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292B1 -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292B1
KR102473292B1 KR1020200154159A KR20200154159A KR102473292B1 KR 102473292 B1 KR102473292 B1 KR 102473292B1 KR 1020200154159 A KR1020200154159 A KR 1020200154159A KR 20200154159 A KR20200154159 A KR 20200154159A KR 102473292 B1 KR102473292 B1 KR 102473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ation
containers
shuttle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669A (ko
Inventor
김환성
김종원
백상훈
Original Assignee
부산항만공사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항만공사,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항만공사
Priority to KR102020015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2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20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forwarding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화물 컨테이너를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컨테이너 스테이션에 있어서,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구비되고,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주행가능하도록 구비된 주행 레일위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컨테이너 셔틀(10); 상기 레일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 셔틀(10)에 탑재된 컨테이너를 고정하여 소정의 위치로 상하역작업을 수행하는 스프레더(20); 지상으로부터 다단의 컨테이너가 적재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고, 컨테이너 승강용 리프트(180) 및 다단의 컨테이너를 적재가능한 버퍼(32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임시 스테이션(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자율주행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컨테이너 셔틀(10)을 이용하여, 물류의 상황에 따라 중앙서버(40)와의 통신으로 상기 컨테이너 스테이션으로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고, 트레일러도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으로 진입하여 상하역 작업을 수행한 시스템을 구비하여 물류이동 경로상에서 상하역작업 및 임시 물류저장기능까지 구비한 것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1)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 smart container station }
본 발명은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1)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항만에 구비된 컨테이너 하치장 및 별도의 컨테이너 저장을 위한 물류창고에서만 이루어지는 상하역 작업 및 컨테이너 보관 및 관리에 따른 각종 문제들을 해결하고, 물류 이송을 위한 주요 동선에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1) 설치함으로써 물류이송거리에 대한 효율성 확보 및 물류 보관 및 현황 파악이 가능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컨테이너, 특히 철도에 있어서의 컨테이너가 독일출원공개 DE 27 52 212 A1 로 알려져 있다. 독일출원공개에 의하면 화물조작장치는 기본적으로 크랩을 갖는 갠트리 크래인으로 구성되며, 크랩으로부터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마스트(a telescoping mast)가 구비된다. 상기 마스트는 세 개의 다단 접이식 구조이다. 상기 최상단 접이식 다단의 상단(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telescopic segment)은 상기 크랩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최하단 접이식 다단의 하단(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telescopic segment)은 C 형 프래임에 견고하게 매달리는 구조이다.
상부 수평 암(upper horizontal arms)과 하부 수평 암(lower horizontal arms)을 갖는 상기 C 형 프래임은 철도의 가공전선로(an overhead line) 하부의 하부 수평 암 측변(the lower horizontal arm sideways)으로부터 매달리는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승과 하강 방향으로 C 형 프래임과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을 이동하기 위하여, 드럼을 갖는 케이블은 상기 C 형프래임에 구비되고 상기 C 형 프래임으로부터 네 개의 케이블은 수평암의 상부에 구비되는 롤러를 케이블 구동하도록 한다.
컨테이너들을 스태킹하는 브릿지 크래인은 유럽특허 EP 1 365 984 B1에 알려져 있다. 상기 브릿지 크래인은 컨테이너 터미널 내측의 보관지역으로부터 또는 보관지역으로 컨테이너를 이동한다. 상기 브릿지 크래인은 크래인 거더를 가지며 상기 크래인 거더 폭을 입방형 보관지역의 스팬(spans)으로 한다. 상기 크래인 거더에서 크랩은 보관지역의 폭방향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크래인 거더는 크래인의 이동방향에서 구동기어(running gears)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크래인 거더로 횡단할 수 있고 보관지역의 길이방향으로 횡단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를 조작하기 위해, 마스트는 크랩에 구비되어 가이드되며 종축방향으로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상기 마스트는 박스 거더(a box girder)로 형성되고 적재기어(lifting gears)는 마스트의 상승과 하강 동작을 위한 크랩에 구비된다. 상기 마스트의 하단에서 컨테이너 방향의 포인팅이 조작되고 컨테이너의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 즉 스프레더(20)가 피벗에 의해 메달려진다. 상기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은 크랩에서 적재기어에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마스트는 상승과 하강 방향으로 직접 구동되고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과 케이블에 의해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크랩과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 사이의 견고한 마스트의 이용은, 상기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이 이동되고 케이블로부터 단일하게 메달려 있는 것과 달리 상기 컨테이너가 작은 스웨이 동작으로 조작될 수 있는 장점을 가져온다.
