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498B1 -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498B1
KR102472498B1 KR1020210165049A KR20210165049A KR102472498B1 KR 102472498 B1 KR102472498 B1 KR 102472498B1 KR 1020210165049 A KR1020210165049 A KR 1020210165049A KR 20210165049 A KR20210165049 A KR 20210165049A KR 102472498 B1 KR102472498 B1 KR 102472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biomass
hole
fram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섭
Original Assignee
박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섭 filed Critical 박경섭
Priority to KR102021016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65Apparatus for grading or sorting using divergent conveyor bel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은, 골조가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컨베이어 벨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롤러(210);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구동롤러(2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1 종동롤러(220);
상기 제1 구동롤러(210)와 제1 종동롤러(2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소정 크기의 제1 관통공(232)이 형성된 제1 컨베이어벨트(230);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로부터 이송되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제1 분류용기(240);
상기 프레임(100)의 최저층에 배치되어 바이오매스가 포함된 선박평형수를 저장하는 바이오매스 저장조(500);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며,
선박평형수 공급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오매스가 포함된 선박평형수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면 상기 제1 관통공(232) 보다 작은 크기의 바이오매스는 제1 관통공(232)을 통과하고, 상기 제1 관통공(232) 보다 큰 크기의 바이오매스는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남겨져 상기 제1 분류용기(240)에 분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Conveyor system for sorting bia-mass}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사용하여 선박평형수로부터 분리하는 한편, 크기가 상이한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복층으로 적층하여 바이오매스의 크기별로 바이오매스를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바이오매스의 분쇄효율을 높이는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운송하는 화물 선박은 유사한 화물의 상호 교환을 위하여 왕복 항해하는 선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편도 운항을 한다. 그리고, 편도 운항을 만재 상태로 항해한 후 귀환 항해 시에는 선박의 균형, 안전성 및 조종 성능 향상 등을 위하여 선박평형수(ballast water)를 선내로 유입하여 항해를 하게 된다.
이때, 선박평형수는 밸러스팅 작업(ballasting operation)을 통해 한 항구에서 채워져서 다른 곳으로 이송되고, 디밸러스팅 작업(deballasting operation)을 통해 새로운 항구 내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먼 위치로부터 실려져 온 선박평형수에는 다양한 해양 생물, 즉 바이오매스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고 자 하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바이오매스를 적절한 크기로 분쇄해야 한다.
그런데,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바이오매스는 그 크기가 다양하다. 크기가 다양한 바이오매스를 하나의 분쇄기로 분쇄하는 경우, 분쇄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커팅날도 손상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크기별로 적절히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0-01209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사용하여 선박평형수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가 상이한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복층으로 적층하여 바이오매스의 크기별로 바이오매스를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바이오매스의 분쇄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자로 컨베이어벨트에 진동을 인가하여 바이오매스가 관통공에 투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골조가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컨베이어 벨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롤러;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구동롤러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1 종동롤러;
상기 제1 구동롤러와 제1 종동롤러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소정 크기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컨베이어벨트;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로부터 이송되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제1 분류용기;
상기 프레임의 최저층에 배치되어 바이오매스가 포함된 선박평형수를 저장하는 바이오매스 저장조;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선박평형수 공급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오매스가 포함된 선박평형수가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면 상기 제1 관통공 보다 작은 크기의 바이오매스는 제1 관통공을 통과하고, 상기 제1 관통공 보다 큰 크기의 바이오매스는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에 남겨져 상기 제1 분류용기에 분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구동롤러 보다 하부에 배치되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컨베이어 벨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롤러;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2 구동롤러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2 종동롤러;
상기 제2 구동롤러와 제2 종동롤러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상기 제1 관통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컨베이어벨트;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밸트로부터 이송되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제2 분류용기;
상기 제2 구동롤러 보다 하부에 배치되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3 컨베이어 벨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 구동롤러;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3 구동롤러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3 종동롤러;
상기 제3 구동롤러와 제3 종동롤러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상기 제2 관통공보다 작은 크기의 제3 관통공이 형성된 제3 컨베이어벨트;
상기 제3 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컨베이어밸트로부터 이송되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제3 분류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통공, 제2 관통공, 제3 관통공은 크기가 서로 상이하여 바이오매스가 크기별로 구분되어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관통공 내지 제3 관통공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자가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에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위치된 바이오매스가 상기 제1 관통공 내지 제3 관통공으로 투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사용하여 선박평형수로부터 분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가 상이한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복층으로 적층하여 바이오매스의 크기별로 바이오매스를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바이오매스의 분쇄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자로 컨베이어벨트에 진동을 인가하여 바이오매스가 관통공에 투입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 바이오에탄올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컨베이어벨트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종래 바이오에탄올 제조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컨베이어벨트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430)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바이오매스를 공급하여 분쇄한다.
