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405Y1 -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405Y1
KR200490405Y1 KR2020180001233U KR20180001233U KR200490405Y1 KR 200490405 Y1 KR200490405 Y1 KR 200490405Y1 KR 2020180001233 U KR2020180001233 U KR 2020180001233U KR 20180001233 U KR20180001233 U KR 20180001233U KR 200490405 Y1 KR200490405 Y1 KR 200490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ody
fastening
cross frame
main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440U (ko
Inventor
안관승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1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405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4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4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4Corner connections for frame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은, 배전반의 메인 프레임에 크로스 프레임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체결되는 제1체결바디; 및 상기 메인 체결바디에서 상기 크로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고,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상기 크로스 프레임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체결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바디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라운드진 엣지를 감싸는 라운드 커버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BRACKET FOR SWITCHGEAR}
본 고안은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프레임과 크로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복수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뼈대를 갖추고, 그 뼈대에 기기를 부착하거나, 판금을 부착하여 외함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배전반의 외함은 외함보호등급을 만족하여야 한다. 외함보호등급은 규격으로 정해지며, 수밀 또는 기밀에 관한 사항 등을 포함한다.
배전반의 외함보호등급은 설치위치나 스프링클러와 같은 외부 환경에 따라 결정되며,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 스프링클러에 의한 주수침투가 방지가 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배전반의 프레임워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연결 브라켓이 크로스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연결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연결 브라켓의 사용시 메인 프레임과 크로스 프레임 사이의 간극이 도시된 도면이다.
프레임 워크(1)는 종래 배전반의 뼈대를 구성할 수 있으며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워크(1)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레임 워크(1)는 단부끼리 연결되는 메인 프레임과(2), 상기 메인 프레임(2)의 중간부에 단부가 연결되는 크로스 프레임(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 및 크로스 프레임(3)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 바 형상일 수 있다.
메인 프레임(2)은 프레임 워크(1)의 최외곽 라인을 형성하는 프레임이며, 일 메인 프레임의 단부와 타 메인 프레임의 단부는 코너편(미도시)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반면, 크로스 프레임(3)의 단부는 메인 프레임(2)의 중간부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크로스 프레임(3)에는 연결 브라켓(4)이 체결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4)은 메인 프레임(2)과 체결됨으로써 크로스 프레임(3)과 메인 프레임(2)간의 체결이 이뤄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2)에는 메인 체결공(6)과 엠보스 고정공(5)이 메인 프레임(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형성될 수 있다. 엠보스 고정공(5) 및 메인 체결공(6)은 메인 프레임(2)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어느 방향이든 연결 브라켓(4)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프레임(3)에는 서브 체결공(3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 브라켓(4)은 크로스 프레임(3)과 메인 프레임(2)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브라켓(4)은 크로스 프레임(3)의 내부에 인입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4)은 메인 프레임(2)과 체결되는 제1체결바디(4A)와, 크로스 프레임(3)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제2체결바디(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바디(4A)는 크로스 프레임(3)의 외부로 노출되어 메인 프레임(2)을 향할 수 있고, 제2체결바디(4B)는 크로스 프레임(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체결바디(4A)에는 단일의 제1체결공(8) 및 엠보스(9)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바디(4B)에는 제2체결공(7)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등의 체결부재는 제2체결바디(4B)의 제2체결공(7)과 크로스 프레임(3)의 서브 체결공(3A)을 함께 관통하여 연결브라켓(4)과 크로스 프레임(3)을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볼트 등의 체결부재는 제1체결바디(4A)의 제1체결공(8)과 메인 프레임(2)의 메인 체결공(6)을 함께 관통하여 연결브라켓(4)과 메인 프레임(2)을 체결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체결바디(4A)의 엠보스(9)는 메인 프레임(2)의 엠보스 고정공(5)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가 하나이더라도 엠보스(9)가 엠보스 고정공(5)에 고정됨으로써 연결 브라켓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크로스 프레임(3)의 일 단과 타 단에는 각각 연결 브라켓(4)이 체결될 수 있어 일 메인 프레임(2)과 타 메인프레임(2)의 사이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엠보스(9) 때문에 크로스 프레임(3)이 일 메인 프레임(2)과 타 메인프레임(2)의 사이에 끼워넣는 과정에서 큰 힘이 필요하였다. 