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274B1 -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274B1
KR102470274B1 KR1020210027026A KR20210027026A KR102470274B1 KR 102470274 B1 KR102470274 B1 KR 102470274B1 KR 1020210027026 A KR1020210027026 A KR 1020210027026A KR 20210027026 A KR20210027026 A KR 20210027026A KR 102470274 B1 KR102470274 B1 KR 102470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input operation
vowel
p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2908A (ko
Inventor
최지오
Original Assignee
최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오 filed Critical 최지오
Priority to KR102021002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274B1/ko
Publication of KR2022012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손만으로도 용이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특수 키가 눌린 상태에서, 'ㅗ'자 형상을 이루도록 키보드에 배치된 4개의 키들이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눌렸을 때 한글 모음이 입력된다.

Description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Input system and input method}
본 발명은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두벌식 배열의 자판에서 자음부는 그대로 유지하되, 스페이스 키와 E, S, D, F 키의 조합을 활용하여 한 손만으로도 용이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에 대한 것이다.
자판(또는 키보드)은 컴퓨터 등에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컴퓨터 주변 입력 기기로, 주로 마우스와 함께 사용되는 주변 입력 기기다. 자판은 보통 영어와 한글 총 두 가지의 배열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한글 배열은 주로 두벌식 배열을 사용한다. 이 두벌식 배열은 왼손으로는 한글의 자음을 입력하고, 오른손으로는 한글의 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판은 양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한쪽 손을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인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된다.
또한 현재의 자판은 비장애인에게도 불편한 점이 많은데, 오른손으로는 주로 마우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마우스와 자판의 교차 작업이 많은 사용자의 경우 오른손이 마우스와 자판을 번갈아 가며 계속해서 움직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오른손의 과도한 이동은 사용자 손목에 많은 피로를 줄 뿐만 아니라, 작업의 속도도 늦추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05393호 (2021년 01월 14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한 손(예를 들어, 왼손)만을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함께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오른손의 과도한 이동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기존과 전혀 다른 새로운 배열의 자판을 만드는 것으로 해결 할 수 있지만, 기존의 두벌식 배열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배열의 자판을 처음부터 다시 외우고 익혀야 하며 그러기까지에는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사용에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왼손만을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되, 기존 두벌식 배열은 최대한 유지하여 기존 두벌식 배열의 사용자가 좀 더 쉽게 새로운 배열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특수 키가 눌린 상태에서, 'ㅗ'자 형상을 이루도록 키보드에 배치된 4개의 키들이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눌렸을 때 한글 모음이 입력된다.
상기 4개의 키들은 제 1 키, 상기 제 1 키의 하측에 배치된 제 2 키, 상기 제 2 키의 좌측에 배치된 제 3 키 및 상기 제 2 키의 우측에 배치된 제 4 키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상기 특수 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 1 키를 누른 후 떼었을 때, 한글 모음 'ㅗ'가 입력되는 제 1 규칙, 상기 특수 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 2 키를 누른 후 떼었을 때, 한글 모음 'ㅜ'가 입력되는 제 2 규칙, 상기 특수 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 3 키를 누른 후 떼었을 때, 한글 모음 'ㅓ'가 입력되는 제 3 규칙, 상기 특수 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 4 키를 누른 후 떼었을 때, 한글 모음 'ㅏ'가 입력되는 제 4 규칙, 상기 특수 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 2 키 및 제 4 키들을 누른 후 떼었을 때, 한글 모음 'ㅡ'가 입력되는 제 5 규칙, 상기 특수 키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 1 키 및 제 4 키들을 누른 후 떼었을 때, 한글 모음 'ㅡ'가 입력되는 제 6 규칙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와 미리 설정된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이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자음 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자음 키들은 'ㅗ'자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는, 'ㄷ'에 해당하는 제 1 자음 키; 'ㅇ'에 해당하는 제 2 자음 키; 'ㄴ'에 해당하는 제 3 자음 키; 및 'ㄹ'에 해당하는 제 4 자음 키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 'ㅗ'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 'ㅗ'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 'ㅜ'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 'ㅜ'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 'ㅓ'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 'ㅓ'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 'ㅏ'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 'ㅏ'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4 자음 키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 'ㅣ'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4 자음 키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들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 'ㅣ'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3 자음 키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 'ㅣ'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3 자음 키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 'ㅣ'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및 제 4 자음 키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 'ㅡ'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및 4 자음 키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 'ㅡ'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자음 키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 'ㅡ'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및 3 자음 키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 'ㅡ'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 'ㅓ'가 입력된 후 상기 모음 