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025B1 - 방화문 - Google Patents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025B1
KR102472025B1 KR1020210014074A KR20210014074A KR102472025B1 KR 102472025 B1 KR102472025 B1 KR 102472025B1 KR 1020210014074 A KR1020210014074 A KR 1020210014074A KR 20210014074 A KR20210014074 A KR 20210014074A KR 102472025 B1 KR102472025 B1 KR 10247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oor
fire door
present
ir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4725A (ko
Inventor
김영동
Original Assignee
신우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6284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03320A/ko
Application filed by 신우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0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E06B2003/7051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of layered construction involving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 커버에 대한 발명이며, 화재발생시 방화문에 전달되는 열전달을 방지하며, 결로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전면철판(111) 및 후면철판(112)이 상호 대응되며, 내부에 제1단열재(120)가 수용된 도어부(100);,판재형상이며, 상기 도어부 외측 일면에 부착되는 커버(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방화문 {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 커버에 대한 발명이며, 화재발생시 방화문에 전달되는 열전달을 방지하며, 결로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특허발명 001은 차열과 단열 및 밀폐 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벽면 출입구에 고정 설치된 문틀 프레임 내에 방화문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의 차열과 단열 및 밀폐 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
기 문틀 프레임을 "ㄷ"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또는 용접한 내,외측 프레임으로 성형하되, 상호 겹치도록 접촉시킨 내,외측 프레임의 외측 고정판 사이에는 단열판을 삽입하여 복수의 리벳을 통해 상호 일체로 고정하고, 내측에서 상호 이격되는 형태를 갖는 내,외측 프레임의 단부에서 문틀 프레임의 내부 방향으로 각각 단열재 고정편을 일체로 절곡 성형하며, 상기 내,외측 프레임의 접촉부에 절곡 성형된 단열재 고정편 사이 및 내,외측 프레임 내부에는 한 쌍의 단열재 고정편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성형된 사각바형 단열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상기 내,외측 프레임의 접촉부 외면을 포함하여 접촉부 사이로 노출된 단열재의 외면에는 가스켓 위치 조절수단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방화문 내면과 근접되는 상기 가스켓 위치 조절수단의 내측 단부에는 방화문과 문틀 프레임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소정형상의 밀폐용 가스켓을 설치하는 것을 제시한다.
특허발명 002는 결로 방지용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방화문을 구성하는 바디의 플랜지에 제2패킹과 커버의 평면판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평면판에 형성한 패드를 절곡시키면서 해밍작업을 실시하여, 패드와 제2패킹과 플랜지와 평면판의 외측 일부를 일체화시키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해밍작업에 의한 밀폐력 향상으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
는 기술을 제시한다.
특허발명 003은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개폐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내외를 구획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며, 벽체에 고정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외 쪽에 위치되고, 금속재로 구비되는 외측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상기 외측프레임의 일 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내 쪽에 위치되고, PVC 발포폼으로 구비되는 내측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상기 외측프레임의 양 측단 중 상기 내측프레임과 결합하지 않는 일 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며, 그 일 측단이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 측단 중 상기 외측프레임과 결합하지 않은 일 측단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 측단에 형성되되 상기 내측프레임의 양 측단 중 상기 외측프레임과 결합하지 않은 일 측단이 결합되도록 실내 측으로 노출되어 구비되는 결합홈을 가지는 결합부재; 및 상기 외측프레임, 상기 내측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 및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내부에 충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방화문 구조체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방화문을 구성하는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 간에 개재되는 단열재 또는 차열 패널이 일체적으로 보다 견고하게 구성되도록 하여 내구성과 내화성을 확보하고, 프론트 패널과 리어 패널 간의 기밀성 확보로 결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장식겸용 마감재로 마감할수 있어 딱딱한 방화문의 형태에서 벗어나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화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방화문 구조체 및 그의 제작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317217 B1 (등록일자 2013년10월04일) KR 10-1892482 B1 (등록일자 2018년08월22일) KR 10-1869551 B1 (등록일자 2018년06월14일) KR 10-1870772 B1 (등록일자 2018년06월19일)
본 발명은 방화문 커버에 대한 발명이며, 화재발생시 방화문에 전달되는 열전달을 방지하며, 결로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전면철판(111) 및 후면철판(112)이 상호 대응되며, 내부에 제1단열재(120)가 수용된 도어부(100);, 판재형상이며, 상기 도어부 외측 일면에 부착되는 커버(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 및 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제2단열재(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양측에 절곡 형성된 제1플랜지(2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 및 커버를 일체로 덮으며, 접착되는 필름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철판 및 후면철판의 모서리 단부에 위치하며, 전면철판 및 후면철판을 이격시켜 결합하는 열전도차단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어부 외부에 부착된 커버, 상기 커버 및 도어부 사이에 형성된 단열판에 의해 열전달을 차단하며, 결로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커버 플랜지에 의해 도어부와 체결되므로 종래의 방화문 도어에 체결가능 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커버는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체결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며, 이는 커버와 도어부 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버는 절곡부를 형성하므로 굽힘에 따른 형상계수를 증대시켜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 방화문 단열 및 결로방지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방화문 단열 및 결로방지커버의 실시예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방화문 단열 및 결로방지커버의 단부 형상 실시예 측명도.
