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784B1 - 압력솥 - Google Patents

압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784B1
KR102469784B1 KR1020200170702A KR20200170702A KR102469784B1 KR 102469784 B1 KR102469784 B1 KR 102469784B1 KR 1020200170702 A KR1020200170702 A KR 1020200170702A KR 20200170702 A KR20200170702 A KR 20200170702A KR 102469784 B1 KR102469784 B1 KR 102469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flange
pressure cooker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1144A (ko
Inventor
최윤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지이
Priority to KR102020017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7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솥를 제공한다. 압력솥은 용기개구부와 이웃하여 둘레면에 일정폭의 제1플랜지가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어 상기 용기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은 테두리에 상기 용기의 제1플랜지가 삽입되는 제2플랜지를 갖는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조작 샤프트를 갖는 조작부; 및 상기 뚜껑 본체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조작 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플랜지에 삽입된 상기 제1플랜지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력솥 {pressure cooker}
본 발명은 압력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안전장치를 갖는 압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솥이란 용기와 뚜껑을 밀폐결합시켜 용기내부를 고온, 고압상태로 유지시키므로써 용기내에 담긴 음식물을 빠른 시간 내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 기구를 말한다.
종래의 압력솥은 대부분 뚜껑양측에 구비된 손잡이를 잡고 뚜껑을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용기상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홈에 뚜껑의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편이 서로 맞물리게 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압력솥은 뚜껑을 개폐할 때마다 뚜껑의 걸림편이 용기의 걸림홈에 정확하게 맞물리거나 어긋나도록 뚜껑전체를 이리저리 회전시키면서 걸림위치를 제대로 맞추어야만 완전하게 결합되거나 해체되므로써 압력솥의 뚜껑개폐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대단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뚜껑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압력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뚜껑의 개폐 조작 과정에서 용기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리과정에서 개폐손잡이를 잘못 조작하더라도 개폐손잡이가 작동하지 않도록 2중 안전 장치를 구비한 압력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기개구부와 이웃하여 둘레면에 일정폭의 제1플랜지가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어 상기 용기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은 테두리에 상기 용기의 제1플랜지가 삽입되는 제2플랜지를 갖는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조작 샤프트를 갖는 조작부; 및 상기 뚜껑 본체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조작 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플랜지에 삽입된 상기 제1플랜지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압력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 샤프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뚜껑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직립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 손잡이; 및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 샤프트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작 샤프트를 잠금 방향 및 해제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샤프트는 상기 클램프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회동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클램프를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손잡이는 직립 자세에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직립 위치로부터 전방측으로 대략 수평하게 기울어진 회동범위를 가지며, 상기 회동 손잡이가 직립 상태일때 상기 고정 손잡이를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회동 손잡이가 수평 상태일때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손잡이가 수평 상태에서 직립 상태로 회동되면 상기 조작 샤프트는 해제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클램프가 언클램핑되고, 상기 회동 손잡이가 직립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회동되면 상기 조작 샤프트는 잠금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클램프가 클램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일단은 서로 가깝게 위치되며 타단은 서로 멀게 위치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이동홈에 끼워지는 이동핀을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이동핀이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클램프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가 클램핑 상태에서 언클램핑되는 것을 단속하는 안전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뚜껑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끝단에 제공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잠금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클램프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클램프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의 끼워지는 축공을 갖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클램프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면을 갖고, 단부에 파지부분을 갖는 클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부는 회동 동작시 상기 고정브라켓이 위치되는 절개부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뚜껑 본체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되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뚜껑본체의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이 통과하는 관통공을 갖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고,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고 상기 제2플랜지에 삽입된 상기 제1플랜지에 끼워지는 그립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뚜껑의 개폐 조작을 손잡이의 회동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손쉽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뚜껑의 개폐 조작이 용이한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력솥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압력솥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개폐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개폐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고정 브라켓과 시소 부재 그리고 곡면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곡면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개폐 조작부의 잠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개폐 조작부의 해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안전 부재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클램프가 언클램핑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클램프가 클램핑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안전 부재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증착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압력솥(10)은 용기(200)와 뚜껑(10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20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형태로, 상부에는 용기 개구부(202)가 제공되며, 그 둘레면에는 일정폭의 제1플랜지(210)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100)은 용기의 개구부(202)를 덮어 용기(200)의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것이다. 뚜껑(100)은 뚜껑 본체(110), 조작부(400), 한 쌍의 클램프(130) 그리고 안전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본체(110)는 뚜껑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용기(200)의 개구부를 덮도록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폐쇄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뚜껑 본체(110)는 상면(112)과, 측면(114) 그리고 제2플랜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본체(110)에는 압력 밥솥(10)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압력방출밸브와 증기배출구가 제공된다. 한편, 뚜껑 본체(110)의 제2플랜지(116) 내측에는 고무패킹(P)이 제공된다.
