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923B1 - 카트리지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923B1
KR102469923B1 KR1020210060812A KR20210060812A KR102469923B1 KR 102469923 B1 KR102469923 B1 KR 102469923B1 KR 1020210060812 A KR1020210060812 A KR 1020210060812A KR 20210060812 A KR20210060812 A KR 20210060812A KR 102469923 B1 KR102469923 B1 KR 102469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locking
neck
cartrid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3227A (ko
Inventor
민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크루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크루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크루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6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92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3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2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vessels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36Metals
    • F17C2203/0646Alumin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36Metals
    • F17C2203/0648Alloys or compositions of 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11Closur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1Shaping processes
    • F17C2209/2181Metal working processes, e.g. deep drawing, stamping or cu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1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3Carbone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6Avoiding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7Applications for household use
    • F17C2270/0718Aeros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재질의 용기 내부에 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가스 주입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패스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진입패스는 상기 바디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걸림패스는 복수개의 상기 진입패스를 연결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 장치 {apparatus for cartridge}
본 발명은 금속재질의 용기 내부에 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가스 주입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생활의 다양화로 가정에서도 싸이펀 장치 및 휘핑 장치를 이용한 소다수 등의 소다수 제조기 또는 생크림 제조기 등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소다수 제조기 또는 생크림 제조기는 내부에 가스가 충진된 캡슐 형태의 카트리지가 사용된다.
또한, 동물병원 또는 피부과에서도 아산화질소가 충진된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수술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카트리지에는 탄산(CO2)가스, 아산화질소(N2O) 가스, 산소(O2)가스, 또는 질소(N2) 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173366에는 휘핑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종래기술에서도 일회용 탄스 가스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카트리지는 철 판재를 오려내고 단조하여 원통형상의 바디를 만들고, 입구에 이너캡과 오링을 넣고, 가스주입 후 전기스파크용접하여 실링처리 하여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 카트리지는 주입된 가스에 의해 내부가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거운 문제집이 있었다.
또한, 종래 카트리지는 철 판재를 오려서 사용하는 이유로 상당한 재료 손실을 피할 수 없고 치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 0173366호
본 발명은 금속재질의 용기 내부에 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가스 주입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이너캡을 바디의 입구 측에 배치하여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 주입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너캡 및 바디가 상호 걸림 또는 끼움결합되어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 주입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된 바디; 상기 개구된 바디에 삽입되는 이너캡;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캡은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바디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입구를 포함하는 넥; 상기 넥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진입패스; 상기 넥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진입패스와 교차되게 배치된 걸림패스;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진입패스를 통해 상기 넥의 내부로 진입되고, 상기 걸림패스에 삽입되며,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진입패스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진입패스는 상기 바디(100)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패스는 복수개의 상기 진입패스를 연결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입패스는 상기 축중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패스는 상기 축중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진입패스 및 걸림패스가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캡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환형의 플랜지; 상기 플랜지를 관통하게 형성된 홀; 및 상기 플랜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이너캡의 걸림부가 바디의 내측면에 형성된 진입패스 및 걸림패스를 통해 바디의 내부로 삽입된 후, 바디의 내부에 걸림고정되기 때문에, 이너캡이 바디에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스 주입과정에서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복수개의 걸림부가 복수개의 진입패스로 진입해야만 이너캡이 넥으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넥의 내측면 및 이너캡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가스 주입과정에서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진입패스로 삽입된 후, 회전되어야만 걸림패스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이너캡이 바디의 입구를 통해 의도치 않게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복수개의 걸림플랜지는 상기 걸림패스의 각 면에 밀착되어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이너캡이 넥에 조립될 때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제조방법에서 봉재(K) 및 절단된 봉재(P)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제조방법에서 절단된 봉재(P)의 성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제조방법에서 넥의 성형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를 제조방법에서 엣지홀의 성형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성형 전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에서 입구 성형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성형 전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성형 후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이너캡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제조방법에서 봉재(K) 및 절단된 봉재(P)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제조방법에서 절단된 봉재(P)의 성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제조방법에서 넥의 성형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를 제조방법에서 엣지홀의 성형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성형 전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에서 입구 성형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제조방법은, 절단된 봉재를 프레스기로 중심부를 압연하여 하부는 막혀있고 상부가 개구된 바디(100)를 만드는 l 단계(S1)와, 바디(100)의 입구 직경이 작아지도록 넥(120)을 성형하는 2단계(S2)와, 축관된 넥(120)의 입구(124) 내경을 확장시켜 엣지홀(edge hole)(140)을 형성시키는 3단계(S3)와, 엣지홀(140) 내로 이너캡(200)을 삽입하는 4단계(S4)와, 가스주입기에 상기 바디(100)를 삽입한 후 N20, CO2 또는 02 중 어느 하나의 가스를 주입한 다음 입구를 압착하여 밀봉하는 5단계(S5)를 포함한다.
