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849B1 -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849B1
KR102148849B1 KR1020160117121A KR20160117121A KR102148849B1 KR 102148849 B1 KR102148849 B1 KR 102148849B1 KR 1020160117121 A KR1020160117121 A KR 1020160117121A KR 20160117121 A KR20160117121 A KR 20160117121A KR 102148849 B1 KR102148849 B1 KR 102148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general
keyboard
mod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352A (ko
Inventor
안문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리자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리자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리자바
Priority to KR102016011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84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5Lever arrangements for operating keyboard cursor control keys in a joystick-like m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 모드에서의 기호 입력 중 필요한 경우 모드 전환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선택적으로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일반 기호와 약어 입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는 일반 모드에서의 기호 입력 중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르는 지를 감시한다. 감시 결과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른 경우, 키보드는 일반 모드를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일반키와 특정키에 매칭된 약어를 입력한다. 그리고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키보드는 속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복귀한다.

Description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Keyboard and method for changing input modes thereof}
본 발명은 키보드 및 그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모드에서의 기호 입력 중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일반 기호와 약어 입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는 자판, 글자판, 글쇠판이라고도 하며, 타자기처럼 생긴 입력장치로서, 예컨대 한글,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비문자) 및 기능키로 이루어져 있다. 키보드는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영상표시장치(모니터)와 한 조를 이루어 입력된 내용을 확인하고 편집, 변형할 수 있다.
키보드는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방법에 따라 전자식과 기계식으로 나뉜다. 전자식은 키를 누르면 키 안의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회로에 흐르는 전하량이 줄어들고, 키 밑에 연결된 회로가 전하량을 측정하여 키의 눌림 상태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기계식은 키를 누름에 따라 키 밑에 있는 두 개의 금속이 붙었다 떨어졌다 하면서 전류가 흐르고, 회로는 전류의 흐름 여부로 키의 눌림 상태를 파악한다.
키보드에서 파악된 키의 위치는 바이오스를 통해 키보드 스캔코드로 변환되고, 버퍼에 기록된 다음 시스템으로 보내져 처리된다.
특히 속기 키보드는 속기사를 위한 전문적인 키보드로 일반적인 컴퓨터용 키보드(일반 키보드)와 달리 자판 배열이 특수하고, 키의 개수가 적다. 속기 키보드는 고속의 타이핑 속도, 적은 오타율, 적은 소음, 적은 피로도 등을 위해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고, 속기 키보드마다 자판의 배열이 독특하다.
그리고 속기 키보드는 모드 전환키를 이용하여 일반 모드와 속기 모드로 전환하면서 기호와 약어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모드는 일반적인 키보드를 통하여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모드를 의미한다. 속기 모드는 키 입력을 통하여 약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모드이다. 일반 모드는 어느 정도 일반 키보드에 익숙한 사용자라면 어렵지 않게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속기 키보드를 이용하여 능숙하게 속기를 하기 위해서는, 속기 키보드의 배열과 더불어 속기 배열을 배우고 연습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삭제
이로 인해 사용자가 속기 키보드를 능숙하게 사용하기 전까지는 속기 키보드를 통한 입력이 일반 키보드를 통한 입력 보다는 느릴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9689호(2012.03.1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모드에서의 기호 입력 중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일반 기호와 약어 입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문적인 속기사가 아니더라도 자주 사용하는 약어를 미리 설정하여 약어 입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키보드 배열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속기를 쉽게 할 수 있는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보드는 일반 모드에서의 기호 입력 중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르는 지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감시 결과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른 경우, 상기 키보드는 일반 모드를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함께 누른 일반키와 특정키에 매칭된 약어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키보드는 속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 감시 결과 일반키와 특정키 중 하나만 누른 경우, 상기 키보드는 일반 모드를 유지하며 누른 키에 매칭된 기호를 입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 감시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상기 키보드는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르는 경우에 입력될 약어를 매칭하여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어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기 설정된 약어에서 누른 일반키와 특정키에 매칭되는 약어를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정키는 스페이스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복수의 열로 배열된 주 입력키와, 상기 주 입력키 아래에 배치되는 모음을 입력하는 복수의 보조 입력키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일반키는 상기 주 입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특정키는 상기 보조 입력키들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자판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키보드를 제공한다. 