그리고 분쇄된 바이오매스를 연화시킨 후 당화단계를 거치고, 발효하여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분쇄작업에서 바이오에너지가 크기별로 구분되어 분쇄되어야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은 프레임(100), 바이오매스 저장조(500), 제1 구동롤러(210), 제1 종동롤러(220), 제1 컨베이어벨트(230), 제2 구동롤러(310), 제2 종동롤러(320), 제2 컨베이어벨트(330), 제3 구동롤러(410), 제3 종동롤러(420), 제3 컨베이어벨트(430), 제어부(700), 진동자(6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골조 구조로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다.
바이오매스 저장조(500)는 프레임(100)의 최저층에 배치되어 바이오매스가 포함된 선박평형수를 저장한다.
제1 구동롤러(210)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컨베이어 벨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제1 종동롤러(220)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구동롤러(2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구성이다.
제1 컨베이어벨트(230)는 제1 구동롤러(210)와 제1 종동롤러(2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소정 크기의 제1 관통공(232)이 형성된다.
제1 분류용기(240)는 제1 컨베이어벨트(2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컨베이어벨트(230)로부터 이송되는 바이오매스가 저장한다.
선박평형수 공급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오매스가 포함된 선박평형수가 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면 제1 관통공(232) 보다 작은 크기의 바이오매스는 제1 관통공(232)을 통과하고, 제1 관통공(232) 보다 큰 크기의 바이오매스는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남겨져 제1 분류용기(240)에 분류된다.
제2 구동롤러(310)는 제1 구동롤러(2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되,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컨베이어 벨트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2 종동롤러(320)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제2 구동롤러(3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제2 컨베이어벨트(330)는 제2 구동롤러(310)와 제2 종동롤러(3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제1 관통공(232)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관통공(332)이 형성된다.
제2 분류용기(340)는 제2 컨베이어벨트(3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2 컨베이어밸트로부터 이송되는 바이오매스를 저장한다.
제3 구동롤러(410)는 제2 구동롤러(3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되,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3 컨베이어 벨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제3 종동롤러(420)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제3 구동롤러(4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제3 컨베이어벨트(430)는 제3 구동롤러(410)와 제3 종동롤러(4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제2 관통공(332)보다 작은 크기의 제3 관통공(432)이 형성된다.
제3 분류용기(440)는 제3 컨베이어벨트(4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3 컨베이어밸트로부터 이송되는 바이오매스를 저장한다.
결과적으로, 바이오매스가 포함된 선박평형수가 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공급되면 제1 분류용기(240)에는 가장 큰 바이오매스가 저장되고, 제3 분류용기(440)에는 가장 작은 바이오매스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크기에 따라 바이오매스가 분류되면 각 크기에 적절한 커팅날이 장착된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팅날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관통공(232) 내지 제3 관통공(432)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종 바이오매스의 일부분이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걸려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이오매스가 관통공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동자(600)를 구비하였다.
진동자(600)는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컨베이어벨트(230)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진동을 인가한다.
