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287B1 -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287B1
KR102472287B1 KR1020190014116A KR20190014116A KR102472287B1 KR 102472287 B1 KR102472287 B1 KR 102472287B1 KR 1020190014116 A KR1020190014116 A KR 1020190014116A KR 20190014116 A KR20190014116 A KR 20190014116A KR 102472287 B1 KR102472287 B1 KR 102472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indow
nozzle pipe
accommodating portion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996A (ko
Inventor
권오민
박형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4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287B1/ko
Priority to US16/551,027 priority patent/US11046571B2/en
Priority to EP22158229.9A priority patent/EP4019867A1/en
Priority to EP19194405.7A priority patent/EP3690367B1/en
Publication of KR2020009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996A/ko
Priority to US17/356,051 priority patent/US11440787B2/en
Priority to US17/835,274 priority patent/US2022029799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7Sanitary protection means for dispensing nozzles or taps, e.g. outlet clos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more than 90% silica by weight, e.g. quartz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5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2Units using UV-light emitting diodes [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7/00Lighting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7/001Lighting arrangements on the external side of the refrigerator, freezer or cooling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괸한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에 설치되는 출수부재는, 일측 단부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물이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타측 단부로 물이 배출되는 노즐관(75);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노즐관(75)의 내부 공간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80); 및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와 광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관의 내부 영역과 상기 광원의 배치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광원(80)에서 상기 노즐관(75)을 향해 조사된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창 부재(8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본 발명은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편의를 위해 냉장고의 도어에는 물과 얼음이 제공되는 디스펜서가 설치된다. 일반적인 정수기는 디스펜서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냉장고에 설치된 디스펜서는, 도어의 전후 방향으로의 깊이가 짧기 때문에, 컴팩트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한편, 정수가 유동하는 배관이나 호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염되거나 세균이 번식한다. 이런 연유로, 배관과 호스의 교체 작업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에 설치된 디스펜서는 유지 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 보수의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유지 보수의 주기를 길게 하는 방안도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정수기와, 정수기에 설치된 디스펜서의 출수부재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정수기는 정수기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의 경계에 있는 출수부재를 주기적으로 자외선 살균한다.
그러나 상기 출수부재는 설치공간이 충분한 정수기에 적합한 구조이므로, 설치공간이 좁은 냉장고의 디스펜서에 적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또한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UV LED)는 출수부재를 흐르는 물과 확실히 격리된 환경에 있어야 한다. 아울러 제조가 간단하면서도 밀봉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UV LED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파장은 정수가 흐르는 배관에 주로 서식하는 세균을 박멸하기에 적합한 피크파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은 출수부재에서 물과 접촉하는 모든 내벽면에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5145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좁은 공간에 설치 가능한 컴팩트한 구조의 출수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외선 살균이 확실히 이루어지는 출수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조가 간단하면서도 자외선 살균을 위한 부품에 대한 확실한 수밀이 가능한 출수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조립이 편리하도록 디스펜서에 출수 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출수 부재가 설치된 디스펜서와, 이러한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출수부재는, 자외선 광원의 설치 구조와 출수부재의 노즐부로 물을 공급하는 구조가 상기 노즐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므로, 자외선 살균 구조를 적용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실시 예에 의한 출수부재는, 살균력이 높은 피크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효율을 높인다.
살시 예에 의한 출수부재는, 심자외선이 잘 투과되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효율을 높인다.
실시 예에 의한 출수부재는, 살균이 필요한 표면의 자외선 반사율을 높임으로써, 자외선이 살균이 필요한 표면에 전체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살균효율을 높인다.
실시 예에 의한 출수부재는, 창 부재와 실링부재를 수용하는 두 부품의 결합 방향이 실링부재의 압착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여, 두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힘이 실링부재에 압착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두 부품을 접합함으로써, 제조가 간단하면서도 수밀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시 예에 의한 출수부재에는 키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재가 설치되는 디스펜서 하우징에 상기 키와 맞물려 고정되는 키홈을 둠으로써, 조립이 편리하고 출수부재의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는 일측 단부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물이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타측 단부로 물이 배출되는 노즐관(75);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노즐관(75)의 내부 공간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80); 및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와 광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관의 내부 영역과 상기 광원의 배치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광원(80)에서 상기 노즐관(75)을 향해 조사된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창 부재(85);를 구비한다.
상기 노즐관(75)의 내벽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원과 직접 마주하여 자외선을 조사 받을 수 있다. 상기 노즐관(75)의 내벽면의 다른 일부는 상기 광원과 직접 마주하는 상기 노즐관(75)의 내벽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반사되는 자외선을 조사 받을 수 있다.
상기 창 부재는 창 수용부(76, 78)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창 수용부(76, 78)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은 상기 창 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창 부재보다 더 큰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창 수용부(76, 78)는 거기에 수용된 상기 창 부재와 마주하는 지지면(761, 762, 781, 78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에는 물 공급부 연결관(7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은 상기 창 수용부에 가깝게 상기 노즐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은 상기 노즐관(75)의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내벽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원과 직접 마주하여 자외선을 조사 받을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내벽면의 다른 일부는 상기 광원과 직접 마주하는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내벽면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반사되는 자외선을 조사 받을 수 있다.
상기 노즐관(75) 및/또는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내벽면은 자외선이 잘 반사되도록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내벽면에는 알루미늄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광원(80)은 광원설치부(7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설치부(77)는 상기 창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설치부(77)는 상기 노즐관(75)을 기준으로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광원(80)은 기판(81)과, 상기 기판(8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UV LED(83;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기판(81)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커넥터(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LED는 기판(81)의 제1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82)는 상기 기판(81)의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설치부(77)는 상기 기판(81)이 수용되는 기판 고정부(771)와, 상기 기판 고정부(771)에 수용된 기판(81)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돌기(7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772)는 기판(81)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광원설치부(77)에서 상기 UV LED와 마주하는 부위에는 광 통과홀(77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UV LED(83)는 상기 광 통과홀(773)을 통해 상기 창 부재(85)를 바라볼 수 있다.
