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188B1 -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 및 커버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 및 커버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2188B1 KR102472188B1 KR1020220066851A KR20220066851A KR102472188B1 KR 102472188 B1 KR102472188 B1 KR 102472188B1 KR 1020220066851 A KR1020220066851 A KR 1020220066851A KR 20220066851 A KR20220066851 A KR 20220066851A KR 102472188 B1 KR102472188 B1 KR 1024721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frame
- inlet
- electrical equipment
- fix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는 전기설비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구에 장착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내측에 안착되고 케이블이 통과되는 시트부, 고정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시트부의 상부에 분사되어 발포시킨 발포폼부재 및 고정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고, 발포폼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전반,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 등의 전기설비에 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부분을 밀폐하여 이물질 및 각종 해충이 전기설비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 및 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전반,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 등의 전기설비는 함체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면 합선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거나 기계적인 구동부에 이물질이 쌓여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각종 해충이 전기설비 함체 내로 침입할 경우 단락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기설비 내부를 밀폐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전기설비에는 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되기 때문에 함체의 케이블 인입구에 틈새가 발생하고 그 부분의 기밀이 취약하여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설비 함체에 일정한 홀이 형성된 부재를 장착하여 케이블을 삽입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전기설비에 따라 케이블의 형상, 종류, 크기, 굵기, 개수 등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케이블이 알맞게 삽입되지 못하며, 케이블의 위치 선정에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전반,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 등의 전기설비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구의 틈새를 막아 전기설비 내부로 이물질이 쌓이거나 각종 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 및 커버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설비에 적용되는 케이블의 형상, 종류, 크기, 굵기, 개수 등과 관계없이 모든 전기설비에 적용될 수 있는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 및 커버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는 전기설비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구에 장착되는 고정부, 고정부의 내측에 안착되고 케이블이 통과되는 시트부, 고정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시트부의 상부에 분사되어 발포시킨 발포폼부재 및 고정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고, 발포폼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기설비의 내측면과 맞닿는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에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블 인입구의 측면과 맞닿는 제2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블 인입구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는, 연질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는, 제1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고 발포폼부재의 일측면과 맞닿을 수 있다. 지지부는, 제2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고 발포폼부재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방법은 전기설비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구에 고정부를 장착하는 장착단계, 고정부의 내측에 시트부를 안착시키는 안착단계, 시트부를 천공하고 케이블을 전기설비 내부로 인입시키는 인입단계, 시트부의 상부에 발포폼부재를 분사하는 분사단계 및 고정부에 고정부의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도록 지지부를 설치하는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 및 커버 방법은 수전반,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 등의 전기설비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구에 시트부가 장착되고 발포폼부재가 발포 형성되어 케이블 인입구가 완전히 밀봉되어 외부의 분진이나 협잡물이 전기설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 및 커버 방법은 전기설비에 여러 가닥의 케이블이 접속되더라도 서로 엉킴이 없이 안전하게 고정 및 보호될 수 있으며 케이블의 형상, 종류, 크기, 굵기, 개수와 관계없이 모든 전기설비에 적용되므로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가 전기설비에 적용되는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 및 커버 방법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가 전기설비에 적용되는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1)는 수전반,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 등의 전기설비(A)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구(60)에 장착된다.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1)는 케이블 인입구(60)의 전체 면적을 패킹 할 뿐만 아니라 전기설비(A)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케이블(50)의 주위 틈새까지 밀봉하여 이물질이나 각종 해충이 전기설비(A)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1)는 고정부(10), 시트부(20), 발포폼부재(30) 및 지지부(40)를 포함한다. 고정부(10)는 전기설비(A)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구(6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일측은 전기설비(A)의 상면, 하면, 측면, 정면, 배면 등일 수 있다.
고정부(10)는 제1 프레임(11), 제2 프레임(12) 및 제3 프레임(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은 케이블 인입구(60)와 인접한 전기설비(A)의 내측면과 맞닿으며 위치하고,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은 케이블 인입구(60)의 측면과 맞닿으며 위치하고, 제1 프레임(11)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은 'ㄱ'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3)은 케이블 인입구(60)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 프레임(12)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과 제3 프레임(13)은 'ㄴ'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3)의 상부에는 시트부(20)가 안착될 수 있다.
