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909B1 -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보강 조적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보강 조적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909B1
KR102473909B1 KR1020210137713A KR20210137713A KR102473909B1 KR 102473909 B1 KR102473909 B1 KR 102473909B1 KR 1020210137713 A KR1020210137713 A KR 1020210137713A KR 20210137713 A KR20210137713 A KR 20210137713A KR 102473909 B1 KR102473909 B1 KR 102473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layer
masonry wall
reinforcing
wall
mason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상
황정현
정은철
Original Assignee
(주)한국방재기술
한국내진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방재기술, 한국내진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한국방재기술
Priority to KR102021013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 슬래브와, 상기 바닥 슬래브의 위에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천장 슬래브와, 상기 천장 슬래브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보와,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상기 바닥 슬래브 및 상기 보에 직접 접촉하며 연결되는 조적벽부와, 상기 조적벽부의 제1 벽면에 형성되는 제1 미장층과, 상기 조적벽부의 제2 벽면에 형성되는 제2 미장층을 구비하는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을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상기 제1 미장층과 상기 제2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이 준비되는 벽면 정리 단계; 상기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에서 상기 제1 벽면에 제1 보강층이 형성되고 상기 상기 제2 벽면에 제2 보강층이 형성되어서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이 준비되는 보강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에서 상기 조적벽부를 지지하는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가 설치되는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1 보강층은 상기 제1 벽면에 하나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가 상기 제1 벽면에 부착되어서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이 상기 제1 벽면에 겹치게 부착되어서 형성되며, 상기 보강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2 보강층은 상기 제2 벽면에 하나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가 상기 제2 벽면에 부착되어서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이 상기 제2 벽면에 겹치게 부착되어서 형성되며, 상기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에서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벽면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벽면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며, 상기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에서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벽면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상기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벽면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는,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보강 조적벽 구조물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ING MASONRY WALL STRUCTURE AND REINFORCED MASONRY WALL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조적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기술에 관한 것이다.
조적벽은 벽돌, 석재, 블록 등의 조적재가 결합재인 모르타르로 점착되어 쌓여서 형성된 벽이다. 조적벽은 모르타라의 접착력으로 합체되어 있어 지진에 취약하고, 오랜 기간이 지나면 균열로 취성 거동이 일어나게 되고, 지진 발생시 쉽게 붕괴될 수 있다.
조적벽의 구조적 취약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적벽 보강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508751호에는 조적벽을 중심으로 양측 기둥에 고정 설치되는 앵글부재와, 양단이 각각 양측 기둥에 설치되는 두 앵글부재에 체결되며, 소정의 인장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보강강선을 포함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08751호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2015.04.08)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 슬래브와, 상기 바닥 슬래브의 위에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천장 슬래브와, 상기 천장 슬래브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보와,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상기 바닥 슬래브 및 상기 보에 직접 접촉하며 연결되는 조적벽부와, 상기 조적벽부의 제1 벽면에 형성되는 제1 미장층과, 상기 조적벽부의 제2 벽면에 형성되는 제2 미장층을 구비하는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을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상기 제1 미장층과 상기 제2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이 준비되는 벽면 정리 단계; 상기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에서 상기 제1 벽면에 제1 보강층이 형성되고 상기 상기 제2 벽면에 제2 보강층이 형성되어서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이 준비되는 보강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에서 상기 조적벽부를 지지하는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가 설치되는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1 보강층은 상기 제1 벽면에 하나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가 상기 제1 벽면에 부착되어서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이 상기 제1 벽면에 겹치게 부착되어서 형성되며, 상기 보강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2 보강층은 상기 제2 벽면에 하나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가 상기 제2 벽면에 부착되어서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이 상기 제2 벽면에 겹치게 부착되어서 형성되며, 상기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에서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벽면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벽면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며, 상기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에서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벽면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상기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벽면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는,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바닥 슬래브와, 상기 바닥 슬래브의 위에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천장 슬래브와,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상기 바닥 슬래브 및 천장 슬래브에 직접 접촉하며 연결되는 조적벽부와, 상기 조적벽부의 제1 벽면에 형성되는 제1 미장층과, 상기 조적벽부의 제2 벽면에 형성되는 제2 미장층을 구비하는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을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상기 제1 미장층과 상기 제2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이 준비되는 벽면 정리 단계; 상기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에서 상기 제1 벽면에 제1 보강층이 형성되고 상기 상기 제2 벽면에 제2 보강층이 형성되어서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이 준비되는 보강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에서 상기 조적벽부를 지지하는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가 설치되는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1 보강층은 상기 제1 벽면에 하나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가 상기 제1 벽면에 부착되어서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이 상기 제1 벽면에 겹치게 부착되어서 형성되며, 상기 보강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2 보강층은 상기 제2 벽면에 하나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가 상기 제2 벽면에 부착되어서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이 상기 제2 벽면에 겹치게 부착되어서 형성되며, 상기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에서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벽면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벽면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며, 상기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에서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벽면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상기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벽면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는,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바닥 슬래브; 상기 바닥 슬래브의 위에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천장 슬래브; 상기 천장 슬래브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보;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상기 