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611B1 -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611B1
KR102474611B1 KR1020180032214A KR20180032214A KR102474611B1 KR 102474611 B1 KR102474611 B1 KR 102474611B1 KR 1020180032214 A KR1020180032214 A KR 1020180032214A KR 20180032214 A KR20180032214 A KR 20180032214A KR 102474611 B1 KR102474611 B1 KR 102474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vehicle
hinge
fixing device
toot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341A (ko
Inventor
김근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2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61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2011/103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with circumferential and evenly distributed detents around the pivot-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후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Fix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hood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후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드(HOOD)는 차량의 정기 점검이나 문제 발생시 엔진룸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 개방되는 부분이다.
기존의 후드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후드를 열고 다른 한 손으로 후드 고정장치를 후드 아래에 받치는 구조이거나, 고가의 가스 리프트(gas lift)를 이용하여 후드가 일정 각도 이상 개방되면 자동적으로 후드를 지지하게 되는 구조였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후드를 열고 다른 한 손으로 후드 고정장치의 경우 후드를 열고 고정하는데 있어서 두 손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가스 리프트를 이용하는 경우 비용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4598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기계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후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되는 힌지바닥부;
일단이 후드에 고정되며, 타단이 힌지바닥부에 연결되는 힌지상부;
힌지바닥부와 힌지상부의 연결부에 장착되는 록킹부;를 포함하며,
후드의 열림 시 쐐기작용을 이용하여 후드의 위치를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힌지바닥부는 차량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다가 일정 부분에서 일정 각도 절곡되어 차량의 상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힌지바닥부는,
차량의 하면 측에 고정되는 하면부와,
하면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차량의 상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면부의 내측면에서 차량 후단 측 단부에는,
측면부를 관통하는 힌지상부 연결홀;
힌지상부 연결홀의 후단에 위치하며, 측면부의 내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이탈방지핀;
이탈방지핀의 하측 후단에 위치하며, 측면부의 내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밀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힌지상부는 차량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것으로,
전단부에는 후드의 내측면과 맞닿아 고정되는 후드고정면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후드고정면과 수직방향이며, 양측면이 차량의 양측을 향하는 힌지고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힌지고정면에는,
힌지고정면의 내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힌지고정면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톱니축;
톱니축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는 톱니부;
톱니부의 후단에 위치하며, 힌지고정면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힌지고정면의 내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힌지고정면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록킹부 받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록킹부 받침면에는,
록킹부 받침면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되며, 하단을 향하여 일정 깊이 파여진 형상의 하향밀림부 삽입홈;
록킹부 받침면의 상단에서 힌지고정면으로부터 하향밀림부 삽입홈 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는 하향푸시부재;
록킹부 받침면의 내측면 하단에 형성되며, 일정 길이 돌출되는 상향푸시부재;
록킹부 받침면의 내측면 하단에서 힌지고정면으로부터 상향푸시부재 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일정 깊이 파여진 형상의 상향밀림부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록킹부는,
사각단면을 갖는 일정 길이의 막대형상의 막대부;
사각단면을 가지며, 막대부의 후단면과 수직이 되도록 막대부의 후단면으로부터 차량의 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후단연장부;
막대부의 전단면으로부터 차량의 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전단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막대부의 하단에는, 막대부의 후면과 힌지바닥부 측 측면의 모서리부에 하단을 향하여 하향되는 삼각단면의 경사면인 상향밀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단연장부의 후면에는, 후단연장부의 후면과 이탈방지핀의 헤드부 측 측면의 모서리부에 하단을 향하여 하향되는 삼각단면의 경사면인 하향밀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단연장부는,
