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170A -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전원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전원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170A
KR20170034170A KR1020150132525A KR20150132525A KR20170034170A KR 20170034170 A KR20170034170 A KR 20170034170A KR 1020150132525 A KR1020150132525 A KR 1020150132525A KR 20150132525 A KR20150132525 A KR 20150132525A KR 20170034170 A KR20170034170 A KR 20170034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igital door
terminal
lock device
electronic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근
박준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32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4170A/ko
Publication of KR2017003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02J17/00
    • H02J7/025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2Induction for charging or current transforma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하우징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전원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 전자단말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제시된다.

Description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전원 공급 방법{DOOR LOCK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FOR 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전원 공급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전자단말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전원 공급 방법에 연관된다.
디지털 도어락은 일반적으로 출입문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정된 비밀 번호를 차례로 눌러 출입문의 잠금 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도어락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이 필요하다. 전원은 대개 배터리를 통해 공급되며, 옥내배선을 통해 상시 공급을 받을 수도 있다.
일측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하우징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전원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 전자단말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제공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상기 전자단말기로부터 전자기유도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지정된 암호가 입력되어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활성화 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의 기기 고유 값을 검증하여 상기 값이 미리 등록된 값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활성화 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하우징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전원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 전자단말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이 제공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은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공급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단말기로부터 전자기유도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지정된 암호가 입력되어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의 기기 고유 값을 검증하여 상기 값이 미리 등록된 값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활성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단자부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단자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무선 공급부를 도시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표시부를 도시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일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이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이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이해를 돕거나 및/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이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일측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의 하우징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전원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 전자단말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단자부(110); 및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부(120)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제공된다. 단자부는 전자단말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수컷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단말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형태가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부는 평소에는 수컷커넥터가 매몰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지만, 전력공급을 위한 전자단말기와 연결되기 위해 커넥터를 노출하는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는 주요한 구동 전력으로 내장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동 전력으로 옥내 배선과 연결된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00)에 포함된 단자부(110)와 변압부(120)는 내장 배터리 또는 옥내 배선과 연결된 전력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 예를 들어 배터리 방전 또는 배선의 고장 상황에 이용될 수 있고,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제시된다.
도 2a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단자부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단자부의 측면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200)는 단자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210)에 포함된 수컷 커넥터(220)가 전자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 등의 암컷 커넥터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자단말기의 전원이 디지털 도어락 장치(2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급된 전원은 DC / DC 컨버터 등의 변환회로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 장치(200)의 정격전압에 맞춰 변환되어 공급될 수 있다.
도 2a는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 장치(200)의 측면에 매립되어 있는 단자부(210)의 수컷 커넥터(220)가 디지털 도어락 장치(200)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자부(210)가 세워지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때, 단자부와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본체가 이루는 각도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 시, 단자부(210) 전체가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런 경우에 본체와 단자부 사이는 전원 전달이 가능한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200)의 측면에 단자부(210)가 매립되어 있는 모습을 디지털 도어락 장치(200)의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단자부(210)는 평소에는 수컷 커넥터(220)를 드러내지 않은 채 디지털 도어락 장치(200)에 도 2b와 같이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비상 전원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버튼(230)을 눌러 단자부의 일부가 튀어 나옴으로써 단자부(210)의 각도를 조절하여 노출시킨 후, 사용자의 전자단말기와 연결하여 비상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자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230)이 눌러짐으로써 단자부(210)의 수컷 커넥터(220)가 사용 가능한 형태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단자부는 버튼이 아닌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형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디지털 도어락 장치(200)의 임의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200)의 하우징 내부에도 위치할 수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2013년 7월 기준 대한민국의 스마트폰 가입자 수는 3,595만명을 돌파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인 스마트폰 충전용 단자들의 규격들은 통상의 안드로이드 전용 전자단말기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 USB 타입B 단자 내지 iOS가 탑재된 일반적인 전자단말기에서 사용하는 라이트닝 단자 중 하나로 맞춰져 있다. 즉, 전술된 실시예의 수컷 커넥터가 마이크로 USB 타입B 단자 내지 라이트닝 단자 중 하나인 경우, 사용자들은 별다른 추가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고장 상황에 대해 대비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300) 및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무선 공급부(310)를 도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전자단말기로부터 전자기유도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공급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공급부(310)에 사용되는 무선 공급 방식은 자기유도방식 내지 자기공진방식 중 하나일 수 있다.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한 무선 공급 방식은 전력 송신부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그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부 코일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기술이다. 자기 공진방식을 이용한 무선 공급 방식은 송신부 코일에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설계된 코일에만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기술이다. 무선공급부(310)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외부에 내장된 부분을 알 수 있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공급 기능을 이용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공급받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에 저장된 전력은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충전부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내장되는 배터리일 수 있고, 그 외의 커패시터일 수 있다. 충전부는 무선공급부와 연결되어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표시부를 도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단말기는 자체 배터리의 잔여 전력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자체 배터리의 전력이 일정 기준 이하일 경우,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동작 시킬만한 전력을 공급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처리부에 의해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도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동작시키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예시 외에, 전자단말기와 접속했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런 상황에서 표시부는 동작 불능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지정된 암호가 입력되어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활성화 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의 기기 고유 값을 검증하여 상기 값이 미리 등록된 값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활성화 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하우징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전원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 전자단말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이 제공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은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공급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단말기로부터 전자기유도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지정된 암호가 입력되어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의 기기 고유 값을 검증하여 상기 값이 미리 등록된 값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활성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은 스마트폰의 OTG 충전 기능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른 전자제품들의 방전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응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전원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 전자단말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단말기로부터 전자기유도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지정된 암호가 입력되어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활성화 하는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의 기기 고유 값을 검증하여 상기 값이 미리 등록된 값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활성화 하는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5.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전원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 전자단말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공급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단말기로부터 전자기유도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지정된 암호가 입력되어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전자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자단말기의 기기 고유 값을 검증하여 상기 값이 미리 등록된 값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활성화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
KR1020150132525A 2015-09-18 2015-09-18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전원 공급 방법 KR20170034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525A KR20170034170A (ko) 2015-09-18 2015-09-18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전원 공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525A KR20170034170A (ko) 2015-09-18 2015-09-18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전원 공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170A true KR20170034170A (ko) 2017-03-28

