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382B1 -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382B1
KR102470382B1 KR1020210054101A KR20210054101A KR102470382B1 KR 102470382 B1 KR102470382 B1 KR 102470382B1 KR 1020210054101 A KR1020210054101 A KR 1020210054101A KR 20210054101 A KR20210054101 A KR 20210054101A KR 102470382 B1 KR102470382 B1 KR 102470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shing
making
washing uni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233A (ko
Inventor
양영호
구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까조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까조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까조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1005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38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outer walls of cooled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12Ice-shav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2Means for sani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를 개시한다.
이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는 세척수 저장공간(24)을 바닥측에 형성하고, 이 세척수 저장공간(24)에서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무하는 제1,제2세척노즐을 형성하고, 세척수 배출구를 형성한 세척유닛(20); 제빙드럼의 하방에서 제빙드럼이 침지되도록 후단 양측면이 상기 세척유닛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빙접시; 및 상기 제빙접시를 제빙드럼의 하방에서 소정각도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빙접시 일측에 힌지핀과 연결된 레버부재;를 포함하여 제빙시에는 제빙드럼의 하방에 제빙접시가 침지되도록 회동시키고, 세척시에는 제빙접시를 편심 회전시켜 잔수를 비우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Structure that combines the ice making water tank in the cleaning unit of the drum type the ice maker}
본 발명은 드럼식 제빙기의 세척유닛내에 제빙접시가 회동가능하게 설비되는 모듈화한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국내 특허등록 제10-0178693호(1998년 11월 24일), 특허등록 제10-0691027호(2007년 02월 27일) 및 특허등록 제10-1268911호(2013년 05월 23일) 등에는 가정이나 매장에서 팥빙수나 아이스크림 재료로 사용되는 설빙(가루얼음)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드럼식 제빙기가 알려져 왔다.
이러한 드럼 회전식 제빙기는 대략, 상면에 설치된 원료수 급수조로부터 원료수가 공급되고, 이 원료수가 일시 저장되는 제빙수조에 외주면 일부가 잠긴 상태로 회전하는 원통형 제빙드럼과, 상기 제빙드럼을 지지하면서 제빙드럼 내부로 냉매를 분사하는 냉매관과, 제빙드럼내 분사된 냉매를 회수하는 회수관과, 상기 제빙드럼의 외주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깍아내는 절삭부재와, 제빙드럼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이들을 둘러싸는 외부 케이싱으로 구성된다.
드럼식 제빙기는 냉각용 매체(냉매)의 순환(압축→응축(고온 영역)→팽창→증발(저온 영역)→압축)에 의해 저온 영역에서 고온 영역으로 열에너지를 이송시키는 열펌프인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4요소, 즉, 압축기, 응축기(고온부 열 방출), 팽창밸브, 증발기(저온부 열 흡수, 냉각기)로 순환되는 냉매가 통과되는 냉매 통로와 접한 제빙수를 결빙(제빙)시키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이를 냉각사이클(A)이라 한다.
이러한 드럼식 제빙기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문제는 제빙후의 제빙드럼과 제빙접시를 세척하는 것이다. 종래 알려진 드럼식 제빙기의 세척구조는 특허 제10-2042860호(2019. 11.04)와, 특허제10-2190026호(020.12.07)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건들중 후자의 경우는 제빙접시와 세척구조가 한몸으로 이루어진 것이기는 하지만 전체 세척장치의 회전공간 마련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고, 후자의 경우는 도 10a와, 도 10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빙작동시에는 제빙접시를 제빙드럼 하부에 위치시키고 세척시에는 제빙접시를 따로 분리한 뒤 세척유닛을 부착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제10-2190026호(2020년 12월 14일 공고) 특허 제10-2042860호(2019년 11월 27일 공고)
공개특허제10-2016-0148332호(2016년 12월 26일 공개)
본 발명은 종래의 드럼식 제빙기의 세척유닛과 제빙접시를 일일히 분리하여 세척함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드럼식 제빙기에서 세척유닛내에 제빙접시를 포함하여 세척유닛내에 제빙접시가 일체로 설비되는 모듈화한 세척유닛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드럼식 제빙기에서 세척유닛내에 회동 가능한 제빙접시를 구비하여 제빙후의 제빙수를 간단히 비울 수 있도록 한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를 제공학자 한다.