바닥 슬래브 및 상기 보에 직접 접촉하며 연결되는 조적벽부; 상기 조적벽부의 제1 벽면에 형성되는 제1 보강층; 상기 조적벽부의 제2 벽면에 형성되는 제2 보강층; 상기 조적벽부를 위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보에 고정되어서 설치되는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조적벽부를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설치되는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층은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된 제1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노출되는 상기 제1 벽면에 부착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제1 보강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보강층은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된 제2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노출되는 상기 제2 벽면에 부착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제2 보강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며,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는, 보강 조적벽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바닥 슬래브; 상기 바닥 슬래브의 위에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천장 슬래브;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상기 바닥 슬래브 및 상기 천장 슬래브에 직접 접촉하며 연결되는 조적벽부; 상기 조적벽부의 제1 벽면에 형성되는 제1 보강층; 상기 조적벽부의 제2 벽면에 형성되는 제2 보강층; 상기 조적벽부를 위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설치되는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조적벽부를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설치되는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층은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된 제1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노출되는 상기 제1 벽면에 부착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제1 보강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보강층은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된 제2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노출되는 상기 제2 벽면에 부착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제2 보강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며,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는, 보강 조적벽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벽체에서 벽면에 형성된 미장이 제거된 상태에서 보강시트가 벽면에 부착되므로, 보강시트에 의한 벽체 강성 및 강도 증진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보강시트가 부착된 조적벽체의 상단과 하단이 지지 구조에 의해 결합되어서 추가적으로 지지되므로 조적벽체의 강성 및 강도 증진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시공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이 적용되는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에 도 1의 벽면 정리 단계가 수행된 후의 조적벽 구조물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의 조적벽 구조물에 도 1의 보강층 형성 단계가 수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보강층 형성 단계가 수행된 후의 조적벽 구조물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의 조적벽 구조물에 도 1의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가 수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가 수행된 후의 보강 조적벽 구조물에 대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된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시공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조적벽체에서 미장층이 제거되는 벽면 정리 단계(S10)와, 벽면 정리 단계(S10)가 수행되어서 미장층이 제거된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에 보강층이 형성되는 보강층 형성 단계(S20)와, 보강층 형성 단계(S20)가 수행되어서 보강층이 형성된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에 보강 지지 구조가 설치되는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S30)를 포함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이 적용되는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일 예가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10)은 바닥 슬래브(110)와, 바닥 슬래브(110)의 위에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천장 슬래브(120)와, 바닥 슬래브(110)와 천장 슬래브(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조적벽체(15)와, 조적벽체(15)와 천장 슬래브(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150)를 구비한다.
바닥 슬래브(110)는 판상으로서 수평으로 배치되고 대체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진다. 바닥 슬래브(110)로부터 조적벽체(15)가 위로 연장되어서 배치된다. 바닥 슬래브(110)는 조적벽체(15)의 하단과 접하여, 조적벽체(15)를 아래에서 지지한다.
천장 슬래브(120)는 판상으로서 수평으로 배치되고 바닥 슬래브(110)의 위에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천장 슬래브(120)와 바닥 슬래브(110)의 사이에 조적벽체(15)와 보(150)가 위치한다. 천장 슬래브(120)의 하면에는 보(150)가 접한다.
조적벽체(15)는 바닥 슬래브(110)와 천장 슬래브(120)의 사이에 위치하며 벽을 형성한다. 조적벽체(15)의 하단은 바닥 슬래브(110)와 접하고, 조적벽체(15)의 상단은 보(150)와 접한다. 조적벽체(15)는 조적벽부(130)와, 제1 미장층(16a)과, 제2 미장층(16b)를 구비한다.
조적벽부(130)는 벽돌과 같은 조적재(131)들이 쌓이고 모르타르와 같은 결합재로 접착되어서 형성된 벽이다. 조적벽부(130)는 서로 반대편을 향하는 제1 벽면(130a)과 제2 벽면(130b)을 제공한다.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와 제2 벽면(130b) 각각은 제1 미장층(16a)와 제2 미장층(16b)으로 덮인다.
제1 미장층(16a)은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을 덮도록 형성되고, 제2 미장층(16b)은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6b)을 덮도록 형성된다. 제1 미장층(16a)과 제2 미장층(16b)은 조적벽 구조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150)는 조적벽체(15)와 천장 슬래브(1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조적벽체(15)의 상단 및 천장 슬래브(120)의 하면과 접한다. 보(150)는 조적벽체(15)의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천장 슬래브(120)를 아래에서 지지한다. 보(150)는 직사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고, 조적벽체부(130)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가지며, 조적벽체(15)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보(150)의 양측이 조적벽체(130)의 두 벽면 바깥으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된다.
도 1에 도시된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의 벽면 정리 단계(S1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10)의 조적벽체(15)에서 제1 미장층(16a)과 제2 미장층(16b)이 제거된다. 도 3에는 벽면 정리 단계(S10)가 수행되어서 도 2에 도시된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10)에서 제1 미장층(16a)과 제2 미장층(16b)이 제거된 상태의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10')에서는 제1 미장층(도2의 16a)과 제2 미장층(도 2의 16b)이 제거되어서,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과 제2 벽면(130b)이 외부로 노출된다. 벽면 정리 단계(S10)에 의해 두 미장층(16a, 16b)이 제거되어서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10')이 형성된 후에 보강층 형성 단계(S20)가 수행된다.
보강층 형성 단계(S20)에서는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10`)에 보강시트가 부착되어서 보강층이 형성된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10`)에 보강층 형성 단계(S20)가 수행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강층 형성 단계(S20)에서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에 제1A 보강시트(131a)와 제2A 보강시트(133a)가 겹쳐지도록 차례대로 부착되고,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에 제1B 보강시트(131b)와 제2B 보강시트(133b)가 겹쳐지도록 차례대로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보강시트(131a, 133a, 131b, 133b)의 재질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또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와 같은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서, 섬유가 일방향으로 배향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4와 보강시트(131a, 133a, 131b, 133b)들이 부착된 후의 상태가 도시된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A 보강시트(131a)는 직사각형으로서,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에 접착체와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해 접착되어서 부착된다. 이때, 제1A 보강시트(131a)의 섬유는 조적벽부(130)의 폭방향인 수평방향으로 배향된다. 제1A 보강시트(131a)는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의 전체와, 보(150)에서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과 이어지는 제1 하면(152a)과 제1 측면(154a)의 전체와,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112)에서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과 이어지는 조적벽부(130)의 두께방향 일부 구간을 덮는다.
