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438B1 - 조립식 칸막이 - Google Patents

조립식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438B1
KR102474438B1 KR1020220057309A KR20220057309A KR102474438B1 KR 102474438 B1 KR102474438 B1 KR 102474438B1 KR 1020220057309 A KR1020220057309 A KR 1020220057309A KR 20220057309 A KR20220057309 A KR 20220057309A KR 102474438 B1 KR102474438 B1 KR 10247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supported
support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간씨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간씨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간씨앤에스
Priority to KR1020220057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E04B2/7435Glazing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유리구간과 도어구간 및 측벽구간을 포함하고, 공간을 선택적으로 분할가능한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유리구간은,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 끼워지며 지지되는 유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ㄷ’자형상으로 상기 유리유닛을 향하여 개구되고 일면이 상기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바닥 또는 천장을 가압하여 지지력을 확보하는 찬넬부; 및 상기 찬넬부의 개구측에 마련고 상기 유리유닛이 적어도 일부 끼워져 지지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조립이 간편하고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며, 파티션 설치 작업현장에서 용접이나 도장 등의 마감작업 필요없이 조립형태로 벽체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칸막이 { FABRICATED PARTITION WALL }
본 발명은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조립이 간편하고 간소화된 구조를 통해 제작이 용이한 조립식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칸막이는 실내 공간을 구획하여 분리 및 확보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천장과 바닥면에 대향되게 고정되는 상측런너와 하측런너의 사이에 칸막이 벽체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칸막이는 사무공간, 상업공간 등을 효율적으로 구획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화장실의 칸막이와 간이벽체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칸막이는 설치와 해체의 용이함을 위해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특징이 있고, 종래의 칸막이는 조립작업에 있어서 조립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하면서 안정된 조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패널과 패널을 연결하는 지지대에 결속공을 마련하고, 상기 결속공에 대응하면서 하부로 절곡되는 걸림돌기를 마련하여 상호 대응 시켜 하부측을 결속하고 상기 지지대에 나선을 형성하여 상기 나선과 대응하는 볼트에 홀더를 삽입하여 볼트와 상기 나선의 체결시 홀더가 패널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상호 체결을 이루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칸막이는 볼트를 체결하고 홀더를 패널에 끼워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였고, 용접이나 도장과 같은 마감작업이 필요하므로 불필요한 작업 공수의 증가로 노동력, 작업시간, 원가 등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별도의 도구 또는 과정, 노력 등이 필요없이 사용자에 의해 간단히 조립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한 칸막이가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9965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간편하고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한 조립식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티션 설치 작업현장에서 용접이나 도장 등의 마감작업 필요없이 조립형태로 벽체를 쉽게 구성할 수 있는 조립식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는, 유리구간과 도어구간 및 측벽구간을 포함하고, 공간을 선택적으로 분할가능한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유리구간은,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 끼워지며 지지되는 유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ㄷ’자형상으로 상기 유리유닛을 향하여 개구되고 일면이 상기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바닥 또는 천장을 가압하여 지지력을 확보하는 찬넬부; 및 상기 찬넬부의 개구측에 마련고 상기 유리유닛이 적어도 일부 끼워져 지지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찬넬부는, 판체형상으로 상기 바닥 또는 천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구에 대하여 반대되는 측이 상기 바닥과 접하도록 중앙 어느 일부가 상기 개구를 향하여 오목한 레벨링홈이 형성된 베이스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바닥 또는 천장과 접하도록 상기 바닥 또는 천장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측면판;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측면판에 둘러쌓이고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베이스판과 접하도록 개구부가 상기 베이스판을 향하여 배치되는 레벨링받침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측면판에 둘러쌓이고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게 접하는 지지판; 및 상기 레벨링받침대를 관통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지지되며 상기 레벨링받침대와 나사결합하고 회전함으로써 높낮이가 가변되는 레벨링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찬넬부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찬넬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부는, 상기 바닥과 천장 사이의 직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의 타단이 삽입되어 높낮이가 가변될 때 상기 측면판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유격이 형성되는 유격홈; 상기 유리유닛의 끝단부의 측면과 접면하는 면에 형성되는 실링홈; 상기 실링홈에 삽입되어 상기 유리유닛과 사이에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유리유닛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유리유닛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상기 유리유닛과의 직접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유리유닛을 보호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서로 연결되며 상기 유리유닛의 끝단이 거치되고 접면하며 지지되는 한 쌍의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부는, 상기 연결체로부터 연장되고 제1 