한 쌍의 클램프(130)는 좌측 클램프와 우측 클램프를 포함하며, 클램프(130)는 뚜껑 본체(11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130)는 조작부(400)의 손잡이 회동에 의해 반경 방향(개폐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플랜지(116)에 삽입된 제1플랜지(210)를 클램핑할 수 있다.
도 3은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회동 손잡이와 조작 샤프트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클램프(130)는 뚜껑 본체(110)의 상면(112)에 위치되고, 조작부(400)의 회동 손잡이의 회동과 연동되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평부(132), 수평부(132)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고, 뚜껑본체(110)의 측면(114)에 위치되며, 고정브라켓이 통과하는 관통공(138)을 갖는 수직부(134) 및 수직부(134)와 연결되고,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고 제2플랜지(210)이 삽입된 제1플랜지(116)에 끼워지는 그립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클램프(130)는 수평부(132)의 일단 상면에 돌출된 이동핀(133)을 가지며, 이동핀(133)은 조작부의 조작 샤프트에 형성된 이동홈(452)에 끼워진다.
조작부(400)는 메인 프레임(420), 고정 손잡이(490), 회동 손잡이(440), 조작 샤프트(43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420)은 뚜껑 본체(110)의 상면(112)에 설치된다. 메인 프레임(420)은 뚜껑 본체(110) 상부 양측에 설치된 클램프(130)의 수평부(132) 일부를 커버한다. 메인 프레임(420)의 중앙에는 조작 샤프트(430)가 위치되는 설치홈(422)를 갖는다.
조작 샤프트(430)는 설치홈(42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작 샤프트(430)의 양단에는 사각형 단면의 끼움편(431)이 제공되며, 이 끼움편(431)은 회동 손잡이(440)의 양단부에 형성된 끼움홈(442)에 끼워진다.
고정 손잡이(490)는 메인 프레임(420) 상에 직립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회동 손잡이(440)는 메인 프레임(420)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동 손잡이(440)는 조작 샤프트(430)의 양단부와 연결되며, 메인 프레임(420)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 손잡이(440)의 회동에 의해 조작 샤프트(430)는 잠금 방향 및 해제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동 손잡이(440)는 직립 상태일때 고정 손잡이(490)를 감싸도록 위치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회동 손잡이(440)는 수평 상태일때 메인 프레임(420)에 형성된 삽입홈(428)에 삽입되도록 위치된다. 회동 손잡이(440)는 직립 자세에 있는 상태로부터 직립 위치로부터 전방측으로 대략 수평하게 기울어진 상태의 회동범위를 갖는다.
조작 샤프트(430)는 클램프(13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홈(422)에 안착된다. 조작 샤프트(430)는 회동 손잡이(440)에 의해 회전되어 클램프(130)를 반경 방향으로 이동된다. 조작 샤프트(430)는 한 쌍의 이동홈(432)을 갖는다. 이동홈(432)은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일단은 서로 가깝게 위치되며 타단은 서로 멀게 위치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클램프(130)는 이동핀(133)이 이동홈(432)에 끼워짐으로써 조작 샤프트(430)의 회전시 이동핀(133)이 이동홈(43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클램프(130)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조작부의 해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b에서는 조작 샤프트를 보여주기 위해 메인 프레임과 고정 손잡이를 생략하였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손잡이(440)가 수평 상태에서 직립 상태로 회동되면 조작 샤프트(430)는 해제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동핀(133)이 이동홈(432)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클램프(130)가 언클램핑된다.