'ㅓ'에 대응되는 입력 동작이 다시 이루어질 때, 처음 입력된 모음 'ㅓ'가 모음 'ㅕ'로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 'ㅏ'가 입력된 후 상기 모음 'ㅏ'에 대응되는 입력 동작이 다시 이루어질 때, 처음 입력된 모음 'ㅏ'가 모음 'ㅑ'로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 'ㅓ'가 입력된 후 모음 'ㅣ'에 대응되는 입력 동작이 이루어질 때, 상기 입력된 모음 'ㅓ'가 모음 'ㅔ'로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 'ㅏ'가 입력된 후 상기 모음 'ㅣ'에 대응되는 입력 동작이 이루어질 때, 상기 입력된 모음 'ㅏ'가 모음 'ㅐ'로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모음 'ㅕ'가 입력된 후 모음 'ㅣ'에 대응되는 입력 동작이 이루어질 때, 상기 입력된 모음 'ㅕ'가 모음 'ㅖ'로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모음 'ㅑ'가 입력된 후 모음 'ㅣ'에 대응되는 입력 동작이 이루어질 때, 상기 입력된 모음 'ㅑ'가 모음 'ㅒ'로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미리 설정된 제 2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와 상기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제 1 문장부호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상기 미리 설정된 제 1 문장부호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제 1 문장부호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2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는, 'ㅁ'에 해당하는 제 5 자음 키; 및 'ㅂ'에 해당하는 제 6 자음 키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5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마침표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5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마침표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6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물음표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6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마침표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자판의 좌측 단부에 백스페이스 키 및 엔터 키가 배치된다.
상기 백스페이스 키 및 엔터 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제 2 문장부호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백스페이스 키 및 엔터 키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상기 미리 설정된 제 2 문장부호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백스페이스 키 및 엔터 키 중 적어도 하나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제 2 문장부호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백스페이스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쉼표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백스페이스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쉼표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엔터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작은 따옴표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엔터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작은 따옴표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작은 따옴표가 입력된 후 상기 작음 따옴표에 대응되는 입력 동작이 다시 이루어질 때, 처음 입력된 작음 따옴표를 큰 따옴표로 변환한다.
'ㅂ'에 해당하는 제 6 자음 키의 좌측에 상기 백스페이스 키가 배치되고, 그리고 'ㅁ'에 해당하는 제 5 자음 키의 좌측에 상기 엔터 키가 배치된다.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숫자 키와 상기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수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숫자 키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수와 다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숫자 키는, '1'에 해당하는 제 1 숫자 키; '2'에 해당하는 제 2 숫자 키; '3'에 해당하는 제 3 키; 및 '4'에 해당하는 제 4 숫자 키; 및 '5'에 해당하는 제 5 숫자 키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숫자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수 '6'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숫자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수 '6' 이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숫자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수 '7'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숫자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수 '7' 이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숫자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수 '8'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숫자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수 '8' 이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숫자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수 '9'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숫자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수 '9'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5 숫자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수 '0'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5 숫자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수 '0' 이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와 미리 설정된 제 2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언어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2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상기 언어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2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언어를 변경한다.
상기 제 2 특수 키는 컨트롤 키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특수 키는 자판의 좌측 단부에 위치한 컨트롤 키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는 스페이스 바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제공된 입력 동작은 상기 제 1 특수 키가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눌리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제공된 입력 동작은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가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눌리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제공된 입력 동작은 상기 제 1 특수 키가 터치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제공된 입력 동작은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가 터치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제공된 입력 동작이 해제되는 동작은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를 누르는 압력이 제거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제공된 입력 동작이 해제되는 동작은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인가된 터치가 제거되는 동작을 포함한다.