및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본체; 및 상기 제1 및 제2결합돌기와 각각 서로 어긋나게 걸려 결합되는 제3결합돌기와 제4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2프레임본체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프레임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유리유닛은 복수 개가 마련되고, 복수 개의 유리유닛이 상호 연결되도록 배치시키는 유리유닛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유리유닛조인트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유리유닛조인트는, 상기 유리유닛의 끝단이 배치되도록 상기 유리유닛의 끝단부와 대응되게 오목한 오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유리유닛은, 끝단에 상기 오목홈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볼록한 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렴되게 경사지는 제1 및 제2볼록면; 및 상기 제1 및 제2볼록면 사이에 상기 유리유닛의 폭방향과 일치하게 평면으로 형성된 볼록중앙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목홈은, 상기 제1 및 제2볼록면과 각각 대응하여 접하는 제1 및 제2오목면; 및 상기 제1 및 제2볼록면 사이에 유리유닛의 폭방향과 일치하게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중앙면과 평행하게 이격되며 상기 볼록중앙면과 상기 제1 및 제2오목면과 함께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중앙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찬넬부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체의 하측에서 상기 유리유닛의 테두리를 향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는, 유리구간과 도어구간 및 측벽구간을 포함하고, 공간을 선택적으로 분할가능한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측벽구간은,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 끼워지며 지지되는 패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ㄷ’자형상으로 상기 패널유닛을 향하여 개구되고 일면이 상기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바닥 또는 천장을 가압하여 지지력을 확보하는 찬넬부; 및 상기 찬넬부의 개구측에 마련고 상기 유리유닛이 적어도 일부 끼워져 지지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찬넬부는, 판체형상으로 상기 바닥 또는 천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구에 대하여 반대되는 측이 상기 바닥과 접하도록 중앙 어느 일부가 상기 개구를 향하여 오목한 레벨링홈이 형성된 베이스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바닥 또는 천장과 접하도록 상기 바닥 또는 천장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측면판;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측면판에 둘러쌓이고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베이스판과 접하도록 개구부가 상기 베이스판을 향하여 배치되는 레벨링받침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측면판에 둘러쌓이고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게 접하는 지지판; 및 상기 레벨링받침대를 관통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지지되며 상기 레벨링받침대와 나사결합하고 회전함으로써 높낮이가 가변되는 레벨링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찬넬부의 개구부에 상기 찬넬부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과 적어도 일부 접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레벨링볼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면 상기 지지판의 가변되는 높낮이에 의해 높낮이가 가변되는 제3프레임부; 및 상기 찬넬부의 개구부에 상기 제3프레임부의 외부에서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프레임부와 적어도 일부 접하며 상기 제3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패널유닛의 끝단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상기 패널유닛의 끝단이 상기 패널유닛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단턱에 의해 이탈방지되는 제4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제4프레임부는, 상기 제3프레임부에 접하며 지지되는 제1판; 상기 제1판으로부터 상기 제3프레임부를 외부에서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2판; 상기 제2판으로부터 상기 제1판과 평행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단턱에 접하며 지지되고 이탈이 방지되는 제3판; 상기 제3판으로부터 상기 제2판과 평행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패널유닛의 내면과 접하는 제4판; 및 상기 제4판으로부터상기 제1판 또는 제3판과 평행하도록 상기 패널유닛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패널유닛 내부의 내장재를 지지하는 제5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은,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스틸외장재; 및 상기 스틸외장재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페이퍼 허니콤(paper honeycomb) 또는 록 울(rock wool)로 마련되는 패널내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은 복수 개가 마련되고, 어느 한 패널유닛의 상기 한 쌍의 스틸외장재 테두리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패널내장재를 보호하는 개스킷; 및 어느 한 패널유닛의 개스킷과 그와 인접한 패널유닛의 개스킷에 끼워짐으로써 복수 개의 패널유닛을 상호 연결시키는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클립이 삽입되는 클립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ㄷ’자 형태로 양단이 상기 개스킷의 클립홈에 각각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개스킷을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스틸외장재는, 끝단이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절곡되고 상기 개스킷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단턱은 상기 클립의 양단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상기 클립홈에 끼워져 쐐기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클립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에 의하면, 조립이 간편하고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며, 파티션 설치 작업현장에서 용접이나 도장 등의 마감작업 필요없이 조립형태로 벽체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서의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유리구간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부분을 발췌한 발췌도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지지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구성 분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유리구간의 사시도이다.