또한 철도와 도로 사이에서 컨테이너와 교환형 본체(swap bodies)의 조작을 위한 갠트리 크래인은 유럽특허 EP0 796 813 B1로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 갠트리 크래인의 일반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 크랩이 길이방향으로 크래인 거더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크래인 거더 상부는 갠트리 크래인의 이동방향에서 그리고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보이는 나머지 하나 후방의 두 개의 유압 피스톤 실린더 유닛 하나와 체결한다.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닛은 종축으로 형성되고 적재실린더와 피스톤 로드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적재실린더는 상기 크랩에 견고하게 체결되고 상기 크랩으로부터 시작하는 상기 피스톤 로드는 하방으로 연장할 수 있고 적재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상기 행어프래임(hanger frame)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는 직사각형 홀 연결수단(means of oblong hole connections)에 의해 크랩과 마주하고 스프레더(20) 프래임 형태의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은 메달려지는 구조이다.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직사각형 홀 연결에 의한 행어프래임의 연결은 피스톤 실린더 유닛과 컨테이너의 기울어진 위치의 동조 움직임의 차이를 동일화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상기 행어암과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은 두 개의 피스톤 실린더 유닛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약 500mm 까지 측면으로 오프셋되고 상기 컨테이너 또는 교환형 본체는 철도에서 갠트리 크래인에 의해 내려지거나 올려지고 동시에 가공전선로(an overhead guide wire)는 피스톤 로드에서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의 측변 오프셋 구조(the sideways offset arrangement)로 인해 하부에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철도에서 컨테이너를 조작하기 위한 또 다른 크래인 구조는 독일특허공개 DE 29 11 938 B2에 개시된다. 상기 크래인 구조는 갠트리 크래인으로 설계되며 적재방향과 하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마스트를 갖는 크랩을 포함한다.
상기 마스트의 하단에는 지브(a jib)가 구비되고 상기 지브는 상기 마스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측변으로 돌기한다. 상기 마스트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은 종방향 회전축을 따라 회전연결수단(means of a rotary connection)에 의해 메달려진다.
상기 마스트는 케이블 메카니즘(the cable mechanism)에 의해 상승되고 하강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마스트의 세 번째 하부 영역의 마스트에 결합된다. 상기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에 회전연결에 부가하여, 상기 크랩은 환형 구동트랙을 갖는 회전장치를 가지며 상기 트랙에서 회전식 프래임은 종축에 대하여 구동휠(16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마스트는 상기 회전프래임으로 부터 전기적으로 메달려지고 케이블 메카니즘(the cable mechanism)으로 회전한다. 상기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과 크래인 크랩의 영역의 이중의 회전기능 때문에 상기 가공전선로(an overhead guide wire) 내측 그리고 외측의 컨테이너를 스윙할 때 상기 컨테이너는 적재 또는 하역되는 철도차량에 균형을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독일 실용신안 DE 200 13 245 U1은 컨테이너 조작에 관한 메카니즘을 개시하며 하프 갠트리 크래인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스트는 크래인 크랩으로 서스팬드되고 상승과 하강 방향에서 종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마스트 하단에서 연결암이 구비되고 측변과 수평으로 돌기되며, 컨테이너와 화물을 위한 화물 서스펜션(170) 수단이 메달려지고 상기 컨테이너가 가공전선로 하부에서 철도차량에 내려지거나 올려진다. 한편 상기 마스트는 회전장치에 의해 크래인 크랩에 결합되며 상기 마스트가 어떻게 상승되고 하강되는지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 컨테이너를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컨테이너 스테이션에 있어서,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구비되고,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주행가능하도록 구비된 주행 레일위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컨테이너 셔틀(10); 상기 레일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 셔틀(10)에 탑재된 컨테이너를 고정하여 소정의 위치로 상하역작업을 수행하는 스프레더(20); 지상으로부터 다단의 컨테이너가 적재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고, 컨테이너 승강용 리프트(180) 및 다단의 컨테이너를 적재가능한 버퍼(32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임시 스테이션(30);을 포함하여 구비한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1)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화물 컨테이너를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컨테이너 스테이션에 있어서,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구비되고,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주행가능하도록 구비된 주행 레일위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컨테이너 셔틀(10); 상기 레일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 셔틀(10)에 탑재된 컨테이너를 고정하여 소정의 위치로 상하역작업을 수행하는 스프레더(20); 지상으로부터 다단의 컨테이너가 적재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고, 컨테이너 승강용 리프트(180) 및 다단의 컨테이너를 적재가능한 버퍼(32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임시 스테이션(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할 때, 자율주행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컨테이너 셔틀(10)을 이용하여, 물류의 상황에 따라 중앙서버(40)와의 통신으로 상기 컨테이너 스테이션으로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고, 트레일러도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으로 진입하여 상하역 작업을 수행한 시스템을 구비하여 물류이동 경로상에서 상하역작업 및 임시 물류저장기능까지 구비한 것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1)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은, 상기 주행 레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고,
