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626Y1 -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 - Google Patents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626Y1
KR200269626Y1 KR2020010039155U KR20010039155U KR200269626Y1 KR 200269626 Y1 KR200269626 Y1 KR 200269626Y1 KR 2020010039155 U KR2020010039155 U KR 2020010039155U KR 20010039155 U KR20010039155 U KR 20010039155U KR 200269626 Y1 KR200269626 Y1 KR 200269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rail
rail body
stopper
h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오
Original Assignee
박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오 filed Critical 박진오
Priority to KR2020010039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626Y1/ko

Link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에 관한 것으로, 이 커텐 레일(1)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그 하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는 단턱(2)이 구비됨과 더불어 그 상단에는 좌우대칭되게 고정홈(3)이 형성된 레일 몸체(4)와, 이 레일 몸체(4)의 단턱(2)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그 하부에 고정레버(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고정레버(5)와 단턱(2)의 접촉에 의해 레일 몸체(4)의 소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가이드 롤러(6) 및, 상기 레일 몸체(4)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3)에 삽입고정됨과 더불어 그 바닥면 중앙에 소정형상의 이동홈(7)이 형성되어 이 이동홈(7)에 스톱퍼(8)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8)의 상부에 로우프를 잡아주는 한 쌍의 롤기어(9)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각각 설치된 승강장치(10)가 구비된 커텐 승강구(11)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커텐 레일을 이루는 레일 몸체나 가이드 롤러 및 커텐 승강구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커텐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커텐 레일의 부품들이 보다 견고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레일 구성부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커텐 레일을 이루는 구성부품이 간편하게 결합됨으로써 그 관리가 편리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A rail for blinder type curtain}
본 고안은 블라인더형 커텐의 레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텐을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커텐 레일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커텐을 설치함과 더불어 레일 구성부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텐은 각종 건축물에 형성된 창문 등의 실내측에 설치되어 차양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인 바, 상기 커텐은 주로 별도의 가이드레일에 커텐 상단을 좌우로 슬라이드되게 하여 그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하거나, 혹은 상기 커텐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면서 개폐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텐에 포함되는 블라인더의 경우 외부 공기의 실내유입을 가능토록 하는 투명재질의 유리창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의 사생활 보호하거나 태양과의 곧바른 유입을 방지토록 하는 장치로서,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블라인더판이 설치되어 그 양측단이 각각 겹치도록 배치됨으로써 일정 면적을 커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근래에 들어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상기 커텐과 블라인더의 장점을 취합한 블라인더형 커텐이 개발되었는 바, 상기 블라인더형 커텐에 사용되는 커텐 레일의 종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에 커텐(101)의 상단이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그 상부면에 레일 고정용 클립(102)이 설치되어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된 레일 몸체(103)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 몸체(103)의 내측 하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104)가고정부재(105)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레일 몸체(103)의 일측 선단에는 커텐(101)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커텐 승강구(106)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104)와 커텐 승강구(106)에 로우프(107)가 연결설치되어 이 로우프(107)의 당김에 의해 커텐(101)이 상승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일 몸체(103)의 일측에 삽입고정되는 커텐 승강구(106)의 종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 하우징(108)의 내측 중앙에 상기 로우프(107)의 당겨짐에 따라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로우프(107)를 잡아주는 한 쌍의 롤기어(109)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각각 설치된 승강장치(11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장치(110)의 좌우측에 각각 상기 로우프(107)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어(111)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구 하우징(108)의 바닥부에 외측과 통할 수 있도록 일자형의 홈(112)이 형성되어 그 내측에 스톱퍼(113)가 설치됨으로써 이동되는 상기 승강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커텐 레일(114)의 경우 상기 가이드 롤러(104)를 일정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재(105) 및 스크류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상기 커텐 승강구(106)의 경우 승강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스톱퍼(113)가 종종 탈거되거나 승강장치(110) 자체의 고장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그 유지 및 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커텐을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커텐 레일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커텐을 설치함과 더불어 레일 구성부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그 하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는 단턱이 구비됨과 더불어 그 상단에는 좌우대칭되게 고정홈이 형성된 레일 몸체와, 이 레일 몸체의 단턱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그 하부에 고정레버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고정레버와 단턱의 접촉에 의해 레일 몸체의 소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가이드 롤러 및, 상기 레일 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고정됨과 더불어 그 바닥면 중앙에 소정형상의 이동홈이 형성되어 이 이동홈에 스톱퍼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의 상부에 로우프를 잡아주는 한 쌍의 롤기어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각각 설치된 승강장치가 구비된 커텐 승강구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커텐 레일은 상기 레일 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가 그 하단에 설치된 고정레버의 작동으로 원하는 위치에 보다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커텐 승강구의 바닥부에 설치된 스톱퍼가 이동홈을 따라 보다 안정되게 이동됨으로써 스톱퍼의 탈거에 의한 상기 승강장치의 파손을 막아 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커텐 레일을 이루는 레일 몸체나 가이드 롤러 및 커텐 승강구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커텐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커텐 레일의 부품들이 보다 견고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레일 구성부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커텐 레일을 이루는 구성부품이 간편하게 결합됨으로써 그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해지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을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의 커텐 승강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의 커텐 승강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롤러의 고정레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커텐 레일 2 : 단턱
3 : 고정홈 4 : 레일 몸체
5 : 고정레버 6 : 가이드 롤러
7 : 이동홈 8 : 스톱퍼
9 : 롤기어 10 : 승강장치
11 : 커텐 승강구 12 : 레일 몸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의 커텐 승강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롤러의 고정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블라인더형 커텐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커텐 레일(1)이 구비되되, 상기 커텐 레일(1)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그 하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는 단턱(2)이 구비됨과 더불어 그 상단에는 좌우대칭되게 고정홈(3)이 형성된 레일 몸체(4)와, 이 레일 몸체(4)의 단턱(2)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그 하부에 고정레버(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고정레버(5)와 단턱(2)의 접촉에 의해 레일 몸체(4)의 소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가이드 롤러(6) 및, 상기 레일 몸체(4)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3)에 삽입고정됨과 더불어 그 바닥면 중앙에 소정형상의 이동홈(7)이 형성되어 이 이동홈(7)에 스톱퍼(8)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8)의 상부에 로우프를 잡아주는 한 쌍의 롤기어(9)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각각 설치된 승강장치(10)가 구비된 커텐 승강구(11)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커텐 레일(1)은 상기 레일 몸체(4)와 가이드 롤러(6) 및 커텐 승강구(11)에 각각 그 특징이 있는 바, 상기 레일 몸체(4)에는 가이드 롤러(6)와 커텐 승강구(11)를 고정할 수 있도록 단턱(2)과 고정홈(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6)에는 레일 몸체(4)의 단턱(2)에 고정되는 고정레버(5)가 설치되며, 상기 커텐 승강구(11)의 바닥면에는 스톱퍼(8)의 이동을 위한 이동홈(7)이 형성된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 커텐 레일(1)은 상기 레일 몸체(4)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6)가 그 하단에 설치된 고정레버(5)의 작동으로 원하는 위치에 보다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커텐 승강구(11)의 바닥부에 설치된 스톱퍼(8)가 이동홈(7)을 따라 보다 안정되게 이동됨으로써 스톱퍼(8)의 탈거에 의한 상기 승강장치(10)의 파손을 막아 줄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레일 몸체(4)에 설치되어 로우프를 당겨줌으로써 커텐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된 상기 커텐 승강구(11)의 내부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으로 이루어진 커텐 승강구(11)의 내측 바닥부 중앙에 스톱퍼(8)의 이동을 위한 이동홈(7)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8)가 승강장치(10)와 함께 움직이면서 승강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커텐에 연결되어 커텐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로우프는 상기 레일 몸체(4)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6)에 의해 지지되는 바, 상기 가이드 롤러(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로우프가 지날 수 있도록 롤러 몸체(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회전가능하도록 원판형의 고정레버(5)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레버(5)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롤러(6)를 상기 레일 몸체(4)의 단턱(2)에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고정레버(5)의 해제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롤러(6)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가이드 롤러(6)를 별도의 수단 없이도 간편하게 커텐 레일(1)에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커텐 승강구(11)의 내부에 설치된 스톱퍼(8)가 보다 견고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로우프의 당겨짐에 의한 승강장치(1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에 의하면, 커텐 레일을 이루는 레일 몸체나 가이드 롤러 및 커텐 승강구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커텐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커텐 레일의 부품들이 보다 견고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레일 구성부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커텐 레일을 이루는 구성부품이 간편하게 결합됨으로써 그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그 하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응되는 단턱(2)이 구비됨과 더불어 그 상단에는 좌우대칭되게 고정홈(3)이 형성된 레일 몸체(4)와,
    상기 레일 몸체(4)의 단턱(2)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그 하부에 고정레버(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고정레버(5)와 단턱(2)의 접촉에 의해 레일 몸체(4)의 소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가이드 롤러(6) 및,
    상기 레일 몸체(4)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3)에 삽입고정됨과 더불어 그 바닥면 중앙에 소정형상의 이동홈(7)이 형성되어 이 이동홈(7)에 스톱퍼(8)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8)의 상부에 로우프를 잡아주는 한 쌍의 롤기어(9)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각각 설치된 승강장치(10)가 구비된 커텐 승강구(11)로 이루어진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
KR2020010039155U 2001-12-18 2001-12-18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 KR200269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155U KR200269626Y1 (ko) 2001-12-18 2001-12-18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155U KR200269626Y1 (ko) 2001-12-18 2001-12-18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626Y1 true KR200269626Y1 (ko) 2002-03-25

