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031B1 -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 Google Patents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031B1
KR102473031B1 KR1020210046719A KR20210046719A KR102473031B1 KR 102473031 B1 KR102473031 B1 KR 102473031B1 KR 1020210046719 A KR1020210046719 A KR 1020210046719A KR 20210046719 A KR20210046719 A KR 20210046719A KR 102473031 B1 KR102473031 B1 KR 102473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tubular
line filter
ring
cor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931A (ko
Inventor
김용원
김용필
김동진
남성진
백철현
최부환
Original Assignee
(주) 트랜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트랜스온 filed Critical (주) 트랜스온
Priority to KR1020210046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03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40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퀘어 타입(SQ type) 라인 필터이면서도 트로이덜 라인 필터(troidal line filter)와 동일한 수준의 전기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보빈부에 코일을 자동 권선하여 완성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품 가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각링 형태로 형성되는 코어 부재; 상기 코어 부재의 평행하는 한 쌍의 로드부 각각에 구비되고, 두 부분으로 분할되며, 분할부 각각이 그 로드부에 독립적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보빈 부재; 상기 보빈 부재에 권선되는 코일 부재; 및 상기 코어 부재가 안착 고정되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SQ TYPE LINE FILTER HAVING IMPROVED ELECTRICAL PROPERTY}
본 발명은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퀘어 타입(SQ type) 라인 필터이면서도 트로이덜 라인 필터(troidal line filter)와 동일한 수준의 전기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보빈부에 코일을 자동 권선하여 완성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품 가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나 프린터 및 기타 전기, 전자기기에는 전원 공급장치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사용된다.
SMPS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컴퓨터, TV, VCR, 교환기, 무선 통신 기기 등 각종 전기, 전자기기에 맞도록 변환시켜 주는 모듈형의 전원공급장치로, 반도체 스위칭 특성을 이용해 상용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로 단속제어를 하고 출력을 안정화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SMPS에는 전자기 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개선을 위해 일반적으로 라인 필터(Line filter)가 구비된다. 라인 필터는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는 코일 부품으로, 종래의 SMPS에 구비되는 라인 필터는 일반적으로 환형이나 원형(toroidal or troidal type)의 라인 필터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전자기 간섭은 크게 전도성 전파(Conducted Emission)와 전파성 전파(Radiated Emission)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은 다시 차동모드의 전자기 간섭과 공통모드의 전자기 간섭으로 분류된다.
상기한 공통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전원 입력 라인 중 라이브(Live) 라인과 뉴트럴(Neutral) 라인에 각각 공통모드 라인 필터(쵸크 코일, Choke Coil)을 채용하고, 차동모드의 전자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차동모드 라인 필터(쵸크 코일)를 별도로 채용하여 한다.
그러나 종래의 라인 필터(쵸크 코일)는 도넛 형상의 코어에 절연 보빈을 조립하고, 보빈 상에 두 개의 코일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권선하기 때문에 자동 생산이 불가능하여 생산속도가 느리고, 이로 인해 제조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라인 필터는 통상 동선이 권취된 코일부와 보빈의 결합 안정성 확보를 위해 실리콘이나 에폭시를 이용한 본딩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숙련된 작업자가 직접 수행해야 하는 공정으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공정의 진행 시간이 상이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라인필터를 조립하기 위한 공정의 가동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는 결국 공정 투자비를 상승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라인필터는 라인필터의 조립시 대부분의 공정들이 작업자들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트로이덜 라인 필터(troidal line filter)를 대치 할 수 있으면서 자동화가 가능한 라인 필터인 스퀘어 타입(SQ TYPE)의 라인 필터가 개발 되었으나, 통상 스퀘어 타입의 라인 필터는 전기적 특성이 분할권선 방식을 채용하는 트로이덜 라인 필터에 미치지 못하여 실질적인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이에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의 기어 부분을 분할하여 코일을 권선하는 방법을 통하여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였으나, 이 역시 트로이덜 라인 필터를 대체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20788(2019.03.04.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46989(2015.05.04.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40612(2017.05.2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93878(2017.11.06.