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482B1 - 결로 방지용 방화문 - Google Patents

결로 방지용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482B1
KR101892482B1 KR1020150151025A KR20150151025A KR101892482B1 KR 101892482 B1 KR101892482 B1 KR 101892482B1 KR 1020150151025 A KR1020150151025 A KR 1020150151025A KR 20150151025 A KR20150151025 A KR 20150151025A KR 101892482 B1 KR101892482 B1 KR 101892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door
flange
fire door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018A (ko
Inventor
박시묵
Original Assignee
박시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묵 filed Critical 박시묵
Priority to KR102015015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4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 방지용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써, 그 목적으로는 방화문(2)을 구성하는 바디(22)의 플랜지(26)에 제2패킹(40)과 커버(24)의 평면판(42)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평면판(42)에 형성한 패드(44)를 절곡시키면서 해밍작업을 실시하여, 패드(44)와 제2패킹(40)과 플랜지(26)와 평면판(42)의 외측 일부를 일체화시키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해밍작업에 의한 밀폐력 향상으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프레임(4)에 방화문(2)이 경첩(6)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결로 방지용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2)은 플랜지(26), 제3측벽면(28), 도어단턱면(30), 제4측벽면(32), 돌출면판(34)이 순차적으로 연결 되면서 함몰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바디(22)와, 상기 플랜지(26)에 끼워져 결합 되면서 방화문(2)에 밀폐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40)과, 상기 바디(22)의 개방된 전면에 설치 되면서 플랜지(26)에 결합되어 제2패킹(40)을 고정시키는 커버(24),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로 방지용 방화문{fire door for prevention dew condensation}
본 발명은 결로 방지용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을 구성하는 바디의 플랜지에 제2패킹과 커버의 평면판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평면판에 형성한 패드를 절곡시키면서 해밍작업을 실시하여, 패드와 제2패킹과 플랜지와 평면판의 외측 일부를 일체화 시킴으로써, 해밍작업에 의한 밀폐력 향상으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결로 방지용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가정 및 사무실 등의 출입구 벽체에는 도어프레임과 함께 방화문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방화문과 도어프레임은 실외의 소음과 공기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됨으로, 층간소음과 단열효과 그리고 결로현상 등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화문은 결로현상을 보다 완전하게 방지하기 위해 구조 및 제작방식을 개선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KR 20-0360568 Y1 2004.08.20. "방화문의 구조"를 도 1 에서 살펴보면, 먼저 건물의 벽체에 출입문을 구성하는 문틀(20)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문틀(20)에는 방화문(10)이 경첩(30)으로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방화문(10)은 금속판을 절단한 다음 리벳 또는 나사로 조립 하거나 용접하여 도어 형태로 만들게 되는데, 이때 불안전하게 용접된 용접부의 틈과 리벳과 나사의 틈으로 통로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방화문(1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틈으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통과하게 됨으로, 상기 방화문(10)에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로 인해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방화문(10)에서 부식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상기 방화문(10)에 형성된 틈으로 화재시 발생되는 화염과 매연 등이 통과하게 되어 2차적인 화재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방화문을 구성하는 바디의 플랜지에 제2패킹과 커버의 평면판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평면판에 형성한 패드를 절곡시키면서 해밍작업을 실시하여, 패드와 제2패킹과 플랜지와 평면판의 외측 일부를 일체화시키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해밍작업에 의한 밀폐력 향상으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프레임(4)에 방화문(2)이 경첩(6)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결로 방지용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2)은 플랜지(26), 제3측벽면(28), 도어단턱면(30), 제4측벽면(32), 돌출면판(34)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면서 함몰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바디(22)와, 상기 바디(22)의 제3측벽면(28)의 폭은 제4측벽면(32)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도어단턱면(30)에는 패킹 홈(33)이 상기 제4측벽면(32)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패킹 홈(33)에는 밀폐력을 제공하는 패킹(35)이 끼어져 결합되고, 상기 도어프레임(4)의 상기 패킹(19)은 방화문(2)이 닫힐때 상기 도어단턱면(30)에 설치된 상기 패킹(35)과 어긋나게 위치하면서 도어단턱면(30)에 접하도록 하며, 상기 플랜지(26)에 끼워져 결합 되면서 방화문(2)에 밀폐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40)과, 상기 바디(22)의 개방된 전면에 설치되면서 플랜지(26)에 결합되어 제2패킹(40)을 고정시키는 커버(24)와, 상기 커버(24)를 형성하는 평면판(42) 둘레에 패드(44)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패드(44)는 제2패킹(40)과 플랜지(26)를 안쪽에 포함시킨 상태에서 절곡한 다음, 해밍작업으로 패드(44)와 제2패킹(40)과 플랜지(26)와 평면판(42)의 일부를 일체화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방화문(2)을 구성하는 바디(22)의 플랜지(26)에 제2패킹(40)과 커버(24)의 평면판(42)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평면판(42)에 형성한 패드(44)를 절곡시키면서 해밍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패드(44)와 제2패킹(40)과 플랜지(26)와 평면판(42)의 외측 일부를 일체화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따라서 해밍작업에 의한 밀폐력 향상으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인 방화문이 도어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방화문이 도어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방화문의 사시도.