상기 자판은 복수의 일반키와, 적어도 하나의 특정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일반 모드에서의 기호 입력 중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르는 지를 감시하고, 상기 감시 결과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른 경우 상기 일반 모드를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함께 누른 일반키와 특정키에 매칭된 약어를 입력하고, 상기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속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복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약어 설정 모드에서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르는 경우에 입력될 약어를 매칭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약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약어에서 누른 일반키와 특정키에 매칭되는 약어를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보드는 평상시에는 일반 모드를 유지하다가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르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일반 모드에서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누른 일반키와 특정키에 매칭된 약어를 입력하고,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일반 모드로 복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일반 모드에서의 기호 입력 중 필요한 경우 모드 전환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선택적으로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일반 기호와 약어 입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는 일반 모드와 속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모드 전환키를 매번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는 전문적인 속기사가 아니더라도 자주 사용하는 약어를 미리 설정하여 약어 입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는 일반 키보드 배열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선택적으로 일반 모드에서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일반 기호와 약어 입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속기를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키보드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키보드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에 따라 기호와 약어가 입력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키보드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키보드의 제2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시스템(100)은 키보드(10)와 표시 장치(20)를 포함하며, 도시하진 않았지만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보드(10)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일반 기호 또는 약어를 표시 장치(20)에 출력한다. 키보드(10)는 일반 모드와 속기 모드를 제공한다. 키보드(10)는 평상시에는 일반 모드를 제공하고, 일반키(13)와 특정키(15)가 함께 눌리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약어를 입력한다.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키보드(10)는 다시 일반 모드로 복귀한다.
키보드(10)로는 도 2에 도시된 일반 키보드 또는 도 3에 도시된 속기 키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키보드(10)는 매칭된 언어에 따라 한글, 영문, 중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를 하나 이상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따른 키보드(10)로는 2벌식 한글과 쿼티식(qwerty type) 영문을 입력할 수 있는 자판(11) 배열을 갖는 키보드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한글은 3벌식일 수도 있고, 영문은 드보락 또는 애저티(Azerty)식을 사용하는 키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속기 키보드는 속기용으로 사용되는 키보드를 의미한다. 일반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키보드를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키보드(10)는 물리적인 형태의 자판(11)을 구비하는 키보드를 예시하였지만, 화면 상으로 출력되는 가상 키보드일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자판(11) 배열을 갖는 키보드(10)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로 자판(11)이 배열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 장치(20)는 키보드(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일반 기호 또는 약어를 화면에 출력한다. 표시 장치(20)로는 LCD, PDP, LED, AMOLED, 터치스크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키보드(10)의 키 입력을 전달받고, 입력된 키에 매핑된 일반 기호 또는 약어를 표시 장치(20)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내장한 장치로서,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10)는 자판(11)과 제어부(19)를 포함하며, 저장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판(11)은 복수의 일반키(13)와, 적어도 하나의 특정키(15)를 포함한다.
예컨대 키보드(10)가 도 2의 일반 키보드인 경우, 특정키(15)는 스페이스키일 수 있다. 키보드(10)에 배열된 모든 키가 일반키(13)로 사용될 수 있다.
키보드(10)가 도 3의 속기 키보드인 경우, 키보드(10)는 복수의 열로 배열된 주 입력키와, 주 입력키들의 아래에 배치되며 모음을 입력하는 복수의 보조 입력키를 포함한다. 특정키(15)는 보조 입력키들 중에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반키(13)는 주 입력키들을 포함하고, 보조 입력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키보드(10)에 배열된 모든 키가 일반키(13)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속기 키보드 또한 스페이스키를 구비하기 때문에, 속기 키보드에서 스페이스키를 특정키(15)로 사용할 수 있다.
