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432B1 -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432B1
KR102475432B1 KR1020200078483A KR20200078483A KR102475432B1 KR 102475432 B1 KR102475432 B1 KR 102475432B1 KR 1020200078483 A KR1020200078483 A KR 1020200078483A KR 20200078483 A KR20200078483 A KR 20200078483A KR 102475432 B1 KR102475432 B1 KR 10247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lactic acid
acid bacteria
composition
bifidobacterium animal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032A (ko
Inventor
문진석
김태윤
권혁상
Original Assignee
일동제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동제약(주) filed Critical 일동제약(주)
Publication of KR20210002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62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1/423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6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3/36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2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4/123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36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9/363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6Anti-spasmodics, e.g. drugs for colics, esophagic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51Johnsoni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23Y2220/43
    • A23Y2220/6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2035/11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living procariotic cells
    • A61K2035/115Probiot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 스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특유의 3종 유산균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성 장 질환(IBD) 또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현저하다.

Description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Novel probiotic formulation for modulating intestinal immunity}
본 발명은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위장관 내에 만성적인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비교적 청년층부터 발병하며 복통, 발열, 설사, 하혈 등의 증상을 수반한다. 대체로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과 크론병(Cron's disease, CD)의 2가지 형태로 분류되는데, 궤양성 대장염은 주로 점막을 침범하여, 자주 문드러짐이나 궤양을 형성하는 대장의 원인불명의 확산성 비특이성 염증(diffuse nonspecific inflammation)의 일종으로서, 혈성 설사를 비롯하여 다양한 전신 증상을 수반하고, 크론병은 구강에서 항문까지 전 소화관을 비연속성으로 점막에서 장관(腸管) 전 층에 궤양, 섬유화, 협착과 병변(病變)이 진전되는 원인불명의 육아종성 염증성 병변으로, 복통, 만성 설사, 발열, 영양장애 등의 전신 증상을 수반한다.
상기 염증성 장질환의 발병원인은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지 않으나, 면역기능의 이상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에 관여하는 면역학적 요인으로는 선천적 면역성, 사이토카인(Cytokine)의 생성, CD4의 활성화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사이토카인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염증 부위에서 종양괴사인자(Tumor nerosis cytokine; TNF-α), 인터루킨(Interluekin; IL)-1, IL-6, IL-8 생성이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 환자에게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주요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는 nuclear factor kappa-B pathway를 통해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을 증가시켜 염증 반응을 악화시킨다. TNF-α의 억제가 점막 T 림프구의 세포사멸(apoptosis)을 막아 장 면역을 조절하는데 상당히 효과적이기 때문에, infliximab 및 adalimumab과 같은 항- TNF-α 항체는 중증 대장염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승인되었다(비특허문헌 1). IL-1β는 과립구(granulocyte)를 모집하여 결장 염증을 일으키고, CD4+ Th17 세포를 활성화시켜 IL-17을 분비한다(비특허문헌 2). 호중구(neutrophil)의 침윤은 만성 염증의 진행에 근본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IL-6는 대장염(결장염) 영역으로의 호중구 이동을 촉진한다(비특허문헌 3).
기존에 염증성 장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물로는 스테로이드성 면역억제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의 생성을 차단하는 5-아미노살리실산(5-aminosalicylic acid; 5-ASA) 계통 약물(예, 설파살라진 등), 메살라진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예시한 것과 같이 대장염을 완화하기 위해 항염증제 및 면역 억제제가 처방되지만, 메스꺼움, 구토, 두통, 용혈성 빈혈 및 남성불임 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한편 과민성 장 증후군은 대장의 기능에 변화가 일어난 상태로서, 궤양은 없지만 설사와 복통, 변비 등 배변 습관에 변화가 나타나는 증후군을 말한다. 이는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질병에 속하지는 않지만 배변습관의 변화로 인해 일상생활이 불편해지거나 육체적으로 힘이 빠지는 등 신체에 변화를 주게 되고 생활에 질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
이에 보다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염증성 장질환과 과민성 장 증후군 치료제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Atreya R, Zimmer M, Bartsch B, et al.: Antibodies against tumor necrosis factor (TNF) induce T-cell apoptosi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s via TNF receptor 2 and intestinal CD14(+) macrophages. Gastroenterology 2011;141:2026-2038. Coccia M, Harrison OJ, Schiering C, et al.: IL-1beta mediates chronic intestinal inflammation by promoting the accumulation of IL-17A secreting innate lymphoid cells and CD4(+) Th17 cells. J Exp Med 2012;209:1595-1609. Wang Y, Wang K, Han GC, et al.: Neutrophil infiltration favors colitis-associated tumorigenesis by activating the interleukin-1 (IL-1)/IL-6 axis. Mucosal Immunol 2014;7:1106-1115.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염증성 장질환 및 과민성 장 증후군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본 발명 특유의 3종 유산균 조합을 병용하는 것에 의해 염증성 장 질환(IBD) 및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현저히 상승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이러한 효과는 기존에 IBD 치료 약물로 흔히 사용되는 설파살라진(sulfasalazine)과 비교하여도 우수한 수준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어‘~을 포함하는(comprising)’이란‘함유하는’또는‘특징으로 하는’과 동일하게 사용되며, 조성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언급되지 않은 추가적인 성분 요소 또는 방법 단계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 ‘~로 구성되는(consisting of)’이란‘~로 이루어지는’과 동일하게 사용되며, 별도로 기재되지 않은 추가적인 요소, 단계 또는 성분 등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필수적으로 구성되는(essentially consisting of)’또는‘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이란 조성물 또는 방법의 범위에 있어서, 기재된 성분 요소 또는 단계와 더불어 이의 기본적인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성분 요소 또는 단계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 전반에 걸쳐서,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양상 또는 조건들이 범위 형식으로 제안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범위값의 기재는,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해당 경계값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즉, 하한값 이상 내지 상한값 이하의 값을들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범위 형식의 서술은 단순히 편의성 및 간략성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융통성 없는 제한(inflexible limitation)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범위의 서술은 상기 범위 내의 개별적인 수치값들뿐만 아니라 모든 가능한 하부범위(subrange)를 구체적으로 개시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7 내지 170과 같은 범위의 서술은 상기 범위 내의 개별적 수치들, 예를 들어, 9, 27, 35, 101, 및 155 뿐만 아니라, 10 내지 127, 23 내지 35, 80 내지 100, 50 내지 169 등과 같은 하부범위들을 구체적으로 개시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는 범위의 폭과 무관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적절한 양으로 투여 될 때 숙주에게 건강상의 이익을 주는 미생물로 정의된다. 