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62755A1 -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62755A1
WO2020262755A1 PCT/KR2019/009117 KR2019009117W WO2020262755A1 WO 2020262755 A1 WO2020262755 A1 WO 2020262755A1 KR 2019009117 W KR2019009117 W KR 2019009117W WO 2020262755 A1 WO2020262755 A1 WO 20202627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present
subspecies lactis
animalis subspecies
bifidobacter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91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문진석
김태윤
권혁상
Original Assignee
일동제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동제약(주) filed Critical 일동제약(주)
Priority to AU2019454505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9454505B2/en
Priority to US17/622,177 priority patent/US20220409677A1/en
Priority to EP19935091.9A priority patent/EP3991739A4/en
Priority to JP2021577227A priority patent/JP7434375B2/ja
Priority to BR112021026278A priority patent/BR112021026278A2/pt
Priority to CA3145236A priority patent/CA3145236C/en
Priority to CN201980099516.7A priority patent/CN114786692A/zh
Publication of WO20202627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62755A1/ko
Priority to IL289377A priority patent/IL2893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62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1/423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6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3/36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2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4/123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36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9/363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6Anti-spasmodics, e.g. drugs for colics, esophagic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51Johnsoni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2035/11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living procariotic cells
    • A61K2035/115Probiotic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probiotic composition for regulating intestinal immunity, and more specifically, Lactobacillus johnsonii , Lactobacillus plantarum ,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rock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It is for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 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 UC ulcerative colitis
  • CD Crohn's disease
  • ulcerative colitis mainly invades the mucous membrane, and the cause of the large intestine, which often forms patting or ulcers, is unknown.
  • UC ulcerative colitis
  • Crohn's disease Crohn's disease
  • Stenosis and lesion
  • the cause of the inflammatory bowel disease has not been specifically identified yet, but it is known that abnormalities in immune function are involved, and immunological factors involved in this include innate immunity, production of cytokines, activation of CD4, etc. This is known. In particular, cytokines are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and tumor nerosis cytokine (TNF- ⁇ ), interluekin (IL)-1, IL-6, and IL-8 production at the site of inflammation are ulcerativ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colitis and Crohn's disease.
  • TNF- ⁇ a major pro-inflammatory cytokine
  • Anti-TNF- ⁇ antibodies such as infliximab and adalimumab have been approved to treat patients with severe colitis, because inhibition of TNF- ⁇ is highly effective in regulating intestinal immunity by preventing apoptosis of mucosal T lymphocytes (non- Patent Document 1).
  • IL-1 ⁇ recruits granulocytes, causes colon inflammation, activates CD4+ Th17 cells, and secretes IL-17 (Non-Patent Document 2). It is known that neutrophil infiltration is fundamentally necessary for the progression of chronic inflammation.
  • IL-6 promotes neutrophil migration to the colitis (colitis) area (Non-Patent Document 3).
  • drugs used to treat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clude steroidal immunosuppressants, 5-aminosalicylic acid (5-ASA) drugs that block the production of prostaglandins (e.g., sulfasalazine). , Mesalazine, etc. are being used.
  • 5-ASA 5-aminosalicylic acid
  • anti-inflammatory agents and immunosuppressants are prescribed to alleviate colitis, but it is well known that there are undesirable side effects such as nausea, vomiting, headache, hemolytic anemia, and male infertility.
  • Non-Patent Document 1 Atreya R, Zimmer M, Bartsch B, et al.: Antibodies against tumor necrosis factor (TNF) induce T-cell apoptosi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s via TNF receptor 2 and intestinal CD14(+) macrophages. Gastroenterology 2011;141:2026-2038.
  • TNF tumor necrosis factor
  • Non-Patent Document 2 Coccia M, Harrison OJ, Schiering C, et al.: IL-1beta mediates chronic intestinal inflammation by promoting the accumulation of IL-17A secreting innate lymphoid cells and CD4(+) Th17 cells. J Exp Med 2012;209:1595-1609.
  • Non-Patent Document 3 Wang Y, Wang K, Han GC, et al.: Neutrophil infiltration favors colitis-associated tumorigenesis by activating the interleukin-1 (IL-1)/IL-6 axis. Mucosal Immunol 2014;7:1106-1115.
  • IL-1 interleukin-1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xtensive research efforts to develop a safe and effective therapeutic agent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effec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was remarkably increased by using the combination of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unique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such an effect is at an excellent level even compared with sulfasalazine, which is commonly used as a drug for treating IBD.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johnsonii , Lactobacillus plantarum ,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Lactobacillus Johnson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ctive ingredient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Johnson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n active ingredient. will b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Lactobacillus johnsonii) for preparing a prepara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 It is to provide a use of a composition containing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n active ingredient.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n effective amount to an individual in need thereo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for preparing an anti-inflammatory agent. ) To provide the use of the composi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n active ingredient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inhibiting inflamma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n effective amount of the compound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johnsonii ( Lactobacillus johnsonii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as.
  •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johnsonii ( Lactobacillus johnsonii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sisting of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johnsonii ( Lactobacillus johnsonii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plantarum ),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sisting essentially 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Lactobacillus Johnson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ctive ingredients Provid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Lactobacillus Johnson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ctive ingredien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sisting essentially of Lactobacillus Johnson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ctive ingredients.
  • 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Johnson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ctive ingredients Provides.
  • 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nsisting of Lactobacillus Johnson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n active ingredient.
  • 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nsisting essentially of Lactobacillus Johnson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ctive ingredi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no for preparing a prepara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It provides the use of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Malis subspecies lactis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ctive ingredients It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n effective amount of a composition comprising it to an individual in need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for preparing an anti-inflammatory agent. It provides a use of a composition containing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t provides a method for inhibiting inflamma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n individual in need thereof an effective amount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s an ingredient.
  • the term'compri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same way as'containing' or'as a feature', and does not exclude additional component elements or method steps that are not mentioned in the composition or method. .
  • the term'consisting of' is used in the same way as'consisting of', and means excluding additional elements, steps, or ingredients that are not separately described.
  • the term'essentially consisting of' or'essentially consisting of' means, in the scope of a composition or method, a component element or step that does not substantially affect its basic properties in addition to the described component elements or steps. Means to include.
  • range value includes the corresponding boundary value, that is, it means that all values above the lower limit and below the upper limit are included.
  • the description of the range form is merely for convenience and simplicit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an inflexible limitation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scription of a range should be considered to specifically disclose all possible subranges, as well as individual numerical values within the range.
  • a description of a range such as 7 to 170 may refer to individual values within the range, e.g. 9, 27, 35, 101, and 155, as well as 10 to 127, 23 to 35, 80 to 100, 50. It should be regarded as specifically disclosed subranges such as to 169 and the like. This applies regardless of the width of the range.
  • probiotics is defined as a microorganism that gives a health benefit to a host when administered in an appropriate amount.
  • the established safety and beneficial effects on human health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probiotics as substitutes or supplements for medicines.
  • the advantage of probiotics is that they have few side effects.
  • the present inventors screened the individual efficacy of each strain in various aspects targeting various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isolated from infant feces, kimchi, and cheese, and also performed efficacy evaluation in various aspects using various strains in various combinations.
  • the present inventors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KCTC 10923BP),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KCTC 13586BP) and Bifidobacterium
  • KCTC 13587BP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 KCTC 13586BP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 Bifidobacterium When the combination of three strains of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KCTC 13587BP) was used in combination, an unexpected synergistic effect was specifically confirmed in anti-inflammatory efficacy, as well as practical therapeutic efficacy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in terms of pharmacology.
  • 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uperior to that of sulfasalazine, a known IBD treatment drug.
  • the characteristics of probiotics are strain-dependent even in bacteria of the same species, and considering that it is difficult to prepare a composition that exhibits excellent performance for all probiotic requirements, the composition of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markable effect identified by the present inventors are technical.
  • the mixture of three strains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excellent therapeutic effects even at a smaller dose.
  •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johnsonii
  •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plantarum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or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osed of the above three strai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or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which is essentially composed of the three strains.
  •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Johnsoni IDCC9203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strain,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strain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ose IDCC4301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provides a probio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rain (in an effective amount), and also provides a probiotic composition consisting of the three strains (in an effective amount), and the 3 It provides a probiotic composition consisting essentially of a species strain (in an effective amount).
  •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Johnsoni IDCC9203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strain,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strain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the strain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lso providing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the three strains as an active ingredient. d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ctobacillus Johnsoni IDCC9203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strain,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strain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sisting of the strain, and also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sisting of the three strai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ctobacillus Johnsoni IDCC9203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strain,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strain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sisting essentially of the strain, and also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sisting essentially of the three strains.
  • The'inflammatory bowel disea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disease known in the art that an inflammatory condition in the intestine is a major pathology, but is preferably a group consisting of Croh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intestinal Behcet's disease, and ischemic enteritis. It may be selected from.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Johnsoni, Lactobacillus plantarum,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re formulated to exist in one container in the form of a mixture.
  • each of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may be packaged and provided in separate containers, but may be formulated to be administer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upon use.
  • the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ixture, and as an example of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johnsonii , Lactobacillus plantarum. ),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or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the disease) comprising a mixed lactic acid bacteria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effective amount of the colony forming unit (CFU) of each strain may be determined by the purpose (disea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or needs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according to the final formulation. Can be determined.