제2A 보강시트(133a)는 제1A 보강시트(131a)와 동일한 형태의 직사각형으로서, 조적벽부(130)에 부착된 제1A 보강시트(133a)에 접착제와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해 접착되어서 부착된다. 이때, 제2A 보강시트(133a)의 섬유는 조적벽부(130)의 높이방향인 수직방향으로 배항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A 보강시트(131a)의 섬유가 수평방향으로 배향되고 제2A 보강시트(133a)의 섬유가 수직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제1A 보강시트(131a)의 섬유가 수직방향으로 배향되고 제2A 보강시트(133a)의 섬유가 수평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는 제1A 보강시트(131a)의 섬유 배향과 제2A 보강시트(133a)의 섬유 배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1A 보강시트(131a)의 섬유 배향과 제2A 보강시트(133a)의 섬유 배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제2A 보강시트(133a)는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의 전체와, 보(150)에서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과 이어지는 제1 하면(152a)과 제1 측면(154a)의 전체와,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112)에서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과 이어지는 조적벽부(130)의 두께방향 일부 구간을 덮도록 제1A 보강시트(131a)의 위에 겹쳐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A 보강시트(133a)가 제1A 보강시트(131a)의 전체를 덮어서 제1A 보강시트(131a)가 노출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와는 달리 제2A 보강시트(133a)의 바깥으로 제1A 보강시트(131a)의 일부가 노출될 수도 있다.
제1A 보강시트(131a)와 제2A 보강시트(133a)는 조적벽부(130)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1 보강층(140a)을 형성한다.
제1B 보강시트(131b)는 직사각형으로서,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에 접착체와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해 접착되어서 부착된다. 이때, 제1B 보강시트(131b)의 섬유는 조적벽부(130)의 높이방향인 수직방향으로 배향된다. 제1B 보강시트(131b)는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의 전체와, 보(150)에서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과 이어지는 제2 하면(152a)과 제2 측면(154b)의 전체와,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112)에서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과 이어지는 조적벽부(130)의 두께방향 일부 구간을 덮는다.
제2B 보강시트(133b)는 제1B 보강시트(131b)와 동일한 형태의 직사각형으로서, 조적벽부(130)에 부착된 제1B 보강시트(133b)에 접착제와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해 접착되어서 부착된다. 이때, 제2b 보강시트(133a)의 섬유는 조적벽부(130)의 폭방향인 수평방향으로 배항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B 보강시트(131b)의 섬유가 수직방향으로 배향되고 제2B 보강시트(133b)의 섬유가 수평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제1B 보강시트(131b)의 섬유가 수평방향으로 배향되고 제2B 보강시트(133b)의 섬유가 수직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는 제1B 보강시트(131b)의 섬유 배향과 제2B 보강시트(133b)의 섬유 배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1B 보강시트(131b)의 섬유 배향과 제2B 보강시트(133b)의 섬유 배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제2B 보강시트(133b)는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의 전체와, 보(150)에서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과 이어지는 제2 하면(152b)과 제2 측면(154b)의 전체와,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112)에서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과 이어지는 조적벽부(130)의 두께방향 일부 구간을 덮도록 제1B 보강시트(131b)의 위에 겹쳐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B 보강시트(133b)가 제1B 보강시트(131b)의 전체를 제1B 보강시트(131b)가 노출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와는 달리 제2B 보강시트(133b)의 바깥으로 제1B 보강시트(131b)의 일부가 노출될 수도 있다.
제1B 보강시트(131b)와 제2B 보강시트(133b)는 조적벽부(130)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2 보강층(140b)을 형성한다.
보강층 형성 단계(S20)가 수행되어서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이 준비된 후에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S30)가 수행된다.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S30)에서는 보강층 형성 단계(S20)가 수행되어서 준비된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보강 지지 구조가 설치된다. 도 6에는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S30)가 수행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및 도 8에는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S30)가 수행된 후 완성된 보강 조적벽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S30)는 제1 상부 지지 부재(160a), 제2 상부 지지 부재(160b), 제1 하부 지지 부재(170a) 및 제2 하부 지지 부재(170b)가 설치되어서 수행된다. 제1 상부 지지 부재(160a), 제2 상부 지지 부재(160b), 제1 하부 지지 부재(170a) 및 제2 하부 지지 부재(170b)의 설치를 위하여 우선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180a)들,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180b)들, 복수개의 제1 하부 앵커 볼트(190a)들 및 복수개의 제2 하부 앵커 볼트(190b)들이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180a)들은 보(150)의 제1 측면(154a)에 돌출되도록 보(15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180a)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서 폭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보(150)의 제1 측면(154a)에 형성된 제1 보강층(140a)을 뚫고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180a)들에 대응하는 너트(181a)가 나사 결합되어서 제1 상부 지지 부재(160a)가 보(15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180b)들은 보(150)의 제2 측면(154b)에 돌출되도록 보(15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180b)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서 폭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보(150)의 제2 측면(154b)에 형성된 제2 보강층(140b)을 뚫고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180b)들에 대응하는 너트(181b)가 나사 결합되어서 제2 상부 지지 부재(160b)가 보(15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1 하부 앵커 볼트(190a)들은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에 인접하여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112)으로부터 위로 돌출되도록 바닥 슬래브(11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1 하부 앵커 볼트(190a)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서 폭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112)에 형성된 제1 보강층(140a)을 뚫고 위로 돌출된다. 복수개의 제1 하부 앵커 볼트(190a)들에 대응하는 너트(191a)가 나사 결합되어서 제1 하부 지지 부재(170a)가 바닥 슬래브(11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2 하부 앵커 볼트(190b)들은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에 인접하여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112)으로부터 위로 돌출되도록 바닥 슬래브(11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2 하부 앵커 볼트(190b)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서 폭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112)에 형성된 제2 보강층(140b)을 뚫고 위로 돌출된다. 복수개의 제2 하부 앵커 볼트(190b)들에 대응하는 너트(191b)가 나사 결합되어서 제2 하부 지지 부재(170b)가 바닥 슬래브(110)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제1 상부 지지 부재(160a)는 조적벽부(1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철재 앵글 부재로서, 제1 수평부(162a)와, 제1 수평부(162a)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A 수직부(164a)와, 제1 수평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1B 수직부(166a)를 구비한다. 제1 상부 지지 부재(160a)는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180a)들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너트(181a)에 의해 제1 보강층(140a)의 상단부를 덮도록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다. 제1 상부 지지 부재(160a)는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의 상단부와 보(150)의 제1 하면(152a)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상단 구석부(145a)를 덮도록 보(150)에 고정된다.