또한, 일 메인 프레임(2)과 타 메인 프레임(2) 사이에 끼워진 크로스 프레임(3)을 빼내기 어려워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롤 포밍 성형을 이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메인 프레임(2)과 크로스 프레임(3)간의 접촉은 면 접촉이 아닌 선 접촉으로 이뤄지게 되어 수밀 구조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2A)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2)의 모서리와 크로스 프레임(3)의 단부 사이에 소정의 간극(g)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패킹이나 실리콘 등으로 상기 간극(g)을 커버하여 수밀 구조를 만족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제작 단가가 증가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밀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메인 프레임과 크로스 프레임의 조립이 용이한 연결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메인 프레임과 크로스 프레임의 사이로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은, 배전반의 메인 프레임에 크로스 프레임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체결되는 제1체결바디; 및 상기 메인 체결바디에서 상기 크로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고,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상기 크로스 프레임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체결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바디는 상기 제1체결바디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바디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바디에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바디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바디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라운드진 엣지를 감싸는 라운드 커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연장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방향에 대해 크로스 프레임에 접하는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체결바디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체결바디에 연결된 보강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라운드 커버부가 메인 프레임의 라운드진 엣지를 감싸므로 메인 프레임과 크로스 프레임 사이로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브라켓이 메인 프레임에 체결된 상태에서 크로스 프레임이 체결되므로 크로스 프레임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해져 조립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위치 변경이나 기타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이로써, 조립 시간 및 난이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브라켓과 크로스 프레임의 접촉 면적이 커져, 연결 브라켓과 크로스 프레임 사이의 기밀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배전반의 프레임워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연결 브라켓이 크로스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연결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연결 브라켓의 사용시 메인 프레임과 크로스 프레임 사이의 간극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프레임 워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메인 프레임에 연결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연결 브라켓에 크로스 프레임이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 및 크로스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을 또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과, 메인 프레임과, 크로스 프레임의 체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프레임이 연결 브라켓에 체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프레임이 연결 브라켓에 체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프레임 워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메인 프레임에 연결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연결 브라켓에 크로스 프레임이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상기 배전반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워크(10)와, 프레임 워크(10)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40, 이하 '연결 브라켓'으로 명명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워크(10)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 워크(10)는 복수개의 메인 프레임(20)과 복수개의 크로스 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 및 크로스 프레임(3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바 형상일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 및 크로스 프레임(30)의 엣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메인 프레임(20)은 단부끼리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일 메인 프레임(20)의 단부와 타 메인 프레임(20)의 단부는 코너편(미도시)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코너편은 3개의 메인 프레임(20)의 단부를 서로 수직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체결공(21)과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 고정공(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공(21)과 엠보스 고정공(22)는 복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체결공(21) 및 엠보스 고정공(22)는 메인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공(21) 및 엠보스 고정공(22)은 메인 프레임(2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어 어느 방향이든 연결 브라켓(40)과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는 제1체결공(21)과 후술할 연결 브라켓(40)의 제1체결바디(41)에 형성된 체결공(41A)을 함께 관통하여 메인 프레임(20)과 연결 브라켓(40)을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엠보스 고정공(22)는 연결 브라켓(40)의 제1체결바디(41)에 형성된 엠보스(41B)를 고정시킬 수 있다.