저장부(17)는 키보드(1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7)는 일반 모드 또는 속기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즉 해당 실행프로그램은 평상시에는 일반 모드를 수행하고, 일반 모드 수행 중 일반키(13)와 특정키(15)를 함께 누른 경우에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약어를 입력하고, 약어 입력 후 속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복귀한다. 저장부(17)는 함께 누른 일반키(13)와 특정키(15)에 매칭된 약어를 저장한다. 이러한 약어는 디폴트로 제공될 수도 있고, 약어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는 키보드(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제어부(19)는 키보드(10)의 입력 모드 전환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9)는 일반 모드에서 기호 입력 중 일반키(13)와 특정키(15)를 함께 누르는 지를 감시한다. 감시 결과 일반키(13)와 특정키(15)를 함께 누른 경우, 제어부(19)는 일반 모드를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누른 일반키(13)와 특정키(15)에 매칭된 약어를 입력한다. 그리고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부(19)는 속기 모드를 일반 모드로 복귀한다.
한편 감시 결과 일반키(13)와 특정키(15) 중에 하나만 누른 경우, 제어부(19)는 일반 모드를 유지하며 누른 키에 매칭된 기호를 입력한다.
제어부(19)는 입력된 기호 또는 약어를 표시 장치(20)의 화면에 출력한다.
제어부(19)는 약어 설정 모드에서 사용할 약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약어 설정 모드에서, 제어부(19)는 일반키(13)와 특정키(15)를 함께 누르는 경우에 입력될 약어를 매칭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9)는 설정한 약어를 저장부(17)에 저장한다.
이때 약어 설정 모드로의 진입은 자판(11)에 마련된 약어 설정 모드 키를 통하여 진입하거나, 약어 설정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하여 진입할 수 있다.
예컨대 키보드(10)가 도 2의 일반 키보드인 경우, 약어 설정 모드에서 특정키(15)인 스페이스키와 일반키(13)를 동시에 눌러 약어를 설정하거나, 일반키(13)만을 눌러 약어를 설정할 수 있다.
키보드(10)가 도 3의 속기 키보드인 경우, 약어 설정 모드에서 특정키(15)인 보조 입력키와 일반키(13)인 주 입력키를 동시에 눌러 약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보조 입력키가 복수 개이기 때문에, 주 입력키 하나에 복수 개의 보조 입력키를 각각 매칭시켜 복수의 약어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입력키 "A"와 보조 입력키 4개를 각각 매칭시켜, "application", "able to", "agenda", "assume"을 약어로 설정할 수 있다. 보조 입력키 4개는 "ㅗ", "ㅏ", "ㅜ", "ㅡ"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특정키(15)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도 2의 일반 키보드를 사용할 때는 특정키(15)가 스페이스키 하나이기 때문에, 각각의 일반키(13)에 하나의 약어만을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도 3의 속기 키보드의 경우 특정키(15)가 복수 개이기 때문에, 하나의 주 입력키에 복수의 보조 입력키를 매칭시켜 약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속기 키보드가 일반 키보드에 비해서 더 많은 약어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약어 설정 모드에서 주 입력키만을 눌러 약어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키보드(10)가 제어부(19)와 저장부(17)를 구비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제어부(19)와 저장부(17)는 자판(11)과 분리되어 외장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9)와 저장부(17)는 제어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10)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을 통하여 기호 또는 약어를 입력하는 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10)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S51단계에서 키보드(10)는 약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키보드(10)는 약어 입력 모드에서 일반키(13)와 특정키(15)를 함께 누르는 경우에 입력될 약어를 매칭하여 설정할 수 있다. 키보드(10)는 설정된 약어를 저장부(17)에 저장한다.
한편 키보드(10)에 약어가 디폴트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S51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S53단계에서 키보드(10)는 평상시에는 일반 모드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S55단계에서 키보드(10)는 키 선택을 통한 기호 입력 중 일반키(13)와 특정키(15)를 동시에(함께) 누르는 지를 감시한다.
감시 결과 일반키(13)와 특정키(15) 중 하나만 누른 경우, S57단계에서 키보드(10)는 일반 모드를 유지하며 누른 키에 매칭된 기호를 입력한다. 키보드(10)는 입력한 기호를 표시 장치(20)에 출력한다. 예컨대 키보드(10)는 일반키(13)와 특정키(15) 중에 하나만 누를 때, 일반 모드를 유지하면서 누른 키에 매핑된 기호를 입력한다.