도 4a 내지 4c 는 본 발명인 방화문의 조립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인 방화문의 커버가 평면인 상태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방화문이 도어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방화문의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반화문의 분리 사시도.
도 9 는 도 7 의 A - A 선 단면도.
도 10 은 도 7 의 B - B 선 단면도.
본 발명인 방화문(2)은 아파트, 주택, 사무실 등의 출입구에 위치한 도어프레임(4)에 경첩(6)으로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방화문(2)은 건물의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화재발생시에 화염으로 인한 고열과 매연이 실내 또는 실외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금속재질의 도어프레임(4)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출입구 벽체(8) 사이에서 직사각형 모양으로 설치 되는데, 상기 도어프레임(4)은 출입구의 전면(10)에서 부터 제1측벽면(12)과 단턱면(14)과 제2측벽면(16)과 패킹삽입홈(18)이 순차적으로 연결 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측벽면(12)의 폭은 제2측벽면(16)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턱면(14)에는 패킹홈(17)이 제1측면벽(12) 안쪽에서 내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17)에는 밀폐력을 제공하는 패킹(19)이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패킹삽입홈(18)에는 밀폐력을 제공하는 패킹(20)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패킹(19,20)은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만들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도어프레임(4)에 설치된 금속재질의 방화문(2)은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바디(22)와 커버(24)로 나누어져 구성 되는데, 상기 바디(22)는 플랜지(26)와 제3측벽면(28)과 도어단턱면(30)과 제4측벽면(32)과 돌출면판(34)이 순차적으로 연결 되면서 함몰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측벽면(28)의 폭은 제4측벽면(32)의 폭 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단턱면(30)에는 패킹홈(33)이 제4측벽면(32)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33)에는 밀폐력을 제공하는 패킹(35)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방화문(2)의 바디(22)를 형성하는 제3측벽면(28)의 폭은 도어프레임(4)의 제1측벽면(12) 사이를 출입할 수 있을 정도면 적당하고, 상기 바디(22)의 제4측벽면(32) 폭은 도어프레임(4)의 제2측벽면(16) 사이를 출입할 수 있을 정도면 적당하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26)는 바디(22)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플랜지(26)에는 밀폐기능을 갖는 제2패킹(40)이 바디(22)의 둘레면을 따라 끼워져 결합 되며, 상기 제2패킹(40)은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만들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바디(22)의 전면에 설치된 커버(24)는 플랜지(26)와 같은 사이즈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된 평면판(42)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평면판(42) 둘레에는 패드(44)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24)의 평면판(42)은 홈이 형성된 형태로 만들어지지만, 상기 평면판(42)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으로 된 평판으로 만들 수도 있다.
상기 패드(44)는 제2패킹(40)과 플랜지(26)를 안쪽에 포함시킨 상태에서 절곡 형성되고, 동시에 해밍작업에 의해 패드(44)와 제2패킹(40)과 플랜지(26)와 평면판(42)의 일부가 일체화 된다.
상기와 같이 방화문(2)에 설치된 제2패킹(40)은 도어프레임(4)의 전면(10)에 밀착하게 되며, 상기 방화문(2)의 돌출면판(34)은 도어프레임(4)에 설치된 패킹(20)에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화문(2)의 커버(24) 일측에는 경첩(6)의 타측이 리벳으로 결합되고, 상기 경첩(6)의 일측은 도어프레임(4)에 리벳으로 결합 되는데, 따라서 상기 방화문(2)은 경첩(6)의 힌지축(4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도어프레임(4)의 출입구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립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화문(2)의 조립과정은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된 상태에서,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2)의 플랜지(26)에 제2패킹(40)의 일부를 끼워 결합하며, 상기 도어단턱면(30)에 형성된 패킹홈(33)에는 패킹(35)을 끼워 결합한다.
