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226B1 - Modular walkway - Google Patents

Modular walk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226B1
KR102471226B1 KR1020220038892A KR20220038892A KR102471226B1 KR 102471226 B1 KR102471226 B1 KR 102471226B1 KR 1020220038892 A KR1020220038892 A KR 1020220038892A KR 20220038892 A KR20220038892 A KR 20220038892A KR 102471226 B1 KR102471226 B1 KR 102471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way
floor plate
frame
walking path
mod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8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철
Original Assignee
김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철 filed Critical 김정철
Priority to KR1020220038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2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2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walkway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or the purpose, the modular walkway provided on a road and a flower bed to extend outw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ing prop buried at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an upper part can be exposed above the ground; a walkway frame provided above the supporting prop in a widthwise direction a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unit floo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provided above the walkway frame; and a safety railing provi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unit floor plat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ufficient strength to be maintained while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a walkway, which extends a walkway outward from a road or a flower bed without separate embankment, thereby increasing safety. After installation, the walkway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to extend the lifetime thereof, thereby reducing time and costs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repairs.

Description

모듈형 보행로 및 그 시공방법{MODULAR WALKWAY}Modular walkway and its construction method {MODULAR WALKWAY}

이 건 발명은 모듈형 보행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행로가 별도의 성토작업이 없이 도로 또는 화단에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한 모듈형 보행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walkway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ular walkway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o that the walkway extends outward to a road or flower bed without a separate embankment work.

일반적으로 차량이 운행하는 도로는 폭이 매우 좁을 경우, 도로의 가장자리에 별도의 보행로를 생략하여 시공하게 되며, 이러한 보행로가 없는 좁은 도로의 갓길을 걷는 보행자는 교통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In general, when the road on which vehicles run is very narrow, a separate walking path is omitted at the edge of the road to be constructed, and pedestrians walking on the shoulder of a narrow road without such a walking path are inevitably exposed to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8500호 "보행로 확장설치구조"(2009. 11. 18.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이 제안한 보행로 확장설치구조는 법면과 인접한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흙 파기를 수행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콘크리트부가 형성되도록 한 후, 콘크리트부의 상부에 지지대가 법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지지대에 바닥판부를 고정 설치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a way to protect pedestrians from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28500 "Pedestrian Road Expansion Installation Structure" (registered on November 18, 200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do) has been proposed. The walkway extension installation structure proposed in Prior Art Document 1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by digging the so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ground adjacent to the slope, and after forming a concrete part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support is placed on top of the concrete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slope So as to be formed to extend, the bottom plate portion was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상기 선행기술문헌 1에 의하면, 법면에 보행로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폭우 등에 의해 법면이 무너짐과 동시에 콘크리트부가 같이 기울어짐에 따라 바닥판부 역시 기울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Prior Art Document 1,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alking path can be easily expanded on the slop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or plate is also tilted or damaged as the slope collapses due to heavy rain and the concrete part is tilted together.

한편, 또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5469호 "보행로 확장방법"(2010. 12. 27.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가 제안한 보행로 확장방법은 공간부 형성단계, 보강공 천공단계, 보강공 및 공간부 바닥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단계, 거푸집 패널부 배치 고정단계, 거푸집 패널부 콘크리트 조성물 타설 및 양생단계, 흙 되메우기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폭우 등에 의해 법면 등이 무너져 내려도 쉽게 기울어져 넘어지지 않는 보행로가 시공될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prior art document,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05469 "Method for Expansion of Footpath" (registered on December 27, 20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2') has been proposed. The walkway expansion method proposed in Prior Art Document 2 includes the space part formation step, the reinforcement hole drilling step, the reinforcing hole and space part floor concrete casting and curing step, the formwork panel part arrangement fixing step, the formwork panel part concrete composition casting and curing step In addition, by making the soil backfilling step,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a walking path that does not easily tilt and fall even if the slope collapses due to heavy rain.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2에 의하면, 공정수의 증가로 인하여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아울러 지지대가 캔틸레바의 형태를 가짐에 따라 하중이 단부에 집중되어 크랙이나 변형이 발생되고, 바닥판부가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Prior Art Document 2,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 was delayed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eps, and as the support had the shape of a cantilever, the load was concentrated on the end, resulting in cracks or deformation, and the bottom plate portion There was a problem with tilting.

더욱이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1과 2는 모두 건식 구조물로서 바닥판도 단위 바닥패널을 프레임에 피스로 체결 고정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 잦은 유지보수가 요구되었다. 그러나, 보행로의 바닥판을 콘크리트와 같은 습식 구조물로 시공하고자 하여도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많은 가설 구조물이 요구되어 공기가 길어지고, 수축 팽창에 따른 균열이 발생되는 한계가 있었다.Moreover, both of the prior art documents 1 and 2 are dry structures, requiring frequent maintenance during long-term use as the floor plate unit floor panel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rame as pieces. However, even if the floor plate of the walkway is to be constructed with a wet structure such as concrete, many temporary structures are required for concrete casting and curing, so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air is prolonged and cracks occur due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등록특허공보 제10-0928500호 (2009. 11. 18.)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28500 (2009. 11. 18.) 등록특허공보 제10-1005469호 (2010. 12. 27.)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05469 (2010. 12. 27.)