본 발명은 드럼식 제빙기에서 세척유닛내에서 제빙수를 비우거나 정상 제빙작동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빙접시의 회동을 위한 다양한 구동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는,
세척수 저장공간을 바닥측에 형성하고, 이 세척수 저장공간의 상방은 개방되고, 상기 세척수 저장공간에서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제2세척노즐을 형성하고, 세척수 저장공간의 하방으로 세척수 배출구를 형성한 세척유닛;
제빙드럼이 침지되는 곡면부와, 원료수가 공급되는 수평면부를 형성하고, 이 수평면부 양측면에 힌지핀을 형성하여 세척유닛의 공간내 양측에 힌지핀을 축으로 편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빙접시; 및
상기 제빙접시의 곡면부가 상기 제빙드럼의 하방에서 침지되거나 해제되도록 힌지핀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세척유닛의 측벽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레버부재;
을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제빙접시의 제빙수를 상기 세척유닛의 내부로 쏟아 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는,
상기 레버부재와 상기 세척유닛의 지지연부 사이에 연결되어 편심 회동하는 링크부재와, 이 링크부재에 구동축을 연결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레버부재가 접촉되는 접촉부재로 이루어진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제빙접시가 상기 세척유닛의 하방으로 제빙후의 제빙수를 쏟아 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이다.
상기 제빙접시를 제빙드럼의 하방에서 곡면부가 제빙드럼의 하방에 침지되거나 해제되도록 상기 레버부재를 소정각도로 편심 회동하도록 세척유닛으 일측에 형성된 지지연부에 편심 링크부재에 연결된 제1구동모터와, 상기 레버부재가 접촉하는 접촉부재를 구비한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로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는 드럼식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빙접시를 회전드럼의 하방에서 편심 회동하도록 일측에 연결되는 레버부재를 당기거나 밀도록 레버부재에 접촉하는 플런저; 이 플런저를 전,후진 하도록 전원 공급으로 자력을 발생하는 코일이 권취된 코아; 및 상기 플런저의 후단에서 탄력을 발생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로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는 드럼식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빙접시가 제빙드럼의 하방에서 침지,해제되도록 상기 제빙접시의 수평면부 양측에 힌지핀을 형성하고, 이 힌지핀중 어느 하나에 편심축을 구비한 제2구동모터로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는 드럼식 제빙기에 있어서,상기 구동유닛은,
세척유닛의 지지연부 상방에 연결되는 편심축과, 이 편심축을 구동하는 제3구동모터와, 상기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사이에서 세척유닛의 이동에 따라 곡면부가 편심 회동하도록 제2링크부재를 연결하는 것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는 드럼식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세척유닛의 지지연부 상방에 연결되는 편심축과, 이 편심축을 구동하는 제3구동모터와, 상기 제빙접시의 타단 양측에 형성된 힌지핀과, 상기 세척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제빙접시 저면이 슬립 접촉하도록 설치된 받침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세척유닛의 이동에 따라 제빙접시의 수평면부가 편심 회동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식 제빙기의 세척유닛와 제빙접시를 분리하지 않고 모듈화하여 세척때마다 일일히 탈거하여 분리하지 않고도 하나의 세척유닛내에서 간단한 작동으로 제빙과 세척이 함께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드럼식 제빙기에서 세척유닛내에 제빙접시를 설비하는 드럼식 제빙기의 세척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드럼식 제빙기에서 세척유닛내에 회동 가능한 제빙접시를 구비하여 제빙후의 제빙수를 간단히 비울 수 있도록 한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드럼식 제빙기에서 세척유닛내에서 제빙수를 비우거나 정상 제빙작동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빙접시의 회동을 위한 다양한 구동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세척유닛 발췌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정면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측면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평면개략도이고,
도 5a,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작동설명도이고,
도 6은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측면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측면개략도이고,
도 8a,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a,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개략적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a,10b는 종래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 및 세척작동을 설명하는 개략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세척유닛은 드럼식 제빙기에 설치되고, 제빙드럼을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노즐들과, 세척수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세척수 공급을 위하여 전자밸브,세척수 배출구등으로 이루어진 세척장치로 정의한다. 이 세척유닛의 내부에 크기가 더 작은 제빙접시를 결합하는 모듈 구조이다.