크로스 프레임(30)은 메인 프레임(20)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크로스 프레임(30)은 일 메인 프레임(20)의 중간부와 타 메인 프레임(20)의 중간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중간부는 메인 프레임(20)의 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며 일 단부보다 타 단부에 가까운 부분이라도 중간부에 해당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크로스 프레임(30)의 일 단부는 일 메인 프레임(20)의 중간부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타 메인 프레임(20)의 중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크로스 프레임(30)의 일 단부는 상기 일 메인 프레임(20)의 중간부에 체결된 일 연결 브라켓(40)에 체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타 메인 프레임(20)의 중간부에 체결된 타 연결 브라켓(40)에 체결될 수 있다.
크로스 프레임(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체결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공(31)은 복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체결공(31)은 크로스 프레임(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공(31)은 크로스 프레임(3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어 어느 방향이든 연결 브라켓(40)과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는 제2체결공(21)과 후술할 연결 브라켓(40)의 제2체결바디(42)에 형성된 체결공(44A)을 함께 관통하여 크로스 프레임(30)과 연결 브라켓(40)을 체결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 및 크로스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을 또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과, 메인 프레임과, 크로스 프레임의 체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프레임이 연결 브라켓에 체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40)은, 메인 프레임(20)에 체결되는 제1체결바디(41)와, 제1 체결바디(41)에서 크로스 프레임(3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고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상기 크로스 프레임(3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체결바디(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제2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체결바디(41)는 메인 프레임(20)의 중간부에 체결될 수 있다. 제1체결바디(41)는 메인 프레임(20)과 면접촉할 수 있다.
제1체결바디(41)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41A) 및 엠보스(41B)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41A)는 메인 프레임(20)에 형성된 제1체결공(21)과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는 체결홀(41A)과 제1체결공(21)을 함께 관통하여 제1체결바디(41)와 메인 프레임(20)을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체결바디(41)에는 메인 프레임(20)의 라운드진 엣지(20A)를 감싸는 라운드 커버부(47)가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 커버부(47)는 제1체결바디(41)에서 메인 프레임(2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 커버부(47)에 의해, 메인 프레임(20)과 연결 브라켓(40)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극이 커버될 수 있고, 별도의 실링 없이도 물이나 먼지 등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의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제2체결바디(42)는 제1체결바디(41)에서 크로스 프레임(3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체결바디(42)는 제1체결바디(41)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바디(42)의 단면 형상은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체결바디(42)는 바디부(43)와, 바디부(43)의 양 가장자리에서 크로스 프레임(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43)는 수평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연장부(44)는 바디부(43)의 전후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44)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체결바디(42)는 크로스 프레임(30)의 내면에 접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디부(43)는 크로스 프레임(30)의 내측 상면에 접하고, 한 쌍의 연장부(44)는 크로스 프레임(30)의 내측 전면 및 내측 후면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제2체결바디(42)는 제1체결바디(41)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바디(42)는 제1체결바디(41)에서 내측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제2체결바디(42)는 제1체결바디(4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부(43)는 제1체결바디(41)의 상면과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연장부(44)는 각각 제1체결바디(41)의 전면 및 후면과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크로스 프레임(30)의 단부는 제1체결바디(41)에 접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크로스 프레임(30)의 양 단부는 각 연결 브라켓(40)의 제1체결바디(41)의 내측면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크로스 프레임(30)의 단부는 물론 내면까지 연결 브라켓(40)과 면접촉 하므로, 크로스 프레임(30)과 연결 브라켓(40) 사이의 기밀이 더욱 강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체결바디(42)에는, 제2체결바디(42)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방향에 대해 크로스 프레임(30)을 지지하는 접촉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접촉부(45)는 제2체결바디(42)의 연장부(44)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45)는 크로스 프레임(30)에 접할 수 있다.