확립된 안전성과 인간 건강에 유익한 효능으로 인해 probiotics가 의약의 대체물 또는 보완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 프로바이오틱스의 장점은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유아 분변, 김치, 치즈로부터 분리된 여러 가지 유산균 균주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각 균주 개별 효능을 스크리닝 하였으며 또한 여러 균주들을 다양한 조합으로 이용하여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KCTC 10923BP),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KCTC 13586BP)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KCTC 13587BP)의 3종 균주 조합을 병용할 시에 특이적으로 항염증 효능에 있어서 예기치 못한 상승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뿐만아니라 염증성 장질환(IBD)에 대해 약리적 측면에서 실질적인 치료 효능이 현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의 치료 효과는 공지의 IBD 치료 약물인 설파살라진(sulfasalazine)과 비교하여도 우수한 수준이었다. 프로바이오틱스 특징들은 동일종의 박테리아들에서도 균주 의존적이며, 모든 프로바이오틱 요건들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조성물 제조에 곤란성이 있음을 고려할 때, 본원 발명의 3종 유산균 구성과 본 발명자들이 확인한 현저한 효과는 기술적 의의가 크다. 또한 기존에 국내에서 장관면역에 대해 유일하게 인정받은 V사 8종 유산균 혼합 제제와 비교하여, 본원 발명의 3종 균주 혼합물은 더 적은 용량으로도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3종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균주를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probiotic)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3종 균주로 (유효량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프로바이오틱(probiotic)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3종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균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3종 균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균주를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probiotic)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3종 균주로 (유효량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프로바이오틱(probiotic)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KCTC 10923BP),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KCTC 13586BP)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KCTC 13587BP)의 3종 균주 조합을 병용할 시에 특이적으로 변비, 설사, 복통, 복부불편감 등을 호소하는 성인에서 배변 활동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과민성 장 증후군에 대해 약리적 측면에서 실질적인 치료 효능이 현저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프로바이오틱스 섭취로 인한 장내세균총의 불균형을 회복시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면 현재 치료 약제로 사용되는 장 운동 조절제, 지사제 및 하제, 신경안정제 등 증상조절을 위한 치료 전략에서 보다 근본적인 병인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으로 치료 전략을 바꿀 수 있다는데 기술적 의의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3종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균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3종 균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염증성 장 질환’은 당업계에 장 내 염증성 병태가 주요한 병리인 것으로 알려진 질환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바람직하게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장관 베체트병 및 허혈성 장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3종 유산균(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이 혼합물의 형태로 하나의 용기 내에 존재하도록 제형화 될 수 있고, 또는 3종 유산균 각각이 별개의 용기 내에 포장되어 제공되지만 사용 시에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도록 제형화 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상기 본 발명의 3종 유산균은 혼합물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 양태의 일례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의 혼합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또는 상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각 균주의 유효량의 콜로니 형성 단위(CFU)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목적하는 바(질병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 또는 필요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최종 제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상기 3종 균주 각각의 생균 또는 사균체를 식품 또는 약품의 제조 시에 전체 조성물 1g(또는 ㎖) 당 균을 1 x 105 내지 1 x 1015개(균수 또는 CFU) 첨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x 106 내지 1 x 1013개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생균 또는 이의 사균체가 포함된 조성물의 1일 섭취량은 총 균체수 기준으로 1×105 내지 1×1010 CFU/kg, 바람직하게는 일례로 1×106 내지 1×109 CFU/kg일 수 있고, 섭취는 하루에 한 번 섭취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섭취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3종 유산균이 제공되는 상대적 비율(일례로 배합비)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항염증 효능 또는 염증성 장 질환 예방/치료/개선 효능)를 나타내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L. johnsonii IDCC9203 : L. plantarum IDCC3501 : B.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의 조성비는 cfu/g(또는 cfu/㎖) 단위 기준으로 1~100 : 1~100 : 1~100의 비율로 조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fu/g(또는 cfu/㎖) 단위 기준으로 1~30 : 1~30: 1~30의 비율로 , 더욱 바람직하게는 cfu/g(또는 cfu/㎖) 단위 기준으로 1~10 : 1~10 : 1~10의 비율로 조성되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L. johnsonii IDCC9203 : L. plantarum IDCC3501 : B.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의 조성비는 cfu/g (또는 cfu/㎖) 단위 기준으로 1: 7 : 2의 비율로 조성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상기 3종 유산균의 조성비는 cfu/g(또는 cfu/㎖) 단위 기준으로 1:1:1 의 비율로 조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3종 유산균은 각각 생균 또는 사균체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당업계에 생균 제제를 제공하기 위한 균 처리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균이 살아있는 형태라면 그 제공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균주들을 배양 후, 세포 펠렛(pelet)을 회수하여, 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예컨대 농축 또는/및 동결-건조함으로써 원하는 수단으로 처리하여, 약제학적 또는 식용 제품의 제조에 추가할 수 있다. 때로는, 프로바이오틱 조제물은 수명을 개선시키기 위해 고정화 또는 캡슐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몇가지 박테리아 고정화 또는 캡슐화 기술들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사균체’란 가열, 가압, 약물처리 등으로 살균 처리된 균체를 가리킨다. 당업계에 알려진 유산균 사균화 방법에 의한 것이라면 사균체의 제조방법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본 발명의 사균체는 열처리를 포함하는(열처리에 의한) 사균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수득한 생균체만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생균체를 포함하고 있는 배약액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온도는 균체의 성상을 유지하고 다른 일반세균들이 멸균되는 조건이라면 그 온도조건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80℃ 내지 150℃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80℃ 내지 110℃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시간은 상기 온도조건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목적하는 제조품질을 수득할 수 있는 조건이라면 그 시간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5분 내지 15분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사균체 제조를 위한 열처리 공정 중, 당업자는 본 발명 사균의 고유 기능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제조 효율을 위하여 임의의 전처리 또는 추가 조건을 부가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처리 전 생균체에 증류수를 투입 및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사균화된 균체들은 사균제제(제형)의 제조를 위한 임의의 추가 공정을 거칠 수 있으며, 일례로 농축, 건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당업계에서 유산균의 건조에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열(풍)건조, 동결건조 방법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전술한 3종 유산균의 생균 또는 사균체를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서‘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 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일례로 도포법 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일례로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결-건조된 분말, 캡슐제,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웨이퍼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여기에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캡슐제 등으로로 가공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 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건강기능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생균 또는 이의 사균체를 캡슐화 또는 과립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과일의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0.3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또한 발효식품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3종 유산균은 유제품, 요구르트, 커드(curd), 치즈(예, 쿼크, 크림, [0049] 가공, 연질 및 경질), 발효유, 분유, 우유 기재의 발효 제품, 아이스크림, 발효 곡물 제품(fermented cereal based product), 조제 분유(milk based powder), 음료, 드레싱 및 애완동물 사료와 같은 다양한 식용 제품에 함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식용 제품’은 본원에서 약제학적 제품 및 수의학적 제품을 제외한, 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모든 제공 형태의, 모든 타입의 제품을 비롯한, 가장 광의적인 의미이다. 