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084B1 -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 - Google Patents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084B1
KR102475084B1 KR1020210046042A KR20210046042A KR102475084B1 KR 102475084 B1 KR102475084 B1 KR 102475084B1 KR 1020210046042 A KR1020210046042 A KR 1020210046042A KR 20210046042 A KR20210046042 A KR 20210046042A KR 102475084 B1 KR102475084 B1 KR 102475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body
mounting
dehumidifier
moun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089A (ko
Inventor
박철민
송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콘
Priority to KR102021004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08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욕실이나 화장실, 대중이 이용하는 대중 화장실과 같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세면대의 하부 공간 부위에서 세면대(10)의 하부로 연결되는 배수관들을 에워싸는 하우징의 케이스몸체(100)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제습과 탈취와 살균 및 정화와 같은 멀티적 기능 처리가 가능한 실내 세면대에 설치되는 제습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dehumidifier in a room washstand}
본 발명은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이나 화장실과 같은 실내에 마련된 세면대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에 함유된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뿐만 아니라, 세면대의 하부 빈 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활용을 통한 실내의 공간 확보와 공간 활용의 용이한 운용과 더불어 실내 공간에 대한 탈취와 살균 및 정화 처리까지 겸비된 멀티적 기능의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대한 것이다.
욕실이나 화장실, 혹은 대중이 이용하는 화장실과 같은 실내에 비치된 기존의 제습기는 일반적으로 실내의 습한 공기를 흡입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가 뒤쪽에 위치된 관계로, 제습기를 벽에 붙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됨에 따라, 제습기의 실내 공간 확보가 제한적일뿐만 아니라, 공간의 활용성도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기존의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유입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하나의 기능적 용도로 개발된 제품들이 대다수이다. 물론, 습기 제거뿐만 아니라 공기의 정화에 이르는 겸용 용도로 출시되곤 하지만, 공기의 정화와 탈취 및 살균에 이르는 다양한 멀티적 기능까지 겸비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기존의 제습기는 습기를 제거한 공기를 대부분 윗 방향으로 방출하면서도 짧은 거리까지만 방출되는 관계로, 실내에서의 공기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결국 실내나 욕실과 같은 장소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물기가 제대로 건조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함에 따라, 실내나 욕실과 같은 장소의 바닥면에 있는 물기의 제거가 어렵다.
게다가, 기존의 제습기는 무엇보다 욕실이나 화장실, 대중이 이용하는 대중 화장실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 사용자의 목적 및 활보 경로에 따라 비치되는 장소가 시시각각 다른 관계로, 사용자들이 실내 공간을 활보하는 과정에서 비치된 제습기가 오히려 장애물로 취급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들이 실내 공간의 활용에 불편함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001 :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4247호(등록일자 : 2000, 06, 19)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욕실이나 화장실, 대중이 이용하는 대중 화장실과 같은 실내 공간에 비치된 기존 제습기의 장애물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간 활용이 되지 않는 세면대의 하부 부위에 설치되어 실내에 대한 제습과 탈취와 살균 및 정화 처리 기능과 함께 사용자들의 편리한 활보 공간을 누릴 수 있는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기 순환을 통하여 욕실이나 화장실, 대중이 이용하는 대중 화장실과 같은 실내 공간의 바닥면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여 바닥면의 물기를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를 제공하고자 함에도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욕실이나 화장실, 대중이 이용하는 대중 화장실과 같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세면대의 하부 공간 부위에서 세면대(10)의 하부로 연결되는 배수관들을 에워싸는 하우징의 외관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제습과 탈취와 살균 및 정화와 같은 멀티적 기능 처리가 가능한 케이스몸체(100) 구조의 제습기인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그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케이스몸체(100)는 전방이 개방되는 구조이면서 상기 배관들을 에워싸는 통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개방 부위를 차폐하는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제습과 탈취와 살균 및 정화과 같은 동작 운용에 필요한 조작 제어가 가능한 조작판넬(10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몸체(100)를 기준으로 양측편에서에서 그릴흡입구조로 형성되어, 실내의 습한공기를 유입하는 제습공기주입구(100a) 및 실내의 일반공기를 유입하는 일반공기주입구(100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판넬(101)의 하부 부위에 통기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순환공기의 순환 과정을 통해 제습과 정화와 탈취 및 살균의 복합 처리가 이루어진 공기를, 실내로 방출하는 순환공기배출구(101a)를 더 포함하는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에 그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제1 탑재판넬(150) 및 제2 탑재판넬(160)이 더 구성되는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그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은, 상단에서 상호간 일정한 유격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구조로 형성된 탑재일로(151) 및 탑재이로(152), 상기 탑재일로(151) 및 탑재이로(152)가 형성된 상단의 어느 