자판으로부터 단말의 운영체제로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를 후킹(hooking)하고, 그 후킹된 키 입력 신호가,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된 후,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의 이벤트"에 해당할 때, 상기 운영체제로부터 응용 프로그램으로 공급되는 키 입력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신호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와 상기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상기 미리 설정된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자음이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키와 스페이스 바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값과 다른 값으로 인식한다.
상기 스페이스 바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값과 다른 값으로 인식한다.
상기 스페이스 바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다른 값이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방법은, 미리 설정된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와 미리 설정된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이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키와 스페이스 바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값과 다른 값으로 인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소 마우스와 자판을 번갈아 가며 사용해왔던 사용자는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오른손이 자판과 마우스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 오른손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해당 발명을 통해, 한쪽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에게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시스템이 적용된 자판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입력 시스템의 후킹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 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음 입력 그룹(130)은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이며, 스페이스 바(150)가 눌린 상태에서만 한글 모음이 입력된다. 모음 입력 그룹은 미리 설정된 제 1 그룹에 속한 자음 키의 집합으로서 정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이 모음 입력 그룹은 'ㄷ'에 해당하는 제 1 자음 키, 'ㅇ'에 해당하는 제 2 자음 키, 'ㄴ'에 해당하는 제 3 자음 키 및 'ㄹ'에 해당하는 제 4 자음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모음 입력 그룹은 E 키, D 키, S 키 및 F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와 미리 설정된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본 발명의 입력 시스템은 이러한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전술된 제 1 그룹(즉, 모음 입력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본 발명의 입력 시스템은 이러한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본 발명의 입력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특수 키는, 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스페이스 바(150)와 한글 모음 키를 이용하여 한글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페이스 바(150)와 'ㄷ'의 자음 키(즉, E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입력 시스템은 이러한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스페이스 바(150)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여전히 유지된 상태에서, E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입력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모음인 'ㅗ'를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E 키(131)를 누르면, 스페이스 바(150)와 E 키(131)가 특정 기간 동안 동시에 눌리는 바, 이와 같이 스페이스 바(150)와 E 키(131)가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눌리면, 입력 시스템은 이를 감지하여 모음이 입력될 것으로 인지한다. 이후, 스페이스 바(150)가 여전히 눌린 상태에서, 눌린 E 키(131)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한글 모음 ‘ㅗ’가 입력된다. 한편, 이 E 키(131)의 전면(前面)에는 한글 모음 ‘ㅗ’라는 글자가 더 배치(또는 인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D 키(134)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그 D 키(134)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한글 모음 ‘ㅜ’가 입력된다. 한편, 이 D 키(134)의 전면(前面)에는 한글 모음 ‘ㅜ’라는 글자가 더 배치(또는 인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S 키(133)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그 S 키(133)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한글 모음 ‘ㅓ’가 입력된다. 한편, 이 S 키(133)의 전면(前面)에는 한글 모음 ‘ㅓ’라는 글자가 더 배치(또는 인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F 키(132)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그 F 키(132)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한글 모음 ‘ㅏ’가 입력된다. 한편, 이 F 키(132)의 전면(前面)에는 한글 모음 ‘ㅏ’라는 글자가 더 배치(또는 인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E 키(131)와 F 키(132)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그 두개의 키들(131, 132)로부터 동시에 손을 떼는 순간 한글 모음 ‘ㅣ’가 입력된다. 여기서, E 키(131)와 F 키(132)를 누를 때 그 누르는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여, E 키(131)를 먼저 누른 후 F 키(132)를 눌러도 무방하며, F 키(132)를 먼저 누른 후 E 키(131)를 눌러도 무방하며, 또한, E 키(131)와 F 키(132)를 동시에 눌러도 무방하다. 또한,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E 키(131)와 F 키(132)로부터 손을 뗄 때, 그 손을 떼는 순서가 반드시 동시에 발생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여, E 키(131)로부터 먼저 손을 뗀 후 F 키(132)로부터 손을 떼도 무방하며, F 키(132)로부터 먼저 손을 뗀 후 E 키(131)로부터 손을 떼도 무방하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순서와 관계없이 E 키(131)와 S 키(133)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그 두 개의 키들(131, 133)로부터 동시에 손을 떼는 순간 한글 모음 ‘ㅣ’가 입력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순서와 관계없이 D 키(134)와 F 키(132)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그 두 개의 키들(134, 132)로부터 동시에 손을 떼는 순간 되면 한글 모음 ‘ㅡ’가 입력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순서와 관계없이 D 키(134)와 S 키(133)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그 두 개의 키들(134, 133)로부터 동시에 손을 떼는 순간 한글 모음 ‘ㅡ’가 입력된다.