  • 1 ⁇ 10 5 to 1 ⁇ 10 15 (number of bacteria or CFU) per 1 g (or ml) of the total composition are added to each of the three strai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paring food or medicine It may be, and preferably, i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 ⁇ 10 6 to 1 ⁇ 10 13 ,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aily intake of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live cells or dead cells thereof is 1 ⁇ 10 5 to 1 ⁇ 10 10 CFU/kg, preferably 1 ⁇ 10 6 to 1 ⁇ 10 9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cells. It may be CFU/kg, and the intake may be taken once a day, or may be divided several tim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relative ratio of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provid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exhibits the desired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prevention/treatment/improvement effect)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ratio of L. johnsonii IDCC9203: L. plantarum IDCC3501: B.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is 1 ⁇ 100:1 ⁇ 100:1 ⁇ 100 based on cfu/g (or cfu/ml).
  • composition ratio of L. johnsonii IDCC9203: L. plantarum IDCC3501: B.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may be composed in a ratio of 1:7:2 based on cfu/g (or cfu/ml) units. .
  •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may be composed in a ratio of 1:1:1 based on cfu/g (or cfu/ml).
  •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live cells or dead cells, respectively.
  • Methods for treating bacteria to provide a probiotic preparation in the art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if the bacteria are in a living form, the provided for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fter culturing the strains, cell pellets are recovered, used as such, or processed by a desired means by, for example, concentration or/and freeze-drying, and added to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or edible products. Sometimes, probiotic formulations can be subjected to an immobilization or encapsulation process to improve longevity. Several bacteria immobilization or encapsulation techniques are known in the art.
  • the term “dead cells” refers to cells that have been sterilized by heating, pressurization, or drug treatment. If it is by the method of killing lactic acid bacteria known in the art,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dead cel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s an example, the dead 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duced by a method of killing (by heat treatment) including heat treatment.
  • the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only the live cells separated from the culture solution, or may be performed on the culture solution containing the living cells.
  •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a condition in which the properties of the cells are maintained and other general bacteria are sterilized, the temperature cond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performed at 80°C to 150°C, preferably 80°C to 110°C. I can.
  • the heat treatment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ndition in whi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obtain the desired manufacturing quality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condition, but may proceed from 5 minutes to 15 minutes as an example.
  • distilled water may be added to and mixed with live cells before the heat treatment.
  • the dead cells may be subjected to any additiona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dead cell preparation (formulation), and for example, concentration, drying, etc. may be performed.
  • the type of dry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hod used for drying lactic acid bacteria in the art, but may be, for example, hot (wind) drying or freeze drying.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Lactobacillus johnsonii , Lactobacillus plantarum ,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n anti-inflammato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Johnsoni IDCC9203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strain,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strain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provides an anti-inflammato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rai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live or dead cells of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described above alone, or may further contain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or diluents.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s a non-toxic composition that is physiologically acceptable and does not inhibit the ac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when administered to humans, and does not usually cause allergic reactions such as gastrointestinal disorders, dizziness, or similar reactions.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a carrier for oral administration or a carrier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 Carriers for o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lactose, starch, cellulose derivatives, magnesium stearate, stearic acid,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mammals including humans by any method. For example, it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for example, a coating metho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as a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route as described abov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known in the art as a freeze-dried powder, capsule, granule, tablet, pill, dragee, liquid, gel, syrup, slurry, suspension, wafer, etc. It can be formulated using a conventional method.
  • oral preparations may be provided by blending the active ingredient with a solid excipient and then adding a suitable adjuvant thereto and then processing it into a capsule or the like.
  • excipients examples include sugars including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and maltitol, and starches including corn starch, wheat starch, rice starch and potato starch, cellulose, Fillers such as celluloses including m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gelatin, and polyvinylpyrrolidone may be includ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nti-aggregating agent, a lubricant, a wetting agent, a flavoring agent, an emulsifying agent and a preservativ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foods in the usual sense, and can take all forms such as functional food, nutritional supplement, health food, and food additives. Include. Food compositions of this type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health functional food.
  • the term'health functional fo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and pills,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having useful functions for the human body.
  • “functionality” means obtaining useful effects for health purposes such as controlling nutrients or physiological effects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at the time of manufacture, it can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ingredi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 the formulation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be prepar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formulation recogniz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and unlike general drugs, it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side effects that may occur when taking drugs for a long period of time using food as a raw material. Is possible.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colora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etc. can do.
  • it may contain the flesh of the fruit.
  • These ingredi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Although the ratio of these additives is not very important, it is generally selected from 0.01 to 0.3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components.
  • the carbohydrates ar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sweetener natural sweeteners such as taumatin and stevia extract, and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can be used.
  •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may be generally about 0.01 to 0.04 g, preferab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provided in the form of fermented food.
  • Three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airy products, yogurt, curd (curd), cheese (eg, quark, cream, processed, soft and hard), fermented milk, milk powder, fermented products based on milk, ice cream, fermented grain products ( fermented cereal based product), milk based powder, beverages, dressings and pet food.
  • "edible product” is in the broadest sense, including all types of products, in all forms of provision, that can be consumed by animals, excluding pharmaceutical products and veterinary products herein.
  • examples of other edible products include meat products (e.g. liver paste, sausage, salami sausage or meat spreads), chocolate spreads, fillings (e.g.
  • dietary supplements also include nutraceuticals known as food extracts with medicinal efficacy on human health.
  • Animal dietary feed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 component of other food products.
  •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for preparing a prepara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lacti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above three strains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paring a prepara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s a prepara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It provides the use of a composition consisting essentially of the three strains as an active ingredient fo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ive amount of a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n individual in need.
  •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for preparing an anti-inflammatory agent It provides the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s an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three strains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paring an anti-inflammatory agent, and essentially uses the three strains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paring an anti-inflammatory agent. It provides the use of the composition to be constitut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ive amount of a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method of inhibiting inflammation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to an individual in need thereof.
  • Anti-inflammatory' in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molecular and cellular inflammatory reactions such as infiltration of immune cells, the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such as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staglandins and nitrogen monoxide (NO), and increases erythema, keratinization, and skin thickness. It refers to preventing, alleviating or improving symptoms such as hyperemia, fever, and pain.
  • The'inflammation suppre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molecular and cellular inflammatory reactions such as infiltration of immune cells, proinflammatory cytokines,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such as prostaglandin and nitrogen monoxide (NO), It refers to preventing, alleviating or improving symptoms such as erythema, keratinization, skin thickness increase, congestion, fever, and pain.
  • The'effective a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 amount showing an effect of improving, treating, preventing, detecting, diagnosing, or inhibiting or reducing inflammation and/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when administered to an individual
  • The'individual' may be an animal, preferably an animal including a mammal, particularly a human, and may be a cell, tissue, organ, etc. derived from an animal.
  • the individual may be a patient in need of the effect.
  • The'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generically to improving symptoms of inflammation and/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or inflammation and/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which cures or substantially prevents inflammation and/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 Or improving the condition, and alleviating, curing, or preventing one symptom or most of the symptoms resulting from the disea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bination of three lactic acid bacteria unique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markable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 o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and in particular, this effect is pharmacologically superior even compared to a known IBD therapeutic drug (for example, sulfasalazine).
  • 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eat advantage as a safe composition with very little risk of side effects due to the nature of a probiotic composition.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No. 6
  •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No. 7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No. 14
  • Lactobacillus johnsonii KCTC 3801 T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T
  •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IDCC KCTC 3219 T respectively, to compare the inhibitory effect on TNF- ⁇ increased in Raw 264.7 cells by LPS treatment (DEX: dexamethasone).
  • Figure 3 is a mixture of Type strains ( Lactobacillus johnsonii KCTC 3801 T ,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T , Bifidobacterium) having a homogeneous relationship wit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imalis ssp. lactis IDCC KCTC 3219 T ) was administered to LPS-treated Raw 264.7 cells, and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degree of change in IL-6 level is shown.
  • Type strains Lactobacillus johnsonii KCTC 3801 T ,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T , Bifidobacterium
  • FIG. 4 shows the results confirming that increased IL-1 ⁇ in Raw 264.7 cells by LPS treatment was inhibited by the treatment of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mixture of Type strains ( Lactobacillus johnsonii KCTC 3801 T ,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T , Bifidobacterium) having a homogeneous relationship wit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imalis ssp. lactis IDCC KCTC 3219 T ) was administered to LPS-treated Raw 264.7 cells, and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degree of change in IL-1 ⁇ level is shown.
  • Type strains Lactobacillus johnsonii KCTC 3801 T ,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T , Bifidobacterium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No. 6
  •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No. 7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No. 14 strains, including various individual lactic acid strains were administered to LPS-treated Raw 264.7 cells, and NO.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ability to inhibit (nitrogen oxide) are shown.
  • FIG. 7 shows the DAI score when administered with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animal model of colitis, by dose, and sulfasalazine, a known treatment for IBD, was used as a comparative group.
  • FIG. 8 is an image of observing the length of the colon when the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of colitis, and sulfasalazine, a known IBD therapeutic agent, was used as a comparative group.
  • Figure 9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ength of the colon when the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of colitis, by dose, and sulfasalazine, a known treatment for IBD, was used as a comparative group.
  • FIG. 10 is an image observing a cross-sectional tissue of the large intestine when the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of colitis.
  • 11 is a comparative histological score for colon tissue damage when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of colitis, and sulfasalazine, a known IBD therapeutic agent, was used as a control group.