도 5의 (b)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유리구간의 유리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각각 도 5의 (b) 내지 (d)의 결합모습을 평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C-C'에서의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측벽구간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D부분을 발췌한 발췌도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지지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측벽구간의 사시도이다.
도 9의 (b)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측벽구간의 패널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패널유닛의 개스킷이 클립에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a)와 (b)는 도 10의 (a)와 (b)의 변형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의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유리구간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부분을 발췌한 발췌도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지지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구성 분해도이고,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유리구간의 사시도이며, 도 5의 (b)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유리구간의 유리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a) 내지 (c)는 각각 도 5의 (b) 내지 (d)의 결합모습을 평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는 유리구간(10)과 도어구간(20) 및 측벽구간(30)을 포함할 수 있고, 공간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할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리구간(10)은 지지유닛(100)과 유리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유닛(100)은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며 유리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다.
유리유닛(200)은 바닥과 천장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유닛(100) 사이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지지유닛(100)은 찬넬부(110)와 프레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찬넬부(110)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찬넬부(110)는 유리유닛(200)을 향하여 개방된 개구(111)를 포함할 수 있고, 일면이 바닥 또는 천장에 접면하여 지지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바닥 또는 천장을 가압하여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찬넬부(110)는 베이스판(112)과 측면판(113), 레벨링받침대(114), 지지판(115) 및 레벨링볼트(11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112)은 판체형상으로 바닥 또는 천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판(112)은 개구(111)에 대하여 반대되는 측이 바닥 또는 천장과 접할 수 있다. 베이스판(112)은 개구(111)를 향하여 오목한 레벨링홈(112a)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2)은 레벨링홈(112a)이 형성된 중앙부분이 바닥 또는 천장과 접할 수 있고, 베이스판(112)의 양단은 바닥 또는 천장과 이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제작자의 선택사항으로 베이스판(112)은 어느 일부가 바닥 또는 천장과 접하여 지지되기만 하면 무방한 것으로,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측면판(113)은 서로 마주보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측면판(113)은 일단이 바닥 또는 천장과 접하도록 바닥과 천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측면판(113)의 일단부에는 베이스판(112)의 양단이 각각 연결 또는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판(113)은 베이스판(112)과 함께 일측에 개구(111)가 형성된 찬넬공간(미부호)을 형성할 수 있다.
레벨링받침대(114)는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레벨링받침대(114)는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판(112)과 측면판(113)으로 둘러쌓일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레벨링받침대(114)는 개구부(미부호)가 베이스판(112)을 향하도록 양단이 베이스판(112)과 접할 수 있다. 레벨링받침대(114)는 레벨링홈(112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15)은 판체형상으로 베이스판(112)과 한 쌍의 측면판(113)에 둘러쌓여 베이스판(112)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판(115)은 프레임부(120)에 지지되도록 접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115)은 프레임부(120)와 접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후술하는 레벨링볼트(116)의 일단이 연결 또는 연장될 수 있다.
레벨링볼트(116)는 레벨링받침대(114)의 관통공(114a)을 관통할 수 있다. 레벨링볼트(116)는 일단이 지지판(115)에 접하거나 연결 또는 연장될 수 있고, 타단이 베이스판(112)에 지지될 수 있다. 레벨링볼트(116)는 레벨링받침대(114)의 관통공(114a)을 관통하며 레벨링받침대(114)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때, 레벨링볼트(116)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높낮이가 가변될 수 있다.
프레임부(120)는 찬넬부(110)의 개구(111) 측에 마련될 수 있고 개구(111)에는 유리유닛(200)이 적어도 일부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부(120)는 찬넬부(1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프레임부(121)와 제2프레임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프레임부(121, 122)는 유격홈(121a, 122a)과 실링홈(121b, 122b), 탄성지지부재(121c, 122c) 및 연결체(121d, 122d)를 포함할 수 있다.
유격홈(121a, 122a)은 바닥과 천장 사이를 잇는 직선 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유격홈(121a, 122a)은 측면판(113)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다. 즉, 레벨링볼트(116)를 회전하여 높낮이가 가변될 때 측면판(113)의 타단은 유격홈(121a, 122a)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레벨링볼트(116)가 회전하여 지지판(115)이 찬넬부(110)의 개구(111)가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및 제2프레임부(121, 122) 측면판(113)의 타단은 유격홈(121a, 122a)에서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때 유격홈(121a, 122a)의 공간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실링홈(121b, 122b)은 유리유닛(200)의 끝단부의 측면과 접면하는 제1 및 제2프레임부(121, 122)의 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부(121)의 실링홈(121b)과 제2프레임부(122)의 실링홈(122b)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실링홈(121b, 122b)은 후술하는 탄성지지부재(121c, 122c)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재(121c, 122c)는 실링홈(121b, 122b)에 각각 수용될 수 있고, 유리유닛(200)과 프레임부(121, 122) 사이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재(121c, 122c)는 유리유닛(2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재(121c, 122c)는 유리유닛(2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프레임부(121, 122)와 유리유닛(200)의 직접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유리유닛(200)을 보호할 수 있다.