제빙접시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수탱크로 부터 소정의 밸브,펌프등의 공급작동으로 제빙수(원료수)가 담겨지고, 제빙드럼이 위치하는 곡면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원료수가 낙수되는 수평면부를 형성한 구조로서 상기 세척유닛 내부에서 편심회동하도록 결합된다.
<실시 예1>
첨부 도면 중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세척유닛 모듈의 발췌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정면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측면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평면개략도이고, 도 5a,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작동설명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실시 예1의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는 하우징("H")내에 설치되는 제빙드럼(10),세척유닛(20),제빙접시(30),구동유닛(40),절삭칼(60), 제빙수 공급노즐(70)로 이루어지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일부 구조는 일반적인 드럼식 제빙기의 구조로 실시 할 수 있다.
세척유닛(20)은 세척수 저장공간(24)을 바닥측을 구분하여 밀폐된 공간르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이 세척수 저장공간(24)에서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무하는 제1,제2세척노즐(21)(22)을 형성하되, 가운데는 제1세척노즐(21)들을 동일 높이로 수개 형성하고, 이 제1세척노즐(21)들의 양측에는 제1세척노즐(21) 보다 높게 제2세척노즐(22)들을 형성하고, 이 양측의 제2세척노즐(22)후방으로 같은 높이의 제2세척노즐(22)을 더 설치하며, 세척유닛(20)의 타측면에는 세척수 저장공간(24)에서 하방으로 세척수 배출구(25)를 연통되게 형성하고, 세척유닛(20)의 타측에는 세척수 저장공간(24)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23)을 형성한다. 세척수의 공급은 세척수 공급펌프(도시생략)등을 연결하여 제1,제2세척노즐(21)(22)들을 통하여 세척수가 소정 알력으로 분사되도록 펌핑수단등을 통하여 소정 압력으로 급수되도록 한다. 물론 세척수의 세척작동은 제빙접시의 작동은 물론,제빙드럼(10)의 냉매로서 압축,순환,팽창,증발하는 냉각사이클(A)을 통하여 드럼내부가 냉각됨을 전제로 하며, 이러한 냉각개시작동은 물론 제빙드럼의 회전을 위한 구동유닛,제빙접시(30)의 제빙수 공급을 위한 공급 개시작동,및 제빙이 끝난 제빙기의 세척작동에 이르는 일련의 작동은 본 발명 드럼식 제빙기에 적용되는 전원,스위칭수단등으로 이루어진 전원공급용, 스위칭신호용 블럭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전기적 작동을 위한 구체적인 설명은 알려진 수단으로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빙접시(30)는 도 1과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세척유닛(20)의 내측에 설치하되,제빙드럼(10)이 위치한 하방에서 제빙드럼(10)이 침지되도록 설치된다.
