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863B1 -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863B1
KR102474863B1 KR1020220007349A KR20220007349A KR102474863B1 KR 102474863 B1 KR102474863 B1 KR 102474863B1 KR 1020220007349 A KR1020220007349 A KR 1020220007349A KR 20220007349 A KR20220007349 A KR 20220007349A KR 102474863 B1 KR102474863 B1 KR 102474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ertificate
contents
user termina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845A (ko
Inventor
서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딜라이트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딜라이트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딜라이트엑스
Priority to KR1020220007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8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변조가 불가한 블록 체인의 블록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이용 권리 증서의 발행 수량을 관리하고, 유효하지 않은 디지털 컨텐츠 및 이용 권리 증서의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user terminal, method of distributing digital content, and computer program}
본 명세서는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본 여부 또는 구매 여부로 유통 가능성을 판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체인은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르며 거래 시 중앙화된 서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탈중앙화 알고리즘으로 막는 기술이다. 기존 금융 회사의 경우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 반면,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블록체인은 대표적인 온라인 가상 화폐인 비트코인에 적용되어 있다. 비트코인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며,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여러 컴퓨터가 이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는다
블록체인은 단순히 비트코인에만 적용되는 기술이 아니며, 여러 데이터를 보관하는 데에도 적용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DB)의 유지 보수와 보안에 따른 막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 기술이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은 네트워크로 전달되는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누구나가 블록을 생성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 가장 빠르게 블록을 생성한 노드의 블록이 채택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유사한 시점에서 블록이 여러 개 생성되는 경우 체인이 여러 갈래로 분화되는데 이는 추후에 가장 긴 체인을 제외하고 삭제되는 방법으로 정리해서 동기화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증서를 발행 수량 만큼 유통시키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이용 권리 증서를 발행 수량 만큼 유통시키는 방법 컨텐츠 관리 서버가 디지털 컨텐츠 이용 권리 증서의 발행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 이용 권리 증서에 대응하여, 상기 발행 수량 만큼의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 체인 시스템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가 상기 이용 권리 증서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하여 상기 생성된 블록의 키 값을 포함하는 인증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 이용 권리 증서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 이용 권리 증서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컨텐츠 폴더에 저장되도록 상기 디지털 컨텐츠 이용 권리 증서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가 상기 발행 수량 중 잔여 수량에 해당하는 제1 인증서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용 권리 증서에 대응 하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인증서에 포함된 제1 인증 값 및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장치 정보를 소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자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수량만큼 발행 수량을 증가시키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인증서와 대응되는 블록을 제1 수량 만큼 반복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하나 이상의 블록의 키 값을 인증 값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인증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 이용 권리 증서를 이동(move) 시키는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제1 인증서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인증서의 소유자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장치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 이용 권리 증서의 발행 수량 만큼의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의 상태가 일반 블록으로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생성된 블록 정보를 분산 시스템 상에서 동기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된 제1 인증서를 블록 체인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인증서와 대응되는 블록의 존재 여부를 전달 받고, 상기 제1 인증서와 대응되는 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play)가 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 복제 여부를 확인하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된 제1 인증서를 블록 체인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인증서와 대응되는 블록의 존재 여부를 전달 받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 이용 권리 증서의 발행 수량 만큼의 복수의 인증서들을 블록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블록을 통해 유니크하게 생성된 키 값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 복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변조가 불가한 블록 체인의 블록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이용 권리 증서의 발행 수량을 관리하고, 유효하지 않은 디지털 컨텐츠 및 이용 권리 증서의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컨텐츠 사용 권한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예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거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매체(330)의 블록도이다.