다단의 컨테이너가 적재가능하도록 구획된 임시저장소(330)와, 상기 임시저장소(330)에 구비되고, 회동하여 컨테이너의 저면을 지지하거나 소정의 높이만큼 승강시키는 회전지지대(321)가 구비된 버퍼(320)와, 상기 버퍼(3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버퍼(320)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주행레일로 승강시키거나 상기 스프레더(20)가 하역한 컨테이너를 임시저장소(330)로 하강하여 하역하는 리프트와, 상기 주행 레일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 셔틀(10)을 충전작업을 수행 또는 대기하는 셔틀 대기소(340)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물동량 및 메인 물류시설의 상황에 맞추어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에서 상하역 작업 및 임시 물류저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는, 상기 임시저장소(330)의 일측에 구비되는 이동 레일부(31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컨테이너의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리프트에는 소정의 각도에 대해서 회동하여 컨테이너의 저면을 지지하는 회동 지지바(311)를 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레더(20)가 구비되고, 컨테이너와 고정결합 및 탈착가능한 화물홀더부(210), 상기 화물홀더부(210)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소정의 각도내에서 상기 화물홀더부(210)를 회동시키는 홀더구동부(220), 상기 홀더구동부(220) 일측과 결합하고, 중앙서버(40)부와 통신하여 홀더구동부(220))를 제어하는 메인바디(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레더(20)는 컨테이너를 상기 컨테이너 셔틀(10) 또는 트레일러에 대해서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거나,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으로 컨테이너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컨테이너를 외부로 이송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셔틀 대기소(340)는, 주행 레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셔틀이 충전하면서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컨테이너 셔틀(10)의 저면과 결합하여 충전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셔틀을 이동시키는 캐리어(34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는,\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의 소정의 공간의 진입하여 상기 리프트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저장소로 하역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트레일러는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의 소정의 공간의 진입하여 상기 리프트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저장소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상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레더(20)가 작업가능한 주행 레일의 양측에 구비되고, 주행레일을 통해서 진입하는 컨테이너 셔틀(10)에 적재된 컨테이너 저면으로 회동하여 소정의 높이만큼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는 리프팅 버퍼(2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중앙서버(40)는, 각 주행 레일, 상기 각 컨테이너 셔틀(10), 상기 임시저장소(330)에 적재된 컨네이터에 관한 정보, 상기 셔틀 대기소(340)에 충전 및 대기중인 컨테이너 셔틀(10)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합 및 관리하고, 물동량에 따라 물류이송에 관한 AI기술과 IOT기술을 접목하여 최적화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할 때, 항만에 구비된 컨테이너 하치장 및 별도의 컨테이너 저장을 위한 물류창고에서만 이루어지는 상하역 작업 및 컨테이너 보관 및 관리에 따른 각종 문제들을 해결하고, 물류 이송을 위한 주요 동선에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1) 설치함으로써 물류이송거리에 대한 효율성 확보 및 물류 보관 및 현황 파악에 획기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1)은 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상황에 따라 위치 이동 및 해체가 용이하여 관리 및 비용적인 면에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도 1 내지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의 전체 및 각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의 전체 및 각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 컨테이너를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컨테이너 스테이션에 있어서,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구비되고,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주행가능하도록 구비된 주행 레일위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컨테이너 셔틀(10); 상기 레일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 셔틀(10)에 탑재된 컨테이너를 고정하여 소정의 위치로 상하역작업을 수행하는 스프레더(20); 지상으로부터 다단의 컨테이너가 적재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고, 