상기 창 부재(85)는: 상기 노즐관(75)과 마주하는 제1면(851); 상기 광원(80)과 마주하는 제2면(852); 및 상기 제1면(851)과 제2면(852)을 잇는 측면(85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창 부재(85)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판은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거나 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창 부재(85)는 석영이거나, 단량체의 비율이 80% 이상인 PMMA이거나, Dupont 사의 Teflon 계열의 불소계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창 수용부는, 상기 창 부재의 측면과 마주하는 부위에서 분할되는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 수용부는, 상기 노즐관(75)과 연결된 제1 부분수용부(76) 및 상기 광원설치부(77)와 연결된 제2 부분수용부(78)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는 상기 노즐부(7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는 상기 광원설치부(77)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가 분할된 부위는 상호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와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는 상호 초음파 융착되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는,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맞물림 돌기(76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는,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측면이 상기 제1맞물림 돌기(764)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2 맞물림 돌기(7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맞물림 돌기(764)의 선단면과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가 마주하는 면(w2), 상기 제2 맞물림 돌기(784)의 선단면과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가 마주하는 면(w1) 및 상기 제1 맞물림 돌기(764)의 측면과 상기 제2 맞물림 돌기(784)의 측면이 서로 마주하는 면(w3)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서 접합될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 맞물림 돌기(764)의 측면과 상기 제2 맞물림 돌기(784)의 측면 중 어느 한 쪽에는 융착 사면(785)가 구비되고, 상기 융착 사면(785)은 초음파 융착 단계에서 융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의 일측에는 상부 정렬부재(783)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정렬부재(783)와 상보적인 형상의 하부 정렬부재(76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정렬부재(783)와 하부 정렬부재(763)가 상호 맞물리도록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를 결합하면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과 상기 광원설치부(77)가 상기 노즐관(75)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정렬부재(783)와 하부 정렬부재(763)가 서로 어긋난 상태로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를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상호 접근시키면, 상기 상부 정렬부재(783) 및 하부 정렬부재(7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부위와 간섭되어,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가 면 접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를 접합하기 전, 이들이 잘못된 방향으로 조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창 수용부에는 실링부재(87)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87)는 상기 지지면과 상기 창 부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87)는, 상기 창 부재의 측면(853)과 상기 창 수용부의 분할 부위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둘레부(8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할 부위의 밀봉이 더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둘레부(873)는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의 접합 부위와 마주하고,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는, 제1면의 가장자리와 마주하는 제1면 지지면(76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링부재(87)는, 상기 제1면 지지면(761)과 상기 제1면(851) 사이에 배치되는 제1면 가장자리부(8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면 지지면(761)에는 상기 실링부재(87)를 가압하는 폐루프 형태의 밀봉돌기(7611)가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이 흐르는 공간과 가까이 있는 제1면이 확실히 밀봉되도록 하여, 수밀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에는, 제2면의 가장자리와 마주하는 제2면 지지면(78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링부재(87)는, 상기 제2면 지지면(781)과 상기 제2면(852) 사이에 배치되는 제2면 가장자리부(8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면 가장자리부(871)와 상기 측면둘레부(873)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면둘레부(873)와 상기 제2면 가장자리부(87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면둘레부(873)의 일측 단부에는 제1면 가장자리부(871)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2면 가장자리부(87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면 가장자리부(871)와 제2면 가장자리부(872)는 측면둘레부(87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노즐관(75)의 길이방향 중심축(O)과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길이방향의 중심축(P)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은,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길이방향의 중심축(P)이 상기 노즐관(75)의 내부 영역을 벗어나도록, 상기 노즐관(75)과 접하며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물 공급부 연결관(72)을 통해 상기 노즐관(75)에 공급되는 물은 노즐관(75) 내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 흐르는 소용돌이(swirl) 흐름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출수부재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유동을 안정화한다. 또한 이는 노즐관(75)에 남을 수 있는 잔수를 확실히 없애준다.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은, 상기 노즐관(75)의 길이방향 중심축(O)과 수직을 이루는 면(법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에 물이 고여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물 공급부 연결관(7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하향하는 성분의 운동에너지를 가지고 노즐관(75)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노즐관(75)에 남을 수 있는 잔수를 확실히 없애준다.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과 연통하는 깔때기부(7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깔때기부(753)는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깔때기부(753)의 일측 단부는 넓은 내경을 가지므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의 수광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노즐관(75)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깔때기부(753)와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소경부(754)가 구비되고, 상기 소경부(754)는 상기 깔때기부(753)와 연결되며, 상기 소경부(754)의 내경은, 상기 소경부(753)와 연결되는 상기 깔때기부(753) 부위의 내경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소경부(754)에서 상기 깔때기부(753)와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소경부(754)의 중심을 향해 내향 돌출되고 상기 소경부(75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층류돌기(751)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물 공급부 연결관(72)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깔때기부(753)를 맴돌며 하강하여 소경부(754)에 모이며, 층류돌기(751)에 의해 층류가 된다. 따라서 노즐관(75)의 타측 단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물의 흐름은 안정적인 흐름을 가지게 된다.
상기 광원(80)은 265nm 내지 275nm의 범위 내에 피크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E. coli O157:H7 (ATCC 43894)과 B. subtilis spore (ATCC 6633)과 B. MS2 phage (ATCC 15597-B1)과 같이 물이 있는 습한 환경에서 주로 서식하는 세균들의 DNA 또는 RNA는 270nm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광원(8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피크파장이 270nm 부근에 있도록 하면 살균율을 극히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안되는 실시예의 냉장고는 상기 출수부재(70)가 결합된 디스펜서 하우징(50)이 도어(20)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5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출수부재(70)의 노즐관(75)의 외주면과 맞물리는 노즐 결합홀(56)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부재(70)는 정확히 위치가 규제되며 디스펜서 하우징(5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관(75)의 타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키(7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 결합홀(56)에는 상기 키(752)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키홈(5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 결합홀(56)의 하단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키홈(57)과 연통하는 체결공간(59)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간(59)의 상단부에는 상기 키(752)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면(58)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관(75)을 그 길이 방향으로 노즐 결합홀(56)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노즐관(75)을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 키(752)가 체결공간(59)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키(752)는 지지면(58)에 의해 지지되고, 노즐관(7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그 외경이 좁아지는 형상의 깔때기부(753)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관(75)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깔때기부(753)와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소경부(7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키(752)는 상기 소경부(754)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노즐 결합홀(56)은 상기 소경부(754)의 외주면과 맞물리며, 상기 노즐관(75)이 상기 노즐 결합홀(56)에 삽입되는 깊이는, 상기 깔때기부(753)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50)의 간섭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깔때기부(753)와 간섭되는 디스펜서 하우징(50) 부위는 소경부(754)보다 큰 공간을 가질 것이므로, 출수부재의 조립을 안내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출수 부재와, 이를 적용한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출수부재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므로, 좁은 냉장고 도어에 설치하고 유지 보수하기가 용이하다.
실시 예의 출수부재는 출수부재 내부에서 물과 접촉하는 내벽면에 대한 살균이 확실히 이루어지므로, 오염이나 세균 번식을 이유로 출수부재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실시 예의 출수부재는 수밀 구조를 적용하였음에도 제조가 간단하고 구조가 단순하다.