막대부전단면의 상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단을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절곡부;
제1절곡부의 단부로부터 막대부의 하단을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절곡부;
막대부와 평행하도록 제2절곡부의 단부로부터 막대부의 하단을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절곡부;
제3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제1절곡부를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부;
제1절곡부의 하단 측에 형성되며, 제1절곡부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이탈방지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톱니축은 힌지바닥부 측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을 향하여 힌지상부 연결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톱니축이 힌지상부 연결홀을 관통하였을 때, 톱니부는 힌지바닥부 측면부의 내측면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탈방지핀은 이탈방지핀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탈방지핀의 단부에는 이탈방지핀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탈방지핀이 이탈방지핀홀을 관통하였을 때,
전단연장부는 톱니축을 감싸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탈방지핀이 이탈방지핀홀을 관통하였을 때,
막대부는 톱니축과 밀림방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탈방지핀이 이탈방지핀홀을 관통하였을 때,
후단연장부는 록킹부 받침면의 상단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힌지상부는 톱니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록킹부는 이탈방지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록킹부는 이탈방지핀을 축으로 하여 힌지바닥부의 측면부와 탈방지핀의 헤드부 사이를 축방향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드의 개방을 위한 힌지상부의 회전 시,
록킹부는 톱니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하는 톱니축에 의해 톱니부와 맞물려 있던 돌출부가 톱니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드의 개방을 위한 힌지상부의 회전 시,
돌출부가 들어올려질 때, 록킹부의 하향밀림부는 하향밀림부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드의 개방을 위한 힌지상부의 회전 정지 시,
록킹부의 돌출부가 톱니부의 어느 하나의 톱니와 다른 하나의 톱니 사이에 위치하여 후드의 개방 위치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드의 개방을 위한 힌지상부의 회전 정지 시,
록킹부는 후드의 개방을 위한 힌지상부의 회전 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드의 개방을 위한 힌지상부의 회전 정지 시,
록킹부의 하향밀림부는 하향밀림부 삽입홈의 상측으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한다.
후드의 닫힘은 후드의 완전 개방 이후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힌지상부가 회전하여 후드가 완전 개방되는 위치에 이르면,
힌지상부의 상향푸시부재가 록킹부의 상향밀림부를 밀어 록킹부를 톱니부의 외측으로 축방향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록킹부가 축방향으로 톱니부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면 힌지상부는 후드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힌지상부가 후드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일 때, 상향밀림부는 상향밀림부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힌지상부가 후드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일 때, 하향밀림부는 하향푸시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드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후드의 개방 각도가 일정 각도 이하가 되면, 하향푸시부재가 하향밀림부를 밀어 록킹부를 톱니부 측으로 축방향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후드가 닫혀있는 단계;
외력에 의해 후드가 열리는 방향으로 힌지상부가 회전하는 단계;
힌지상부의 회전에 의해 힌지상부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록킹부가 회전하는 단계;
록킹부의 돌출부가 톱니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려나는 단계;
돌출부가 톱니부의 어느 하나의 톱니와 다른 하나의 톱니 사이에 위치하여 후드의 개방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후드의 개방 각도를 고정시키는 단계 이후 후드를 닫기 위해,
후드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단계;
힌지상부의 상향푸시부재가 록킹부의 상향밀림부를 밀어 록킹부를 톱니부의 외측으로 축방향 이동시키는 단계;
힌지상부가 자동 하강하는 단계;
하향푸시부재가 하향밀림부를 밀어 록킹부를 톱니부 측으로 축방향 이동시키는 단계;
록킹부와 톱니부가 맞물려 후드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후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계적인 메커니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ECU나 전기적인 제어 없이 후드의 자동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며, 따라서 가스 리프트 등에 비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전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힌지바닥부 개념도.
도 3은 도 2의 힌지상부 연결홀의 상세도.
도 4는 도 2의 밀림방지부 및 이탈방지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힌지상부 개념도.
도 6은 도 5의 톱니부 상세도.
도 7은 도 5의 하향푸시부재 상세도.
도 8은 도 5의 상향푸시부재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록킹부 개념도.
도 10은 도 9의 하향밀림부 상세도.
도 11은 도 9의 상향밀림부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힌지바닥부, 힌지상부 및 록킹부의 연결부 상세도.