연결체(121d, 122d)는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체(121d)는 제1프레임부(121)에 연결 또는 연장될 수 있고, 연결체(122d)는 제2프레임부(122)에 연결 또는 연장될 수 있으며, 연결체(121d)와 연결체(122d)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연결체(121d, 122d)는 유리유닛(200)의 끝단이 접면함으로써 거치될 수 있고 유리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2프레임부(122)는 제2프레임본체(123)와 프레임캡(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본체(123)는 연결체(122d)로부터 연장되고 제1 및 제2결합돌기(123a, 124a)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캡(124)은 제2프레임본체(123)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제3 및 제4결합돌기(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결합돌기(124a)는 제1결합돌기(123a)와 어긋나게 걸리고, 제4결합돌기(124b)는 제2결합돌기(123b)와 어긋나게 걸림으로써 제2프레임본체(123)와 프레임캡(124)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프레임본체(123)와 프레임캡(124)은 상호 분리되어 있지만, 결합돌기(123a, 123b, 124a, 124b)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결합됨으로써 내부공간(미부호)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유리유닛(200)이 연결체(121d, 122d)에 거치된 후에 프레임캡(124)이 제2프레임본체(123)를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유리유닛(200)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유리유닛(200)은 유리유닛조인트(200, 220´, 220˝)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유리유닛조인트(200, 220´, 22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유닛(200)의 끝단은 돌출된 돌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돌부(210)는 유리유닛(200)의 측면에 대하여 서로 수렴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제1볼록면(211)과 제2볼록면(212)을 포함하고, 유리유닛(200)의 폭방향과 일치되게, 즉 유리유닛(200)의 측면에 수직되게 평면으로 형성된 볼록중앙면(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유리유닛조인트(200, 220´, 220˝)는 돌부(210)에 대응되는 오목홈(221, 221´, 221˝)이 형성될 수 있다. 오목홈(221, 221´, 221˝)은 유리유닛(200)의 끝단, 즉 돌부(21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오목홈(221, 221´, 221˝)은 제1오목면(221a, 221a´, 221a˝)과 제2오목면(221b, 221b´, 221b˝) 및 오목중앙면(221c, 221c´, 22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오목면(221a, 221a´, 221a˝)은 제1볼록면(211)과 서로 접하도록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오목면(221b, 221b´, 221b˝)은 제2볼록면(212)과 서로 접하도록 동일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오목중앙면(221c, 221c´, 221c˝)은 볼록중앙면(213)과 대면할 수 있다. 오목중앙면(221c, 221c´, 221c˝)은 제1 및 제2볼록면(211, 212) 사이에 유리유닛(200)의 폭방향과 일치하게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부(210)가 오목홈(221, 221´, 221˝)에 삽입되었을 때, 볼록중앙면(213)과 오목중앙면(221c, 221c´, 221c˝)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볼록중앙면(213)과 오목중앙면(221c, 221c´, 221c˝) 사이는 이격되고, 오목중앙면(221c, 221c´, 221c˝)과 볼록중앙면(213), 제1 및 제2오목면(221a, 221a´, 221a˝, 221b, 221b´, 221b˝)은 이격공간(2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격공간(230)이 마련됨으로써 온도변화로 인한 유리유닛(200) 또는 유리유닛조인트(220, 220´, 220˝)의 형상변형, 유리유닛(200)의 가압력에 대한 유리유닛조인트(220, 220´, 220˝)의 형상변형에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격공간(230)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실시예인 것으로, 돌부(210)와 오목홈(221, 221´, 221˝)의 결합시 이격공간(230)이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의 (a) 내지 (c)는 유리유닛(200)의 배치모습에 따라 마련될 수 있는 다양한 유리유닛조인트(220, 220´, 220˝)의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시된 세가지의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고, 이 외에도 다양한 유리유닛(200)의 배치모습에 대한 다양한 형상의 유리유닛조인트(220, 220´, 220˝)의 형상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는 발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찬넬부(110)에 수용될 수 있고, 연결체(121d, 122d)의 하측에서 유리유닛(200)의 테두리를 향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부가 빛을 발산하면 유리유닛(200)은 빛을 반사 또는 굴절 등을 일으키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함으로써 투명한 유리가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심미적으로 빛을 이용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체(121d, 122d)는 투명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1의 