도 6a 및 도 6b는 조작부의 잠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b에서는 조작 샤프트를 보여주기 위해 메인 프레임과 고정 손잡이를 생략하였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손잡이(440)가 직립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회동되면 조작 샤프트(430)는 잠금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동핀(133)이 이동홈(432)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클램프(130)가 클램핑된다.
도 7은 안전 부재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2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안전 부재(300)는 클램프(130)가 클램핑된 상태에서 임의로 언클램핑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 부재(300)는 고정 브라켓(310), 회전축(320), 레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310)은 뚜껑(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클램프(130)의 수직부(134)에 형성된 관통공(138)을 통해 돌출되게 제공된다. 회전축(320)은 고정브라켓(310)의 끝단에 제공된다.
레버(330)는 회전축(3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잠금방향으로 회동시 클램프(130)의 수직부(134) 일측을 가압하여 클램프(130)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레버(330)는 회전축(320)의 끼워지는 축공을 갖는 힌지부(332) 및 힌지부(332)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면이 클램프(130)의 수직부(134) 일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면(335)을 갖고, 단부에 파지부분(336)을 갖는 클립부(338)를 포함한다.
클립부(338)는 회동 동작시 고정브라켓(310)이 위치되는 절개부분(339)을 갖는다.
도 8은 클램프가 언클램핑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클램프가 클램핑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안전 부재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용기(200)에 뚜껑(100)을 덮은 상태에서 앞서 언급한 조작부(400)의 회동 손잡이를 수평 상태로 젖히면 조작 샤프트의 잠금 동작에 의해 클램프(130)가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이동되면서 제2플랜지(116)와 제1플랜지(210)를 클램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400)를 잘못 조작하여 클램프(130)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부재(300)를 잠금 상태로 작동시킨다(도 10 참조). 안전 부재(300)의 잠금 동작은, 작업자가 파지부분(336)을 잡고 레버(330)를 잠금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레버(330)의 지지면(335)이 클램프(130)의 수직부(134) 일측면에 밀착되어 클램프(130)가 클램핑된 상태에서 임의로 언클램핑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동 손잡이와 조작 샤프트의 간단한 구조를 통해 클램프(130)를 잠금/해제 방향으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뚜껑 200 : 용기
110 : 뚜껑 본체
130 : 클램프 300 : 안전 부재
400 : 조작부 420 : 메인 프레임
430 : 조작 샤프트 440 : 회동 손잡이
490 : 고정 손잡이

Claims (8)

  1. 용기개구부와 이웃하여 둘레면에 일정폭의 제1플랜지가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어 상기 용기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은
    테두리에 상기 용기의 제1플랜지가 삽입되는 제2플랜지를 갖는 뚜껑 본체;
    상기 뚜껑 본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조작 샤프트를 갖는 조작부; 및
    상기 뚜껑 본체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조작 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플랜지에 삽입된 상기 제1플랜지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 샤프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뚜껑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직립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 손잡이; 및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 샤프트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작 샤프트를 잠금 방향 및 해제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샤프트는 상기 클램프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회동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클램프를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력솥.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손잡이는 직립 자세에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직립 위치로부터 전방측으로 수평하게 기울어진 회동범위를 가지며,
    상기 회동 손잡이가 직립 상태일때 상기 고정 손잡이를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회동 손잡이가 수평 상태일때 상기 메인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위치되는 압력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손잡이가 수평 상태에서 직립 상태로 회동되면 상기 조작 샤프트는 해제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클램프가 언클램핑되고, 상기 회동 손잡이가 직립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회동되면 상기 조작 샤프트는 잠금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클램프가 클램핑되는 압력솥.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샤프트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일단은 서로 가깝게 위치되며 타단은 서로 멀게 위치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이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이동홈에 끼워지는 이동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조작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이동핀이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클램프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압력솥.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 클램핑 상태에서 언클램핑되는 것을 단속하는 안전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 부재는
    상기 뚜껑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끝단에 제공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잠금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클램프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클램프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압력솥.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의 끼워지는 축공을 갖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클램프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면을 갖고, 단부에 파지부분을 갖는 클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부는
    회동 동작시 상기 고정브라켓이 위치되는 절개부분을 갖는 압력솥.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뚜껑 본체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조작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되어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로부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뚜껑본체의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이 통과하는 관통공을 갖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고,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고 상기 제2플랜지에 삽입된 상기 제1플랜지에 끼워지는 그립부를 갖는 압력솥.