도 15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유통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블록체인"은 무결성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순서에 따라 연결된 블록들이 서비스의 이용 내역 정보를 암호화 기법과 보안기술을 이용해 협상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요소를 활용하는 원장(ledger)의 분산 P2P (Peer to Peer)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산 P2P 시스템은 분산 시스템의 특수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P2P 시스템은 중앙 노드의 조정 없이 네크워크의 모든 노드들이 서로에게 자원(처리 능력, 저장 공간,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 대역폭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은 이용 내역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P2P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이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TV,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노드"는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내에서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드는 특수 목적 컴퓨터(Special-purpose Computer), 범용 컴퓨터(General-purpose Computer), 슈퍼 컴퓨터(Supercomputer), 대형 컴퓨터(Mainframe Computer),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은 블록체인인증서버(110) 및 복수의 블록체인서버(120,122,124)로 구성된 블록 체인 시스템(100), 컨텐츠 관리 서버(200), 컨텐츠 관리 서버(200)와 블록 체인 시스템(100)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서버(170,172,174)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컨텐츠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예를 들어,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자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서버로 실시 예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컨텐츠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하는 기존의 시스템일 수 있으며, 이러한 기존의 시스템을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이라고 한다.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면, 블록 체인 시스템(100)에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 또는 복수의 디지털 컨텐츠들을 이용하는 권리와 관련된 증서 파일을 말한다.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와 연계된 인증서를 블록 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블록 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이용 권리 증서의 인증서의 유효성 및/또는 계정의 유효성 등을 판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 등의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이용 권리 증서의 인증서의 유효성 및/또는 계정의 유효성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블록체인인증서버(110)는 블록 체인 시스템(100)에 연결된 인증서버로서, 블록체인서버(120,122,124)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이용 권리 증서의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증할 인증서를 생성한다. 블록체인인증서버(110)는 블록 체인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블록체인서버(120,122,124)의 일부로 구현되거나 블록체인서버(120,122,124)와 연결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블록체인인증서버(110)는 계정 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유효성 검증방법으로 종래의 다양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서버(170,172,174)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와 블록 체인 시스템(1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컨텐츠 관리 서버(20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양식이나 프로토콜이 블록 체인 시스템(10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양식이나 프로토콜과 상이한 경우에, 게이트웨이서버(170,172,174)는 데이터를 컨텐츠 관리 서버(200) 또는 블록 체인 시스템(100)에 맞도록 변형한다. 이종 망 또는 이종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변환하는 종래의 다양한 방법이 게이트웨이서버(170,172,174)에 적용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서버(170,172,174)는 블록체인인증서버(110)로부터 블록의 키 값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그인 한 경우에, 게이트웨이서버(170,172,174)는 블록체인인증서버(110)를 통해 사용자의 계정(아이디)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각 컨텐츠 관리 서버(200)와 블록 체인 시스템(100) 사이에 게이트웨이서버(170,172,174)를 도시하고 있으나, 게이트웨이서버(170,172,174)는 블록체인서버(120,122,124)의 일부로 구현되거나, 컨텐츠 관리 서버(200)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는 등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블록체인서버(120,122,124)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와 대응되는 인증서의 키 값을 블록체인에 분산 저장한다. 종래 비트코인 등과 같이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구성이므로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블록체인서버(120,122,124)는 트랜잭션의 처리결과를 게이트웨이서버(170,172,174)를 통해 컨텐츠 관리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관리 서버(200)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프로세서(210), 통신부(220), 저장 매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컨텐츠 관리 서버(20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컨텐츠 관리 서버(2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노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노드들, 사업자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매체(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SD,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130)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의 동작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매체(2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저장 매체(2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 매체(2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 매체(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저장 매체(1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저장 매체(230)는 이용 권리 증서 발행부(231), 유효성 판단부(232),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 컨텐츠 리스트 제공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발행부(231)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발행 요청이 수신하면 발행 수량 만큼의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발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용 권리 증서 발행부(231)는 블록 체인 시스템에 접속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발행 수량 만큼의 블록을 생성하고 추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발행부(231)는 추가된 블록들의 키 값들을 수신 받고, 블록들의 키 값들을 포함하는 이용 권리 증서와 대응되는 인증서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인증서들은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발행 수량만큼 생성되어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와 연계하여 관리될 수 있다. 인증서는 이용 권리 증서의 부분일 수 있으며, 이용 권리 증서 별로 하나씩 생성될 수 있다. 