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479B1 -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 - Google Patents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479B1
KR102475479B1 KR1020210088505A KR20210088505A KR102475479B1 KR 102475479 B1 KR102475479 B1 KR 102475479B1 KR 1020210088505 A KR1020210088505 A KR 1020210088505A KR 20210088505 A KR20210088505 A KR 20210088505A KR 102475479 B1 KR102475479 B1 KR 102475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rail
jaw
aluminum rail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균
Original Assignee
김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균 filed Critical 김상균
Priority to KR1020210088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2001/003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rods or rails
    • A47H2001/006End-stops, i.e. devices preventing the curtain falling off the end of the rail or rod

Abstract

본 발명은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에 관한 것으로,
바닥 면(11)에는 막음 벽(12)의 반대쪽으로 끝 부분이 개방되는 "
Figure 112021501774876-pat00006
"형태의 절개부(13)가 형성되고, 좌우 벽체(14) 안쪽 상단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돌출날개(52)가 삽입되는 안내 홈(15)이 형성되며, 좌우 벽체(14)의 하단부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하단 절곡 턱(55)이 얹히는 제1돌출턱(16)이 형성되고, 좌우의 제1돌출턱(16)의 위쪽으로는 알루미늄 레일의 끝 부분이 걸려서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돌출턱(17)이 제1돌출턱(16)과 계단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며, 절개부(13)의 안쪽 단부(13a)와 막음 벽(12) 사이에는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의 삽입단(22)이 끼워지는 홈(13b)이 형성되고, 상판(18)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상면 위쪽으로 돌출된 걸림 턱(53)이 끼워지는 구멍(19)이 형성된 채 안쪽은 공간부(10a)로 이루어진 몸체(10)와;
몸체(10)의 절개부(13) 안으로 삽입되는 판체(21)의 일측에는 몸체(10)의 홈(13b) 안으로 끼워지는 삽입단(22)이 일체로 연장되고 판체(21)의 저면에는 커텐걸이 핀이 관통하는 구멍(23)이 구비된 지지단(24)이 일체로 형성된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커텐설치용 알루미늄 레일의 양쪽 끝에 조립이 되어 있는 단부 마감구를 알루미늄 레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알루미늄 레일 안에 불필요하게 머물고 있는 잉여분의 커텐지지롤러를 알루미늄 레일로부터 쉽고 편리하게 제거를 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알루미늄 레일 안으로 더 필요한 커텐지지롤러를 쉽고 편리하게 다시 보충하여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커텐레일 단부 마감구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Curtain rail end cover device}
.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커텐설치용 알루미늄 레일 안에 들어 있는 커텐지지롤러의 숫자를 쉽게 줄이거나 또는 쉽게 증가시킬 수 있는 신규한 구조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커텐설치용 알루미늄 레일(50)의 안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길이에 따라 통상 10개 전후에서 몇 십 개 정도의 커텐지지롤러가 들어 있고 커텐지지롤러의 숫자에 맞추어 커텐의 상단부에 커텐걸이 핀을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꽂아서 커텐걸이 핀을 커텐지지롤러에 걸어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데, 알루미늄 레일 대신에 철로 제작된 철재 레일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철재 레일의 사용은 급속하게 감소하고 있어 본 발명의 설명에서 철재 레일은 거론하지 않기로 한다.