이 건 발명은 보행로가 성토작업이 없이 도로 또는 화단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하는 가운데 바닥판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행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모듈형 보행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this invention, the installation of the floor plate can be easily performed while the walkway is expanded outwardly of the road or flower bed without embankment work, and the life span can be extended by preventing the walkway from being deformed, and maintenance is eas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dular walking path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이 건 발명은 도로 또는 화단에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게 구비되어지는 모듈형 보행로(A)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보행로(A)는 상부가 지면의 상부로 노출되게 소정 깊이로 받침 지지대(10)가 매립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받침 지지대(10)의 상부에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보행로 프레임(20)이 구비되어지며,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의 상부에 소정 두께를 갖는 단위 바닥판(3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invention, in the modular walking path (A) provided to extend outwardly on a road or flower bed, the modular walking path (A) has a support 10 at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upper part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It is provided to be buried, and the footpath frame 20 is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of the support support 10, and the footway frame 20 is provided on top of the unit bottom plate 3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또한, 상기 받침 지지대(10)는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의 내측과 외측으로 서로 마주보고 원통형태를 갖는 매립 포스트(110)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매립 포스트(110)의 하단에는 첨예부(111)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매립 포스트(110)는 상단에 다각플레이트(112)가 얹혀져 용접 이음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매립 포스트(110)의 중간부 외주연부에는 다수개의 매립 유도부(113)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어지되, 상기 도로 또는 화단의 외측 매립 포스트(110)의 상단에 구비된 다각플레이트(112)에는 H빔으로 형성된 수평유지부재(120)가 언혀져 용접 이음으로 구비되어진다.In addition, the support support 10 is provided with embedded posts 110 facing each other inside and outside of the walking path frame 20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ower end of each buried post 110 has a sharp portion 111 is provided, and each of the buried posts 110 is equipped with a polygonal plate 112 placed on the upper end and provided with a welded joint, and a plurality of embedded guide parts ( 113)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but the polygonal plate 112 provided at the top of the outer buried post 110 of the road or flower bed is formed as an H beam. The horizontal holding member 120 is provided as a welded joint.

또한,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I빔으로 구비되어지되, 각각의 I빔의 외측 상단으로 소정 높이와 길이를 갖는 바닥판 위치결정 라이너(21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kway frame 20 is provided with I-beam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and a floor plate positioning liner 2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length may be formed at the outer upper end of each I-beam.

또한, 상기 단위 바닥판(30)은 요철바닥부(310)의 폭방향 양측에 L형 장부편(320)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요철바닥부(3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폭방향으로 단부편(33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요철바닥부(310)와 한 쌍의 장부벽(320) 및 단부편(330) 사이로 제공되는 바닥판공간부(340)에 콘크리트(350)가 타설되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t bottom plate 30 is provided with L-shaped tenon pieces 3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concave-convex bottom portion 310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cave-convex bottom portion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As the end piece 330 is provided, concrete 350 can be poured into the bottom plate space 340 provided between the concave-convex bottom portion 310, the pair of tenon walls 320 and the end piece 330. have.

그리고 상기 단위 바닥판(30)의 하부인 요철바닥부(310)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된 장부편(320)의 모서리에 하부를 향하여 소정 길이를 갖도록 바닥판 유동 방지편(321)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ha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bottom at the corners of tenon pieces 320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cave-convex bottom part 310,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unit bottom plate 30. The flow prevention piece 321 may be extended.

한편, 이 건 발명의 도로나 화단의 외측 방향으로 제1항 발명의 모듈형 보행로(A)를 확장되게 시공하는 방법은, 경사진 법면의 상부로 받침 지지대(10)가 노출되도록 소정 깊이로 매립되게 구비하는 받침 지지대 설치단계(S10); 상기 받침 지지대(10)의 상부에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보행로 프레임(20)을 격자형으로 설치하는 보행로 프레임 설치단계(S20);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의 상부에 소정 두께를 갖는 단위 바닥판(30)을 구비하는 바닥판 조립단계(S30); 및 상기 단위 바닥판(30) 마다 마련되는 바닥판공간부(340)에 콘크리트(350)를 타설하여 바닥판을 완성하는 바닥판 형성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modular walkway (A) of the first invention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road or flower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at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support 10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clined slope Support support installation step (S10) provided to be; A footpath frame installation step (S20) of installing the footpath frame 20 in a lattice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pport support 10; A floor plate assembling step (S30) of providing a unit floor plate 3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op of the walking path frame 20; and a floor plate forming step (S40) of completing a floor plate by pouring concrete 350 into the floor space 340 provided for each unit floor plate 30.