제1 수평부(162a)는 제1 상부 지지 부재(160a)가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보강층(140a)에서 보(150)의 제1 하면(152a)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1 수평부(162a)의 양측에 제1A 수직부(164a)와 제1B 수직부(166a)가 각각 연결된다.
제1A 수직부(164a)는 제1 수평부(162a)의 일측 단부로부터 아래로 제1 수평부(162a)와 직각을 이루면서 연장된다. 제1 상부 지지 부재(160a)가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보강층(140a)에서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1B 수직부(166a)는 제1 수평부(162a)의 타측 단부로부터 위로 제1 수평부(162a)와 직각을 이루면서 연장된다. 제1 상부 지지 부재(160a)가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보강층(140a)에서 보(150)의 제1 측면(154a)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1B 수직부(166a)에는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180a)들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 구멍(167a)들이 형성된다.
제2 상부 지지 부재(160b)는 조적벽부(1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철재 앵글 부재로서, 제2 수평부(162b)와, 제2 수평부(162b)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2A 수직부(164b)와, 제2 수평부(162b)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B 수직부(166b)를 구비한다. 제2 상부 지지 부재(160b)는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180b)들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너트(181b)에 의해 제2 보강층(140b)의 상단부를 덮도록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다. 제2 상부 지지 부재(160b)는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의 상단부와 보(150)의 제2 하면(152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상단 구석부(145b)를 덮도록 보(150)에 고정된다.
제2 수평부(162b)는 제2 상부 지지 부재(160b)가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보강층(140b)에서 보(150)의 제2 하면(152b)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2 수평부(162b)의 양측에 제2A 수직부(164b)와 제2B 수직부(166b)가 각각 연결된다.
제2A 수직부(164b)는 제2 수평부(162b)의 일측 단부로부터 아래로 제2 수평부(162b)와 직각을 이루면서 연장된다. 제2 상부 지지 부재(160b)가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보강층(140b)에서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2B 수직부(166b)는 제2 수평부(162b)의 타측 단부로부터 위로 제2 수평부(162b)와 직각을 이루면서 연장된다. 제2 상부 지지 부재(160b)가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보강층(140b)에서 보(150)의 제2 측면(154b)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2B 수직부(166b)에는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180b)들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 구멍(167b)들이 형성된다.
제1 하부 지지 부재(170a)는 조적벽부(1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ㄱ자형 철재 앵글 부재로서, 제1 수평부(172a)와, 제1 수평부(172a)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수직부(174a)를 구비한다. 제1 하부 지지 부재(170a)는 복수개의 제1 하부 앵커 볼트(190a)들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너트(191a)에 의해 제1 보강층(140a)의 하단부를 덮도록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다. 제1 하부 지지 부재(170a)는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의 하단부와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112)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바닥 구석부(147a)를 덮는다.
제1 수평부(172a)는 제1 하부 지지 부재(170a)가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보강층(140a)에서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112)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1 수평부(172a)의 일측에 제1 수직부(174a)가 연결된다. 제1 수평부(172a)에는 복수개의 제1 하부 앵커 볼트(190a)들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 구멍(175a)들이 형성된다.
제1 수직부(174a)는 제1 수평부(172a)의 일측 단부로부터 위로 제1 수평부(172a)와 직각을 이루면서 연장된다. 제1 하부 지지 부재(170a)가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보강층(140a)에서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2 하부 지지 부재(170b)는 조적벽부(1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ㄱ자형 철재 앵글 부재로서, 제2 수평부(172b)와, 제2 수평부(172b)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2 수직부(174b)를 구비한다. 제2 하부 지지 부재(170b)는 복수개의 제2 하부 앵커 볼트(190b)들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너트(191b)에 의해 제2 보강층(140b)의 하단부를 덮도록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다. 제2 하부 지지 부재(170b)는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의 하단부와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11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바닥 구석부(147b)를 덮는다.
제2 수평부(172b)는 제2 하부 지지 부재(170b)가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보강층(140b)에서 바닥 슬래브(110)의 상면(112)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2 수평부(172b)의 일측에 제2 수직부(174b)가 연결된다. 제2 수평부(172b)에는 복수개의 제2 하부 앵커 볼트(190b)들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 구멍(175b)들이 형성된다.