한편, 전술된 제 1 그룹의 자음 키들, 예를 들어, 'ㄷ', 'ㅇ', 'ㄴ', 'ㄹ'에 대응되는 키들이, 스페이스 바를 포함한 어떠한 키와의 조합 없이, 단독으로 눌릴 때, 각각 전술된 'ㄷ', 'ㅇ', 'ㄴ'및 'ㄹ'이 입력되거나, 이에 대응되는 영문, 즉 'E', 'D', 'S'및 'F'가 입력될 수 있다(영문일 경우, 설정에 따라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입력됨).
이러한 총 8가지의 특수한 키 조합을 이용하여, 한글 자음 키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의 8개의 키 조합을 다른 방식으로 더 조합하여 위에 예시된 모음들 외에 다른 필요한 나머지 모음들을 더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은 방식(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S 키(133)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S 키(133)로부터 손을 떼는 방식)으로 한글 모음 ‘ㅓ’를 먼저 입력하고, 이후 전술된 바와 같은 방식(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S 키(133)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S 키(133)로부터 손을 떼는 방식)으로 한글 모음‘ㅓ’를 다시 한 번 입력하면, 처음 입력된 한글 모음'ㅓ'가 한글 모음 ‘ㅕ’로 변환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한글 모음 ‘ㅏ’를 먼저 입력하고, 한글 모음‘ㅏ’를 다시 한 번 입력하면, 처음 입력된 한글 모음 'ㅏ'가 한글 모음 ‘ㅑ’로 변환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한글 모음 ‘ㅓ’를 먼저 입력하고, 한글 모음‘ㅣ’를 다시 한 번 입력하면, 처음 입력된 한글 모음 'ㅓ'가 한글 모음 ‘ㅔ’로 변환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한글 모음 ‘ㅏ’를 먼저 입력하고, 한글 모음‘ㅣ’를 다시 한 번 입력하면, 처음 입력된 한글 모음 'ㅏ'가 한글 모음 ‘ㅐ’로 변환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한글 모음 ‘ㅓ’를 먼저 입력하고, 한글 모음‘ㅓ’를 다시 한 번 입력하면, 처음 입력된 한글 모음 'ㅓ'가 한글 모음 ‘ㅕ’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한글 모음 ‘ㅣ’를 더 입력하면 한글 모음 'ㅕ'가 한글 모음 ‘ㅖ’로 변환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한글 모음 ‘ㅏ’를 먼저 입력하고, 한글 모음‘ㅏ’를 다시 한 번 입력하면, 처음 입력된 한글 모음 'ㅏ'가 한글 모음 ‘ㅑ’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한글 모음 ‘ㅣ’를 더 입력하면 한글 모음 'ㅑ'가 한글 모음 ‘ㅒ’로 변환된다.
위 모음 조합 규칙을 이용하여 스페이스 바(150)와 E, S, D 및 F 키(130) 만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의 모음을 왼손만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수정 그룹(110)은 백스페이스(Backspace) 키와 엔터(Enter) 키의 역할을 하는 키들이다.
기존 자판의 탭(Tab) 키의 위치에는 탭 키의 기능 대신 백스페이스 키의 기능을 갖는 키(111)가 배치될 수 있다. 백스페이스 키(111)가 단독으로 눌리면 이전에 입력한 문자가 삭제될 수 있다.