실시 예의 출수부재는 제조가 간단하고 구조가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수밀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의 출수부재는 자외선 살균이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공간을 매우 적게 차지하므로, 그만큼 냉장고의 캐비닛 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출수부재는 컴팩트한 구조이면서도 내벽면에 대한 살균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펜서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펜서 하우징에 설치된 출수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출수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출수부재를 하부로부터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출수부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출수부재에서 광원설치부와 창 부재와 실링부재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출수부재가 설치되는 디스펜서 하우징 부위를 확대한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도 10은 디스펜서 하우징에 출수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한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 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냉장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 3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내부는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는 냉장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는 냉동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내부는 좌우로 구획될 수도 있으며, 좌우 양측에 각각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각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 상부의 냉장실을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21, 22), 즉 좌측 냉장실 도어(21)와 우측 냉장실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 하부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31, 32), 즉 좌측 냉동실 도어(31)와 우측 냉동실 도어(32)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의 형태와 구조에 관계없이 냉장고의 모든 타입의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펜서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21)의 내측면에는 아이스 메이커(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25)는 자동 급수에 의해 얼음을 만들고 저 장하는 장치로,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21)의 배면에 형성된 단열 공간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21)의 전면에는 디스펜서(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3)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5)에서 만들어진 얼음 및/또는 정수된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물 또 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23)의 상부에는 제2디스플레이(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231)는 상기 디스펜서(23) 및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동작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우측 냉장실 도어(22)에 제1디스플레이(24)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24)가 가진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우측 냉장실 도어(22)는 중앙에 개구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20)의 내측에 도어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220)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40)의 일측단은 우측 냉장실 도어(2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서브 도어(40)를 개폐하여 상기 도어 바스켓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구부(220)의 하단에는 제1디스플레이(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41)는 상기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조작 입력할 수 있다.
서브 도어(40)에는 내부를 볼 수 있는 투시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4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투시부(42)를 통해 도어 바스켓 내부를 볼 수 있다.
물론, 상기 서브 도어(40)가 없는 규격의 냉장고에서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41)가 삭제될 수 있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41)의 기능은 상기 제2디스플레이(24)가 대신할 수 있다.
<디스펜서 하우징>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펜서(23)는 도어(21)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펜서 하우징(50)을 구비한다. 디스펜서 하우징(50)은 도어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메인 벽 부재(52)를 구비한다. 메인 벽 부재(52)의 전방에 마련된 공간에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24)가 내장된다. 메인 벽 부재(52)의 후방에 마련된 공간에는 얼음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얼음 이송장치 설치공간(53)이 마련된다. 얼음 이송장치(미도시)는, 아이스 메이커(25)에서 생성되고 보관된 얼음을 취출부(54)로 이송한다. 취출부(54)는 하향할수록 점점 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이룬다.
취출부(54)의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부재(55)가 마련된다. 저면부재(55)는 취출부(54)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이 부분에 노즐 지지부(551)가 구비된다.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상기 취출부(54)는 노즐 지지부(551)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노즐 지지부(551)의 상부 공간은 협소하며, 노즐 지지부(551)의 상부 공간은 전후 방향보다는 좌우 방향으로 조금 더 공간적 여유가 있다.
상기 노즐 지지부(551)에는 출수부재(70)가 설치된다. 출수부재(70)는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출구이다. 사용자는 디스펜서의 취출부(54) 하부에 용기를 두고 얼음을 받거나, 상기 취출부 앞에 배치되어 있는 출수부재 하부에 용기를 두고 물을 받을 수 있다.
<출수부재>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출수부재(70)는 물이 공급되는 호스(60)와 연결된다. 호스(60)는 물탱크와 연결되거나, 정수 필터를 경유하며 수전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호스(60)의 단부는 클램프(62)에 의해 출수부재(70)에 고정될 수 있다.
출수부재(70)는 노즐부(71)와 광원설치부(77)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71)는 상기 호스(60)로부터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안내한다. 광원설치부(77)에는 상기 노즐부(71)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 광원(80)이 설치된다.
노즐부(71)의 내부 공간에는 물이 유동하고, 광원설치부(77)에는 자외선 광원이 설치되므로, 노즐부(71)의 내부 공간과 광원설치부(77)는 실링부재(87)의 실링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분된다. 즉 노즐부(71)의 내부 공간을 흐르는 물은 광원설치부(77)로 침투하지 못한다. 반면 광원설치부(77)의 광원(80)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창 부재(85)를 투과하여 노즐부(71)의 내부 공간으로 조사된다.
상기 노즐부(71)는 호스(60)와 연결되는 물 공급부 연결관(72),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과 연결되고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노즐관(75), 그리고 상기 창 부재(85)와 실링부재(87)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1 부분수용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는 창 부재(85)와 실링부재(87)의 하부를 수용하는 창 하부수용부(76)일 수 있다.
상기 광원설치부(77)는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와 연결되고 상기 창 부재(85)와 실링부재(87)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는 제2 부분수용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71)와 광원설치부(77)는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된 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요철부(722)가 마련된다. 호스(60)는 요철부(722)의 돌출 부위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어느 정도 늘어날 수 있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은 상기 호스(60)의 단부에서 상기 호스(60)의 내부로 끼워지고, 이에 따라 상기 요철부(722)의 돌출 부위와 마주하는 상기 호스(60)의 직경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62)는 상기 호스(6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호스(60)는 상기 클램프(62)의 보어의 내주면과 상기 요철부(722)의 돌출 부위 사이에 끼워져서 강하게 압착될 수 있다.
출수부재(70)는 광원(80)의 자외선에 의해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살균되므로 교체의 필요성이 낮다. 이와 대비하여, 호스(60)는 보다 잦은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과 클램프(62)는 호스(60)와 출수부재(70)를 매우 간단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하면서도, 밀봉이 확실하다.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길이방향 내측에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73)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73)는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플랜지(73)는 상기 호스(60)에 대한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적절한 삽입 길이를 규제한다. 즉 사용자는 호스(60)의 단부가 플랜지(73)에 닿을 때까지 물 공급부 연결관(72)을 호스(60)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은 상기 플랜지(73)를 사이에 두고 우회부(74)와 연결된다.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은 우회부(74)를 통해 노즐관(75)과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부 연결관(72)과 우회관(74)의 중심을 지나는 축(P)은 상기 노즐관(75)의 중심축(O)과 만나지 않고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두 축(O, P)은 서로 꼬인 위치에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축(P)은 상기 노즐관(75)의 내부 영역을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우회부(74)는 상기 노즐관(75)의 둘레에 접하는 형태로 상기 노즐관(75)과 연결되고, 상기 우회부(74)의 내부 공간은 상기 노즐관(75)의 내부 공간과 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축(P)은 상기 노즐관(75)으로부터 후방 상부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방향으로 배치된다.