그리고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의 양측 I빔의 외측에 상부로 소정 높이와 길이를 갖는 바닥판 위치결정 라이너(210)를 형성하는 라이너 형성단계(S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liner forming step (S25) of forming a floor plate positioning liner 2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length upward on the outside of the I-beams on both sides of the walkway frame 20.

이 건 발명은 모듈형 보행로가 별도의 성토작업 없이 좁은 도로나 화단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설치함에 있어서 시공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is invention can obtain the effect that the construction work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in installing the modular walkway to expan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narrow road or flower bed without a separate embankment work.

특히, 복수의 단위 바닥판을 보행로 프레임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줄일 수 있으며, 단위 바닥판이 흐트러지거나 유동됨이 없이 정위치에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a plurality of unit floor plates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walkway frame, air can be reduc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nit floor plate can be stably installed in place without being disturbed or moved.

또한, 이 건 발명은 받침 지지대 및 보행로 프레임에 의하여 받쳐지도록 구비된 단위 바닥판이 요철부를 갖는 단위 플레이트의 상부로 콘크리트가 타설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율을 높일 수 있고, 시공 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crete to be poured and hardened to the top of the unit plate having concavo-convex parts provid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support and the walkway frame, so that sufficient strength can be maintained to increase the safety rate,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olonging the lifespan by preventing deformation after.

그리고, 콘크리트를 이용한 단위 바닥판을 제공하여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복수의 단위 바닥판이 상호 독자적으로 거동할 수 있으므로 수축 팽창에 따른 균열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별도의 조인트 설계가 불필요한 시공상의 이점도 발휘된다.In addition, since durability is secured by providing a unit floor plate using concrete, a plurality of unit floor plates can behav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cracks due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can be prevented, and a constructional advantage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joint design is also exhibited.

나아가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단위 바닥판을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mor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ince the unit bottom plate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the effect of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maintenance can be obtained.

도 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를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에 있어 단위 바닥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의 종단면도.
도 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is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is invention from the bottom.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isola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nit floor plate separated in the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is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이 건 발명의 모듈형 보행로(A) 및 그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modular walking path 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를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에 있어 단위 바닥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is invention from the bottom, Figure 3 is a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nit floor plate separated in the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is invention,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is invention, Figure 6 is this case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installed.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A)는 별도의 성토작업이 없이 도로 또는 화단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됨에 있어서 보행로(A)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바닥판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보행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모듈형 보행로(A)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s the modular walking path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outwardly of the road or flower bed without a separate embankment work, the installation of the walking path (A) is made easy, and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of the floor plate can be made easily. It is to provide a modular walkway (A)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prolong life by preventing the walkway from being deformed, and which are easy to maintain.

여기에서, 상기 받침 지지대(10)는 성토 작업이 없이도 단위 바닥판(30)이 도로에 대하여 도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가운데 수평이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가 지면의 상부로 노출되게 소정 깊이로 하부가 매립되게 구비되어 있다.Here, the support support 10 allows the unit floor plate 30 to be stably maintained horizontally while extending outwardly to the road with respect to the road without the need for embankment work, so that the upper part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to be buried to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받침 지지대(10)는 원통형태를 갖는 매립 포스트(110)의 하단에 첨예부(111)가 구비되어지고, 상단에 다각플레이트(112)가 얹혀져 용접 이음으로 구비됨으로써,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는 가운데 충분한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base support 10 is provided with a pointed part 111 at the lower end of the buried post 110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polygonal plate 112 is placed on the upper end and provided as a welded joint,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material used It is provided so that sufficient rigidity can be maintained.

상기 매립 포스트(110)의 외주연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매립 유도부(113)가 다수개 구비되어 미도시한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법면에서 소정 깊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매립 유도부(113)는 나선형 블레이드로 구비되도록 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용이하게 지면을 파고 들어가는 가운데 매립 포스트(1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걸림편의 기능을 동시에 가짐에 따라 매립 포스트(110)가 소정 깊이로 매립된 상태에서 단위 바닥판(30), 안전 난간부(40) 및 보행자의 하중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embedding guides 113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mbedding post 110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lope using a drilling device (not shown). At this time, the embedding induction part 113 is provided with a spiral blade so as to easily dig into the groun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mbedding post 110, so that the embedding post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being moved downward by the load of the unit floor plate 30, the safety handrail 40, and the pedestrian in a state where is buried to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도로 또는 화단으로 향하는 내측 받침 지지대(10)의 매립포스트(110) 상단에는 다각플레이트(112)가 구비되어 상기 다각플레이트(112)에 보행로 프레임(20)이 얹혀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 polygon plate 11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uried post 110 of the inner supporting support 10 toward the road or flower bed, and the polygon plate 112 is put on the walking path frame 20 and joined by a welding joint, thereby providing sufficient strength While ensuring, installation can be made easily.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도로 또는 화단 외측 받침 지지대(10)의 매립 포스트(110)에는 높이 조정을 위하여 상기 매립 포스트(110)의 상단에 구비된 다각플레이트(112)에 H빔으로 구비된 수평유지부재(120)가 언혀져 용접 이음으로 구비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유지부재(120)의 상단에 보행로 프레임(20)이 얹혀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됨으로써 높낮이가 상이한 경사진 법면의 상부에 보행로 프레임(20)이 안정적으로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유지부재(120)는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는 가운데 충분한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H빔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eight adjustment is performed on the embedded post 110 of the road or flower bed outer support 10 To this end, the horizontal holding member 120 provided as an H-beam on the polygonal plate 112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uried post 110 is provided as a welded joint. In addition, the walking path frame 20 is placed on top of the leveling member 120 and joined by a welding joint, so that the walking path frame 2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on the upper part of the inclined slope having different heights. The leveling member 120 is preferably provided as an H-beam in order to maintain sufficient rigidity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material used.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은 단위 바닥판(30)이 받침 지지대(10)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정되게 받쳐지게 하는 것으로, 상기 받침 지지대(10)의 상부에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반복 배열되어 격자형 구조를 지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은 소재 사용량을 줄이는 가운데 충분한 강성 내지는 강도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폭방향 양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I빔이 구비될 수 있다.The walking path frame 20 allows the unit bottom plate 30 to be stably suppor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of the support support 10, and is repeatedly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of the support support 10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lattice-like structure. The walking path frame 20 may be provided with I-beam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s a way to maintain sufficient rigidity or strength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material used.

