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788B1 - 차량 비상 시동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차량 비상 시동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788B1
KR102474788B1 KR1020210059322A KR20210059322A KR102474788B1 KR 102474788 B1 KR102474788 B1 KR 102474788B1 KR 1020210059322 A KR1020210059322 A KR 1020210059322A KR 20210059322 A KR20210059322 A KR 20210059322A KR 102474788 B1 KR102474788 B1 KR 102474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attery module
vehicle
modu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1962A (ko
Inventor
김동휘
Original Assignee
(주)디에이치에너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이치에너지시스템 filed Critical (주)디에이치에너지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5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788B1/ko
Priority to PCT/KR2022/006542 priority patent/WO2022235131A1/ko
Priority to PCT/KR2022/006560 priority patent/WO2022235132A1/ko
Priority to KR1020220063503A priority patent/KR20220152176A/ko
Publication of KR2022015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 배터리 비상 충전 장치는 제 1 스위치, 커패시터 모듈, 제 2 스위치, 승압부, 및 제 3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 1 스위치는 배터리 모듈을 차량의 시동 모터에 연결하고, 커패시터 모듈은 배터리 모듈과 병렬 연결되고, 제 2 스위치는 커패시터 모듈을 시동 모터에 연결하고, 승압부는 배터리 모듈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커패시터 모듈을 승압하며, 제 3 스위치는 승압부를 통해 배터리 모듈과 커패시터 모듈을 연결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승압부가 배터리 모듈의 전압을 승압하여 커패시터 모듈에 공급하기 때문에 차량 배터리의 전압이 배터리 충전을 위한 고 정전용량 저장장치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도 고 정전용량 저장장치를 충전할 수 있고, 차량 배터리와 고 정전용량 저장장치 모두가 방전된 경우에도 차량 시동을 위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 비상 시동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Vehicle emergency start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및 차량 비상 시동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배터리가 고장 또는 방전되는 경우에도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배터리 방전시 이용가능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다른 차량의 배터리와 점프선을 통해 차량의 시동을 거는 방법, 전용 배터리 충전기를 이용하여 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 등이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다른 차량이나 전용 배터리가 없는 상황에서는 문제 해결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0-1571110호는 저항이 작고 급속 충방전이 가능한 고 정전용량 저장 장치(예를 들어, 슈퍼 커패시터, 울트라 커패시터,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방전된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받아 전압을 충전하고 고출력 방전을 통해 다시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에 전류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가 시동을 걸 수 없는 상태로 방전된 경우처럼 차량 배터리의 전압이 고 정전용량 저장장치의 전압보다 낮으면 고 정전용량 저장장치를 충전할 수 없게 되고, 또 차량 배터리와 고 정전용량 저장장치 모두가 방전된 경우에는 아무런 조치도 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571110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장된 차량용 배터리의 전압이 고 정전용량 저장장치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도 고 정전용량 저장장치를 충전할 수 있고, 내장 배터리와 고 정전용량 저장장치 모두가 방전된 경우에도 차량 시동을 위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비상 충전 장치는 차량의 시동 모터에 연결가능한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과 병렬로 상기 시동 모터에 연결가능한 커패시터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커패시터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승압하여 커패시터 모듈에 공급하는 승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제 1 스위치를 통해 상기 시동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커패시터 모듈은 제 2 스위치를 통해 상기 시동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승압부는 제 3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커패시터 모듈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양극과 상기 시동 모터의 비접지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커패시터 모듈의 양극과 상기 시동 모터의 비접지단 사이에 배치되고, 평시에는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가 클로즈되고 상기 제 3 스위치는 오픈되며, 승압시에는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가 오픈되고 상기 제 3 스위치가 클로즈되며, 승압후에는 상기 제 3 스위치가 오픈되고 상기 제 2 스위치가 클로즈되어 상기 커패시터 모듈로 상기 시동 모터를 구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승압부가 배터리 모듈의 전압을 승압하여 커패시터 모듈에 공급하기 때문에 차량 배터리의 전압이 커패시터 모듈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도 방전된 커패시터 모듈을 충전할 수 있고, 차량 배터리와 커패시터 모듈 모두가 방전된 경우에도 차량 시동을 위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차량의 시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시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 3 스위치를 클로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제 3 스위치를 연결하는 경우,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를 분리하고, 승압부의 승압에 의해 시동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 2 스위치를 다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에 의해 방전 차량의 시동시 커패시터 모듈의 전력이 방전된 배터리로 흐르거나 차량의 암전류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확보된 시동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배터리 모듈에서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배터리 모듈의 충전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충전전류를 결정함으로써, 저온시에는 충전을 제한하여 리튬계열의 배터리의 리스크를 줄여 저온시에도 배터리 장치의 안정적 사용이 가능해 진다.