접촉부(45)는 연장부(44)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45)는 제1체결바디(4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접촉부(45)가 제1체결바디(41)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접촉부(45)의 강성이 커지고 크로스 프레임(30)이 제2방향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체결바디(42)에는 제2체결바디(42)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4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보강부(46)는 제2체결바디(42)의 연장부(44)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부(46)는 접촉부(45)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강부(46)는 연장부(44)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46)는 제1체결바디(41)와 연결될 수 있다. 보강부(46)에 의해 제2체결바디(42)의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제2체결바디(42)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44A) 및 엠보스(44B)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상기 체결홀(44A) 및 엠보스(44B)는 제2체결바디(42)의 연장부(44)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44A)는 크로스 프레임(30)에 형성된 제2체결공(31)과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는 상기 체결홀(44A)과 제2체결공(31)을 함께 관통하여 제2체결바디(42)와 크로스 프레임(30)을 체결시킬 수 있다. 엠보스(44B)는 크로스 프레임(30)의 내측에 형성된 엠보스 고정부(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크로스 프레임(30)에는 제2체결바디(42)가 삽입되는 개방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32)는 크로스 프레임(30)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32)는 상기 제1방향으로 관통되지 않고 상기 제2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 프레임(30)의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가지도록 크로스 프레임(30)의 일면 전체가 개방되어 개방부(32)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40)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는 일 메인 프레임(20) 및 타 메인 프레임(20)에 각각 연결 브라켓(40)을 체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일 메인 프레임(20)에 체결된 일 연결 브라켓(40)과 타 메인 프레임(20)에 체결된 타 연결 브라켓(4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일 연결 브라켓(40)과 상기 타 연결 브라켓(40)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메인 프레임(20)의 제1체결공(21) 및 연결 브라켓(40)의 제1체결바디(41)에 형성된 체결홀(41A)를 함께 관통시켜 연결 브라켓(40)을 메인 프레임(2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이 때 메인 프레임(20)의 엠보스 고정공(22)에 연결 브라켓(40)의 제1체결바디(41)에 형성된 엠보스(41B)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엠보스(41B)가 구비된 연결 브라켓(40)이 메인 프레임(20)에 우선적으로 체결되므로, 체결 시 엠보스로 인해 크로스 프레임에 큰 힘을 가해야 했던 종래에 비해 조립이 훨씬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후, 작업자는 크로스 프레임(30)을 상기 일 연결 브라켓(40)과 타 연결 브라켓(40)의 사이로 끼울 수 있다. 크로스 프레임(30)의 일 단부측 개방부(32)에는 상기 일 연결 브라켓(40)의 제2체결바디(42)가 삽입되고, 타 단부측 개방부(32)에는 상기 타 연결 브라켓(40)의 제2체결바디(42)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크로스 프레임(30)의 양 단부는 각각 일 연결 브라켓(40)의 제1체결바디(41)의 내측면과 타 연결 브라켓(40)의 제1체결바디(41)의 내측면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즉, 일 연결 브라켓(40)의 제1체결바디(41)와 타 연결 브라켓(40)의 제1체결바디(41) 사이의 거리는 크로스 프레임(3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와 유사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크로스 프레임(30)의 제2체결공(31) 및 연결 브라켓(40)의 제2체결바디(42)에 형성된 체결홀(44A)를 함께 관통시켜 연결 브라켓(40)을 크로스 프레임(2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즉, 메인 프레임(20)에 체결된 상태의 연결 브라켓(40)에 크로스 프레임(30)을 체결하므로, 크로스 프레임(30)의 체결/분해가 용이해지고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도 1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프레임이 연결 브라켓에 체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프레임(30)에는 일 연결 브라켓(40)의 접촉부(45)와 상기 타 연결 브라켓(40)의 접촉부(45)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3)는 크로스 프레임(30)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3)의 상기 제1방향에 대한 길이는, 상기 일 연결 브라켓(40)과 상기 타 연결 브라켓(40) 사이의 상기 제1방향에 대한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돌출부(33)는 각 연결 브라켓(40)의 접촉부(45)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33)에 의해 크로스 프레임(30)의 조립이 더욱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뤄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메인 프레임 30: 크로스 프레임
40: 연결 브라켓 41: 제1체결바디
42: 제2체결바디 43: 바디부
44: 연장부 45: 접촉부
46: 보강부 47: 라운드 커버부

Claims (10)

  1. 배전반의 메인 프레임에 크로스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에 체결되는 제1체결바디; 및