도 4는 본 발명 방화문 단열 및 결로방지커버의 조립전 후 비교도.
도 5는 본 발명 방화문 단열 및 결로방지 커버 내부에 삽입되는 제2단열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방화문 단열 및 결로방지 커버의 내부커버 및 외부커버에 대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전면철판(111) 및 후면철판(112)이 상호 대응되며, 내부에 제1단열재(120)가 수용된 도어부(100);, 판재형상이며, 상기 도어부 외측 일면에 부착되는 커버(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스테인레스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것이며, 방화문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며, 결로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방화문의 도어부 표면 일측에는 커버를 장착한다. 상기 커버는 스테인레스 금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균등한 목적의 재질로 치환 가능하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커버 부착위치에 함몰 형성되는 커버수용부(140);를 포함한다.
방화문 외부로 돌출된 커버는 안정적이며 균형적인 외적 형상을 상실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어부 표면은 커버 높이만큼 함몰부를 형성하여, 상기 함몰부에 커버를 안착시켜, 방화분 표면은 편평도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전면철판(111) 및 후면철판(112)이 상호 대응되며, 내부에 제1단열재(120)가 수용된 도어부(100);, 판재형상이며, 상기 도어부 내측 일면에 부착되는 커버(200)(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커버 위치가 도어부 내부에 수용되는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상기 커버(내부커버)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커버 일측에는 제1단열재가 위치하며, 타측에는 제2단열재가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내부커버 및 전면철판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층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 및 전면철판 사이에는 스페이서를 위치시켜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내부철판에 형성된 비드돌기 또는 별도의 금속구조물에 의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 및 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제2단열재(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2단열재는 하나 또는 복수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제2단열재에 있어서, 복수의 판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든 판재에 형성되며, 균일 배치되며, 관통 형성된 관통공(221);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2단열재 양측면에는 접착제(222)가 형성되어 도어부 표면 및 커버의 내측면과 접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2단열재는 미네랄울섬유, 글라스울섬유, 세라믹섬유, 탄소섬유, 식물성섬유, 폴리에스테르, 발포폴리스티렌, 우레탄폼, 페놀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어부 및 커버 사이에는 단열재를 삽입한다. 상기 단열재는 커버와 도어부의 직접적인 열전달을 차단하며, 결로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단열재(제2단열재)는 하나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복수의 판재를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판재로 형성될 경우, 각각의 판재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판재는 관통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열전달을 지연시키며, 결로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관통구는 균일한 크기로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불균일한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도어부 및 커버 사이의 제2단열재는 양단에 접착제를 형성하여, 도어부 및 커버를 결착시킨다. 복수의 판재로 이루어진 제2단열재는 각각 상이한 밀도를 가지므로 열전달의 경계면을 형성한다. 즉, 열전달 속도 지연의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 양측에 절곡 형성된 제1플랜지(231);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측에 절곡 형성된 제2플랜지(232);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는 도어부 모서리부와 체결수단(234);으로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커버와 도어부를 결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커버의 양단면은 90도 각도로 절곡된 제1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1플랜지는 도어부의 모서리에 결합된다. 따라서 커버의 양측면이 도어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하부결합을 위해, 커버 하부는 제2플랜지를 형성한다. 상기 제2플랜지는 제1플랜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제1, 2플랜지 및 도어부는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 또는 리벳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용접으로 접합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후크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부 및 커버는 직접 밀착되지 않으며, 단열재에 의해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평면은 곡면으로 변형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제2플랜지 대응면에 형성되는 보강부(233);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표면에 형성되는 비드(210);를 포함한다.