제2 수직부(174b)는 제2 수평부(172b)의 일측 단부로부터 위로 제2 수평부(172b)와 직각을 이루면서 연장된다. 제2 하부 지지 부재(170b)가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보강층(140b)에서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a)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160a, 160b) 및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170a, 170b)에 의해 조적벽부(130)가 지지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160a, 160b) 및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170a, 170b)가 제1, 제2 보강층(140a, 140b)과 면접촉하는 부분은 접착제가 적용되어서 접착될 수 있다.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S30)가 수행되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보강 조적벽 구조물(100)이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보강 조적벽 구조물(200)은 조적벽부(130)의 상단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상부 지지 부재(260)들과, 조적벽부(130)의 하단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하부 지지 부재(270)들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상부 지지 부재(260)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위치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부 지지 부재(160a, 160b)와 같은 방식으로 보(150)에 결합된다. 상부 지지 부재(26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부 지지 부재(160a, 160b)과 대체로 동일한 형태이다. 복수개의 하부 지지 부재(270)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위치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 지지 부재(170a, 170b)와 같은 방식으로 바닥 슬래브(110)에 결합된다. 하부 지지 부재(27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 지지 부재(170a, 170b)과 대체로 동일한 형태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강 조적벽 구조물(100)에서 바닥 슬래브(110), 천장 슬래브(120), 보(150) 및 제1, 제2 보강층(140a, 140b)의 구성이 도 9의 보강 조적벽 구조물(20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보강 조적벽 구조물(300)은 제1 상부 지지 부재(360a)와 제2 상부 지지 부재(360b)를 구비한다. 보(150)에는 제1 상부 지지 부재(360a)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 제1 상부 앵커 볼트(380a)들과 제2 상부 지지 부재(360b)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380b)들이 설치된다. 제1 보강층(340a)은 보(150)에서 제1 측면(154a)은 제외하고 제1 하면(152a)만 덮도록 형성되며, 제2 보강층(340b)은 보(150)에서 제2 측면(154b)은 제외하고 제2 하면(152b)만 덮도록 형성된다. 제1, 제2 보강층(340a, 340b)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제2 보강층(140a, 140b)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380a)들은 보(150)의 제1 하면(152a)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도록 보(15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380a)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서 폭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보(150)의 제1 하면(152a)에 형성된 제1 보강층(340a)을 뚫고 아래로 돌출된다.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380a)들에 대응하는 너트(381a)가 나사 결합되어서 제1 상부 지지 부재(360a)가 보(15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380b)들은 보(150)의 제2 하면(152b)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도록 보(15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380b)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서 폭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보(150)의 제2 하면(152b)에 형성된 제2 보강층(340b)을 뚫고 아래로 돌출된다.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380b)들에 대응하는 너트(381b)가 나사 결합되어서 제2 상부 지지 부재(360b)가 보(15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제1 상부 지지 부재(360a)는 조적벽부(1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ㄱ자형 철재 앵글 부재로서, 제1 수평부(362a)와, 제1 수평부(362a)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수직부(364a)를 구비한다. 제1 상부 지지 부재(360a)는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380a)들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너트(381a)에 의해 보(150)에 고정되어서 제1 보강층(340a)의 상단부를 덮는다.
제1 수평부(362a)는 제1 보강층(340a)에서 보(150)의 제1 하면(152a)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1 수평부(362a)의 일측에 제1 수직부(364a)가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수평부(362a)에는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380a)들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 구멍들이 형성된다.
제1 수직부(364a)는 제1 수평부(362a)의 일측 단부로부터 이래로 제1 수평부(362a)와 직각을 이루면서 연장된다. 제1 수직부(364a)는 제1 보강층(340a)에서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2 상부 지지 부재(360b)는 조적벽부(1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ㄱ자형 철재 앵글 부재로서, 제2 수평부(362b)와, 제2 수평부(362b)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2 수직부(364b)를 구비한다. 제2 상부 지지 부재(360b)는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380b)들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너트(381b)에 의해 보(150)에 고정되어서 제2 보강층(340b)의 상단부를 덮는다.
제2 수평부(362b)는 제2 보강층(340b)에서 보(150)의 제2 하면(152b)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2 수평부(362b)의 일측에 제2 수직부(364b)가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수평부(362b)에는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380b)들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 구멍들이 형성된다.
제2 수직부(364b)는 제2 수평부(362b)의 일측 단부로부터 이래로 제2 수평부(362b)와 직각을 이루면서 연장된다. 제2 수직부(364b)는 제2 보강층(340b)에서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보강 조적벽 구조물(400)은 조적벽부(130)의 상단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상부 지지 부재(460)들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상부 지지 부재(460)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위치하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부 지지 부재(360a, 360b)와 같은 방식으로 보(150)에 결합된다. 상부 지지 부재(46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부 지지 부재(360a, 360b)과 대체로 동일한 형태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보강 조적벽 구조물(500)은 조적벽부(130)에 대해 일측으로 편심되어서 위치하여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는 제1 측면(554a)을 구비하는 보(550)와,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과 보의 제1 측면(554a)을 덮는 제1 보강층(540a)과, 제1 보강층(540a)의 상부를 덮도록 보(550)에 결합되는 제1 상부 지지 부재(560a)를 구비한다.
보(550)는 조적벽(130)에 대해 일측으로 편심되어서 위치한다.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 및 제1 벽면(130a)과 동일한 쪽을 향하는 보(150)의 제1 측면(554a)은 연속으로 이어져서 하나의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제1 보강층(540a)은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과 보(150)의 제1 측면(554a)을 모두 덮도록 형성된다. 제1 보강층(540a)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보강층(140a)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550)에는 제1 상부 지지 부재(560a)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 제1 상부 앵커 볼트(580a)들이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580a)들은 보(550)의 제1 측면(554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보(55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580a)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서 폭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이격되어서 배치되며, 보(550)의 제1 측면(554a)에 형성된 제1 보강층(540a)을 뚫고 바깥으로 돌출된다.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580a)들에 대응하는 너트(581a)가 나사 결합되어서 제1 상부 지지 부재(560a)가 보(55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제1 상부 지지 부재(560a)는 조적벽부(1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평평한 철재 바아 형태이다. 제1 상부 지지 부재(560a)는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580a)들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너트(581a)에 의해 보(550)에 고정되어서 제1 보강층(540a)의 상단부를 덮는다. 제1 상부 지지 부재(560)는 제1 보강층(540a)에서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의 상부에 형성된 부분과 보(550)의 제1 측면(554a)에 형성된 부분을 함께 밀착하면서 덮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보강 조적벽 구조물(600)은 조적벽부(130)의 상단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상부 지지 부재(660)들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상부 지지 부재(660)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위치하며,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부 지지 부재(560a, 560b)와 같은 방식으로 보(550)에 결합된다. 상부 지지 부재(66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부 지지 부재(360a, 360b)과 대체로 동일한 형태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보강 조적벽 구조물(700)은 조적벽부(130)의 상단과 직접 접촉하는 천장 슬래브(720)와,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을 덮는 제1 보강층(740a)과,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을 덮는 제2 보강층(740b)과, 제1 보강층(740a)의 상단부를 덮도록 천장 슬래브(720)에 결합되는 제1 상부 지지 부재(760a)와, 제2 보강층(740b)의 상단부를 덮도록 천장 슬래브(720)에 결합되는 제2 상부 지지 부재(760b)를 구비한다.