    상기 제1체결바디에서 상기 크로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크로스 프레임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체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바디는,
    상기 제1체결바디에서 상기 크로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체결바디와 바디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프레임의 단부가 상기 제1체결바디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2체결바디는 상기 제1체결바디와 단차지게 형성된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바디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된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바디에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가 형성된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된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스가 형성된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바디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라운드진 엣지를 감싸는 라운드 커버부가 형성된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연장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방향에 대해 크로스 프레임에 접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체결바디에 연결된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연장부에서 상기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체결바디에 연결된 보강부가 더 형성된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KR2020180001233U 2018-03-21 2018-03-21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KR200490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33U KR200490405Y1 (ko) 2018-03-21 2018-03-21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33U KR200490405Y1 (ko) 2018-03-21 2018-03-21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40U KR20190002440U (ko) 2019-10-01
KR200490405Y1 true KR200490405Y1 (ko) 2019-11-07

Family

ID=6816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33U KR200490405Y1 (ko) 2018-03-21 2018-03-21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4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097B1 (ko) * 2021-05-04 2021-09-16 주식회사 금산전기 배전선로용 전원공급장치 구축방법
KR102303105B1 (ko) * 2021-05-04 2021-09-17 주식회사 금산전기 배전선로 전자파 차폐시스템 구축방법
KR102303099B1 (ko) * 2021-05-04 2021-09-16 주식회사 금산전기 신도시 지중 배전반 연결 브라켓 시스템 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890B1 (ko) * 1998-12-31 2002-05-09 이종수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
KR200411049Y1 (ko) * 2005-12-29 2006-03-15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내풍압 향상용 창짝 코너연결재
JP2017528003A (ja) * 2014-09-11 2017-09-21 パンドウィ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電子機器キャビネ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28Y1 (ko) * 2009-09-01 2011-06-23 주식회사 우경피엔제이 슬라이딩 랙용 플라콘 지지 스토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890B1 (ko) * 1998-12-31 2002-05-09 이종수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
KR200411049Y1 (ko) * 2005-12-29 2006-03-15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내풍압 향상용 창짝 코너연결재
JP2017528003A (ja) * 2014-09-11 2017-09-21 パンドウィ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電子機器キャビネ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40U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405Y1 (ko)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US5536079A (en) Cabinet
CA2937586C (en) Base assembly for the rack of a switchgear cabinet
JP2017507485A (ja) 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または分電盤用のラックのフレーム部材
US6142594A (en) Rack with a lower frame and an upper frame made of a continuous section
KR102159030B1 (ko) 복합패널로 형성하는 접속반의 몸통구조
KR101917280B1 (ko) 건물외장 구조물
KR20180048168A (ko) 스틸커튼월용 유리패널모듈의 수직고정장치
JP2015216323A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内部排水構造
JP3157327U (ja) 通気ルーバー装置
KR101585769B1 (ko) 모듈러 구조물
KR102272074B1 (ko) 지붕판넬 상의 구조물 연결 장치
JP2018050661A (ja) ラックの側枠構造体
KR20070011766A (ko) 방음벽
KR101891286B1 (ko) 가구 조립구조
KR101975087B1 (ko) 스틸커튼월용 유리패널모듈의 수평고정장치
KR102111802B1 (ko) 칸막이 조립체
KR20200137506A (ko) 메탈 패널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탈 패널
JP2008095279A (ja) 脱着式壁パネル
KR102609271B1 (ko) 벽체 구조
JPH034085Y2 (ko)
JP7510644B2 (ja) ガスケット部品及びサッシ
KR200377459Y1 (ko) 격자형 십자중문 조립체
JP7285095B2 (ja) 防音箱の防水構造
JP6174886B2 (ja) 腰壁パネルフレーム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