우회부(74)는, 물 공급부 연결관(72)에서 노즐관(75)에 공급되는 물이, 노즐관(75)의 중심을 향해 직접적으로 배출되지 않고 노즐관(75)의 내벽면의 둘레 방향을 타고 소용돌이(swirl) 흐름처럼 흘러 내리도록 한다. 이는 출수부재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유동을 안정화한다. 또한 후술할 층류돌기(751)는 상기 소용돌이 흐름을 층류로 변화시키므로, 물은 매우 안정적으로 배출된다.
상기 축(P)은 상기 노즐관(75)의 길이방향 중심축(O)과 수직을 이루는 면(법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축(P)은 상기 노즐관(75)에 가까워질수록 하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법면에 대한 축(P)의 기울기는 20도 내지 40도 정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에 물이 고여 있을 우려가 없다. 또한, 이는 물 공급부 연결관(7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하향하는 성분의 운동에너지를 가지고 노즐관(75)에 공급되도록 한다. 소용돌이 흐름과 하향하는 성분의 운동에너지는 노즐관(75)에 남을 수 있는 잔수를 확실히 없애준다.
상기 노즐관(7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노즐관(75)은 깔때기부(753)와, 소경부(7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깔때기부(753)는 노즐관(75)의 상부에 배치되고, 소경부(754)는 노즐관(75)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소경부(754)는 깔때기부(753)의 하부와 연결된다.
상기 우회부(74)는 상기 깔때기부(75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깔때기부(753)는 하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깔때기부(753)는 하부로 갈수록 그 외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경부(754)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소경부(754)의 상단부 외측 가장자리와 내측 가장자리의 형상은 상기 상기 깔때기부(753)의 하단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내측 가장자리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깔때기부(753)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소경부(754)는 원형 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소경부(754)의 내경 및 외경은 각각 상기 깔때기부(753)의 하단부의 내경 및 외경과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소경부(754)의 상부, 즉 상기 깔때기부(753)와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소경부(754)의 중심(O)을 향해 내향 돌출되고 상기 소경부(75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층류돌기(75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층류돌기(751)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4개의 층류돌기(751)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구조가 예시된다.
물 공급부 연결관(72)으로부터 우회부(74)를 통해 노즐관(75)에 공급된 물은 깔때기부(753)를 맴돌며 하강하여 소경부(754)에 모인다. 소경부(754)에 진입하는 물은 층류돌기(751)에 의해 안정적인 층류(laminar flow)로 변한다.
상기 층류돌기(751)는 소경부(754)의 상단부와 인접하여 마련되지만 상기 소경부(754)의 하단부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층류돌기(751)에 의해 분할 유동하는 물은 다시 소경부(754)의 하단부에 이르러 다시 하나로 합류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노즐관(75)의 하단부 타측 단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물의 흐름은 안정적인 흐름을 가지게 된다.
상기 소용돌이 흐름은 상기 물이 노즐관(75)을 유동하는 시간을 더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출수 과정에서 광원(80)이 켜지면, 물을 직접적으로 살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는 상기 노즐관(75)의 상부, 즉 깔때기부(753)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는 상기 깔때기부(753)의 상단부의 내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규정한다.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는 상기 깔때기부(753)의 상단부에서 외향 연장되는 창 저면 지지면(761)과, 상기 창 저면 지지면(761)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 창 측면 하부지지면(762)을 포함한다. 상기 창 저면 지지면(제1면 지지면)(761)은 창 부재(85)의 제1면(하면)(851)을 지지한다. 상기 창 측면 하부지지면(측면 제1부분 지지면)(762)은 상기 창 부재(85)의 측면(853)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창 저면 지지면(761)에는 밀봉돌기(7611)가 상향 돌출된다. 상기 밀봉돌기(7611)는 상기 창 측면 하부지지면(762)보다는 작고, 상기 깔때기부(753)의 상단부보다는 큰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밀봉돌기(7611)는 창 수용부(76, 78)에서 상기 노즐관(75)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노즐관(75)의 물이 광원설치부(77)로 침투하는 것은, 침투경로의 초입부터 차단된다. 상기 밀봉돌기(7611)의 정사각형의 가장자리는 라운드 처리되어 후술할 실링부재(87)가 찢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창 측면 하부지지면(762)의 외면에는 하부 정렬부재(763)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정렬부재(763)는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이 위치하는 영역의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수부재(70)가 전후 방향으로 차지하는 길이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정렬부재(763)는 후술할 광원설치부(77)의 상부 정렬부재(783)와 맞물려 노즐부(71)와 광원설치부(77)의 조립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창 측면 하부지지면(762)에는 하부 맞물림 돌기(764)가 상향 돌출 된다. 상기 하부 맞물림 돌기(764)는 후술할 상부 맞물림 돌기(784)와 상보적인 형상으로서,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우회부(74)는 상기 노즐관(75)의 일측면과 전방면을 감싸면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관(75)의 중심(O)은 창 하부수용부(76)의 중심을 기준으로, 약간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우회부(74)는 창 하부수용부(76)의 중심을 기준으로 약간 전방에 배치되고, 노즐관(75)은 창 하부수용부(76)의 중심을 기준으로 약간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부재의 전후방향 길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광원설치부(77)에는 광원(80)이 설치된다. 광원(80)은 길다란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의 기판(81)과, 상기 기판(81)의 일측에서 하면에 실장된 UV LED(83)와, 상기 기판(81)의 타측에서 상면에 실장된 커넥터(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82)에는 UV LED(8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UV LED(83)는 칩 형태일 수 있다. UV LED(83)에는 1차렌즈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UV LED(83)에서 발광되는 자외선은 1차렌즈에 의해 조사각이 적정한 범위가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253nm의 자외선이 살균력이 가장 뛰어난 파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물이 흐르는 공간에서 번식할 수 있는 세균의 살균을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세균들에 강한 살균력을 가지는 피크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상기 UV LED(83)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265nm 내지 275nm 사이에서 피크파장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270nm의 피크파장을 가지는 심자외선(UVC) 일 수 있다. 물이 있는 습한 환경에서 주로 서식하는 세균들인 E. coli O157:H7 (ATCC 43894)과 B. subtilis spore (ATCC 6633)과 B. MS2 phage (ATCC 15597-B1)의 DNA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자외선 파장은 270nm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교롭게도, 전기에너지가 UV LED에서 심자외선(UVC)으로 변환되는 효율은 270nm 부근에서 가장 높음 역시 확인되었다. 따라서 UV LED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피크파장이 270nm일 경우 살균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아울러 UV LED는 일반적인 자외선 램프와 달리, 피크파장 부근의 자외선 세기가 집중적으로 높다. 따라서 270nm의 피크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UV LED(83)를 사용함에 따라, 살균 효율을 더욱 향상된다.