C-C'에서의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측벽구간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D부분을 발췌한 발췌도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지지유닛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측벽구간의 사시도이고, 도 9의 (b)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측벽구간의 패널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의 패널유닛의 개스킷이 클립에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의 (a)와 (b)는 도 10의 (a)와 (b)의 변형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패널유닛(300)은 프레임부(120)를 포함하되, 프레임부(120)는 제3프레임부(125)와 제4프레임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프레임부(125)는 찬넬부(110)의 개구(1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3프레임부(125)는 찬넬부(110)의 외부에서 찬넬부(110)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프레임부는 지지판(115)과 접하는 접판(미부호)과, 일단이 접판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이어지고 접판의 양단에서 패널유닛(300)의 내부공간(311)을 향해 절곡된 절곡판(미부호), 일단이 절곡판의 타단에서 이어지고 절곡판에서 접판과 평행하게 절곡된 평행판(미부호), 및 일단이 평행판의 타단에서 이어지고 평행판에서 절곡판과 평행하며 측면판(113)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판(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프레임부(125)는 지지판(115)과 적어도 일부 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프레임부(125)는 접판에 해당되는 부분이 패널유닛(300)의 내부공간(311)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프레임부(125)는 레벨링볼트(116)의 높낮이가 조절되면 지지판(115)의 가변되는 높낮이에 의해 높낮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4프레임부(126)는 찬넬부(110)의 개구(11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프레임부(126)는 제3프레임부(125)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제4프레임부(126)는 제3프레임부(125)를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프레임부(126)는 제3프레임부(125)와 적어도 일부 접하여 제3프레임부(1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4프레임부(126)는 패널유닛(300)의 끝단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이때 제4프레임부(126)는 패널유닛(300)의 끝단, 즉 후술하는 스틸외장재(310)가 패널유닛(300) 내측 방향 또는 내부공간(311) 방향으로 절곡된 단턱(312)에 의해 패널유닛(300)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4프레임부(126)는 제1판 내지 제5판(126a, 126b, 126c, 126d, 126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판(126a)은 제3프레임부(125)에 접하며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판(126a)은 제3프레임부(125)의 평행판에 접할 수 있다.
제2판(126b)은 제1판(126a)으로부터 바닥 또는 천장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제2판(126b)은 제3프레임부(125)를 외부에서 적어도 일부 감쌀 수 있다. 즉, 제2판(126b)은 제3프레임부(125)의 외부판에 접할 수 있다.
제3판(126c)은 제2판(126b)으로부터 제1판, 바닥 또는 천장과 평행하게 절곡될 수 있다. 제3판(126c)은 후술하는 단턱(312)에 접하며 단턱(312)에 걸려 제4프레임부(126)가 후술하는 패널유닛(300)의 내측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4판(126d)은 제2판(126b)과 평행하게 절곡될 수 있다. 즉, 제4판(126d)은 바닥 또는 천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4판(126d)은 패널유닛(300)의 내면, 즉 스틸외장재(310)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제5판(126e)은 제4판(126d)으로부터 제1판(126a) 또는 제3판(126c)과 평행하도록 패널유닛(300)의 내측, 즉 내부공간(311)을 향하여 절곡되고 패널유닛(300) 내부의 패널내장재(32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는 패널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유닛(300)은 스틸외장재(310)와 패널내장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틸외장재(310)는 패널유닛(300)의 외부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내부공간(311)이 마련될 수 있다. 스틸외장재(310)는 끝단이 내부공간(311)을 향하여 절곡된 단턱(312)을 포함할 수 있다.
단턱(312)은 패널내장재(320)와 후술하는 개스킷(3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단턱(312)은 후술하는 클립(340, 340´)과 함께 클립홈에 끼워지는 쐐기역할을 할 수 있다.
패널내장재(320)는 스틸외장재(310)의 내부공간(311)에 수용될 수 있다. 패널내장재(320)는 페이퍼 허니콤(paper honeycomb) 또는 록 울(rock wool)로 마련될 수 있다. 패널내장재(320)는 소리를 흡음(吸音) 또는 차음(遮音)할 수 있고 단열(斷熱)이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패널유닛(300)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패널유닛(300)은 상호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패널유닛(30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개스킷(330)이 사용될 수 있다.