기존 자판의 캡스 락(Caps Lock) 키의 위치에는 캡스 락 키의 기능 대신 엔터(Enter) 키의 기능을 갖는 키(112)가 배치될 수 있다. 엔터 키(112)가 단독으로 눌리면 줄 바뀜이 수행된다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백스페이스 키(111) 또는 엔터 키(112)의 조합에 의해 제 1 문장부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제 1 문장부호는, 예를 들어, 쉼표 및 작은 따옴표 및 큰 따옴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백스페이스 키(111)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백스페이스 키(111)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문장부호 쉼표(,)가 입력된다. 한편, 이 백스페이스 키(111)의 전면(前面)에는 ','와 같은 문장부호가 표시(또는 인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엔터 키(112)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엔터 키(112)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문장부호 작은 따옴표(' 또는 ')가 입력된다. 한편, 이 엔터 키(112)의 전면(前面)에는 ' 또는 '와 같은 문장부호가 표시(또는 인쇄)될 수 있다.
기호 그룹(140)은 왼손으로 입력할 수 없는 기호인 물음표(?)와 마침표(.)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의 모음이며,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만 기호가 입력되며, 그렇지 않은 상황(즉, 스페이스 바를 포함한 어떠한 다른 키가 눌리지 않은 상황)에서 Q 키(141)를 눌렀을 때는 ‘ㅂ’(또는 Q)이, A 키(142)를 눌렀을 때는 ‘ㅁ’(또는 A)이 입력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기호 그룹(140)은 미리 설정된 제 2 그룹에 속한 자음 키의 집합으로서 정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이 기호 그룹(140)은'ㅂ'에 해당하는 제 5 자음 키 및'ㅁ'에 해당하는 제 6 자음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기호 그룹(140)은 A 키 및 Q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기호 그룹(140)의 자음과의 조합에 의해 제 2 문장부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제 2 문장부호는, 예를 들어, 마침표 및 물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A 키(142)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A 키(142)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문장부호 마침표(.)가 입력된다. 한편, 이 A 키(142)의 전면(前面)에는 '.'와 같은 문장부호가 표시(또는 인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Q 키(141)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Q 키(141)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문장부호 물음표(?)가 입력된다. 한편, 이 Q 키(141)의 전면(前面)에는 '?'와 같은 문장부호가 표시(또는 인쇄)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은 방식(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엔터 키(112)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엔터 키(112)로부터 손을 떼는 방식)으로 작은 따옴표를 먼저 입력하고, 이후 전술된 바와 같은 방식(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엔터 키(112)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엔터 키(112)로부터 손을 떼는 방식)으로 작은 따옴표를 다시 한 번 입력하면, 처음 입력된 작은 따옴표가 큰 따옴표(' 또는 ')로 변환된다.
한편, 전술된 제 1 특수 키(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150))와 제 2 특수 키를 활용하여 언어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특수 키는, 예를 들어, 컨트롤(Ctrl) 키(160)일 수 있다. 컨트롤 키(160)를 누른 상태에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후, 그 컨트롤 키(16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스페이스 바(150)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언어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컨트롤 키와 스페이스 바의 조합에 의해, 한글에서 영어로, 또는 영어에서 한글로 언어가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이 스페이스 바(150)의 전면(前面)에는 '한/영'이라는 글자가 더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숫자 키 그룹(120)은 '1', '2', '3', '4' 및 '5'에 대응되는 숫자 키들(121, 122, 123, 124, 125)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1'에 대응되는 숫자키(121)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1'에 대응되는 숫자키(121)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6이 입력된다. 한편, 이 '1'에 대응되는 숫자키(121)의 전면(前面)에는'6'이라는 숫자가 더 표시(또는 인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2'에 대응되는 숫자키(122)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그 '2'에 대응되는 숫자키(122)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7이 입력된다. 한편, 이 '2'에 대응되는 숫자키(122)의 전면(前面)에는'7'이라는 숫자가 더 표시(또는 인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3'에 대응되는 숫자키(123)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그'3'에 대응되는 숫자키(123)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8이 입력된다. 한편, 이 '3'에 대응되는 숫자키(123)의 전면(前面)에는 '8'이라는 숫자가 더 표시(또는 인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4'에 대응되는 숫자키(124)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그'4'에 대응되는 숫자키(124)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9가 입력된다. 한편, 이 '4'에 대응되는 숫자키(124)의 전면(前面)에는'9'라는 숫자가 더 표시(또는 인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5'에 대응되는 숫자키(125)를 누른 후, 그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그'5'에 대응되는 숫자키(124)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0이 입력된다. 