그런데, 상술한 알루미늄 레일의 양쪽 끝에는 커텐지지롤러가 알루미늄 레일의 양쪽을 통해 빠져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 즉,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커텐레일 단부 마감구(60)가 조립되어 있는 바, 이는 도13을 통해 자세한 구조를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커텐 세트를 구입하여 실내에 커텐을 설치하였을 때 커텐지지롤러의 숫자가 부족하거나 또는 불필요한 잉여분이 발생하는 예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생산자 쪽에서는 수많은 불특정의 구매자의 요구에 맞추어 가장 적정한 숫자의 커텐지지롤러를 알루미늄 레일 안에 삽입시켜 둘 수가 없기 때문에 알루미늄 레일의 길이에 따라 생산자의 일방적인 통상적 기준에 따라 커텐지지롤러를 삽입시킨 후 알루미늄 레일의 양쪽 끝에는 도13과 같은 커텐레일 단부 마감구(60)-이하 단부 마감구(60)로 칭함-를 끼워서 판매자에게 공급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또는 판매자)가 커텐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알루미늄 레일 안에 잉여분의 커텐지지롤러가 있게 되면 미관상 좋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려고 하거나 또는 커텐의 폭에 비하여 부족한 숫자의 커텐지지롤러를 알루미늄 레일 안으로 보충시키고자 할 경우 상술한 단부 마감구(60)를 알루미늄 레일로부터 분리 및 재조립을 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거추장스러운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히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도13과 같은 단부 마감구(60)의 구조 및 도 14와 같은 알루미늄 레일(50)의 구조를 보면 상술한 이유를 알 수 있는데, 먼저 시중의 단부 마감구(60)는 본 발명의 몸체(10)의 길이에 비해 1/4 정도로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본 발명과 같이 상판(61)과 좌우의 벽체(63) 그리고 바닥 면(65)을 가지며 안쪽에는 공간부(68)가 형성되고 상판(61)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걸림 턱(53)이 삽입되는 구멍(62)이 형성되며 바닥 면(65)에는 커텐걸이 핀이 관통하는 구멍(66)이 구비된 지지단(6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본 발명과 같이 절개부(13) 및 절개부(13)로 인한 제1돌출턱(16), 제2돌출턱(17) 그리고 홈(13b)의 구성은 물론 본 발명의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를 찾아볼 수가 없다.
이어서 시중의 알루미늄 레일(50)을 살피면, 상판(51)과 좌우의 벽체(54)를 가지며 상판(51)에는 펀칭에 의해 상판(51)의 위쪽으로 돌출되는 걸림 턱(53)이 형성되고 상판(51)의 좌우측 끝에는 본 발명의 몸체(10)의 안내 홈(15) 안으로 삽입되는 돌출날개(52)가 형성되며 벽체(54)의 하단부에는 본 발명의 몸체(10)의 제1돌출턱(16) 위쪽에 얹히는 하단 절곡턱(55)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 절곡턱(55)의 위쪽에는 도7과 같이 커텐지지롤러(70)들이 얹혀 있도록 한다.
이어서 도7을 기준하여 보면 시중의 단부 마감구(60)는 알루미늄 레일(50)의 좌우측 끝에 끼워진 채 상판(61)에 형성된 구멍(62) 안으로 알루미늄 레일(50)의 걸림 턱(53)이 삽입되어서 일단 알루미늄 레일 단부 마감구(60)를 알루미늄 레일(50)에 끼우면 다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경우에도 도7과 같이 본 발명의 몸체(10)를 알루미늄 레일(50)의 끝에 조립할 때 상판(18)에 형성된 구멍(19) 안으로 알루미늄 레일(50)의 걸림 턱(53)이 삽입되기 때문에 몸체(10)는 알루미늄 레일(50)로부터 다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몸체(10)는 물론 시중의 단부 마감구(60)를 알루미늄 레일(50)의 끝에 끼워서 조립을 하고나면 다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다시 말해서, 도7과 같이 