인증서는 디지털 컨텐츠와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컨텐츠와 대응되는 식별 정보는 디지털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정보 일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인증서는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의 발행 수량과 관련된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서는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발행부(231)는 디지털 컨텐츠의 추가 발행과 대응하여 이용 권리 증서의 추가 발행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발행부(231)는 이용 권리 증서의 추가 발행 요청이 수신되면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인증서와 대응되는 블록을 제1 수량 만큼 반복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하나 이상의 블록의 키 값을 인증 값으로 하는 인증서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용 권리 증서의 인증서와 대응되는 블록은 블록 체인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될 수 있다. 생성된 인증서는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패키지의 유통(거래)에 따라 전달될 수 있다. 대응되는 이용 권리 증서가 없는 디지털 컨텐츠가 다시 유통(거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효성 판단부(232)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인증서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유효성 판단부(232)는 디지털 컨텐츠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효성 판단부(132)는 인증서에 포함된 인증값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블록 체인 시스템에 전달하고, 인증값과 대응되는 키 값을 가지는 블록의 존재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유효성 판단부(232)는 블록의 존재 여부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유효한 이용 권리 증서의 디지털 컨텐츠(들)은 불법적으로 생성되거나 거래되는 것이 아닌 유효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유효성 판단부(232)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계정 및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수신하고 계정의 유효성 및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유효성 판단부(232)는 이용 권리 증서에 포함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계정과 이용 권리 증서 사이의 관계를 획득하고, 관계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인증서는 소유자의 계정과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컨텐츠,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 인증서를 전달하고 하나 이상의 디지털 컨텐츠,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 인증서를 사용자 단말기의 컨텐츠 폴더에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는 인증서를 포함하거나 인증서와 대응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컨텐츠)의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는 발행 수량 중에서 이용 권리 증서의 잔여 수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잔여 수량이 있는 경우에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가 유통 또는 거래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는 구매 또는 이전 등의 요청이 수신되면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소유자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소유자 정보는 이용 권리 증서의 인증서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인증서와 연결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 관리부(232)는 요청의 발신자의 계정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계정으로부터의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요청 만이 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계정의 유효성은 대응되는 블록의 존재 여부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는 사용자의 계정 및 계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블록 체인으로 전달하고 계정과 대응되는 블록의 존재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는 유통(거래)된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인증서를 저장 관리하지 않고,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즉, 구매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인증서는 이전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저장 매체)에서 영구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요청(예를 들어, 양도 또는 이동 요청 등)이 수신되면 소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고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소유자 정보(소유자 또는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기의 장치 정보 등)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제1 인증서를 양수인인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이동시킨다. 이동 명령은 구매, 거래 등의 신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동 명령에 따라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제1 인증서를 제거한다.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는 디지털 컨텐츠의 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디지털 컨텐츠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디지털 컨텐츠의 로드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와 연계된 인증서를 블록 체인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인증서와 대응되는 블록의 존재 여부를 전달 받고 인증서와 대응되는 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로드)이 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는 인증서와 대응되는 블록이 존재한 경우 디지털 컨텐츠가 재생(로드)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233)는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불법 복제 여부를 확인하는 요청이 수신되면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와 연계된 인증서를 블록 체인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인증서와 대응되는 블록의 존재 여부를 전달 받아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컨텐츠 리스트 제공부(234)는 사용자 단말기의 로그인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가 보유한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가 제공하는 리스팅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리스트 제공부(234)는 사용자의 계정의 유효성 및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유효성을 블록 체인 시스템의 노드의 블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블록 체인의 블록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가 수량의 제한 없이 다운로드 및 복사(copy)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S11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발행 수량을 결정한다.
S12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에 대응하여 발행 수량 만큼의 N개의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 체인에 저장 한다.
S13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와 연계하여 생성된 블록의 키 값들을 포함하는 인증서들을 생성한다. 컨텐츠 관리 장치는 발행되어야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와 대응되어 생성된 블록들의 키 값들을 수신 받고, 수신한 블록 들의 키 값들을 포함하는 인증서들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인증서들은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와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S21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컨텐츠 의 사용 요청을 수신한다.
S22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디지털 컨텐츠의 복사본을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요청한 디지털 컨텐츠의 복사본을 다운로딩한다.
S23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제1 인증서를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는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의 제1 인증서를 수신 받아 저장한다.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 제1 인증서는 연계되어 관리될 수 있다.