개스킷(330)은 어느 한 패널유닛(300)의 한 쌍의 스틸외장재(310)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 개스킷(330)은 내부공간(311)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패널내장재(320)를 보호할 수 있다. 개스킷(330)은 클립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클립홈(331)은 후술하는 클립(340)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패널유닛(300) 각각은 테두리에 개스킷(33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패널유닛(300)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때 어느 한 패널유닛(300)의 개스킷(330)과 그와 이웃하는 패널유닛(300)의 개스킷(330)은 서로 대칭되며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접하는 한 쌍의 개스킷(330)은 클립(3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클립(340)은 어느 한 패널유닛(300)의 개스킷(330)과 그와 인접한 패널유닛(300)의 개스킷(330)에 끼워짐으로써 복수 개의 패널유닛(300)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클립(340)은 ‘ㄷ’자 형태일 수 있다. 즉, 클립(340)의 양단은 어느 한 개스킷(330)에 형성된 클립홈(331)과 그와 접하여 이웃하는 개스킷(330)에 형성된 클립홈(331)에 각각 삽입될 수 있고, 이로써 서로 이웃하고 인접한 패널유닛(300)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패널유닛(300)의 단턱(312)은 클립(340)의 양단 중 어느 하나와 함께 클립홈(33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단턱(312)은 클립홈(331)에 끼워져 쐐기의 기능을 수행하며 클립(3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클립(340)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클립(340´)은 제1클립(341)과 제2클립(34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클립(340´)은 어느 한 개스킷(330)과 그와 인접한 개스킷(330)을 연결하되 한 쌍의 개스킷(330) 사이에 배치되는 형태로 서로 인접한 패널유닛(30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클립(341)은 도 10의 클립(340)과 같이 ‘ㄷ’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개구측에서 패널유닛(300)의 폭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지지부재(미부호)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클립(341)의 ‘ㄷ’자형으로 형성된 양단은 클립홈(331)에 삽입될 수 있고, 지지부재는 서로 인접한 개스킷(330) 사이에서 개스킷(330)과 패널유닛(3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클립(342)은 도 10의 클립(340)과 같이 ‘ㄷ’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클립홈(331)에 패널유닛(300)의 단턱(312)과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칸막이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유리구간 20 : 도어구간 30 : 측벽구간
100 : 지지유닛 110 : 찬넬부 111 : 개구
112 : 베이스판 112a : 레벨링홈 113 : 측면판
114 : 레벨링받침대 114a : 관통공 115 : 지지판
116 : 레벨링볼트 120 : 프레임부 121 : 제1프레임부
121a : 유격홈 121b : 실링홈 121c : 탄성지지부재
121d : 연결체 122 : 제2프레임부 122a : 유격홈
122b : 실링홈 122c : 탄성지지부재 122d : 연결체
123 : 제2프레임본체 123a : 제1결합돌기 123b : 제2결합돌기
124 : 프레임캡 124a : 제3결합돌기 124b : 제4결합돌기
125 : 제3프레임부 126 : 제4프레임부 126a : 제1판
126b : 제2판 126c : 제3판 126d : 제4판
126e : 제5판 200 : 유리유닛 210 : 돌부
211 : 제1볼록면 212 : 제2볼록면 213 : 볼록중앙면
220, 220', 220" : 유리유닛조인트 221, 221', 221" : 오목홈
221a, 221a', 221a" : 제1오목면 221b, 221b', 221b" : 제2오목면
221c, 221c', 221c" : 오목중앙면 230 : 이격공간
300 : 패널유닛 310 : 스틸외장재 311 : 내부공간
312 : 단턱 320 : 패널내장재 330 : 개스킷
331 : 클립홈 340, 340' : 클립 341 : 제1클립
342 : 제2클립

Claims (11)

  1. 유리구간과 도어구간 및 측벽구간을 포함하고, 공간을 선택적으로 분할가능한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유리구간은,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 끼워지며 지지되는 유리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ㄷ’자형상으로 상기 유리유닛을 향하여 개구되고 일면이 상기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바닥 또는 천장을 가압하여 지지력을 확보하는 찬넬부; 및
    상기 찬넬부의 개구측에 마련고 상기 유리유닛이 적어도 일부 끼워져 지지되는 프레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찬넬부는,
    판체형상으로 상기 바닥 또는 천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구에 대하여 반대되는 측이 상기 바닥과 접하도록 중앙 어느 일부가 상기 개구를 향하여 오목한 레벨링홈이 형성된 베이스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바닥 또는 천장과 접하도록 상기 바닥 또는 천장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측면판;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측면판에 둘러쌓이고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베이스판과 접하도록 개구부가 상기 베이스판을 향하여 배치되는 레벨링받침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측면판에 둘러쌓이고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게 접하는 지지판; 및
    상기 레벨링받침대를 관통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지지되며 상기 레벨링받침대와 나사결합하고 회전함으로써 높낮이가 가변되는 레벨링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찬넬부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찬넬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프레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부는,