[1단계(Sl)]
봉재(K)는 원기둥 형상의 알루미늄, 구리-아연 합금 등의 금속 재질이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도 2의(a) 및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재(K)의 직경은 17.8mm일 수 있으며 이를 길이 14.6mm씩 절단하여 절단된 봉재(P)를 만든다.
절단된 봉재(P)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연마하여 마감처리하면 이후 공정 중에 카트리지 바디 외면이 서로 긁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절단된 봉재(P)를 annealing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annealing 작업은 금속재료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다음 서서히 냉각시켜 상온으로 하는 열처리이다.
이 열처리는 가동 또는 담금질에 의해 경화된 재료의 내부 잔류 응력을 없애고 결정립을 미세화시켜 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봉재(P)의 중심를 프레스로 압연하여 도 3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된 중공을 갖는 바디(100)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0)의 정단면은 U자형일 수 있다.
규격에 따라서는 U자형 관의 상단면을 일부 절단하여 길이를 65[mm]로 맞출 수 있다.
[2단계(S2)]
도 4의 (e) 및(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형을 통해 1단계(Sl)에 의해 만들어진 바디(100)의 입구(124)를 금형(T) 내로 삽입하여 넥(120)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축관성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축관 성형은 바디(100)의 직경에 대해 넥(120)의 직경을 대략 1/ 2로 축소시켜 형성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넥(120)의 직경은 8.4[mm]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 제조방법은 2단계(S2)의 축관 성형 후 엣지홀을 커팅하는 3단계(S3) 전에 바디(100)를 350℃ 로 가열 후 급냉하는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바디(100)의 표면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단계(S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계(S2)에 의해 형성된 넥(120)의 입구(124)의 내측을 절삭하여 넥(120)의 내경보다 큰 내경의 엣지홀(140)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넥(120) 중 입구(124) 측에 상기 엣지홀(140)이 형성된다.
상기 넥(120)에서 절삭성형을 통해 내경이 증가된 부분을 엣지홀(140)이라 정의한다.
상기 넥(120) 중 절삭되지 않은 내측공간을 넥홀(122)이라 정의하고, 상기 넥홀(122)의 외측에 상기 엣지홀(140)이 배치된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상기 넥(120) 중 엣지홀(140)이 형성된 부분을 엣지부(122)라 정의한다.
상기 넥홀(122) 및 엣지홀(140)은 연통된다.
상기 넥홀(122) 및 엣지홀(140)의 경계에 내경변화로 인한 단(14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넥(120)을 절삭성형하는 대신 상기 넥(120)을 소성가공하여 상기 엣지홀(140)을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4단계(S4)]
도 6은 본원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너캡(200)은 원형의 판재를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이너캡(200)은 중앙에 원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220)와, 상기 돌출부(220)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환형의 플랜지(240)와, 상기 플랜지(240)를 관통하게 형성된 홀(242)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220)의 상단(221)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0)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플랜지(240)에 근접할 수록 직경이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면뷰로 볼 때, 상기 돌출부(220)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플랜지(240)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플랜지(240)가 평평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플랜지(240)는 링형상일 수 있다.
상기 홀(242)을 통해 가스가 유동 될 수 있고, 가스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다.