한편, 이 '5'에 대응되는 숫자키(125)의 전면(前面)에는'0'이라는 숫자가 더 표시(또는 인쇄)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숫자키 '1', '2', '3', '4' 및 '5'에 대응되는 키들이, 스페이스 바(150)를 포함한 어떠한 키와의 조합 없이, 단독으로 눌릴 때, 각각 전술된 '1', '2', '3', '4' 및 '5'가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와 제 1 특수 키(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150))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입력 시스템은 이러한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150)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입력 시스템은 그러한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그 스페이스 바(150)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미리 설정된 자음이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하나의 예로서, 스페이스 바(150)와 한글 자음 키를 이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페이스 바(150)와 'ㅏ'에 대응되는 모음 키(즉, K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입력 시스템은 이러한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스페이스 바(150)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여전히 유지된 상태에서, K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입력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자음인 'ㅇ'를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스페이스 바(150)를 누른 상태에서 K 키를 누르면, 스페이스 바(150)와 K 키가 특정 기간 동안 동시에 눌려지는 바, 이와 같이 스페이스 바(150)와 K 키가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눌려지면, 입력 시스템은 이를 감지하여 모음이 입력될 것으로 인지한다. 이후, 스페이스 바(150)를 여전히 누른 상태에서, 눌린 K 키로부터 손을 떼는 순간 한글 자음 ‘ㅇ’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입력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키와 스페이스 바(150)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그러한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적어도 하나의 키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값과 다른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본 발명의 입력 시스템은 스페이스 바(150)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그러한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적어도 하나의 키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값과 다른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스페이스 바(150)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본 발명의 입력 시스템은 그 다른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특수한 기능이 없는 키들은 기존 두벌식 자판의 배열을 따르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입력 방법은 전술된 입력 시스템의 동작 방법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입력 방법은, 미리 설정된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와 미리 설정된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될 때, 이러한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전술된 제 1 그룹(즉, 모음 입력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본 발명의 입력 방법은 이러한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인가된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본 발명의 입력 방법은 미리 설정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특수 키는, 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들 모음 키의 전면(前面)에도 미리 설정된 자음에 해당하는 글자가 더 표시(또는 인쇄)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은, 기계식 자판 뿐만 아니라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로부터 제공되는 가상 자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입력 시스템 및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객체로서 표현되며 터치에 의해 입력 가능한 가상 자판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된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은, 예를 들어, 해당 단말(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등)에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그 프로그램은 입력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의 키보드)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예를 들어, 키보드 메시지)를 중간에서 가로채서 변경하는 후킹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후킹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을 도 3을 참조로 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입력 시스템의 후킹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입력 시스템(300)의 후킹 프로그램은 자판(100)으로부터 단말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로 전달되는 키 입력 신호를 후킹(hooking)하고, 그 후킹된 키 입력 신호가, 예를 들어"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된 후,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의 이벤트"에 해당할 때, 그 운영체제(200)로부터 응용 프로그램(400)으로 공급되는 키 입력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모음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신호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킹 프로그램(300)이 운영체제(200)와 응용 프로그램(400) 사이에서 키 입력 신호 이벤트(예를 들어, 키보드 메세지)를 후킹한다면, 후킹 프로그램(300)은 응용 프로그램(400)보다 먼저 해당 키보드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후킹 프로그램(300)의 프로시저(즉, 후킹 프로시저)는, 예를 들어, 운영체제(200)가 호출하는 콜백 함수로서, 이 후킹 프로시저는 운영체제(200)의 시스템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DLL; Dynamic Linked Library)) 내부에 존재한다. 전술된 바와 같은 이벤트, 예를 들어,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된 후,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운영체제(200)는 등록된 후킹 프로시저를 호출하고, 그 호출된 후킹 프로시저의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를 응용 프로그램(400; 또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공간에 강제로 로드(또는 인젝션)시킨다. 이에 따라, 해당 이벤트 발생시 콜백 함수를 근거로 응용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150)와 함께 눌린 자음 키로부터 손이 떼어질 때 전술된 모음이 표시되도록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후킹 방식으로, 전술된 숫자, 제 1 문장부호, 제 2 문장부호, 언어 변경 등이 원래의 값과 다르게 입력되거나 새로운 값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자판 내의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수정 그룹 스페이스 바: 150