다른 식용 제품의 예로는 육류 제품(예, 간 페이스트, 소세지, 살라미 소세지 또는 육류 스프레드), 초콜렛 스프레드, 속 재료(예, 트뤼플, 크림) 및 프로스팅(frosting), 초콜렛, 과자류(예, 카라멜, 퐁당(fondant) 또는 토피(toffee)), 구워낸 제과류(baked good)(케익, 패스트리), 소스 및 스프, 과일 쥬스 및 커피 프림(coffee whitener)가 있다. 특히 흥미로운 식용 제품은 식이 보조제(dietary supplement)와 이유식(infant formula)이다. 본 발명의 측면에서, 식이 보조제는 또한 인간의 건강에 의약적 효능을 가진 식품 추출물로 공지된 기능 식품(nutraceutical)을 포함한다. 동물 식이용 사료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타 식품 제품의 성분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과민성 장 증후군’은 복부 불편감, 복통, 복부 팽만, 설사, 변비 등의 증상이 만성적이고 심한 경우 이를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진단하며, 이는 유전적 요인, 정신적 요인, 스트레스, 식이 습관, 장 점막의 경미한 염증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 특유의 3종 유산균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성 장 질환(IBD)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현저하며, 특히 이러한 효과는 공지의 IBD 치료 약물(일례로 설파살라진)과 비교하여도 약리적으로 우수하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인 특성상, 부작용의 위험성이 매우 적은 안전한 조성물로서 큰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No.6),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No.7)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No.14) 개별 균주와, 이들 유산균 3종 혼합물(Mix로 표시), 동종의 Type 균주 혼합물(Lactobacillus johnsonii KCTC 3801T,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T,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IDCC KCTC 3219T)을 각각 처리하여, LPS 처리에 의해 Raw 264.7 cell에서 증가된 TNF-α에 대한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DEX: 덱사메타손).
도 2는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의 처리에 의하여, LPS 처리에 의해 Raw 264.7 cell에서 증가된 IL-6이 억제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 조성물과 동종 관계에 있는 Type 균주 혼합물( Lactobacillus johnsonii KCTC 3801T,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T,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IDCC KCTC 3219T)을 LPS 처리된 Raw 264.7 cell에 투여하고, IL-6 수준 변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의 처리에 의하여, LPS 처리에 의해 Raw 264.7 cell에서 증가된 IL-1β이 억제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 조성물과 동종 관계에 있는 Type 균주 혼합물( Lactobacillus johnsonii KCTC 3801T,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T,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IDCC KCTC 3219T)을 LPS 처리된 Raw 264.7 cell에 투여하고, IL-1β 수준 변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No.6),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No.7)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No.14) 균주를 비롯하여 다양한 개별 유산균주들을 LPS 처리된 Raw 264.7 cell에 투여하고, NO(산화질소) 억제 능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DAI score를 투여 용량별로 나타내며,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8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길이를 관찰한 이미지로,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9는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길이를 측정한 결과를 투여 용량별로 나타내며,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10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단면 조직을 관찰한 이미지로서,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11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조직 손상에 대한 조직학적 점수를 비교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12는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내 TNF-α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투여 용량별로 나타내며,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13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내 IL-1β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투여 용량별로 나타내며,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14는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내 IL-6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투여 용량별로 나타내며,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15는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DAI score를 나타낸다.
도 16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길이를 관찰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7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길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8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조직 손상에 대한 조직학적 점수를 나타낸다.
도 19는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내 TNF-α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0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내 IL-1β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1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내 IL-6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의 배변 활동 개선효과 확인을 위한 연구의 진행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a, 23b는 본 발명의 대조식품군과 시험식품군 섭취에 따른 일차 유효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a, 24b는 임상약 투여 전후의 혈중 사이토카인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a, 25b, 25c는 임상시험 전후 대변 내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신규한 조합의 균주 혼합물 발굴
유아 분변, 김치, 치즈로부터 분리된 여러 가지 유산균 균주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각 균주 개별 효능을 스크리닝 하였으며 또한 여러 균주들을 다양한 조합으로 이용하여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 효능에 있어서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유아 분변으로부터 분리/ 기탁번호 KCTC 10923BP),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김치로부터 분리/ 기탁번호 KCTC 13586BP)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유아 분변으로부터 분리/ 기탁번호 KCTC 13587BP)의 3종 균주 조합에 대하여 예기치 못한 상승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뿐만아니라 염증성 장질환에 대해 약리적 측면에서 실질적인 치료 효능이 현저함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 제시하는 데이터들은 본원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의 균주 조합이 예기치 않은 발견을 입증한다.
실시예 2: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혼합물)의 항염증 상승 효과 확인, 및 이의 균주 조합 특이성 비교
2-1.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혼합물)의 구성 균주 조합 특이성 확인, 및 항염증 효과 비교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도 1에서 No.6),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도 1에서 No.7)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도 1에서 No.14) 각각을 MRS broth에서 2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후, 10,000×g로 15분간 원심분리를 통해 균체를 수집하였다. 균체를 1X PBS 완충액으로 두 번 세척한 후, 시료를 100℃에서 10분간 가열(heat-killed)하여 사균화 한 후 항-염증 효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상기 사균화된 각 균주들을 CFU 기준 1 : 1 : 1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3종 유산균에 대한 사균 혼합물이 제조되었다.