S24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1 인증 값 및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장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소유자 정보를 갱신한다.
사용자 단말기의 구매 요청에 의해 소유권 이전이 완료되면,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소유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자 정보는 제1 인증 값,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장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증 값은 대응되는 블록의 키 값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장치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기의 물리적 주소 값, 또는 랜덤하게 생성되어 설정된 키 값 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제한된 수량으로 유통(거래)되도록 하기 위해서,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와 연계하여 인증서를 유통(거래)시킨다. 유효한 인증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만이 유효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인증 값이 블록의 키 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이용 권리 증서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1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기 발행된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추가 발행 요청을 수신한다.
S32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이용 권리 증서의 추가 발행 요청에 대응하여 추가되어야 하는 제1 수량 만큼의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의 키 값을 인증 값으로 하는 인증서를 생성하고, 인증서와 연계한 이용 권리 증서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정해진 수량으로 카피되어 유통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인증서는 블록 체인에 포함되는 위변조 불가한 블록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블록 체인 시스템에서는 포함된 노드의 수가 계속적으로 추가되고, 추가된 노드들을 포함하는 블록 체인 시스템의 노드들 중에서, 정해진 수량의 노드들에 저장된 블록을 통해 위변조 되지 않는 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1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양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양도 요청은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것으로, 이용 권리 증서의 양도인 및 양수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42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제1 인증서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이동한다. 양수인의 단말기로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인증서가 이동한다. 컨텐츠 관리 장치는 소유자 정보의 변경으로 이동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로 판단된 경우,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와 연계된 인증서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제1 인증서는 제거될 수 있다.
S43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이용 권리 증서의 소유자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장치 정보로 변경한다.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이동을 처리하는 컨텐츠 관리 장치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인증서가 복사되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51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정해진 발행 수량 만큼 유통시키기 위해서 블록 체인 시스템과 연계하여 블록 체인 시스템의 제1 노드에 블록을 추가한다.
S520에서는 블록 체인 시스템은 제1 노드의 블록을 블록 체이닝 한다.
S53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블록 체인 시스템의 임의의 하나의 노드로부터 블록의 키 값을 수신하고, 디지털 컨텐츠 이용 권리증과 연계하여 생성된 블록의 키 값들을 포함하는 인증서들을 생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610에서는 컨텐츠 관리 장치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지갑 조회 요청을 수신한다.
S62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제1 사용자의 계정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컨텐츠 관리 장치는 제1 사용자의 계정이 블록 체인 상에 존재하는 계정인지를 판단한다.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블록 체인의 임의의 노드로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하는 블록의 존재 여부 또는 계정의 코드와 대응되는 블록의 존재 여부를 요청하고, 블록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계정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S63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계정과 대응되는 블록이 존재하여 제1 사용자의 계정이 유효한 경우, 제1 사용자가 이용권한을 가지는 이용 권리 증서를 검색하고, 이용 권리 증서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리스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리스팅 정보에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유효성을 각각 판단하여 유효한 이용 권리 증서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리스팅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S64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리스팅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리스팅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65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디지털 컨텐츠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660에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디지털 컨텐츠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제1 디지털 컨텐츠를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의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300)는 통신부(320), 저장 매체(330) 및 프로세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사용자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3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노드들, 컨텐츠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매체(3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SD,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330)는 컨텐츠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매체(3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저장 매체(3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 매체(3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 매체(3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저장 매체(3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또는 인증서를 수신하고 컨텐츠 폴더에 저장한다. 프로세서(310)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매체(300)는 도 14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예시 도면들이다.