일측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구조이면서, 어느 일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구조를 갖는 수용부(153), 및 상기 수용부(153)의 양측단에서 상기 수용부(153)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구조를 갖는 반호부(15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그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은, 상단에서 어느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수평한 연장 구조를 갖는 상부탑재부위(161), 상기 상부탑재부위(163)의 하부에서 관통되는 구조로 형성된 중공부위(162), 상기 중공부위(162)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팬설치부위(163)의 양측단에서 상기 반호부(154)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구조를 갖는 반호부(164), 및 상기 팬설치부위(163)의 중앙 부위를 가로 지르는 수평한 구조로 관통되어, 정화와 탈취 및 살균 처리된 공기를 배출되게 하는 배출로(165)를 더 포함하는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그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의 상기 탑재일로(151)에 탑재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증발기(120), 상기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의 상기 탑재이로(152)에 탑재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응축기(130), 및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몸체(100)와 상기 수용부(153)의 사이에서 보호되는 압축기(140)를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가 구성되는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그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의 중공부위(16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과열을 방지하며 냉각팬(180)을 회전시키는 회전동력부와 조합된 히트싱크(170),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의 상부탑재부위(161)에 설치되어 제습기의 동작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판, 상기 반호부(154)와 상기 반호부(164)의 합치된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실내의 일반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제1,2팬(F1,F2), 및 상기 증발기(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10)에서 제습된 물을 수거하는 물통을 더 포함하는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그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응축기에 광촉매가 코팅되고, 상기 응축기에 조사광이 조사되는 방식으로 공기의 정화, 살균 및 냄새 제거가 이루지되, 상기 조사광은 UV-LED 광; 광촉매가 코팅된 조사부; 및 상기 조사부의 후면에 설치되어 공기에 함유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
이상 상술된 바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제습된 따스한 공기와 공기순환팬의 바람이 만나서 따스한 공기가 멀리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바닥 및 하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제습이 빠르고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습된 따스한 바람이 상측이 아닌 하측으로 나오며 공기 순환을 이루게 함으로써 실내나 욕실 등의 바닥면 습기를 제거하는데에 용이하며, 밀폐된 공간에서 공기 순환에 의한 제습 시간이 절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순환팬의 적용으로 공기의 순환이 용이해질 수 있고, 열교환기의 증발기로서 광촉매를 코팅하고, 필터의 적용과 함께, 조사광의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활성화 촉진에 따라, 공기 살균과 탈취 및 공기 정화가 동시에 처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습기를 머금은 실내의 습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로서 제습기의 뒤쪽이 아닌 측편에서 유입될 수 있게 유도하여 제습기를 벽에 붙여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한 공간 확보가 용이함에 따라, 제습기의 실내 배치 운용이 수월하며, 공기가 제습되어 발생되는 수분을 따로 보관하여 비워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직수 호스를 이용한 물의 제거까지 용이함에 따라, 욕실에서의 배수 시설물의 설치가 불필요하고 욕실에서의 제습기 운용에도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대한 외관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 방향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대한 외관을 어느 일측편으로 도시한 측방향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대한 외관을 후측편으로 도시한 후방향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대한 일 방향에서 바라본 구성품들을 입체적으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대한 타 방향에서 바라본 구성품들을 입체적으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에 대한 구성품들을 더욱 상세히 확대 분리하여 도시한 확대 분리 사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제습기의 내부에 구성된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에 대한 작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를 통해 실내의 공기에 함유된 유해가스의 제거 성능을 평가하는 차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을 통한 기술적 사상에 이르는 권리 범위까지 포함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상세한 설명의 보충적 이해를 돕기 위한 방안으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대변하는 것이 아닌 참고할만한 정도의 수준에 불과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는 하기에서 일 실시예로 상세히 설명될 수 있되, 이러한 일 실시예가 본 발명의 특징적 사상을 모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는 욕실이나 화장실, 대중이 이용하는 대중 화장실과 같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세면대(10)의 하부 공간 부위에서 배수관들을 에워싸는 하우징의 외관 구조로 이루어진 케이스몸체(100)의 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세면대(10)는 대개 물이 나오는 수도분출대(11)와, 얼굴 및 손 부위 등을 씻을 수 있는 세면공간부(12)와, 나온 물이 하수관으로 보내질 수 있게 세면공간부(12)의 하부 부위로 연결된 배수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배수관이 차지하는 세면공간부(12)의 하부 부위 공간은 단순히 배수관만 설치된 채 다른 