이를 통해 컨베이어벨트와 바이오매스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인해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바이오매스가 관통공을 원활히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바이오매스를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사용하여 선박평형수로부터 분리하는 한편, 크기가 상이한 관통공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를 복층으로 적층하여 바이오매스의 크기별로 바이오매스를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바이오매스의 분쇄효율을 높이는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S10 : 바이오매스 공급단계
S20 : 바이오매스 분쇄단계
S30 : 바이오매스 연화단계
S40 : 액화 및 당화단계
S50 : 발효단계
100 : 프레임
210 : 제1 구동롤러
220 : 제1 종동롤러
230 : 제1 컨베이어벨트
232 : 제1 관통공
240 : 제1 분류용기
310 : 제2 구동롤러
320 : 제2 종동롤러
330 : 제2 컨베이어벨트
332 : 제2 관통공
340 : 제2 분류용기
410 : 제3 구동롤러
420 : 제3 종동롤러
430 : 제3 컨베이어벨트
432 : 제3 관통공
440 : 제3 분류용기
500 : 바이오매스 저장조
600 : 진동자
700 : 제어부

Claims (4)

  1. 골조가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컨베이어 벨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롤러(210);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구동롤러(2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1 종동롤러(220);
    상기 제1 구동롤러(210)와 제1 종동롤러(2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소정 크기의 제1 관통공(232)이 형성된 제1 컨베이어벨트(230);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로부터 이송되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제1 분류용기(240);
    상기 프레임(100)의 최저층에 배치되어 바이오매스가 포함된 선박평형수를 저장하는 바이오매스 저장조(500);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며,
    선박평형수 공급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바이오매스가 포함된 선박평형수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낙하하면 상기 제1 관통공(232) 보다 작은 크기의 바이오매스는 제1 관통공(232)을 통과하고, 상기 제1 관통공(232) 보다 큰 크기의 바이오매스는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남겨져 상기 제1 분류용기(240)에 분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구동롤러(2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되,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컨베이어 벨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롤러(310);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2 구동롤러(3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2 종동롤러(320);
    상기 제2 구동롤러(310)와 제2 종동롤러(3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상기 제1 관통공(232)보다 작은 크기의 제2 관통공(332)이 형성된 제2 컨베이어벨트(330);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3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밸트로부터 이송되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제2 분류용기(340);
    상기 제2 구동롤러(310) 보다 하부에 배치되되,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3 컨베이어 벨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 구동롤러(410);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3 구동롤러(410)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3 종동롤러(420);
    상기 제3 구동롤러(410)와 제3 종동롤러(4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되, 표면에 상기 제2 관통공(332)보다 작은 크기의 제3 관통공(432)이 형성된 제3 컨베이어벨트(430);
    상기 제3 컨베이어벨트(4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컨베이어밸트로부터 이송되는 바이오매스가 저장되는 제3 분류용기(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통공(232), 제2 관통공(332), 제3 관통공(432)은 크기가 서로 상이하여 바이오매스가 크기별로 구분되어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구동롤러(210)와 제1 종동롤러(2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있어서, 제1 구동롤러(210)의 상단부와 제1 종동롤러(220)의 상단부에 접촉하며 이송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형성된 제1 관통공(232)은 제1 구동롤러(210)의 하단부와 제1 종동롤러(220)의 하단부에 접촉하며 이송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230)에 형성된 제1 관통공(232)과 수직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천공되고,
    상기 제2 구동롤러(310)와 제2 종동롤러(3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는 제2 컨베이어벨트(330)에 있어서, 제2 구동롤러(310)의 상단부와 제2 종동롤러(320)의 상단부에 접촉하며 이송되는 제2 컨베이어벨트(330)에 형성된 제2 관통공(332)은 제2 구동롤러(310)의 하단부와 제2 종동롤러(320)의 하단부에 접촉하며 이송되는 제2 컨베이어벨트(330)에 형성된 제2 관통공(332)과 수직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천공되고,