131: E 키 134: D 키
133: S 키 132: F 키
111: 백스페이스 키 112: 엔터 키
140: 기호 그룹 160: 컨트롤 키
121: 숫자키 1 122: 숫자키 2
123: 숫자키 3 124: 숫자키 4
125: 숫자키 5 141: Q 키
142: A 키 130: 모음 입력 그룹
120: 숫자키 그룹

Claims (21)

  1. 미리 설정된 제 1 그룹의 자음 키와 미리 설정된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되는 제 1 입력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제 1 입력 동작을 미리 설정된 제 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특수 키와 미리 설정된 제 2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되는 제 2 입력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제 2 입력 동작을 언어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 1 입력 동작이 두 번 수행되는 연속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연속 동작을 상기 제 1 모음과 다른 제 2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 2 모음은 두 개의 제 1 모음들이 조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특수 키는 스페이스 바인 입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제 2 입력 동작을 상기 언어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는 입력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언어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특수 키는 컨트롤 키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특수 키는 자판의 좌측 단부에 위치한 컨트롤 키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6. 미리 설정된 제 1 그룹의 자음 키와 미리 설정된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되는 제 1 입력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제 1 입력 동작을 미리 설정된 제 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특수 키는 스페이스 바이며,
    상기 제 1 입력 동작이 두 번 수행되는 연속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연속 동작을 상기 제 1 모음과 다른 제 2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 2 모음은 두 개의 제 1 모음들이 조합된 형상을 갖는 입력 시스템.
  7. 미리 설정된 제 1 그룹의 자음 키와 미리 설정된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되는 제 1 입력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제 1 입력 동작을 미리 설정된 제 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특수 키에 제공된 입력 동작은 상기 제 1 특수 키가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눌리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제공된 입력 동작은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가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눌리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입력 동작이 두 번 수행되는 연속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연속 동작을 상기 제 1 모음과 다른 제 2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 2 모음은 두 개의 제 1 모음들이 조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특수 키는 스페이스 바인 입력 시스템.
  8. 미리 설정된 제 1 그룹의 자음 키와 미리 설정된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되는 제 1 입력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제 1 입력 동작을 미리 설정된 제 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특수 키에 제공된 입력 동작은 상기 제 1 특수 키가 터치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에 제공된 입력 동작은 상기 제 1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자음 키가 터치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입력 동작이 두 번 수행되는 연속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연속 동작을 상기 제 1 모음과 다른 제 2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 2 모음은 두 개의 제 1 모음들이 조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특수 키는 스페이스 바인 입력 시스템.
  9. 미리 설정된 제 1 그룹의 자음 키와 미리 설정된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되는 제 1 입력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제 1 입력 동작을 미리 설정된 제 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제 1 입력 동작을 상기 제 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제 1 모음이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그룹의 자음 키에 제공된 입력 동작이 해제되는 동작은 상기 제 1 그룹의 자음 키를 누르는 압력이 제거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입력 동작이 두 번 수행되는 연속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연속 동작을 상기 제 1 모음과 다른 제 2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 2 모음은 두 개의 제 1 모음들이 조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특수 키는 스페이스 바인 입력 시스템.
  10. 미리 설정된 제 1 그룹의 자음 키와 미리 설정된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되는 제 1 입력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제 1 입력 동작을 미리 설정된 제 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제 1 입력 동작을 상기 제 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제 1 모음이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그룹의 자음 키에 제공된 입력 동작이 해제되는 동작은 상기 제 1 그룹의 자음 키에 인가된 터치가 제거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입력 동작이 두 번 수행되는 연속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연속 동작을 상기 제 1 모음과 다른 제 2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 2 모음은 두 개의 제 1 모음들이 조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특수 키는 스페이스 바인 입력 시스템.