천장 슬래브(720)는 조적벽부(130)의 상단과 직접 접촉한다. 천장 슬래브(720)에 제1 상부 지지 부재(760a)와 제2 상부 지지 부재(760b)가 고정된다. 천장 슬래브(720)에는 제1 상부 지지 부재(760a)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 제1 상부 앵커 볼트(780a)들과 제2 상부 지지 부재(760b)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780b)들이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780a)들은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에 인접하여 천장 슬래브(720)의 하면(722)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도록 천장 슬래브(72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780a)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서 폭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이격되어서 배치된다.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780a)들에 대응하는 너트(781a)가 나사 결합되어서 제1 상부 지지 부재(760a)가 천장 슬래브(72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780b)들은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에 인접하여 천장 슬래브(720)의 하면(722)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도록 천장 슬래브(720)에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780b)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서 폭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이격되어서 배치된다.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780b)들에 대응하는 너트(781b)가 나사 결합되어서 제2 상지 지지 부재(760b)가 천장 슬래브(720)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제1 보강층(740a)은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며, 제2 보강층(740b)은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제1, 제2 보강층(740a, 740b)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제2 보강층(140a, 140b)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 상부 지지 부재(760a)는 조적벽부(1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ㄱ자형 철재 앵글 부재로서, 제1 수평부(762a)와, 제1 수평부(762a)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수직부(764a)를 구비한다. 제1 상부 지지 부재(760a)는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780a)들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너트(781a)에 의해 천장 슬래브(720)에 고정되어서 제1 보강층(740a)의 상단부를 덮는다.
제1 수평부(762a)는 천장 슬래브(720)의 하면(722)과 밀착한다. 제1 수평부(762a)의 일측에 제1 수직부(764a)가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수평부(762a)에는 복수개의 제1 상부 앵커 볼트(780a)들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 구멍들이 형성된다.
제1 수직부(764a)는 제1 수평부(762a)의 일측 단부로부터 이래로 제1 수평부(762a)와 직각을 이루면서 연장된다. 제1 수직부(764a)는 제1 보강층(740a)에서 조적벽부(130)의 제1 벽면(130a)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제2 상부 지지 부재(760b)는 조적벽부(13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ㄱ자형 철재 앵글 부재로서, 제2 수평부(762b)와, 제2 수평부(762b)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2 수직부(764b)를 구비한다. 제2 상부 지지 부재(760b)는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780b)들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너트(381b)에 의해 천장 슬래브(720)에 고정되어서 제2 보강층(740b)의 상단부를 덮는다.
제2 수평부(762b)는 천장 슬래브(720)의 하면(722)과 밀착한다. 제2 수평부(762b)의 일측에 제2 수직부(764b)가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수평부(762b)에는 복수개의 제2 상부 앵커 볼트(780b)들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트 구멍들이 형성된다.
제2 수직부(764b)는 제2 수평부(762b)의 일측 단부로부터 이래로 제2 수평부(762b)와 직각을 이루면서 연장된다. 제2 수직부(764b)는 제2 보강층(740b)에서 조적벽부(130)의 제2 벽면(130b)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보강 조적벽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보강 조적벽 구조물(800)은 조적벽부(130)의 상단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상부 지지 부재(860)들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상부 지지 부재(860)들은 조적벽부(130)의 폭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위치하며,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부 지지 부재(760a, 760b)와 같은 방식으로 천상 슬래브(720)에 결합된다. 상부 지지 부재(86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부 지지 부재(760a, 760b)과 대체로 동일한 형태이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6a : 제1 미장층 16b : 제2 미장층
100 : 보강 조적벽 구조물 110 : 바닥 슬래브
120 : 천장 슬래브 130 : 조적벽부
131a, 133a, 131b, 133b : 보강시트 140a : 제1 보강층
140b : 제2 보강층 150 : 보
160a : 제1 상부 지지 부재 160b : 제2 상부 지지 부재
170a : 제1 하부 지지 부재 170b : 제2 하부 지지 부재
180a : 제1 상부 앵커 볼트 180b : 제2 상부 앵커 볼트
190a : 제1 하부 앵커 볼트 190b : 제2 하부 앵커 볼트

Claims (16)

  1. 바닥 슬래브와, 상기 바닥 슬래브의 위에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천장 슬래브와, 상기 천장 슬래브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보와,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상기 바닥 슬래브 및 상기 보에 직접 접촉하며 연결되는 조적벽부와, 상기 조적벽부의 제1 벽면에 형성되는 제1 미장층과, 상기 조적벽부의 제2 벽면에 형성되는 제2 미장층을 구비하는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을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상기 제1 미장층과 상기 제2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이 준비되는 벽면 정리 단계;
    상기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에서 상기 제1 벽면과 상기 제2 벽면 각각에 제1 보강층과 제2 보강층이 부착되어서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이 준비되는 보강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에서 상기 조적벽부를 지지하는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가 설치되는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1 보강층은 상기 제1 벽면과, 상기 보에서 상기 제1 벽면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제1 하면 및 제1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강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제2 보강층은 상기 제2 벽면과, 상기 보에서 상기 제2 벽면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제2 하면 및 제2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보강층과 상기 제2 보강층 각각은, 겹쳐진 복수 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보강시트는 섬유가 일방향을 따라 배향되는 구조이며,
    상기 복수 개의 보강시트들 각각은 접촉하는 다른 보강시트와 섬유 배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보강층에서 상기 제1 하면에 형성된 부분을 밀착하여 덮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1 보강층에서 상기 제1 벽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1A 수직부와, 상기 제1 수평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위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1 보강층에서 상기 제1 측면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1B 수직부를 구비하는 일체의 단일 구조체이며,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보강층에서 상기 제2 하면에 형성된 부분을 밀착하여 덮는 제2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2 보강층에서 상기 제2 벽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2A 수직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위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2 보강층에서 상기 제2 측면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2B 수직부를 구비하는 일체의 단일 구조체인,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보에 설치되는 상부 앵커 볼트에 의해 상기 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 슬래브에 설치되는 하부 앵커 볼트에 의해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는,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