Family

ID=5849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525A KR20170034170A (ko) 2015-09-18 2015-09-18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전원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41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354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메가테크 재충전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KR20220045765A (ko)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포세일즈 잠금장치 구동 방법
KR102471594B1 (ko) * 2021-09-02 2022-11-25 김은영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354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메가테크 재충전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KR20220045765A (ko)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포세일즈 잠금장치 구동 방법
WO2022075619A1 (ko) * 2020-10-06 2022-04-14 주식회사 포세일즈 잠금장치 구동 방법
KR102471594B1 (ko) * 2021-09-02 2022-11-25 김은영 가구용 도어락의 비상전원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4084B2 (en) Contactless electronic access control system
US103333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charger with safety component
US11061487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pen input device with multiple input butt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034323B1 (ko) 급전 장치, 급전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14535018A (ja) 電気機械式ロック
US96611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wireless control of a medical device
WO2018126570A1 (zh) 一种终端及其工作方法
US11516212B2 (en) Multi-functional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190046250A (ko)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코일 장치
KR102098006B1 (ko) 외부 객체를 감지하여 무선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90054334A (ko) 전력의 경로를 조정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34170A (ko)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전원 공급 방법
US10312725B2 (en) Power supply system with identification code updating capability and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JP2014135895A (ja) 充電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CN204012845U (zh) 兼有指纹控制的移动电源
CN106026238A (zh) 无线充电系统
KR20210037309A (ko) 컨트롤 ic의 리셋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80068511A1 (en) Fingerprint lock system and key device thereof
EP2835001B1 (en) Identification for apparatuses
JP2016089554A (ja) 電気錠装置、電気錠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497719A (zh) 一种信标模块
EP4262052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1837037B2 (en) Universal secure mobile device entry upgrade electronics unit for electronic lock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1836279B2 (en) Storage devices with secure power and data access
KR102407897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