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퀘어 타입(SQ type)의 라인 필터이면서도 트로이덜 라인 필터(troidal line filter)와 동일한 수준의 전기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보빈부에 코일을 자동 권선하여 완성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품 가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사각링 형태로 형성되는 코어 부재; 상기 코어 부재의 평행하는 한 쌍의 로드부 각각에 구비되고, 두 부분으로 분할되며, 분할부 각각이 그 로드부에 독립적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보빈 부재; 상기 보빈 부재에 권선되는 코일 부재; 및 상기 코어 부재가 안착 고정되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빈 부재는, 상기 로드부의 일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1 관형 보빈, 및 상기 로드부의 타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2 관형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형 보빈과 제2 관형 보빈은 각각 관형부와, 상기 관형부의 양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플랜지부, 및 상기 연장 플랜지부 중 일측 연장 플랜지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제1 관형 보빈과 제2 관형 보빈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빈 부재는, 중앙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플랜지부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로드부에 구비되는 관형의 베이스 보빈과, 상기 연장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보빈의 일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1 관형 보빈, 및 상기 연장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보빈의 타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2 관형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보빈의 양단부에는 링형 결합 돌기 또는 링형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형 보빈의 일단부와 상기 제2 관형 보빈의 타단부에는 상기 링형 결함홈 또는 링형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보빈의 링형 결합 돌기나 링형 결합홈에 구비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제1 관형 보빈과 제2 관형 보빈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 보빈은 소정 직경을 갖는 관형부와, 상기 관형부의 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플랜지부, 및 상기 연장 플랜지부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관형 보빈은 관형부와, 상기 관형부의 타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플랜지부, 및 상기 연장 플랜지부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보빈과, 제1 관형 보빈, 및 제2 관형 보빈은 대칭되게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그 분할부 각각의 분할면에는 서로 요철 결합되거나 억지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빈 부재는, 상기 로드부의 일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1 관형 보빈, 및 상기 로드부의 타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관형 보빈의 타단부에 회전자재로 또는 고정되게 결합되는 제2 관형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제1 관형 보빈과 제2 관형 보빈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내측에 상기 코어 부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링형 지지 블록; 상기 링형 지지 블록의 대향하는 양측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핀; 및 상기 지지 블록의 대향하는 다른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PCB에 대한 역삽을 방지하는 위치 결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뛰어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코일을 보빈부를 자동 권선하여 완성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 단가를 최적화하여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PCB 역삽 방지 구조를 가져 조립성 향상과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를 상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를 배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구성되는 제1 실시 예의 보빈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구성되는 제1 실시 예의 보빈부재가 코어 부재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일부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구성되는 제2 실시 예의 보빈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서 제2 실시 예의 보빈 부재가 구비되는 경우의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구성되는 제3 실시 예의 보빈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포함되는 베이스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A)와 본 발명에 따른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B)에 대한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를 상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를 배부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구성되는 제1 실시 예의 보빈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구성되는 제1 실시 예의 보빈부재가 코어 부재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일부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코어 부재(100); 보빈 부재(200); 코일 부재(미도시); 및 베이스 부재(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코어 부재(100); 상기 코어 부재(100)의 평행하는 한 쌍의 로드부(제1 로드부)(110) 각각에 구비되고, 두 부분으로 분할되고 분할부 각각이 그 로드부(110)를 회전축으로 하여 독립적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보빈 부재(200); 상기 보빈 부재(200)에 권선되는 코일 부재(미도시); 및 상기 코어 부재(100)가 안착 고정되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 부재(100)는 사각링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보빈 부재(200)가 구비되는 부분은 그 보빈 부재(200)에 코일을 자동 권선 장치를 통해 권선할 때 원활하게 회전가능할 수 있게 원형 단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대향하는 부분은 원형 단면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코어 부재(100)는 평행하는 단면 원형의 제1 로드부(110), 및 상기 제1 로드부(110)의 양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일면(상면) 전체 또는 일부가 평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다각형 