  3. 바닥 슬래브와, 상기 바닥 슬래브의 위에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천장 슬래브와,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상기 바닥 슬래브 및 천장 슬래브에 직접 접촉하며 연결되는 조적벽부와, 상기 조적벽부의 제1 벽면에 형성되는 제1 미장층과, 상기 조적벽부의 제2 벽면에 형성되는 제2 미장층을 구비하는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을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상기 제1 미장층과 상기 제2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이 준비되는 벽면 정리 단계;
    상기 미장 제거 조적벽 구조물에서 상기 제1 벽면과 상기 제2 벽면 각각에 제1 보강층과 제2 보강층이 부착되어서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이 준비되는 보강층 형성 단계; 및
    상기 보강층 형성 조적벽 구조물에서 상기 조적벽부를 지지하는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가 설치되는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층과 상기 제2 보강층 각각은, 겹쳐진 복수 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보강시트는 섬유가 일방향을 따라 배향되는 구조이며,
    상기 복수 개의 보강시트들 각각은 접촉하는 다른 보강시트와 섬유 배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상기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에서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벽면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벽면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며,
    상기 보강 지지 구조 설치 단계에서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벽면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상기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벽면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며,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천장 슬래브의 하면과 밀착하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1 보강층에서 상기 제1 벽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1 수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천장 슬래브의 하면과 밀착하는 제2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2 보강층에서 상기 제2 벽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2 수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제2 수평부가 상기 천장 슬래브에 설치되는 상부 앵커 볼트와 결합되어서 상기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 슬래브에 설치되는 하부 앵커 볼트에 의해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는,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
  4. 삭제
  5. 삭제
  6. 바닥 슬래브;
    상기 바닥 슬래브의 위에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천장 슬래브;
    상기 천장 슬래브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보;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상기 바닥 슬래브 및 상기 보에 직접 접촉하며 연결되는 조적벽부;
    상기 조적벽부의 제1 벽면에 부착되어서 형성되는 제1 보강층;
    상기 조적벽부의 제2 벽면에 부착되어서 형성되는 제2 보강층;
    상기 조적벽부를 위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보에 고정되어서 설치되는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조적벽부를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설치되는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는 양측이 상기 조적벽부의 제1 벽면과 제2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보강층은 겹쳐진 복수 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을 구비하고,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된 제1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노출되는 상기 제1 벽면과, 상기 보에서 상기 제1 벽면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제1 하면 및 제1 측면을 덮으며,
    상기 제2 보강층은 겹쳐진 복수 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을 구비하고,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된 제2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노출되는 상기 제2 벽면과, 상기 보에서 상기 제2 벽면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제2 하면 및 제2 측면을 덮으며,
    상기 보강시트는 섬유가 일방향을 따라 배향되는 구조이며,
    상기 복수 개의 보강시트들 각각은 접촉하는 다른 보강시트와 섬유 배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보강층에서 상기 제1 하면에 형성된 부분을 밀착하여 덮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1 보강층에서 상기 제1 벽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1A 수직부와, 상기 제1 수평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위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1 보강층에서 상기 제1 측면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1B 수직부를 구비하는 일체의 단일 구조체이며,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보강층에서 상기 제2 하면에 형성된 부분을 밀착하여 덮는 제2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2 보강층에서 상기 제2 벽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2A 수직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위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2 보강층에서 상기 제2 측면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2B 수직부를 구비하는 일체의 단일 구조체인,
    보강 조적벽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보에 설치되는 상부 앵커 볼트에 의해 상기 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 슬래브에 설치되는 하부 앵커 볼트에 의해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는,
    보강 조적벽 구조물.
  8. 삭제
  9. 삭제
  10. 바닥 슬래브;
    상기 바닥 슬래브의 위에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천장 슬래브;
    상기 천장 슬래브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보;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상기 바닥 슬래브 및 상기 보에 직접 접촉하며 연결되는 조적벽부;
    상기 조적벽부의 제1 벽면에 부착되어서 형성되는 제1 보강층;
    상기 조적벽부의 제2 벽면에 부착되어서 형성되는 제2 보강층;
    상기 조적벽부를 위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보에 고정되어서 설치되는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조적벽부를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설치되는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는 양측이 상기 조적벽부의 제1 벽면과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타측이 상기 조적벽부의 제2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보강층은 겹쳐진 복수 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을 구비하고,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된 제1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노출되는 상기 제1 벽면과, 상기 보에서 상기 제1 벽면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제1 측면을 덮으며,
    상기 제2 보강층은 겹쳐진 복수 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을 구비하고,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된 제2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노출되는 상기 제2 벽면과, 상기 보에서 상기 제2 벽면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제2 하면 및 제2 측면을 덮으며,
    상기 보강시트는 섬유가 일방향을 따라 배향되는 구조이며,
    상기 복수 개의 보강시트들 각각은 접촉하는 다른 보강시트와 섬유 배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보강층에서 상기 제1 벽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부분과 상기 제1 측면에 형성되는 부분을 함께 밀착하면서 덮는 평평한 바아 형태이며,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보강층에서 상기 제2 하면에 형성된 부분을 밀착하여 덮는 제2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2 보강층에서 상기 제2 벽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2A 수직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위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2 보강층에서 상기 제2 측면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2B 수직부를 구비하는 일체의 단일 구조체인,
    보강 조적벽 구조물.