본원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혼합물) 구성 균주와 동일한 종(species)의 다른 유산균들을 이용하여 본원 발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양한 혼합물(즉, 종은 같고 구체적 strain만 달리한 혼합물들)들을 제조하여, 효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대표적 일례로서 도 1, 도 3 및 도 5는 본원 발명과 동종의 Type 균주 혼합물(Lactobacillus johnsonii KCTC 3801T,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T,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IDCC KCTC 3219T)에 대한 실험한 결과를 보여준다.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FBS, Atlas,Fort Collins, CO, USA) 및 1% penicillin (Sigma-Aldrich, St. Lousi, MO, USA)을 포함한 phenol red-free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BRL, Gaithersburg,MD,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혼합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배양한 Raw 264.7 cell을 스크래퍼(scrapper) 혹은 trypsinize를 사용하여 회수한 뒤, 15 ml falcon tube에 넣고 5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한 뒤 1 ml의 완전배지(complete media)를 넣어 재현탁시켜 1 ml당 세포수를 계수하였다. 6-well plate의 각 well에 희석한 세포 용액을 2 ml씩 넣고 24시간 overnight하여 배양하였다. 6-well plate에서 각 well의 배지를 sucktion한 후 PBS로 washing하였다. 새 배지를 2 ml씩 분주한 후, 모든 well에 LPS를 4ul씩(최종 LPS 농도는 2 ul/ml) 처리하고 1번째 well에는 1m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양성대조물질(positive control)로 20 ul (최종농도 10 uM/ml) 처리하였다.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 으로 PBS를 처리하였으며, 나머지 well에는 LPS를 처리하고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1X105 ~ 1X107 cell/mL의 농도 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overnight하여 배양 하였다. 각 well의 배양액을 15 ml falcon tube에 옮겨 담은 후, 9,5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각 tube의 상등액을 따로 회수하여 사이토카인 실험에 사용하였다. 염증성 사인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으로서 대표적으로 TNF-α, IL-6, IL-1β 생성에 대한 억제 여부를 ELISA kit (R&D system)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혼합물)을 처리하였을 시에 이를 구성하는 개별 균주를 단독 사용할 때 대비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효과(즉, 항염증 효과)가 현저히 상승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 일례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도 1에 Mix로 표기)의 처리에 의해 TNF-α 수준이 덱사메타손 처리군과 동등한 수준으로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상기 감소 효과는 개별 균주가 단독으로 처리될 시와 비교하여 현저히 상승된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아니라 도 1, 도 3 및 도 5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종의 다른 균주들을 이용한 혼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TNF-α, IL-6, IL-1β 생성 억제 효과가 상당히 적었던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혼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용량 의존적으로 항염증 효과가 현저히 나타났으며, 특히 1X107 cell/mL 투여 군에서는 덱사메타손과 동등 내지 유사한 수준으로 항염증 효과가 나타났다(도 1, 도 2 및 도 4 참조).
2-2. 구성 균주의 NO 생성 억제능력 비교
유아 분변, 김치 및 치즈로부터 분리된 여러 가지 유산균 균주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각 균주 개별 효능을 비교한 결과로서, 대표적으로 도 6은 NO(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능에 대한 개별 균주 효능을 비교 실험 결과를 보여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도 1 및 도 6에서 No.6),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도 1 및 도 6에서 No.7)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도 1 및 도 6에서 No.14)를 포함하여 대표적 몇가지 균주들에 대한 실험결과를 비교적으로 보여준다.
실험방법은 간단히 다음과 같다. 각 유산균들을 전술한 일반적인 배양 방법으로 배양하고, 배양 종료 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수득하고, 100℃에 서 15분동안 열탕 처리(heat-killed)하는 방식으로 사균화하였다. RAW 264.7 세포(1×105/mL)를 DMEM에서 먼저 배양하고, LPS(2 μl/ml) 및 각각의 heat-killed된 균체들(1×10 cell5/mL)을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NO의 농도는 Griess 시약(Sigma, USA)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세포 배양액 상층액 내의 아질산염 양을 측정함으로써 조사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처리되어 24시간동안 인큐베이션된 RAW264.7 세포배지로부터 수득한 150 μL의 세포 배양액 상층액과 150 μL Griess 시약을 혼합한 후, 1,000 x 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고, 이어서 상온에서 10분간 배양하였다. 흡광도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95 nm에서 측정하였으며,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을 통해 형성된 검량선(calibration curve)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본 발명의 구성물인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도 1 및 도 6에서 No.6),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도 1 및 도 6에서 No.7)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도 1 및 도 6에서 No.14)은 다른 유산균 균주들과 비교하여, NO 생성 억제 능력이 현저히 우수하였다(도 6 참조).
실시예 3: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생균 제제의 in vivo IBD(inflammatory bowel disease) 치료 효능 확인 & IBD 치료제 화합물인 설파살라진(sulfasalazine)과 효능 비교
실험방법
1)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생균 제제 제조
실험에 사용된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생균 제제는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KCTC 10923BP),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KCTC 13586BP)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KCTC 13587BP)의 세가지 생균 균주를 CFU(colony-forming unit) 기준 1 : 1 : 1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각 생균 균주는 2x1012 CFU/g 씩 함유되었다. 각각의 박테리아는 대수기(exponential phase)가 될 때까지 37℃에서 16시간 동안 성장 배지에서 배양된 된 후, 동결 건조기에서 상기 박테리아 펠렛(pellet)을 보관하여 동결 건조시켰다(진공 하에서 -80℃ 조건, overnight). 동결 건조된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는 사용 시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2) 실험동물
암컷 BALB/c 마우스(8 주령)를 Orient Bio(Seongnam, Republic of Korea)로부터 구입하였다. 케이지 당 5 마리의 동물을 12/12 h light/dark cycle의 환경 제어 시설(온도 22℃±2℃, 습도 55%±5%)에 수용시켰다. 동물 관리 및 치료는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nimal Research and Care’가 제정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일동제약 회사(Ildong Pharmaceutical Co., Ltd)의 동물실험 윤리 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승인 번호 : A1611-2)의 승인을 받았다.
3) 마우스 대장염 모델
DSS(분자량 36-50 kDa/ MP biochemicals, Santa Ana, CA, USA)에 의해 유도 된 마우스 대장염 모델을 본 연구에 사용 하였다. 7일간의 적응기간 후,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우스를 7 그룹으로 나누고(그룹 당 마우스 10마리씩), 초기 체중(BW)의 평균을 비슷하게 조절했다. DSS를 음용수에 3.5%(w/v)의 농도로 용해시키고,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 마우스에게 day-0 부터 day-8 까지 공급 하였다. 동물은 물과 식이를 자유롭게 섭취 하였다.
vehicle group 마우스들에는 200㎕의 증류수(DW)가 경구투여되었다.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는 106 CFU/mice/day - 109 CFU/mice/day 용량 범위로, 양성 대조군으로서 sulfasalazine(Tokyo chemical industry, Tokyo, Japan)은 500mg/kg(BW)/day농도로, DW에 현탁시킨 후 vehicle group과 동일한 부피 및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되었다. 하기 표 1은 각 실험군 및 대조군에 대한 물질 처리 조건을 요약하여 나타낸다.