또한, 제어부는 승압부의 연결이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인 경우 제 3 스위치의 자동 연결을 중단할 수 있으며, 제 3 스위치의 자동 연결이 중단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제 3 스위치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동전력을 확보한 경우에도, 장시간 방치로 인한 재방전과 잔류에너지의 한계를 고려하여 최후의 방전 상황을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병렬 연결된 배터리 모듈과 커패시터 모듈의 단자 전압, 또는 배터리 모듈의 내부 저항의 크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 가능 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시동 장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시동 모터에 연결가능한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과 병렬로 상기 시동 모터에 연결가능한 커패시터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커패시터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승압하여 커패시터 모듈에 공급하는 승압부, 상기 배터리 모듈을 상기 시동 모터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모듈의 양극과 상기 시동 모터의 비접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스위치, 상기 커패시터 모듈을 상기 시동 모터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커패시터 모듈의 양극과 상기 시동 모터의 비접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스위치, 상기 승압부를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커패시터 모듈 사이에 연결하기 위한 제 3 스위치를 구비하는 차량 비상 시동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평시에는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가 클로즈되고 상기 제 3 스위치는 오픈되며, 승압시에는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가 오픈되고 상기 제 3 스위치가 클로즈되며, 승압후에는 상기 제 3 스위치가 오픈되고 상기 제 2 스위치가 클로즈되어 상기 커패시터 모듈로 상기 시동 모터를 구동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커패시터 모듈에서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충전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제 3 스위치를 클로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아울러,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함께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압부가 배터리 모듈의 전압을 승압하여 커패시터 모듈에 공급하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의 전압이 배터리 충전을 위한 고 정전용량 저장장치(즉, 커패시터 모듈)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도 고 정전용량 저장장치를 충전할 수 있고, 차량 배터리와 고 정전용량 저장장치 모두가 방전된 경우에도 차량 시동을 위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에 의해 방전 차량의 시동시 커패시터 모듈의 전력이 방전된 배터리 모듈로 흐르거나 차량의 암전류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확보된 시동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충전전류를 결정함으로써, 저온시에는 충전을 제한하여 리튬계열의 배터리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의 리스크를 줄여 저온시에도 배터리 장치의 안정적 사용이 가능해 진다.
또한, 시동전력을 확보한 경우에도, 장시간 방치로 인한 재방전과 잔류에너지의 한계를 고려하여 최후의 방전 상황을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기존 배터리를 대체하도록 차량 비상 시동 충전 장치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충전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구현 예가 도시된 개략적인 회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회로의 능동 프로세스와 수동 프로세스와 의 흐름도.
도 5는 능동 프로세스와 수동 프로세스에서의 스위치들의 기능을 정리한 표.
도 5 내지 도 8은 각각 배터리 모듈 단독 사용, 커패시터 모듈 단독 사용, 배터리 모듈과 커패시터 모듈의 조합의 경우에서의 SOC와 단자 전압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내연기관 시동 시스템의 등가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시동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현 예가 도시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1에서, 차량 비상 시동 장치는 제 1 스위치(110), 커패시터 모듈(120), 제 2 스위치(130), 승압부(140), 제 3 스위치(150), 제어부(160), 및 배터리 모듈(170)을 포함한다.