알루미늄 레일(50) 안에 잉여분의 커텐지지롤러(70a)(70b)를 알루미늄 레일(50) 밖으로 빼내거나 또는 모자라는 숫자의 커텐지지롤러를 다시 알루미늄 레일(50) 안으로 보충시키고자 할 때 본 발명의 몸체(10)는 물론 시중의 단부 마감구(60)를 알루미늄 레일(50)로부터 분리를 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불편하여 많은 단점과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것인데 이를 상세히 살피면 다음과 같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레일(50)의 상판(51)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 턱(53)이 돌출되어 있어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본 발명의 몸체 또는 시중의 단부 마감구(60)를 알루미늄 레일(50)의 끝에 약간 삽입을 함과 동시에 망치 등으로 충격을 가해주면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 턱(53)의 경사각과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 때문에 본 발명의 상판(18)의 구멍(19) 또는 시중의 단부 마감구(60)의 상판(61)의 구멍(62) 안으로 알루미늄 레일(50)의 걸림 턱(53)이 미끄러지면서 들어가게 되고 일단 이렇게 조립이 된 몸체(10) 또는 시중의 단부 마감구(60)는 알루미늄 레일의 걸림 턱(53)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레일(50) 안에 잉여분의 커텐지지롤러(70a)(70b)를 알루미늄 레일(50) 밖으로 빼내거나 또는 모자라는 숫자의 커텐지지롤러를 다시 알루미늄 레일(50) 안으로 보충시키고자 할 때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걸림 턱(53)을 타격하여 걸림 턱(53)이 알루미늄 레일의 상판(51)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야 본 발명의 몸체(10) 또는 시중의 단부 마감구(60)가 알루미늄 레일(50)로부터 분리가 될 수 있으며, 반대로 다시 몸체(10) 또는 시중의 단부 마감구(60)를 알루미늄 레일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걸림 턱(53)을 다시 알루미늄 레일의 상판(51)의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공구 등을 사용하여 작업을 한 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0) 또는 시중의 단부 마감구(60)를 알루미늄 레일의 끝에 끼워 조립을 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론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숙련된 기술자라고 하더라도 이러한 작업이 매우 어렵고 거추장스러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작업을 할 때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본 발명의 몸체(10)의 구멍(19) 언저리 또는 시중의 단부 마감구(60)의 구멍(62) 언저리가 파손되어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함과 아울러 알루미늄 레일이 변형되어 좋지 못한 등의 문제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한편, 커턴 레일 또는 블라인드의 지지대에 조립되는 단부 마감구에 대한 성행특허문헌 중에서 먼저 실용신안공개번호 93-12993호(커텐레일용 모서리커버체)를 살피면, 커텐레일의 양쪽 끝에 조립되는 커버체의 상면을 없애고 내부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된 간격유지편을 구비하고, 나사를 커버체에 조립함에 따라 커버체와 커텐레일 그리고 천장에 고정되는 커텐걸이구가 동시에 고정이 되도록 하는 구조인데, 본 발명과는 전체적인 구조 및 각 구성품의 작용 등에 있어서 상이한 것이다.
다음, 실용신안등록 제20-0269626호(블라인드형 커텐용 레일)와 공개번호 특1998-083411호(전자석을 이용한 커텐 자동 개폐기)를 살피면 커텐 레일의 양쪽 끝에 역시 커버체가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과는 전체적인 구조 및 각 구성품의 작용 등에 있어서 상이한 것이다.