Figure 112020066211574-pat00001
각각의 마우 스에 대하여 하루에 한번씩 BW(체중)와 대변 상태를 관찰하였으며, 기존에 공지된 방법과 같이 하기 표 2에 기재된 기준에 따라 DAI(disease activity index) score를 산출하였다. 하기 표 2에 따라 산출될 수 있는 최대값은 12였다. 이산화탄소 가스로 안락사 시킨 후, 회맹 접합부(ileocecal junction)로부 터 항문까지의 대장(결장)을 적출하여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장내 잔류 소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하였다. 원위결장의 3분의 1을 10% 포름알데히드 용액으로 고정시키고, 병리조직학적 분석에 사용하였다. 나 머지 3분의 2 원위결장 조직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수 준을 측정하기 위한 단백질 추출에 사용되었으며, 사용 시까지 -80℃에 보관되었 다.
Figure 112020066211574-pat00002
4) 조직학적 분석
결장 조직을 10 % 중성 완충 포름알데히드(neu tral buffered formaldehyde) 용액으로 고정시키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파라핀 포매(paraffin embedding)처리하였다. 파라핀 포매된 조 직 절편(section)을 4μm의 두께로 절단하고 헤마톡실린&에오신(H & E)으로 염색하였다. H&E 염색된 대장 조직을 Nikon ECLIPSE 50i 광학 현 미경(Nikon, Tokyo, Japan)을 사용하여 100x 및 200x 배율로 관찰하였으며, 표 3(Histological Scoring System)에 기재된 것과 같이 기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파 라미터들에 따라 두 명의 병리학자가 조직학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표 3에 따라 3 개의 파라미터들 각각을 합산하여 계산되는 최대 score는 10이었다.
Figure 112020066211574-pat00003
5) 대장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준 측정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첨가한 RIPA buffer(Upstate, Temesula, CA, USA)을 사용하여 결장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결장 조직에 RIPA buffer 300㎕를 첨가한 후, 조직을 얼음 위에서 1분간 균질화시키고, 4 ℃에서 15 분 동안 20,000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수집한 후, bicinchoninic acid protein assay reagent kit (Pierce, Rockford, IL, USA)를 이 용하여 정량화하였다. ELISA kit(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이용하여, 대장 조직 내 TNF-a, IL-1b 및 IL-6과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수준을 검출하였다. 각 사이토카인들 값은 각각의 결장 단백질 샘 플의 총량에 대해 보정되었다.
6) 통계적 분석
결과들은 평균±표준오차로서 제시되며, 각 결과들은 통계 분석 시스템인 Prism 7(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 USA)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모든 결 과는 적어도 세 번의 독립적인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vehicle group과 각 치료군 간의 통계적 비교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및 후속하는 Dunnett’s test에 의해 수행되었다. P value < 0.05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실험결과
3-1. in vivo에서 대장염 증상에 대한,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의 효과
대장염 중증도를 확인하기 위해, 하루에 한 번씩 각 마우스의 BW와 배변 상태를 관찰하여 DAI 점수를 기록했다. 생쥐에게 제공된 DSS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혈변 및 설사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고, 반면, BW(body weigth, 체중)는 점차적으로 감소했다. vehicle group에서는 실험 4일째부터, DAI score가 꾸준히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의 투여는 용량-의존적으로 DAI score를 감소시켰으며(도 7 참조), 체중 감소 방지, 배설물 외관 개선 및 혈변의 개선효과 를 나타냈다.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108 CFU/mice/day 또는 109 CFU/mice/day 용량으로 투여한 군의 DAI score는 sulfasalazine 투여 그룹의 DAI sore와 유사하였다.
대장염을 유발한 마우스에서는 대장 길이가 정상군보다 짧았다. 이 러한 대장길이 단축 증상은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에 의해 용량 의존적으로 방지되었으며,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108 CFU/mice/day 또는 109 CFU/mice/day용량 투여군에서 와 sulfasalazine 투여 그룹 간에 동등한 효과 양상을 보였다(도 8 및 도 9 참조).
3-2.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가 대장 조직학적 파라 미터에 미치는 영향
DSS로 유발시킨 대장염의 조직학적 손상 중증도를 평가하기 위 해, 현미경을 사용하여 H&E 염색된 결장 조직을 관찰하였으며, 조직 학적 점수(histologic score)를 측정했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vehicle group에서 점막 및 점막하 조직 내 염증 세포의 침윤, 심각한 장 음와(crypt) 손상, 술잔세포(goblet cell) 및 상피 세포의 소실이 관찰되었다. 또한 조직학적 점수는 7.2±0.6으로 증가 하였다. 반면, sulfasalazine 투여 그룹에서의 조직학적 점수는 급격히 감소되었다.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처리군에서는 조직학적 점수가 용량 의존적으로 감 소했다. 특히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108 CFU/mice/day 투여군 및 109 CFU/mice/day 투여군에서 대장 손상의 조직학적 점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각 각 5.2±0.5 및 4.9±0.6), 이는 sulfasalazine 투여 그룹에서와 유사한 수준이었다(4.5±0.5).
3-3. 대장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 matory cytokine)의 발현에 대한,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의 효과
염증 반응과 관련된 대장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검출하기 위해, ELISA를 수행 하였다. 대표적으로 TNF-α, IL-1β 및 IL-6의 세가지 전염증성 사 이토카인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였으며, 이들은 대장염 병리학에 있어 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사이토카인들의 발현 수준은 대장 염 병리 상태에서 증가된 상태였지만,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투 여에 의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su lfasalazine 투여 그룹과 비교하여도,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109 CFU/mice/day 투여 그룹은 유사한 억제 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4 : IBD에 대해 승인된 기존 시판 프로바이오틱스 제품과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의 염증성 장질환 치료 효능 비교 평가
실험방법
현재 국내에서 최초이자 유일하게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장 면역을 조 절해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개별 인정받은 프로바이오틱 스 제품인 V사의 유산균 제제를 사용하여, 염증성 장 질환(IBD) 개선 에 대한 효과를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생균 제제(혼합물)과 비교하였 다. 상기 V사의 유산균 제제는 한포에 총 약 4,500억개(4.5× 1011균수/1포)의 생균으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체적으 로 Lactobacillus paracasei DSM 24734, Lactobacillus plantarum DSM 24730, Lactobacillus acidophilus DSM 24735,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DSM 24734, Bipidobacterium longum DSM 24736, Bipidobacterium breve DSM 24732, Bipidobacterium infantis DSM 24737, 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DSM 24731의 8종의 생균 균주가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 다.