커버의 양측면 및 하부가 결합될 경우,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즉, 상부는 변형될 우려가 높으며, 특히 도어부 및 커버 사이의 간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커버 평면은 곡선을 형성한다. 즉 결합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탄성변형에 의해 밀착시키려는 탄성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커버 상부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에는 보강부를 형성한다. 상기 보강부는 철판이 180도 절곡된 해밍부(233c)를 형성하거나, 원형으로 마는 커링절곡(233d)을 하거나, 직각으로 90도 절곡(233b)하거나, 원형(233a)으로 절곡할 수 있다. 상기 절곡에 의해 커버 및 도어부 사이에 삽입된 단열재의 이탈 및 외부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커버 표면에는 복수의 비드를 형성한다. 상기 비드는 형상계수를 높이므로 굽힘응력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 및 커버를 일체로 덮으며, 접착되는 필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부 및 커버의 마감을 위해 필름부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필름부는 문양을 형성하며, 일체로 형성되는 바, 방화문 표면의 커버가 방화문과 일체구조물처렴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필름부 표면에 접착제를 형성하여, 커버의 방화문 표면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필름부는 난연비닐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전면철판 및 후면철판의 모서리 단부에 위치하며, 전면철판 및 후면철판을 이격시켜 결합하는 열전도차단부(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차단부는 글라스파이버, 페놀수지 및 탄산칼슘의 합성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열 전도를 차단하기 위한 물질에 대한 것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글라스파이어, 페놀수지 및 탄산칼슘이 혼합된 조성물로 형성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파이버는 50~70중량%;, 상기 페놀수지는 20~40중량%;, 상기 탄산칼슘은 5~10중량%;을 포함한다.
상기 글라스파이버는 용융한 유리를 섬유 모양으로 한 광물섬유이다. 글라스파이버는 기재층 역할을 하며, 치수 안정성 및 내열성을 증가시킨다. 글라스파이버는 50~70중량% 함유되며, 함량이 50중량% 미만이면 치수안정성 및 내열성에 대한 효과가 미미하고, 70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페놀수지는 레졸계 페놀수지와 노볼락계 페놀수지로 구분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페놀수지는 제품 형상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며, 점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페놀수지는 20~40중량% 함유되며, 함량이 20중량% 미만이면 성형성이 저하되고, 40중량%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과 열적 성질이 저하된다. 상기 탄산칼슘은 칼슘의 탄산염으로 대리석, 방해석, 석회석, 백악, 빙주석, 조개껍데기, 달걀껍데기, 산호 등에 존재한다. 상기 탄산칼슘은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투입된다. 탄산칼슘은 5~10중량% 함유되며,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내열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취약해진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파이버는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로 치환되어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열전도차단재의 난연성 향상을 위해,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가 글라스파이버를 대신하여 사용된다. 또는 이와 치환되어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소재로 치환될 수 있다.
[실시예 5-5] 본 발명은 방화문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탄산칼슘은 무기질로 변환되어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품의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탈크, 운모석, 규회석, 장석 등의 등의 무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이와 치환되어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광물로 치환될 수 있다.