한편, 각각의 I빔의 외측에는 소정 높이와 길이를 갖는 바닥판 위치결정 라이너(210)가 상부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의 상부로 구비되는 단위 바닥판(30)이 시공과정에서 정위치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하중이나 작업 오차에 의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loor plate positioning liner 2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length is formed on the outside of each I-beam, so that the unit floor plate 3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lkway frame 20 i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It can be easily seated in the right position, and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due to a worker's load or work error.

또한, 상기 단위 바닥판(30)이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바닥판 위치결정 라이너(210) 또는 후술할 장부편(320)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도 있어 한 쌍의 바닥판 위치결정 라이너(210) 사이에 단위 바닥판(30)이 용이하게 안착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위 바닥판(30)의 정위치 시공을 구현하면서도 시공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eating the unit floor plate 30, the floor plate positioning liner 210 or the tenon piece 32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pair of floor plate positioning liners 210 By ensuring that the unit floor plate 30 is easily seated therebetween, constr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while realizing in-place construction of the unit floor plate 30 .

이로써, 하절기 태풍 등으로 인한 강한 바람에 의하여 보행로 프레임(20)에 얹혀진 단위 바닥판(30)이 보행로 프레임(20)의 주변으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시 해체를 통한 재시공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유지 관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unit floor plate 30 placed on the walkway frame 2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periphery of the walkway frame 20 due to strong winds caused by typhoons in the summer, and if necessary, re-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hrough disassembly By making it easy, you can save time and money according to maintenanc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위 바닥판(30)은 보행로 프레임(20)의 상부에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단일 단위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요철바닥부(310)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현장의 설계에 따라 폭방향 넓이가 유연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단위 플레이트(311)(312)(313)의 폭방향 단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나사(S)로 결합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The unit bottom plat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top of the walking path frame 20, and the concave-convex bottom part 310 may be formed using a single unit plate, but on-site design It may be manufactured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unit plates 311, 312, and 313 with screws S in an overlapping state so that the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flexibly varied according to the above.

즉, 상기 요철바닥부(310)는 폭방향으로 넓은 면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단위 플레이트(311)(312)(313)의 개수는 유연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3개의 단위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3개 이외에 2개, 4개 또는 5개가 결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단위 바닥판(30)의 폭이 좁거나 넓게 조절될 수 있다. That is, the number of unit plates 311, 312, and 313 can be flexibly adjusted so that a wide area of the uneven bottom portion 310 can be maintain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drawing, three unit plates are Although it is shown being coupled, the width of the unit bottom plate 30 can be adjusted to be narrow or wide by forming two, four or five in addition to three.

상기 단위 바닥판(30)은 하부를 형성하는 밑면이 폭방향으로 반복되는 요부와 철부를 지니는 요철바닥부(310)가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요철바닥부(310)의 폭방향 양측에 L형 장부편(320)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요철바닥부(3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폭방향으로 단부편(33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요철바닥부(310)와 2개의 장부벽(320) 및 단부편(330) 사이로 제공되는 바닥판공간부(340)에 콘크리트(350)가 타설되어 경화되어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된다.The unit bottom plate 30 is provided with a concave-convex bottom portion 310 having a concave-convex portion and convex portions repeated in the width direction on a lower surface forming the lower portion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concave-convex bottom portion 310 L-shaped tenon pieces 3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nd pieces 330 ar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ave-convex bottom portion 310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concave-convex bottom portion 310 and Concrete 350 is poured into the floor space 340 provided between the two tenon walls 320 and the end piece 330 and hardened so that sufficient strength can be maintained.