도 13은 도 12의 상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후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를 이용한 후드의 열림 및 닫힘 상태 순서도,
도 16은 후드가 닫힘 상태일 때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상면도.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
도 18은 후드가 열리고 있는 상태일 때, 록킹부의 작동도.
도 19는 도 18의 진행도.
도 20은 후드가 완전히 펼쳐지는 상태일 때, 상향푸시부재와 상향밀림부의 접촉 개념도.
도 21은 도 20의 진행도.
도 22는 도 21에 따른 록킹부의 위치 개념도.
도 23은 후드의 열림 후 닫히는 상태일 때, 하향푸시부재와 하향밀림부의 접촉 개념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후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전체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용 후드(HOOD)의 열림 시 상기 후드의 개방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후드 고정 장치는, 차체 펜더(fender) 또는 프런트 쇼크 업소버 하우징(shock absorber housing)에 고정되는 힌지바닥부(2)와, 일단이 상기 후드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힌지바닥부(2)의 차량 후단 측 단부에 연결되는 힌지상부(16)와, 상기 힌지바닥부(2)와 상기 힌지상부(16)의 연결부에 장착되는 록킹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드의 열림 및 닫힘 시 쐐기 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후드의 위치를 고정 및 고정 해제 시키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힌지바닥부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바닥부(2)는 차량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다가 일정 길이 부분에서 일정 각도 절곡되어 차량의 상측을 향하여 다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바닥부(2)는 차량의 하면 측에 고정되는 하면부(4)와, 상기 하면부(4)의 일측 단부로부터 차량의 상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측면부(6)를 포함한다.
즉, 상기 측면부(6)와 상기 하면부(4)는 서로 수직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면부(4)는 상기 차량의 하면 측에 고정되고, 상기 측면부(6)는 상기 차량의 측면 측에 고정된다.
도 3에는 도 2의 힌지상부 연결홀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바닥부(2)의 측면부(6) 내측면에서 차량의 후단 측 단부에는 상기 측면부(6)를 관통하는 힌지상부 연결홀(8)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상부 연결홀(8)은 상기 힌지바닥부(2)가 절곡되어 차량의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의 단부에 형성된다.
도 4에는 도 2의 밀림방지부 및 이탈방지핀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측면부(6)의 내측면에서 상기 힌지상부 연결홀(8)의 후단에는 상기 측면부(6)의 내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이탈방지핀(10)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핀(10)의 하측 후단에는 상기 측면부(6)의 내측면과 서로 수직이 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밀림방지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밀림방지부(14)의 전단면은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핀(10)의 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핀(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12)가 형성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힌지상부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상부(16)는 차량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것으로, 전단부에는 상기 후드의 측면부 내측면과 맞닿아 고정되는 후드고정면(18)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후드고정면(18)과 수직방향이며 양측면이 차량의 양측을 향하는 힌지고정면(20)이 형성된다.
도 6에는 도 5의 톱니부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고정면(20)에는 상기 힌지고정면(20)의 내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힌지고정면(20)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톱니축(22)이 형성되고, 상기 톱니축(22)에는 상기 톱니축(22)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톱니축(22)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톱니부(24)가 형성된다.
도 7에는 도 5의 하향푸시부재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5의 상향푸시부재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고정면(18)에서 상기 톱니부(24)의 후단에는 상기 힌지고정면(18)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힌지고정면(18)의 내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힌지고정면(18)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록킹부 받침면(26)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부 받침면(26)의 하단은 상기 톱니축(22) 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록킹부 받침면(26)에는 하향밀림부 삽입홈(28), 하향푸시부재(30), 상향푸시부재(32) 및 상향밀림부 삽입홈(34)이 형성된다.