상기 이후로 바디(22)의 전면에 커버(24)를 밀착시키면, 상기 커버(24)의 평면판(42) 외측은 바디(22)의 플랜지(26)에 밀착하면서 개방된 부분을 덮게 되고, 동시에 패드(44)는 플랜지(26)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패드(44)를 안쪽으로 절곡시키면 상기 패드(44)는 제2패킹(40)과 플랜지(26)를 안쪽에 포함시키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패드(44)에 대해 해밍작업을 실시함으로써 패드(44)와 제2패킹(40)과 플랜지(26)와 평면판(42)의 일부가 일체화 되게 하면,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화문(2)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이후로, 방화문(2)의 커버(24) 일측에 경첩(6)의 타측을 리벳으로 결합하여 고정하고, 상기 경첩(6)의 일측은 리벳으로 도어프레임(4)에 결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따라서 상기 방화문(2)은 도어프레임(4)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방화문(2)이 도어프레임(4)에서 닫힘상태로 있게 되면, 방화문(2)의 돌출면판(34)은 도어프레임(4)에 설치된 패킹(20)에 밀착하게 되고, 상기 방화문(2)의 제4측벽면(32)은 도어프레임(4)의 제2측벽면(16)에 접하게 되며, 상기 방화문(2)의 도어단턱면(30)에 설치된 패킹(35)은 도어프레임(4)의 단턱면(14)에 접하게 되고, 상기 도어프레임(4)의 단턱면(14)에 설치된 패킹(19)은 방화문(2)의 도어단턱면(30)에 접하게 되며, 상기 방화문(2)의 제3측벽면(28)은 도어프레임(4)의 제1측벽면(12)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화문(2)의 제2패킹(40)은 도어프레임(4)의 전면(10)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방화문(2)이 닫힘상태로 있게 되면 실외로부터 전달되는 소음과 열은 방화문(2)의 돌출면판(34)에 접한 패킹(20)이 1차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상기 패킹(20)을 통과한 일부 소음과 열은 도어프레임(4)의 단턱면(14)에 설치된 패킹(19)과 방화문(2)의 도어단턱면(30)에 설치된 패킹(35)이 2차적으로 차단하게 되며, 이후로 일부 소음과 열은 방화문(2)에 설치된 제2패킹(40)이 3차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프레임(4)에 설치된 패킹(19,20)과 방화문(2)에 설치된 패킹(35) 및 제2패킹(40)은 외부로 부터 전달되는 열과 소음을 순차적으로 차단하게 됨으로, 밀폐효율은 획기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결국, 상기 방화문(2)에 의해 실내의 온도는 실외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됨으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결로현상은 방지되고, 금속재질로 된 방화문(2)과 도어프레임(4)에는 부식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4)에 설치된 패킹(19,20)과 방화문(2)에 설치된 패킹(35) 및 제2패킹(40)은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게 되고, 또한 화재시 고열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게 됨으로 2차적인 화재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방화문(2)을 열면 힌지축(4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도어프레임(4)으로 부터 빠져나와 열림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돌출면판(34)은 도어프레임(4)에 설치된 패킹(20)으로 부터 이탈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방화문(2)의 제4측벽면(32)은 도어프레임(4)의 제2측벽면(16)으로 부터 이탈하게 되며, 상기 방화문(2)의 도어단턱면(30)에 설치된 패킹(35)은 도어프레임(4)의 단턱면(14)으로 부터 이탈하게 되고, 상기 도어프레임(4)의 단턱면(14)에 설치된 패킹(19)은 방화문(2)의 도어단턱면(30)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방화문(2)의 제3측벽면(28)은 도어프레임(4)의 제1측벽면(12)으로 부터 이탈하게 되며, 상기 방화문(2)의 제2패킹(40)은 도어프레임(4)의 전면(10)으로 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화문(2)은 열림 상태가 됨으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는 서로 통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 6 내지 도 10 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화문(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출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방화문(2)에는 플랜지(52)와 좌측면판(54)과 후면판(56)을 순차적으로 연결 하면서 절곡시킨 본체(58)가 구성되고, 상기 후면판(56) 일단부에는 우측면판(60)이 결합 고정되며, 상기 후면판(56)으로 부터 이격된 앞측에는 전면판(62)이 배치되고, 상기 전면판(62) 일단부에는 우측면판(60)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62)의 타측단부에는 패드(64)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전,후면판(56,62)과 좌,우측면판(54,60)의 상,하단부에는 상판(66)과 하판(68)이 각각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52)에는 밀폐력을 제공하는 패킹(70)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전면판(62)의 패드(64)는 해밍작업에 의해 패킹(70)과 플랜지(52)와 함께 일체화 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방화문(2)의 상판(66)과 하판(68) 둘레에는 패드(72,74)가 일체로 연장 형성 되면서 패킹(76,78)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우측면판(60)의 상,하부에는 패드(8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우측면판(60)의 일단부에는 세로방향으로 패킹홈(36)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36)의 절곡된 끝단부에는 패킹(82)이 끼워지면서 후면판(56)의 패드(65)가 해밍작업으로 일체화 된다.