도 1의 차량 비상 시동 장치에는 배터리 모듈(170)이 포함되어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가 불필요하다. 도 1의 차량 비상 시동 장치는 종래의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 대신에 동일 위치에 장착가능하도록 외형적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배터리 모듈(170)과 커패시터 모듈(120)은 차량의 시동 모터에 병렬로 연결되며, 배터리 모듈(170)은 직렬 연결된 제 1 스위치(110)(단, 배터리 모듈(170)을 위한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포함하여 구현된 것으로 도시됨)를 통해 차량의 시동 모터에 연결되고, 커패시터 모듈(120)은 직렬 연결된 제 2 스위치(130)를 통해 차량의 시동 모터에 연결된다. 승압부(140)는 배터리 모듈(170)과 커패시터 모듈(120)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70)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승압하여 커패시터 모듈(120)에 공급하며, 승압부(140)는 제 3 스위치(150)를 통해 배터리 모듈(170)과 커패시터 모듈(120)을 연결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승압부(140)가 배터리 모듈(170)의 전압을 승압하여 커패시터 모듈(120)에 공급하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170)의 전압이 커패시터 모듈(120)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도 커패시터 모듈(120) 충전할 수 있고, 배터리 모듈(170)와 커패시터 모듈(120) 모두가 방전된 경우에도 승압을 통해 차량 시동을 위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60)는 차량 비상 시동 장치에 의한 차량의 시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시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 3 스위치(150)를 연결한다. 제 3 스위치(150)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제 1 스위치(110) 및 제 2 스위치(130)를 분리하고, 승압부(140)에 의해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 3 스위치(150)를 분리하고 제 2 스위치(130)를 다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160)에 의해 방전 차량의 시동시에 커패시터 모듈(120)의 전력이 방전된 배터리 모듈(170)로 흐르거나 차량의 암전류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확보된 시동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60)는 병렬 연결된 배터리 모듈(170)과 커패시터 모듈(120)의 단자 전압, 또는 배터리 모듈(170)의 내부 저항의 크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 가능 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배터리 모듈(170)에서의 온도에 따라 커패시터 모듈(120)의 충전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충전전류를 결정함으로써, 저온시에는 충전을 제한하여 리튬계열의 배터리의 리스크를 줄여 저온시에도 배터리 장치의 안정적 사용이 가능해 진다.
또한, 제어부(160)는 승압부(140)의 연결이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인 경우 제 3 스위치(150)의 자동 연결을 중단할 수 있으며, 제 3 스위치(150)의 자동 연결이 중단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제 3 스위치(150)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동전력을 확보한 경우에도, 장시간 방치로 인한 재방전과 잔류에너지의 한계를 고려하여 최후의 방전 상황을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배터리로의 연결 접속부가 2개이므로, 도 2의 차량 비상 시동 장치 회로 또한 외부 접속부가 2개이며, 따라서 도 2의 차량 비상 시동 장치는 기존의 차량 배터리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장치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도 2에서, 예시적인 제어부(160)는 MCU와 ADC, DAC 등을 구비한 회로를 통하여 전압, 전류, 온도 등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능동 프로세스(active process) 회로로서, 배터리 모듈과 커패시터 모듈 사이의 승압부, 전압, 전류, 온도 등의 감지 센서, BMS 및 스위칭부로 구성된다. 배터리 모듈(170)에 연결된 제 1 스위치(S1)(110)는 수십 암페어(A) 이상이 흐르는 대전류 회로의 일부로서, 회로 동작 시 소모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FET나 b접점 릴레이 또는 래칭 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모듈(170)의 구성이 리튬계열일 때 영하 온도에서의 충전은 플레이팅(pating), 덴드라이트(dendrite)의 성장으로 인한 내부저항 증가를 유발하며 심각할 경우 내부 단락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MCU를 포함하는 제어부 등을 통하여 감지된 온도에 따라 충전전류를 결정한다. 즉, 영하 시 저온 운용모드로 낮은 전류로 배터리 모듈(170)을 충전하거나 또는 아예 충전을 제한하고 상온 시에 배터리 모듈을 충전함으로써 리튬계열 배터리의 리스크를 줄여 영하 시에도 장치의 안정적 사용이 가능하다.