상기 하향밀림부 삽입홈(28)은 상기 록킹부 받침면(26)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되며, 하단을 향하여 일정 깊이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향푸시부재(30)는 상기 록킹부 받침면(26)의 상단에서 상기 힌지고정면(20)으로부터 상기 하향밀림부 삽입홈(28) 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향푸시부재(32)는 상기 록킹부 받침면(26)의 내측면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록킹부 받침면(26)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향밀림부 삽입홈(34)은 상기 록킹부 받침면(26)의 내측면 하단에서 상기 힌지고정면(18)으로부터 상기 상향푸시부재(32) 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록킹부 받침면(26)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파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록킹부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36)는 사각단면을 갖는 일정 길이 막대형상의 막대부(38)와, 사각단면을 가지며 차량의 후단을 향하는 상기 막대부(38)의 후단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막대부(38)의 후단면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후단연장부(42)와, 차량의 전단을 향하는 상기 막대부(38)의 전단면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전단연장부(46)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연장부(46)는, 상기 막대부(38)의 전단면 상단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단을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절곡부(48)와, 상기 제1절곡부(42)의 단부로부터 상기 막대부(38)의 하단을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절곡부(50)와, 상기 막대부(38)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2절곡부(50)의 단부로부터 상기 막대부(38)의 하단을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절곡부(52)와, 상면이 상기 제3절곡부(52)와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3절곡부(54)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절곡부(48)를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부(54)와, 상기 제1절곡부(48)의 하단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부(48)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이탈방지핀홀(26)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10에는 상기 록킹부의 하향밀림부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막대부의(38) 하단에서 상기 막대부(38)의 후면과 상기 힌지바닥부(2) 측 측면의 모서리부에는 하단을 향하여 하향되는 삼각단면의 경사면인 상향밀림부(40)가 형성된다.
도 11에는 상기 록킹부의 상향밀림부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단연장부(42)의 후면에서 상기 후단연장부(42)의 후면과 상기 이탈방지핀(10)의 헤드부(12) 측 측면의 모서리부에는 하단을 향하여 하향되는 삼각단면의 경사면인 하향밀림부(44)가 형성된다.
도12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힌지바닥부, 힌지상부 및 록킹부의 연결부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도 12의 상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 에는 도 12의 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톱니축(22)은 상기 힌지바닥부(2) 측면부(6)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을 향하여 상기 힌지상부 연결홀(8)을 관통하게 되며, 상기 힌지상부(2)의 힌지고정면(20) 내측면은 상기 힌지바닥부(2)의 측면부(6) 외측면과 서로 맞닿게 된다.
상기 톱니축(22)이 상기 힌지상부 연결홀(8)을 관통하였을 때, 상기 톱니부(24)는 상기 힌지바닥부(2)의 측면부(6) 내측면 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에 의해 상기 힌지상부(2)는 상기 톱니축(22)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힌지바닥부(2)의 이탈방지핀(10)은 상기 록킹부(36)의 이탈방지핀홀(56)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핀(10)이 상기 이탈방지핀홀(56)을 관통하였을 때, 상기 전단연장부(46)는 상기 톱니축(22)을 감싸도록 위치하게 되고, 상기 막대부(38)는 상기 톱니축(22)과 상기 밀림방지부 (14)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후단연장부(42)는 상기 록킹부 받침면(26)의 상단 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단연장부(46)가 상기 톱니축(24)을 감싸도록 위치할 때, 상기 돌출부(54)는 상기 톱니부(24)의 어느 하나의 톱니와 다른 하나의 톱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돌출부(24)의 상면이 어느 하나의 톱니와 맞닿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에 의해 상기 록킹부(36)는 상기 이탈방지핀(1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며, 상기 이탈방지핀(10)을 축으로 하여 상기 힌지바닥부(4)의 측면부(6)와 상기 이탈방지핀(10)의 헤드부(12) 사이를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핀(10)을 회전축으로 하는 상기 록킹부의(36) 회전 각도는 제한적인 것으로, 상기 톱니축(22)과 상기 밀림방지부(14) 사이에서만 가능하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를 이용한 후드의 열림 및 닫힘 상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작동 방법은,
후드가 닫혀있는 단계;
외력에 의해 상기 후드가 열리는 방향으로 힌지상부(16)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힌지상부(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힌지상부(16)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록킹부(36)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록킹부(36)의 돌출부(54)가 톱니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려나는 단계;