컨테이너 승강용 리프트(180) 및 다단의 컨테이너를 적재가능한 버퍼(32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임시 스테이션(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할 때, 자율주행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컨테이너 셔틀(10)을 이용하여, 물류의 상황에 따라 중앙서버(40)와의 통신으로 상기 컨테이너 스테이션으로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고, 트레일러도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으로 진입하여 상하역 작업을 수행한 시스템을 구비하여 물류이동 경로상에서 상하역작업 및 임시 물류저장기능까지 구비한 것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1)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1)은 물류가 이송되는 경로상에 위치하고, 양방향으로 컨테이너 등을 이송하는 물류 이송수단으로 상하역 작업이 가능하고, 임시 화물 저장공간까지 구비할뿐만 아니라, 자율 주행이 가능한 무인 컨테이너 셔틀(10)의 충전 및 대기가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1)은 지상으로 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고,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주행가능하도록 구비된 주행 레일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의 아래로는 일반 차량 및 운송용 트레일러 등이 통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레일 아래에서 주정차하여 상기 레일로부터 상하역 작업의 수행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주행 레일로는 컨테이너 셔틀(10)이 주행하고, 상기 컨테이너 셔틀(10)은 이송 대상물의 저면과 접촉하고 소정의 크기로 구비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부(150)에 저장된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하여 구동하는 구동휠(160); 상기 배터리부(150)의 충방전 상태를 감지하고, 입력된 주행경로에 따라 상기 구동회를 제어하고, 중앙서버(40)와 통신을 주고받는 제어부(120);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면에 구비되고, 주행시 적재된 이송 대상물의 위치를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가이드;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는 적재된 이송 대상물을 소정의 높이만큼 들어올리는 승강용 리프트;와 상기 본체부(100)의 주행경로상의 소정의 이격거리에 물체를 감지하는 주행경로 감지센서부;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본체는 소정의 면적크기를 가진 장방형으로 구비되고, 주행방향의 전후면에는 노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부와, 소정의 거리내에 노면의 상태 및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탐지하는 감지센서부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용 가이드는, 주행방향에 대해서 전후 방향에 구비되고, 소정의 면적을 가진 판형태의 이탈방지용 플레이트(130)와, 주행방향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주행시 컨네이너의 저면의 측면을 고정시켜주는 이탈방지용 보스(140)로 구비되고, 상기 이탈방지용 가이드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다가, 컨테이너 적재시 회동 또는 승강하여 이탈방지를 위한 위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00)의 주행방향에 대해서 폭은 대략 컨테이너의 폭 넓이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면에는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양측에 이탈방지용 플레이트(13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이탈방지용 플레이트(130)는 회동하여 본체부(100)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펼쳐졌다가 다시 소정의 위치로 정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의 주행방향에 대해서 양측면에선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장입되어 있다가 컨테이너가 장착되면 컨테이너의 저면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보스(140)가 추가로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과 상기 구동휠(160) 사이에는 주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서스펜션(170) 또는 충격흡수 댐퍼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은, 상기 주행 레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고, 주행 레일에서 부터 도로노면에까지 이어지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구비된다.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의 일측에는 컨테이너 트레일러가 출입하여 상하역 작업이 가능한 통로가 구비된다.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은 다단의 컨테이너가 적재가능하도록 구획된 임시저장소(330)와, 상기 임시저장소(330)에 구비되고, 회동하여 컨테이너의 저면을 지지하거나 소정의 높이만큼 승강시키는 회전지지대(321)가 구비된 버퍼(320)와, 상기 버퍼(3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버퍼(320)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주행레일로 승강시키거나 상기 스프레더(20)가 하역한 컨테이너를 임시저장소(330)로 하강하여 하역하는 리프트(310)와, 상기 주행 레일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 셔틀(10)을 충전작업을 수행 또는 대기하는 셔틀 대기소(3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임시 스테이션(30)을 이용하여 변화되는 물동량 및 메인 물류시설의 상황에 맞추어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에서 상하역 작업 및 임시 물류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임시 스테이션(30) 내부 공간에는 지상에서 부터 주행 레일까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구획되는 지주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부에는 상기 리프트(310)가 구비된다.