제빙접시(30)는 제빙드럼(10) 하방에 대응하는 바닥면측에 곡면부(32)와 원료수가 낙수되는 수평면부(33)를 이루고, 수평면부(33)의 후단 양측에는 힌지핀(34)을 형성하고, 힌지핀(34)의 일측은 측벽(29)을 관통하여 외측에서 레버부재(35)를 형성하여 레버부재(35)의 회동으로 힌지핀(34)을 축으로 제빙접시(30)의 곡면부(32)가 소정각도로 편심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세척유닛(20)내에 설치된다. 레버부재(35)는 손잡이를 형성하여 제빙작동과 세척작동에 따라 수동적인 작동이 가능하며,수동레버부재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일일히 제빙과 세척작동을 선택하여 제빙접시(30)의 회동과 세척유닛(20), 제빙수 공급, 제빙드럼(10)의 냉각작동등을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구동유닛(40)은 제빙접시(30)를 회전드럼(10)의 하방에서 편심 회동하도록 제빙접시(30)의 일측 힌지핀(34)에 레버부재(35)를 연결하여 제빙시에는 레버부재(35)를 제빙드럼(10)의 하방에 침지되도록 회동시키고, 세척시에는 제빙드럼의 침지상태에서 벗어나도록 레버부재(35)를 하향 회동하여 제빙수를 비우도록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형성되며, 첨부 도면 도 5a,도 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척유닛(20)을 전후진 이동함에 따라 본 발명이 적용된 드럼식 제빙기의 하우징(도시생략)내의 소정 접촉부재(43)에 접촉하도록 하여 간단한 턴온,턴오프 선택 스위칭으로 제빙접시(30)를 편심 회동 하도록 할 수 있다. 세척유닛(20)의 전,후진 이동은 본 발명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구동유닛(40)의 제1구동모터(41), 이 구동축에 연결된 제1링크부재(42),이 링크부재(42)가 연결된 세척유닛(20)의 지지연부(26)의 구성으로 전,후진 이동된다. 물론, 지지연부(26)은 세척유닛(20)의 중간부가 적당하지만 양연부 어느 한쪽에서도 가능하다. 따라서 세척유닛(20)의 수직상방에서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41)의 구동축에 편심 설치된 제1링크부재(42)가 세척유닛(20)의 지지연부(26)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세척유닛(30)은 수평방향에서 전,후진 이동하게 된다. 한편, 세척유닛(20)의 전,후진이동에 따라 레버부재(35)가 접촉부재(43)에 접촉,해제됨에 따라 제빙접시(30)의 양측에 걸쳐 축라인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힌지핀(34)과 레버부재(35)로 이루어진 축라인을 기준으로 전방이 들어올려지거나 내려가는 편심적인 상,하동작동이 이루어진다.이와 같은 제빙접시(30)의 회동축핀(34)의 편심된 상,하 회동으로 원료수등의 남아있는 잔수가 하측 세척유닛(20) 내부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잔수 배출이 끝나면 세척노즐(21)(22)들을 통하여 세척수를 분사한다. 분사된 세척수는 양측 세척노즐(21)은 제빙드럼(10)을 향하여 분사되고, 내측의 높이가 낮은 세척노즐(22)는 절삭날저면과 드럼 저면을 향하여 분사됨과 동시에 분사된 세척수가 제빙접시(30)내부로 낙하되면서 제빙접시(30)내부를 세척하게 된다.
<실시 예2>
첨부 도면중 도 6은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측면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1과 같은 구성의 설명은 중복이므로 생략하고 다르게 설계되는 구동유닛(40)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실시 예2의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는 실시 예1과 같이 세척유닛(20),제빙접시(30),구동유닛(40)으로 이루어진다.
실시 예1의 첨부 도면중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척유닛(20)은 세척수 저장공간(24)을 바닥측을 구분하여 밀폐된 공간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이 세척수 저장공간(24)에서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무하는 제1,제2세척노즐(21)(22)을 형성하되, 가운데는 제1세척노즐(21)들을 동일 높이로 수개 형성하고, 이 제1세척노즐(21)들의 양측에는 제1세척노즐(21) 보다 높게 제2세척노즐(22)들을 형성하고, 이 양측의 제2세척노즐(22)후방으로 같은 높이의 제2세척노즐(22)을 더 설치하며, 세척유닛(20)의 타측 바닥으로는 세척수 저장공간(24)에서 하방으로 세척수 배출구(25)를 연통되게 형성하고, 세척유닛(20)의 타측에는 세척수 저장공간(24)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23)을 형성한다. 세척수의 공급 및 분사는 세척수 펌핑수단(도시생략)등을 통하여 세척수 저장공간(24)에 연결된 제1,제2세척노즐(21)(22)들에서 소정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소정의 압력을 갖고 급수되도록 한다.
제빙접시(30)는 도 1과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세척유닛(20)의 내측에 설치하되,제빙드럼(10)이 위치한 하방에서 제빙드럼(10)이 침지되도록 설치된다.
