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439B1 - 석션 팁 구조체 - Google Patents

석션 팁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439B1
KR102475439B1 KR1020220076605A KR20220076605A KR102475439B1 KR 102475439 B1 KR102475439 B1 KR 102475439B1 KR 1020220076605 A KR1020220076605 A KR 1020220076605A KR 20220076605 A KR20220076605 A KR 20220076605A KR 102475439 B1 KR102475439 B1 KR 102475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tip
tip module
modu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화
Original Assignee
(주)덴탈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탈럽 filed Critical (주)덴탈럽
Priority to KR102022007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439B1/ko
Priority to PCT/KR2022/014103 priority patent/WO202324916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12Control devices, e.g. for s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석션 팁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석션 튜브의 일단에 결합되며, 전면(前面)에 제1 흡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석션 팁 모듈 및 제1 석션 팁 모듈이 내부에 설치되며, 제1 석션 팁 모듈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석션 팁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석션 팁 구조체를 진료 과정에서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상을 변경하여 그 기능을 다변화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치과 진료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석션 팁 구조체{Sunction Tip Structure}
본 발명은 석션 팁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료 과정에서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상을 변경하여 그 기능을 다변화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치과 진료가 가능토록 하는 석션 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치과 진료 과정에서는 환자의 구강 내에 발생되는 타액, 이물질, 혈액 등을 제거하기 위한 치과용 석션 장비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이와 같은 치과용 석션 장비에 연결된 석션 튜브의 단부에는 진료 과정에서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석션 팁이 교체 설치된다.
예를 들어, 출혈 부위에서의 집중 흡입, 타액의 흡입, 치아 뿌리에서의 소독약 등의 흡입에는 각각 상이한 구조의 석션 팁이 교체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석션 팁의 교체 사용으로 인해 진료 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불가피하게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치과 병원의 소형화로 인해 간호 보조 인력의 도움없이 의사 단독으로 치료를 진행하는 1인 치과가 치의업계의 이슈가 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81324호(2019.05.22.자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료 과정에서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상을 변경하여 그 기능을 다변화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치과 진료가 가능토록 하는 석션 팁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는, 석션 튜브의 일단에 결합되며, 전면(前面)에 제1 흡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석션 팁 모듈; 및 상기 제1 석션 팁 모듈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석션 팁 모듈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석션 팁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의 전면(前面)에 제2 흡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측면 흡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측면 흡입홀에 흡입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측면 흡입홀에 흡입압이 인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의 측면에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슬롯에 결합되는 결합구가 상기 제1 석션 팁 모듈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흡입홀은 상기 제1 석션 팁 모듈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커넥팅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이 상기 제1 석션 팁 모듈의 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커넥팅부가 상기 제2 흡입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흡입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커넥팅부에 주사 바늘 모듈이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만곡되는 상기 석션 튜브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석션 튜브의 내측면에 소성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션 튜부의 타단에 결합되며, 석션 장비에 체결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석션 팁 구조체를 진료 과정에서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상을 변경하여 그 기능을 다변화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치과 진료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효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석션 팁 구조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를 활용한 각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의 구조 및 이를 활용한 각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석션 팁 구조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는 제1 석션 팁 모듈(100), 제2 석션 팁 모듈(200), 및 석션 튜브(300)를 포함한다.
도 2에서와 같은 변단면을 갖는 원통형 구조의 제1 석션 팁 모듈(100)은 석션 튜브(300)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전면(前面)에는 석션 튜브(300)까지 연통되는 제1 흡입홀(150)이 구비되어 있다.