상기 플랜지(240)의 가장자리는 상기 단(14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홀(242)은 상기 단(14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242)은 상기 단(142)의 폭에 내에 배치될 수 있다.
[5단계(S5)]
가스의 주입 시 상기 이너캡(200)이 상측에서 가스가 가압되고, 상기 가스는 상기 홀(242)을 통과하여 상기 넥홀(122)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주입이 완료된 후, 상기 이너캡(200)을 눌러 상기 홀(242)을 상기 단(142)에 밀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임시로 방지할 수 있다.
가스주입기(미도시)에 바디를 삽입한 후, -15℃ ~-25℃, 20 ~30 bar의 N20, CO2, 02 중 어느 하나의 가스를 입구(124)를 통해 주입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주입 후 바디(100)의 엣지부(122)를 압착하여 엣지부(122)의 단(125)이 상기 돌출부(220)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성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너캡(200) 주위를 실링할 수 있다.
총 8g의 가스가 바디(100) 내로 주입될 수 있고, 주입된 가스는 대부분 액화상태일 수 있고, 일부는 가스상태일 수 있으며, 바디(100) 내부에서 기-액 분리되어 평형상태에 도달한다.
5단계(S5)에 의해 완성된 카트리지의 표면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면 연마는 비즈 속에 가스 주입된 카트리지를 투입하여 광택이 나도록 처리할 수 있다.
5단계(S5) 이후 완성된 카트리지를 고온의 물속에 넣고 가스 누출을 시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50- 70°C 의 고온 의 물속에 완성된 카트리지를 넣으면 가스 내압이 올라가므로 가스 누출 내지는 용기가 팽창 또는 폭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견딜 수 있는지 테스트하는 것이다.
이후 가스 누출 검사를 마친 카트리지를 물에서 건져내어 탈수 및 건조시킨다음 검수하여 포장할 수 있다.
성형과정에서 상기 단(125)이 상기 돌출부(220)에 견고하게 밀착되어야 바디 내부에 저장된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너캡(200) 및 바디(100)의 상호 걸림 또는 끼움결합을 통해 상기 단(125) 및 돌출부(220)가 약간 느슨하게 밀착되어도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125) 및 돌출부(220)에 견고하게 밀착되어도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가스의 누설이 발생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너캡(200) 및 바디(100)의 상호 걸림 또는 끼움결합을 통해 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사용될 때에도 상기 이너캡(200) 및 바디(100)가 상호 걸림 또는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저장된 가스가 의도치 않은 곳으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성형 전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성형 후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2)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달리 바디(100)에 이너캡(200)이 삽입되는 진입패스(145)와, 상기 이너캡(200)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패스(14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입패스(145)는 넥(120)의 내측면(121)에 형성된다.
상기 진입패스(145)는 상기 넥(1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입패스(145)는 상기 입구(124) 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입패스(145)는 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진입패스(145)는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입패스(145)는 상기 내측면(121)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오목한 홈 형태이다.
탑뷰로 볼 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입패스(145)는 상기 바디(100)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3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진입패스(145)를 형성하는 홈은 상기 바디(100)의 축중심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바디(100)는 상기 진입패스(145)와 연결된 걸림패스(14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패스(146)는 상기 진입패스(145)과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걸림패스(146)는 상기 축중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패스(146)는 상기 내측면(121)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패스(146)는 상기 축중심을 기준으로 링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패스(146)는 복수개의 진입패스(145)를 모두 연결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각 진입패스(145)마다 개별적인 걸림패스(146)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걸림패스(146)는 상기 진입패스(145)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패스(146)에 상기 이너캡(200)의 외측 가장자리가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너캡(200)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돌기 형태인 걸림돌기(245)이다.