  • FIG. 12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evel of TNF- ⁇ in the colon when the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of colitis, by dose, and sulfasalazine, a known IBD therapeutic agent, was used as a comparative group.
  • FIG. 13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evel of IL-1 ⁇ in the colon when administered with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animal model of colitis, and sulfasalazine, a known IBD therapeutic agent, was used as a comparative group.
  • FIG. 14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evel of IL-6 in the large intestine when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of colitis, and sulfasalazine, a known IBD therapeutic agent, was used as a comparative group.
  • Fig. 15 shows the DAI score when the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r the V company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of colitis.
  • Fig. 16 shows an image of observing the length of the large intestine when the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V company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are administered to a colitis animal model.
  • Fig. 17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ength of the large intestine when the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r the V company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of colitis.
  • Fig. 18 shows histological scores for colon tissue damage when the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V company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are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of colitis.
  • Fig. 20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evel of IL-1 ⁇ in the colon when the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r the V company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of colitis.
  • Fig. 21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evel of IL-6 in the large intestine when the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V company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are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of colitis.
  • Example 2 Confirm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synergistic effect of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mixture )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comparison of the specificity of the strain combination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No. 6 in Fig. 1),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No. 7 in Fig. 1) and Bifidobacterium
  • Each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No. 14 in FIG. 1) was incubated at 37° C. for 2 hours in MRS broth, and then the cells were collected by centrifugation at 10,000 ⁇ g for 15 minutes. After washing the cells twice with 1X PBS buffer, the samples were heat-killed at 100° C. for 10 minutes to kill the cells and then used for anti-inflammatory effect analysis.
  • the dead cell mixture for the three kinds of lactic acid bacteria is mixed by mixing each of the killed strains in a ratio of 1: 1: 1 based on CFU Was manufactured.
  • RAW 264.7 cells mouse macrophages, were phenol red-free Dulbecco's modified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Atlas, Fort Collins, CO, USA) and 1% penicillin (Sigma-Aldrich, St. Lousi, MO, USA).
  • Eagle medium DMEM, Gibco-BRL, Gaithersburg, MD, USA was cultured at 37°C and 5% CO 2 conditions.
  • the cultured Raw 264.7 cells were recovered using a scraper or trypsinize, and then placed in a 15 ml falcon tube at 500 rpm. It was centrifuged for 5 minutes. After removing the supernatant, 1 ml of complete media was added and resuspended to count the number of cells per ml. 2 ml of the diluted cell solution was added to each well of a 6-well plate and cultured overnight for 24 hours. After suctioning the medium of each well in a 6-well plate, it was washed with PBS.
  • the supernatant of each tube was separately collected and used for cytokine experiments.
  • As an inflammatory cytokine it was confirmed by using an ELISA kit (R&D system) whether or not to suppress the production of TNF- ⁇ , IL-6, and IL-1 ⁇ representatively.
  • FIG. 6 is a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individual strains on the inhibition of NO (nitrogen oxide) production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No. 6 in FIGS. 1 and 6
  •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No. 7 in FIGS. 1 and 6
  •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including (in Figs. 1 and 6 No.14)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some representative strain with a relatively.
  • the experimental method is simply as follows. Each of the lactic acid bacteria was cultured by the above-described general culture method, and after the culture was completed, the cells were centrifuged to obtain the cells, and the cells were killed by heat-killed treatment at 100° C. for 15 minutes.
  • RAW 264.7 cells (1 ⁇ 10 5 /mL) were first cultured in DMEM, LPS (2 ⁇ l/ml) and each heat-killed cells (1 ⁇ 10 5 cells/mL) were treated, and then 24 hours. During incubation. The concentration of NO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nitrite in the cell culture supernatant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protocol using Griess reagent (Sigma, USA).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No. 6 in FIGS. 1 and 6
  •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No. 7 in FIGS. 1 and 6
  • Bifidobacterium which are the constitu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No. 14 in FIGS. 1 and 6) was remarkably excellent in inhibiting NO production compared to other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see FIG. 6).
  • Example 3 3 kinds of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 prepa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ivo 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treatment efficacy confirmed & compared with sulfasalazine, an IBD treatment compound
  •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in the experiment consisted of three live bacterial strains of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KCTC 10923BP),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KCTC 13586BP) and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KCTC 13587BP). It was prepared by mixing in a standard 1: 1: 1 ratio. Each viable strain contained 2x10 12 CFU/g each. Each bacteria was incubated in a growth medium at 37°C for 16 hours until the exponential phase was reached, and then the bacterial pellets were stored in a freeze dryer and freeze-dried (under vacuum conditions at -80°C. , overnight). The freeze-dried three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stored at 4°C until use.
  • mice Female BALB/c mice (8 weeks old) were purchased from Orient Bio (Seongnam, Republic of Korea). Five animals per cage were housed in an environmental control facility (temperature 22° C. ⁇ 2° C., humidity 55% ⁇ 5%) with a 12/12 h light/dark cycle. Animal care and treatment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established by the'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nimal Research and Care' and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of Ildong Pharmaceutical Co., Ltd. Number: A1611-2) approved.
  • mice were divided into 7 groups (10 mice per group), and the average of the initial body weight (BW) was similarly adjusted.
  • DSS was dissolved in drinking water at a concentration of 3.5% (w/v), and all mice except the normal group were supplied from day-0 to day-8. Animals were free to consume water and diet.
  • DW distilled water
  •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10 6 CFU/mice/day- 10 9 CFU/mice/day dose range, sulfasalazine (Tokyo chemical industry, Tokyo, Japan) as a positive control at a concentration of 500 mg/kg (BW)/day, suspended in DW and then in the same volume and method as the vehicle group.
  • BW 500 mg/kg
  • BW body weight
  • stool conditions were observed for each mouse once a day, and DAI (disease activity index) scor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shown in Table 2 below, as in a known method.
  • the maximum value that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able 2 below was 12.
  • the large intestine (colon) from the ileocecal junction to the anus was removed to measure the length, and washed with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to remove residual digestive products in the intestine.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a third of the distal colon was fixed with a 10% formaldehyde solution and used for histopathological analysis. The remaining two-thirds of the distal colon tissue was used for protein extraction to measure proinflammatory cytokine levels and stored at -80°C until use.
  • the colon tissue was fixed with a 10% neutral buffered formaldehyde solution and treated with paraffin embedding in a conventional manner. Paraffin-embedded tissue sections were cut to a thickness of 4 ⁇ m and stained with hematoxylin & eosin (H&E). H&E-stained colon tissue was observed at 100x and 200x magnifications using a Nikon ECLIPSE 50i optical microscope (Nikon, Tokyo, Japan), and according to conventionally known parameters as described in Table 3 (Histological Scoring System). Histolog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by two pathologists. According to Table 3, the maximum score calculated by summing each of the three parameters was 10.
  • the colon proteins were extracted using RIPA buffer (Upstate, Temesula, CA, USA) to which a protease inhibitor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was added. After adding 300 ⁇ l of RIPA buffer to the colon tissue, the tissue was homogenized on ice for 1 minute and centrifuged at 20,000 g for 15 minutes at 4°C. After collecting the supernatant, it was quantified using a bicinchoninic acid protein assay reagent kit (Pierce, Rockford, IL, USA).
  •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 was us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protocol to detect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a, IL-1b and IL-6 in colon tissue. Each cytokine value was corrected for the total amount of each colon protein sample.
  • Result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error, and each result was processed using Prism 7 (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 USA), a statistical analysis system. All results represent the average of at least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Statistical comparisons between the vehicle group and each treatment group were perform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ubsequent Dunnett's test. P value ⁇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 the DAI score of the group administered with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dose of 10 8 CFU/mice/day or 10 9 CFU/mice/day was similar to the DAI sore of the sulfasalazine administration group.
  • the length of the colon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 These symptoms of shortening of the bowel length were dose-dependently prevented by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8 CFU/mice/day or 10 9 CFU/mice/day in the dose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sulfasalazine administration group
  • the liver showed an equivalent effect pattern (see FIGS. 8 and 9).
  • histological score was measured. As shown in FIGS. 10 and 11, invasion of inflammatory cells in mucous membranes and submucosal tissues, severe intestinal crypt damage, loss of goblet cells and epithelial cells were observed in the vehicle group. Also, histological score increased to 7.2 ⁇ 0.6. On the other hand, histological scores in the sulfasalazine-administered group decreased sharply. In the group treated with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stological score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 the histological score of colon damag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10 8 CFU/mice/day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10 9 CFU/mice/day administration group (5.2 ⁇ 0.5 and 4.9 ⁇ 0.6, respectively), which is sulfasalazine It was similar to that in the administration group (4.5 ⁇ 0.5).
  • ELISA was performed. Representatively, expression patterns of three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 ⁇ , IL-1 ⁇ and IL-6 were investigated, and they are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olitis pathology. As shown in FIGS. 12, 13 and 14, the expression level of each of the cytokines was increased in the colitis pathology state, but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administration of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sulfasalazine administration group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9 CFU/mice/day administration group showed similar inhibitory effects.
