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049B1 -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049B1
KR102473049B1 KR1020200100806A KR20200100806A KR102473049B1 KR 102473049 B1 KR102473049 B1 KR 102473049B1 KR 1020200100806 A KR1020200100806 A KR 1020200100806A KR 20200100806 A KR20200100806 A KR 20200100806A KR 102473049 B1 KR102473049 B1 KR 102473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ll plate
base plate
step memb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170A (ko
Inventor
김지동
박호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쳐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쳐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쳐그린
Priority to KR102020010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0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 장소로의 이동이나 그 설치가 간편하도록 하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수경 재배 장치의 밑판 구성인 베이스 플레이트의 규격(예: 길이, 폭)을 다양하게 제작한 후 그 다양하게 제작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수경 재배 장치의 규격을 정한 후 그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벽을 연결하는 각 측벽 플레이트의 배치 구조를 정한 상태에서 그 각각의 구성들을 설치 장소로 간편하게 이송한 후 해당 장소에서 그대로 조립하기만 하면 해당 수경 재배 장치가 완성되도록 하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의 특성상 규격을 줄이는 것에 한계가 있는 측벽 플레이트에 대해서는 그 몸체 내부를 속이 빈 상태로 공동화하는 구조로 개선함에 따라 설치 현장으로의 운반을 한층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of buildable type}
본 발명은 조립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설치 장소로의 이동이나 그 설치가 간편하도록 하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수경 재배 장치의 밑판 구성인 베이스 플레이트의 규격(예: 길이, 폭)을 다양하게 제작한 후 그 다양하게 제작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수경 재배 장치의 규격을 정한 후 그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벽을 연결하는 각 측벽 플레이트의 배치 구조를 정한 상태에서 그 각각의 구성들을 설치 장소로 간편하게 이송한 후 해당 장소에서 그대로 조립하기만 하면 해당 수경 재배 장치가 완성되도록 하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수경재배는 흙은 사용하지 않고 식물 필수 무기양분이 녹아있는 배양액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수경재배의 방식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보통 수경재배용 식물의 뿌리가 물에 잠겨있는 시간이나 그 잠기는 양에 따라 담액수경(DFT ; Deep Flow Technique)과 박막수경(NFT ; Nutrient Film Technique)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담액수경이나 박막수경 모두 수경재배용 뿌리가 목적하는 시간동안 물을 머금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물을 담아둘 수 있는 수조가 필요하다.
여기서, 수조는 그 폭도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지만 그 길이는 대략 몇십 미터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수조를 제작하는 과정은 밑판으로서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목적하는 규격에 맞게 가공하고 그 가공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세워져 연결됨에 따라 해당 수조에 물을 가둘 수 있는 4 변의 측벽 플레이트를 해당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절삭한 후 접착하는 가공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베이스 플레이트나 측벽 플레이트는 그 부피가 커서 설치 현장으로의 이동이 까다롭고 그 이동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4 변에 대해 각 측벽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용접 작업에 있어서도 수조의 기능상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각 측벽 플레이트가 세워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와 각 측벽 플레이트 간의 용접 지점이 많아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용접 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수조를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와 각 측벽 플레이트 간의 연결에 있어서 기구적인 보강을 통해 용접 위치를 줄이면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각 측벽 플레이트 간의 연결을 보강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구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 바디의 형태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각 측벽 플레이트 간의 기구적인 결합 구성을 보강함으로써 각 구성의 결합시 용접 개소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그 겹합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각 측벽 플레이트 간의 기구적인 결합 구성을 보강함에 따라 그 베이스 플레이트 규격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작은 부피의 각 구성들을 설치 현장으로 어렵지 않게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의 특성상 규격을 줄이는 것에 한계가 있는 특정 구성에 대해서는 그 중량을 낮추는 구조로 개선함에 따라 각 구성들을 설치 현장으로 어렵지 않게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지지 프레임에 거치된 상태로 수경재배용 식물에 제공하기 위해 수경재배용 양액을 자신의 내측에 담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 몸체의 하단부가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를 구비한 제 1 측벽 플레이트(110);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나란하게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 몸체의 하단부가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 쪽으로 돌출되는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를 구비한 제 2 측벽 플레이트(120);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 몸체의 하면 양측 부분에 자신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되어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와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가 각각 맞물려 끼워지는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와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를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에 대해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의 외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신 몸체와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 사이 부분에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에 대해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의 외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신 몸체와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 사이 부분에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의 상부에 대응하는 자신 몸체의 내측 중앙부가 빈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 1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의 상부에 대응하는 자신 몸체의 내측 중앙부가 빈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 2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가 동일면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기준으로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에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에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에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일측부가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에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타측부가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지지 프레임에 거치된 상태로 수경재배용 식물에 제공하기 위해 수경재배용 양액을 자신의 내측에 담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 몸체의 하단부가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를 구비하는 제 1 측벽 플레이트(110');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나란하게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 몸체의 하단부가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 쪽으로 돌출되는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를 구비하는 제 2 측벽 플레이트(120');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 몸체의 하면 양측 부분에 자신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되어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와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가 각각 맞물려 끼워지는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와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를 구비하며, 하나의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하나의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에 대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복수 개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도,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에 