상기 기판(81)은 상기 광원 설치부(77)의 기판 고정부(771)에 고정된다. 기판 고정부(771)는 상기 기판(81)과 대응하도록 긴 직사각형 형상의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 고정부(771)는, 상기 노즐관(75)의 중심축(O)을 기준으로,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이 배치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즉 상기 기판 고정부(771)와 물 공급관 연결부(72)는 노즐관(75)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 연장된다. 상기 기판 고정부(771)는 상기 노즐관(75)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물 공급관 연결부(72)는 다른 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출수부재(70)의 전후 방향 길이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도, 광원(80)을 출수부재(70)에 일체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기판 고정부(771)에는 상기 기판을 수용할 수 있는 홈 형상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고정돌기(77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772)는 상기 기판(81)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고정돌기(772)의 내측면에는, 상기 기판(81)이 기판 고정부(771)에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고 상기 기판(81)이 상기 기판 고정부(77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는 후크 형상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원설치부(77)에서 상기 UV LED와 마주하는 부위에는 광 통과홀(77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 투과홀(773)은 상기 기판 고정부(771)의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판 고정부(771)에 기판(81)이 설치된 상태에서, UV LED(83)는 상기 광 통과홀(773)에 수용되며 하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UV LED(83)는 상기 광 통과홀(773)을 통해 창 부재(85)와, 상기 노즐관(75)의 내부 공간을 바라볼 수 있다.
상기 노즐관(75)의 깔때기부(753)는 상부로 갈수록, 즉 UV LED에 가까이 갈수록 그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이다. 따라서 노즐관(75)은 보다 많은 양의 자외선을 그 내부 공간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상기 광 통과홀(773)의 둘레에는, 상기 기판 고정부(771)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창 상부수용부(제2 부분수용부)(78)가 마련된다. 상기 창 상부수용부(78)는 창 하부수용부(76)와 함께 창 수용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창 수용부는, 상기 노즐관(75)과 연결된 제1 부분수용부(76) 및 상기 광원설치부(77)와 연결된 제2 부분수용부(78)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는 상기 기판 고정부(771)의 저면에서 상기 광 통과홀(773) 주변 부위에 해당하는 창 상면 지지면(제2면 지지면)(781)과, 상기 기판 고정부(771)의 저면에서 상기 제2 창 상면 지지면(78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창 측면 상부지지면(측면 제2부분 지지면)(782)을 포함한다. 상기 창 저면 지지면(제2면 지지면)(781)은 창 부재(85)의 제2면(상면)(852)을 지지한다. 상기 창 측면 상부지지면(측면 제2부분 지지면)(782)은 상기 창 부재(85)의 측면(853)의 상부를 지지한다.
상기 창 측면 상부지지면(782)의 외면에는 상부 정렬부재(783)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정렬부재(783)는 창 측면 상부지지면(782) 및/또는 이와 인접하는 기판 고정부(771)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정렬부재(783)는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이 위치하는 영역의 반대편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 정렬부재(763)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상기 상부 정렬부재(783)는 하향 연장되는 돌기 형태이고, 상기 하부 정렬부재(763)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홈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정렬부재(763)와 상부 정렬부재(783)는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정렬부재(763)와 상부 정렬부재(783)는 노즐부(71)와 광원설치부(77)의 조립 방향을 결정한다. 즉 상기 상부 정렬부재(783)와 하부 정렬부재(763)가 상호 맞물리도록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를 결합하면,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과 상기 광원설치부(77)가 상기 노즐관(75)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립이 잘못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정렬부재(783)와 하부 정렬부재(763)가 서로 어긋난 상태로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를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상호 접근시키면, 상기 상부 정렬부재(783) 및 하부 정렬부재(7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부위와 간섭되어,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가 면 접촉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창 수용부(76, 78)는 정사각형 형태이므로, 이들이 맞물릴 수 있는 방향은 크게 네 방향인데, 그 중 올바른 하나의 방향으로 이들일 맞물릴 때에만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가 서로 정확히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는 상기 노즐부(71)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는 상기 광원설치부(77)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가 분할된 부위는 상호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창 측면 상부지지면(782)에는, 그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상부 맞물림 돌기(제2 맞물림 돌기(784)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맞물림 돌기(784)와 하부 맞물림 돌기(764)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맞물림 돌기(784)가 하부 맞물림 돌기(764)를 둘러싸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 맞물림 돌기(784)의 하단면은 상기 창 측면 하부지지면(762)과 맞닿을 수 있다(w1 참조). 상기 하부 맞물림 돌기(764)의 상단면은 상기 창 측면 상부지지면(782)과 맞닿을 수 있다(w2 참조). 상기 상부 맞물림 돌기(784)와 하부 맞물림 돌기(764)는 그 측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다(w3 참조).
상기 제1 맞물림 돌기(764)의 선단면과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가 마주하는 면(w2), 상기 제2 맞물림 돌기(784)의 선단면과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가 마주하는 면(w1) 및 상기 제1 맞물림 돌기(764)의 측면과 상기 제2 맞물림 돌기(784)의 측면이 서로 마주하는 면(w3)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은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접합면은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 맞물림 돌기(764)의 측면과 상기 제2 맞물림 돌기(784)의 측면 중 어느 한 쪽에는 융착 사면(785)가 구비되고, 상기 융착 사면(785)은 초음파 융착 단계에서 융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2 맞물림 돌기(784)의 측면에 융착 사면(785)이 마련되고, 융착 사면이 일시적으로 용융되며 상기 면들(w1, w2, w3) 사이의 틈새로 퍼져, 상기 면들(w1, w2, w3)이 견고하게 접합되는 구조가 개시된다.
상기 창 수용부(76, 78)에는 창 부재(85)가 수용된다. 상기 창 부재(85)는 상기 창 수용부(76, 78)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보다는 작은 크기일 수 있다. 즉 상기 창 수용부(76, 78)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은 상기 창 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창 부재보다 더 큰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창 수용부(76, 78)는 거기에 수용된 상기 창 부재와 마주하는 지지면(761, 762, 781, 78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창 부재(85)와 창 수용부(76, 78)의 지지면(761, 762, 781, 782) 사이에는 실링부재(87)가 개재될 수 있다. 실링부재(87)의 두께는 상기 지지면(761, 762, 781, 782)과 창 부재(85)의 간극보다 더 두꺼워서, 이들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심자외선(UVC)은 가시광선보다 더욱 짧은 파장을 가지고, 더 큰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투과율이 낮고 반사 및 산란율이 높다. 따라서 일반적인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창을 구성하면 자외선 투과율이 50%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와 같이 투과되지 못하는 자외선의 에너지는 결국 재질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자외선의 투과율이 낮은 재질로 창을 구성하면 창이 열화되어 자외선 투과율이 더욱 낮아진다.