제빙접시(30)는 제빙드럼(10)의 하방에서 대응하는 곡면부(32)와,원료수가 공급,낙수되는 수평면부(33)를 이루고, 수평면부(33)후단 양측에는 힌지핀(34)을 형성하고, 일측의 힌지핀(34)는 측벽(29)외측에서 레버부재(35)로 연결하여 제빙접시(30) 전체가 힌지핀(34)을 축으로 소정각도로 편심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세척유닛(20)내에 설치된다. 레버부재(35)는 손잡이를 형성하여 제빙작동과 세척작동에 따라 수동적인 작동이 가능하며,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일일히 제빙과 세척작동을 선택하여 제빙접시(30)의 회동과 세척유닛(20), 제빙수 공급, 제빙드럼(10)의 냉각작동등을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구동유닛(40)은 제빙접시(30)를 회전드럼(10)의 하방에서 편심 회동하도록 제빙접시(30) 힌지핀(34)중 하나에 레버부재(35)가 연결되어 있고,이 레버부재(35)는 솔레노이드(44)의 플런저(441)의 선단측에 접촉되어 있다. 플런저(441)는 후단에 탄성부재(443)이 권착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44)의 코일이 권취된 코아(442)에 전원이 통전되면 코일이 권취된 코아(442)가 권취된 중심의 플런저(441)에 자화되어 전,후진 이동한다. 이에 제빙접시(30)가 힌지핀(34)와 레버부재(35)를 축으로 소정각도로 편심되면서 하강되어 제빙수가 쏟아지게 된다. 이후 솔레노이드(44)를 해제하면 자화된 플런저(441)가 자력을 잃어 원위치로 복귀한다. 레버부재(35)는 다시 원래 위치로 회복(힌지핀과 레버부재 사이에 탄발력을 갖도록 탄성부재을 권취할 수 있다).미설명부호 444는 케이싱이다.
제빙시에는 레버부재(35)를 솔레노이드(44)의 플런저(441)를 밀어 제빙드럼(10)의 하방에 침지되도록 회동시키고, 세척시에는 제빙드럼(10)의 침지상태에서 벗어나도록 레버부재(35)를 플런저(441)가 당겨 제빙수를 쏟아내어 제빙접시(30)를 비우도록 한다.
<실시 예3>
첨부 도면중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측면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1과 같은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르게 설계되는 구동유닛(40)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실시 예3의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는 실시 예1과 같이 세척유닛(20),제빙접시(30),구동유닛(40)으로 이루어진다.
실시 예1의 도 1 내지 도 4, 도 7 및 도 8a, 도 8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척유닛(20)는 세척수 저장공간(24)을 바닥측을 구분하여 밀폐된 공간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이 세척수 저장공간(24)에서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무하는 제1,제2세척노즐(21)(22)을 형성하되, 가운데는 제1세척노즐(21)들을 동일 높이로 수개 형성하고, 이 제1세척노즐(21)들의 양측에는 제1세척노즐(21) 보다 높게 제2세척노즐(22)들을 형성하고, 이 양측의 제2세척노즐(22)후방으로 같은 높이의 제2세척노즐(22)을 더 설치하며, 세척유닛(20)의 타측의 바닥에는 세척수 저장공간(24)에서 하방으로 세척수 배출구(25)를 연통되게 형성하고, 세척유닛(20)의 타측에는 세척수 저장공간(24)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23)을 형성한다. 세척수는 세척수 펌핑수단(도시생략)등을 연결하여 세척수 저장공간(25)에 연통설치된 제1,제2세척노즐(21)(22)들을 통하여 소정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소정 압력으로 급수되도록 한다.
제빙접시(30)는 도 1과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세척유닛(20)의 내측에 설치하되,제빙드럼(10)이 위치한 하방에서 제빙드럼(10)이 침지되도록 설치된다.
제빙접시(30)는 제빙드럼(10) 하방에 대응하는 바닥면측에 곡면부(32)와 수평면부(33)를 이루고, 수평면부(33)의 후단 양측에는 힌지핀(34)을 형성하고 일측 힌지핀(34)는측벽(29)를 관통하여 외측에서 레버부재(35)를 연결하여 제빙접시(30) 전체가 힌지핀(34)을 축으로 세척유닛(20)내에서 소정각도로 편심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구동유닛(45)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빙접시(30)의 힌지핀(34) 혹은 레버부재(35)중 어느 한쪽에 축방향으로 제2구동모터(451)의 구동축에서 편심된 편심축(452)를 힌지핀(34)측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구동모터(451)의 스텝구동으로 제빙접시(30)를 소정 각도범위내에서 상,하동하여 제빙드럼(10)의 하방이 침지되도록 수평 위치 시킬 수 있고, 혹은 제빙작동이 끝나면 세척을 위하여 제빙수를 비우도록 편심 하향 회동시킬 수 있다.