상기 리프트(310)는 상기 지주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이동 레일부(31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컨테이너의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리프트(310)에는 소정의 각도에 대해서 회동하여 컨테이너의 저면을 지지하는 회동 지지바(311)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으로 진입한 컨테이너 셔틀(10)에 실린 컨테이너를 스프레더(20)가 하역작업을 통해서 상기 임시 스테이션(30)내의 임시 저장소로 옮기면, 상기 리프트(310)가 이를 수령하여 소정의 장소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후, 해당 위치의 구비된 버퍼(320)는 회전지지대(321)를 동작시켜서 상기 리프트(310)가 하역하는 컨테이너를 수령하여 보관하게 된다. 리프트(310)가 상기 이동 레일부(312)를 따라 컨테이너를 수집하기 위해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동 지지바(311)가 상기 이동 레일부(312)와 수평방향으로 접힌상태가 되고, 컨테이너를 수령하여 이동하는 동안에는 수직방향인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레더(20)가 구비되고, 컨테이너와 고정결합 및 탈착가능한 화물홀더부(210), 상기 화물홀더부(210)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소정의 각도내에서 상기 화물홀더부(210)를 회동시키는 홀더구동부(220), 상기 홀더구동부(220) 일측과 결합하고, 중앙서버(40)부와 통신하여 홀더구동부(220)를 제어하는 메인바디(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레더(20)는 컨테이너를 상기 컨테이너 셔틀(10) 또는 트레일러에 대해서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거나,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으로 컨테이너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컨테이너를 외부로 이송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레더(20)는 상기 홀더구동부(220)의 제어를 통해서 직선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통해서 다양한 각도에서 컨테이너의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에 구비된 상기 셔틀 대기소(340)는, 주행 레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셔틀이 충전하면서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컨테이너 셔틀(10)의 저면과 결합하여 충전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셔틀을 이동시키는 캐리어(34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캐리어(341)는 상기 컨테이너 셔틀(10)의 저면에 위치하여, 충전작업을 수행하고 대기해야 하는 컨테이너 셔틀(10)을 소정의 임시 대기장소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임시 대기장소에 대기중인 컨테이너 셔틀(10)들은 충전상태 및 대기위치에 대한 정보를 중앙서버(40)로 해당 정보를 송신하고, 중앙서버(40)는 모든 정보를 취합하여 물동 상황에 따라 이동 및 작업신호를 송신하여 제어하게 된다.