단면 형태의 제2 로드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2 로드부(120)는 그 상면 전체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빈 부재(200)는 코어 부재(100)의 한 쌍의 제1 로드부(110) 각각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데, 보빈 부재(20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하나의 보빈 부재(200)로 표현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나의 로드부에 구비되는 보빈 부재(200)는 두 부분 또는 두 개로 분할되고 분할부 각각이 그 로드부(110)를 회전축으로 하여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 부재(200)는 제1 실시 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드부(110)의 일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1 관형 보빈(211), 및 상기 로드부(110)의 타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2 관형 보빈(2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관형 보빈(211)과 제2 관형 보빈(212)은 각각 소정 직경을 갖는 관형부(213)과, 상기 관형부(213)의 양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플랜지부(214), 및 상기 연장 플랜지부(214) 중 일측 연장 플랜지부(213)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부(215)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 플랜지부(214) 중 하나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코일단부 가이드 절개부(216)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관형 보빈(211)과 제2 관형 보빈(212)은 대칭되게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그 분할부 각각의 분할면에는 서로 요철 결합되거나 억지끼움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는 결합 돌기(217)와 결합홈(218)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관형 보빈(211)과 제2 관형 보빈(212)은 분할된 각 분할부가 로드부(110)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어 완성된 보빈 부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양측 연장 플랜지부(214) 사이의 관형부(213)의 외면에는 코일 부재가 권선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코일단부 가이드 플랜지부(214)의 외면에는 슬릿(slit)형 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슬릿형 통로는 코일 단부(코일의 일단부)가 가이드되면서 보빈 부재(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2 실시 예의 보빈 부재(200)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구성되는 제2 실시 예의 보빈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서 제2 실시 예의 보빈 부재가 구비되는 경우의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빈 부재(200) 또한 하나의 로드부에 구비되는 보빈 부재가 두 개로 분할되며 분할부 각각이 그 로드부(110)를 회전축으로 하여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빈 부재(20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플랜지부(221)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로드부(제1 로드부)(110)에 구비되는 관형의 베이스 보빈(220)과, 상기 연장 플랜지부(221)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보빈(220)의 일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1 관형 보빈(230), 및 상기 연장 플랜지부(221)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보빈(220)의 타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2 관형 보빈(24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보빈(220)의 연장 플랜지부(221)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코일단부 가이드 절개부(2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보빈(220)의 양단부에는 반경반경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링형 결합 돌기(22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 돌기(223)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1 관형 보빈(230)과 제2 관형 보빈(240)의 내연에 형성되는 링형 결합홈(236, 246)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보빈(220)은 상기 로드부(110)에 회전자재로 구비되거나,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제1 관형 보빈(230)과 제2 관형 보빈(240)은 베이스 보빈(220)에 고정되게 구비되며, 후자의 경우, 제1 관형 보빈(230)과 제2 관형 보빈(240)은 베이스 보빈(220)에 회전자재로 구비된다.
즉, 상기 베이스 보빈(220)과 한 쌍의 관형 보빈(230, 240) 중 하나는 코어 부재(100)의 로드부(110)에 대하여 회전자재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코어 부재(100)의 로드부(110)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보빈(220)이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관형 보빈(230)과 제2 관형 보빈(240)은 베이스 보빈(220)에 고정되게 구성되며, 상기 코어 부재(100)의 로드부(110)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보빈(220)이 고정되게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관형 보빈(230)과 제2 관형 보빈(240) 각각은 베이스 보빈(220)에 회전자재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관형 보빈(230)은 소정 직경을 갖는 관형부(231)과, 상기 관형부(231)의 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플랜지부(232), 및 상기 연장 플랜지부(234)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부(2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관형 보빈(240)은 소정 직경을 갖는 관형부(241)과, 상기 관형부(241)의 타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플랜지부(242), 및 상기 연장 플랜지부(244)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부(24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관형 보빈(230)의 일단부 내연과 제2 관형 보빈(240)의 타단부 내연에는 각각 베이스 보빈(220)의 링형 결합 돌기(223)가 삽입되는 링형 결합홈(235, 245)이 형성된다.