<실시 예4>
첨부 도면중 도 8a,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개략적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1과 같은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르게 설계되는 구동유닛(40)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실시 예4의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는 실시 예1과 같이 세척유닛(20),제빙접시(30),구동유닛(40)으로 이루어진다.
실시 예1의 도 1 내지 도 4, 도 8a, 도 8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척유닛(20)는 세척수 저장공간(24)을 바닥측을 구분하여 밀폐된 공간으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이 세척수 저장공간(24)에서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무하는 제1,제2세척노즐(21)(22)을 형성하되, 가운데는 제1세척노즐(21)들을 동일 높이로 수개 형성하고, 이 제1세척노즐(21)들의 양측에는 제1세척노즐(21) 보다 높게 제2세척노즐(22)들을 형성하고, 이 양측의 제2세척노즐(22)후방으로 같은 높이의 제2세척노즐(22)을 더 설치하며, 세척유닛(20)의 타측면에는 세척수 저장공간(24)에서 하방으로 세척수 배출구(25)를 연통되게 형성하고, 세척유닛(20)의 타측에는 세척수 저장공간(24)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23)을 형성한다. 세척수는 세척수 펌핑수단(도시생략)등을 연결하여 세척수 저장공간(25)에 연통설치된 제1,제2세척노즐(21)(22)들을 통하여 소정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소정 압력으로 급수되도록 한다.
제빙접시(30)는 도 1과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세척유닛(20)의 내측에 설치하되,제빙드럼(10)이 위치한 하방에서 제빙드럼(10)이 침지되도록 설치된다.
제빙접시(30)는 제빙드럼(10) 하방에 대응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곡면부(32)와 원료수가 낙수되는 수평면부(33)를 이루고, 수평면부(33) 후단 양측에는 힌지핀(34)을 형성하고 일측 힌지핀(34)은 측벽(29)을 관통하여 레버부재(35)에 연결되어 제빙접시(30) 전체가 힌지핀(34)을 축으로 소정각도로 편심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레버부재(35)는 손잡이를 형성하여 제빙작동과 세척작동에 따라 수동적인 작동이 가능하며,수동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일일히 제빙과 세척작동을 선택하여 제빙접시(30)구동과 세척유닛(20), 제빙수 공급, 제빙드럼(10)의 냉각작동등을 동시에 혹은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구동유닛(46)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척유닛(20)의 지지연부(26)상의 어느 위치에 제3구동모터(461)와, 구동축에 연결되는 편심축(462)를 연결하여 세척유닛(20)의 지지연부(26)상에 연결하고, 제빙접시(30)의 타방향측에는 힌지(464)로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제빙접시(30)의 하방에서 세척유닛(20)으로 제2링크부재(463)을 연결한다.
이와 같은 연결구조로서 세척유닛(20)이 제3구동모터(461)의 좌,우 스위칭 회동으로 세척유닛(20)이 전진 혹은 후진하며,그에 따라 제빙접시(30)의 힌지(464)를 축으로 힌지(464)없는 쪽이 하방으로 편심 회동하여 내부 채워진 제빙수를 비우게 하거나 원복시켜 제빙수를 체운뒤 제빙드럼(10)을 침지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5>
첨부 도면 도 9a,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개략적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1과 같은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르게 설계되는 구동유닛(40)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실시 예5의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는 실시 예1과 같이 세척유닛(20),제빙접시(30),구동유닛(40)으로 이루어진다.