도 2의 회로는 배터리 모듈이 방전이 되어도 방전된 배터리 모듈의 남은 전력을 승압하여 커패서터를 통해 자체적으로 시동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비상 시동 장치의 회로 구성으로서, 배터리 모듈의 방전 시에도 자체적으로 방전 차량의 시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방전 차량 또는 방전 모듈 등의 시동을 시도할 시에 커패시터 모듈의 확보된 시동전력이 방전된 배터리 모듈, 또는 차량의 암전류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확보된 시동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능동 프로세스(Active Process)에서 시동전력을 확보하더라도, 장시간 방치로 인한 재방전과 잔류에너지의 한계를 고려하여 제 3 스위치의 자동 연결을 일정 횟수로 제한하고, 수동 프로세스(Passive Process)로 전환하여 수동 동작으로 최후의 방전 상황을 대비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능동 프로세스와 수동 프로세스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능동 프로세스와 수동 프로세스에서의 스위치들의 기능을 정리한 표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능동 프로세스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평시에는 제 1, 2 스위치(S1, S2)(110, 130)는 클로즈(close)하고, 제 3 스위치(S3)(150)는오픈(open)한다. 배터리 모듈(170)이 고장나거나 시동 불가할 정도로 방전되고 커패시터 모듈(120)도 동시에 시동 불가 상태로 방전되어 시동이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60)는 제 1 스위치(S1)(110)을 오픈(open)하여 배터리 모듈(170)로의 전력 손실을 차단하고, 제 2 스위치(S2)(130)를 오픈(open)하여 차량의 암전류로의 전력 손실 차단하고, 제 3 스위치(S3)(150)를 클로즈(close)하여 제어부(160)를 통한 승압 과정을 거쳐서 배터리 모듈(170)의 잔류에너지로 커패시터 모듈(120)의 시동전력을 확보한다. 이를 비상 충전 과정이라 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제 3 스위치(S3)를 오픈(open)하고 제 2 스위치(S2)(130)를 클로즈(close)하여 충전된 커패시터 모듈(120)의 전압을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하고, 차량 시동 완료 후에는 제 1 스위치(S1)(110)을 클로즈(close)하고 제 3 스위치(S3)(150)의 오픈 상태를 유지하여 평시 상태로 전환한다.
삭제
도 4에 도시된 수동 프로세스의 동작 과정은 도 3의 능동 프로세스와 비교할 때, 필요시 자동 충전을 통한 시동 가능 상태 유지 과정을 배제한 것으로서, 커패시터 모듈(120)의 충전을 위한 승압부(140)의 연결 즉, 제 3 스위치(S3)의 연결이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일 경우에 자동 충전 과정을 중단하고, 수동으로 즉, 사용자 조작을 통해서 승압부(140)를 통한 커패시터 모듈(120)의 충전을 수행하는 점에서 능동 프로세스와 차이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배터리 모듈 단독, 커패시터 모듈 단독, 배터리 모듈과 커패시터 모듈의 조합의 경우에서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와 단자 전압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에서 배터리 모듈 단독 동작의 경우, SOC가 낮아도 전압감소가 적기 때문에, 전압을 이용해서 SOC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배터리 모듈의 경우 에너지가 고갈된 상태에서도 높은 단자 전압이 나오기 때문에 전압 모니터링을 통해서 차량 시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7의 커패시터 모듈 단독 동작의 경우, SOC가 낮아지면서 전압감소도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전압확인을 통해서 차량의 시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배터리와 커패시터 모듈을 조합할 경우, SOC 20% 이하에서 급격한 전압감소를 보인다. 이 특성을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가능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방전이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된 경우 배터리 전압만을 통해 배터리 출력을 파악하는 것은 정확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과 커패시터 모듈을 병렬 연결하여 단자 전압을 측정하면 병렬 연결된 시스템의 에너지 및 출력 여부를 비교적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 비상 시동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커패시터 모듈, 배터리 모듈, 시동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에 대한 정의는 수식
Figure 112022054868986-pat00001
로, 배터리 모듈 전압(Vb), 단자전압(E), 저항(Rb+Rs) 전압과의 관계는 수식
Figure 112022054868986-pat00002
로 각각 나타낼 수 있다. 이때, Vb는 배터리 전압, Rb는 배터리 내부저항, Rs는 시동모터의 로터 저항, E는 단자 전압이다.