따라서, 상기 후면판(56)과 우측면판(60)은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패킹홈(36)는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제1패킹(38)이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62)의 상,하부에는 패드(63)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판(54)의 상,하측과 후면판(56)의 상,하측과 일단부에는 패드(65)가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상판(66)과, 하판(68)과, 우측면판(60)과, 좌측면판(54)과, 전면판(62)과, 후면판(56) 등은 각각 해밍작업으로 일체화 됨으로써 결합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판(66)과 하판(68)의 둘레에 형성된 패드(72,74)에 패킹(76,78)을 각각 끼워 결합하고, 상기 우측면판(60)의 패킹홈(36) 일단부에 다른 패킹(82)을 끼워 결합한다.
상기 이후로, 우측면판(60)을 일체로 연결한 전면판(62)과 좌측면판(54)을 일체로 연결한 후면판(56)의 상,하단부에는 상판(66)과 하판(68)을 각각 배치한 다음, 상기 전,후면판(56,62)과 좌,우측면판(54,60)에 형성된 패드(63,65,80)를 절곡 시키면서 해밍작업으로 패킹(76,78,82)을 포함하여 일체화시키는 작업을 실시한 다.
상기 해밍작업 이후로, 상기 우측면판(60)의 패킹홈(36)에는 제1패킹(38)을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면판(54)에 연결된 플랜지(52)에는 밀폐력을 제공하는 패킹(70)을 끼워 결합한 다음, 상기 전면판(62)의 타측에 위치한 패드(64)를 안쪽으로 절곡시키면서 해밍작업을 실시함으로써 패킹(70)을 포함하여 일체화시키는 작업을 실시한다.
따라서, 방화문(2)의 제작은 완료되게 된다.
상기 이후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방화문(2)을 경첩(6)으로 도어프레임(4)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플랜지(52)에 결합된 패킹(70)은 도어프레임(4)의 전면(10)에 밀착하여 밀폐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우측면판(60)에 설치된 제1패킹(38)은 도어프레임(4)의 제1측벽면(12)에 밀착하여 밀폐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2:방화문 4:도어프레임
6:경첩 8:벽체
10:전면 12:제1측벽면
14:단턱면 16:제2측벽면
17,33,36:패킹홈 18:패킹삽입홈
19,20,35,70,76,78,82:패킹 22:바디
24:커버 26,52:플랜지
28:제3측벽면 30:도어단턱면
32:제4측벽면 34:돌출면판
38:제1패킹 40:제2패킹
42:평면판 44,63,64,65,72,74,80:패드
46:힌지축 54:좌측면판
56:후면판 58:본체
60:우측면판 62:전면판
66:상판 68:하판

Claims (7)

  1.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프레임(4)에 방화문(2)이 경첩(6)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결로 방지용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2)은 플랜지(26), 제3측벽면(28), 도어단턱면(30), 제4측벽면(32), 돌출면판(34)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면서 함몰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바디(22)와,
    상기 바디(22)의 제3측벽면(28)의 폭은 제4측벽면(32)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도어단턱면(30)에는 패킹 홈(33)이 상기 제4측벽면(32)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패킹 홈(33)에는 밀폐력을 제공하는 패킹(35)이 끼어져 결합되고,
    상기 도어프레임(4)의 패킹(19)은 방화문(2)이 닫힐때 상기 도어단턱면(30)에 설치된 상기 패킹(35)과 어긋나게 위치하면서 도어단턱면(30)에 접하도록 하며,
    상기 플랜지(26)에 끼워져 결합 되면서 방화문(2)에 밀폐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40)과,
    상기 바디(22)의 개방된 전면에 설치되면서 플랜지(26)에 결합되어 제2패킹(40)을 고정시키는 커버(24)와,
    상기 커버(24)를 형성하는 평면판(42) 둘레에 패드(44)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패드(44)는 제2패킹(40)과 플랜지(26)를 안쪽에 포함시킨 상태에서 절곡한 다음, 해밍작업으로 패드(44)와 제2패킹(40)과 플랜지(26)와 평면판(42)의 일부를 일체화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방화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51025A 2015-10-29 2015-10-29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101892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025A KR101892482B1 (ko) 2015-10-29 2015-10-29 결로 방지용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025A KR101892482B1 (ko) 2015-10-29 2015-10-29 결로 방지용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018A KR20170050018A (ko) 2017-05-11