상기 돌출부(54)가 상기 톱니부(24)의 어느 하나의 톱니와 다른 하나의 톱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후드의 개방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도 16에는 후드가 닫힘 상태일 때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도 16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드가 닫혀있는 단계에서 상기 힌지상부(16)와 상기 힌지바닥부(2) 사이의 각도는 최소이며, 상기 돌출부(54)는 상기 톱니부(24)와 맞물려있고, 상기 하향밀림부(44)는 상기 하향밀림부 삽입홈(28)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막대부(38)의 후단면은 상기 밀림방지부(14)의 전단면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도 18에는 후드가 열리고 있는 상태일 때, 록킹부의 작동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9에는 도 18의 진행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드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후드를 열면, 상기 후드에 결합되어있는 상기 힌지상부(16)가 상기 톱니축(22)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후드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힌지상부(16)의 회전 시 상기 톱니축(22) 또한 상기 힌지상부(16)와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힌지상부(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힌지상부(16)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록킹부(36)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후드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톱니부(24)와 맞물려 있던 상기 돌출부54()는, 상기 후드의 개방을 위한 상기 힌지상부(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톱니축(2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톱니부(24)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힌지상부(16)가 상기 톱니부(24)의 어느 하나의 톱니와 다른 하나의 톱니 사이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하향밀림부(44)가 상기 하향밀림부 삽입홈(28)에 삽입되면서 상기 록킹부(36)는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지만, 상기 힌지상부(16)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부(54)가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톱니부(24)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상기 돌출부(54)가 상기 톱니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려난 상태에서는 상기 후드의 개방 위치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후드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상부(16)가 계속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돌출부(54)는 상기 다른 하나의 톱니와 또 다른 하나의 톱니 사이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돌출부(54)가 상기 톱니부(24)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다시 톱니부(24)와 맞물리게 될 때, 상기 록킹부(36)는 상기 후드의 개방을 위한 상기 힌지상부(16)의 회전 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록킹부(36)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향밀림부(44)가 상기 하향밀림부 삽입홈(28)으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하향밀림부 삽입홈(28)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후드가 도착할 때까지 상기 톱니부(24)로부터 상기 돌출부(54)의 밀려남 및 상기 돌출부(54)와 상기 톱니부(24)와의 맞물림이 반복 진행되고,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후드의 개방 위치에서 상기 돌출부(54)가 어느 하나의 톱니와 다른 하나의 톱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돌출부(54)와 상기 톱니부(24)가 맞물리면서 상기 후드의 개방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후드의 개방 각도를 고정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후드를 닫기 위해,
상기 후드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상향푸시부재(32)가 상기 상향밀림부(40)를 밀어 상기 록킹부(36)를 상기 톱니부(24)의 외측으로 축방향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힌지상부(16)가 자동 하강하는 단계;
상기 하향푸시부재(30)가 상기 하향밀림부(44)를 밀어 상기 록킹부(36)를 상기 톱니부(24) 측으로 축방향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록킹부(36)와 상기 톱니부(24)가 맞물려 상기 후드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는 단계;
가 진행된다.
도 20에는 후드가 완전히 펼쳐지는 상태일 때, 상향푸시부재와 상향밀림부의 접촉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드의 닫힘은 상기 후드의 완전 개방 이후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후드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후드를 닫기 위해서는 상기 후드가 완전 개방 위치로 이동해야 한다.
도 21에는 도 20의 진행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드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힌지상부(16)가 회전하여 상기 힌지상부(16)와 상기 힌지바닥부(2) 사이의 각도가 최대가 되는 상기 후드의 완전 개방 위치에 고정되면 상기 상향푸시부재(32)가 상기 상향밀림부(40)와 닿게 되고, 이때 상기 상향푸시부재(32)가 상기 상향밀림부(40)를 밀어 상기 록킹부(36)가 상기 이탈방지핀(10)을 따라 상기 톱니부의 외측으로 축방향 이동하게 된다.