용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수준에 이르고 있는데, 이러한 세면공간부(12)의 하부 부위 공간에 배수관을 에워싸는 케이스몸체(100) 구조의 제습기가 설치됨으로써, 방치되고 있는 세면공간부(12)의 하부 부위 공간이 실내의 제습뿐만 아니라 탈취와 살균 및 정화와 같은 멀티적 기능 처리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전혀 활용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상태의 세면공간부(12)의 하부 부위 공간이 배수관을 에워싸는 케이스몸체(100) 구조의 제습기로 설치됨에 따라, 실내의 공간 이용에 대한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고, 특히 케이스몸체(100) 구조의 제습기가 배수관을 에워싸는 구조로 설치되어 배수관을 보호하는 기능적 역할 수행뿐만 아니라, 실내의 다른 공간에 설치될 필요성이 사라짐으로써, 용무를 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내를 출입하는 사용자들의 입장에서는 활보 과정에서 기존에 비치된 제습기가 장애물로 인식되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사용자들의 실내 활보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습기는 케이스몸체(100)의 구조로 세면공간부(12)의 하부 부위 공간에 설치된 배수관을 에워싸며 상기 세면공간부(12)를 받쳐주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케이스몸체(100)에 구성품들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도면 1 내지 도면 3을 참고로 예컨대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몸체(100)는 예컨대 박스형과 같은 사각형 구조로 배수관을 에워싸는 구조일 수 있되, 이러한 형상의 구조에 국한되지는 않고, 양측편 부위에 그릴 형상의 구조로 형성된 제습공기주입구(100a)와 일반공기주입구(10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측편의 하부 부위에 배수 가능한 배수구(100c)로 구성될 수 있고, 상단 부위에 세면공간부(12)가 탑재되어 걸착 가능한 탑재통공(100d)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릴 구조의 상기 제습공기주입구(100a)는 긴 세로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그릴 구조의 일반공기주입구(100b)은 예컨대 원 형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제습공기주입구(100a)는 실내의 습기를 머금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용도이고, 상기의 일반공기주입구(100b)는 실내의 일반 공기가 유입되는 용도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습공기주입구(100a) 및 일반공기주입구(100b)는 실내 공기의 효율적인 흡입을 위한 그릴흡입구조이다.
상기 케이스몸체(100)는 그 전측편 부위가 개방된 구조이며 이러한 전측편 부위를 차폐할 수 있는 조작판넬(101)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조작판넬(101)은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작동 제어에 필요한 예컨대 전원버튼, 약풍버튼, 강풍버튼, 예약시간 및 습도 표시부, 습도조절버튼, 자동제습버튼, 연속제습버튼, 꺼짐예약버튼, 및 물막힘 표시등이 나열되는 방식으로 상부 부위에 구성될 수 있으며, 실내의 방향으로 순환된 공기가 방출되기 위한 순환공기배출구(101a)가 하부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공기배출구(101a)는 제습과 정화와 탈취 및 살균 처리가 이루어진 공기를 실내의 먼 곳까지 방출하기 위한 용도이다.
물론, 이러한 상기 케이스몸체(100)는 상기 조작판넬(101)이 결합된 구조로 세면대(10)의 세면공간부(12) 하부에서 배수관을 에워싸는 구조이며 상기 세면공간부(12)를 받쳐주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되, 설계 환경에 따라 상기 세면공간부(12)와 상기 케이스몸체(100)가 서로 일체되는 구조로 설치되거나 혹은 상기 세면공간부(12)와 상기 케이스몸체(100)가 서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버튼은 전원의 온오프를 식별하기 위한 점등표시등을 포함한 제습기의 운전을 시작하거나 정지할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약풍버튼은 약풍의 동작성을 식별하기 위한 점등표시등을 포함한 바람의 세기를 약풍으로 동작되게 할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강풍버튼은 강풍의 동작성을 식별하기 위한 점등표시등을 포함한 바람의 세기를 강풍으로 동작되게 할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약시간 및 습도 표시부는 제습기의 동작 시간을 예약하는 예약시간, 섭도의 설정, 및 습도의 현재값을 표시할 수 있으며, 습도조절버튼은 예컨대 5% 단위로 실내의 습도를 설정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자동제습버튼은 실내의 습도를 스스로 감지하여 자동 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표시등의 점멸과 함께 자동제습 중임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연속제습버튼은 습도의 설정과 상관없이 연속적인 제습을 운전하고, 표시등의 점멸과 함께 연속제습 중임을 표시할 수 있으며, 꺼짐예약버튼은 표시등의 점멸과 함께 꺼짐예약 중임을 표시하고, 예컨대 1시간 단위로 예약 설정이 가능하며 3초 동안의 누름으로 차일드락 기능이 설정될 수 있고, 물막힘 표시등은 배수가 막힐 경우 표시등이 점등되는 방식으로 제습기의 동작이 멈춤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몸체(100)와 조작판넬(101)이 분리된 채로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품들의 경우, 예컨대 도면 4 내지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익스몸체(100) 내측과 상기 조작판넬(101)의 내측 사이로 제1보호커버부(110), 증발기(120), 응축기(130), 압축기(140), 제1 탑재판넬(150), 제2 탑재판넬(160), 히트싱크(170), 냉각팬(180), 제2보호커버부(190)를 포함하는 구성품들과 더불어 제1팬(F1) 및 제2팬(F2)을 포함한 구조로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커버부(110)는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의 일측편 상측 부위와 결합되면서 제1 탑재판넬(150)의 상단에 탑재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고,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은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의 일측편 하측 부위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의 타측편은 상기 제2보호커버부(190)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압축기(140)는 고정플레이트의 구성에 따라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내부 바닥편 부위에 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커버와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의 하부 부위의 커버를 통해 보호되는 구조이고, 열교환기의 구성품들로서 상기 증발기(120) 및 상기 응축기(130)는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의 상단 부위에 탑재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보호커버부(110)와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의 커버를 통해 보호되는 구조이다.