1.실용신안공개번호 93-12993호 2.실용신안등록 제20-0269626호 3.공개번호 특1998-083411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커텐설치용 알루미늄 레일(50)의 양쪽 끝에 조립이 되어 있는 몸체(10)를 알루미늄 레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알루미늄 레일 안에 불필요하게 머물고 있는 잉여분의 커텐지지롤러를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알루미늄 레일로부터 제거를 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알루미늄 레일 안으로 더 필요한 만큼의 커텐지지롤러를 쉽고 편리하게 다시 보충하여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커텐레일 단부 마감구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상술한 문제와 단점을 완전히 소멸시킬 수 있는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는,
바닥 면(11)에는 막음 벽(12)의 반대쪽으로 끝 부분이 개방되는 "
Figure 112021501774876-pat00001
"형태의 절개부(13)가 형성되고, 좌우 벽체(14) 안쪽 상단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돌출날개(52)가 삽입되는 안내 홈(15)이 형성되며, 좌우 벽체(14)의 하단부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하단 절곡 턱(55)이 얹히는 제1돌출턱(16)이 형성되고, 좌우의 제1돌출턱(16)의 위쪽으로는 알루미늄 레일의 끝 부분이 걸려서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돌출턱(17)이 제1돌출턱(16)과 계단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며, 절개부(13)의 안쪽 단부(13a)와 막음 벽(12) 사이에는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의 삽입단(22)이 끼워지는 홈(13b)이 형성되고, 상판(18)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상면 위쪽으로 돌출된 걸림 턱(53)이 끼워지는 구멍(19)이 형성된 채 안쪽은 공간부(10a)로 이루어진 몸체(10)와;
몸체(10)의 절개부(13) 안으로 삽입되는 판체(21)의 일측에는 몸체(10)의 홈(13b) 안으로 끼워지는 삽입단(22)이 일체로 연장되고 판체(21)의 저면에는 커텐걸이 핀이 관통하는 구멍(23)이 구비된 지지단(24)이 일체로 형성된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는,
바닥 면(11)에는 막음 벽(12)의 반대쪽으로 끝 부분이 개방되는 "
Figure 112021501774876-pat00002
"형태의 절개부(13)가 형성되고, 좌우 벽체(14) 안쪽 상단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돌출날개(52)가 삽입되는 안내 홈(15)이 형성되며, 좌우 벽체(14)의 하단부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하단 절곡 턱(55)이 얹히는 제1돌출턱(16)이 형성되고, 좌우의 제1돌출턱(16)의 위쪽으로는 알루미늄 레일의 끝 부분이 걸려서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돌출턱(17)이 제1돌출턱(16)과 계단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며, 절개부(13)의 안쪽 단부(13a)와 막음 벽(12) 사이에는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의 삽입단(22)이 끼워지는 홈(13b)이 형성되고, 상판(18)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상면 위쪽으로 돌출된 걸림 턱(53)이 끼워지는 구멍(19)이 형성된 채 안쪽은 공간부(10a)로 이루어진 몸체(10)와;
몸체(10)의 절개부(13) 안으로 삽입되는 판체(21)의 일측에는 몸체(10)의 홈(13b) 안으로 끼워지는 삽입단(22)이 일체로 연장되고 판체(21)의 저면에는 커텐걸이 핀이 관통하는 구멍(23)이 구비된 지지단(24)이 일체로 형성된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와;
몸체(10)의 바닥 면(11)과 몸체(10)의 홈(13b) 안으로 끼워진 판체(21)의 삽입단(22)을 관통하여 공간부(10a)를 향해 조립되어 삽입단(22)이 홈(13b)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나사(13c)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구조와 작용을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
도1 내지 도 6까지의 그림을 살피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구조를 일목요연하게 알 수가 있는데, 본 발명의 몸체(10)는 바닥 면(11)에 막음 벽(12)의 반대쪽으로 끝 부분이 개방되는 "
Figure 112021501774876-pat00003