실시 예1의 도 1 내지 도 4, 도 9a, 도 9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척유닛(20)는 세척수 저장공간(24)을 바닥측을 구분하여 밀폐된 공간르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이 세척수 저장공간(24)에서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무하는 제1,제2세척노즐(21)(22)을 형성하되, 가운데는 제1세척노즐(21)들을 동일 높이로 수개 형성하고, 이 제1세척노즐(21)들의 양측에는 제1세척노즐(21) 보다 높게 제2세척노즐(22)들을 형성하고, 이 양측의 제2세척노즐(22)후방으로 같은 높이의 제2세척노즐(22)을 더 설치하며, 세척유닛(20)의 타측면에는 세척수 저장공간(24)에서 하방으로 세척수 배출구(25)를 연통되게 형성하고, 세척유닛(20)의 타측에는 세척수 저장공간(24)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23)을 형성한다. 세척수의 공급은 세척수 공급용 전자밸브(27)를 설치하여 제1,제2세척노즐(21)(22)들을 통하여 세척수가 소정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제빙접시(30)는 도 1과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세척유닛(20)의 내측에 설치하되,제빙드럼(10)이 위치한 하방에서 제빙드럼(10)이 침지되도록 설치된다.
제빙접시(30)는 제빙드럼(10) 하방에 대응하는 바닥면측에 곡면부(32)와 수평면부(33)를 이루고, 곡면부(32)혹은 선단 일측에는 힌지핀(34)를 형성하고, 제빙접시 받침부재(28)를 곡면부(32)측 저부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하되 슬립용 볼부재(부호생략)로서 제빙접시(30) 전체가 선단 힌지핀(34)를 기준으로 수평면부(33)가 소정각도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의 구동유닛(46)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척유닛(20)의 지지연부(26)상의 소정 위치에 제3구동모터(461)와, 이 제3구동모터(461)에 편심연결되는 편심축(462)으로 세척유닛(20)의 지지연부(26)상 소정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하고, 제빙접시(30)의 타측에는 힌지핀(34)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제빙접시(30)의 하방에서 받침부재(28)를 슬립되게 설치한다. 슬립부재(부호생략)는 볼베어링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구조로서 세척유닛(20)이 제3구동모터(461)의 좌,우 스위칭 회동으로 전진 혹은 후진하며,그에 따라 제빙접시(30)의 힌지핀(34)을 축으로 수평면부(33)가 하방으로 기울어져 내부 채워진 원료수가 비워지게 된다. 이후 제3구동모터(461)을 구동하여 세적유닛(20)을 원위치로 복귀하면 제빙접시(30)가 원래 위치로 상승하게 되고, 제빙드럼(10)이 곡면부(32)에 위치함과 동시에 원료수가 ㄱ고공급노즐로 부터 채워져 제빙드럼(10)이 침지상태로 되어 제빙작동이 시작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을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의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이고,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H":하우징, 10:제빙드럼, 20:세척유닛, 21,22:제1,제2세척노즐,
23:세척수 공급관, 24:세척수 저장공간, 25:세척수 배출구,
26:지지연부, 27:전자밸브, 28:받침부재, 29:측벽, 30:제빙접시,32:곡면부,
33:수평면부, 34:힌지핀, 35:레버부재, 40:구동유닛, 41:제1구동모터,
42:제1링크부재, 43:접촉부재, 44:솔레노이드, 441:플런저,
442:코일이 권취된 코아, 443:탄성부재, 45:구동유닛,
451:제2구동모터, 452:편심축, 46:구동유닛, 461:제3구동모터, 462:편심축,
463:제2링크부재, 464:힌지, 60:칼날, 70:제빙수 공급노즐,

Claims (6)

  1.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세척수 저장공간(24)을 바닥측에 형성하고, 세척수 저장공간(24)의 상방은 개방되고, 세척수 저장공간(24)에서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제2세척노즐(21)(22)을 형성하고, 세척수 저장공간(24)의 하방으로 세척수 배출구(25)를 형성한 세척유닛(20);
    제빙드럼(10)이 침지되는 곡면부(32)와, 원료수가 공급되는 수평면부(33)를 형성하고, 이 수평면부(33) 양측면에 회동축핀(34)을 형성하여 세척유닛(20)의 공간내 양측에 회동축핀(34)을 축으로 편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빙접시(30); 및
    제빙접시(30)의 곡면부(32)가 제빙드럼(10)의 하방에서 침지되거나 해제되도록 회동축핀(34)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세척유닛의 측벽(29)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레버부재(35);
    을 포함하여, 레버부재(35)의 회전으로 제빙접시(30)의 제빙수를 세척유닛(20)의 내부로 쏟아 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와 상기 세척유닛의 지지연부 사이에 연결되어 편심 회동하는 링크부재와, 이 링크부재에 구동축을 연결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레버부재가 접촉되는 접촉부재로 이루어진 구동유닛;