제2 석션 팁 모듈(200) 또한 원통형 구조로서 석션 튜브(300)의 일단에 결합되되, 제1 석션 팁 모듈(100)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결합되며, 이와 같이 설치된 제2 석션 팁 모듈(200)은 내부에 설치된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측면을 따라 석션 튜브(30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전면(前面)에는 제1 석션 팁 모듈(100)을 통해 석션 튜브(300)까지 연통되는 제2 흡입홀(250)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측면에는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원통형 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측면 흡입홀(230)이 각각 장방형 슬롯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측면에는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전후방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2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측면에는 가이드 슬롯(27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17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슬롯(270)의 양단에는 결합구(170)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인 고정구가 각각 형성됨으로 인해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슬라이딩 이동 상태가 고정구와 결합구(170)의 상호 결합에 의해 고정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제2 석션 팁 모듈(20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단부가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는 경우에 제2 석션 팁 모듈(200)에 구비된 측면 흡입홀(230)은 개방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의 제1 사용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의 제1 사용 상태에서 석션 튜브(300)의 타단에 연결 설치되는 석션 장비를 통해 흡입압을 인가하는 경우에 전면(前面)과 측면이 모두 개방된 제2 석션 팁 모듈(200)을 통해 구강 내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제2 흡입홀(250)에서의 흡입압이 복수의 측면 흡입홀(230)에 의해 분산됨으로써 구강 내 연조직이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단부에 과도하게 흡착됨으로써 환자의 고통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제2 석션 팁 모듈(20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단부의 제2 흡입홀(250)이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단부의 제1 흡입홀(150)에 포개어지는 경우에 제2 석션 팁 모듈(200)에 구비된 측면 흡입홀(230)은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측면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의 제2 사용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의 제2 사용 상태에서 석션 튜브(300)의 타단에 연결 설치되는 석션 장비를 통해 흡입압을 인가하는 경우에 측면 흡입홀(230)은 폐쇄되어 있으며 전면(前面)의 제2 흡입홀(250)만이 개방된 제2 석션 팁 모듈(200)을 통해 구강 내 이물질을 흡입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 흡입압이 측면 흡입홀(230)에 의해 분산되지 않고 제2 흡입홀(250)에만 인가됨에 따라, 구강 내의 출혈 발생 부위에서의 집중적인 석션 처치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도 4에서와 같이 제2 석션 팁 모듈(200)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제2 석션 팁 모듈(200)에 구비된 측면 흡입홀(230)이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측면에 의해 폐쇄되도록 한 다음, 연속된 홀을 형성하게 된 제2 흡입홀(250)과 제1 흡입홀(150)에 주사 바늘 모듈(400)이 일단에 결합되어 있는 커넥터(450)의 타단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주사 바늘을 이용하여 치아 뿌리 쪽의 소독약, 식염수, 세척액 등을 선별적으로 흡입 처리토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의 구조 및 이를 활용한 각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에서의 석션 튜브(300)에는 치료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만곡시키는 석션 튜브(300)의 만곡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금속 케이블(예를 들면, 철사) 등의 소성 부재(350)가 석션 튜브(300)의 내측면에 석션 튜브(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에서의 석션 튜브(300)의 타단에는 석션 장비에 석션 튜브(300)의 타단을 연결시키기 위한 부품인 체결구(500)가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는 제1 석션 팁 모듈(100), 제2 석션 팁 모듈(200) 및 석션 튜브(300)를 포함한다.
변단면을 갖는 원통형 구조의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상단의 내측면에는 석션 튜브(300)의 일단이 결합되며,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외측면에는 변단면을 갖는 원통형 구조의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내측면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1 석션 팁 모듈(100)은 외측면에 결합구(170)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원통부와, 제1 원통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보다 작은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커넥팅부(130)를 포함한다.