도 22에는 도 21에 따른 록킹부의 위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향푸시부재(32)가 상기 상향밀림부(40)를 밀면 상기 후단연장부(42)는 상기 하향푸시부재(30)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돌출부(54)가 상기 톱니부(24)와 맞물리지 않게 되면서 상기 록킹부(36)는 상기 이탈방지핀(10)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전단연장부(46) 측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54)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후드가 닫히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었던 상기 힌지상부(16)는 상기 록킹부(36)가 상기 톱니부(24) 외측으로 축방향 이동함에 따라 상기 후드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동 하강하게 된다.
도 23에는 후드의 열림 후 닫히는 상태일 때, 하향푸시부재와 하향밀림부의 접촉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상부(16)가 상기 후드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일 때, 상기 상향밀림부(40)는 상기 상향밀림부 삽입홈(34)에 삽입되고, 상기 하향밀림부(44)는 상기 하향푸시부재(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후드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상부(16)의 자동 하강 시, 상기 후드의 개방 각도가 일정 각도 이하가 되면, 상기 록킹부(36)가 상기 후단연장부(42) 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향밀림부 삽입홈(34)에 삽입되어있던 상기 상향밀림부(40)가 탈거되고, 상기 하향푸시부재(30)가 상기 하향밀림부(44)를 밀게 된다.
상기 록킹부(36)는 상기 이탈방지핀(10)을 축으로 하여 상기 톱니부(24) 측으로 축방향 이동하게 되고, 상기 록킹부(36)의 상기 돌출부(54)와 상기 톱니부(24)가 다시 맞물리면서 상기 후드의 닫힘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힌지바닥부
4 : 힌지바닥부의 하면부
6 : 힌지바닥부의 측면부
8 : 힌지상부 연결홀
10 : 이탈방지핀
12 : 헤드부
14 : 밀림방지부
16 : 힌지상부
18 : 후드고정면
20 : 힌지고정면
22 : 톱니축
24 : 톱니부
26 : 록킹부 받침면
28 : 하향밀림부 삽입홈
30 : 하향푸시부재
32 : 상향푸시부재
34 : 상향밀림부 삽입홈
36 : 록킹부
38 : 막대부
40 : 상향밀림부
42 : 후단연장부
44 : 하향밀림부
46 : 전단연장부
48 : 제1절곡부
50 : 제2절곡부
52 : 제3절곡부
54 : 돌출부
56 : 이탈방지핀홀

Claims (34)

  1. 차량용 후드(HOOD) 열림 시 상기 후드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되는 힌지바닥부;
    일단이 상기 후드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힌지바닥부에 톱니축으로 힌지연결되는 힌지상부;
    상기 힌지바닥부와 상기 힌지상부를 힌지연결하는 상기 톱니축에 장착되는 록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의 열림 시 상기 톱니축에 형성된 톱니부에 상기 록킹부가 맞물리거나 맞물리지 않게 되면서 상기 후드의 위치를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키고,
    상기 힌지바닥부는, 차량의 하면 측에 고정되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차량의 상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에서 차량 후단 측 단부에는,
    상기 측면부를 관통하는 힌지상부 연결홀;
    상기 힌지상부 연결홀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이탈방지핀;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바닥부는 차량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다가 일정 부분에서 일정 각도 절곡되어 차량의 상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에서 차량 후단 측 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핀의 하측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밀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상부는 차량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것으로,
    전단부에는 상기 후드의 내측면과 맞닿아 고정되는 후드고정면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후드고정면과 수직방향이며, 양측면이 차량의 양측을 향하는 힌지고정면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고정면에는,
    상기 힌지고정면의 내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힌지고정면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톱니축;
    상기 톱니축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는 톱니부;
    상기 톱니부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고정면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힌지고정면의 내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힌지고정면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록킹부 받침면;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 받침면에는,
    상기 록킹부 받침면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되며, 하단을 향하여 일정 깊이 파여진 형상의 하향밀림부 삽입홈;
    상기 록킹부 받침면의 상단에서 상기 힌지고정면으로부터 상기 하향밀림부 삽입홈 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상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 돌출되는 하향푸시부재;
    상기 록킹부 받침면의 내측면 하단에 형성되며, 일정 길이 돌출되는 상향푸시부재;
    상기 록킹부 받침면의 내측면 하단에서 상기 힌지고정면으로부터 상기 상향푸시부재 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일정 깊이 파여진 형상의 상향밀림부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사각단면을 갖는 일정 길이의 막대형상의 막대부;
    사각단면을 가지며, 상기 막대부의 후단면과 수직이 되도록상기 막대부의 후단면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후단연장부;
    상기 막대부의 전단면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전단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용후드 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부의 하단에는, 상기 막대부의 후면과 힌지바닥부 측 측면의 모서리부에 하단을 향하여 하향되는 삼각단면의 경사면인 상향밀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연장부의 후면에는, 상기 후단연장부의 후면과 이탈방지핀의 헤드부 측 측면의 모서리부에 하단을 향하여 하향되는 삼각단면의 경사면인 하향밀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장부는,