상기 히트싱크(170)는 제2보호커버부(190)의 타측편 부위에 결합되는 구조로 냉각팬(180)과 연결되며 제2보호커버부(190)의 커버를 통해 보호되는 구조이며, 상기 제1팬(F1) 및 제2팬(F2)은 상기 제1 탑재판넬(150)과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의 하부 양측 부위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제1 탑재판넬(150)과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의 결합으로 보호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의 구성품들에 대한 설명은 다음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후술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커버부(110)는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의 상단에 탑재된 상기 증발기(120) 및 상기 응축기(130)를 커버하는 구조로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의 상단에 결합되는데, 양측 부위로 소정의 통기성이 가능한 간극을 유지하는 열기배출로(111)와 결착다리(1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기배출로(111)는 열교환기의 구성품들인 상기 증발기(120)와 상기 응축기(130) 및 압축기(14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 가능한 긴 세로 형 구조의 통기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착다리(112)는 특히 양측편 부위에서 긴 세로형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증발기(120)를 품는 방식으로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의 상단 양측편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20)와 상기 응축기(130)는 각각 그 양측편의 하단 부위에 부채꼴 형상의 걸림돌기(121)(13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걸림돌기(121)(131)들은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의 양측단에 형성된 부채꼴 부위에 걸착되어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의 상단으로 탑재된 상기 증발기(120)와 상기 응축기(130)에 대한 탑재 고정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증발기(120)와 상기 응축기(130)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는 구조로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의 상단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은 상단의 양측단에 형성된 부채꼴 부위에서 상호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구조로 걸착홈(150a)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걸착홈(150a)들에 상기 걸림돌기(121)(131)들이 걸착될 수 있고, 상단에 탑재일로(151)와 탑재이로(152)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되, 이러한 상기의 탑재일로(151)와 탑재이로(152)에 각각 상기 증발기(120)와 상기 응축기(130)가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은 그 상단 부위가 상기 탑재일로(151)와 탑재이로(152)를 형성하는 수평한 부위로 이루어지되, 어느 일 측편에서 하부 방향을 향해 수직한 구조로 절곡되는 수용부(153)와 상기 수용부의 양측단 부위에 형성된 반호부(154)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153)는 상기 압축기(140)의 일부 부위를 에워싸기에 유리한 오목한 형상의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반호부(154)는 상기 수용부(153)의 오목한 형상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오목한 반원 형상의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은 수평한 구조이면서 수직한 구조인 수용부(153)와 절곡되는 구조로 일체될 수도 있고 설계 환경에 따라 분리되는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은 상단 부위에서 어느 일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상부탑재부위(161)와, 상기 상부탑재부위(161)의 하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되 그 중앙을 관통하는 형상 구조의 중공부위(162)와, 상기 중공부위(162)의 하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팬설치부위(163)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탑재부위(161)는 제습기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제어기판이 탑재되기 위한 공간적 기능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공부위(162)는 예컨대 통기의 원 형상 구조이면서 그 둘레 주변으로 히트싱크(170)와 결합되게 하는 기능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팬설치부위(163)는 제1팬(F1) 및 제2팬(F2)의 회전 가능한 설치 공간의 제공과 함께 제1팬(F1) 및 제2팬(F2)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팬설치부위(163)는 특히 그 양측단 부위에서 상기 반호부(154)와 대응되며 상기 반호부(154)의 반대 방향으로 오목한 반원 형상의 반호부(164)와 함께 그 중앙 부위를 따라 가로 지르며 관통된 구조의 배출로(165)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반호부(154)와 상기 반호부(164)가 합치되는 구조이면서 제1팬(F1) 및 제2팬(F2)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배출로(165)는 케이스몸체(100)의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를 조작판넬(101)의 하부 부위에 형성된 순환공기배출구(101a)로 보내기 위한 용도이다. 