원통형 구조의 커넥팅부(130)는 제1 원통부와 이물질이 연속적으로 흡입되는 연통 구조를 형성하되, 커넥팅부(130)의 외경은 제1 원통부의 외경 보다 소정의 비율(예를 들면, 0.1 내지 0.9) 만큼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커넥팅부(130)의 하단부에는 커넥팅부(130)의 중심축 및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중심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전개되는 홀인 제1 흡입홀(15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변단면을 갖는 원통형 구조로 된 제2 석션 팁 모듈(200)은 내부에 설치된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측면을 따라 석션 튜브(30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2 석션 팁 모듈(200)은 제2 원통부와 제2 원통부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원뿔대 형상의 원뿔대부를 포함하며, 제2 원통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원통부의 외측면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원통부의 측면에는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전후방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27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원뿔대부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측면 흡입홀(230)이 각각 장방형 슬롯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원뿔대부와 제2 원통부는 이물질이 연속적으로 흡입되는 연통 구조를 형성하며, 원뿔대부의 하단에 형성된 홀인 제2 흡입홀(250)의 내경은 커넥팅부(13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도 7에서와 같이 커넥팅부(130)는 원뿔대부의 하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된다.
즉,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에서도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측면에는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전후방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2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측면에는 가이드 슬롯(270)에 결합되는 결합구(17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가이드 슬롯(270)의 양단에는 결합구(170)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인 고정구가 각각 형성됨으로 인해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슬라이딩 이동 상태가 고정구와 결합구(170)의 상호 결합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제2 석션 팁 모듈(20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단부가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는 경우에 제2 석션 팁 모듈(200)에 구비된 측면 흡입홀(230)은 개방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의 제1 사용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의 제1 사용 상태에서 석션 튜브(300)의 타단에 연결 설치되는 석션 장비를 통해 흡입압을 인가하는 경우에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단부의 제1 흡입홀(150)에 인가되는 흡입압은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단부의 제2 흡입홀(250)과 측면 흡입홀(230)에 동시에 인가되게 된다.
즉, 이러한 경우에 전면(前面)과 측면이 모두 개방된 제2 석션 팁 모듈(200)을 통해 구강 내 이물질을 흡입하게 됨에 따라 제2 흡입홀(250)을 통한 흡입압이 복수의 측면 흡입홀(230)에 의해 분산됨으로써 구강 내 연조직이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단부에 있는 제2 흡입홀(250)에 과도하게 흡착됨으로써 환자의 고통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제2 석션 팁 모듈(200)이 소정의 길이만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단부의 제2 흡입홀(250)과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단부의 제1 흡입홀(150)이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되는 경우에 제2 석션 팁 모듈(200)에 구비된 측면 흡입홀(230)은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커넥팅부(130)의 측면에 위치하되, 커넥팅부(13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본 발명에 따른 석션 팁 구조체의 제2 사용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사용 상태에서는 커넥팅부(130)의 측면에 형성되어 커넥팅부(130)의 내부 연통 구조로 연결되는 홀인 통기홀(110)이 측면 흡입홀(230)과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되며, 이러한 제2 사용 상태에서 석션 튜브(300)의 타단에 연결 설치되는 석션 장비를 통해 흡입압을 인가하는 경우에 제1 흡입홀(150)에 대부분의 흡입압이 인가되며, 측면 흡입홀(230)에는 통기홀(110)을 통한 일부의 흡입압 만이 인가되게 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제2 석션 팁 모듈(200)이 최대 한도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에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커넥팅부(130)가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제2 흡입홀(25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3 사용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3 사용 상태에서 석션 장비를 통해 인가되는 흡입압은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제2 흡입홀(25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커넥팅부(13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흡입홀(150)에만 인가됨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흡입홀(150)을 통해 흡입압의 분산없이 구강 내의 출혈 발생 부위에서의 집중적인 흡입 처치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이와 같은 제3 사용 상태에서는 커넥팅부(130)의 측면에 형성된 통기홀(110)이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내부에 위치하지 않고,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측면 흡입홀(230)에는 흡입압이 전혀 인가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3 사용 상태에서 주사 바늘 모듈(400)을 커넥팅부(130)에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주사 바늘을 이용하여 치아 뿌리 쪽의 소독약, 식염수, 세척액 등을 선별적으로 흡입 처리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제1 석션 팁 모듈, 110: 통기홀,
130: 커넥팅부, 150: 제1 흡입홀,
170: 결합구, 200: 제2 석션 팁 모듈,
230: 측면 흡입홀, 250: 제2 흡입홀,
270: 가이드 슬롯, 300: 석션 튜브,
350: 소성 부재, 400: 주사 바늘 모듈,
450: 커넥터, 500: 체결구.