고정부(10)는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의 후크 형태의 고리 구조를 통해 케이블 인입구(6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고정부(10)는 체결구(70)를 통하여 전기설비(A)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체결구(70)가 제1 프레임(11)에 형성된 체결홀(14) 및 전기설비(A)에 형성된 장착홀(61)에 삽입되어 고정부(10)와 체결구(70)를 상호 안정적으로 결착 시킬 수 있다. 체결구(70)는 볼트(Bolt), 리벳(Rivet), 또는 톡스(T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의 x축 방향의 길이(d1)는 제3 프레임(13)의 x축 방향의 길이(d2)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의 길이(d1)가 제3 프레임(13)의 길이(d2)보다 클 경우, 제1 프레임(11)이 전기설비(A)의 내측면과 맞닿는 면적이 커지므로 고정부(10)가 케이블 인입구(6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의 길이(d1)가 제3 프레임(13)의 길이(d2)와 같을 경우, 제2 프레임(12)을 중심으로 제1 프레임(11)과 제3 프레임(13)이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므로 구조적 균형을 이루어 고정부(1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시트부(20)는 케이블 인입구(60)와 대향하며 고정부(10)의 내측에 안착되어 케이블 인입구(60)의 전면적을 커버하며 케이블(50)이 통과될 수 있다. 시트부(20)는 제3 프레임(13)의 상부에 위치하고 케이블(50)이 전기설비(A)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시트부(20)는 천연고무 또는 인조고무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한 연질의 상태일 수 있다.
시트부(20)의 두께는 약 0.1mm 내지 2mm 일 수 있다. 시트부(20)는 얇은 박막의 형태를 가지므로 가위, 커터 등의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소정의 힘만으로 천공되어 케이블(50)을 통과시킬 수 있다. 시트부(20)에는 천공이 용이하도록 절개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시트부(20)는 케이블(50)의 크기만큼만 천공되어 케이블(50)을 통과시키므로 케이블(50)의 형상, 종류, 크기, 굵기, 개수 등과 관계없이 모든 케이블(50)에 대응할 수 있으며, 케이블(50)의 주위 틈새까지 밀봉하여 외부의 분진, 협잡물, 해충 등이 전기설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부(20)는 여러 가닥의 케이블(50)이 접속되더라도 서로 엉킴이 없이 각각의 케이블(5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발포폼부재(30)는 고정부(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시트부(20)의 상부에 분사되어 발포된 발포재일 수 있다. 발포폼부재(30)는 발포 플라스틱, 폴리머재, 우레탄 발포폼 등의 압축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포폼부재(30)는 시트부(20)를 통과하는 케이블(50)의 주변을 둘러싸며 발포 및 경화되므로, 케이블(5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40)는 고정부(10)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고 발포폼부재(30)의 상부에서 발포폼부재(3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40)는 하나 이상으로, 제1 프레임(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며 그 사이사이에 케이블(50)이 위치될 수 있다. 지지부(40)는 체결구(70)를 통해 제1 프레임(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에 형성된 지지홀(41), 제1 프레임(11)에 형성된 체결홀(14) 및 전기설비(A)에 형성된 장착홀(61)은 상호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즉, 체결구(70)는 지지홀(41), 체결홀(14) 및 장착홀(61)을 통과하여 지지부(40)를 고정부(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지지부(40)는 두께가 큰 케이블(51), 사각형 형상의 케이블(52) 등 케이블(50)의 형상, 종류, 크기, 굵기, 개수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40)는 x축과 y축 방향을 따라 직선을 따라 위치하면서 xy 단면이 사각형인 격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대각선을 따라 위치하면서 xy 단면이 삼각형, 사다리꼴 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다른 지지부(42)는 발포폼부재(30)의 내부에서 발포폼부재(30)를 지지할 수 있다. 또다른 지지부(42)는 하나 이상으로, 제2 프레임(1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며 그 사이사이에 케이블(50)이 위치될 수 있다. 또다른 지지부(42)는 제2 프레임(12)에 끼워 맞춤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다른 지지부(42)는 발포폼부재(30)의 내부를 관통하며 위치하므로 발포폼부재(30)의 골조 역할을 가지며 시트부(20)에 미치는 발포폼부재(30)의 하중을 분산시켜 전체적인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통하여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방법은 고정부 장착단계(S10), 시트부 안착단계(S20), 케이블 인입단계(S30), 발포폼부재 분사단계(S40) 및 지지부 설치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 장착단계(S10)는 전기설비(A)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구(60)에 고정부(10)를 장착하는 단계로, 여기서 케이블 인입구(60)는 전기설비(A)의 상면, 하면, 측면, 정면, 배면 등일 수 있다. 시트부 안착단계(S20)는 고정부(10)의 내측에 시트부(20)를 안착시키는 단계로, 시트부(20)는 박막 형태의 연질 고무일 수 있다.