    상기 제3 구동롤러(410)와 제3 종동롤러(42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이송되는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있어서, 제3 구동롤러(410)의 상단부와 제3 종동롤러(420)의 상단부에 접촉하며 이송되는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형성된 제3 관통공(432)은 제3 구동롤러(410)의 하단부와 제3 종동롤러(420)의 하단부에 접촉하며 이송되는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형성된 제3 관통공(432)과 수직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공(232) 내지 제3 관통공(432)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자(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자(600)가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430)에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230) 내지 제3 컨베이어벨트(430)의 상부에 위치된 바이오매스가 상기 제1 관통공(232) 내지 제3 관통공(432)으로 투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KR1020210165049A 2021-11-26 2021-11-26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KR102472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049A KR102472498B1 (ko) 2021-11-26 2021-11-26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049A KR102472498B1 (ko) 2021-11-26 2021-11-26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498B1 true KR102472498B1 (ko) 2022-12-01

Family

ID=8444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049A KR102472498B1 (ko) 2021-11-26 2021-11-26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4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758A (ko) * 2002-01-24 2003-07-31 구경신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100120946A (ko) 2009-05-07 2010-11-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기분해방식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전해수 수소 분리장치
KR20130077859A (ko) * 2013-06-19 2013-07-09 김윤호 진동수단이 부가된 라운드벨트 컨베이어 선별기
CN105618250A (zh) * 2015-12-28 2016-06-01 徐建立 矿石综合分选系统
KR101815112B1 (ko) * 2017-06-02 2018-01-04 허종웅 재생골재의 습식 선별장치를 이용한 황토블록 제조장치
KR102141668B1 (ko) * 2020-04-14 2020-08-05 이정석 블루베리 선별장치
KR20210091670A (ko) * 2020-01-13 2021-07-22 농업회사법인 아이팩 주식회사 큰것에서 작은것 순서로 선별하기 위한 역방식 선별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758A (ko) * 2002-01-24 2003-07-31 구경신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100120946A (ko) 2009-05-07 2010-11-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기분해방식의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전해수 수소 분리장치
KR20130077859A (ko) * 2013-06-19 2013-07-09 김윤호 진동수단이 부가된 라운드벨트 컨베이어 선별기
CN105618250A (zh) * 2015-12-28 2016-06-01 徐建立 矿石综合分选系统
KR101815112B1 (ko) * 2017-06-02 2018-01-04 허종웅 재생골재의 습식 선별장치를 이용한 황토블록 제조장치
KR20210091670A (ko) * 2020-01-13 2021-07-22 농업회사법인 아이팩 주식회사 큰것에서 작은것 순서로 선별하기 위한 역방식 선별기
KR102141668B1 (ko) * 2020-04-14 2020-08-05 이정석 블루베리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1255B1 (en) Installation of decks on offshore substructures
CN1380870A (zh) 自主式集装箱货船
US20190135379A1 (en) Method for conversion of a vessel for use as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facility
KR102472498B1 (ko) 바이오매스 분류용 컨베이어시스템
CN205396423U (zh) 一种全冷式液化气船的垂向支撑结构
US5235929A (en) Docking system
DK1833728T3 (da) Palleteret beholderladning
US20010018885A1 (en) Autonomous container ship
KR102447030B1 (ko) 저속비대선형 컨테이너 운반선
CN207466901U (zh) 一种汽车滚装船的lng燃料舱的止浮结构
KR102521602B1 (ko) 수상 쓰레기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상 쓰레기 처리 방법
US20190002058A1 (en) Drilling tender unit
CN202107073U (zh) 一种适用于长江航道的灵便型散货船
AU2015378716B2 (en) A floating unit and a method of stabilizing the floating unit
CN108583811B (zh) 一种浮运方法
CN204507195U (zh) 多功能平台供应船
KR20140078272A (ko) 선박
KR102434966B1 (ko) 선박
CN202807053U (zh) 一种清漂转运装置
CN205872729U (zh) 蛋托周转系统
US20070039532A1 (en) Multi-Hull Vessel Adapted for Ice-Breaking
CN103963930B (zh) 船型结构
KR20090126782A (ko) 컨테이너 선박
Lim et al. On the Development of the Arc7 LNG Carrier–Hull Form Development
CN102259688A (zh) 货柜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