"형태의 절개부(13)가 형성되고, 좌우 벽체(14) 안쪽 상단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돌출날개(52)가 삽입되는 안내 홈(15)이 형성되며, 좌우 벽체(14)의 하단부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하단 절곡 턱(55)이 얹히는 제1돌출턱(16)이 형성되고, 좌우의 제1돌출턱(16)의 위쪽으로는 알루미늄 레일의 끝 부분이 걸려서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돌출턱(17)이 제1돌출턱(16)과 계단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며, 절개부(13)의 안쪽 단부(13a)와 막음 벽(12) 사이에는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의 삽입단(22)이 끼워지는 홈(13b)이 형성되고, 상판(18)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상면 위쪽으로 돌출된 걸림 턱(53)이 끼워지는 구멍(19)이 형성된 채 안쪽은 공간부(10a)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몸체(10)와 조립되는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는 상술한 몸체(10)의 절개부(13) 안으로 즉, 몸체(10)의 제1돌출턱(16)의 사이에 빈틈이 없도록 삽입되는 판체(21)의 일측에는 도7 및 도8과 같이 몸체(10)의 홈(13b) 안으로 끼워지는 삽입단(22)이 일체로 연장되고 판체(21)의 저면에는 커텐걸이 핀이 관통하는 구멍(23)이 구비된 지지단(24)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도7과 같이 알루미늄 레일(50)의 양쪽 끝에 끼워지는데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레일(50)의 걸림턱(53)이 몸체(10)의 구멍(19) 안에 걸리기 때문에 몸체(10)는 다시 빠져 나올 수가 없게 되며 몸체(10)의 홈(13b) 안에는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의 삽입단(22)이 약간 빡빡한 상태를 유지하며 끼워져 있고 커텐(80)의 가장 끝에 끼워져 있는 커텐걸이 핀(81a)은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의 지지단(24)에 걸려 있게 되며 나머지의 커텐걸이 핀(80)은 알루미늄 레일(50)의 하단절곡턱(55)의 위쪽에 얹혀 있는 커텐지지롤러(70)들에 걸려 있게 되는데, 도7의 상태에서 잉여분의 커텐지지롤러(70a)(70b)를 알루미늄 레일(50)의 외부로 빼 낼 경우에는 본 발명의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의 지지단(24)을 손가락으로 잡아서 우측으로 당기면 도9와 같이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의 삽입단(22)이 몸체(10)의 홈(13b)으로부터 빠지기 때문에 결국 몸체(10)로부터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 전체가 몸체(10)로부터 간단히 분리가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도9와 같이 몸체(10) 안으로 삽입이 된 알루미늄 레일(50)의 끝 부분은 몸체(10)의 제2돌출턱(17)과 접촉이 되어 있고 알루미늄 레일(50)의 끝 부분과 몸체(10)의 안쪽 단부(13a) 사이에는 틈새가 생기게 되는 바, 도10과 같이 잉여분의 커텐지지롤러(70b)(70a)들을 상술한 틈새를 통해 차례로 빼낸 후 다시 본 발명의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를 도11과 같이 몸체(10)에 조립하면 도7의 상태에서 잉여분의 커텐지지롤러(70a)(70b)를 쉽고 간단하며 편리하게 제거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알루미늄 레일(50) 안으로 더 필요한 숫자의 커텐지지롤러를 채워서 넣어야 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잉여분의 커텐지지롤러(70a)(70b)를 빼내는 요령을 기준하여 반대의 순서를 통해 도10의 상태에서 보충되는 커텐지지롤러를 몸체(10)를 거쳐 알루미늄 레일(50) 안으로 간단히 더 넣고 다시 도11과 같이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를 몸체(10)에 조립을 한 후 커텐(80)을 정상적으로 설치를 하면 되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살피기로 하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의 삽입단(22)을 몸체(10)의 홈(13b) 안으로 다소 빡빡한 공차를 유지하면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만일의 경우 삽입단(22)이 홈(13b) 안으로 약간 헐거운 상태로 삽입이 될 경우에는 도12와 같이 나사(13c)를 몸체(10)의 바닥 면(11)에 박아 넣어서 몸체(10)의 바닥 면(11)과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의 삽입단(22)이 나사(13c)에 의해 강제적으로 고정이 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예에 비하여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가 몸체(10)에 견고하게 결합이 됨에 따라 도 11의 상태에서 커텐(80)을 우측으로 세게 당겨도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가 몸체(10)로부터 빠지지 않게되는 유리함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커텐설치용 알루미늄 레일의 양쪽 끝에 조립이 되어 있는 단부 마감구를 알루미늄 레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알루미늄 레일 안에 불필요하게 머물고 있는 잉여분의 커텐지지롤러를 알루미늄 레일로부터 쉽고 편리하게 제거를 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알루미늄 레일 안으로 더 필요한 커텐지지롤러를 쉽고 편리하게 다시 보충하여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커텐레일 단부 마감구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몸체를 저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3은 도2를 기준한 정면도.