100 : 도어부 111 : 전면철판
112 : 후면철판 120 : 제1단열재
130 : 열전도차단부 140 : 커버수용부
200 : 커버 210 : 비드
220 : 제2단열재 221 : 관통공
222 : 접착제 231 : 제1플랜지
232 : 제2플랜지 233 : 보강부
234 : 체결수단 300 : 필름부

Claims (5)

  1. 방화문에 있어서,
    전면철판(111) 및 후면철판(112)이 상호 대응되며, 내부에 제1단열재(120)가
    수용된 도어부(100);,
    판재형상이며, 상기 도어부 외측 일면에 부착되는 커버(200);
    상기 커버 표면에 형성되는 비드(210);
    상기 도어부 및 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제2단열재(220);
    상기 제2단열재는 하나 또는 복수의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판재에 균일하게 배치되어 관통 형성된 관통공(221);
    상기 커버 양측에 절곡 형성된 제1플랜지(231);
    상기 커버 하측에 절곡 형성된 제2플랜지(232);
    상기 제2플랜지 대응면에 형성되는 보강부(233);
    상기 도어부 및 커버를 일체로 덮으며, 접착되는 필름부(300);
    상기 커버 평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화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철판 및 후면철판의 모서리 단부에 위치하며, 전면철판 및 후면철판을 이격시켜 결합하는 열전도차단부(130);를 포함하는 방화문.

KR1020210014074A 2019-05-29 2021-02-01 방화문 KR102472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074A KR102472025B1 (ko) 2019-05-29 2021-02-01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845A KR20210003320A (ko) 2019-05-29 2019-05-29 방화문
KR1020210014074A KR102472025B1 (ko) 2019-05-29 2021-02-01 방화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845A Division KR20210003320A (ko) 2019-05-29 2019-05-29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725A KR20210014725A (ko) 2021-02-09
KR102472025B1 true KR102472025B1 (ko) 2022-11-30

Family

ID=8423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074A KR102472025B1 (ko) 2019-05-29 2021-02-01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0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310B1 (ko) * 2017-12-07 2018-04-27 김영동 전도차단재 및 방화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694B1 (ko) * 2010-01-06 2012-06-08 임찬묵 불연 패널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NO335226B1 (no) * 2011-11-22 2014-10-20 Bocon Holding As Branndørblad.
KR101317217B1 (ko) 2013-04-30 2013-10-15 대동철강공업 주식회사 차열과 단열 및 밀폐 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101892482B1 (ko) 2015-10-29 2018-10-04 박시묵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101869551B1 (ko) 2016-08-17 2018-06-20 김영은 결로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시스템
KR20190020242A (ko) * 2017-08-18 2019-02-28 주식회사 투인텍 차열 및 결로방지 방화문
KR102019261B1 (ko) * 2017-09-05 2019-09-10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결로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 출입문 및 그 제조방법
KR101870772B1 (ko) 2018-02-12 2018-08-02 주식회사 명보 내화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방화문 구조체 및 그의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310B1 (ko) * 2017-12-07 2018-04-27 김영동 전도차단재 및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725A (ko)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496A (en) Metal and wood door with composite perimeter
KR100766199B1 (ko) 방화문의 결로방지 장치
KR101839310B1 (ko) 전도차단재 및 방화문
KR102472025B1 (ko) 방화문
KR101942858B1 (ko) 복합성능 방화문
KR102115829B1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 구조
JP2023065679A (ja) ドア
KR101863614B1 (ko) 방화문의 단열구조
KR102064271B1 (ko)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
KR20210003320A (ko) 방화문
KR101311242B1 (ko) 방화문
JP6580393B2 (ja) ドア
KR20100040602A (ko) 결로 방지를 위한 공조기의 복합 프레임
KR101925486B1 (ko)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JP2019108669A (ja) 建具
JPH0113743Y2 (ko)
KR102214125B1 (ko) 단열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KR102174741B1 (ko) 방화문 문틀
KR101007757B1 (ko) 슬림형 단열 복합패널
JP3233199U (ja) サウナ室構造
KR102359837B1 (ko) 방화문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036133B1 (ko) 복합성능 방화문
JP7075103B1 (ja) 耐火パネルの嵌合構造
JP2019108668A (ja) 建具
KR102575594B1 (ko) 3피스 구조의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