시동 함수는 단자 전압의 함수로서, 수식
Figure 112022054868986-pat00003
로 나타낼 수 있고, 이때, Ess는 정상상태에서의 단자 전압이고, IL 시동 전류이다. 시동 모터가 시동을 걸기 위해서 필요한 회전 속도에 대한 정의는 수식
Figure 112022054868986-pat00004
와 같고, 이때, Ec 시동을 위한 전압이고, k는 비례상수이며, wc는 시동을 걸기 위한 각속도이다.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정상 상태의 단자 전압이 Ec 값보다 커야 하며, 이는 수식
Figure 112022054868986-pat00005
로 나타낼 수 있다. 배터리의 내부저항이 RbC보다 낮아야 시동이 가능하고, 이는 수식
Figure 112022054868986-pat00006
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때, Rb는 시동모터가 시동을 걸기 위한 각속도로 회전할 때의 배터리 내부저항이다.
즉, 시동을 시도할 때 정해진 설정값(RbC)보다 배터리의 내부저항이 작아야 성공적인 시동이 가능하며, Rb가 RbC보다 큰 경우에는 시동을 할 수 없는 배터리(즉, 방전이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된 배터리)로 판단한다. 하지만, 시동능력이 없는 배터리인 경우에도 전압이 부족할 뿐 엔진 시동을 위한 충분한 잔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정리하면, 본 발명의 차량 비상 시동 장치는 이미 방전되어 남은 잔류에너지를 이용하기에 가용 에너지가 적고, 엔진을 시동하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온도가 낮음에 따라 요구되는 전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에너지의 손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확보된 시동전력을 통한 시동 시에 방전된 배터리로 에너지가 소비된다면 한정된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고, 차량의 암전류가 있다면 이 또한 시동전력 확보에 시간이 지체될 뿐 아니라 시동전력의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이 고장 또는 방전이 되어도 외부도움 없이 차량 시동이 가능한 장치 및 시동 방법을 제시한다. 남은 잔류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는 시동전력을 확보하는데, 이때 차량의 암전류 또는 방전된 배터리 모듈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확보된 시동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할 것이다.
110: 제 1 스위치
120: 커패시터 모듈
130: 제 2 스위치
140: 승압부
150: 제 3 스위치
160: 제어부
170: 배터리 모듈

Claims (18)

  1. 차량의 시동 모터에 연결가능한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과 병렬로 상기 시동 모터에 연결가능한 커패시터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커패시터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승압하여 커패시터 모듈에 공급하는 승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은 제 1 스위치를 통해 상기 시동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커패시터 모듈은 제 2 스위치를 통해 상기 시동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승압부는 제 3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커패시터 모듈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양극과 상기 시동 모터의 비접지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커패시터 모듈의 양극과 상기 시동 모터의 비접지단 사이에 배치되고,
    평시에는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가 클로즈되고 상기 제 3 스위치는 오픈되며,
    승압시에는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가 오픈되고 상기 제 3 스위치가 클로즈되며,
    승압후에는 상기 제 3 스위치가 오픈되고 상기 제 2 스위치가 클로즈되어 상기 커패시터 모듈로 상기 시동 모터를 구동하는,
    차량 비상 시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시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3 스위치를 클로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시동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차량의 발전기에 의해 상기 배터리 모듈에 인가되는 충전 전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시동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압부의 연결이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제 3 스위치의 자동 연결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시동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스위치의 자동 연결이 중단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제 3 스위치의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시동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커패시터 모듈의 단자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시동 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내부 저항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시동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차량의 시동 모터에 연결가능한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과 병렬로 상기 시동 모터에 연결가능한 커패시터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커패시터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승압하여 커패시터 모듈에 공급하는 승압부, 상기 배터리 모듈을 상기 시동 모터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모듈의 양극과 상기 시동 모터의 비접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스위치, 상기 커패시터 모듈을 상기 시동 모터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커패시터 모듈의 양극과 상기 시동 모터의 비접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스위치, 상기 승압부를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커패시터 모듈 사이에 연결하기 위한 제 3 스위치를 구비하는 차량 비상 시동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평시에는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가 클로즈되고 상기 제 3 스위치는 오픈되며,
    승압시에는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가 오픈되고 상기 제 3 스위치가 클로즈되며,
    승압후에는 상기 제 3 스위치가 오픈되고 상기 제 2 스위치가 클로즈되어 상기 커패시터 모듈로 상기 시동 모터를 구동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커패시터 모듈에서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충전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제 3 스위치를 클로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시동 장치 제어 방법.