디지털 컨텐츠는 음원, 동영상, 이미지, 웹툰, 웹 소설 등과 같이 저작물로 분류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하나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는 거래 단위의 이용 권리 증서로 변환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는 디지털 카드 형식으로 전면과 후면을 가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는 터치 등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회전하여 뒤집히는 플립 이펙트와 함께 전면(A1)에서 후면(A2)으로, 후면(A2)에서 전면(A1)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후면은 실제 컨텐츠의 정보(음원, 동영상, 이미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전면(A1)은 컨텐츠의 대표 이미지를 포함하며, 대표 이미지는 캡쳐 기능으로는 복사가 불가한 이펙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움직이는 영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후면(A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후면(A3)은 타이틀 정보를 표현하는 배너 영역(I31), 아티스트명 또는 작품명을 표시하는 영역(I32),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와 연계된 디지털 쿠폰을 제공하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코드 영역(I33), 각 디지털 컨텐츠의 아티스트 또는 작품명과 연관된 대표 아이콘 영역(I34), 각 디지털 컨텐츠의 장르 및 퍼블리셔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I35), 사용 권한이 소유된 이용 권리 증서의 하나 이상의 디지털 컨텐츠의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I36)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후면(A3)의 I36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과 응답하여, 상세 컨텐츠 제공 화면(A4)로 이동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화면(A4)는 좌우 슬라이딩 입력과 대응하여 이용 권리 증서의 디지털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화면(A4)는 이용 권리 증서의 하나 이상의 디지털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가로 사이즈가 표시 화면을 초과하는 경우, 좌우 슬라이딩 입력에 의해 표시 영역이 변경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후면(A3)에서, I33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와 연계된 디지털 쿠폰과 대응되는 코드를 제공하는 영역(I51), 쿠폰 내용이 기술된 설명 영역(I52)가 제공될 수 있다. 설명 영역(I52)를 통해 서비스 및 상품에 대한 내용, 제공 내용, 제공 범위, 제약 사항 및 유효 기간 등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된 디지털 쿠폰은 구별되는 시각적 효과가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에 의해 사용된 디지털 쿠폰은 디지털 컨텐츠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거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컨텐츠 유통 시스템은 컨텐츠 관리 서버(200), 사용자 단말기(301, 302, .. 30n),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1, 302, ... 30n)은 컨텐츠를 생성하고 컨텐츠를 타 사용자의 단말기로 유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301)에서 생성된 컨텐츠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302)로 전송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컨텐츠 생성 및 유통을 위한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301, 302, ... 30n)로 배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1)는 정해진 경로로 구매된 컨텐츠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거래 단위의 이용 권리 증서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는 이용 권리 증서로 유통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에 등록되어 유통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될 수 있다. 편집된 컨텐츠가 컨텐츠 관리 서버(200)에 등록되면서 유통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1)는 편집된 컨텐츠에 대한 이용 권리 증서를 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302, ... 30n)에게 전송할 수 있다. 편집된 컨텐츠에 대한 이용 권리 증서는 정해진 수량 만큼 유통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하나의 컴퓨팅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로 분산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0)는 이용 권리 증서와 관련된 정보, 이용 권리 증서에 포함된 인증서와 관련된 정보, 소유자에 대한 정보, 이용 권리 증서의 수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와 관련된 정보는 식별 정보, 소유자와 대응되는 코드, 각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데이터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를 통해 갱신될 수 있으며,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도 갱신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저장 매체(330)의 블록도이다. 도 14에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저장 매체를 설명하는 것이나, 사용자 단말기(301, 302, ..., 30n)의 저장 매체 역시 도 14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저장 매체(350)는 거래 가능한 이용 권리 증서를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컨텐츠 관리부(351), 컨텐츠 편집부(352), 컨텐츠 유통부(353), 및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51)는 적법한 저작물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51)는 음원, 미술, 웹툰, 웹소설 등의 다양한 형식의 컨텐츠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51)는 다운로드 이력이 없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사진 촬영 애플리케이션, 음성 녹음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생성된 것을 말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51)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의 적법한 이용 권리 증서를 발행 받을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51)는 이용 권리 증서와 연계된 컨텐츠를 리스트로 생성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51)는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컨텐츠의 유통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는 컨텐츠의 생성 시점 정보, 컨텐츠의 제조사 정보, 컨텐츠의 창작자 정보, 컨텐츠의 창작 시점 정보, 컨텐츠의 발행 수량, 컨텐츠의 다운로드 횟수, 컨텐츠의 제목 정보, 컨텐츠의 일련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유통 가능성은 컨텐츠의 원본 여부, 컨텐츠에 대한 구매 여부, 컨텐츠의 불법 유통 여부, 컨텐츠의 불법 복제 여부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컨텐츠의 유통 가능성은 컨텐츠가 원본인 경우, 적법하게 구매된 컨텐츠인 경우, 불법 유통되지 않은 컨텐츠인 경우, 및/또는 불법 복제된 컨텐츠인 경우에 참으로 판단될 수 있다. 