  • Example 4 IBD Existing market approved for Probiotics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the product and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 lactic acid bacteria formulation of V a probiotic product that has been individually recogniz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o help regulate intestinal immunity to improve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The effect was compared with the three lactic acid bacteria probiotic preparations (m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actic acid bacteria formulation of the company V is in hanpo It is known to consist of a total of about 450 billion (4.5 ⁇ 10 11 bacteria/bag) of live bacteria, specifically Lactobacillus paracasei DSM 24734 , Lactobacillus plantarum DSM 24730 , Lactobacillus acidophilus DSM 24735 ,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thermophilus DSM 24731 is known to contain 8 viable strains.
  • composition of the test group was performed as shown in Table 4 below, and at this time, a mixture of the above-described three strains as a mixture of three lactic acid bacteri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atio of 1:1: 1 based on CFU was used in a representative experiment. In addition to the conditions described in Table 4 below, the remaining experimental methods we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 Dosage Normal Control 10 1st distilled water p.o 10 mL/kg/day 0 mg/kg/day Vehicle 10 1st distilled water with 3.5% DSS added p.o 10 mL/kg/day 0 mg/kg/day Company V lactic acid bacteria preparation 10 p.o 200ul/mouse/day 5.4x10 8 CFU/day Invention 10 8 10 p.o 200ul/mouse/day 10 8 CFU/day Invention 10 9 10 p.o 200ul/mouse/day 10 9 CFU/day
  • the three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roup V lactic acid bacteria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the effect of preventing weight loss, improving the appearance of excreta, and improving blood stool, thereby reducing the DAI score.
  • DAI socre was compared with the V company lactic acid bacteria formulation, despite being administered at a lower CFU dose compared to the 5.4 ⁇ 10 8 CFU administration group of the company V. So it was reduced to an equivalent leve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probiotic composition for regulating intestinal immunity, and more particularly, Lactobacillus johnsonii , Lactobacillus plantarum , and Bifidobacter Lee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 It is for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nflammation and/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bination of three lactic acid bacteria unique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markable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 o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and in particular, this effect is pharmacologically superior even compared to a known IBD therapeutic drug (for example, sulfasalazine).
  • 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eat advantage as a safe composition with very little risk of side effects due to the nature of a probiotic composition, and thus has high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억제 및/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본 출원은 2019년 6월 27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0077422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상기 명세서 전체는 본 출원의 참고문헌이다.
본 발명은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위장관 내에 만성적인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비교적 청년층부터 발병하며 복통, 발열, 설사, 하혈 등의 증상을 수반한다. 대체로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과 크론병(Cron's disease, CD)의 2가지 형태로 분류되는데, 궤양성 대장염은 주로 점막을 침범하여, 자주 문드러짐이나 궤양을 형성하는 대장의 원인불명의 확산성 비특이성 염증(diffuse nonspecific inflammation)의 일종으로서, 혈성 설사를 비롯하여 다양한 전신 증상을 수반하고, 크론병은 구강에서 항문까지 전 소화관을 비연속성으로 점막에서 장관(腸管) 전 층에 궤양, 섬유화, 협착과 병변(病變)이 진전되는 원인불명의 육아종성 염증성 병변으로, 복통, 만성 설사, 발열, 영양장애 등의 전신 증상을 수반한다.
상기 염증성 장질환의 발병원인은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지 않으나, 면역기능의 이상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에 관여하는 면역학적 요인으로는 선천적 면역성, 사이토카인(Cytokine)의 생성, CD4의 활성화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사이토카인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염증 부위에서 종양괴사인자(Tumor nerosis cytokine; TNF-α), 인터루킨(Interluekin; IL)-1, IL-6, IL-8 생성이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 환자에게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주요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는 nuclear factor kappa-B pathway를 통해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을 증가시켜 염증 반응을 악화시킨다. TNF-α의 억제가 점막 T 림프구의 세포사멸(apoptosis)을 막아 장 면역을 조절하는데 상당히 효과적이기 때문에, infliximab 및 adalimumab과 같은 항- TNF-α 항체는 중증 대장염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승인되었다(비특허문헌 1). IL-1β는 과립구(granulocyte)를 모집하여 결장 염증을 일으키고, CD4+ Th17 세포를 활성화시켜 IL-17을 분비한다(비특허문헌 2). 호중구(neutrophil)의 침윤은 만성 염증의 진행에 근본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IL-6는 대장염(결장염) 영역으로의 호중구 이동을 촉진한다(비특허문헌 3).
기존에 염증성 장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물로는 스테로이드성 면역억제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의 생성을 차단하는 5-아미노살리실산(5-aminosalicylic acid; 5-ASA) 계통 약물(예, 설파살라진 등), 메살라진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예시한 것과 같이 대장염을 완화하기 위해 항염증제 및 면역 억제제가 처방되지만, 메스꺼움, 구토, 두통, 용혈성 빈혈 및 남성불임 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보다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비특허문헌 1) Atreya R, Zimmer M, Bartsch B, et al.: Antibodies against tumor necrosis factor (TNF) induce T-cell apoptosi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s via TNF receptor 2 and intestinal CD14(+) macrophages. Gastroenterology 2011;141:2026-2038.
(비특허문헌 2) Coccia M, Harrison OJ, Schiering C, et al.: IL-1beta mediates chronic intestinal inflammation by promoting the accumulation of IL-17A secreting innate lymphoid cells and CD4(+) Th17 cells. J Exp Med 2012;209:1595-1609.
(비특허문헌 3) Wang Y, Wang K, Han GC, et al.: Neutrophil infiltration favors colitis-associated tumorigenesis by activating the interleukin-1 (IL-1)/IL-6 axis. Mucosal Immunol 2014;7:1106-1115.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본 발명 특유의 3종 유산균 조합을 병용하는 것에 의해 염증성 장 질환(IBD)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현저히 상승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이러한 효과는 기존에 IBD 치료 약물로 흔히 사용되는 설파살라진(sulfasalazine)과 비교하여도 우수한 수준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염증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구성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구성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구성되는 항염증용 조성물(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항염증용 조성물(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염증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어 ‘~을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함유하는’ 또는 ‘특징으로 하는’과 동일하게 사용되며, 조성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언급되지 않은 추가적인 성분 요소 또는 방법 단계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 ‘~로 구성되는(consisting of)’이란 ‘~로 이루어지는’과 동일하게 사용되며, 별도로 기재되지 않은 추가적인 요소, 단계 또는 성분 등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essentially consisting of)’또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이란 조성물 또는 방법의 범위에 있어서, 기재된 성분 요소 또는 단계와 더불어 이의 기본적인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성분 요소 또는 단계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 전반에 걸쳐서,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양상 또는 조건들이 범위 형식으로 제안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범위값의 기재는,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해당 경계값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즉, 하한값 이상 내지 상한값 이하의 값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범위 형식의 서술은 단순히 편의성 및 간략성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융통성 없는 제한(inflexible limitation)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범위의 서술은 상기 범위 내의 개별적인 수치값들뿐만 아니라 모든 가능한 하부범위(subrange)를 구체적으로 개시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7 내지 170과 같은 범위의 서술은 상기 범위 내의 개별적 수치들, 예를 들어, 9, 27, 35, 101, 및 155 뿐만 아니라, 10 내지 127, 23 내지 35, 80 내지 100, 50 내지 169 등과 같은 하부범위들을 구체적으로 개시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는 범위의 폭과 무관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적절한 양으로 투여될 때 숙주에게 건강상의 이익을 주는 미생물로 정의된다. 확립된 안전성과 인간 건강에 유익한 효능으로 인해 probiotics가 의약의 대체물 또는 보완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 프로바이오틱스의 장점은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유아 분변, 김치, 치즈로부터 분리된 여러 가지 유산균 균주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각 균주 개별 효능을 스크리닝 하였으며 또한 여러 균주들을 다양한 조합으로 이용하여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KCTC 10923BP),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KCTC 13586BP)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KCTC 13587BP)의 3종 균주 조합을 병용할 시에 특이적으로 항염증 효능에 있어서 예기치 못한 상승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염증성 장질환(IBD)에 대해 약리적 측면에서 실질적인 치료 효능이 현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의 치료 효과는 공지의 IBD 치료 약물인 설파살라진(sulfasalazine)과 비교하여도 우수한 수준이었다. 프로바이오틱스 특징들은 동일종의 박테리아들에서도 균주 의존적이며, 모든 프로바이오틱 요건들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조성물 제조에 곤란성이 있음을 고려할 때, 본원 발명의 3종 유산균 구성과 본 발명자들이 확인한 현저한 효과는 기술적 의의가 크다. 또한 기존에 국내에서 장관면역에 대해 유일하게 인정받은 V사 8종 유산균 혼합 제제와 비교하여, 본원 발명의 3종 균주 혼합물은 더 적은 용량으로도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3종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3종 균주로 구성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3종 균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균주를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probiotic)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3종 균주로 (유효량으로) 구성되는 프로바이오틱(probiotic) 조성물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3종 균주로 (유효량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프로바이오틱(probiotic)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3종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균주로 구성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3종 균주로 구성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균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3종 균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염증성 장 질환’은 당업계에 장 내 염증성 병태가 주요한 병리인 것으로 알려진 질환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바람직하게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장관 베체트병 및 허혈성 장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3종 유산균(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이 혼합물의 형태로 하나의 용기 내에 존재하도록 제형화 될 수 있고, 또는 3종 유산균 각각이 별개의 용기 내에 포장되어 제공되지만 사용 시에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되도록 제형화 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상기 본 발명의 3종 유산균은 혼합물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 양태의 일례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의 혼합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또는 상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각 균주의 유효량의 콜로니 형성 단위(CFU)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목적하는 바(질병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 또는 필요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최종 제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상기 3종 균주 각각의 생균 또는 사균체를 식품 또는 약품의 제조 시에 전체 조성물 1g(또는 ㎖) 당 균을 1×10 5 내지 1×10 15 개(균수 또는 CFU) 첨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0 6 내지 1×10 13개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생균 또는 이의 사균체가 포함된 조성물의 1일 섭취량은 총 균체수 기준으로 1×10 5 내지 1×10 10 CFU/kg, 바람직하게는 일례로 1×10 6 내지 1×10 9 CFU/kg일 수 있고, 섭취는 하루에 한 번 섭취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섭취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3종 유산균이 제공되는 상대적 비율(일례로 배합비)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항염증 효능 또는 염증성 장 질환 예방/치료/개선 효능)를 나타내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L. johnsonii IDCC9203 : L. plantarum IDCC3501 : B.