Claims (4)

  1. 석션 튜브(300)의 일단에 결합되며, 전면(前面)에 제1 흡입홀(150)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석션 팁 모듈(100); 및
    상기 제1 석션 팁 모듈(100)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석션 팁 모듈(100)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석션 팁 모듈(200)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200)에는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27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석션 팁 모듈(100)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270)에 결합되는 결합구(17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석션 팁 모듈(100)은,
    상기 결합구(170)가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원통부, 및 상기 제1 원통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보다 작은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커넥팅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20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커넥팅부(130)가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하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인 석션 팁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전면(前面)에 제2 흡입홀(2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석션 팁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20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측면 흡입홀(2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석션 팁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20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측면 흡입홀(230)에 흡입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석션 팁 모듈(20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측면 흡입홀(230)에 흡입압이 인가되지 않는 것인 석션 팁 구조체.


KR1020220076605A 2022-06-23 2022-06-23 석션 팁 구조체 KR102475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605A KR102475439B1 (ko) 2022-06-23 2022-06-23 석션 팁 구조체
PCT/KR2022/014103 WO2023249165A1 (ko) 2022-06-23 2022-09-21 석션 팁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605A KR102475439B1 (ko) 2022-06-23 2022-06-23 석션 팁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439B1 true KR102475439B1 (ko) 2022-12-07

Family

ID=8444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605A KR102475439B1 (ko) 2022-06-23 2022-06-23 석션 팁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5439B1 (ko)
WO (1) WO202324916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485A1 (ko) * 2015-01-12 2016-07-21 이효휘 치과용 석션팁의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석션팁
KR101981324B1 (ko) 2018-12-11 2019-05-22 김재윤 석션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9802A (en) * 1995-02-03 1996-04-23 White Shield Inc. Oral suction tip
DE102004051709A1 (de) * 2004-10-23 2006-04-27 Andreas Neff Speichelsauger
WO2014141215A1 (en) * 2013-03-15 2014-09-18 Henry Rolin Dental surgical suc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485A1 (ko) * 2015-01-12 2016-07-21 이효휘 치과용 석션팁의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석션팁
KR101981324B1 (ko) 2018-12-11 2019-05-22 김재윤 석션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9165A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13733A1 (en) Fluid Bypass Device for Handheld Dental Devices
US11399703B2 (en) Endoscope
US6575746B2 (en) Intraor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PL372262A1 (en) Catheter and guide tube for intracerebral application
EP2042108A3 (en) Anvil delivery device accessory
EP2417920A3 (en) Therapeutic ultrasound system
JP2017518859A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WO2004049911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astrointestinal pain management
ATE275426T1 (de) Nadel cannula
CN112020341B (zh) 吸引头
MXPA05012238A (es) Cateter para suministro uniforme de medicamento.
CZ2010944A3 (cs) Sestava prostatického implantátu
KR102475439B1 (ko) 석션 팁 구조체
KR101601144B1 (ko) 일체형으로 빔광원홀과 석션홀을 구비한 u자형 치과 수술용 구내 조직 견인기
KR20210151787A (ko) 절삭 도구 세정 부속품
JP3805652B2 (ja) 内視鏡鉗子口用アダプタ
PL170142B1 (pl) Wydrazona dozebowa sonda przeplukujaca PL
US20220054720A1 (en) Adaptable suction tubing and light apparatus for surgical retractors
AU2017302459B2 (en) Steerable catheter handle
JP7145218B2 (ja) 内視鏡補助具
EP2008682A3 (en) Medical device
KR20110009759A (ko) 주사기의 주사바늘용 벤딩기구
RU158972U1 (ru) Насадка для вве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препарата в зону миндалин
JP6495027B2 (ja) 内視鏡
CN217219258U (zh) 一种多用途吸唾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