상기 링형 결합 돌기(223)와 링형 결합홈(236, 246)은 서로 반대 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보빈(220)과, 제1 관형 보빈(230), 및 제2 관형 보빈(240)은 대칭되게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그 분할부 각각의 분할면에는 서로 요철 결합되거나 억지끼움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는 결합 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실시 예의 보빈 부재(200)는 베이스 보빈(220)의 분할된 각 분할부가 코어 부재(100)의 로드부(110)에 구비된 다음, 제1 관형 보빈(230)과 제2 관형 보빈(240)은 그 베이스 보빈(220)의 외측에 구비되게 된다.
상기 베이스 보빈(220)의 연장 플랜지부(221)를 기준으로 그 양측의 관형 보빈의 관형부의 외면에는 코일 부재가 권선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형 보빈(230, 240)의 연장 플랜지부(234, 244)의 외면에는 슬릿(slit)형 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슬릿형 통로는 코일 단부(코일의 일단부)가 가이드되면서 보빈 부재(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실시 예의 보빈 부재(200)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구성되는 제3 실시 예의 보빈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보빈 부재(200)는 하나의 로드부에 구비되는 보빈 부재가 두 개로 분할되며 분할부 각각이 그 로드부(110)를 회전축으로 하여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 예에 따른 보빈 부재(20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드부(110)의 일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1 관형 보빈(250), 및 상기 로드부(110)의 타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관형 보빈(250)의 타단부에 회전자재로 또는 고정되게 결합되는 제2 관형 보빈(26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관형 보빈(250)은 소정 직경을 갖는 관형부(251)과, 상기 관형부(251)의 양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플랜지부(252)와, 상기 연장 플랜지부(252) 중 일측 연장 플랜지부(252)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부(253), 및 상기 제2 관형 보빈(26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되게 구비되는 링형 결합 돌기(254)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 플랜지부(25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코일단부 가이드 절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관형 보빈(260)은 소정 직경을 갖는 관형부(261)과, 상기 관형부(261)의 양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플랜지부(262)와, 상기 연장 플랜지부(262) 중 일측 연장 플랜지부(262)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부(263), 및 상기 제1 관형 보빈(25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링형 결합 돌기(254)에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되게 구비되는 링형 결합홈(264)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 플랜지부(26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의 코일단부 가이드 절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관형 보빈(250)에 형성되는 링형 결합 돌기(254)와 제2 관형 보빈(260)에 형성되는 링형 결합홈(264)은 서로 반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형 보빈(250)과 제2 관형 보빈(260)은 대칭되게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그 분할부 각각의 분할면에는 서로 요철 결합되거나 억지끼움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는 결합 돌기(255)와 결합홈(265)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관형 보빈(250)과 제2 관형 보빈(260)은 분할된 각 분할부가 로드부(110)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어 완성된 보빈 부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 관형 보빈(250)과 제2 관형 보빈(260)이 마주하는 연장 플랜지부(252, 262)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71)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 플랜지부(252, 262)의 반경방향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돌출부(27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271)의 외측에는 슬릿(slit)형 통로(272)가 형성되며 이 슬릿형 통로(272)는 코일 단부(코일의 일단부)가 가이드되면서 보빈 부재(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 예에 따른 보빈 부재(200)에서 슬릿형 통로 내측에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는 보빈 부재(200)의 둘레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보빈 부재(200)의 길이방향 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보빈 부재(200)의 둘레방향과 길이방향 모두 돌출되는 둘 이상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돌기는 상기 슬릿형 통로를 통해 가이드되는 부분(권선 단부)을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그 권선 단부에서 느슨함이나 들뜸이 발생하여 치밀한 권선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 권선 시작 단부에서 코일단부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코일 부재는 보빈 부재(200)의 제1 관형 보빈과 제2 관형 보빈에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 부재는 한 가닥의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 가닥을 꼬아 형성한 연선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일 부재의 코일 단부는 아래 설명되는 베이스 부재(300)의 연결핀에 전기-물리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코일 부재는 자동 권취 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형 보빈과 제2 관형 보빈 각각에 권선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자동 권취 설비를 이용하여 제1 관형 보빈과 제2 관형 보빈에 코일 부재를 자동 권선함으로써 제작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코일 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함으로써 임피던스(impendance) 대역폭을 기존 대비 더욱 폭넓게 설계할 수 있음을 테스트(후술됨)를 통해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300)는 내측에 상기 코어 부재(10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링형 지지 블록(310)과, 상기 지지 블록(310)의 대향하는 양측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핀(320), 및 상기 지지 블록(310)의 대향하는 다른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PCB에 대한 역삽을 방지하는 위치 결정 돌기(330)를 포함한다.