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의 조성비는 cfu/g(또는 cfu/㎖) 단위 기준으로 1~100 : 1~100 : 1~100의 비율로 조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fu/g(또는 cfu/㎖) 단위 기준으로 1~30 : 1~30: 1~30의 비율로 , 더욱 바람직하게는 cfu/g(또는 cfu/㎖) 단위 기준으로 1~10 : 1~10 : 1~10의 비율로 조성되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L. johnsonii IDCC9203 : L. plantarum IDCC3501 : B.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의 조성비는 cfu/g (또는 cfu/㎖) 단위 기준으로 1: 7 : 2의 비율로 조성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상기 3종 유산균의 조성비는 cfu/g(또는 cfu/㎖) 단위 기준으로 1:1:1 의 비율로 조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3종 유산균은 각각 생균 또는 사균체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당업계에 생균 제제를 제공하기 위한 균 처리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균이 살아있는 형태라면 그 제공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균주들을 배양 후, 세포 펠렛(pelet)을 회수하여, 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예컨대 농축 또는/및 동결-건조함으로써 원하는 수단으로 처리하여, 약제학적 또는 식용 제품의 제조에 추가할 수 있다. 때로는, 프로바이오틱 조제물은 수명을 개선시키기 위해 고정화 또는 캡슐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몇 가지 박테리아 고정화 또는 캡슐화 기술들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균체’란 가열, 가압, 약물처리 등으로 살균 처리된 균체를 가리킨다. 당업계에 알려진 유산균 사균화 방법에 의한 것이라면 사균체의 제조방법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본 발명의 사균체는 열처리를 포함하는(열처리에 의한) 사균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수득한 생균체만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생균체를 포함하고 있는 배양액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온도는 균체의 성상을 유지하고 다른 일반세균들이 멸균되는 조건이라면 그 온도조건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80℃ 내지 150℃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80℃ 내지 110℃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시간은 상기 온도조건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목적하는 제조품질을 수득할 수 있는 조건이라면 그 시간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5분 내지 15분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사균체 제조를 위한 열처리 공정 중, 당업자는 본 발명 사균의 고유 기능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제조 효율을 위하여 임의의 전처리 또는 추가 조건을 부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처리 전 생균체에 증류수를 투입 및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사균화된 균체들은 사균제제(제형)의 제조를 위한 임의의 추가 공정을 거칠 수 있으며, 일례로 농축, 건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당업계에서 유산균의 건조에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열(풍)건조, 동결건조 방법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전술한 3종 유산균의 생균 또는 사균체를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 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일례로 도포법 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일례로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결-건조된 분말, 캡슐제,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웨이퍼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여기에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캡슐제 등으로 가공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건강기능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생균 또는 이의 사균체를 캡슐화 또는 과립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과일의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0.3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또한 발효식품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3종 유산균은 유제품, 요구르트, 커드(curd), 치즈(예, 쿼크, 크림, [0049] 가공, 연질 및 경질), 발효유, 분유, 우유 기재의 발효 제품, 아이스크림, 발효 곡물 제품(fermented cereal based product), 조제 분유(milk based powder), 음료, 드레싱 및 애완동물 사료와 같은 다양한 식용 제품에 함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용 제품’은 본원에서 약제학적 제품 및 수의학적 제품을 제외한, 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모든 제공 형태의, 모든 타입의 제품을 비롯한, 가장 광의적인 의미이다. 다른 식용 제품의 예로는 육류 제품(예, 간 페이스트, 소세지, 살라미 소세지 또는 육류 스프레드), 초콜렛 스프레드, 속 재료(예, 트뤼플, 크림) 및 프로스팅(frosting), 초콜렛, 과자류(예, 카라멜, 퐁당(fondant) 또는 토피(toffee)), 구워낸 제과류(baked good)(케익, 패스트리), 소스 및 스프, 과일 쥬스 및 커피 프림(coffee whitener)가 있다. 특히 흥미로운 식용 제품은 식이 보조제(dietary supplement)와 이유식(infant formula)이다. 본 발명의 측면에서, 식이 보조제는 또한 인간의 건강에 의약적 효능을 가진 식품 추출물로 공지된 기능 식품(nutraceutical)을 포함한다. 동물 식이용 사료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타 식품 제품의 성분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3종의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구성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며,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3종의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염증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염증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3종의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구성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며, 항염증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3종의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항염증’은 면역 세포의 침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과 일산화질소(NO) 등 전염증성 인자의 분비 등의 분자 세포적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홍반, 각질화, 피부 두께 증가, 충혈, 발열, 통증 등의 증상을 예방, 완화 또는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염증 억제’는 상기 기재된 항염증과 같이, 면역 세포의 침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과 일산화질소(NO) 등 전염증성 인자의 분비 등의 분자 세포적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홍반, 각질화, 피부 두께 증가, 충혈, 발열, 통증 등의 증상을 예방, 완화 또는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효량’이란 개체에게 투여하였을 때, 염증 및/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 치료, 예방, 검출, 진단 또는 염증 및/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억제 또는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상기‘개체’란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일 수 있으며, 동물에서 유래한 세포, 조직, 기관 등일 수도 있다. 상기 개체는 상기 효과가 필요한 환자(patient)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치료’는 염증 및/또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염증 및/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고, 이는 염증 및/또는 염증성 장질환을 치유하거나, 실질적으로 예방하거나, 또는 상태를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질환으로부터 비롯된 한 가지 증상 또는 대부분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치유하거나 예방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특유의 3종 유산균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성 장 질환(IBD)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현저하며, 특히 이러한 효과는 공지의 IBD 치료 약물(일례로 설파살라진)과 비교하여도 약리적으로 우수하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인 특성상, 부작용의 위험성이 매우 적은 안전한 조성물로서 큰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No.6),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No.7)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No.14) 개별 균주와, 이들 유산균 3종 혼합물(Mix로 표시), 동종의 Type 균주 혼합물( Lactobacillus johnsonii KCTC 3801 T,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T,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IDCC KCTC 3219 T)을 각각 처리하여, LPS 처리에 의해 Raw 264.7 cell에서 증가된 TNF-α에 대한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DEX: 덱사메타손).
도 2는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의 처리에 의하여, LPS 처리에 의해 Raw 264.7 cell에서 증가된 IL-6이 억제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 조성물과 동종 관계에 있는 Type 균주 혼합물( Lactobacillus johnsonii KCTC 3801 T,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T,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IDCC KCTC 3219 T)을 LPS 처리된 Raw 264.7 cell에 투여하고, IL-6 수준 변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의 처리에 의하여, LPS 처리에 의해 Raw 264.7 cell에서 증가된 IL-1β이 억제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 조성물과 동종 관계에 있는 Type 균주 혼합물( Lactobacillus johnsonii KCTC 3801 T,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T,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IDCC KCTC 3219 T)을 LPS 처리된 Raw 264.7 cell에 투여하고, IL-1β 수준 변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No.6),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No.7)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No.14) 균주를 비롯하여 다양한 개별 유산균주들을 LPS 처리된 Raw 264.7 cell에 투여하고, NO(산화질소) 억제 능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DAI score를 투여 용량별로 나타내며,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8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길이를 관찰한 이미지로,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9는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길이를 측정한 결과를 투여 용량별로 나타내며,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10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단면 조직을 관찰한 이미지로서,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11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조직 손상에 대한 조직학적 점수를 비교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12는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내 TNF-α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투여 용량별로 나타내며,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13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내 IL-1β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투여 용량별로 나타내며,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14는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내 IL-6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투여 용량별로 나타내며, 비교군으로 공지의 IBD 치료제인 설파살라진을 사용하였다.
도 15는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DAI score를 나타낸다.
도 16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길이를 관찰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7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길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8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조직 손상에 대한 조직학적 점수를 나타낸다.
도 19는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내 TNF-α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0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내 IL-1β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1은 대장염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또는 V사 유산균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대장 내 IL-6 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신규한 조합의 균주 혼합물 발굴
유아 분변, 김치, 치즈로부터 분리된 여러 가지 유산균 균주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각 균주 개별 효능을 스크리닝 하였으며 또한 여러 균주들을 다양한 조합으로 이용하여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 효능에 있어서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유아 분변으로부터 분리/ 기탁번호 KCTC 10923BP),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 (김치로부터 분리/ 기탁번호 KCTC 13586BP)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 (유아 분변으로부터 분리/ 기탁번호 KCTC 13587BP)의 3종 균주 조합에 대하여 예기치 못한 상승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뿐만아니라 염증성 장질환에 대해 약리적 측면에서 실질적인 치료 효능이 현저함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 제시하는 데이터들은 본원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의 균주 조합이 예기치 않은 발견을 입증한다.