따라서 광원(80)의 자외선이 살균이 필요한 공간에 잘 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심자외선의 투과율이 높은 재질의 창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 창 부재(85)는 석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석영 외에도, 상기 창 부재(85)로서 단량체 비율이 높은 PMMA(polymethyl methacrylate)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단량체의 비율은 80% 이상이어야 자외선이 창 부재를 열화시키지 않을 정도로 투과됨이 확인되었다. 또한 불소계 수지를 사용하여도 심자외선이 창 부재를 열화시키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소계 수지는, 가령 Dupont 사의 Teflon 계열의 불소계 합성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창 부재(85)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판은 창 수용부(76, 78)의 형상과 대응하는 정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창 부재의 형상은 원형 등 다양할 수 있다.
창 부재(85)는 제1면(하면)(851), 제1면(851)의 반대면인 제2면(상면)(852) 및 상기 제1면(851)과 제2면(852)을 잇는 측면(85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면(851)은 노즐관(75)과 마주하고, 제2면(852)은 광원(80)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경면 처리되어 자외선이 반사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면(하면)에서 전반사가 일어나 자외선이 노즐관(75) 내부에 도달하지 못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UV LED(83)의 조사각은 넓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사각은 최대 60도일 수 있다.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자외선이 특정 역역에 집중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창 부재의 제1면과 제2면 중 어느 한 면을 샌드 블라스트 처리할 수 있다. 제1면은 전반사의 우려가 있는 경계면이므로, 제2면에 샌드 블라스트 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처리를 하면 해당 면은 미세한 굴곡이 있는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게 되고, 점광원인 UV LED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면광원화 될 수 있다.
상기 창 부재(85)를 사이에 두고, 상기 광원설치부(77)와 노즐부(71)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설치부(77)의 기판 고정부(771)는 상기 창 부재(85)를 기준으로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노즐관(75)의 내부 벽면의 적어도 일부(제1부분)는 상기 광원(80)으로부터 직접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상기 광원(80)으로부터 직접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노즐관(75)의 내부 벽면(제2부분)은, 제1부분으로부터 반사된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다양한 형상(751, 74)을 가지는 내부 벽면에 자외선이 골고루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노즐관(75)의 내벽의 표면이 자외선을 잘 반사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반사 처리는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내벽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즐부(71)의 내벽은 알루미늄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코팅이 식수에 영향을 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알루미늄 코팅이 물에 용출되지 않도록 표면 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87)는, 상기 창 부재의 측면(853)과 접하며 상기 창 부재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둘레부(873)와, 상기 창 부재의 제1면(851)과 상기 창 저면 지지면(761) 사이에 압착 개재되고 상기 측면둘레부(873)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1면 가장자리부(871)과, 상기 창 부재의 제2면(852)과 상기 창 상면 지지면(781) 사이에 압착 개재되고 상기 측면둘레부(873)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2면 가장자리부(87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면 가장자리부(871)는 상기 밀봉돌기(7611)와 맞물려 더욱 밀봉됨으로써 노즐관(75)의 물이 광원설치부(77)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측면둘레부(873)는 상기 창 측면 하부지지면(762) 및 상기 창 측면 상부지지면(782)과 맞닿아 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둘레부(873)는 상기 창 측면 하부지지면(762)와 상기 창 측면 상부지지면(782)의 경계면을 커버한다.
상기 창 부재(85)와 실링부재(87)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창 하부수용부(76)와 상기 창 상부수용부(78)를 상호 압착하면, 상기 실링부재(87)가 압착되며 확실히 실링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창 측면 하부지지면(762)과 창 측면 상부지지면(782)이 맞물리는 부분을 초음파 융착하면, 융착이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초음파 융착 과정에서 용융된 창 측면 하부지지면(762)와 상기 창 측면 상부지지면(782)의 경계면이, 상기 실링부재(87)의 측면둘레부(873)와 더욱 강하게 일체화된다.
즉 실시예의 출수부재(70)에 따르면, 노즐부(71)와 광원설치부(77)를 결합하기 위해 밀착시키는 힘이 실링부재(87)를 압착하고, 또한 초음파 융착 과정에서 용융된 창 측면 하부지지면(762)과 상기 창 측면 상부지지면(782)의 경계면과 실링부재(87)가 일체화되므로, 제작이 간단하면서도, 밀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관(75)의 외주에는,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되는 키(752)가 마련된다. 상기 키(752)는 노즐관(75)의 소경부(754)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키(752)는 출수부재(70)를 디스펜서 하우징(50)에 고정하는 구성이다.
<출수부재의 설치 구조>
이하 도 2,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출수부재가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출수부재(70)는 디스펜서 하우징(50)의 노즐 지지부(551)에 설치된다.
상기 노즐 지지부(551)는 상하로 관통하는 홀 형상의 노즐 결합홀(56)을 구비한다. 상기 노즐 결합홀(56)은 원형 홀 형상으로서, 상기 출수부재(70)의 소경부(754)에 대응하는 내경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 지지부(551)에 노즐관(75)의 소경부(754)가 삽입되면, 출수부재(70)는, 상하 방향 이동과 축(O)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만이 가능하고, 그 외의 거동이 제한된다.
상기 노즐 결합홀(56)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키홈(57)이 마련된다. 상기 키홈(57)은, 상기 노즐 지지부(551)에 노즐관(75)의 소경부(754)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키(752)가 수용되고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키가 키홈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출수부재(70)의 회전도 제한된다.
상기 키홈(57)의 하단부에는, 원주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연장되는 체결공간(59)이 마련된다. 상기 노즐 결합홀(56)에 상기 노즐관의 소경부(754)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출수부재(70)를 상기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상기 키(752)는 키홈(57)으로부터 상기 체결공간(59)으로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출수부재(70)가 회전할 수 있는 각도는 상기 체결공간(59)이 연장되는 범위에 한정된다.