이 건 발명의 모듈형 보행로(A)에 설치되는 단위 바닥판(30)은 상부를 제외하고는 요철바닥부(310), 장부벽(320) 및 단부벽(330)으로 에워싸이는 구조로 형성되어 보행로 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시공후에도 개별 단위 바닥판(30)이 독자적으로 거동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확보되는 콘크리트 바닥판의 장점을 발휘하면서도 콘크리트 바닥판의 단점인 수축 팽창에 따른 균열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별도의 조인트 설계가 불필요한 시공상의 이점도 발휘된다.The unit floor plate 30 installed on the modular walking path A of this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surrounded by the concave-convex bottom part 310, the tenon wall 320 and the end wall 330 except for the upper part Even after construction, the individual unit floor plates 30 can behave independently, so that they ar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lkway frame 20,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concrete floor plate is secured, while exhibiting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floor plate, cracks due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concrete floor plate. This can be prevented, and a constructional advantage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joint design is also exhibited.

또한, 상기 콘크리트(350)가 타설되어지는 요철바닥부(310), 장부편(320) 및 단부편(330)은 부식에 강한 아연도금 강판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단위 바닥판(30)을 이루는 다수개의 단위 플레이트(311)(312)(313)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배수홀(H)이 구비됨으로써,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350)에 함유된 수분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어 양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neven bottom portion 310, tenon piece 320, and end piece 330 on which the concrete 350 is poured are provided with galvanized steel plates resistant to corrosion, and the unit floor plate 30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H)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unit plates 311, 312, and 313 constituting the ), so that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ncrete 350 to be poured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curing is It is desirable to have this done quickly.

상기 안전 난간부(40)는 단위 바닥판(30)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전 난간부(40)가 구비됨으로써, 보행자가 단위 바닥판(30) 외측으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safety handrail 40 is provided with a safety handrail 4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nit floor plate 30 in the width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a pedestrian from falling to the outside of the unit floor plate 30. are available for you to do.

이러한 상기 안전 난간부(40)는 폭방향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는 난간 지주(410)가 직립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난간 지주(410) 사이에 난간대(420)가 구비됨으로써, 보행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safety handrail portion 40 is provided with handrail posts 410 upright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handrail 420 is provided between the handrail posts 410, so that pedestrians can You can prevent falling.

도 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서는 보행로 프레임(20)이 I빔의 형태를 갖는 가운데 외측 상단에 소정 높이와 길이를 갖는 바닥판 위치결정 라이너(210)가 구비됨으로써, 보행로 프레임(20)의 상부로 안착되어지는 단위 바닥판(3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invention, the floor plate positioning liner 2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length is provided at the outer upper end of the walkway frame 20 in the form of an I-beam, so that the unit is seated on the top of the walkway frame 20. It was made to prevent the bottom plate 30 from flowing.

그러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바닥판(30)의 하부인 요철바닥부(310)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된 장부편(320)의 모서리에 하부를 향하여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 바닥판 유동 방지편(32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의 상부로 구비되는 단위 바닥판(30)이 시공과정에서 정위치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하중이나 작업 오차에 의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in addition to this shape, as shown in FIG. 7, the corners of the tenon pieces 320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cave-convex bottom portion 310,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unit bottom plate 30,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bottom. Bottom plate extended to have By forming the flow prevention piece 321, the unit bottom plate 3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lkway frame 20 can be easily seated in the right position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operator's load or work error flow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단위 바닥판(30)이 안착되는 과정에서 한 쌍의 바닥판 유동 방지편(321)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의 I빔의 외측에 단위 바닥판(30)이 끼움 구비될 수도 있어 상기 단위 바닥판(30)의 정위치 시공을 구현하면서도 시공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eating the unit floor plate 30, the pair of floor plate flow prevention pieces 321 are elastically deformed outward, and the unit floor plate 30 is placed outside the I-beam of the walking path frame 20. ) may be fitted, so constr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while realizing in-place construction of the unit bottom plate 30.

나아가, 도 8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모듈형 보행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Further, 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dular walking pa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바닥판(30)의 하부인 요철바닥부(310)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된 L형 장부편(320)의 모서리에 하부를 향하여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 바닥판 유동 방지편(321)의 내측에는 상단이 보행로 프레임(20)에 결합되는 멈춤편(322)이 마련되어 상기 유동 방지편(321)을 관통하는 스크류(323)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단위 바닥판(30)이 보행로 프레임(20)에 얹혀진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is shape, as shown in FIG. 8, the corners of the L-shaped tenon pieces 320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cavo-convex bottom portion 310,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unit bottom plate 30,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bottom. extended base plate A stopper 322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flow prevention piece 321, the upp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walking path frame 20, so that it is coupled with a screw 323 penetrating the flow prevention piece 321, so that the unit bottom plate 30 ) may be additionally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placed on the walking path frame 20.

이로써, 추가적인 용접이 없이 단위 바닥판(30)을 보행로 프레임(20)에 결속할 수 있으므로, 추후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Thus, since the unit floor plate 30 can be bound to the walking path frame 20 without additional welding, ease of maintenance can be secured in the future.