시험군 구성은 하기 표 4와 같이 수행되었으며, 이때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생균 혼합물로서 전술한 3종 균주를 CFU 기준 1: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대표적으로 실험에 이용하였다.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건 이외에, 나머지 실험 방법은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군(group) 동물수 식음수 투여
경로
투여액량 투여량
Normal Control 10 1차
증류수
p.o 10 mL/kg/day 0 mg/kg/day
Vehicle 10 3.5% DSS가 첨가된 1차증류수 p.o 10 mL/kg/day 0 mg/kg/day
V사 유산균 제제 10 p.o 200ul/mouse/day 5.4x108CFU/day
본 발명 10 8 10 p.o 200ul/mouse/day 108CFU/day
본 발명 10 9 10 p.o 200ul/mouse/day 109CFU/day
실험결과
4-1. in vivo에서 대 장염 증상에 대한 효과 비교
실험결과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종 유 산균 제제 및 V사 유산균 제제 투여군에서 체중 감소 방지, 배설물 외관 개선 및 혈변의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DAI score가 감소되었다. 특히, 대표적으로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108 CFU 투여군을 비교하여보면, V사 유산균 제제 5.4 X 108 CFU 투여군 대비 더 낮은 CFU 용량으로 투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DAI socre가 상기 V사 유산균 제제와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뿐만아니라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는 대장염에 의한 대장길이 단축현상을 방지 내지 개선하는 효과가 현저함을 확인 하였다.
4-2. 대장 조직학적 파라미터 비교
대표적으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vehicle group에서 점막 및 점막하 조직 내 염증 세포의 침윤, 심각한 장 음와(crypt) 손상, 술잔세포(goblet cell) 및 상피세포의 소실이 관찰된 반면,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처리군 및 V사 유산균 제제 투여군에서는 대장 손상의 조직학적 점수가 감소되어 대장 조직의 회복 효과를 보였다. 특히, 대표적으로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108 CFU 투여군을 비 교하여보면, V사 유산균 제제 5.4 X 108 CFU 투여군 대비 더 낮은 CFU 용량으로 투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V사 유산균 제제와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으로 대장 손상의 예방 또는/및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4-3. 대장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에 대한 효과 비교
대표적으로 도 19,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증 반응과 관련된 대장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검출하기 위해 ELISA를 수행한 결과, 대장염 병리상태에 서 증가된 TNF-α, IL-1β 및 IL-6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이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처리군 및 V사 유산균 제제 투여군에서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표적으로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108 CFU 투여군을 비교하여보면, V사 유산균 제제 5.4 X 108 CFU 투여군 대비 더 낮은 CFU 용량으로 투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V사 유산균 제제와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으로 대장 손상의 예방 또는/및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 섭취에 따른 배변 활동 개선효과 확인
1. 연구방법
가. 연구목적
변비, 설사, 복통 복부불편감 등 배변 증상 이상을 호소하는 성인에서 상기 실시예 2의 3종 유산균 제제(이하“ID-JPL934”이라 표시한다) 섭취에 따른 배변 활동 개선효과를 확인
나. 연구디자인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 병행그룹 임상연구
다. 시험식품 및 섭취량
ID-JPL934:1010 CFU/day
라. 대상자 주요 선정 기준
-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하고, 서면 동의서에 서명한 자
- 만 18세 이상 80 이하의 성인남녀
- ROME III 기준에는 부합하지 않는 자 (치료가 필요한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의 주 섭취대상은 반건강인과 건강인이며, 인체의 정상기능 유지 및 개선이 건강기능식품의 주요 섭취 목적임. 따라서, 건강기능식품은 의약품과 달리 질병의 치료 목적이 아니라 생체 기능의 활성화를 통해 질병 발생의 위험을 낮추거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는 것이 목적임. 이에 ID-JPL934 임상대상자는 “변비·설사·복통·복부불편감 등 배변 증상 이상을 호소하는 성인”으로 대상을 수정·변경
- 신경, 정신계통에 문제가 없으며 자기 의사를 분명히 할 수 있는 자
- 5년 이내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 또는 연구 참여 후 대장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대장에 기질적으로 이상이 없는 것이 확인된 자 (5년 이내 타 병원 기록이 확보된 경우 이를 이용할 수 있음)
- 외과적으로 불임인 여자 또는 임신 진단 검사 (urine-hCG 또는 serum b-hCG) 결과 음성인 가임 여성. 시험기간 중 적절한 피임법 (예를 들어, 경구 피임약, IUD, 이중피임법 (double-barrier method) 또는 호르몬 이식)을 통해 시험 기간 동안“임신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가임 여성 또는 이에 동의한 남성
- 본 시험에 자발적으로 서명 동의한 자
마. 대상 환자 수: 112 명 (각 군당 56명)
바. 연구 방법
: 자의에 의해 인체적용시험 동의서에 서명한 지원자는 대상자 선정, 제외 기준에 의해 적합여부를 판정 받는다. 선정 대상자는 등록된 순서에 따라 대조군 또는 시험군으로 무작위 배정되고, 8주간 대조군(옥수수전분) 또는 시험식품 (10^10 CFU/Day)을 섭취한다. 0, 4, 8주에 대상자의 관련 바이오마커를 분석한다.
사. 기능성평가 항목
(1) 주 유효성 평가 변수 (Primary endpoint)
① 개별 증상을 포괄적으로 종합하였을 때 증상 개선 효과에 대한 만족도
② 대조식품군과 시험식품군에서 종료시점(8주)의 평균값 비교
(2) 2차 유효성 평가 변수 (Secondary endpoint)
① 복통, 변비, 설사, 복부팽만, 변실금, 과도한 방귀 등 증상의 VAS(0-10점), 변의 성상의 변화
② 염증사이토카인(IL-1β, IL-6, TNF-α, IFNγ,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C-reactive protein (CRP) 등) 측정
③ 대사증후군관련 지표 (lipid panel: total cholesterol, LDL, HDL, TG, fasting glucose, HbA1C)
(3) 자료 분석 및 통계 분석 방법
본 연구는 특별한 명시가 없는 경우, 통계 검정의 유의수준을 0.05로 설정하여 양측검정을 원칙으로 한다. 임상시험용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대조식품 투약 순응도가 80% 미만인 환자는 PP 분석에서 제외시키고, ITT 분석에 포함한다.