구매 여부는, 컨텐츠의 소유자 정보를 기초로 판단 가능하다. 원본 여부는, 컨텐츠의 창작자, 저작자 정보를 기초로 판단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 관리부(351)는 제1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중에서, 제1 컨텐츠의 제목 및 제1 컨텐츠의 창작자 정보, 제1 컨텐츠의 창작 시점 정보를 기초로 제2 컨텐츠를 검색하고,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비교하여 제2 컨텐츠와 제1 컨텐츠가 일치하는 경우, 제1 컨텐츠의 원본 여부를 참으로 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51)는 제1 컨텐츠의 일련 번호 및 제1 컨텐츠의 발행 수량 정보, 제1 컨텐츠의 다운로드 횟수를 기초로 제2 컨텐츠를 검색하고,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비교하여 제1 컨텐츠와 제2 컨텐츠가 일치하는 경우 제1 컨텐츠의 적법 구매 여부를 참으로 설정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51)는 제1 컨텐츠의 일련 번호를 기초로 제2 컨텐츠를 검색하고, 제2 컨텐츠의 정보가 제1 컨텐츠의 발행 수량 정보 및 제1 컨텐츠의 다운로드 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제1 컨텐츠의 불법 유통 여부를 거짓(FALSE)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이용 권리 증서를 요청하는 신호를 컨텐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생성된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의 발행을 요청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51)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를 통해 구매/수신한 컨텐츠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매/수신한 컨텐츠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51)는 유통 가능한 형식의 이용 권리 증서들을 전달 받아 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302, ..., 30n)으로 전송할 수 있다. 유통 가능한 형식의 이용 권리 증서는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컨텐츠 관리 서버(2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컨텐츠 편집부(352)는 컨텐츠 관리부(351)에서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이용 권리 증서로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편집부(352)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한 새로운 컨텐츠에 대해서 이용 권리 증서로 변환할 수 있다.
컨텐츠 편집부(352)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새로운 이용 권리 증서를 생성할 수 있다. 편집 애플리케이션은 새로운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새로운 이용 권리 증서와 대응되는 인증서를 발행하도록 할 수 있다. 편집 애플리케이션은 유통 가능성이 참인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이용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편집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템플릿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기초로 하나의 템플릿을 선택하고, 선택한 템플릿에 맞춰서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새로운 컨텐츠에 포함될 컨텐츠들의 수, 컨텐츠들의 종류들, 컨텐츠들의 조합 등을 고려하여 새로운 컨텐츠의 템플릿이 선택될 수 있다. 편집 애플리케이션은 새로운 컨텐츠의 이용권리 증서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유통부(353)는 컨텐츠 관리부(351), 및/또는 컨텐츠 편집부(352)를 통해 생성된 새로운 이용 권리 증서를 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302, ..., 30n)로 전송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관리부(354)는 컨텐츠 관리부(351)에 의해 관리되는 컨텐츠 및 컨텐츠 편집부(352)를 통해 생성된 이용 권리 증서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보유한 이용 권리 증서들을 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유통(거래)시키거나, 새롭게 생성한 이용 권리 증서들을 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유통시킬 수 있다.
도 15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유통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71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 301, 302, ... 30n)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수신한다.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들의 소유를 위한 결제를 수행한다.
S72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 301, 302, ... 30n)는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포함한 새로운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기(300, 301, 302, ... 30n)는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용 권리 증서를 생성하거나, 컨텐츠 관리 서버(200)를 통해 이용 권리 증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형식의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를 새로운 이용 권리 증서로 변환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는 컨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컨텐츠를 유통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한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 301, 302, ... 30n)는 이용 권리 증서를 생성하기 전에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제1 컨텐츠, 제2 컨텐츠 중에서, 유효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이용 권리 증서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컨텐츠의 유효성 또는 제2 컨텐츠의 유효성은 제1 및 제2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들의 인증서로 판단될 수 있다.
