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594B1 -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594B1
KR102471594B1 KR1020210117134A KR20210117134A KR102471594B1 KR 102471594 B1 KR102471594 B1 KR 102471594B1 KR 1020210117134 A KR1020210117134 A KR 1020210117134A KR 20210117134 A KR20210117134 A KR 20210117134A KR 102471594 B1 KR102471594 B1 KR 102471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door lock
wireless
smartphon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김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영 filed Critical 김은영
Priority to KR1020210117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ynamo-electric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9Feeding by transfer between frame and wing
    • E05B2047/0061Feeding by transfer between frame and wing using ind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2Induction for charging or current trans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 본체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키패드가 동작되지 않을 때 스마트폰의 무선충전기 또는 스마트폰의 충전잭을 이용하여 도어락이 임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마스터키가 없거나 또는 사물함 관리자가 부재중일 때 개인 사물함을 편리하게 열 수 있도록 한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구 도어의 안쪽에 모터 및 배터리가 내장된 본체가 구비되고 바깥쪽에는 키패드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방전시 상기 키패드 및 모터로 외부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사물함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한쪽 측면에 스마트폰의 충전구와 연결되는 충전잭이 구비되고; 상기 키패드의 아래쪽에는 버튼을 피해서 유도코일을 갖는 무선송수신부가 구비되며, 스마트폰의 무선송수신부가 상기 키패드의 무선송수신부에 근접되면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력을 통하여 무선 전력 송수신이 이뤄지도록 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모터 및 키패드에 맞게 조정하는 정전압부가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Emergency power supply for furniture door locks}
본 발명은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락 본체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키패드가 동작되지 않을 때 스마트폰의 무선충전기 또는 스마트폰의 충전잭을 이용하여 도어락이 임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사물함 관리자가 부재중일 때 또는 비상배터리가 없을 때 개인 사물함을 편리하게 열 수 있도록 한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 옷장 및 신발장 같은 가구는 옷, 신발, 가방 및 소품 등을 간단히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형 사업장의 경우 개인 사물함이 수백개 이상 비치되는데, 이들 사물함은 키패드에서 비밀번호를 눌러주면 모터가 동작되어 레버를 동작시키는 전자식 도어락이 대부분이다. 전자식 도어락은 AA형 배터리를 사용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만약 사전에 배터리 방전을 인지하지 못하고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도어락의 작동이 정지되어 문을 열 수 없게 되는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도어락 하단에 노출된 배터리 단자에 9V용 비상배터리를 접촉시켜 비상전원을 투입해야 되는데, 상기 9V 비상배터리가 준비되지 않을 경우 사물함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종래 특허 제1917370호는 도어락이 무선충전 방식으로 상시 충전되도록 한 기술이 제안되 바 있다. 이는 도어락과 출입구 벽면에 무선충전 수신부와 무선충전 송신부를 설치하여 무선충전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이 많은 도어락에 전원이 상시 투입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특허는 사람의 출입이 빈번한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락에는 적합하나, 사우나에 설치된 사물함의 경우 하루에 수십번 빈번히 사용하기 때문에 상시전원을 투입하여 무선충전하기에는 불합리함이 있으며, 대형 사업장에 설치된 수백개의 사물함 전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을 설치해야 되므로 실효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락 본체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키패드가 동작되지 않을 때 스마트폰의 무선충전기 또는 스마트폰의 충전잭을 이용하여 도어락이 임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사물함 관리자가 부재중일 때 개인 사물함을 편리하게 열 수 있도록 한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구 도어의 안쪽에 모터 및 배터리가 내장된 본체가 구비되고 바깥쪽에는 키패드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방전시 상기 키패드 및 모터로 외부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사물함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한쪽 측면에 스마트폰의 충전구와 연결되는 충전잭이 구비되고; 상기 키패드의 아래쪽에는 버튼을 피해서 유도코일을 갖는 무선송수신부가 구비되며, 스마트폰의 무선송수신부가 상기 키패드의 무선송수신부에 근접되면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력을 통하여 무선 전력 송수신이 이뤄지도록 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모터 및 키패드에 맞게 조정하는 정전압부가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무선충전기 또는 충전잭을 이용하여 도어락의 키패드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도어락 본체의 모터로 비상전원이 투입되므로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사물함을 편리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 한 실시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기 때문에 9V 비상용 배터리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사물함 관리자가 없더라도 도어락을 비상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야간 작업후 퇴근할 때 사물함에 넣어둔 옷이나 자동차 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물함의 사용이 편리해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도어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도어락의 회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도어락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도어락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도어락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도어락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도어락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도어락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1 내지 도 2에서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도어락은 가구용 도어(11)의 전면에 키패드(20)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모터와 배터리(43) 등이 내장된 본체(10)가 구비된다. 이들 키패드(20)와 본체(10)는 나사못을 통하여 서로 체결되어서 키패드(20)가 강제로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키패드(20)의 밑면에는 충전구(30a)가 형성되어서 상기 키패드(20) 내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20) 하부에는 버튼을 피해서 무선송수신부(41)가 구비된다. 상기 무선송수신부(41)는 유도코일을 갖는 것으로서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유도코일은 폐루프형, 다각형 또는 원형 등 폐곡선의 밴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송수신부(41)는 무선충전 방식의 스마트폰(미도시)에 구비된 무선송수신부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써, 이들 스마트폰의 무선송수신부와 키패드(20)의 무선송수신부(41)가 서로 근접되면 유도코일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된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무선송수신부와 키패드(20)의 무선송수신부(4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력이 발생되므로 스마트폰의 배터리와 본체(10)의 배터리 사이에 무선충전 전력 송수신이 이뤄진다.