아. 안정성평가 항목
- 이상반응, 활력징후, 임상병리검사
2. 연구수행 및 모니터링
- 스크리닝: 117명, 스크리닝 탈락: 5명, 등록: 112명
- 검체 및 동의서, 설문지 획득 -> 증례기록지 및 설문지 임상데이터 DB 확보
이상반응: 3명 (경미한 이상 반응),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음
- 대변 검체 미생물총 및 세포밖 소포체 (extracellular vesicle) 메타제놈(metagenome) 분석
- ID-JPL934의 세균주 (Lactobacillus johnsonii DICC9203, Lactobacillus plantarum IDCC 3501, Bifidobacterium lactis IDCC 4301)가 장 내에서 생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세 균주에 대한 qPCR 분석을 시행
- 섭취 전후 혈중 염증 사이토카인 (IL-6, TNF-alpha)의 변화를 확인
- 이들 자료 분석이 완료된 후 맹검 해지 시행: ID-JPL934 시험군과 대조군에 있어서 섭취 8주 후에 개별 장 증상을 포괄하는 전반적인 증상개선 효과에 대한 만족도 비교 평가, 2차 유효성 평가 항목인 배변 이상 증상의 VAS (Visual analogue scale) score 감소효과 및 삶의 질 변화, 섭취 전후의 대변 내 세균 조성의 변화, 마지막으로 섭취 전후의 혈액 내 염증사이토카인 변화를 포함하여 분석
3. 연구결과
(1) 연구 분석은 ID-JPL934 군 54명, 위약군 50명에 대해서 이루어짐: 연구 진행 흐름도는 [도 22]와 같다.
(2) 연구대상자의 baseline characteristics (표 5)
양 군 간에 기본 특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다. 특히 6가지 (방귀 제외) 장 증상점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D-JPL934 group Placebo group P-value
(n=56) (n=56)
Age 38.9 ± 12.2 37.3 ± 1.7 0.467
Male, n (%) 14 (25.0) 21 (37.5) 0.259
Smoker, n (%) 7 (12.5) 5 (9.1) 0.795
Drinker, n (%) 30 (53.6) 38 (69.1) 0.178
Blood pressure
Systolic BP (mmHg) 121.6 ± 9.79 120.9 ± 13.0 0.743
Diastolic BP (mmHg) 74.8 ±7.4 74.1 ± 8.4 0.634
Body mass index (Kg/m2) 27.9 ± 4.1 27.4 ± 4.5 0.553
Stool form (BSFS)* 4.14 ± 1.58 4.00 ± 1.75 0.653
Abnormal bowel movement symptoms
Stool frequency/day 1.47 ± 1.04 1.52 ± 1.12 0.808
Abdominal pain 2.78 ± 1.64 2.96 ± 1.71 0.576
Abdominal discomfort 3.03 ± 1.54 3.03 ± 1.75 0.955
Constipation score 2.08 ± 1.79 2.55 ± 2.35 0.243
Diarrhea score 2.78 ± 2.64 2.85 ± 3.02 0.894
Abdominal bloating 3.30 ± 2.13 3.51 ± 2.68 0.641
Flatulence 3.05 ± 2.11 4.00 ± 2.55 0.035
Dietary intakes
Calories (kcal/day) 1671.8 ± 448.7 1585.2 ± 388.8 0.280
Carbohydrate (g/day) 231.9 ± 65.9 229.0 ± 63.4 0.815
Fat (g/day) 50.2 ± 18.7 44.1 ± 14.1 0.055
Protein (g/day) 64.5 ± 20.8 60.9 ± 16.4 0.826
Dietary fiber (g/day) 17.4 ± 5.9 17.1 ± 6.3 0.316
Folate (μg/day) 334.1 ± 108.8 329.3 ± 103.1 0.810
Calcium (mg/day) 377.5 ± 155.7 345.3 ± 155.8 0.279
(상기 표에서 데이터는 평균 ± SD로 표시된다. P- 값은 카이-제곱 검정 (범주 형 변수) 또는 스튜던트 t- 검정 (연속 변수)에 의해 계산되었다. BMI, 체질량 지수; BSFS, 브리스톨 스툴 폼 스케일. 볼드체 스타일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3) 일차 유효성 평가: 8주 후 전반적인 증상 개선 (Improvement of overall symptoms at week 8)
- 양 군 모두 전반적인 증상 호전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위약 효과가 40% 정도임을 고려할 때 타당한 결과임)
- 하지만 ITT (도 23a) 및 PP (도 23b) 분석 모두에서 ID-JPL934 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상 개선 효과를 보였다 (p < 0.05)
(4) 이차 유효성 평가
- 섭취 전후로 8가지의 장 증상 (복통, 복부불편감, 복부팽만감, 배변횟수, 변의 형태, 변비, 설사, 방귀) 의 호전 여부를 확인하였을 때에도 양 군 모두에서 증상이 개선되는 경향성이 확인되나, 특히 ID-JPL934 군에서 복통, 복부팽만 증상 개선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임 (p < 0.05, 표 6).