S73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 301, 302, ... 30n)는 새로운 이용 권리 증서에 대한 인증서를 요청한다.
S74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 301, 302, ... 30n)는 새로운 이용 권리 증서에 대한 재 판매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 301, 302, ... 30n)는 이용 권리 증서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컨텐츠 관리 서버(20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S81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 301, 302, ... 30n)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녹음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제3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S82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 301, 302, ... 30n)는 제3 컨텐츠를 위한 이용 권리 증서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 301, 302, ... 30n)는 컨텐츠 관리 서버(200)로부터 이용 권리 증서의 인증서를 수신하여 이용 권리 증서를 생성할 수 있다.
S83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 301, 302, ... 30n)는 제3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위한 발행 수량 만큼의 결제를 수행하고, 제3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컨텐츠 관리 서버에 등록하여 거래할 수 있다(S840).
이용 권리 증서로 변환된 제3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 거래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910).
제1 사용자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 및 저작자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S920).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 관리 서버로 요청하여 유효성을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외부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해,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용 권리 증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유효성은 컨텐츠의 유통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유효성이 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성이 참인 경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제1 이용 권리 증서로 변환할 수 있다(S930, S940). 만약,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유효성이 참이 아닌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유효성이 참인 컨텐츠로 제1 이용 권리 증서로 변환할 수 있다(S935). 제1 이용 권리 증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발행 수량 만큼의 수량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제1 이용 권리 증서를 구매 페이지에 업로드하고, 제1 이용 권리 증서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950).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이용 권리 증서의 소유자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외부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제2 이용 권리 증서를 제3 사용자 단말기로 이동 시키는 요청이 컨텐츠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컨텐츠 관리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제2 이용 권리 증서를 제3 사용자 단말기의 정해진 저장 영역에 이동시키고 컨텐츠 관리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제2 이용 권리 증서를 제거하는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용 권리 증서, 제1 이용 권리 증서에 대한 정보는 메타 데이터 및 소유자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인증서를 더 포함하고, 인증서는 블록 체인 시스템의 블록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컨텐츠 관리 서버(200)는 상기 제1 이용 권리 증서의 현황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고, 제1 이용 권리 증서의 현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이용 권리 증서의 발행 수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

  1.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컨텐츠 관리부에서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제1 컨텐츠로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제1 이용 권리 증서를 더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제1 이용 권리 증서와 대응되는 인증서를 발행하도록 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의 창작자 정보, 창작 시점 정보, 발행 수량, 다운로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의 불법 유통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불법 유통 여부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의 유통 가능성을 판단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유통 가능성이 참인 경우에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상기 유통 가능성은 각 컨텐츠의 원본 여부, 또는 각 컨텐츠의 구매 여부로 판단되는 것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유통 가능성이 참인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해서 유통 가능한 형식의 제1 이용 권리 증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1 이용 권리 증서를 구매 페이지에 업로드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이용 권리 증서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2. 메모리,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을 판독하여, 컨텐츠 관리부에서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제1 컨텐츠로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제1 이용 권리 증서를 더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제1 이용 권리 증서와 대응되는 인증서를 발행하도록 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의 창작자 정보, 창작 시점 정보, 발행 수량, 다운로드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의 불법 유통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불법 유통 여부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의 유통 가능성을 판단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유통 가능성이 참인 경우에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유통 가능성이 참인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해서 유통 가능한 형식의 제1 이용 권리 증서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이용 권리 증서를 구매 페이지에 업로드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이용 권리 증서가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통 가능성은 각 컨텐츠의 원본 여부, 또는 각 컨텐츠의 구매 여부로 판단되는 것, 사용자 단말기.