즉, 이러한 상기 배출로(165)는 제습과 정화와 탈취 및 살균 처리까지 이루어진 순환된 공기를 순환공기배출구(101a)로 배출하는 용도이다.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170)는 모터와 조합되는 구조로서 냉각팬(180)과 연결되어 냉각팬(180)을 회전시킬뿐 아니라, 케이스몸체(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과열을 방지하는 기능적 역할도 동시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히트싱크(170)를 포함한 상기의 냉각팬(180)은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의 타측편 부위에서 결합되는 제2보호커버부(190)의 커버를 통해 보호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습기에 있어서, 케이스몸체(100)를 기준으로 양측편에 형성된 제습공기주입구(100a)를 통해 실내의 습기를 머금은 습한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일반공기주입구(100b)를 통해 실내의 일반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습한공기는,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내부에 설치 구성된 열교환기로서 상기 증발기(120)를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120)는 습한공기를 받아들이며 냉매순환과정을 통한 냉각 방식으로 습한공기에 함유된 습기를 제습할 수 있고, 이렇게 제습된 냉각공기는 상기 증발기(120)의 인근에 설치된 응축기(130)에서 발열되며 건조한 공기로 실내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의 건조한 공기는 제1,2팬(F1,F2)을 통해 강제 흡입되는 일반공기(바람)와 만나 따스한 바람 상태로 실내의 먼 공간까지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20)에서 제습된 물은 상기 증발기(120)의 하부 바향에 위치된 물통(미도시)에 낙하되는 방식으로 수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습 방식에 있어서, 습한공기가 흡입된 후, 냉매를 이용한 증발기(120)를 통해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의 온도로 낮아지며 공기 중의 수증기 가 물로 변하면서 물통(미도시)에 고일 수 있고,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130)를 거치는 과정에서 제1,2팬(F1,F2)의 바람과 만나며 덥혀진 상태로 실내의 먼 공간까지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공기 중의 수증기는 물로 변하기 쉬워 제습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120)는 팽창 밸브를 통과하는 저온 저압으로 감압된 냉매를 유입하며 주위의 공간이나 피냉각 물체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열흡수를 통한 공기를 냉각하는 기기이며, 예컨대 설계 환경에 따라 건식, 반만액식, 만액식, 액순환식 증발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응축기(130)는 냉각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응축하되, 압축기(140)를 통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통해 응축열을 제거하며 액화시킬 수 있다. 설계 환경에 따라 수냉, 공냉, 증발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는 제1,2팬(F1,F2)의 바람과 만나며 덥혀지는 관계로, 케이스몸체(100)의 내부가 과열될 수 있으나, 이는 히트싱크(170) 및 냉각팬(180)을 통해 흡열되는 방식으로 케이스몸체(100)의 내부 과열이 방지될 수 있다.
건조한 공기는 제2 탑재판넬(160)의 하부에 구성된 팬설치부위(163)에 형성된 배출로(165)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곧 조작판넬(101)의 하부에 형성된 순환공기배출구(101a)를 실내의 먼 공간을 향해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의 건조한 공기는 공기 정화와 탈취 및 살균이 모두 처리된 공기로 실내에 방출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증발기(120)와 상기 응축기(130)의 사이에는 교축밸브가 적용되어 구성될 수 있되, 이러한 교축밸브는 관내의 공기 유체가 급작스럽게 좁아진 예컨대 오리피스와 같은 세공 통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압되는 방식으로 팽창되게 하는 교축(throttling) 현상을 발휘되게 함으로써, 공기 유체의 감압과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교축밸브는 공기 유체 이동에 대한 통로의 단면적을 변경한 구조로 교축 현상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의 응축기(130)에서는 조사광(미도시)의 자외선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코팅을 통한 공기의 정화, 살균 및 냄새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의 조사광(미도시)은 UV-LED 광을 사용하여 상기 응축기(130)에 조사하는 관계로, 각종 세균 및 곰팡이 균들의 멸균뿐만 아니라 공기의 정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의 조사광(미도시)은 UV-LED 광, 광촉매가 코팅된 조사부와 상기 조사부의 후면에 설치되어 공기에 함유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조사부 및 필터부는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은 미도시됨을 밝혀둔다.