상기 링형 지지 블록(310)의 대향하는 블록부 내측에는 코어 부재(100)(코어 부재(100)의 제2 로드부(120))가 안착되는 안착홈(31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11)에 안착되는 코어 부재(100)는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코어 부재(100)가 안착홈(311)에 안착 고정되는 경우, 코어 부재(100)의 로드부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형 지지 블록(310)의 대향하는 블록부(코어 부재의 제1 로드부(110)와 평행하는 측의 블록부)의 외면에는 인출되는 코일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링형 지지 블록(310)에는 그 링형 지지 블록(310)에 코어 부재(100)가 안착될 시 한 쌍의 보빈 부재(200)을 구획하는 구획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획벽은 보빈 부재(200)에 권선된 코일들 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핀(320)은 링형 지지 블록(310)의 하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각각의 보빈 부재(200)에 권선되는 와이어의 스타트 단부(start end portion)를 결선 및 쇼트(short)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베이스 부재(300)는 상기 코어 부재(100)가 베이스 부재(3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된 코어 부재(100)를 베이스 부재(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코어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고정 수단은, 상기 링형 지지 블록(310)의 대향하는 두 블록부(코어부재(100)의 제2 로드부(120)와 평행하는 측의 블록부) 각각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편, 및 상기 연장편의 연장단에 형성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편의 연장 길이는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코어 부재(100)의 제2 로드부(120)의 상면에 탄성 걸림되도록 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장편은 둘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코어 부재(100)의 제2 로드부(120)를 복수 개소에서 걸림 고정시킴으로써 코어 부재(100)와 베이스 부재(200) 간에 보다 확실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코어 고정 수단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안착홈(311)에 안착되는 코어 부재(100)를 고정시키는 에폭시 등의 접착제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포함되는 베이스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는,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상기한 일 실시 예의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와 다르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의 베이스 부재(300)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에 코어 부재(10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링형 지지 블록(310)과, 상기 지지 블록(310)의 대향하는 양측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핀(320), 및 상기 링형 지지 블록(310) 중앙부를 가로질러 형성되고, 그 링형 지지 블록(310)에 코어 부재(100)가 안착될 시 한 쌍의 보빈 부재(200)을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구획벽(340)을 포함한다.
상기 링형 지지 블록(310)의 대향하는 블록부 내측에는 코어 부재(100)(코어 부재(100)의 제2 로드부(120))가 안착되는 안착홈(31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11)에 안착되는 코어 부재(100)는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코어 부재(100)가 안착홈(311)에 안착 고정되는 경우, 코어 부재(100)의 로드부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320)은 링형 지지 블록(310)의 하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각각의 보빈 부재(200)에 권선되는 와이어의 스타트 단부(start end portion)를 결선 및 쇼트(short)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링형 지지 블록(310)의 대향하는 블록부(코어 부재의 제1 로드부(110)와 평행하는 측의 블록부)의 외면에는 인출되는 코일단부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340)은 보빈 부재(200)에 권선된 코일들 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 예의 베이스 부재는 상기 지지 블록(310)의 대향하는 다른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PCB에 대한 역삽을 방지하는 위치 결정 돌기, 및 상기 코어 부재(100)가 베이스 부재(3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된 코어 부재(100)를 베이스 부재(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코어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고정 수단은, 상기 링형 지지 블록(310)의 대향하는 두 블록부(코어부재(100)의 제2 로드부(120)와 평행하는 측의 블록부) 각각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편, 및 상기 연장편의 연장단에 형성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편의 연장 길이는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코어 부재(100)의 제2 로드부(120)의 상면에 탄성 걸림되도록 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장편은 둘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코어 부재(100)의 제2 로드부(120)를 복수 개소에서 걸림 고정시킴으로써 코어 부재(100)와 베이스 부재(200) 간에 보다 확실하게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코어 고정 수단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안착홈(311)에 안착되는 코어 부재(100)를 고정시키는 에폭시 등의 접착제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와 종래 스퀘어타입 라인 필터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테스트하였다.