두 그룹 간의 비정상적인 장 운동 증상의 변화 비교
  ID-JPL934 (n = 54) Placebo (n = 50) P-value
mean ± SD, n (%)* mean ± SD, n (%)*
Stool form (BSFS) 0.06 ± 1.73 -0.08 ± 1.77 0.694
Stool frequency/day 0.39 ± 2.08 0.31 ± 1.36 0.826
Abdominal pain -1.83 ± 1.96, 45 (83) -1.06 ± 1.65, 35 (70) 0.048
Abdominal discomfort -1.90 ± 1.82, 46 (85) -1.20 ± 1.80, 40 (80) 0.053
Constipation score -1.24 ± 2.24, 36 (66) -0.74 ± 2.36, 22 (44) 0.275
Diarrhea score -1.83 ± 2.50, 31 (57) -1.24 ± 2.66, 23 (46) 0.241
Abdominal bloating -2.03 ± 2.76, 44 (81) -0.84 ± 2.33, 38 (54) 0.020
Flatulence -1.59 ± 1.89, 52 (96) -1.44 ± 1.94, 46 (92) 0.685
(프로토콜별 분석. 스튜던트 t- 검정을 사용하여 P- 값을 계산하였다. *증상으로 반응한 연구 참가자의 수 (백분율)가 개선되었다. 볼드체 스타일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SD; 표준 편차)
(5) 임상약 투여 전후의 혈중 염증 사이토카인의 변화
- 양 군 모두 임상약제 투여 전 혈청 IL-6, TNF-alpha 수치가 정상 범위여서 전후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다(도 24a, 도 24b). 하지만 per-protocol 분석에서 IL-6의 경우 ID-JPL934 군에서 유의한 감소 경향을 보여주어 (p-value = 0.013) 프로바이오틱스 복용이 전신 염증 지표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할 가능성이 있다.
(6) 임상시험 전후 대변 내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변화
- 임상시험 전후 대변 내 세 균주 (JO9203; A, PL3501; B, LA4301; C)의 변화를 분석하였을 때, ID-JPL934군에서 JO9203 및 LA4301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 <0.05, 도 25a, 도 25b, 도 25c). 아마도 PL3501의 경우 한국인이 김치 섭취량이 많기 때문에 식이를 통해 섭취되는 비율이 있어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적어도 ID-JPL934의 세 균주 중 적어도 두 균주는 장내에서 생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특유의 3종 유산균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성 장 질환(IBD)과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현저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인 특성상, 부작용의 위험성이 매우 적은 안전한 조성물로서 큰 장점을 지니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9)

  1.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는 각각 생균 또는 사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는 각각 생균 또는 사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7.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8.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078483A 2019-06-27 2020-06-26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KR102475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422 2019-06-27
KR20190077422 2019-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32A KR20210002032A (ko) 2021-01-06
KR102475432B1 true KR102475432B1 (ko) 2022-12-07

Family

ID=7405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483A KR102475432B1 (ko) 2019-06-27 2020-06-26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409677A1 (ko)
EP (1) EP3991739A4 (ko)
JP (1) JP7434375B2 (ko)
KR (1) KR102475432B1 (ko)
CN (1) CN114786692A (ko)
AU (1) AU2019454505B2 (ko)
BR (1) BR112021026278A2 (ko)
CA (1) CA3145236C (ko)
IL (1) IL289377A (ko)
WO (1) WO2020262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1039A (zh) * 2021-01-14 2021-07-23 江南大学 一株缓解溃疡性结肠炎的植物乳杆菌及其应用
KR102268128B1 (ko) * 2021-02-09 2021-06-22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모유 유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m1071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CA3225609A1 (en) * 2021-08-19 2023-02-23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ostbiotic
CN117769429A (zh) * 2021-08-19 2024-03-26 雀巢产品有限公司 后生元
CN114276958B (zh) * 2021-12-20 2023-06-27 无锡弘焕微生态科技有限公司 具有抗炎功效的三重益生菌发酵复合物的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058B1 (ko) * 2012-09-19 2014-12-16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96901A1 (en) * 2012-12-18 2014-06-26 Compagnie Gervais Danone Strain of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animalis
WO2016136942A1 (ja) 2015-02-27 2016-09-01 株式会社明治 大腸炎抑制剤
ES2940415T3 (es) 2016-11-11 2023-05-0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ioles basados en policarbonato
KR20190048739A (ko) * 2017-10-31 2019-05-09 일동제약(주)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아디씨씨 9203 및 이의 용도
KR20190048732A (ko) * 2017-10-31 2019-05-09 일동제약(주) 염증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아이디씨씨 9203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益生菌和泡菜乳酸菌公開介紹會隆重召開(2018.09.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454505B2 (en) 2023-07-20
US20220409677A1 (en) 2022-12-29
CA3145236C (en) 2024-03-26
WO2020262755A1 (ko) 2020-12-30
CN114786692A (zh) 2022-07-22
JP2022539139A (ja) 2022-09-07
JP7434375B2 (ja) 2024-02-20
IL289377A (en) 2022-02-01
BR112021026278A2 (pt) 2022-03-03
KR20210002032A (ko) 2021-01-06
EP3991739A4 (en) 2023-07-05
EP3991739A1 (en) 2022-05-04
AU2019454505A1 (en) 2022-02-17
CA3145236A1 (en)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432B1 (ko)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Rosenfeldt et al. Effect of probiotics on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small intestinal permeability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RU2767967C2 (ru) Применение пробиотиков для лечения и/или профилактики псориаза
EP2496241B1 (en) Method for reducing gastro-intestinal inflammation using bifidobacterium animalis bacteria or a fermented dairy product comprising such bacteria
US20230048705A1 (en) Use of probiotics in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atopic dermatitis
RU2671209C2 (ru) Lactobacillus rhamnosus rht-3201, конъюгированные с полисахаридным полимерным связующим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атоп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JP2010521136A (ja) 腸内細菌叢改善用組成物
US20240156881A1 (en) Lactococcus Bacteria and Uses Thereof
DE102010009582A1 (de) Mittel zur Anwendung bei Lactasemangel und Lactoseintoleranz
JP5945092B2 (ja) 中性脂肪低減剤
WO2012073924A1 (ja) 子宮内膜症の予防及び/又は改善剤及びこれを含んでなる飲食品組成物
CA2812909C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ugmenting kidney function
US11369647B2 (en) Probiotics for inhibiting and preventing progression of renal disease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ng and preventing progression of renal diseases comprising same
RU2769312C2 (ru) Использование молочнокислых бактерий для лечения или профилактики гестационного сахарного диабета
US11179426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intaining healthy kidney function
WO2011099875A1 (en) Use of lactic acid bacteria to treat or prevent rhinitis
US20230190839A1 (en) Compositions and combinations for subjects suffering from endometriosis
CN106974940B (zh) 厚壁菌类益生菌在治疗和预防肥胖及其相关疾病中的应用
KR101080378B1 (ko) 클루베라마이세스를 함유하는 알러지, 염증 또는 천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7343869A (zh) 一种动物双歧杆菌在制备降低心脏瓣膜手术术后并发症的产品中的应用
KR20230153832A (ko) 리모실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95 균주를 포함하는 혈당 저하용 조성물
JP5815105B2 (ja) 中性脂肪低減剤
KR20210023972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