상기 걸림돌기(245)가 상기 진입패스(145)를 통해 상기 목부분(120) 내부로 삽입된 후 회전되어 상기 걸림패스(146)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돌기(245)의 개수는 상기 진입패스(145)의 개수에 대응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걸림돌기(245)는 상기 바디(100)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3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걸림돌기(245)는 상기 이너캡(200)의 플랜지(240) 외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이너캡(200)이 상기 목부분(120)과의 조립될 때, 상기 걸림돌기(245)가 이너캡의 진입 또는 분리 방향에 대해 상기 걸림패스(146)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이너캡(200)이 정위치에서 이동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의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이너캡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주입용 카트리지는 상기 제2 실시예와 달리 이너캡(200')의 형상이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너캡(200')은 상기 이너캡(200')은 플랜지(240)의 외측 가장자리가 축중심(C-C)측으로 말리게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는 걸림플랜지(250)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너캡(200')은 상기 플랜지(240)의 외측 가장자리 중 일부에만 상기 걸림플랜지(25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실시예의 걸림돌기(245)가 배치된 부분에만 상기 걸림플랜지(25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걸림플랜지(250)는 상기 플랜지(240)의 외측 가장자리 전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걸림플랜지(250)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 걸림플랜지(250)가 축중심(C-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상기 걸림플랜지(250) 사이에 상기 홀(24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플랜지(250)는 상기 플랜지(240)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 걸림플랜지(251)와, 상기 제1 걸림플랜지(251)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2 걸림플랜지(252)와, 상기 제2 걸림플랜지(252)에서 상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3 걸림플랜지(2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걸림플랜지(251) 및 제2 걸림플랜지(252)의 연장방향은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플랜지(252) 및 제3 걸림플랜지(253)의 연장방향은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플랜지(251) 및 제3 걸림플랜지(253)의 연장방향은 평행할 수 있다.
상기 걸림플랜지(250)는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플랜지(251), 제2 걸림플랜지(252) 및 제3 걸림플랜지(253)에 둘러싸인 완충공간(25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완충공간(255)은 상기 축중심(C-C)을 향하게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완충공간(255)은 링형상일 수 있다.
상기 완충공간(255)이 없을 경우, 가공 오차에 의해 상기 걸림플랜지(250)가 상기 걸림패스(146)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공간(255)이 제공되기 때문에, 제1 걸림플랜지(251), 제2 걸림플랜지(252) 및 제3 걸림플랜지(253)의 탄성변형 또는 소성변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걸림플랜지(250)가 상기 걸림패스(146)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넥(12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걸림플랜지(253)의 단측은 상기 축중심(C-C) 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플랜지(250)는 걸림패스(146)에 삽입되어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패스(146)는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 제1 걸림면(146a)과, 상기 제1 걸림면(146a)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걸림면(146b)과, 상기 제2 걸림면(146b)에 연결되고, 하측을 향하게 배치된 제3 걸림면(146c)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걸림플랜지(251)는 상기 제1 걸림면(146a)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플랜지(252)는 상기 제2 걸림면(146b)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3 걸림플랜지(253)는 상기 제3 걸림면(146c)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걸림플랜지(250)는 상기 걸림패스(146)의 각 면에 밀착되어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이너캡(200')이 넥(120)에 조립될 때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2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디 120 : 넥
140 : 엣지홀 200 : 이너캡
220 : 돌출부 240 : 플랜지
242 : 홀

Claims (1)

  1. 상부가 개구된 바디;
    상기 개구된 바디에 삽입되는 이너캡; 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캡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환형의 플랜지;
    상기 플랜지를 관통하게 형성된 홀; 및
    상기 플랜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바디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입구를 포함하는 넥;
    상기 넥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진입패스; 및
    상기 넥의 내측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진입패스와 교차되게 배치된 걸림패스; 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패스는: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 제1 걸림면; 상기 제1 걸림면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걸림면; 상기 제2 걸림면에 연결되고, 하측을 향하게 배치된 제3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플랜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 걸림플랜지; 상기 제1 걸림플랜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제2 걸림플랜지; 상기 제2 걸림플랜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제3 걸림플랜지; 및 상기 제1 걸림플랜지, 제2 걸림플랜지 및 제3 걸림플랜지에 둘러싸이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완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플랜지가 상기 제1 걸림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2 걸림플랜지가 상기 제2 걸림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3 걸림플랜지가 상기 제3 걸림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걸림플랜지 및 상기 제2 걸림플랜지의 연장방향은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걸림플랜지 및 상기 제3 걸림플랜지의 연장방향은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걸림플랜지 및 상기 제3 걸림플랜지의 연장방향은 평행하게 배치되는, 카트리지 장치.