도4는 도2를 기준한 저면도.
도5는 도2의 A-A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를 저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알루미늄 레일 안에 잉여분의 커텐지지롤러가 있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8은 도7을 기준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9는 도7의 상태에서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를 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10은 도9의 상태에서 잉여분의 커텐지지롤러를 본 발명의 몸체 외부로 빼내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11은 도9의 상태에서 잉여분의 커텐지지롤러를 본 발명의 몸체 밖으로 모두 빼내고 적정한 숫자의 커텐지지롤러만이 알루미늄 레일 안에 남도록 한 후 커텐을 정상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예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커텐레일 단부 마감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14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커텐설치용 알루미늄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몸체
11: 바닥면
13: 절개부
13a: 안쪽 단부
13b: 홈
13c: 나사
16: 제1돌출턱
17: 제2돌출턱
20: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
21: 판체
22: 삽입단
24: 지지단
50: 알루미늄 레일
60: 시중의 알루미늄레일 단부 마감구
.

Claims (2)

  1. 바닥 면(11)에는 막음 벽(12)의 반대쪽으로 끝 부분이 개방되는 "
    Figure 112021501774876-pat00004
    "형태의 절개부(13)가 형성되고, 좌우 벽체(14) 안쪽 상단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돌출날개(52)가 삽입되는 안내 홈(15)이 형성되며, 좌우 벽체(14)의 하단부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하단 절곡 턱(55)이 얹히는 제1돌출턱(16)이 형성되고, 좌우의 제1돌출턱(16)의 위쪽으로는 알루미늄 레일의 끝 부분이 걸려서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돌출턱(17)이 제1돌출턱(16)과 계단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며, 절개부(13)의 안쪽 단부(13a)와 막음 벽(12) 사이에는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의 삽입단(22)이 끼워지는 홈(13b)이 형성되고, 상판(18)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상판의 위쪽으로 돌출된 걸림 턱(53)이 끼워지는 구멍(19)이 형성된 채 안쪽은 공간부(10a)로 이루어진 몸체(10)와;
    몸체(10)의 절개부(13) 안으로 삽입되는 판체(21)의 일측에는 몸체(10)의 홈(13b) 안으로 끼워지는 삽입단(22)이 일체로 연장되고 판체(21)의 저면에는 커텐걸이 핀이 관통하는 구멍(23)이 구비된 지지단(24)이 일체로 형성된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
  2. 바닥 면(11)에는 막음 벽(12)의 반대쪽으로 끝 부분이 개방되는 "
    Figure 112021501774876-pat00005
    "형태의 절개부(13)가 형성되고, 좌우 벽체(14) 안쪽 상단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돌출날개(52)가 삽입되는 안내 홈(15)이 형성되며, 좌우 벽체(14)의 하단부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하단 절곡 턱(55)이 얹히는 제1돌출턱(16)이 형성되고, 좌우의 제1돌출턱(16)의 위쪽으로는 알루미늄 레일의 끝 부분이 걸려서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돌출턱(17)이 제1돌출턱(16)과 계단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며, 절개부(13)의 안쪽 단부(13a)와 막음 벽(12) 사이에는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의 삽입단(22)이 끼워지는 홈(13b)이 형성되고, 상판(18)에는 알루미늄 레일의 상판의 위쪽으로 돌출된 걸림 턱(53)이 끼워지는 구멍(19)이 형성된 채 안쪽은 공간부(10a)로 이루어진 몸체(10)와;
    몸체(10)의 절개부(13) 안으로 삽입되는 판체(21)의 일측에는 몸체(10)의 홈(13b) 안으로 끼워지는 삽입단(22)이 일체로 연장되고 판체(21)의 저면에는 커텐걸이 핀이 관통하는 구멍(23)이 구비된 지지단(24)이 일체로 형성된 커텐지지롤러 추락방지구(20)와;
    몸체(10)의 바닥 면(11)과 몸체(10)의 홈(13b) 안으로 끼워진 판체(21)의 삽입단(22)을 관통하여 공간부(10a)를 향해 조립되어 삽입단(22)이 홈(13b)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나사(13c)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