한편,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는,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의 소정의 공간의 진입하여 상기 리프트(310)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저장소로 하역작업을 수행하고, 빈 트레일러는,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의 소정의 공간의 진입하여 상기 리프트(310)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저장소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상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스프레더(20)가 작업가능한 주행 레일의 양측에 구비되고, 주행레일을 통해서 진입하는 컨테이너 셔틀(10)에 적재된 컨테이너 저면으로 회동하여 소정의 높이만큼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는 리프팅 버퍼(2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서버(40)는, 각 주행 레일, 상기 각 컨테이너 셔틀(10), 상기 임시저장소(330)에 적재된 컨네이터에 관한 정보, 상기 셔틀 대기소(340)에 충전 및 대기중인 컨테이너 셔틀(10)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합 및 관리하고, 물동량에 따라 물류이송에 관한 AI기술과 IOT기술을 접목하여 최적화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할 때, 항만에 구비된 컨테이너 하치장 및 별도의 컨테이너 저장을 위한 물류창고에서만 이루어지는 상하역 작업 및 컨테이너 보관 및 관리에 따른 각종 문제들을 해결하고, 물류 이송을 위한 주요 동선에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1) 설치함으로써 물류이송거리에 대한 효율성 확보 및 물류 보관 및 현황 파악에 획기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1)은 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상황에 따라 위치 이동 및 해체가 용이하여 관리 및 비용적인 면에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1.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1) 10. 컨테이너 셔틀(10)
20. 스프레더(20) 30. 임시 스테이션(30)
40. 중앙서버(40) 100. 본체부(100)
180. 컨테이너 승강용 리프트 120. 제어부(120)
130. 이탈방지용 플레이트 140. 이탈방지용 보스(140)
150. 배터리부 160. 구동휠
170. 서스펜션 또는 댐퍼부 210. 화물홀더부
220. 홀더구동부 230. 메인바디
310. 리프트 320. 버퍼
330. 임시저장소 340. 셔틀 대기소
321. 회전지지대 312. 이동 레일부
311. 회동 지지바 341. 캐리어
240. 리프팅 버퍼 180. 컨테이너 승강용 리프트

Claims (9)

  1. 화물 컨테이너를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컨테이너 스테이션에 있어서,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구비되고,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주행가능하도록 구비된 주행 레일위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컨테이너 셔틀(10);
    상기 레일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 셔틀(10)에 탑재된 컨테이너를 고정하여 소정의 위치로 상하역작업을 수행하는 스프레더(20);
    지상으로부터 다단의 컨테이너가 적재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고, 리프트(310) 및 다단의 컨테이너를 적재가능한 버퍼(32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임시 스테이션(30);을 포함하여 구비되고,
    자율주행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컨테이너 셔틀(10)을 이용하여, 물류의 상황에 따라 중앙서버(40)와의 통신으로 상기 컨테이너 스테이션으로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임시 스테이션은 트레일러가 진입하면 상기 리프트 및 버퍼를 통해 물류이동 경로상에서 상하역 작업 및 임시 물류저장기능을 수행 가능하고,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은,
    상기 주행 레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고,
    다단의 컨테이너가 적재가능하도록 구획된 임시저장소(330)와,
    상기 임시저장소(330)에 구비되고, 회동하여 컨테이너의 저면을 지지하거나 소정의 높이만큼 승강시키는 회전지지대(321)가 구비된 버퍼(320)와,
    상기 버퍼(3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버퍼(320)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주행레일로 승강시키거나 상기 스프레더(20)가 하역한 컨테이너를 임시저장소(330)로 하강하여 하역하는 리프트(310)와,
    상기 주행 레일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 셔틀(10)을 충전작업을 수행 또는 대기하는 셔틀 대기소(340)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물동량 및 메인 물류시설의 상황에 맞추어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에서 상하역 작업 및 임시 물류저장을 수행하고,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레더(20)가 구비되고,
    컨테이너와 고정결합 및 탈착가능한 화물홀더부(210),
    상기 화물홀더부(210)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소정의 각도내에서 상기 화물홀더부(210)를 회동시키는 홀더구동부(220),
    상기 홀더구동부(220) 일측과 결합하고, 중앙서버(40)부와 통신하여 홀더구동부(220))를 제어하는 메인바디(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레더(20)는 컨테이너를 상기 컨테이너 셔틀(10) 또는 트레일러에 대해서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거나,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으로 컨테이너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컨테이너를 외부로 이송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310)는,
    상기 임시저장소(330)의 일측에 구비되는 이동 레일부(31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컨테이너의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리프트(310)에는 소정의 각도에 대해서 회동하여 컨테이너의 저면을 지지하는 회동 지지바(311)를 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대기소(340)는,