대해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의 외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신 몸체와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 사이 부분에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에 대해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의 외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신 몸체와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 사이 부분에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의 상부에 대응하는 자신 몸체의 내측 중앙부가 빈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 1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의 상부에 대응하는 자신 몸체의 내측 중앙부가 빈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 2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가 동일면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기준으로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에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에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에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일측부가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에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타측부가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단턱부재, 측벽 플레이트의 저면끼움 단턱부재 및 슬라이딩 슬롯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각 구성의 결합시 용접 개소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그 겹합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측벽 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용접 개소를 줄임에 따라 실질적인 이음새가 줄어들고 그에 따라 이음새에서의 녹조나 세균의 발생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단턱부재, 측벽 플레이트의 저면끼움 단턱부재 및 슬라이딩 슬롯부재를 구비하여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각 측벽 플레이트 간의 기구적인 결합 구성을 보강함에 따라 작은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운반한 후 설치 현장에서 결합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 운반이 기존에 비해 훨씬 쉬워졌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규격(예: 길이, 폭)을 다양하게 제작한 후 그 다양하게 제작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수경 재배 장치의 규격을 정하기 때문에 그 각각의 구성들을 설치 장소로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장소에서 그대로 조립하기만 하면 해당 수경 재배 장치가 완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의 특성상 규격을 줄이는 것에 한계가 있는 측벽 플레이트에 대해서는 그 몸체 내부를 속이 빈 상태로 공동화하는 구조로 개선함에 따라 설치 현장으로의 운반을 한층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서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4]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도 6]에서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에서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의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서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지지 프레임에 거치된 상태로 수경재배용 식물에 제공하기 위해 수경재배용 양액을 자신의 내측에 담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로서, 제 1 측벽 플레이트(110), 제 2 측벽 플레이트(120),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측벽 플레이트(110), 제 2 측벽 플레이트(120),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도 1]에서와 같이 상호 연결됨에 따라 물을 담을 수 있는 하나의 수조 바디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조 바디가 다단의 지지프레임(미도시)에 거치됨에 따라 다단의 수조 바디가 배치되는 수경 재배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명세서에서는 그 단일의 '수조 바디'에 대해서도 '수경 재배 장치'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2 측벽 플레이트(120), 제 3 측벽 플레이트(150), 제 4 측벽 플레이트(160)와 협동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테두리 부분에 수밀유지 되도록 세워져 배치됨에 따라 물을 담을 수 있는 [도 1]에서와 같은 하나의 수조 바디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를 구비할 수 있는데,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의 몸체 하단부가 그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배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나란하게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1 측벽 플레이트(110), 제 3 측벽 플레이트(150), 제 4 측벽 플레이트(160)와 협동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테두리 부분에 수밀유지 되도록 세워져 배치됨에 따라 물을 담을 수 있는 [도 1]에서와 같은 하나의 수조 바디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를 구비할 수 있는데,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몸체 하단부가 그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배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테두리부분에 제 1 측벽 플레이트(110), 제 2 측벽 플레이트(120), 제 3 측벽 플레이트(150), 제 4 측벽 플레이트(160)가 수밀유지 되도록 세워져 배치됨에 따라 물을 담을 수 있는 [도 1]에서와 같은 수조 바디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와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를 구비할 수 있는데,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와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몸체 하면 양측 부분에 그 베이스 플레이트(130)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지면에 안착된 상태의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대해 그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같은 지면에 안착된 상태의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제 2 측벽 플레이트(12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의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는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에 끼워져 결합되고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는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대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의 외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의 몸체와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 사이 부분에서 소정 깊이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대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의 외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몸체와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 사이 부분에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제 1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13)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제 2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제 1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13)는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의 상부에 대응하는 제 1 측벽 플레이트(110) 몸체의 내측 중앙부가 빈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23)는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의 상부에 대응하는 제 2 측벽 플레이트(120) 몸체의 내측 중앙부가 빈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수조 바디의 특성상 규격을 줄이는 것에 한계가 있는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에 대해서는 그 몸체 내부를 속이 빈 상태로 공동화하는 제 1,2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13, 123)을 구비함에 따라 수경 재배 장치의 설치 현장으로 개별 구성들을 운반하는 작업이 훨씬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2]와 [도 4]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가 동일면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기준으로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에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가 맞물리고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에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가 맞물리며, 이와 동시에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에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일측부가 끼워지고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에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타측부가 끼워질 수 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규격이 큰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지면에 그대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규격이 작은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를 각각 수평 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대한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의 