한편, 이하에서는 이 건 발명의 모듈형 보행로의 시공방법을 도 9의 블록도를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건 발명의 모듈형 보행로의 시공방법은 별도의 성토작업이 없이 도로 또는 화단의 외측 방향으로 모듈형 보행로(A)를 확장되게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 지지대 설치단계(S10), 보행로 프레임 설치단계(S20) 및 바닥판 조립단계(S30) 및 바닥판 형성단계(S40)를 포함하여 진행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dular walking path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block diagram of FI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modular walkw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nstructing the modular walkway (A)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road or flower bed without separate embankment work, support support installation step (S10), walkway frame installation step (S20) and the bottom plate assembling step (S30) and the bottom plate forming step (S40).

먼저, 상기 받침 지지대 설치단계(S10)는 경사진 법면의 상부로 받침 지지대(10)가 노출되도록 소정 깊이로 매립되게 구비하는 단계이다. First, the support support installation step (S10) is a step of providing the support support 10 to be buried at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support support 10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clined slope.

이때, 상기 받침 지지대(10)는 원통형태를 갖는 매립 포스트(110)의 하단에 첨예부(111)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다각플레이트(112)가 얹혀져 용접 이음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매립 포스트(110)의 외주연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매립 유도부(113)가 나선형 블레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법면에서 회전 삽입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base 10 is provided with a pointed part 11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uried post 110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polygonal plate 112 placed on the upper end to be welded, and the buried post (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lical blade with embedded guide parts 113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periphery so that it can be rotated and inserted on the inclined surface.

다음으로 상기 보행로 프레임 설치단계(S20)는 상기 받침 지지대(10)의 상부에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보행로 프레임(20)을 격자형으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로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은 I빔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받침 지지대(10) 상단에 형성되는 다각플레이트(112)에 지지되도록 고정 구비할 수 있다.Next, the step of installing the walking road frame (S20) is a step of installing the walking road frame 20 in a lattice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support 10. In one embodiment, the walking path frame 20 is preferably an I-beam, and may be fixed so as to be supported by a polygonal plate 11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edestal support 10.

이후 진행되는 바닥판 조립단계(S30)는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의 상부에 소정 두께를 갖는 단위 바닥판(30)을 구비하는 단계이다. The subsequent floor plate assembling step (S30) is a step of providing a unit floor plate 3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op of the walking path frame 20.

상기 단위 바닥판(30)은 요철바닥부(310)의 폭방향 양측에 L형 장부편(320)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요철바닥부(3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폭방향으로 단부편(330)이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상기 요철바닥부(310)와 2개의 장부벽(320) 및 단부편(330) 사이로 바닥판공간부(340)가 제공되도록 단위 바닥판(30)을 연속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The unit bottom plate 30 is provided with L-shaped tenon pieces 320 on both sides of the concave-convex bottom portion 31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nd pieces in the width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concave-convex bottom portion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330 may be provided and formed. Thus, the unit bottom plate 30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so that the bottom plate space 340 is provided between the concavo-convex bottom part 310, the two tenon walls 320, and the end piece 330.

마지막으로 진행되는 바닥판 형성단계(S40)는 상기 단위 바닥판(30) 마다 마련되는 바닥판공간부(340)에 콘크리트(350)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로 시공되어 내구성이 확보되는 바닥판을 완성하는 단계이다.In the last step of forming the floor plate (S40), concrete 350 is poured into the floor space 340 provided for each unit floor plate 30 to complete a floor plate constructed with concrete to ensure durability to be.

이로써, 이 건 발명의 모듈형 보행로(A)의 바닥판은 복수의 단위 바닥판(30)이 보행로 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보행로 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시공후에도 개별 단위 바닥판(30)이 독자적으로 거동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확보되는 콘크리트 바닥판의 장점을 발휘하면서도 콘크리트 바닥판의 단점인 수축 팽창에 따른 균열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별도의 조인트 설계가 불필요한 시공상의 이점이 발휘된다.Thus, the floor plate of the modular walking path (A) of this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a plurality of unit floor plates 30 are continuous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lking road frame 20 to be seated on the top of the walking road frame 20. Since the individual unit floor plate 30 can behave independently even after the fact, the durability of the concrete floor plate is ensured, while exhibiting the advantages of the concrete floor plate, cracks due to contraction expansion,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concrete floor plate, can be prevented, and a separate joint design is unnecessary. There are construction benefits.