따라서, 상기 조사광(미도시)의 UV-LED 광이 조사될 경우, 광촉매가 코팅된 조사부에서는 광촉매에 자외선의 조사를 통한 전자와 정곡이 형성되며 강한 산화력을 갖는 OH와 O2- 의 생성에 따라 공기에 대한 종합적인 정화/탈취/살균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 공기에 대한 정화 작용으로서 예컨대 포름알데히드, VOC, 다이옥신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분해 방식으로 유기물의 분해에 따른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기에 대한 탈취 작용으로서 예컨대 생활 악취, 암무니아, 황화수소 등의 악취 냄새 유발 물질들이 탈취될 수 있고, 공기에 대한 살균 작용으로서 예컨대 병원균, 세균, 유해미생물, 곰팡이 등의 균들이 정균되는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광촉매제는 예컨대 이산화티타늄(TiO2)의 적용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자외선의 조사에 따라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제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방식으로 촉매 반응할 수 있다.
유해가스 제거에 대한 성능 평가의 결과는 도면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유해가스(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초산, 벤젠, 아세트알데히드, 이산화질소, 톨루엔)들의 제거율이 시간 소요에 따라 고르게 제거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공기가 제습되어 발생되는 수분은 따로 보관하여 비워야 하는 불편함도 개선될 수 있고, 이는 직수 호스를 이용해 물의 제거도 용이해질 수 있으며, 욕실에서는 별도의 배수 시설물 설치가 불필요한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이러한 제습기는 욕실에 마련된 세면대(10)의 하부 부위 공간에서 배수관을 에워싸는 구조로 설치되어 욕실 전용 제습기로 운용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대중이 이용하는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세면대(10)의 하부 부위 공간에서 배수관을 에워싸는 구조이면서 세면대(10)을 받쳐주는 구조로 공중화장실의 실내 공기에 대한 제습, 정화, 탈취 및 살균의 멀티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습기는 욕실이나 화장실, 대중이 이용하는 대중 화장실과 같은 실내 공간에 비치된 기존 제습기의 장애물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간 활용이 되지 않는 세면대(10)의 하부 부위에 설치되는 구조인 관계로, 실내에 대한 제습과 탈취와 살균 및 정화의 멀티적 처리기능과 함께 실내에서 용무를 보는 사용자들의 편리한 활보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기존 제습기와 대비하여 공기 순환을 통한 실내의 바닥면 및 벽면의 수분 제거가 용이하고, 광촉매와 조사광(uv led)을 이용한 공기 정화 및 살균 기능도 추가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제습기는 제습된 따뜻한 공기을 하부 방향 즉 밑으로 내보내며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식인 관계로, 실내나 욕실 등의 바닥면에 있는 수분이 효과적인 방식으로 건조됨으로써, 실내나 욕실 등의 바닥면에 있는 수분이 신속히 제거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공기 순환이 효과적으로 구현되고 바람의 세기도 향상될 수 있게, 제습기에는 별도의 팬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습기의 작동을 통한 공기의 제습 과정에 따른 공기 순환을 설명하자면 다음 하기와 같다.
실내의 습기를 머금은 습한 공기는 케이스몸체(100)의 제습공기주입구(100a)를 통해 제습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실내의 일반공기는 일반공기주입구(100b)를 통해 제습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특히, 제습기의 조작판넬(101)에 순환공기배출구(10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습기의 내부에서 정화와 탈취 및 살균 처리가 이루어진 공기는 상기의 순환공기배출구(101a)를 통해 실내의 먼 곳까지 방출되며 공기 순환을 이루는 관계로, 효과적인 공기 순환에 따른 실내의 바닥면이나 욕조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물기가 빠르게 건조되면서 제거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습한 공기는, 도면 4 내지 6을 참고로, 도면 7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내부에 설치 구성된 열교환기로서 상기 증발기(120)를 거치면서 냉매순환과정을 통한 냉각 방식으로 습한공기에 함유된 습기 제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이렇게 제습된 냉각공기는 상기 증발기(120)의 인근에 설치된 응축기(130)에서 발열되며 건조한 공기로 실내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건조한 공기는 제1,2팬(F1,F2)을 통해 유입되는 일반공기(바람)와 만나 따스한 바람 상태로 실내의 먼 공간까지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20)에서 제습된 물은 상기 증발기(120)의 하부 바향에 위치된 물통(미도시)에 낙하되는 방식으로 수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습 방식에 있어서, 습한 공기가 흡입된 후, 냉매를 이용한 증발기(120)를 통해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의 온도로 낮아지며 공기 중의 수증기 가 물로 변하면서 물통(미도시)에 고일 수 있고,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130)를 거치는 과정에서 제1,2팬(F1,F2)을 통한 바람과 만나며 덥혀진 상태로 실내의 먼 공간까지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공기 중의 수증기는 물로 변하기 쉬워 제습에 효과적일 수 있다.