KR1020210088505A 2021-07-05 2021-07-05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 KR102475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505A KR102475479B1 (ko) 2021-07-05 2021-07-05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505A KR102475479B1 (ko) 2021-07-05 2021-07-05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479B1 true KR102475479B1 (ko) 2022-12-07

Family

ID=8444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505A KR102475479B1 (ko) 2021-07-05 2021-07-05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47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993A (ko) 1991-12-20 1993-07-21 원본미기재 정전기 소산용 사슬 연장된 저분자량 폴리옥시란 착염
JP2562360Y2 (ja) * 1991-03-29 1998-02-10 エスエム工業株式会社 レールキャップ
KR19980083411A (ko) 1997-05-15 1998-12-05 김광호 전자석을 이용한 커텐 자동 개폐기
KR200269626Y1 (ko) 2001-12-18 2002-03-25 박진오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
KR20110045990A (ko) * 2009-10-28 2011-05-04 김창규 이단 커튼레일의 마감구조
JP2013255699A (ja) * 2012-06-13 2013-12-26 Hinaka Seisakusho:Kk レールエンドキャップ
KR200483878Y1 (ko) * 2017-02-01 2017-07-05 김대성 커튼러너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한 커튼레일 조립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2360Y2 (ja) * 1991-03-29 1998-02-10 エスエム工業株式会社 レールキャップ
KR930012993A (ko) 1991-12-20 1993-07-21 원본미기재 정전기 소산용 사슬 연장된 저분자량 폴리옥시란 착염
KR19980083411A (ko) 1997-05-15 1998-12-05 김광호 전자석을 이용한 커텐 자동 개폐기
KR200269626Y1 (ko) 2001-12-18 2002-03-25 박진오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
KR20110045990A (ko) * 2009-10-28 2011-05-04 김창규 이단 커튼레일의 마감구조
JP2013255699A (ja) * 2012-06-13 2013-12-26 Hinaka Seisakusho:Kk レールエンドキャップ
KR200483878Y1 (ko) * 2017-02-01 2017-07-05 김대성 커튼러너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한 커튼레일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12164A (zh) 安装装置
RU2684891C2 (ru) Скрытый навесной держатель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системой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тсоединения для стенных шкафов
US5125699A (en) Window locking accessory
KR102475479B1 (ko)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
GB2561840A (en) Door chain device
KR101619488B1 (ko) 도어 휨방지 프로파일
US20060186306A1 (en) Mounting device with support plate
EP1145667A1 (en) Improved bracket for the door of a built-in refrigerator
JP5189328B2 (ja) 引戸装置における点検カバーの取付構造
EP3330476A1 (en) Tension cord mounting
JP2002309858A (ja) 引戸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102127069B1 (ko) 원터치 설치형 창문 스토퍼
JP5427098B2 (ja) レール装置
JP5996889B2 (ja) 家具取付け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壁側金具
RU2555626C2 (ru) Мебельная фурнитура
US7234740B2 (en) Striker assembly for a door lock
JP4862329B2 (ja) エレベータの敷居閉塞体装置
US1924864A (en) Picture hanger
JP6202922B2 (ja) パネル等の壁面固定具
KR200321255Y1 (ko) 조립 선반
JP6279985B2 (ja) 引戸
JP2954853B2 (ja) サッシ
AU2012202034A1 (en) A Cabinet
JP4822835B2 (ja) 扉付き収納家具
JP3259589B2 (ja) 内寸定規およびこの内寸定規を用いた扉枠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