상기 키패드(20)에는 모터를 동작시키는 구동부(44), 각종 버튼과 무선송수신부(41) 및 충전잭(30)을 제어하는 제어부(40)가 내장되며, 상기 충전잭(30)은 스마트폰의 충전구에 꼽힌다. 그리고 무선충전 전력 송수신을 통하여 키패드(20)에 전력이 공급되면 모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정전압부(42)가 키패드(20) 내부에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도어락 비상전원 공급장치는 누구나 소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의 전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특히 야간에 관리자가 없거나 또는 비상용 배터리를 소지하고 있지 않을 때 사물함을 편리하게 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어락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충전기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 스마트폰의 경우 무선송수신부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키패드(20) 밑면에 구비된 충전구(30a)를 스마트폰의 충전구에 usb용 전선으로 연결한다. 이때 스마트폰과 도어락이 유선으로 연결되므로 스마트폰의 배터리 전원이 키패드(20) 및 본체의 모터로 공급된다. 이때 정전압부(42)는 모터 및 키패드(20)에 맞게 스마트폰의 전압을 승압시킨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유선으로 연결된 키패드(20)가 켜지면 비밀번호를 눌러 모터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비상용 배터리를 대체하여 스마트폰으로 도어락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 방식의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의 무선송수신부를 키패드(20) 하부의 무선송수신부(41)에 접근시킨다. 이때 스마트폰의 무선송수신부와 키패드(20)의 무선송수신부(4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력이 발생되므로 스마트폰의 배터리와 본체(10) 사이에 무선충전 전력 송수신이 이뤄지고 이때 정전압부(42)는 모터 및 키패드(20)에 맞게 스마트폰의 전압을 승압시키므로 키패드(20)를 이용하여 본체(10)의 모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 제2실시예로써, 충전용 usb 전선이 키패드에 내장된 타입으로써, 상기 키패드(20)의 일측면에는 장방형으로 잭수용홈(21)이 길게 형성되어서 전선(31)과 충전잭(30)이 내장되는데, 상기 전선(31)은 키패드(20) 내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키패드(20) 하부에는 버튼을 피해서 무선송수신부(41)가 구비된다. 상기 무선송수신부(41)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2실시예는 키패드(20) 측면에 구비된 충전잭(30)을 잭수용홈(21)에서 인출하여 스마트폰의 충전구에 꼽으면 유선으로 스마트폰과 키패드(20)가 연결되므로 도어락을 개방시킬 수 있으며, 또한 무선충전 방식의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의 무선송수신부를 키패드(20) 하부의 무선송수신부(41)에 접근시키면 유도전력이 발생되고, 정전압부(42)는 모터 및 키패드(20)에 맞게 스마트폰의 전압을 승압시키므로 도어락을 개방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제3실시예로써, 키패드(20)와 본체(10)가 도어(11)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20)의 일측면에는 장방형으로 잭수용홈(21)이 길게 형성되어서 전선(31)과 충전잭(30)이 내장되는데, 상기 전선(31)은 키패드(20) 내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잭수용홈(21)과 나란하게 상기 키패드(20)의 일측면에 장방형으로 인출구(22)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구(22)에는 무선송수신부(41)가 슬라이드 식으로 구비된다.