  17. 삭제
  18. 청구항 16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210059322A 2021-05-07 2021-05-07 차량 비상 시동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474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322A KR102474788B1 (ko) 2021-05-07 2021-05-07 차량 비상 시동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CT/KR2022/006542 WO2022235131A1 (ko) 2021-05-07 2022-05-09 차량 비상 시동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CT/KR2022/006560 WO2022235132A1 (ko) 2021-05-07 2022-05-09 차량 배터리 비상 충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220063503A KR20220152176A (ko) 2021-05-07 2022-05-24 차량 배터리 비상 충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322A KR102474788B1 (ko) 2021-05-07 2021-05-07 차량 비상 시동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503A Division KR20220152176A (ko) 2021-05-07 2022-05-24 차량 배터리 비상 충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962A KR20220151962A (ko) 2022-11-15
KR102474788B1 true KR102474788B1 (ko) 2022-12-06

Family

ID=839323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322A KR102474788B1 (ko) 2021-05-07 2021-05-07 차량 비상 시동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220063503A KR20220152176A (ko) 2021-05-07 2022-05-24 차량 배터리 비상 충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503A KR20220152176A (ko) 2021-05-07 2022-05-24 차량 배터리 비상 충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74788B1 (ko)
WO (2) WO202223513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417A (ja) * 2002-10-09 2004-04-30 Aisin Aw Co Ltd 車輌の制御装置
JP2015063932A (ja) * 2013-09-25 2015-04-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972A (ko) * 2014-02-24 2015-09-02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의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101571110B1 (ko) 2014-09-12 2015-11-2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휴대용 비상 전원 공급 장치
KR102125893B1 (ko) * 2018-02-21 2020-06-23 박종수 보조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방전 차량 점프 스타트 시스템
KR102186488B1 (ko) * 2018-10-15 2020-12-03 이영재 자동차 배터리 비상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2125057B1 (ko) * 2018-11-23 2020-06-19 박영민 차량용 점프스타트 장치
KR102134618B1 (ko) * 2019-02-11 2020-07-16 정관옥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417A (ja) * 2002-10-09 2004-04-30 Aisin Aw Co Ltd 車輌の制御装置
JP2015063932A (ja) * 2013-09-25 2015-04-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5132A1 (ko) 2022-11-10
KR20220152176A (ko) 2022-11-15
KR20220151962A (ko) 2022-11-15
WO2022235131A1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11433B (zh) 蓄电装置及其控制方法、蓄电装置监测用系统、存储介质
US5146095A (en) Low discharge capacitor motor starter system
US9415732B2 (en) Vehicle power unit
JP4940817B2 (ja) 蓄電装置
JP5360245B2 (ja) 蓄電装置
US98164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ximizing short-term energy storage in a supercapacitor array for engine start applications
CN107521441A (zh) 车辆的电池管理系统
JP2010110192A (ja) 車両用電源装置
KR102365831B1 (ko) 제어 배선 없이 울트라캐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20035836A1 (en) Onboard network for a vehicle having a start-stop system
JP2015532574A (ja) 自走車両のための電子回路網
JPWO2007026495A1 (ja) 車両用補助電源とそれを用いた車両用充放電装置
CN113147503B (zh) 一种电动车辆电源管理方法
JP2017216879A (ja) 蓄電装置
JP3539598B2 (ja) 搭載用電源システム
JP2001521851A (ja) 二重電池電気システムの充電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回路
JPH10201091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を用いた車両用電源装置
KR102474788B1 (ko) 차량 비상 시동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5304279B2 (ja) 蓄電装置
JP5250953B2 (ja) 蓄電回路
JP2009095209A (ja) 蓄電装置
KR20240065013A (ko) 차량 비상 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65018A (ko) 단계적 전류 증감을 이용하는 차량 비상 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65014A (ko) 차량 비상 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65016A (ko) 차량 비상 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