    주행 레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셔틀이 충전하면서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컨테이너 셔틀(10)의 저면과 결합하여 충전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셔틀을 이동시키는 캐리어(34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6. 제 1항에 있어서,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는,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의 소정의 공간의 진입하여 상기 리프트(310)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저장소로 하역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7. 제 1항에 있어서,
    트레일러는,
    상기 임시 스테이션(30)의 소정의 공간의 진입하여 상기 리프트(310)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저장소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상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20)가 작업가능한 주행 레일의 양측에 구비되고,
    주행레일을 통해서 진입하는 컨테이너 셔틀(10)에 적재된 컨테이너 저면으로 회동하여 소정의 높이만큼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는 리프팅 버퍼(2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40)는,
    각 주행 레일, 상기 각 컨테이너 셔틀(10), 상기 임시저장소(330)에 적재된 컨네이터에 관한 정보, 상기 셔틀 대기소(340)에 충전 및 대기중인 컨테이너 셔틀(10)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합 및 관리하고,
    물동량에 따라 물류이송에 관한 AI기술과 IOT기술을 접목하여 최적화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KR1020200154159A 2020-11-18 2020-11-18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KR102473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159A KR102473292B1 (ko) 2020-11-18 2020-11-18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159A KR102473292B1 (ko) 2020-11-18 2020-11-18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669A KR20220067669A (ko) 2022-05-25
KR102473292B1 true KR102473292B1 (ko) 2022-12-02

Family

ID=8179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159A KR102473292B1 (ko) 2020-11-18 2020-11-18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63037A (zh) * 2023-10-26 2023-12-22 上海新创达半导体设备技术有限公司 天车控制方法、控制系统、天车系统、服务器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818B1 (ko) * 2001-12-11 2010-07-16 파세코 코퍼레이션 버퍼 스트래들 크레인
JP2019077522A (ja) * 2017-10-23 2019-05-23 株式会社三井E&Sマシナリー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その運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092B1 (ko) * 2012-11-13 2014-09-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방법
PL3283418T3 (pl) * 2015-04-14 2019-11-29 Amova Gmbh Sposób i kontenerowe urządzenie przeładunkowe do wkładania i wyjmowania kontenerów w magazynach kontenerowy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818B1 (ko) * 2001-12-11 2010-07-16 파세코 코퍼레이션 버퍼 스트래들 크레인
JP2019077522A (ja) * 2017-10-23 2019-05-23 株式会社三井E&Sマシナリー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その運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669A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59822A (en) Container transloading installation
CN111137808A (zh) 搬运小车
WO2018076836A1 (zh) 一种空中轨道多式联运互通系统
US86517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standard cargo holders, especially ISO containers and swap bodies, between railways and roads
US4749328A (en) Auxiliary hoist grapple
US8517192B2 (en) Dual mast arrangement for a crane
WO2013169110A1 (en) Overhead crane, assembly of at least two overhead cranes, automated guided vehicle, and assembly thereof
RU20934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грузк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в форме транспортных упаковок
KR102473292B1 (ko) 스마트 컨테이너 스테이션
CN106029547A (zh) 一种设有集装箱中间存放区的堆垛起重机
KR101275401B1 (ko) 회전기구와 리프팅 프레임을 구성하는 브리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CN110606137B (zh) 一种集装箱式半挂车
CN113620172A (zh) 一种货运空铁集装箱提升中转装置及其方法
WO2021000339A1 (zh) 一种自动化集装箱堆场
JPH06502136A (ja) 家庭ゴミ等の収集装置
CN113998494A (zh) 一种延伸式装卸货装置及其卸货方法
CN212221792U (zh) 一种用于集装箱港口的输送装置
KR102273765B1 (ko) 스마트 컨테이너 셔틀 및 물류 시스템
JP3921285B2 (ja) コンテナ用立体自動倉庫
CN107082217A (zh) 一种双柱双台堆垛机立体库系统
CN113291689A (zh) 提升机及仓储系统
CN211643944U (zh) 一种用于集装箱港口的输送装置
CN210193314U (zh) 拣货车
JP6885556B1 (ja) 荷役装置
JPS61106321A (ja) 荷物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