상기 무선송수신부(41)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유도코일을 갖는 것으로서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무선송수신부(41)는 키패드(20)의 측면에서 인출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무선송수신부(41)에 근접시키더라도 키패드(20)의 버튼을 가지리 않으므로 충전중인 상태로 도어락을 개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3실시예는 키패드(20) 측면에 구비된 충전잭(30)을 스마트폰의 충전구에 꼽으면 유선으로 스마트폰과 키패드(20)가 연결되므로 도어락을 개방시킬 수 있으며, 또한 무선충전 방식의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의 무선송수신부를 키패드(20) 하부의 무선송수신부(41)에 접근시키면 유도전력이 발생되고, 정전압부(42)는 모터 및 키패드(20)에 맞게 스마트폰의 전압을 승압시키므로 도어락을 개방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제4실시예로써, 키패드(20)는 힌지축(23)을 통하여 브래킷(20a)에 회동식으로 구비되고, 브래킷(20a)은 도어(11)를 사이에 두고 본체(10)와 나사못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키패드(20) 후면의 상하측과 브래킷(20a) 전면의 상하측에는 돌기(24) 및 홈(25)이 형성되어서 키패드(20)가 브래킷(20a)에 탈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키패드(20)의 후면에는 전선(31)으로 연결된 충전잭(30)과 무선송수신부(41)가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4실시예는 충전잭(30)과 무선송수신부(41)가 키패드(20)의 후면에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상 좋은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 제4실시예는 키패드(20)를 강하게 당겨주면 돌기(24)가 홈(25)에서 벗어나면서 힌지축(23)을 중심으로 키패드(20)가 브래킷(20a)에서 벗어난다. 따라서 키패드(20) 후면에 구비된 충전잭을 통하여 스마트폰과 유선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의 무선송수신부를 키패드(20)의 무선송수신부(41)에 근접시켜 이들 사이에 유도전력이 발생이 발생되도록 하고, 정전압부(42)는 모터 및 키패드(20)에 맞게 스마트폰의 전압을 승압시키면 도어락에 비상전원이 무선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도어락을 비상개방시킬 수 있다.
10 : 본체 11 : 도어
20 : 키패드 21 : 잭수용홈
22 : 인출구 23 : 힌지축
30 : 충전잭 30a : 충전구
40 : 제어부 41 : 무선송수신부
42 : 정전압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가구 도어의 안쪽에 모터 및 배터리가 내장된 본체가 구비되고 바깥쪽에는 키패드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방전시 상기 키패드 및 모터로 외부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한쪽 측면에 스마트폰의 충전구와 연결되는 충전잭이 구비되고;
    상기 키패드의 한쪽 측면에는 상기 충전잭을 피해서 인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인출구에는 유도코일을 갖는 무선송수신부가 상기 키패드 내외부로 출입되게 구비되며, 스마트폰의 무선송수신부가 상기 키패드의 무선송수신부에 근접되면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력을 통하여 무선 전력 송수신이 이뤄지도록 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수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모터 및 키패드에 맞게 조정하는 정전압부가 상기 키패드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4. 삭제
KR1020210117134A 2021-09-02 2021-09-02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KR102471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134A KR102471594B1 (ko) 2021-09-02 2021-09-02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134A KR102471594B1 (ko) 2021-09-02 2021-09-02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594B1 true KR102471594B1 (ko) 2022-11-25

Family

ID=8423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134A KR102471594B1 (ko) 2021-09-02 2021-09-02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5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646Y1 (ko) * 2003-07-08 2003-10-10 이상훈 전자 도어록 장치
KR100796167B1 (ko) * 2006-09-29 2008-01-21 (주)메이즈텍 암호 입력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1648000B1 (ko) * 2015-11-16 2016-08-12 (주)영신인포텍 스마트 패널을 이용한 캐비닛 보관문서 관리시스템
KR20170034170A (ko) * 2015-09-18 2017-03-28 한국과학기술원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전원 공급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646Y1 (ko) * 2003-07-08 2003-10-10 이상훈 전자 도어록 장치
KR100796167B1 (ko) * 2006-09-29 2008-01-21 (주)메이즈텍 암호 입력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20170034170A (ko) * 2015-09-18 2017-03-28 한국과학기술원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전원 공급 방법
KR101648000B1 (ko) * 2015-11-16 2016-08-12 (주)영신인포텍 스마트 패널을 이용한 캐비닛 보관문서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4084B2 (en) Contactless electronic access control system
US10036182B2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US8922333B1 (en) Contactless electronic access control system
CN110504720A (zh) 便携式电源
CN104523044A (zh) 一种手机操控抽屉柜
US7952477B2 (en) Door lock assembly
US20070176491A1 (en) Digital doorlock having ultra capacitor
US9725925B1 (en) Door lock using a power supply of a mobile device as a power source
KR101601153B1 (ko)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기술을 이용한 락킹시스템
KR102471594B1 (ko)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KR20040215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KR20090127693A (ko) 무선 전원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9779567B1 (en) Door lock using a mobile device as an input interface
CN219246122U (zh) 带有poe电源的智能门及智能门禁系统
CN108222719B (zh) 一种利用磁吸充电的智能系统及其充电方法
JP2003184369A (ja) 電気錠の電源装置
WO2018077178A1 (zh) 一种智能锁具
KR101600526B1 (ko) 절전기능을 가진 도어락 충전시스템
KR200276129Y1 (ko)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KR102378777B1 (ko) 재충전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KR10034111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전원공급 장치 및 방법
CN219316671U (zh) 用于内藏式柜锁的无线备用电源结构
CN212642366U (zh) 无源电子锁
CN213269361U (zh) 无线充电智能锁芯和门锁
CN212478839U (zh) 一体式电子执手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