KR1020200170702A 2020-12-08 2020-12-08 압력솥 KR102469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702A KR102469784B1 (ko) 2020-12-08 2020-12-08 압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702A KR102469784B1 (ko) 2020-12-08 2020-12-08 압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144A KR20220081144A (ko) 2022-06-15
KR102469784B1 true KR102469784B1 (ko) 2022-12-14

Family

ID=8198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702A KR102469784B1 (ko) 2020-12-08 2020-12-08 압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10B1 (ko) 2023-06-28 2023-10-17 박창현 압력솥의 뚜껑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537128U (zh) 2011-10-25 2012-11-21 应高峰 一种卡环式压力锅
JP2013048915A (ja) 2008-12-30 2013-03-14 Seb Sa 係止/係止解除兼用制御部材を有する圧力調理器具
JP2015208683A (ja) * 2014-04-23 2015-11-24 セブ ソシエテ アノニム 持ち上げることができる手動制御部材を備える圧力調理器具
KR200487953Y1 (ko) 2016-12-29 2018-11-26 최윤혁 2중 안전장치를 갖는 압력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8915A (ja) 2008-12-30 2013-03-14 Seb Sa 係止/係止解除兼用制御部材を有する圧力調理器具
CN202537128U (zh) 2011-10-25 2012-11-21 应高峰 一种卡环式压力锅
JP2015208683A (ja) * 2014-04-23 2015-11-24 セブ ソシエテ アノニム 持ち上げることができる手動制御部材を備える圧力調理器具
KR200487953Y1 (ko) 2016-12-29 2018-11-26 최윤혁 2중 안전장치를 갖는 압력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10B1 (ko) 2023-06-28 2023-10-17 박창현 압력솥의 뚜껑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144A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1323B2 (ja) 改善された制御装置を有する、圧力下で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調理器具
KR102469784B1 (ko) 압력솥
JP5845255B2 (ja) 圧力鍋の蓋
US9392892B2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SK4712001A3 (en) Safety system to prevent the functioning of a blender or food processor if the top of its cup is not in place
US8800803B2 (en) Pot cover with locking means
JPH0898766A (ja) 蓋の開閉装置
KR102034623B1 (ko) 압력솥의 뚜껑개폐장치
JPS61501248A (ja) 危険なしに圧力料理器を開放及び閉鎖するための安全装置
IE49041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afety arrangements for mixers
CN107550253B (zh) 烹饪器具
EP2833771B1 (fr) Poignee amovible cooperant avec une anse
BR102019013220A2 (pt) panela de pressão provida de um batente para sua tampa
CN110623533A (zh) 烹饪器具
KR200487953Y1 (ko) 2중 안전장치를 갖는 압력솥
KR20140142086A (ko) 돌솥압력취사 용기
KR101583779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101818951B1 (ko) 압력뚜껑 자동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압력조리기
KR200409245Y1 (ko)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KR102070321B1 (ko) 압력솥 뚜껑의 개폐장치
TWI655071B (zh) 剪刀
KR20170002580U (ko) 밀폐용기 잠금장치
DE3123066C2 (de) Deckel für Dampfdruckkochtöpfe
KR102139567B1 (ko) 압력솥 뚜껑의 잠금장치
KR102591010B1 (ko) 압력솥의 뚜껑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122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30324

Effective date: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