  11. 미리 설정된 제 1 그룹의 자음 키와 미리 설정된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되는 제 1 입력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입력 동작들의 조합을 미리 설정된 제 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될 때, 상기 제 1 입력 동작을 상기 제 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제 1 모음이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자판으로부터 단말의 운영체제로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를 후킹(hooking)하고, 그 후킹된 키 입력 신호가,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자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된 후,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자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의 이벤트"에 해당할 때, 상기 운영체제로부터 응용 프로그램으로 공급되는 키 입력 신호가 상기 제 1 모음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신호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1 입력 동작이 두 번 수행되는 연속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연속 동작을 상기 제 1 모음과 다른 제 2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 2 모음은 두 개의 제 1 모음들이 조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특수 키는 스페이스 바인 입력 시스템.
  12. 미리 설정된 제 1 그룹의 자음 키와 미리 설정된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되는 제 1 입력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제 1 입력 동작을 미리 설정된 제 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고,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와 상기 제 1 특수 키에 적어도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입력 동작이 제공되는 제 2 입력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제 2 입력 동작을 미리 설정된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 1 입력 동작이 두 번 수행되는 연속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연속 동작을 상기 제 1 모음과 다른 제 2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 2 모음은 두 개의 제 1 모음들이 조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특수 키는 스페이스 바인 입력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수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에 입력 동작이 인가되는 제 3 입력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제 3 입력 동작을 상기 미리 설정된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는 입력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수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음 키에 인가된 상기 입력 동작이 해제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자음을 입력하는 입력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210027026A 2021-02-27 2021-02-27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KR102470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026A KR102470274B1 (ko) 2021-02-27 2021-02-27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026A KR102470274B1 (ko) 2021-02-27 2021-02-27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908A KR20220122908A (ko) 2022-09-05
KR102470274B1 true KR102470274B1 (ko) 2022-11-23

Family

ID=8327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026A KR102470274B1 (ko) 2021-02-27 2021-02-27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2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677B1 (ko) 2013-03-20 2014-10-22 이형태 빠른 입력이 가능한 소형 키보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461B1 (ko) * 1999-12-31 2002-09-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기능 확장 방법
KR20120003327U (ko) * 2010-11-04 2012-05-14 조근우 한 손 자판
KR101282760B1 (ko) * 2011-05-06 2013-07-05 서용창 Acegi 키보드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05393B1 (ko) 2018-09-13 2021-01-20 주식회사 ??스 접이식 멀티미디어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677B1 (ko) 2013-03-20 2014-10-22 이형태 빠른 입력이 가능한 소형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908A (ko) 202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96711A1 (en) Multidirectional button, key, and keyboard
US20160132119A1 (en) Multidirectional button, key, and keyboard
US20050060448A1 (en) 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Based On Trigger Sequences
CN109844696B (zh) 多语言字符输入装置
AU2013204311B2 (en) Methods, Controllers and Devices for Assembling a Word
JPS62248023A (ja) 入力けん盤装置
JP2010517159A (ja) 電気電子機器のボタン効率増大方法
KR102470274B1 (ko)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KR102470272B1 (ko)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KR102470273B1 (ko)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JP2022094941A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文字入力装置
AU2019201023B2 (en) Methods, Controllers and Devices for Assembling a Word
KR20120060732A (ko) 준세벌 한글자판과 새로운 두루자판 시스템
KR102065532B1 (ko) 한글 입력용 안구인식 키보드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JP3899337B2 (ja) 文字入力システム、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80131509A (ko)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자판에서 빠른 속도로 키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방법
JP4229528B2 (ja) キー入力装置
JP5016087B2 (ja) キーボード
KR102148849B1 (ko)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
KR20170112838A (ko) 한글 복모음이 완성형으로 배정된 키보드
JP2001175391A (ja) 文字入力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KR20220031578A (ko) 전자장치에서 문자입력시 직전에 입력된 문자가 무엇인지 알려주기 위한 방법
KR20110011722U (ko) 키보드
KR20220136630A (ko) 로마자와 카나가 조합된 일본어 입력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