기구적인 결합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제 1 거치 단턱부재(114)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제 2 거치 단턱부재(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제 1 거치 단턱부재(114)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서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중앙부 쪽으로 소정 깊이 하향하여 절개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거치 단턱부재(124)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상단부에서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중앙부 쪽으로 소정 깊이 하향하여 절개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거치 단턱부재(114)와 제 2 거치 단턱부재(124)에 대해 수경재배용 식물이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는 수경 베드(140)의 양단부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걸쳐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에서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지지 프레임에 거치된 상태로 수경재배용 식물에 제공하기 위해 수경재배용 양액을 자신의 내측에 담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로서, 제 1 측벽 플레이트(110'), 제 2 측벽 플레이트(120'),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측벽 플레이트(110'), 제 2 측벽 플레이트(120'),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도 6]에서와 같이 상호 연결됨에 따라 물을 담을 수 있는 하나의 수조 바디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조 바디가 다단의 지지프레임(미도시)에 거치됨에 따라 다단의 수조 바디가 배치되는 수경 재배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명세서에서는 그 단일의 '수조 바디'에 대해서도 '수경 재배 장치'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도 6]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2 측벽 플레이트(120'), 제 3 측벽 플레이트(150'), 제 4 측벽 플레이트(160')와 협동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테두리 부분에 수밀유지 되도록 세워져 배치됨에 따라 물을 담을 수 있는 [도 6]에서와 같은 하나의 수조 바디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를 구비할 수 있는데,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는 [도 7]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의 몸체 하단부가 그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배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도 6]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나란하게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1 측벽 플레이트(110'), 제 3 측벽 플레이트(150'), 제 4 측벽 플레이트(160')와 협동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테두리 부분에 수밀유지 되도록 세워져 배치됨에 따라 물을 담을 수 있는 [도 6]에서와 같은 하나의 수조 바디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를 구비할 수 있는데,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는 [도 7]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몸체 하단부가 그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배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도 6]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도 6]에서와 같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복수 개 배치됨에 따라 물을 담을 수 있는 [도 6]과 같은 수조 바디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도 6]에서와 같이 하나의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하나의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에 대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접합되도록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작은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통해 목적하는 규격의 수조 바디를 제작함에 따라 작은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운반한 후설치 현장에서 결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수경 재배 장치를 위한 수조 바디의 운반이 기존에 비해 훨씬 쉬워질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와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를 구비할 수 있는데,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와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는 [도 7]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몸체 하면 양측 부분에 그 베이스 플레이트(130')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7]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지면에 안착된 상태의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대해 그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같은 지면에 안착된 상태의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제 2 측벽 플레이트(12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도 7]와 [도 8]에서와 같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의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는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에 끼워져 결합되고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는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대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의 외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의 몸체와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 사이 부분에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대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의 외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몸체와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 사이 부분에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제 1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13')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제 2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제 1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13')는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의 상부에 대응하는 제 1 측벽 플레이트(110') 몸체의 내측 중앙부가 빈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23')는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의 상부에 대응하는 제 2 측벽 플레이트(120') 몸체의 내측 중앙부가 빈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수조 바디의 특성상 규격을 줄이는 것에 한계가 있는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에 대해서는 그 몸체 내부를 속이 빈 상태로 공동화하는 제 1,2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13', 123')을 구비함에 따라 수경 재배 장치의 설치 현장으로 개별 구성들을 운반하는 작업이 훨씬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2]와 [도 4]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가 동일면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기준으로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에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가 맞물리고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에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가 맞물리며, 이와 동시에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에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일측부가 끼워지고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에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타측부가 끼워질 수 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규격이 큰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지면에 그대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규격이 작은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를 각각 수평 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대한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의 기구적인 결합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제 1 거치 단턱부재(114)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제 2 거치 단턱부재(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제 1 거치 단턱부재(114')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서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중앙부 쪽으로 소정 깊이 하향하여 절개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거치 단턱부재(124')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상단부에서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중앙부 쪽으로 소정 깊이 하향 절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거치 단턱부재(114')와 제 2 거치 단턱부재(124')에 대해 수경재배용 식물이 상하방향으로 끼워지는 수경 베드(140')의 양단부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걸쳐질 수 있다.