감시 결과 일반키(13)와 특정키(15)를 동시에 누른 경우, S59단계에서 키보드(10)는 반 모드를 속기 모드로 전환하고, 함께 누른 일반키(13)와 특정키(15)에 매칭된 약어를 입력한다. 즉 키보드(10)는 함께 누른 일반키(13)와 특정키(15)에 매칭된 약어를 저장부(17)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약어를 입력한다. 키보드(10)는 입력한 약어를 표시 장치(20)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S61단계에서 키보드(10)는 속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여 일반 모드로 복귀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10)는 일반키(13)와 특정키(15)를 함께 누를 때만 속기 모드로 일시적으로 전환되고,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일반 모드로 복귀한다.
예컨대 일반키(13)와 특정키(15)를 함께 누르는 경우에 있어서, 누르는 순서에 상관 없이 키들을 눌렀다가 뗄 때, 키보드(10)는 해당하는 약어를 입력한다. 또는 키보드(10)는 일반키(13)와 특정키(15) 함께 누를 때, 누른 키들에 매핑된 약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약어 입력 후 키보드(10)는 일반 모드로 복귀한다.
그리고 S63단계에서 키보드(10)는 키 입력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종료되지 않은 경우, S55단계부터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10)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에 따라 기호와 약어가 입력되는 예를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에 따라 기호와 약어가 입력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모드에서 "ㅂ", "ㅗ", "ㄴ"에 해당되는 일반키(13)를 누르면, 키보드(10)는 "본"이라는 글자를 표시 장치(20)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모드에서 일반키(13) "A"와 특정키(15) "ㅗ"를 함께 누르면, 키보드(10)는 일반 모드에서 속기 모드로 전환한 후 해당 키들에 매핑된 약어 "application"이라는 단어를 추출한다. 이어서 해당 키들에서 손가락을 뗄 때, 키보드(10)는 표시 장치(20)에 "application"을 출력한다. 즉 표시 장치(20)에는 "본 application"이 표시된다.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키보드(10)는 속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복귀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한 일반 모드에서 "ㅇ", "ㅡ", "ㄴ"에 해당되는 일반키(13)를 누르면, 키보드(10)는 "은"이라는 글자를 표시 장치(20)에 출력한다. 즉 표시 장치(20)에 "본 application은"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일반 모드를 유지하다가 일반키(13)와 특정키(15)를 함께 누르는 경우에만 일반 모드에서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누른 일반키(13)와 특정키(15)에 매칭된 약어를 입력하고,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일반 모드로 복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일반 모드에서의 기호 입력 중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일반 기호와 약어 입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10)는 전문적인 속기사가 아니더라도 자주 사용하는 약어를 미리 설정하여 약어 입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10)는 일반 키보드 배열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선택적으로 일반 모드에서 속기 모드로 전환하여 일반 기호와 약어 입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속기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10)는 일반키(13)와 특정키(15)를 함께 누르는 경우에만 일반 모드에서 속기 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일반 모드 또는 속기 모드의 잘못 선택으로 입력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키보드
11 : 자판
13 : 일반키
15 : 특정키
17 : 저장부
19 : 제어부
20 : 표시 장치
100 : 입력 시스템

Claims (6)

  1. 일반 모드와 속기 모드를 제공하고, 일반키와 특정키를 구비하는 키보드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으로,
    상기 키보드는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르는 경우에 입력될 약어를 매칭하여 설정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는 일반 모드에서의 기호 입력 중 설정된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르는 지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감시 결과 일반키와 특정키 중 하나만 누른 경우, 상기 키보드는 일반 모드를 유지하며 누른 키에 매칭된 기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감시 결과 설정된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른 경우, 상기 키보드는 일반 모드를 속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는 속기 모드에서 누른 일반키와 특정키에 매칭된 약어를 기 설정된 약어에서 추출하여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키보드는 속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키보드는 설정된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를 때만 일반 모드에서 속기 모드로 일시적으로 전환하고,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속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복귀하고,
    상기 특정키는 상기 키보드에 이미 구비된 키들 중에서 선택되되,
    상기 키보드가 일반적인 키 배열을 갖는 경우, 상기 특정키는 스페이스키이고,
    상기 키보드가 복수의 열로 배열된 주 입력키와, 상기 주 입력키 아래에 배치되는 모음을 입력하는 복수의 보조 입력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일반키는 상기 주 입력키이고, 상기 특정키는 상기 보조 입력키 중에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결과 설정된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른 경우는, 설정된 일반키와 특정키를 누르는 순서에 무관하고,