    상기 바닥과 천장 사이의 직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의 타단이 삽입되어 높낮이가 가변될 때 상기 측면판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유격이 형성되는 유격홈;
    상기 유리유닛의 끝단부의 측면과 접면하는 면에 형성되는 실링홈;
    상기 실링홈에 삽입되어 상기 유리유닛과 사이에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유리유닛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유리유닛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상기 유리유닛과의 직접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유리유닛을 보호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서로 연결되며 상기 유리유닛의 끝단이 거치되고 접면하며 지지되는 한 쌍의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부는,
    상기 연결체로부터 연장되고 제1 및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본체; 및
    상기 제1 및 제2결합돌기와 각각 서로 어긋나게 걸려 결합되는 제3결합돌기와 제4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2프레임본체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프레임캡;
    을 포함하는 조립식 칸막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유닛은 복수 개가 마련되고,
    복수 개의 유리유닛이 상호 연결되도록 배치시키는 유리유닛조인트;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칸막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유닛조인트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재질로 형성된 조립식 칸막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유닛조인트는,
    상기 유리유닛의 끝단이 배치되도록 상기 유리유닛의 끝단부와 대응되게 오목한 오목홈;
    을 포함하는 조립식 칸막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유닛은,
    끝단에 상기 오목홈에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볼록한 돌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렴되게 경사지는 제1 및 제2볼록면; 및
    상기 제1 및 제2볼록면 사이에 상기 유리유닛의 폭방향과 일치하게 평면으로 형성된 볼록중앙면;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목홈은,
    상기 제1 및 제2볼록면과 각각 대응하여 접하는 제1 및 제2오목면; 및
    상기 제1 및 제2볼록면 사이에 유리유닛의 폭방향과 일치하게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중앙면과 평행하게 이격되며 상기 볼록중앙면과 상기 제1 및 제2오목면과 함께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중앙면;
    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칸막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찬넬부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체의 하측에서 상기 유리유닛의 테두리를 향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칸막이.
  7. 유리구간과 도어구간 및 측벽구간을 포함하고, 공간을 선택적으로 분할가능한 조립식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측벽구간은,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 끼워지며 지지되는 패널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ㄷ’자형상으로 상기 패널유닛을 향하여 개구되고 일면이 상기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바닥 또는 천장을 가압하여 지지력을 확보하는 찬넬부;
    상기 찬넬부의 개구측에 마련고 상기 패널유닛이 적어도 일부 끼워져 지지되는 프레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찬넬부는,
    판체형상으로 상기 바닥 또는 천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구에 대하여 반대되는 측이 상기 바닥과 접하도록 중앙 어느 일부가 상기 개구를 향하여 오목한 레벨링홈이 형성된 베이스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바닥 또는 천장과 접하도록 상기 바닥 또는 천장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측면판;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측면판에 둘러쌓이고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베이스판과 접하도록 개구부가 상기 베이스판을 향하여 배치되는 레벨링받침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측면판에 둘러쌓이고 상기 프레임부에 지지되게 접하는 지지판; 및
    상기 레벨링받침대를 관통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지지되며 상기 레벨링받침대와 나사결합하고 회전함으로써 높낮이가 가변되는 레벨링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찬넬부의 개구부에 상기 찬넬부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과 적어도 일부 접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레벨링볼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면 상기 지지판의 가변되는 높낮이에 의해 높낮이가 가변되는 제3프레임부; 및
    상기 찬넬부의 개구부에 상기 제3프레임부의 외부에서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프레임부와 적어도 일부 접하며 상기 제3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패널유닛의 끝단부에 적어도 일부 삽입되어 상기 패널유닛의 끝단이 상기 패널유닛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단턱에 의해 이탈방지되는 제4프레임부;
    를 포함하며,
    제4프레임부는,
    상기 제3프레임부에 접하며 지지되는 제1판;