실시예 2: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혼합물) 의 항염증 상승효과 확인, 및 이의 균주 조합 특이성 비교
2-1.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혼합물)의 구성 균주 조합 특이성 확인, 및 항염증 효과 비교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도 1에서 No.6),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도 1에서 No.7)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도 1에서 No.14) 각각을 MRS broth에서 2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후, 10,000×g로 15분간 원심분리를 통해 균체를 수집하였다. 균체를 1X PBS 완충액으로 두 번 세척한 후, 시료를 100℃에서 10분간 가열(heat-killed)하여 사균화 한 후 항-염증 효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상기 사균화된 각 균주들을 CFU 기준 1 : 1 : 1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3종 유산균에 대한 사균 혼합물이 제조되었다.
본원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혼합물) 구성 균주와 동일한 종(species)의 다른 유산균들을 이용하여 본원 발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양한 혼합물(즉, 종은 같고 구체적 strain만 달리한 혼합물들)들을 제조하여, 효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대표적 일례로서 도 1, 도 3 및 도 5는 본원 발명과 동종의 Type 균주 혼합물( Lactobacillus johnsonii KCTC 3801 T,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8 T,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IDCC KCTC 3219 T)에 대한 실험한 결과를 보여준다.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FBS, Atlas,Fort Collins, CO, USA) 및 1% penicillin (Sigma-Aldrich, St. Lousi, MO, USA)을 포함한 phenol red-free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BRL, Gaithersburg,MD,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 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혼합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배양한 Raw 264.7 cell을 스크래퍼(scrapper) 혹은 trypsinize를 사용하여 회수한 뒤, 15 ml falcon tube에 넣고 5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한 뒤 1 ml의 완전배지(complete media)를 넣어 재현탁시켜 1 ml당 세포수를 계수하였다. 6-well plate의 각 well에 희석한 세포 용액을 2 ml씩 넣고 24시간 overnight하여 배양하였다. 6-well plate에서 각 well의 배지를 suction한 후 PBS로 washing하였다. 새 배지를 2 ml씩 분주한 후, 모든 well에 LPS를 4ul씩(최종 LPS 농도는 2 ul/ml) 처리하고 1번째 well에는 1m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양성대조물질(positive control)로 20 ul (최종농도 10 uM/ml) 처리하였다.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으로 PBS를 처리하였으며, 나머지 well에는 LPS를 처리하고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1×10 5 ~ 1×10 7 cell/mL의 농도 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overnight하여 배양하였다. 각 well의 배양액을 15 ml falcon tube에 옮겨 담은 후, 9,5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각 tube의 상등액을 따로 회수하여 사이토카인 실험에 사용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으로서 대표적으로 TNF-α, IL-6, IL-1β 생성에 대한 억제 여부를 ELISA kit (R&D system)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혼합물)을 처리하였을 시에 이를 구성하는 개별 균주를 단독 사용할 때 대비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효과(즉, 항염증 효과)가 현저히 상승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 일례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도 1에 Mix로 표기)의 처리에 의해 TNF-α 수준이 덱사메타손 처리군과 동등한 수준으로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상기 감소 효과는 개별 균주가 단독으로 처리될 시와 비교하여 현저히 상승된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아니라 도 1, 도 3 및 도 5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종의 다른 균주들을 이용한 혼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TNF-α, IL-6, IL-1β 생성 억제 효과가 상당히 적었던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혼합물)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용량 의존적으로 항염증 효과가 현저히 나타났으며, 특히 1X10 7 cell/mL 투여 군에서는 덱사메타손과 동등 내지 유사한 수준으로 항염증 효과가 나타났다(도 1, 도 2 및 도 4 참조).
2-2. 구성 균주의 NO 생성 억제능력 비교
유아 분변, 김치 및 치즈로부터 분리된 여러 가지 유산균 균주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각 균주 개별 효능을 비교한 결과로서, 대표적으로 도 6은 NO(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능에 대한 개별 균주 효능을 비교 실험 결과를 보여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도 1 및 도 6에서 No.6),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도 1 및 도 6에서 No.7)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도 1 및 도 6에서 No.14)를 포함하여 대표적 몇가지 균주들에 대한 실험결과를 비교적으로 보여준다.
실험방법은 간단히 다음과 같다. 각 유산균들을 전술한 일반적인 배양 방법으로 배양하고, 배양 종료 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수득하고, 100℃에서 15분동안 열탕 처리(heat-killed)하는 방식으로 사균화하였다. RAW 264.7 세포(1×10 5/mL)를 DMEM에서 먼저 배양하고, LPS(2 μl/ml) 및 각각의 heat-killed된 균체들(1×10 5 cell/mL)을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NO의 농도는 Griess 시약(Sigma, USA)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세포 배양액 상층액 내의 아질산염 양을 측정함으로써 조사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처리되어 24시간동안 인큐베이션된 RAW264.7 세포배지로부터 수득한 150 μL의 세포 배양액 상층액과 150 μL Griess 시약을 혼합한 후, 1,000×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고, 이어서 상온에서 10분간 배양하였다. 흡광도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95 nm에서 측정하였으며,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을 통해 형성된 검량선(calibration curve)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본 발명의 구성물인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도 1 및 도 6에서 No.6),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도 1 및 도 6에서 No.7)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도 1 및 도 6에서 No.14)은 다른 유산균 균주들과 비교하여, NO 생성 억제 능력이 현저히 우수하였다(도 6 참조).
실시예 3: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생균 제제의 in vivo 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치료 효능 확인 & IBD 치료제 화합물인 설파살라진(sulfasalazine)과 효능 비교
실험방법
1)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생균 제제 제조
실험에 사용된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생균 제제는 Lactobacillus johnsonii IDCC9203(KCTC 10923BP), Lactobacillus plantarum IDCC3501(KCTC 13586BP) 및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 IDCC4301(KCTC 13587BP)의 세가지 생균 균주를 CFU(colony-forming unit) 기준 1 : 1 : 1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각 생균 균주는 2x10 12 CFU/g 씩 함유되었다. 각각의 박테리아는 대수기(exponential phase)가 될 때까지 37℃에서 16시간 동안 성장 배지에서 배양된 된 후, 동결 건조기에서 상기 박테리아 펠렛(pellet)을 보관하여 동결 건조시켰다(진공 하에서 -80℃ 조건, overnight). 동결 건조된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는 사용 시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2) 실험동물
암컷 BALB/c 마우스(8 주령)를 Orient Bio(Seongnam, Republic of Korea)로부터 구입하였다. 케이지 당 5 마리의 동물을 12/12 h light/dark cycle의 환경 제어 시설(온도 22℃±2℃, 습도 55%±5%)에 수용시켰다. 동물 관리 및 치료는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nimal Research and Care’가 제정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일동제약 회사(Ildong Pharmaceutical Co., Ltd)의 동물실험 윤리 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승인 번호 : A1611-2)의 승인을 받았다.
3) 마우스 대장염 모델
DSS(분자량 36-50 kDa/ MP biochemicals, Santa Ana, CA, USA)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대장염 모델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7일간의 적응기간 후,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우스를 7 그룹으로 나누고(그룹 당 마우스 10마리씩), 초기 체중(BW)의 평균을 비슷하게 조절했다. DSS를 음용수에 3.5%(w/v)의 농도로 용해시키고,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 마우스에게 day-0 부터 day-8 까지 공급하였다. 동물은 물과 식이를 자유롭게 섭취하였다.
vehicle group 마우스들에는 200㎕의 증류수(DW)가 경구투여되었다.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는 10 6 CFU/mice/day - 10 9 CFU/mice/day 용량 범위로, 양성 대조군으로서 sulfasalazine(Tokyo chemical industry, Tokyo, Japan)은 500mg/kg(BW)/day농도로, DW에 현탁시킨 후 vehicle group과 동일한 부피 및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되었다. 하기 표 1은 각 실험군 및 대조군에 대한 물질 처리 조건을 요약하여 나타낸다.
Figure PCTKR2019009117-appb-img-000001
각각의 마우스에 대하여 하루에 한번씩 BW(체중)와 대변 상태를 관찰하였으며, 기존에 공지된 방법과 같이 하기 표 2에 기재된 기준에 따라 DAI(disease activity index) score를 산출하였다. 하기 표 2에 따라 산출될 수 있는 최대값은 12였다. 이산화탄소 가스로 안락사시킨 후, 회맹 접합부(ileocecal junction)로부터 항문까지의 대장(결장)을 적출하여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장내 잔류 소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하였다. 원위결장의 3분의 1을 10% 포름알데히드 용액으로 고정시키고, 병리조직학적 분석에 사용하였다. 나머지 3분의 2 원위결장 조직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단백질 추출에 사용되었으며, 사용 시까지 -80℃에 보관되었다.