한편, 상기 보행로 프레임 설치단계(S20) 이후에 보행로 프레임(20)의 양측에 형성되는 I빔의 외측에 상부로 소정 높이와 길이를 갖는 바닥판 위치결정 라이너(210)를 형성하는 라이너 형성단계(S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ner forming step of forming a floor plate positioning liner 2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length upward on the outside of the I-beam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alkway frame 20 after the walkway frame installation step (S20) ( S25)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라이너 형성단계(S25)에 의하면, 상기 단위 바닥판(30)이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바닥판 위치결정 라이너(210)가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한 쌍의 바닥판 위치결정 라이너(210) 사이에 단위 바닥판(30)을 끼움 구비하여 상기 단위 바닥판(30)의 정위치 시공을 구현하면서도 시공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ner forming step (S25), the floor plate positioning liner 210 is elastically deformed outward in the process of seating the unit floor plate 30, thereby forming a pair of floor plate positioning liners 210. By inserting the unit floor plate 30 therebetween, the constr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while realizing the construction of the unit floor plate 30 in place.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바닥판 조립단계(S30)에서 단위 바닥판(30)의 하부인 요철바닥부(310)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된 L형 장부편(320)의 모서리에 하부를 향하여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 바닥판 유동 방지편(321)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the bottom plate assembling step (S30), the corners of the L-shaped tenon pieces 320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cavo-convex bottom part 310,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unit floor plate 30,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bottom. Bottom plate extended to have A flow prevention piece 321 may be additionally formed.

나아가,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의 상부 플랜지 하부에는 멈춤편(322)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 방지편(321)을 관통하는 스크류(323)가 결합되도록 하는 스크류 체결단계(S35)를 포함하여 단위 바닥판(30)이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적인 용접이 없이 단위 바닥판(30)을 보행로 프레임(20)에 결속할 수 있으므로, 추후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Furthermore, a stopper 32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flange of the walking path frame 20 so that the screw 323 penetrating the flow prevention piece 321 is coupled to the screw fastening step (S35) Unit floor including It is also possible to additionally prevent the plate 30 from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unit bottom plate 30 can be bound to the walking path frame 20 without additional welding, ease of maintenance can be secured in the future.

10:받침 지지대 20:보행로 프레임
30:단위 바닥판 40:안전 난간부
110:매립 포스트 111:첨예부
112:다각플레이트 113:매립 유도부
210:바닥판 위치결정 라이너 350:콘크리트
410:난간 지주 420:난간대
10: base support 20: footpath frame
30: unit bottom plate 40: safety handrail
110: landfill post 111: sharp part
112: polygonal plate 113: landfill induction unit
210: bottom plate positioning liner 350: concrete
410: handrail holding 420: handrail

Claims (7)

도로나 화단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게 구비되어지는 모듈형 보행로(A)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보행로(A)는 상부가 지면의 상부로 노출되게 소정 깊이로 다수개의 받침 지지대(10)가 매립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다수개의 받침 지지대(10)의 상부에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보행로 프레임(20)이 구비되어지며,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의 상부에 소정 두께를 갖는 단위 바닥판(3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받침 지지대(10)는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의 내측과 외측으로 서로 마주보고 원통형태를 갖는 매립 포스트(110)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매립 포스트(110)의 하단에는 첨예부(111)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매립 포스트(110)는 상단에 다각플레이트(112)가 얹혀져 용접 이음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매립 포스트(110)의 중간부 외주연부에는 다수개의 매립 유도부(113)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어지되, 상기 도로 또는 화단의 외측 매립 포스트(110)의 상단에 구비된 다각플레이트(112)에는 H빔으로 형성된 수평유지부재(120)가 언혀져 용접 이음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I빔으로 구비되어지되, 각각의 I빔의 외측 상단으로 소정 높이와 길이를 갖는 바닥판 위치결정 라이너(210)가 구비되며, 상기 단위 바닥판(30)은 요철바닥부(310)의 폭방향 양측에 L형 장부편(320)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요철바닥부(310)의 길이방향 양측에 단부편(330)이 폭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요철바닥부(310), L형 장부벽(320) 및 단부편(330) 사이로 제공되는 바닥판공간부(340)에 콘크리트(350)가 타설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보행로.
In the modular walking path (A) provided to extend outwardly of the road or flower bed,
The modular walking path (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ers 10 buried at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upper part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and the top of the plurality of supporters 10 in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A walking path frame 20 is provided, and a unit bottom plate 3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walking path frame 20, and the support support 10 is provided with the inner side of the walking path frame 20 and It is provided with embedding posts 110 facing each other to the outsid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sharp portion 11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each embedding post 110, and each embedding post 110 has an upper end The polygon plate 112 is placed on and provided as a welded joint, and a plurality of embedding induction parts 113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middle part of the embedding post 110, but the outer side of the road or flower bed The polygonal plate 112 provided at the top of the buried post 110 is formed of an H beam. The horizontal holding member 120 is provided as a welded joint, and the walkway frame 20 is provided as an I-bea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but a floo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length as the outer top of each I-beam. A plate positioning liner 210 is provided, and the unit bottom plate 30 is provided with L-shaped tenon pieces 3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uneven bottom portion 310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uneven bottom portion ( 310) are provided with end pieces 330 in the width direction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space portion 340 provided between the uneven bottom portion 310, the L-shaped tenon wall 320 and the end piece 330. A modular walkwa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rete 350 is pou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로나 화단의 외측 방향으로 제1항 발명의 모듈형 보행로(A)를 확장되게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사진 법면의 상부로 받침 지지대(10)가 노출되도록 소정 깊이로 매립되게 구비하는 받침 지지대 설치단계(S10);
상기 받침 지지대(10)의 상부에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보행로 프레임(20)을 격자형으로 설치하는 보행로 프레임 설치단계(S20);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의 양측 I빔의 외측에 상부로 소정 높이와 길이를 갖는 바닥판 위치결정 라이너(210)를 형성하는 라이너 형성단계(S25);
상기 보행로 프레임(20)의 상부에 소정 두께를 갖는 단위 바닥판(30)을 구비하는 바닥판 조립단계(S30); 및
상기 단위 바닥판(30) 마다 마련되는 바닥판공간부(340)에 콘크리트(350)를 타설하여 바닥판을 완성하는 바닥판 형성단계(S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보행로의 시공방법.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modular walkway (A) of claim 1 to expan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road or flower bed,
A support support installation step (S10) having the support support 10 buried at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support support 10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clined slope;
A footpath frame installation step (S20) of installing the footpath frame 20 in a lattice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pport support 10;
a liner forming step (S25) of forming a floor plate positioning liner 2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length on an upper side of the I-beams on both sides of the walkway frame 20;
A floor plate assembling step (S30) of providing a unit floor plate 3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op of the walking path frame 20; and
A floor plate forming step (S40) of completing a floor plate by pouring concrete 350 into the floor plate space 340 provided for each unit floor plate 30;
Construction method of a modular walking path comprising a.
삭제delete
KR1020220038892A 2022-03-29 2022-03-29 Modular walkway KR1024712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892A KR102471226B1 (en) 2022-03-29 2022-03-29 Modular walk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892A KR102471226B1 (en) 2022-03-29 2022-03-29 Modular walkw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226B1 true KR102471226B1 (en) 2022-11-28