KR101892482B1 true KR101892482B1 (ko) 2018-10-04

Family

ID=5874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025A KR101892482B1 (ko) 2015-10-29 2015-10-29 결로 방지용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4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448B1 (ko) 2019-07-08 2020-02-11 정성수 방화성이 우수한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102171627B1 (ko) 2020-01-17 2020-10-29 정성수 설치가 용이한 방화 창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3320A (ko) 2019-05-29 2021-01-12 김영동 방화문
KR20210014725A (ko) 2019-05-29 2021-02-09 김영동 방화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111B1 (ko) * 2017-07-13 2019-06-11 주식회사 명보 방화문용 도어프레임
KR20190008472A (ko) 2017-07-14 2019-01-24 주식회사 투인텍 결로 방지 도어
KR102268842B1 (ko) * 2019-06-28 2021-06-24 동국제강주식회사 프레임 일체형 방화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458Y1 (ko) * 2000-11-02 2001-04-16 주식회사동방강건 방화문용 문틀
KR200367889Y1 (ko) 2004-07-30 2004-11-17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도어 프레임의 결로방지장치
KR101311242B1 (ko) * 2011-12-09 2013-09-25 김태욱 방화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458Y1 (ko) * 2000-11-02 2001-04-16 주식회사동방강건 방화문용 문틀
KR200367889Y1 (ko) 2004-07-30 2004-11-17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도어 프레임의 결로방지장치
KR101311242B1 (ko) * 2011-12-09 2013-09-25 김태욱 방화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320A (ko) 2019-05-29 2021-01-12 김영동 방화문
KR20210014725A (ko) 2019-05-29 2021-02-09 김영동 방화문
KR102076448B1 (ko) 2019-07-08 2020-02-11 정성수 방화성이 우수한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102171627B1 (ko) 2020-01-17 2020-10-29 정성수 설치가 용이한 방화 창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018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482B1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101746928B1 (ko)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문틀
KR101840760B1 (ko) 방화문과 그 제작방법
KR101567690B1 (ko) 차량용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KR102012013B1 (ko) 단열형 창호 구조물
KR101988013B1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20200001031U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KR101592149B1 (ko) 도어 장치
KR101009746B1 (ko) 3중 밀폐형 방화문
KR101951918B1 (ko) 차열 기능을 향상시킨 방화문
KR101988111B1 (ko) 방화문용 도어프레임
KR20190002640U (ko) 현관 방화문 장치
KR102126939B1 (ko) 전후방 결로방지부가 구비된 방화문
KR200461303Y1 (ko) 방화문
KR102034978B1 (ko) 단열 및 결로방지 도어
KR100800172B1 (ko) 방화문
JP5608910B2 (ja) サッシ
KR102177816B1 (ko) 편의설비 설치용 창호 프레임 조립체
KR102120544B1 (ko) 방화문
KR101791189B1 (ko) 방화문
KR101849442B1 (ko) 결로 방지용 도어 프레임
KR20190006255A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20200045060A (ko) 차열 및 차연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과 그 제조방법
KR20160000197U (ko) 방화문 결합 구조물
KR101863800B1 (ko) 방화문용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