습기가 제거된 상기의 건조한 공기는 제1,2팬(F1,F2)을 통한 바람과 만나며 덥혀지되, 히트싱크(170) 및 냉각팬(180)가 케이스몸체(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과열을 흡열하는 관계로, 케이스몸체(100)의 내부에 대한 과열이 방지될 수 있다.
건조한 공기는 제2 탑재판넬(160)의 하부에 구성된 팬설치부위(163)에 형성된 배출로(165)를 통해 배출된 다음, 곧 조작판넬(101)의 순환공기배출구(101a)를 통해 실내의 먼 공간을 향해 방출되며 공기 순환을 이루게 된다. 물론, 상기의 건조한 공기는 공기 정화와 탈취 및 살균이 모두 처리된 공기로 실내에 방출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증발기(120)와 상기 응축기(130)의 사이에는 교축밸브가 적용되어 구성될 수 있되, 이러한 교축밸브는 관내의 공기 유체가 급작스럽게 좁아진 예컨대 오리피스와 같은 세공 통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압되는 방식으로 팽창되게 하는 교축(throttling) 현상을 발휘되게 함으로써, 공기 유체의 감압과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교축밸브는 공기 유체 이동에 대한 통로의 단면적을 변경한 구조로 교축 현상을 발휘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응축기(130)에서는 조사광(미도시)의 자외선 조사에 따른 광촉매의 코팅을 통한 공기의 정화 및 살균 처리되고, 냄새의 제거도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습기는 제습된 따뜻한 공기를 제습기의 하부 방향 즉 밑으로 방출하면서 먼 공간에 이르기까지 보내며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내나 욕실 등의 바닥면에 있는 수분이 광범위하게 효과적인 방식으로 건조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실내나 욕실 등과 같은 실내 장소의 바닥면에 있는 수분이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공기 순환이 효과적으로 구현되고 바람의 세기도 향상될 수 있게, 제습기에는 별도의 팬이 추가될 수도 있다.
세면대(10)
수도분출대(11) 세면공간부(12)
케이스몸체(100) 제습공기주입구(100a)
일반공기주입구(100b) 배수구(100c)
탑재통공(100d)
조작판넬(101) 순환공기배출구(101a)
제1보호커버부(110) 열기배출로(111)
결착다리(112)
증발기(120) 걸림돌기(121)
응축기(130) 걸림돌기(131)
압축기(140) 고정플레이트
제1 탑재판넬(150) 걸착홈(150a)
탑재일로(151) 탑재이로(152)
수용부(153) 반호부(154)
제2 탑재판넬(160) 상부탑재부위(161)
중공부위(162) 팬설치부위(163)
반호부(164) 배출로(165)
히트싱크(170) 냉각팬(180)
제2보호커버부(190)
제1팬(F1) 제2팬(F2)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욕실이나 화장실, 대중이 이용하는 대중 화장실과 같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세면대의 하부 공간 부위에서 세면대(10)의 하부로 연결되는 배수관들을 에워싸는 하우징의 외관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제습과 탈취와 살균 및 정화와 같은 멀티적 기능 처리가 가능한 케이스몸체(100) 구조이고,
    상기 케이스몸체(100)는 전방이 개방되는 구조이면서 상기 배수관들을 에워싸는 통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개방 부위를 차폐하는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제습과 탈취와 살균 및 정화과 같은 동작 운용에 필요한 조작 제어가 가능한 조작판넬(10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몸체(100)를 기준으로 양측편에서 그릴흡입구조로 형성되어, 실내의 습한공기를 유입하는 제습공기주입구(100a) 및 실내의 일반공기를 유입하는 일반공기주입구(100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판넬(101)의 하부 부위에 통기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순환공기의 순환 과정을 통해 제습과 정화와 탈취 및 살균의 복합 처리가 이루어진 공기를, 실내로 방출하는 순환공기배출구(101a)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내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제1 탑재판넬(150) 및 제2 탑재판넬(160)이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은, 상단에서 상호간 일정한 유격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구조로 형성된 탑재일로(151) 및 탑재이로(152); 상기 탑재일로(151) 및 탑재이로(152)가 형성된 상단의 어느 일측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구조이면서, 어느 일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구조를 갖는 수용부(153); 및 상기 수용부(153)의 양측단에서 상기 수용부(153)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구조를 갖는 반호부(15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은, 상단에서 어느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수평한 연장 구조를 갖는 상부탑재부위(161); 상기 상부탑재부위(161)의 하부에서 관통되는 구조로 형성된 중공부위(162); 상기 중공부위(162)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팬설치부위(163)의 양측단에서 상기 반호부(154)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구조를 갖는 반호부(164); 및 상기 팬설치부위(163)의 중앙 부위를 가로 지르는 수평한 구조로 관통되어, 정화와 탈취 및 살균 처리된 공기를 배출되게 하는 배출로(165);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의 상기 탑재일로(151)에 탑재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증발기(120); 상기 제1 탑재판넬(150)의 상기 탑재이로(152)에 탑재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응축기(130); 