용 금속프레임 조립구조
US9807904B2 (en) Mounting frame and rail for electronics and instrumentation enclosure
KR200393766Y1 (ko) 스노우 가드 장치
US20160159398A1 (en) Fender panel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JP7267616B2 (ja) 屋根材
JP4564575B1 (ja) 折板屋根材及びその取付構造
JP6867830B2 (ja) 折板屋根連結具及び折板屋根構造
KR101863307B1 (ko) 우드데크로드
KR200457275Y1 (ko) 데크 플레이트 지지용 결합 구조체
JP7145003B2 (ja) 補強具及び二重折板屋根
JP5337756B2 (ja) 雨樋
CN212104934U (zh) 木饰面板龙骨组件
CN211312863U (zh) 一种桁架c型钢安装连接装置
JPS6027130Y2 (ja) ガ−ドフエンスにおけるビ−ムパイプ取付装置
JP3886410B2 (ja) 横架材の接合装置
JP4705859B2 (ja) 折板屋根の支持構造
JP2020197026A (ja) キャップの取付構造
JP6817026B2 (ja) 天井材取付金具及び天井材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