KR1020210060812A 2021-02-05 2021-05-11 카트리지 장치 KR102469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812A KR102469923B1 (ko) 2021-02-05 2021-05-11 카트리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563A KR102253368B1 (ko) 2021-02-05 2021-02-05 가스 주입용 카트리지
KR1020210060812A KR102469923B1 (ko) 2021-02-05 2021-05-11 카트리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563A Division KR102253368B1 (ko) 2021-02-05 2021-02-05 가스 주입용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227A KR20220113227A (ko) 2022-08-12
KR102469923B1 true KR102469923B1 (ko) 2022-11-23

Family

ID=7615856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563A KR102253368B1 (ko) 2021-02-05 2021-02-05 가스 주입용 카트리지
KR1020210060812A KR102469923B1 (ko) 2021-02-05 2021-05-11 카트리지 장치
KR1020210060816A KR102469926B1 (ko) 2021-02-05 2021-05-11 가스 주입 과정에서의 누설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스 주입용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563A KR102253368B1 (ko) 2021-02-05 2021-02-05 가스 주입용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816A KR102469926B1 (ko) 2021-02-05 2021-05-11 가스 주입 과정에서의 누설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스 주입용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533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92B1 (ko) * 2009-01-19 2011-07-21 (주)에쎈테크 가스용기 탭의 안전밸브
JP5424432B2 (ja) * 2010-02-05 2014-02-2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たばこ用容器
KR101935935B1 (ko) * 2018-04-25 2019-04-03 백인석 가스 주입 및 실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366Y1 (ko) 1999-09-06 2000-03-15 윤정구 안전밸브가 장착된 싸이펀 장치 및 휘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92B1 (ko) * 2009-01-19 2011-07-21 (주)에쎈테크 가스용기 탭의 안전밸브
JP5424432B2 (ja) * 2010-02-05 2014-02-2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たばこ用容器
KR101935935B1 (ko) * 2018-04-25 2019-04-03 백인석 가스 주입 및 실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368B1 (ko) 2021-05-18
KR20220113227A (ko) 2022-08-12
KR20220113228A (ko) 2022-08-12
KR102469926B1 (ko)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7356B2 (en) Engagement structure between a mouth member of a pressure vessel and a blow pin, mouth member structure of a pressure vessel having the engagement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 pressure vessel
KR102469923B1 (ko) 카트리지 장치
US5429268A (en) Tubular above ground gas storage vessel
KR102128585B1 (ko) 맥주 제조 및 취출 장치
JP2009541064A (ja) 支持材上鋳型台取付装置
US11168291B2 (en) Beer maker
US20090130246A1 (en) Mold for a Container Blow Molding Machine, Comprising a Grooved Mold Bottom
EP3666874A1 (en) Beverage maker
KR20170086884A (ko) 일회용 에어건
KR20010102170A (ko) 기체 배출 밸브
CN110356512A (zh) 一种液化天然气船载双体储罐及其制造方法
CN106001232A (zh) 一种节镍型不锈钢温差拉深成形装置及方法
US5908134A (en) Tubular above ground gas storage vessel
US2630936A (en) Welded container and cap
JP2018511533A (ja) 飲料に窒素を導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690028B1 (ko) 플라스틱 연료탱크의 블로잉 홀
KR200486416Y1 (ko) 탄산 및 질소 음료 제조용 장치
KR102220126B1 (ko) 플랜지의 프리폼 제조방법
KR102307783B1 (ko) 발효장치
KR102274525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57236B1 (ko) 음료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CN109231136B (zh) 一种快速调温的果酒储存罐
KR20210136738A (ko) 음료 제조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2342254B1 (ko) 개량형 플랜지 프리폼 제조장치
CN206725160U (zh) 一种自动检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