도 11은 종래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A)와 본 발명에 따른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B)에 대한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에서 종래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는 일체형 보빈 구조와 동일 권선 방향의 코일 부재를 갖는 것으로, 테스트 결과 종래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A)의 경우, 임피던스의 피크주파수가 약 173KHz이며, 본 발명의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는 약 375KHz의 피크주파수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임피던스 대역폭을 종래에 비하여 더욱 폭넓게 설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에 의하면, 뛰어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를 제공할 수 있고, 코일을 자동 권선하여 완성할 수 있어 생산 효율 향상 및 제품 단가 최적화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PCB 역삽 방지 구조를 가져 조립성 향상과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코어 부재
110: 제1 로드부
120: 제2 로드부
200: 보빈 부재
211, 230, 250: 제1 관형 보빈
212, 240, 260: 제2 관형 보빈
213, 231, 241, 261: 관형부
214, 221, 232, 242, 252, 262: 연장 플랜지부
215, 233, 243, 253, 263: 기어부
216, 222: 코일단부 가이드 절개부
217, 255: 결합 돌기
218, 265: 결합홈
223, 255: 링형 결합 돌기
235, 245, 265: 링형 결합홈
220: 베이스 보빈
271: 돌출부
272: 슬릿형 통로
300: 베이스 부재
310: 링형 지지 블록
311: 안착홈
312: 가이드부
320: 연결핀
330: 위치 결정 돌기
340: 구획벽

Claims (6)

  1. 사각 또는 다각 링 형태로 형성되는 코어 부재;
    상기 코어 부재의 평행하는 한 쌍의 로드부 각각에 구비되고, 두 부분으로 분할되며, 분할부 각각이 그 로드부에 독립적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보빈 부재;
    상기 보빈 부재에 권선되는 코일 부재; 및
    상기 코어 부재가 안착 고정되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 부재는, 상기 로드부의 일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1 관형 보빈, 및 상기 로드부의 타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2 관형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형 보빈과 제2 관형 보빈은 각각 관형부와, 상기 관형부의 양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플랜지부, 및 상기 연장 플랜지부 중 일측 연장 플랜지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제1 관형 보빈과 제2 관형 보빈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2. 삭제
  3. 사각 또는 다각 링 형태로 형성되는 코어 부재;
    상기 코어 부재의 평행하는 한 쌍의 로드부 각각에 구비되고, 두 부분으로 분할되며, 분할부 각각이 그 로드부에 독립적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보빈 부재;
    상기 보빈 부재에 권선되는 코일 부재; 및
    상기 코어 부재가 안착 고정되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 부재는, 중앙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 플랜지부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로드부에 구비되는 관형의 베이스 보빈과, 상기 연장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보빈의 일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1 관형 보빈, 및 상기 연장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보빈의 타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2 관형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보빈의 양단부에는 링형 결합 돌기 또는 링형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형 보빈의 일단부와 상기 제2 관형 보빈의 타단부에는 상기 링형 결합홈 또는 링형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보빈의 링형 결합 돌기나 링형 결합홈에 구비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제1 관형 보빈과 제2 관형 보빈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 보빈은 소정 직경을 갖는 관형부와, 상기 관형부의 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플랜지부, 및 상기 연장 플랜지부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관형 보빈은 관형부와, 상기 관형부의 타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 플랜지부, 및 상기 연장 플랜지부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보빈과, 제1 관형 보빈, 및 제2 관형 보빈은 대칭되게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그 분할부 각각의 분할면에는 서로 요철 결합되거나 억지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5. 사각 또는 다각 링 형태로 형성되는 코어 부재;
    상기 코어 부재의 평행하는 한 쌍의 로드부 각각에 구비되고, 두 부분으로 분할되며, 분할부 각각이 그 로드부에 독립적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보빈 부재;