110, 110' : 제 1 측벽 플레이트
111, 111' :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
112, 112' :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
113, 113' : 제 1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
113a, 113a' : 제 1 공동화 영역
114, 114' : 제 1 거치 단턱부재
120, 120' : 제 2 측벽 플레이트
121, 121' :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
122, 122' :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
123, 123' : 제 2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
123a, 123a' : 제 2 공동화 영역
124, 124' : 제 2 거치 단턱부재
130, 130' : 베이스 플레이트
131, 131' :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
132, 132' :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
140, 140' : 수경 베드
150, 150' : 제 3 측벽 플레이트
160, 160' : 제 4 측벽 플레이트

Claims (6)

  1. 지지 프레임에 거치된 상태로 수경재배용 식물에 제공하기 위해 수경재배용 양액을 자신의 내측에 담는 수조 바디를 형성하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 몸체의 하단부가 수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를 구비한 제 1 측벽 플레이트(110, 110');
    상기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나란하게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 몸체의 하단부가 수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를 구비한 제 2 측벽 플레이트(120, 120');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테두리 부분에 상기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 2 측벽 플레이트(120)가 수밀유지 되도록 세워져 배치되어 수조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자신 몸체의 하면 양측 부분에 자신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되어 상기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와 상기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가 각각 맞물려 끼워지는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와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를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130, 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측벽 플레이트(110)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에 대해 상기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단턱부재(131)의 외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신 몸체와 상기 제 1 저면끼움 단턱부재(111) 사이 부분에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
    상기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슬라이딩 슬롯부재(112)의 상부에 대응하는 자신 몸체의 내측 중앙부가 빈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 1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13);
    상기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중앙부 쪽으로 소정 깊이 하향하여 절개 형성되어 수경 베드(140)의 일단부가 상단에 걸쳐지도록 구성되는 제 1 거치 단턱부재(114);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측벽 플레이트(120)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에 대해 상기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슬라이딩 단턱부재(132)의 외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신 몸체와 상기 제 2 저면끼움 단턱부재(121) 사이 부분에서 소정 깊이 절개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
    상기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슬라이딩 슬롯부재(122)의 상부에 대응하는 자신 몸체의 내측 중앙부가 빈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제 2 내측 공동화 측벽부재(123);
    상기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상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중앙부 쪽으로 소정 깊이 하향하여 절개 형성되어 수경 베드(140)의 타단부가 상단에 걸쳐지도록 구성되는 제 2 거치 단턱부재(124);
    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상기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가 동일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향해 상기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상기 제 1,2 슬라이딩 단턱부재(131, 132)에 상기 제 1,2 저면끼움 단턱부재(111, 121)가 각각 맞물리고 상기 제 1,2 슬라이딩 슬롯부재(112, 122)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양측부가 각각 끼워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상기 제 1,2 측벽 플레이트(110, 120)가 기구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상기 제 1 측벽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 2 측벽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복수 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00806A 2020-08-11 2020-08-11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 KR102473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806A KR102473049B1 (ko) 2020-08-11 2020-08-11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806A KR102473049B1 (ko) 2020-08-11 2020-08-11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170A KR20220020170A (ko) 2022-02-18
KR102473049B1 true KR102473049B1 (ko) 2022-12-01

Family

ID=8049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806A KR102473049B1 (ko) 2020-08-11 2020-08-11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0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550B1 (ko) * 2015-08-28 2017-10-17 주식회사 대산정밀 식물 재배기
KR101877534B1 (ko) * 2016-10-28 2018-07-11 주종문 식물재배 베드 장착용 분무 수경 플랫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170A (ko)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1951A (en) Method in cultivation of plants and planting them, as well as mean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1113913B1 (ko) 공장형 식물재배시스템
US20170181394A1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US20140208647A1 (en) Tower Planter Growth Arrangement and Method
KR102514269B1 (ko) 캐리어 상에 배열되는 제거 가능한 측면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캐리어를 이용하는 식물의 재배를 위한 방법
US11498774B2 (en) Automated modular plant growing system
EP3957165A1 (en) Auxiliary root placement apparatus for hydroponic separate planting
KR102473049B1 (ko) 조립형 수경 재배 장치
KR101815608B1 (ko) 농작물재배용 베드
US20190230869A1 (en) System for Transporting Plant Clones
CN209768302U (zh) 种植设备
CN217336842U (zh) 一种自动气雾栽培种植系统
CN110679340B (zh) 一种便于取苗和运输的育苗秧盘
JP6541611B2 (ja) 水耕栽培棚
CN210202632U (zh) 一种农作物种植培训育苗设施
KR102291085B1 (ko) 식재틀
JP6946215B2 (ja) 水耕栽培装置の苗受部構造
CN109168763A (zh) 一种农业苗木种植用育苗装置
CN217160557U (zh) 一种方便移栽的蔬菜育苗盘
JP6661443B2 (ja) 植物栽培機
US20220151173A1 (en) Plant nursery and storage system for use in the growth of field-ready plants
CN220023677U (zh) 一种方便移栽的育苗盘
JP7115141B2 (ja) 装置、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方法
CN219961484U (zh) 一种农业大棚固定结构
CN217241782U (zh) 一种庭院葡萄栽培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