상기 체결공간(59)으로 이동한 키(752)의 측면은 체결공간(59)의 측벽과 맞닿게 되고, 상부면은 노즐 지지부(551)의 하부에 마련된 지지면(58)과 맞닿게 된다. 즉 체결공간(59)에 키(752)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출수부재(70)의 회전과 상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출수부재(70)의 하방으로의 이동은 상기 출수부재(70)의 깔때기부(753)의 외측면과, 상기 노즐 지지부(551)의 간섭에 의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노즐 지지부(551)에서 상기 노즐 결합홀(56)의 상부는 상기 노즐 결합홀(56)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깔때기 수용홀(561)이 마련된다. 깔때기 수용홀(561)은 상기 깔때기부(753)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그리고 상기 깔때기 수용홀(561)의 상부에는 깔때기부의 외면과 대응하는 경사면(656)이 마련된다. 상기 경사면(656)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커지는 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경사면(656)은 출수부재(70)의 초기 삽입단계에서 상기 출수부재(70)가 상기 노즐 결합홀(56)에 끼워지는 것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상기 경사면(656)은, 상기 출수부재(70)가 삽입되어 키(752)가 체결공간(59)과 같은 높이에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깔때기부(753)의 외주면과 간섭되어, 상기 출수부재(70)가 더 이상 하방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 지지부(551)에 의해 규정되는 삽입 깊이만큼 상기 출수부재(70)를 삽입하고, 이어서 상기 출수부재(70)를 상기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출수부재(70)의 설치가 완료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출수부재(7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출수부재(70)는 취출부(54)의 전방에 배치된다. 앞서 설명한바 있듯이, 상기 노즐 지지부(551)의 상부 공간은, 전후방향으로는 협소하지만 그에 비해 좌우방향으로는 여유가 있다.
상기 출수부재(70)의 광원설치부(77)는 상기 노즐관(75)을 기준으로 좌향 연장되고,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은 상기 노즐관(75)을 기준으로 우향 연장되어 상기 공간 내에 컴팩트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은 후향하면서 상향하도록 연장되고, 이에 따라 상기 취출부(54)를 회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살균이 가능한 디스펜서가 설치된 냉장고에서, 자외선 살균 동작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1시간 단위로 5분씩 광원(80)이 켜질 수 있다. 즉 55분동안 꺼진 상태, 5분동안 켜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에도 자외선 살균은 대략 5분간 이루어질 수 있다.
동일한 피크파장을 가지는 조건 하에서, 자외선 살균의 효율은 자외선의 세기와 자외선의 조사 시간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5분이라는 시간은, 실시예의 UV LED를 사용하여 앞서 설명한 세균들이 약 99.99% 이상 살균되는데 걸리는 시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냉장고
20: 냉장실 도어
21: 도어, 좌측 냉장실 도어
22: 우측 냉장실 도어
220: 개구부
23: 디스펜서
24: 제2디스플레이
25: 아이스 메이커
30: 냉동실 도어
40: 서브 도어
41: 제1디스플레이
42: 투시부
50: 디스펜서 하우징
51: 디스플레이 수용부
52: 메인 벽 부재
53: 얼음 이송장치 설치공간
54: 취출부
55: 저면부재
551: 노즐 지지부
56: 노즐 결합홀
561: 깔때기 수용홀
565: 경사면
57: 키홈
58: 지지면
59: 체결공간
60: 호스
62: 클램프
70: 출수부재
71: 노즐부
72: 물 공급부 연결관
722: 요철부
73: 플랜지
74: 우회부
75: 노즐관
751: 층류돌기
752: 키
753: 깔때기부
754: 소경부
76: 창 하부수용부(제1 부분수용부)
760: 창 수용 하부홈
761: 창 저면 지지면(제1면 지지면)
7611: 밀봉돌기
762: 창 측면 하부지지면(측면 제1부분 지지면)
763: 하부 정렬부재(홈)
764: 하부 맞물림 돌기(제1 맞물림 돌기)
77: 광원설치부
771: 기판 고정부
772: 고정돌기
773: 광 통과홀
78: 창 상부수용부(제2 부분수용부)
780: 창 수용 상부홈
781: 창 상면 지지면(제2면 지지면)
782: 창 측면 상부지지면(측면 제2부분 지지면)
783: 상부 정렬부재(돌기)
784: 상부 맞물림 돌기(제2 맞물림 돌기)
785: 융착 사면
w1: 제1접합면
w2: 제2접합면
w3: 제3접합면
80: 광원
81: 기판
82: 커넥터
83: UV LED
85: 창 부재
851: 제1면(하면)
852: 제2면(상면)
853: 측면
87: 실링부재
871: 제1면(하면)가장자리부
872: 제2면(상면)가장자리부
873: 측면둘레부

Claims (20)

  1. 일측 단부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물이 유동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타측 단부로 물이 배출되는 노즐관(75);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노즐관(75)의 내부 공간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80);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와 광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관의 내부 영역과 상기 광원의 배치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광원(80)에서 상기 노즐관(75)을 향해 조사된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창 부재(85);
    상기 창 부재가 수용되고, 수용된 상기 창 부재와 마주하는 지지면(761, 762, 781, 782)을 구비하는 창 수용부(76, 78);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물 공급부 연결관(72); 및
    상기 창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관(75)을 기준으로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원설치부(77);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관(75)의 길이방향 중심축(O)과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길이방향의 중심축(P)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며,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은, 상기 노즐관(75)의 길이방향 중심축(O)과 수직을 이루는 면(법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노즐관(75)의 둘레에 접하는 형태로 상기 노즐관(75)과 연결되는 우회부(74);를 더 포함하는 출수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면과 상기 창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8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창 부재(85)는:
    상기 노즐관(75)과 마주하는 제1면(851);
    상기 광원(80)과 마주하는 제2면(852); 및
    상기 제1면(851)과 제2면(852)을 잇는 측면(853);을 구비하고,
    상기 창 수용부는, 상기 창 부재의 측면과 마주하는 부위에서 분할되는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87)는, 상기 창 부재의 측면(853)과 상기 창 수용부의 분할 부위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둘레부(87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가 분할된 부위는 상호 접합되는 출수부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와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는 상호 초음파 융착되어 접합되는 출수부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는,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맞물림 돌기(76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는,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측면이 상기 제1맞물림 돌기(764)의 측면과 마주하는 제2 맞물림 돌기(78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물림 돌기(764)의 선단면과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가 마주하는 면(w2), 상기 제2 맞물림 돌기(784)의 선단면과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가 마주하는 면(w1) 및 상기 제1 맞물림 돌기(764)의 측면과 상기 제2 맞물림 돌기(784)의 측면이 서로 마주하는 면(w3)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서 접합되는 출수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 맞물림 돌기(764)의 측면과 상기 제2 맞물림 돌기(784)의 측면 중 어느 한 쪽에는 융착 사면(785)가 구비되는 출수부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 수용부는, 상기 노즐관(75)과 연결된 제1 부분수용부(76) 및 상기 광원설치부(77)와 연결된 제2 부분수용부(78)로 분할되는 출수부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는 노즐부(71)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는 상기 광원설치부(77)와 일체로 성형되는 출수부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의 일측에는 상부 정렬부재(783)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부분수용부(78)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정렬부재(783)와 상보적인 형상의 하부 정렬부재(763)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 정렬부재(783)와 하부 정렬부재(763)가 상호 맞물리도록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를 결합하면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과 상기 광원설치부(77)가 상기 노즐관(75)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 정렬되는 출수부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정렬부재(783)와 하부 정렬부재(763)가 서로 어긋난 상태로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를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상호 접근시키면, 상기 상부 정렬부재(783) 및 하부 정렬부재(7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부위와 간섭되어,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와 제2 부분수용부(78)가 면 접촉하지 못하는 출수부재.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창 부재(85)는:
    상기 노즐관(75)과 마주하는 제1면(851);
    상기 광원(80)과 마주하는 제2면(852); 및
    상기 제1면(851)과 제2면(852)을 잇는 측면(853);을 구비하고,
    상기 창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면과 상기 창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8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수용부(76)는, 제1면의 가장자리와 마주하는 제1면 지지면(761)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87)는, 상기 제1면 지지면(761)과 상기 제1면(851) 사이에 배치되는 제1면 가장자리부(871)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 지지면(761)에는 상기 실링부재(87)를 가압하는 폐루프 형태의 밀봉돌기(7611)가 돌출된 출수부재.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은,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길이방향의 중심축(P)이 상기 노즐관(75)의 내부 영역을 벗어나도록, 상기 노즐관(75)과 접하며 연통하는 출수부재.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과 연통하는 깔때기부(753)가 구비되고,
    상기 깔때기부(753)는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출수부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노즐관(75)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깔때기부(753)와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소경부(754)가 구비되고,
    상기 소경부(754)는 상기 깔때기부(753)와 연결되며,
    상기 소경부(754)의 내경은, 상기 소경부(754)와 연결되는 상기 깔때기부(753) 부위의 내경과 대응하는 출수부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754)에서 상기 깔때기부(753)와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소경부(754)의 중심을 향해 내향 돌출되고 상기 소경부(75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층류돌기(751)이 마련되는 출수부재.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80)은 265nm 내지 275nm의 범위 내에 피크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출수부재.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창 부재(85)는 석영 또는 PMMA 단량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 공급부 연결관(72)의 내벽면과 노즐관(75)의 내벽면에는 알루미늄 코팅층이 마련된 출수부재.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청구항 12 및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의 출수부재(70)가 결합된 디스펜서 하우징(50)이 도어(20)에 설치된 냉장고로서,
    상기 노즐관(75)의 타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키(752)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5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출수부재(70)의 노즐관(75)의 외주면과 맞물리는 노즐 결합홀(56)이 구비되고,
    상기 노즐 결합홀(56)에는 상기 키(752)가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키홈(57)이 구비되고,
    상기 노즐 결합홀(56)의 하단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키홈(57)과 연통하는 체결공간(59)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간(59)의 상단부에는 상기 키(752)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면(58)이 구비된 냉장고.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노즐관(75)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갈수록 그 외경이 좁아지는 형상의 깔때기부(753)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관(75)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깔때기부(753)와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소경부(754)가 구비되며,
    상기 키(752)는 상기 소경부(754)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노즐 결합홀(56)은 상기 소경부(754)의 외주면과 맞물리며,
    상기 노즐관(75)이 상기 노즐 결합홀(56)에 삽입되는 깊이는, 상기 깔때기부(753)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50)의 간섭에 의해 규제되는 냉장고.
KR1020190014116A 2019-02-01 2019-02-01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2472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116A KR102472287B1 (ko) 2019-02-01 2019-02-01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16/551,027 US11046571B2 (en) 2019-02-01 2019-08-26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EP22158229.9A EP4019867A1 (en) 2019-02-01 2019-08-29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EP19194405.7A EP3690367B1 (en) 2019-02-01 2019-08-29 Liquid discharging member
US17/356,051 US11440787B2 (en) 2019-02-01 2021-06-23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US17/835,274 US20220297996A1 (en) 2019-02-01 2022-06-08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116A KR102472287B1 (ko) 2019-02-01 2019-02-01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996A KR20200095996A (ko) 2020-08-11
KR102472287B1 true KR102472287B1 (ko) 2022-11-29

Family

ID=6790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116A KR102472287B1 (ko) 2019-02-01 2019-02-01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046571B2 (ko)
EP (2) EP3690367B1 (ko)
KR (1) KR102472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383B1 (ko) * 2017-01-18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100374A (ko) * 2021-01-08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14371B1 (ko) * 2021-02-10 202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라이팅 모듈 및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EP4043816A1 (en) 2021-02-10 2022-08-17 LG Electronics Inc. Lighting module and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068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펜서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의 이용방법
KR20180070355A (ko) * 2016-12-16 201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80070354A (ko) * 2016-12-16 201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80075123A (ko) 2016-12-26 2018-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살균 제어 방법
KR101918383B1 (ko) 2017-01-18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47656A1 (en) 2020-08-06
EP3690367B1 (en) 2022-04-27
US20210316981A1 (en) 2021-10-14
KR20200095996A (ko) 2020-08-11
US11440787B2 (en) 2022-09-13
EP3690367A1 (en) 2020-08-05
US11046571B2 (en) 2021-06-29
EP4019867A1 (en) 2022-06-29
US20220297996A1 (en)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2287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CN114159843B (zh) 过滤器组件、组装过滤器组件的方法以及过滤器组
CN100360186C (zh) 利用紫外线辐射的模块式高速高压液体消毒
ES2669320T3 (es) Almacenamiento de hielo con un sistema de esterilización y procedimiento de esterilización para equipo de almacenamiento y dispensado de hielo
EP3111962B1 (en) Disinfecting system for a dental instrument
CN111132702B (zh) 紫外线杀菌装置及紫外线照射装置
JP2010105745A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及び気泡を減少させる方法
US11414313B2 (en) Water purifier
WO2022048085A1 (zh) 清洁机器人
US10926990B2 (en) Liquid dispensor
US20150290347A1 (en) Sterilization for needleless connectors
GB2540166A (en) Humidifying apparatus
JP2014014798A (ja) 除菌浄化装置
TWM576883U (zh) 流體殺菌裝置
CN114380355A (zh) 一种流动水杀菌消毒装置
CN104045125A (zh) 紫外线消毒管道
JP2020014647A (ja) 紫外線殺菌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NL2024972B1 (en) Method for joining a fluid conduit and a connection hub.
WO2021070350A1 (ja) 紫外線殺菌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US20220175989A1 (en) Disinfection device
KR100912084B1 (ko) 자외선 살균 장치
KR20210150596A (ko) 수처리 시스템
KR20230086245A (ko) 유체 살균 장치
JP3872792B2 (ja) 水道用コンセント
CA3141991A1 (en) Disinf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