Figure PCTKR2019009117-appb-img-000002
4) 조직학적 분석
결장 조직을 10 % 중성 완충 포름알데히드(neutral buffered formaldehyde) 용액으로 고정시키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파라핀 포매(paraffin embedding)처리하였다. 파라핀 포매된 조직 절편(section)을 4μm의 두께로 절단하고 헤마톡실린&에오신(H&E)으로 염색하였다. H&E 염색된 대장 조직을 Nikon ECLIPSE 50i 광학 현미경(Nikon, Tokyo, Japan)을 사용하여 100x 및 200x 배율로 관찰하였으며, 표 3(Histological Scoring System)에 기재된 것과 같이 기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파라미터들에 따라 두 명의 병리학자가 조직학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표 3에 따라 3 개의 파라미터들 각각을 합산하여 계산되는 최대 score는 10이었다.
Figure PCTKR2019009117-appb-img-000003
5) 대장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준 측정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첨가한 RIPA buffer(Upstate, Temesula, CA, USA)을 사용하여 결장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결장 조직에 RIPA buffer 300㎕를 첨가한 후, 조직을 얼음 위에서 1분간 균질화시키고, 4℃에서 15분 동안 20,000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수집한 후, bicinchoninic acid protein assay reagent kit (Pierce,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ELISA kit(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이용하여, 대장 조직 내 TNF-a, IL-1b 및 IL-6과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수준을 검출하였다. 각 사이토카인들 값은 각각의 결장 단백질 샘플의 총량에 대해 보정되었다.
6) 통계적 분석
결과들은 평균±표준오차로서 제시되며, 각 결과들은 통계 분석 시스템인 Prism 7(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 USA)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모든 결과는 적어도 세 번의 독립적인 실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vehicle group과 각 치료 군 간의 통계적 비교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및 후속하는 Dunnett’s test에 의해 수행되었다. P value < 0.05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실험결과
3-1. in vivo 에서 대장염 증상에 대한,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의 효과
대장염 중증도를 확인하기 위해, 하루에 한 번씩 각 마우스의 BW와 배변 상태를 관찰하여 DAI 점수를 기록했다. 생쥐에게 제공된 DSS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혈변 및 설사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고, 반면, BW(body weight, 체중)는 점차적으로 감소했다. vehicle group에서는 실험 4일째부터, DAI score가 꾸준히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 3종 유산균 제제의 투여는 용량-의존적으로 DAI score를 감소시켰으며(도 7 참조), 체중 감소 방지, 배설물 외관 개선 및 혈변의 개선효과를 나타냈다.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를 10 8 CFU/mice/day 또는 10 9 CFU/mice/day 용량으로 투여한 군의 DAI score는 sulfasalazine 투여 그룹의 DAI sore와 유사하였다.
대장염을 유발한 마우스에서는 대장 길이가 정상군보다 짧았다. 이러한 대장 길이 단축 증상은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에 의해 용량 의존적으로 방지되었으며,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10 8 CFU/mice/day 또는 10 9 CFU/mice/day용량 투여군에서와 sulfasalazine 투여 그룹 간에 동등한 효과 양상을 보였다(도 8 및 도 9 참조).
3-2.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가 대장 조직학적 파라미터에 미치는 영향
DSS로 유발시킨 대장염의 조직학적 손상 중증도를 평가하기 위해, 현미경을 사용하여 H&E 염색된 결장 조직을 관찰하였으며, 조직학적 점수(histologic score)를 측정했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vehicle group에서 점막 및 점막하 조직 내 염증 세포의 침윤, 심각한 장 음와(crypt) 손상, 술잔세포(goblet cell) 및 상피 세포의 소실이 관찰되었다. 또한 조직학적 점수는 7.2±0.6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sulfasalazine 투여 그룹에서의 조직학적 점수는 급격히 감소되었다.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처리군에서는 조직학적 점수가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했다. 특히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10 8 CFU/mice/day 투여군 및 10 9 CFU/mice/day 투여군에서 대장 손상의 조직학적 점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각각 5.2±0.5 및 4.9±0.6), 이는 sulfasalazine 투여 그룹에서와 유사한 수준이었다(4.5±0.5).
3-3. 대장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 )의 발현에 대한,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의 효과
염증 반응과 관련된 대장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검출하기 위해, ELISA를 수행하였다. 대표적으로 TNF-α, IL-1β 및 IL-6의 세 가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였으며, 이들은 대장염 병리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사이토카인들의 발현 수준은 대장염 병리 상태에서 증가된 상태였지만,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투여에 의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sulfasalazine 투여 그룹과 비교하여도,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10 9 CFU/mice/day 투여 그룹은 유사한 억제 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4: IBD에 대해 승인된 기존 시판 프로바이오틱스 제품과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의 염증성 장질환 치료 효능 비교 평가
실험방법
현재 국내에서 최초이자 유일하게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장 면역을 조절해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개별 인정받은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인 V사의 유산균 제제를 사용하여, 염증성 장 질환(IBD) 개선에 대한 효과를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생균 제제(혼합물)와 비교하였다. 상기 V사의 유산균 제제는 한포에 총 약 4,500억개(4.5×10 11균수/1포)의 생균으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체적으로 Lactobacillus paracasei DSM 24734 , Lactobacillus plantarum DSM 24730 , Lactobacillus acidophilus DSM 24735 ,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DSM 24734 , Bipidobacterium longum DSM 24736 , Bipidobacterium breve DSM 24732 , Bipidobacterium infantis DSM 24737 , 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DSM 24731의 8종의 생균 균주가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험군 구성은 하기 표 4와 같이 수행되었으며, 이때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생균 혼합물로서 전술한 3종 균주를 CFU 기준 1:1: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대표적으로 실험에 이용하였다.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건 이외에, 나머지 실험 방법은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군(group) 동물수 식음수 투여경로 투여액량 투여량
Normal Control 10 1차 증류수 p.o 10 mL/kg/day 0 mg/kg/day
Vehicle 10 3.5% DSS가 첨가된 1차 증류수 p.o 10 mL/kg/day 0 mg/kg/day
V사 유산균 제제 10 p.o 200ul/mouse/day 5.4x10 8CFU/day
본 발명 10 8 10 p.o 200ul/mouse/day 10 8CFU/day
본 발명 10 9 10 p.o 200ul/mouse/day 10 9CFU/day
실험결과
4-1. in vivo 에서 대장염 증상에 대한 효과 비교
실험결과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및 V사 유산균 제제 투여군에서 체중 감소 방지, 배설물 외관 개선 및 혈변의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DAI score가 감소되었다. 특히, 대표적으로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10 8 CFU 투여군을 비교하여보면, V사 유산균 제제 5.4×10 8 CFU 투여군 대비 더 낮은 CFU 용량으로 투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DAI socre가 상기 V사 유산균 제제와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뿐만 아니라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는 대장염에 의한 대장 길이 단축현상을 방지 내지 개선하는 효과가 현저함을 확인하였다.
4-2. 대장 조직학적 파라미터 비교
대표적으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vehicle group에서 점막 및 점막하 조직 내 염증 세포의 침윤, 심각한 장 음와(crypt) 손상, 술잔세포(goblet cell) 및 상피세포의 소실이 관찰된 반면,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처리군 및 V사 유산균 제제 투여군에서는 대장 손상의 조직학적 점수가 감소되어 대장 조직의 회복 효과를 보였다. 특히, 대표적으로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10 8 CFU 투여군을 비교하여보면, V사 유산균 제제 5.4×10 8 CFU 투여군 대비 더 낮은 CFU 용량으로 투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V사 유산균 제제와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으로 대장 손상의 예방 또는/및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4-3. 대장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에 대한 효과 비교
대표적으로 도 19,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증 반응과 관련된 대장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검출하기 위해 ELISA를 수행한 결과, 대장염 병리상태에 서 증가된 TNF-α, IL-1β 및 IL-6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이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처리군 및 V사 유산균 제제 투여군에서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표적으로 본 발명의 3종 유산균 제제 10 8 CFU 투여군을 비교하여보면, V사 유산균 제제 5.4×10 8 CFU 투여군 대비 더 낮은 CFU 용량으로 투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V사 유산균 제제와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으로 대장 손상의 예방 또는/및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억제 및/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특유의 3종 유산균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성 장 질환(IBD)의 예방 및 치료효과가 현저하며, 특히 이러한 효과는 공지의 IBD 치료 약물(일례로 설파살라진)과 비교하여도 약리적으로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인 특성상, 부작용의 위험성이 매우 적은 안전한 조성물로서 큰 장점을 지니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기탁번호]
기탁기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기탄번호 : KCTC10923BP
기탁일자 : 2006.03.15
기탁기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기탁번호 : KCTC13586BP
기탁일자 : 2018.07.17
기탁기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기탁번호 : KCTC13587BP
기탁일자 : 2018.07.17
Figure PCTKR2019009117-appb-img-000004
Figure PCTKR2019009117-appb-img-000005
Figure PCTKR2019009117-appb-img-000006

Claims (12)

  1.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IDCC9203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IDCC3501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IDCC4301 균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는 각각 생균 또는 사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는 각각 생균 또는 사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7.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8.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9.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장관 베체트병 및 허혈성 장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항염증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12.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Lactobacillus johnson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락티스(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ecies lacti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억제 방법.