    상기 막대부의 전단면 상단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단을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막대부의 하단을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절곡부;
    상기 막대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2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막대부의 하단을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절곡부;
    상기 제3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절곡부를 향하여 일정 각도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제1절곡부의 하단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절곡부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이탈방지핀홀;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축은 상기 힌지바닥부 측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을 향하여 상기 힌지상부 연결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축이 상기 힌지상부 연결홀을 관통하였을 때, 상기 톱니부는 상기 힌지바닥부 측면부의 내측면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핀은 상기 이탈방지핀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핀의 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핀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핀이 상기 이탈방지핀홀을 관통하였을 때,
    상기 전단연장부는 톱니축을 감싸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핀이 상기 이탈방지핀홀을 관통하였을 때,
    상기 막대부는 톱니축과 밀림방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핀이 상기 이탈방지핀홀을 관통하였을 때,
    상기 후단연장부는 상기 록킹부 받침면의 상단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상부는 상기 톱니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이탈방지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이탈방지핀을 축으로 하여 상기 힌지바닥부의 측면부와
    상기 이탈방지핀의 헤드부 사이를 축방향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개방을 위한 상기 힌지상부의 회전 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톱니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하는 상기 톱니축에 의해 상기 톱니부와 맞물려 있던 상기 돌출부가 상기 톱니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2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개방을 위한 상기 힌지상부의 회전 시,
    상기 돌출부가 들어올려질 때, 상기 록킹부의 하향밀림부는 상기 하향밀림부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개방을 위한 상기 힌지상부의 회전 정지 시,
    상기 록킹부의 돌출부가 상기 톱니부의 어느 하나의 톱니와 다른 하나의 톱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후드의 개방 위치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개방을 위한 상기 힌지상부의 회전 정지 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후드의 개방을 위한 상기 힌지상부의 회전 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개방을 위한 상기 힌지상부의 회전 정지 시,
    상기 록킹부의 하향밀림부는 상기 하향밀림부 삽입홈의 상측으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닫힘은 상기 후드의 완전 개방 이후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상부가 회전하여 상기 후드가 완전 개방되는 위치에 이르면,
    상기 힌지상부의 상향푸시부재가 상기 록킹부의 상향밀림부를 밀어 상기 록킹부를 상기 톱니부의 외측으로 축방향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가 축방향으로 상기 톱니부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힌지상부는 상기 후드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상부가 상기 후드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일 때, 상기 상향밀림부는 상기 상향밀림부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상부가 상기 후드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일 때, 상기 하향밀림부는 상기 하향푸시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후드의 개방 각도가 일정 각도 이하가 되면, 상기 하향푸시부재가 상기 하향밀림부를 밀어 상기 록킹부를 상기 톱니부 측으로 축방향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33. 차량용 후드(HOOD) 열림 시 상기 후드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후드가 닫혀있는 단계;
    일단이 상기 후드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힌지바닥부에 톱니축으로 힌지연결되는 힌지상부가 외력에 의해 상기 후드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상기 힌지바닥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가 상기 힌지상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힌지상부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상기 록킹부의 돌출부가 상기 톱니축에 형성된 톱니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려나는 단계;
    상기 돌출부가 상기 톱니부의 어느 하나의 톱니와 다른 하나의 톱니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록킹부가 상기 톱니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후드의 개방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의 개방 각도를 고정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후드를 닫기 위해,
    상기 후드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힌지상부의 상향푸시부재가 상기 록킹부의 상향밀림부를 밀어 상기 록킹부를 상기 톱니부의 외측으로 축방향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힌지상부가 자동 하강하는 단계;
    하향푸시부재가 하향밀림부를 밀어 상기 록킹부를 상기 톱니부 측으로 축방향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록킹부와 상기 톱니부가 맞물려 상기 후드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의 작동 방법.