    상기 매칭된 기호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눌렀다가 뗄 때, 상기 키보드는 누른 일반키와 특정키에 매칭된 약어를 기 설정된 약어에서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
  3. 삭제
  4. 삭제
  5. 일반 모드와 속기 모드를 제공하는 키보드로서,
    복수의 일반키와, 적어도 하나의 특정키를 포함하는 자판;
    약어 설정 모드에서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르는 경우에 입력될 약어를 매칭하여 설정하고, 일반 모드에서의 기호 입력 중 설정된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르는 지를 감시하고, 상기 감시 결과 일반키와 특정키 중 하나만 누른 경우 일반 모드를 유지하며 누른 키에 매칭된 기호를 입력하고, 상기 감시 결과 설정된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른 경우 일반 모드를 속기 모드로 전환하고, 속기 모드에서 누른 일반키와 특정키에 매칭된 약어를 기 설정된 약어에서 추출하여 입력하고, 상기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속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복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일반키와 특정키를 함께 누를 때만 일반 모드에서 속기 모드로 일시적으로 전환하고, 약어 입력이 완료되면 속기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복귀하고,
    상기 특정키는 상기 키보드에 이미 구비된 키들 중에서 선택되되,
    상기 키보드가 일반적인 키 배열을 갖는 경우, 상기 특정키는 스페이스키이고,
    상기 키보드가 복수의 열로 배열된 주 입력키와, 상기 주 입력키 아래에 배치되는 모음을 입력하는 복수의 보조 입력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일반키는 상기 주 입력키이고, 상기 특정키는 상기 보조 입력키 중에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약어 설정 모드에서 설정된 약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약어에서 누른 일반키와 특정키에 매칭되는 약어를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KR1020160117121A 2016-09-12 2016-09-12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 KR102148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121A KR102148849B1 (ko) 2016-09-12 2016-09-12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121A KR102148849B1 (ko) 2016-09-12 2016-09-12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6024A Division KR20160069870A (ko) 2014-12-09 2014-12-09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352A KR20160111352A (ko) 2016-09-26
KR102148849B1 true KR102148849B1 (ko) 2020-08-27

Family

ID=5706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121A KR102148849B1 (ko) 2016-09-12 2016-09-12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8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404A (ko) * 1998-12-05 2000-07-25 한상만 컴퓨터 속기의 단축입력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30068662A (ko) * 2002-02-15 2003-08-25 임영조 단축키 기능을 구비한 키보드 및 그 제어방법
KR100967321B1 (ko) * 2008-10-01 2010-07-05 (주) 소리포스 속기 키보드의 키 및 문자 매핑 방법 및 장치
KR101129689B1 (ko) 2010-05-28 2012-03-28 육심옥 2개국 겸용 속기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352A (ko) 201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9830B2 (en) Mobile quick-keying device
KR20100057880A (ko) 데이터 입력 장치
JP2013520878A (ja) 構成可能多言語キーボード
JPS62248023A (ja) 入力けん盤装置
US9298277B1 (en) Method for typing Arabic letters and associated diacritics
US20080055117A1 (en)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method using numeric key
US20170371424A1 (en) Predictive Text Typing Employing An Augmented Computer Keyboard
KR102148849B1 (ko)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
KR20070100097A (ko) 듀얼 입력 장치 및 키보드 입력 지원 방법
KR101325653B1 (ko) 분리형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JP2011528461A (ja) キーを用いて文字セット内の文字を入力する方法、キーパッドもしくはキーボード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080095661A (ko) 휴대용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222254A1 (en) Smart keyboard for computer and compact devices
KR20120060732A (ko) 준세벌 한글자판과 새로운 두루자판 시스템
AbuHmed et al. UOIT keyboard: A constructive keyboard for small touchscreen devices
JP2008123114A (ja) 文字入力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236169B1 (ko)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
EP2916200A2 (en) Semi-compact keyboard and method therefor
KR101039605B1 (ko) 이동 단말의 문자입력 방법
KR101668476B1 (ko) 한영 변환이 용이한 문자입력장치
KR20160069870A (ko) 키보드 및 그의 입력 모드 전환 방법
KR10163716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470273B1 (ko)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