    상기 보빈 부재에 권선되는 코일 부재; 및
    상기 코어 부재가 안착 고정되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 부재는, 상기 로드부의 일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는 제1 관형 보빈, 및 상기 로드부의 타측에 회전자재로 구비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관형 보빈의 타단부에 회전자재로 또는 고정되게 결합되는 제2 관형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부재는 상기 제1 관형 보빈과 제2 관형 보빈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선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내측에 상기 코어 부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링형 지지 블록;
    상기 링형 지지 블록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핀; 및
    상기 지지 블록의 대향하는 다른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PCB에 대한 역삽을 방지하는 위치 결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KR1020210046719A 2021-04-09 2021-04-09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KR102473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719A KR102473031B1 (ko) 2021-04-09 2021-04-09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719A KR102473031B1 (ko) 2021-04-09 2021-04-09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931A KR20220140931A (ko) 2022-10-19
KR102473031B1 true KR102473031B1 (ko) 2022-12-02

Family

ID=8380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719A KR102473031B1 (ko) 2021-04-09 2021-04-09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0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120B1 (ko) 2023-02-27 2023-11-22 삼형전자(주) 라인필터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4476A (ja) 2007-09-20 2009-04-30 Tdk Corp コイル部品
JP2017163129A (ja) * 2016-03-08 2017-09-14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ライン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5083B2 (ja) 2009-10-19 2014-01-08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ラインフィルタ
KR101588700B1 (ko) 2013-10-23 2016-01-28 주식회사 솔루엠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1432B1 (ko) 2016-06-23 2022-07-14 가부시키가이샤 토킨 복합라인필터
KR101793878B1 (ko) 2017-08-23 2017-11-06 손광만 라인필터 자동 조립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19671B1 (ko) * 2019-05-17 2021-02-24 (주) 트랜스온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및 이의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4476A (ja) 2007-09-20 2009-04-30 Tdk Corp コイル部品
JP2017163129A (ja) * 2016-03-08 2017-09-14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ラインフィル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120B1 (ko) 2023-02-27 2023-11-22 삼형전자(주) 라인필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931A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898B1 (ko) 코일 부품 및 이의 제조 방법
EP1247322B1 (en) Stator winding connection arrangement for electric motor
KR101686975B1 (ko) 코일 부품
JP4374620B2 (ja) トランス構造
KR102473031B1 (ko)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KR102219671B1 (ko) 스퀘어 타입 라인 필터 및 이의 제작 방법
CN106816265B (zh) 线圈部件
JP2000232748A (ja) 圧縮機用電動機の固定子
KR200496224Y1 (ko)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KR20150046989A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03224026A (ja) コイ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31849A (ko) 전기 코일 장치
KR200495510Y1 (ko) 슬림형 트랜스포머
JP3344954B2 (ja) ボビンと別体の端末ホルダを用いるコイル部品
GB2146847A (en) Electrical inductance device
CN109585137B (zh) 线圈装置
JPH04580B2 (ko)
KR200151874Y1 (ko) 트로이덜형 초크 코일
JP2017163129A (ja) ラインフィルタ
JPS62230014A (ja) トランス
KR940002600Y1 (ko) 코일 권선용 보빈
KR101489814B1 (ko) 코일 부품
JPS59213264A (ja) 端子基板付モ−タの組立方法
KR200190794Y1 (ko) 전동기의 결선용 기판
KR19980061330U (ko) 트로이덜형 초크 코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