케이블 인입단계(S30)는 시트부(20)를 천공하고 케이블(50)을 통과시켜 전기설비(A)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단계로, 가위나 커터 등의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시트부(20)를 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케이블(50)의 일측을 잡고 시트부(20)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케이블(50)의 단부는 시트부(20)를 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부(20)는 케이블(50)의 크기만큼만 천공되어 케이블(50)을 통과시킬 수 있다.
발포폼부재 분사단계(S40)는 시트부(20)의 상부에 발포폼부재를 분사하는 단계로, 케이블(50)이 시트부(20)를 통과하여 전기설비(A)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고정부(10)의 내측에 발포폼을 분사할 수 있다. 그 후 발포폼부재 경화단계(S41)를 거쳐 발포폼부재(30)가 경화되어 케이블(5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 설치단계(S50)는 고정부(10)의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도록 고정부(10)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로, 발포폼부재(30)의 상부에 지지부(40)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40)는 복수개로 케이블(50)의 형상, 종류, 크기, 굵기, 개수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키며 체결구(70)를 통해 제1 프레임(11)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 설치단계(S50)는 또다른 지지부 설치단계(S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지지부 설치단계(S51)는 제2 프레임(12)의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도록 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로, 발포폼부재(3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또다른 지지부(42)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또다른 지지부(42)는 제2 프레임(12)에 끼워 맞춤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방법은, 케이블용 인입구를 커버링하는 작업 장소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전술하였던 단계들의 순서가 서로 치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시트부 안착단계(S20)가 우선적으로 수행된 후에 순차적으로 케이블 인입단계(S30) 및 고정부 장착단계(S10)가 수행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케이블 인입구(60)가 전기설비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더불어, 전기설비의 바닥면과 지면 사이의 간격이 협소할 경우에는, 고정부(10)와 시트부(20)를 케이블 인입구(60)에 장착한 상태에서 케이블(50)을 전기설비의 내측으로 인출하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케이블 인입구(60)에서 케이블(50)을 우선 인출하여 고정부(10)에 장착된 시트부(20)를 통과시킨 뒤, 상기 고정부(10)와 시트부(20)를 케이블 인입구(6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되도록 시트부 안착단계(S20)가 우선적으로 수행된 후에 순차적으로 케이블 인입단계(S30) 및 고정부 장착단계(S10)가 수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고정부(10)는 시트부(20)가 미리 안착된 상태에서 케이블 인입구(6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10)는 생산 과정에서 시트부(20)가 미리 부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방법은 고정부(10)에 시트부(20)가 이미 부착된 경우, 시트부 안착단계(S20)는 생략되고 고정부 장착단계(S10)에서 바로 케이블 인입단계(S30)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고정부
11: 제1 프레임
12: 제2 프레임
13: 제3 프레임
14: 체결홀
20: 시트부
30: 발포폼부재
40: 지지부
41: 지지홀
42: 지지부
50: 케이블
60: 케이블 인입구
61: 장착홀
70: 체결구
11: 제1 프레임
12: 제2 프레임
13: 제3 프레임
14: 체결홀
20: 시트부
30: 발포폼부재
40: 지지부
41: 지지홀
42: 지지부
50: 케이블
60: 케이블 인입구
61: 장착홀
70: 체결구
Claims (6)
- 전기설비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 인입구에 고정부를 장착하는 장착단계,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시트부를 안착시키는 안착단계,
상기 시트부를 천공하고 케이블을 상기 전기설비 내부로 인입시키는 인입단계,
상기 시트부의 상부에 발포폼부재를 분사하는 분사단계 및