및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몸체(100)와 상기 수용부(153)의 사이에서 보호되는 압축기(140); 를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가 구성되고,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의 중공부위(16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몸체(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과열을 방지하며 냉각팬(180)을 회전시키는 회전동력부와 조합된 히트싱크(170); 상기 제2 탑재판넬(160)의 상부탑재부위(161)에 설치되어 제습기의 동작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판; 상기 반호부(154)와 상기 반호부(164)의 합치된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실내의 일반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제1,2팬(F1,F2); 및 상기 증발기(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20)에서 제습된 물을 수거하는 물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응축기(130)에 광촉매가 코팅되고; 상기 응축기(130)에 조사광이 조사되는 방식으로 공기의 정화, 살균 및 냄새 제거가 이루지되, 상기 조사광은 UV-LED 광; 광촉매가 코팅된 조사부; 및 상기 조사부의 후면에 설치되어 공기에 함유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120)와 상기 응축기(130)의 사이에 관내의 공기 유체가 급작스럽게 좁아진 세공 통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압되는 방식으로 팽창되게 하는 교축(throttling) 현상을 발휘하는 교축밸브가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
KR1020210046042A 2021-04-08 2021-04-08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 KR102475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042A KR102475084B1 (ko) 2021-04-08 2021-04-08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042A KR102475084B1 (ko) 2021-04-08 2021-04-08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089A KR20220140089A (ko) 2022-10-18
KR102475084B1 true KR102475084B1 (ko) 2022-12-08

Family

ID=8380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042A KR102475084B1 (ko) 2021-04-08 2021-04-08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0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862A (ja) 2000-02-25 2001-11-06 Toto Ltd 洗面手洗いユニット
KR100544563B1 (ko) * 2004-07-16 2006-01-23 이규철 콘트롤박스에 내장되는 제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9630A (ja) * 1985-11-30 1987-06-11 Sanden Corp 除湿機能を有した洗面ユニツト
JPH09462A (ja) * 1995-06-22 1997-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洗面台装置
KR200194247Y1 (ko) 2000-04-01 2000-09-01 김원용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
KR100979193B1 (ko) * 2008-04-24 2010-08-31 (주)엘포에스 욕실 환기장치
KR102308029B1 (ko) * 2017-03-08 2021-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면대 하부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862A (ja) 2000-02-25 2001-11-06 Toto Ltd 洗面手洗いユニット
KR100544563B1 (ko) * 2004-07-16 2006-01-23 이규철 콘트롤박스에 내장되는 제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089A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499B1 (ko) 제습,가습 및 공기정화 겸용 복합기
KR100719788B1 (ko) 물세척법과 흡착여과법을 연계한 복합기능 공기정화기
KR102148432B1 (ko) 살균필터 및 살균장치
KR101685170B1 (ko) 공기살균기
KR20150015880A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02317253B1 (ko) 흡음기능을 갖는 원통형 광촉매 필터장치를 구비한 전열교환기
KR200384758Y1 (ko) 실내 공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살균자외선 램프와 광촉매 타공판을 장착한 공기 디퓨져
WO2007020896A1 (ja) 脱臭器
KR102475084B1 (ko) 실내 세면대의 제습기
KR100668177B1 (ko) 광촉매 코팅 필터를 이용한 핸드 드라이기
KR101373290B1 (ko) 악취 제거 환기 장치
JP2004108685A (ja) 除塵・脱臭・除菌機能付き空調装置
CN210077477U (zh) 一种浴室柜
KR102447906B1 (ko) 제습기
KR100979193B1 (ko) 욕실 환기장치
KR20050020933A (ko) 공기청정용광촉매레인지후드
CN212720012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10601997U (zh) 空气净化模块、空调室内机以及空调器
JP4736616B2 (ja) 脱臭器
JPH1057466A (ja) 空気殺菌装置
KR20100006034U (ko) 공기조화장치
JP3014175U (ja) 空気調和装置
CN111780290A (zh) 一种厕所源头除臭设备
JP2004360927A (ja) 空気調和機
KR100628970B1 (ko) 제습을 위한 열전소자와 냄새제거용 필터가 내장된 욕실 장식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