PCT/KR2019/009117 2019-06-27 2019-07-23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WO2020262755A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9454505A AU2019454505B2 (en) 2019-06-27 2019-07-23 Novel probiotic composition for regulation of intestinal immunity
US17/622,177 US20220409677A1 (en) 2019-06-27 2019-07-23 Novel probiotic composition for regulation of intestinal immunity
EP19935091.9A EP3991739A4 (en) 2019-06-27 2019-07-23 NEW PROBIOTIC COMPOSITION TO REGULATE INTESTINAL IMMUNITY
JP2021577227A JP7434375B2 (ja) 2019-06-27 2019-07-23 腸管免疫調節のための新規なプロバイオティック組成物
BR112021026278A BR112021026278A2 (pt) 2019-06-27 2019-07-23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composições alimentícias, usos de uma composição, método de tratamento da doença inflamatória intestinal e método para inibir a inflamação
CA3145236A CA3145236C (en) 2019-06-27 2019-07-23 Novel probiotic composition for regulation of intestinal immunity
CN201980099516.7A CN114786692A (zh) 2019-06-27 2019-07-23 用于调节肠道免疫的新型益生菌组合物
IL289377A IL289377A (en) 2019-06-27 2021-12-26 A probiotic preparation for regulating intestinal immun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7422 2019-06-27
KR10-2019-0077422 2019-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755A1 true WO2020262755A1 (ko) 2020-12-30

Family

ID=7405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9117 WO2020262755A1 (ko) 2019-06-27 2019-07-23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409677A1 (ko)
EP (1) EP3991739A4 (ko)
JP (1) JP7434375B2 (ko)
KR (1) KR102475432B1 (ko)
CN (1) CN114786692A (ko)
AU (1) AU2019454505B2 (ko)
BR (1) BR112021026278A2 (ko)
CA (1) CA3145236C (ko)
IL (1) IL289377A (ko)
WO (1) WO202026275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1039A (zh) * 2021-01-14 2021-07-23 江南大学 一株缓解溃疡性结肠炎的植物乳杆菌及其应用
CN114276958A (zh) * 2021-12-20 2022-04-05 无锡弘焕微生态科技有限公司 具有抗炎功效的三重益生菌发酵复合物的制备方法和应用
CN115210360A (zh) * 2021-02-09 2022-10-18 乐土美森有限公司 源自母乳的新型罗伊氏乳杆菌lm1071菌株,以及包含所述菌株或其培养物的用于缓解经前期综合征的组合物
WO2023021141A1 (en) * 2021-08-19 2023-02-2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Postbiotic
WO2023021140A1 (en) * 2021-08-19 2023-02-2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Postbiotic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544A (ko) * 2012-09-19 2014-03-27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5717A (ko) * 2012-12-18 2015-08-21 꽁빠니 자베 다노느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아니말리스 균주
KR20190048739A (ko) * 2017-10-31 2019-05-09 일동제약(주)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아디씨씨 9203 및 이의 용도
KR20190077422A (ko) 2016-11-11 2019-07-03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이산화탄소와 옥시란의 공중합화를 통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제조하기 위한 반 회분식 공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701891A (zh) * 2015-02-27 2017-01-16 Meiji Co Ltd 大腸炎抑制劑
KR20190048732A (ko) * 2017-10-31 2019-05-09 일동제약(주) 염증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아이디씨씨 9203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544A (ko) * 2012-09-19 2014-03-27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5717A (ko) * 2012-12-18 2015-08-21 꽁빠니 자베 다노느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아종 아니말리스 균주
KR20190077422A (ko) 2016-11-11 2019-07-03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이산화탄소와 옥시란의 공중합화를 통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제조하기 위한 반 회분식 공정
KR20190048739A (ko) * 2017-10-31 2019-05-09 일동제약(주)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 아디씨씨 9203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ONYMOUS: "Intercourse. Intestinal Health of People Protected by Probiotics Today.", 25 October 2018 (2018-10-25), pages 1 - 4,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kr.ifeng.com/a/20181025/6972781_0.shtml> *
ATREYA RZIMMER MBARTSCH B ET AL.: "Antibodies against tumor necrosis factor (TNF) induce T-cell apoptosi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s via TNF receptor 2 and intestinal CD14(+) macrophages", GASTROENTEROLOGY, vol. 141, 2011, pages 2026 - 2038, XP028118482, DOI: 10.1053/j.gastro.2011.08.032
CHINA ECONOMIC NET: "South Korea develops new probiotics that may improve symptom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27 September 2018 (2018-09-27), pages 1 - 3, XP009532625,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qiye.chinadaily.com.cn/2018-09/27/content_36988113.htm> *
COCCIA MHARRISON OJSCHIERING C ET AL.: "IL-1 beta mediates chronic intestinal inflammation by promoting the accumulation of IL-17A secreting innate lymphoid cells and CD4(+) Th17 cells", J EXP MED, vol. 209, 2012, pages 1595 - 1609
ILDONGPHARMACEUTICAL CO., LTD. ET AL.: "Final report on the development and global branding of Korean probiotics effective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 FINAL REPORT, 25 September 2019 (2019-09-25), Korea, pages 1 - 351, XP009532633 *
JE IN-GYU, LEE DON-GIL, JEONG DONG-GU, HONG DAHAE, YOON JONG-MIN, MOON JIN SEOK, PARK SOOBONG: "The probiotic, ID-JPL934, attenuates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in mice through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expression.",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 21, no. 9, 23 July 2018 (2018-07-23), pages 858 - 865, XP055778837 *
JE IN-GYU, LEE DON-GIL, JEONG DONG-GU, HONG DAHAE, YOON JONG-MIN, MOON JIN SEOK, PARK SOOBONG: "The probiotic, ID-JPL934, attenuates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itis in mice through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expression.", POSTER NO. C041, IN: 2019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 17 April 2019 (2019-04-17), Jeju, Korea, pages 858 - 865, XP055778837 *
SHIN CHEOL MIN; CHOI YOON JIN; LEE DONG HO; YOON HYUK; PARK YOUNG SOO; KIM NAYOUNG: "Sa1951 - Validity and Safety of Symptom Improvement of Id-Jpl934 for Abnormal Bowel Movements Such As Constipation, Diarrhea, Abdominal Pain: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arallel-Group Trial", GASTROENTEROLOGY, vol. 156, no. 6, 18 May 2019 (2019-05-18), pages S-466 - S-466, XP085678040, ISSN: 0016-5085, DOI: 10.1016/S0016-5085(19)38017-5 *
WANG YWANG KHAN GC ET AL.: "Neutrophil infiltration favors colitis-associated tumorigenesis by activating the interleukin-1 (IL-1)/IL-6 axis", MUCOSAL IMMUNOL, vol. 7, 2014, pages 1106 - 1115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1039A (zh) * 2021-01-14 2021-07-23 江南大学 一株缓解溃疡性结肠炎的植物乳杆菌及其应用
CN115210360A (zh) * 2021-02-09 2022-10-18 乐土美森有限公司 源自母乳的新型罗伊氏乳杆菌lm1071菌株,以及包含所述菌株或其培养物的用于缓解经前期综合征的组合物
WO2023021141A1 (en) * 2021-08-19 2023-02-2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Postbiotic
WO2023021140A1 (en) * 2021-08-19 2023-02-2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Postbiotic
CN114276958A (zh) * 2021-12-20 2022-04-05 无锡弘焕微生态科技有限公司 具有抗炎功效的三重益生菌发酵复合物的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86692A (zh) 2022-07-22
CA3145236C (en) 2024-03-26
KR102475432B1 (ko) 2022-12-07
US20220409677A1 (en) 2022-12-29
AU2019454505B2 (en) 2023-07-20
JP7434375B2 (ja) 2024-02-20
KR20210002032A (ko) 2021-01-06
AU2019454505A1 (en) 2022-02-17
EP3991739A4 (en) 2023-07-05
IL289377A (en) 2022-02-01
BR112021026278A2 (pt) 2022-03-03
JP2022539139A (ja) 2022-09-07
CA3145236A1 (en) 2020-12-30
EP3991739A1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62755A1 (ko) 장관면역 조절을 위한 신규한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WO2019226003A1 (ko)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kbl697 균주 및 그 용도
WO2015122717A1 (ko)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WO2017204374A1 (ko) 혈당 조절 효능을 갖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WO2021221398A1 (ko) 우수한 면역기능 증진 효과를 갖는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WO2018093238A2 (ko) 포름산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62914A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1194225A1 (ko)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 subsp. 락티스 CKDB00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99094A1 (ko)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0091312A1 (ko) 프로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장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45807A1 (ko)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락티스 hem20-01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치료용 조성물
WO2021066549A1 (ko)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bl409 균주 및 그 용도
WO2017131402A1 (ko) 면역조절 작용을 가는 사람 소화관 유래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WO2021075663A1 (ko)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및 비피도박테리움 균주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047962A1 (ko) 신규 유산균 및 퇴행성 뇌질환 또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055188A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WO2020013670A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cjlp475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cjlp17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9225953A2 (ko) 잣나무 부산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 제균 효과를 갖는 조성물
WO2019117654A1 (ko) 신장질환 진행 억제 및 예방용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신장질환 진행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
WO2014196775A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g-101 및 이의 용도
WO2024048934A1 (ko) 체지방 감소용 신규 유산균 락티플랜티바실러스 플란타룸 sko-001 및 이의 용도
WO2016010340A1 (ko)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0139020A2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연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김치
WO2020013672A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cjlp475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cjlp243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3068855A1 (ko) 항암 활성을 갖는 베일로넬라 파르불라 균주를 이용한 암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350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145236

Country of ref document: C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7722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1026278

Country of ref document: BR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9350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9350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127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454505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90723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1026278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2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