    상기 제1판으로부터 상기 제3프레임부를 외부에서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2판;
    상기 제2판으로부터 상기 제1판과 평행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단턱에 접하며 지지되고 이탈이 방지되는 제3판;
    상기 제3판으로부터 상기 제2판과 평행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패널유닛의 내면과 접하는 제4판; 및
    상기 제4판으로부터 상기 제1판 또는 제3판과 평행하도록 상기 패널유닛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패널유닛 내부의 내장재를 지지하는 제5판;
    을 포함하는 조립식 칸막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은,
    내부공간이 마련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스틸외장재; 및
    상기 스틸외장재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페이퍼 허니콤(paper honeycomb) 또는 록 울(rock wool)로 마련되는 패널내장재;
    를 포함하는 조립식 칸막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은 복수 개가 마련되고,
    어느 한 패널유닛의 상기 한 쌍의 스틸외장재 테두리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패널내장재를 보호하는 개스킷; 및
    어느 한 패널유닛의 개스킷과 그와 인접한 패널유닛의 개스킷에 끼워짐으로써 복수 개의 패널유닛을 상호 연결시키는 클립;
    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칸막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클립이 삽입되는 클립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ㄷ’자 형태로 양단이 상기 개스킷의 클립홈에 각각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개스킷을 결합시키는 조립식 칸막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외장재는,
    끝단이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절곡되고 상기 개스킷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
    을 포함하고,
    상기 단턱은 상기 클립의 양단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상기 클립홈에 끼워져 쐐기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클립의 이탈을 방지하는 조립식 칸막이.
KR1020220057309A 2022-05-10 2022-05-10 조립식 칸막이 KR10247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09A KR102474438B1 (ko) 2022-05-10 2022-05-10 조립식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309A KR102474438B1 (ko) 2022-05-10 2022-05-10 조립식 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438B1 true KR102474438B1 (ko) 2022-12-06

Family

ID=8440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309A KR102474438B1 (ko) 2022-05-10 2022-05-10 조립식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4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764Y1 (ko) * 2003-12-11 2004-03-22 광성판넬(주) 벽판넬 높이 조절장치
JP2009052241A (ja) * 2007-08-24 2009-03-12 Okamura Corp 間仕切り装置
KR100999651B1 (ko) 2008-10-02 2010-12-08 광건티앤씨(주) 건축용 칸막이 수평조절장치
KR101029151B1 (ko) * 2010-09-15 2011-04-15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칸막이 패널의 고정 프레임
KR20190105942A (ko) * 2018-03-07 2019-09-18 (주)혜덕 유리칸막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764Y1 (ko) * 2003-12-11 2004-03-22 광성판넬(주) 벽판넬 높이 조절장치
JP2009052241A (ja) * 2007-08-24 2009-03-12 Okamura Corp 間仕切り装置
KR100999651B1 (ko) 2008-10-02 2010-12-08 광건티앤씨(주) 건축용 칸막이 수평조절장치
KR101029151B1 (ko) * 2010-09-15 2011-04-15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칸막이 패널의 고정 프레임
KR20190105942A (ko) * 2018-03-07 2019-09-18 (주)혜덕 유리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84060A1 (en) Rigid foam building panel
RU2006145226A (ru) Кабина лифта и способ ее сборки
US20080121857A1 (en) Fence or the like
KR102474438B1 (ko) 조립식 칸막이
JP5862122B2 (ja) ガラス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725781B1 (ko)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돔 하우스
KR100951363B1 (ko) 파티션의 하부서포트
KR102423348B1 (ko) 아치형 지붕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지붕의 시공방법
JP5461375B2 (ja) 建具
JP2005343573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
JP3630094B2 (ja) ガラスパネルシステム
KR20070105547A (ko) 변속기 레버유닛의 노브 조립체
JP4804939B2 (ja)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KR101608441B1 (ko) 방음벽 프레임
KR200418415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결합체
KR200344628Y1 (ko) 건축용 패널
KR200319622Y1 (ko) 탄성 협지구를 갖는 파티션 본체지지부재
JP3225209U (ja) 組み立て式遮蔽構造物
KR101251556B1 (ko) 원터치조립이 가능한 방음용 하우징
KR101966260B1 (ko) 파형강판 연결부 채널 및 이를 이용한 파형강판 터널
KR20230131597A (ko) 판재 연결브래킷
JP5379968B2 (ja)
KR20170075967A (ko) 월 파티션 시스템
KR200163845Y1 (ko) 칸막이용 골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