  34. 삭제
KR1020180032214A 2018-03-20 2018-03-20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474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214A KR102474611B1 (ko) 2018-03-20 2018-03-20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214A KR102474611B1 (ko) 2018-03-20 2018-03-20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341A KR20190110341A (ko) 2019-09-30
KR102474611B1 true KR102474611B1 (ko) 2022-12-06

Family

ID=6809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214A KR102474611B1 (ko) 2018-03-20 2018-03-20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6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676B1 (ko) * 2007-08-24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스테이 겸용 후드 힌지
JP2010241283A (ja) * 2009-04-07 2010-10-28 Kanto Auto Works Ltd 開閉体の開閉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986B1 (ko) 2012-11-28 2014-01-15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후드 고정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676B1 (ko) * 2007-08-24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스테이 겸용 후드 힌지
JP2010241283A (ja) * 2009-04-07 2010-10-28 Kanto Auto Works Ltd 開閉体の開閉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341A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7162B2 (ja) 容器
FR2920171A1 (fr) Dispositif de verrouillage concu pour etre dispose dans une zone de jonction d'une nacelle
KR102474611B1 (ko) 차량용 후드 고정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EP1087075B1 (fr) Dispositif d'ancrage dit permanent
EP0067075B1 (fr) Poignée de fermeture de vantail coulissant à verrouillage semi-automatique
EP2911803B1 (fr) Paumelles pour montage provisoire d'une portiere sur un chassis de vehicule
FR2731391A1 (fr) Dispositif d'ouverture / fermeture d'une trappe a carburant
JP2005336983A5 (ko)
FR2623553A1 (fr) Charniere a engagement lateral pour vantail et analogues
FR2899253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l'acces a une chambre technique situee sous une chaussee ou analogue
KR102339023B1 (ko) 도어용 힌지 구조
JP3961675B2 (ja) 自動閉鎖蝶番
KR101091670B1 (ko) 차량용 도어의 글래스런
TWI577868B (zh) A hinge for vacuum opening and closing of vacuum chamber and its vacuum processing device
FR2547855A1 (fr) Store deroulable a moyens d'arret multiples le long de sa course
JP5423386B2 (ja) 扉の垂れ下がり防止機構
EP0291376B1 (fr) Mécanisme de manoeuvre de la coupole d'un exutoire de fumée
FR2799805A1 (fr) Dispositif d'ancrage dit permanent
KR200376152Y1 (ko) 자동잠금식 우산대 승강통의 펴짐 위치 고정구조
JP3750818B2 (ja) 回動抵抗付与ダンパ
JP4290682B2 (ja) バランサー装置の取り付け構造及び上げ下げ窓
KR200396298Y1 (ko) 원터치 고정장치
JPS5941198Y2 (ja) 船外機のチルトロツクピン構造
JPS5927515Y2 (ja) 受座付停止具
JPH02311660A (ja) 床下収納庫の蓋体の倒れ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