KR1020220007349A 2020-04-10 2022-01-18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74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349A KR102474863B1 (ko) 2020-04-10 2022-01-18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305A KR102354451B1 (ko) 2020-04-10 2020-04-10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07349A KR102474863B1 (ko) 2020-04-10 2022-01-18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305A Division KR102354451B1 (ko) 2020-04-10 2020-04-10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845A KR20220020845A (ko) 2022-02-21
KR102474863B1 true KR102474863B1 (ko) 2022-12-06

Family

ID=78268171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305A KR102354451B1 (ko) 2020-04-10 2020-04-10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07349A KR102474863B1 (ko) 2020-04-10 2022-01-18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07351A KR102468354B1 (ko) 2020-04-10 2022-01-18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07348A KR102493442B1 (ko) 2020-04-10 2022-01-18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07350A KR102478536B1 (ko) 2020-04-10 2022-01-18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0009782A KR20230020468A (ko) 2020-04-10 2023-01-25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305A KR102354451B1 (ko) 2020-04-10 2020-04-10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351A KR102468354B1 (ko) 2020-04-10 2022-01-18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07348A KR102493442B1 (ko) 2020-04-10 2022-01-18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07350A KR102478536B1 (ko) 2020-04-10 2022-01-18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0009782A KR20230020468A (ko) 2020-04-10 2023-01-25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2354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737A1 (ko) * 2022-10-21 2024-04-25 주식회사 딜라이트엑스 물품의 취득을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 검증하는 물품 검증 서버, 물품 검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00516B1 (ko) * 2022-12-13 2023-11-09 디엑스웍스 주식회사 탈중앙화 신원증명 인증서를 이용한 웹사이트 자동 로그인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0367B2 (en) * 2003-10-31 2005-08-16 Robert Bosch Gmbh Anti-stiction technique for thin film and wafer-bonded encapsulated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KR100895462B1 (ko) * 2006-10-23 2009-05-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유통 관리 방법
KR100888118B1 (ko) * 2006-11-17 2009-03-13 주식회사 케이티 소유권과 배포권을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방법
KR20120015732A (ko) * 2010-08-13 2012-02-22 주식회사 팬택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
KR102340213B1 (ko) * 2015-02-05 2021-12-16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72608A (ko) * 2018-06-06 2018-06-29 전우진 릴타입 케이블 보조배터리 케이스
KR20200000595A (ko) * 2018-06-25 2020-01-03 곽준규 블록체인에 기반한 증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846A (ko) 2022-02-21
KR20220020844A (ko) 2022-02-21
KR20220020847A (ko) 2022-02-21
KR102354451B1 (ko) 2022-02-07
KR102478536B1 (ko) 2022-12-16
KR20220020845A (ko) 2022-02-21
KR102468354B1 (ko) 2022-11-18
KR20210126433A (ko) 2021-10-20
KR20230020468A (ko) 2023-02-10
KR102493442B1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0327B1 (en)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Zhao et al. Bmcprotector: A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 based application for music copyright protection
EP3850570A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content platform and related cryptocurrency
KR102474863B1 (ko) 사용자 단말기,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JP7302799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システムを用いて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利用権利証書を流通させる方法、及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に媒体に保存された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75855B1 (ko) 디지털 상품들의 소유권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080603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digital rights management
KR20210037274A (ko) 저작물 관리 장치 및 방법
JP7146093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でノード間のブロック及び電子文書を共有及び検証する方法
Lopes et al. Live video streaming service with pay-as-you-use model on Ethereum Blockchain and InterPlanetary file system
JP2022532889A (ja) 複数インプットトランザクション
KR20200006238A (ko) 블록체인 기반한 p2p 전자 쿠폰 발행 및 선물 방법
Liu et al. A decentralized copyright protection, transaction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blockchain 3.0
KR102120929B1 (ko) P2p 기반의 콘텐츠 유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KR100775876B1 (ko) 디지털데이터의 거래방법
KR102546257B1 (ko) 콘텐츠 시청 개입을 통해 콘텐츠 변형 기능을 제공하며, 변형 기능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하기 위한 시스템
KR102454861B1 (ko) 복호화 키 기반의 3차원 파일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US1175798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blockchain interoperability platform
KR20240044000A (ko) 대체 불가능 토큰을 처리하는 장치
JP2023024340A (ja) デジタル資産の取引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KR20240056323A (ko) 물품 검증 서버, 티켓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165398A (ko) 3d 에셋 플랫폼을 위한 nft의 메타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7678189A (zh) 通过区块链实现的视图证明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