상기 고정부에 상기 고정부의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도록 지지부를 설치하는 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6851A KR102472188B1 (ko) | 2022-05-31 | 2022-05-31 |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 및 커버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6851A KR102472188B1 (ko) | 2022-05-31 | 2022-05-31 |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 및 커버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2188B1 true KR102472188B1 (ko) | 2022-11-29 |
Family
ID=84235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6851A KR102472188B1 (ko) | 2022-05-31 | 2022-05-31 |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 및 커버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218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20798A (ko) * | 1992-03-27 | 1993-10-20 | 도날드 이. 헤이즈 2세 | 개선된 케이블 입구밀봉 부재를 갖춘 캐비넷 |
KR100423746B1 (ko) | 1999-11-30 | 2004-03-22 | 주식회사 포스코 | 자동센터링 기능을 겸비한 다목적 스틸 및 러버 슬리브교체장치 |
KR20150037339A (ko) * | 2013-09-30 | 2015-04-0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 장치 |
KR20180017356A (ko) * | 2016-08-09 | 2018-02-21 | 김지민 | 분전반의 케이블 유입구가 밀봉된 보호관 |
KR20180017355A (ko) * | 2016-08-09 | 2018-02-21 | 김지민 | 분전반의 케이블 유입구에 박막이 구비된 보호관 |
-
2022
- 2022-05-31 KR KR1020220066851A patent/KR1024721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20798A (ko) * | 1992-03-27 | 1993-10-20 | 도날드 이. 헤이즈 2세 | 개선된 케이블 입구밀봉 부재를 갖춘 캐비넷 |
KR100423746B1 (ko) | 1999-11-30 | 2004-03-22 | 주식회사 포스코 | 자동센터링 기능을 겸비한 다목적 스틸 및 러버 슬리브교체장치 |
KR20150037339A (ko) * | 2013-09-30 | 2015-04-0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 장치 |
KR20180017356A (ko) * | 2016-08-09 | 2018-02-21 | 김지민 | 분전반의 케이블 유입구가 밀봉된 보호관 |
KR20180017355A (ko) * | 2016-08-09 | 2018-02-21 | 김지민 | 분전반의 케이블 유입구에 박막이 구비된 보호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6347B1 (ko) |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내진 분전반 | |
US9481329B2 (en) | Grommet and wire harness | |
US20040094319A1 (en) | Junction box | |
KR102472188B1 (ko) | 전기설비 케이블용 인입구 커버 장치 및 커버 방법 | |
US20120012218A1 (en) | Interior covering device for an aircraft cabin incorporating at least one system | |
US11962137B2 (en) | Electric junction box mount apparatus | |
US20130008903A1 (en) | Casing cover | |
CN110547055B (zh) | 车用控制装置 | |
KR200490405Y1 (ko) |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 |
KR102018483B1 (ko) | 지중케이블 보호판 | |
US6951983B1 (en) | Outlet box assembly | |
JP6730357B2 (ja) | ロボットへの線条体追加敷設方法およびロボット | |
KR102501687B1 (ko) |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케이블 인서트장치 | |
KR101136755B1 (ko) |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 | |
JP2019120027A (ja) | 止水シート及び浸水防止装置 | |
CN211712407U (zh) | 拼接式轿厢结构 | |
KR101842845B1 (ko) | 케이블 정리 장치 설치방법 | |
KR102659725B1 (ko) | 기밀성을 향상시킨 케이블인입장치를 갖는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 ess 배터리 저장장치 | |
CN103221328B (zh) | 电梯的线缆处理装置 | |
KR20190070593A (ko) |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 | |
EP3748791A1 (en) | Vertical bus line support device | |
JP3121502B2 (ja) | パネル開口部の通線用カバープレート | |
JP7512859B2 (ja) | スイッチギヤの交換方法 | |
KR102716229B1 (ko) | 차체 안착형 밴드케이블 | |
KR200214270Y1 (ko) | 배전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