    을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제빙접시의 곡면부가 상기 제빙드럼의 하방에서 침지되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세척유닛의 지지연부 상방에 연결되는 편심축과, 이 편심축을 구동하는 제3구동모터와, 상기 제빙접시의 타단 양측에 형성된 힌지핀과, 상기 세척유닛의 이동에 따라 힌지핀을 축으로 수평면부가 편심 회동하도록 제2링크부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세척유닛의 지지연부 상방에 연결되는 편심축과, 이 편심축을 구동하는 제3구동모터와, 상기 제빙접시의 타단 양측에 형성된 힌지핀과, 상기 세척유닛의 내부에 상기 제빙접시 저면이 슬립 접촉하도록 받침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세척유닛의 이동에 따라 제빙접시의 수평면부가 편심 회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
KR1020210054101A 2021-04-27 2021-04-27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 KR102470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101A KR102470382B1 (ko) 2021-04-27 2021-04-27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101A KR102470382B1 (ko) 2021-04-27 2021-04-27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233A KR20220147233A (ko) 2022-11-03
KR102470382B1 true KR102470382B1 (ko) 2022-11-25

Family

ID=8404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101A KR102470382B1 (ko) 2021-04-27 2021-04-27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3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441B1 (ko) * 2004-05-0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에서 제빙기 커버 개폐장치
KR200474561Y1 (ko) * 2014-04-10 2014-09-26 김성민 제빙기 드럼 세척 장치
KR200481000Y1 (ko) * 2016-04-14 2016-08-02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가루얼음 제빙기
KR102042860B1 (ko) * 2019-04-18 2019-11-27 주식회사 나까조인터내셔널 드럼식 제빙기용 세척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026B1 (ko) 2018-02-26 2020-12-14 양영호 세척구조를 구비한 드럼 제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441B1 (ko) * 2004-05-0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에서 제빙기 커버 개폐장치
KR200474561Y1 (ko) * 2014-04-10 2014-09-26 김성민 제빙기 드럼 세척 장치
KR200481000Y1 (ko) * 2016-04-14 2016-08-02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가루얼음 제빙기
KR102042860B1 (ko) * 2019-04-18 2019-11-27 주식회사 나까조인터내셔널 드럼식 제빙기용 세척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233A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2991B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and ice-dispenser
RU2232360C1 (ru) Льдогенератор
KR100611489B1 (ko) 로터리식 제빙기
KR200479462Y1 (ko) 드럼식 제빙기
KR101515604B1 (ko) 눈꽃얼음 제조장치
JPH0544587B2 (ko)
WO2008082215A1 (en) Refrigerator
KR102470382B1 (ko) 드럼식 제빙기의 제빙접시와 세척유닛의 결합 구조
JPH02143070A (ja) 自動製氷機の除氷構造
JPH02176380A (ja) 自動製氷機
KR100565603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20170003707U (ko) 가루얼음 제빙기
US3908390A (en) Ice making machine
CN2387482Y (zh) 制冰机的翻板机构
KR100254469B1 (ko) 냉장고의 자동제빙장치
JP3781470B2 (ja) 自動製氷装置
JPH05223418A (ja) 電気冷蔵庫の自動製氷装置
KR20150068927A (ko) 눈꽃얼음 제조장치
EP2097695A1 (en) Refrigerator
CN219346862U (zh) 一种冰块输送装置及其制冰机
KR950003048Y1 (ko) 식용 얼음가루 제조기
CN203824194U (zh) 小型制冰机
JPS6214534Y2 (ko)
JP3412677B2 (ja) 自動製氷機の運転方法
KR102524581B1 (ko) 드럼 제빙기의 원료공급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