Family

ID=7311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155U KR200269626Y1 (ko) 2001-12-18 2001-12-18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6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479B1 (ko) 2021-07-05 2022-12-07 김상균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479B1 (ko) 2021-07-05 2022-12-07 김상균 커텐 레일의 단부 마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987B1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KR100620456B1 (ko) 더블 트러스트 레일 온실 천창 개폐장치
CN109057675B (zh) 单边操控中空玻璃内置百叶窗
KR100859269B1 (ko) 브라인더형 커텐장치
KR200269626Y1 (ko) 블라인더형 커텐용 레일
KR101456931B1 (ko) 차양 장치
WO2018030740A1 (ko) 미서기 창호
KR20220170304A (ko) 버티컬 블라인드 커튼
KR200355962Y1 (ko) 상.하 및 좌.우 개폐가 가능한 커튼
KR101131842B1 (ko) 승강 이동형 전동블라인드
KR101180883B1 (ko) 상하, 좌우, 전동식 무대 모형막
US20230417103A1 (en) Blind, a glazing system for a terrace or a balcony, and a method for arranging a blind in connection with a glazing system for a terrace or a balcony
KR100493897B1 (ko) 무레일형 창호장치
KR0139868Y1 (ko) 방충망 창짝구조
KR200300416Y1 (ko)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안내장치
IT201600107049A1 (it) Tenda ad avvolgimento
CA2560172C (en) Draw cord arrangement
KR20220170303A (ko) 버티컬 블라인드 커튼용 틸팅 로드
JPS623520Y2 (ko)
KR20180022457A (ko) 밀폐 일자형 창호
JP2703654B2 (ja) スクリーン付き採光部の構造
JPH0433357B2 (ko)
KR101170223B1 (ko) 전통 창호형 창호
KR20050013983A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KR20210105314A (ko) 폴드업 전동창의 기밀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