  11. 바닥 슬래브;
    상기 바닥 슬래브의 위에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천장 슬래브;
    높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상기 바닥 슬래브 및 상기 천장 슬래브에 직접 접촉하며 연결되는 조적벽부;
    상기 조적벽부의 제1 벽면에 부착되어서 형성되는 제1 보강층;
    상기 조적벽부의 제2 벽면에 부착되어서 형성되는 제2 보강층;
    상기 조적벽부를 위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설치되는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 및
    상기 조적벽부를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어서 설치되는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층은 겹쳐진 복수 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을 구비하고,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된 제1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노출되는 상기 제1 벽면을 덮으며,
    상기 제2 보강층은 겹쳐진 복수 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시트들을 구비하고, 보강 대상 조적벽 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된 제2 미장층이 제거되어서 노출되는 상기 제2 벽면을 덮으며,
    상기 보강시트는 섬유가 일방향을 따라 배향되는 구조이며,
    상기 복수 개의 보강시트들 각각은 접촉하는 다른 보강시트와 섬유 배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보강층의 상단부와 면접촉하며,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고,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보강층의 하단부와 면접촉하며,
    상기 제1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천장 슬래브의 하면과 밀착하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1 보강층에서 상기 제1 벽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1 수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천장 슬래브의 하면과 밀착하는 제2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2 보강층에서 상기 제2 벽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2 수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제2 수평부가 상기 천장 슬래브에 설치되는 상부 앵커 볼트와 결합되어서 상기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 슬래브에 설치되는 하부 앵커 볼트에 의해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되는,
    보강 조적벽 구조물.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6, 청구항 10 및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층의 하단부는 상기 바닥 슬래브에서 상기 제1 벽면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상면의 일부를 더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보강층의 하단부는 상기 바닥 슬래브서 상기 제2 벽면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상면의 일부를 더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보강층에서 상기 상면에 형성된 부분을 밀착하며 덮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위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1 보강층에서 상기 제1 벽면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1 수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부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보강층에서 상기 상면에 형성된 부분을 밀착하며 덮는 제2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위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2 보강층에서 상기 제2 벽면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부분을 밀착하면서 덮는 제2 수직부를 구비하는,
    보강 조적벽 구조물.
  15. 청구항 6, 청구항 10 및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상부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제2 하부 지지 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조적벽부의 폭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위치하는,
    보강 조적벽 구조물.
  16. 삭제
KR1020210137713A 2021-10-15 2021-10-15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보강 조적벽 구조물 KR102473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713A KR102473909B1 (ko) 2021-10-15 2021-10-15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보강 조적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713A KR102473909B1 (ko) 2021-10-15 2021-10-15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보강 조적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909B1 true KR102473909B1 (ko) 2022-12-06

Family

ID=8440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713A KR102473909B1 (ko) 2021-10-15 2021-10-15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보강 조적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9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872B1 (ko) * 2022-12-07 2023-11-29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시공성이 향상된 조적조 벽체의 내진 보강 공법 및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751B1 (ko) 2013-11-07 2015-04-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KR101657481B1 (ko) * 2015-11-17 2016-09-20 장극관 조적식 채움벽체의 내진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KR20190073298A (ko) * 2017-12-18 2019-06-26 (주)에이톰엔지니어링 기존 조적벽체의 합성 보강을 통해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구조 시스템
KR102307118B1 (ko) * 2021-04-28 2021-09-30 (주)한국방재기술 보강용 구조물을 이용한 비내력벽의 내진 보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751B1 (ko) 2013-11-07 2015-04-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KR101657481B1 (ko) * 2015-11-17 2016-09-20 장극관 조적식 채움벽체의 내진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KR20190073298A (ko) * 2017-12-18 2019-06-26 (주)에이톰엔지니어링 기존 조적벽체의 합성 보강을 통해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구조 시스템
KR102307118B1 (ko) * 2021-04-28 2021-09-30 (주)한국방재기술 보강용 구조물을 이용한 비내력벽의 내진 보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872B1 (ko) * 2022-12-07 2023-11-29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시공성이 향상된 조적조 벽체의 내진 보강 공법 및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0776B1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concrete member and reinforcing method
JP6754560B2 (ja) 耐力板部材
US8266862B2 (en) Prefabricated wall/floor panel
KR102473909B1 (ko) 조적벽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보강 조적벽 구조물
JP2019052424A (ja) PCa版の継手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70013011A (ko)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KR101293734B1 (ko) 조적조 건축물용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7197936A (ja) 壁ユニット、耐震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2019019504A (ja) フラットスラブ構造
JP419487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JP6964285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基礎スラブの配筋構造および鉄筋ユニットのセット
JP2016216899A (ja) 耐震壁構造
JP632538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JP2006348490A (ja) ブレースの取付構造
JP7010709B2 (ja) プレハブ構造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JP6871808B2 (ja) 補強材、補強構造
JP5282721B2 (ja) 剛床構造および剛床工法
JP6491454B2 (ja) スラブ形成用仮設構造体、及びスラブ形成用仮設構造体の構築方法
JP2021067052A (ja) 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5429856B2 (ja) 外壁据付方法
JP6797699B2 (ja) 補強パネル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JP483253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2397868B1 (ko) 프리캐스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패널의 연속화 시공에 의해 보강된 구조물 및 그 연속화 시공 방법
WO2017213019A1 (ja) 床構造及び床構造の施工方法
JP2022146651A (ja) 木質床版位置決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