Family

ID=8423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8892A KR102471226B1 (en) 2022-03-29 2022-03-29 Modular walk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22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500B1 (en) 2009-07-29 2009-11-26 주식회사 남광이앤씨 Device fixing structure of walking way
KR100960725B1 (en) * 2009-09-22 2010-05-31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Road for bicycle and walker constructing on the slope of road
KR101005469B1 (en) 2010-07-29 2011-01-05 주식회사 남광이앤씨 The method which expands the pedestrian passage
KR20150134852A (en) * 2014-05-23 2015-12-02 (주)그린우드 Wood deck structure
KR102078285B1 (en) * 2019-07-18 2020-02-17 김정철 Prefabricated pedestrian exclusive deck
KR102146886B1 (en) * 2020-05-15 2020-08-21 (주)태평양기술산업 Floor panel surface finish compositon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floor panel for deck syste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500B1 (en) 2009-07-29 2009-11-26 주식회사 남광이앤씨 Device fixing structure of walking way
KR100960725B1 (en) * 2009-09-22 2010-05-31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Road for bicycle and walker constructing on the slope of road
KR101005469B1 (en) 2010-07-29 2011-01-05 주식회사 남광이앤씨 The method which expands the pedestrian passage
KR20150134852A (en) * 2014-05-23 2015-12-02 (주)그린우드 Wood deck structure
KR102078285B1 (en) * 2019-07-18 2020-02-17 김정철 Prefabricated pedestrian exclusive deck
KR102146886B1 (en) * 2020-05-15 2020-08-21 (주)태평양기술산업 Floor panel surface finish compositon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floor panel for deck system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786A (en) Combination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20220081868A1 (en)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169460B1 (en) Box girder inbased footing member to inner box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475707B1 (en) Modular sidewalk block road
JP2011006849A (en) Method for constructing foundation
KR101777746B1 (en) A support
KR102157763B1 (en) Retaining wall with anchor panel and gabion-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471226B1 (en) Modular walkway
KR102078285B1 (en) Prefabricated pedestrian exclusive deck
KR101701220B1 (en) Road expans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17172308A (en) Integrated foundation and integrate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KR100877596B1 (en) Building repairing method using column reinforcing member
KR200370135Y1 (en) Forms for edge girder construction
KR102202263B1 (en) Precast Concrete Pedestrian Bridge And Construciton Method Thereof
JP6817589B1 (en) How to build pile support structure
KR102059470B1 (en) assembling unit for reinforcement of foundation and structrue using it
CN112031495A (en) Prefabricated cabin transformer substation assembled steel structure foundation and construction splicing method thereof
KR100964721B1 (en) Block for road extension
KR101194866B1 (en)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longitudinal and lateral steel member
JP4834649B2 (en) Construction structure of embankment structure, retaining wall block for construction of embank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embankment structure
KR101106799B1 (en) Construction method of Top-down concrete slab
JP2007291801A (en) Elevated road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197109B1 (en) Slab unit implanted with means for pressing pile and the method for carrying out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using it
KR100660036B1 (en) Method of construction for extending a space between bridge piers
KR100949868B1 (en) The enlargement construction method for base of bridge with guides and molds in the shape of p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