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599B1 - 라이더용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라이더용 알림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9599B1 KR102469599B1 KR1020200146775A KR20200146775A KR102469599B1 KR 102469599 B1 KR102469599 B1 KR 102469599B1 KR 1020200146775 A KR1020200146775 A KR 1020200146775A KR 20200146775 A KR20200146775 A KR 20200146775A KR 102469599 B1 KR102469599 B1 KR 1024695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gular velocity
- unit
- sensed
- notification
- equ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5—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other road users, e.g. signs or flag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1/00—Measuring average value of spe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더용 알림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탈부착이 용이한 라이더용 알림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헬멧에 부착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주행 상태를 외부로 알리는 본체로 구성되는 라이더용 알림 장치에 있어서, 본체는 주행 방향으로의 속도 및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 후, 좌, 우 방향으로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하는 센서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부와, 센서부에서 센싱되는 속도, 가속도 및 각속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센싱되는 속도, 가속도 및 각속도를 바탕으로 주행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주행 상태에 따라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센서부, 메모리부, 알림부 및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브라켓과 결합 가능한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라이더용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헬멧 또는 퍼스널 모빌리티에 탈부착이 용이한 라이더용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두 다리의 힘으로 바퀴를 돌려 움직이는 무동력, 무공해의 이동수단으로 과거 교통수단으로만 여겨져 왔지만,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운동이나 취미활동으로서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자전거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전거 사고도 함께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다수의 사고 원인 중 주행 시 방향 전환에 의한 충돌 사고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행 방향 전환에 따른 사고를 줄이고자 방향 전환에 따라 해당 방향을 표시하도록 발광부를 구비한 헬멧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발광부가 헬멧과 일체로 형성되어, 발광부의 고장에도 헬멧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방향 표시등으로서의 기능만을 하기 때문에, 전방 미주시와 같은 라이더 당사자의 주행 태도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는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헬멧과 탈부착 가능하며, 라이더의 주행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라이더용 알림 장치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헬멧과 탈부착 가능하며, 라이더의 주행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라이더용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헬멧에 부착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주행 상태를 외부로 알리는 본체로 구성되고, 본체는 주행 방향으로의 속도 및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후측,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하는 센서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부와, 센서부에서 센싱되는 속도, 가속도 및 각속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속도, 가속도 및 각속도를 바탕으로 주행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주행 상태에 따라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센서부, 메모리부, 알림부 및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브라켓과 결합 가능한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라이더용 알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라켓은 상면과 일측면에 걸쳐 슬라이딩 홈이 함몰 형성되고, 슬라이딩 홈의 양측면에 각각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되, 삽입홈의 내부에는 삽입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결속체와 결속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배치되고, 하우징부는 외주면에 한 쌍의 결속체가 삽입 가능한 한 쌍의 결속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결속체가 결속홈에 삽입되며 하우징부와 브라켓이 상호 결합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우징부와 브라켓이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후측,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각속도가 제1각속도 이상이고, 제1각속도 이상의 어느 한 방향 각속도가 센싱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계속해서 제1속도 미만의 주행 방향 속도가 센싱되면, 사고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각속도가 제2각속도 이상이고, 제2각속도 이상의 어느 한 방향 각속도가 센싱된 시점의 주행 방향 속도가 제2속도 이상이면, 방향 전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센서부를 통해 센싱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방향의 각속도가 제3각속도 이상이고, 제3각속도 이상의 전측 방향의 각속도가 센싱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계속해서 제3각속도 미만의 후측 방향의 각속도가 센싱되면, 전방 미주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동안에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최대값과 우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최대값의 차이가 기준값 이상이면, 밸런스 불균형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센서부를 통해 센싱되는 정보로 라이더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 본인 또는 주변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기 때문에, 주행 중 안전사고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본체가 브라켓에 의해 헬멧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하며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더용 알림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더용 알림 장치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더용 알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더용 알림 장치가 포함된 알림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더용 알림 장치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더용 알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더용 알림 장치가 포함된 알림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더용 알림 장치(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라이더용 알림 장치(1)는 헬멧(H)에 결합되는 브라켓(10) 및 브라켓(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주행 상태를 알리는 본체(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1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헬멧과 접촉하는 일측면에 점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이 부착력을 제공하는 부착수단(미도시)이 구비되거나, 클램프와 같이 기구적인 체결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0)은 헬멧(H)의 곡면에 따라 구부림 가능하거나, 곡률을 갖도록 굴곡진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라켓(10)은 상면과 타측면에 걸쳐 슬라이딩 홈(1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0)의 타측면은 헬멧(H)과 접촉하는 일측면과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슬라이딩 홈(11)의 양측면에는 각각 삽입홈(12)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호 대칭될 수 있다. 이때, 각 삽입홈(12)에는 탄성체(14)와 결속체(13)가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결속체(13)는 삽입홈(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되, 삽입홈(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삽입홈(12)의 개방된 일단부에는 내측 둘레를 따라 제1걸림돌기(121)가 돌출 형성되고, 삽입홈(12)에 삽입된 결속체(13)의 일단부에는 외측 둘레를 따라 제2걸림돌기(1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14)는 결속체(13)를 삽입홈(12)으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탄성체(14)는 압축하는 힘에 저항하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결속체(13)는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삽입홈(12)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삽입홈(12)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0)은 헬멧(H) 이외에도 퍼스널 모빌리티 또는 사용자의 피복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체(20)는 센서부(21), 알림부(22), 메모리부(23) 및 제어부(24)를 내부에 수용하며, 브라켓(1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25)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소리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피커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25)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51)는 등변 사다리꼴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대칭되는 경사면(251b, 251c)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 경사면(251b, 251c)에는 결속체(13)가 삽입 가능한 결속홈(25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51)는 일면(251a)에서 타면(251d)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돌출부(251)의 한 쌍의 경사면(251b, 251c) 사이에 위치한 타면(251d)을 슬라이딩 홈(11)과 대응되게 배치한 후, 브라켓(10) 방향으로 하우징부(25)에 외력을 가해, 결속체(13)가 결속홈(251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부(25)와 브라켓(1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25)에 가해지는 외력은 탄성체(14)가 갖고 있는 탄성력 이상의 외력일 수 있다. 결속체(13)는 돌출부(251)의 슬라이딩 홈(11) 삽입에 따라, 경사면(251b, 251c)에 의해 점차 삽입홈(12)의 내측으로 인입되다, 결속홈(2511)에 도달하면, 탄성체(14)에 의해 삽입홈(12)에서 인출되어 결속홈(2511)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하우징부(25)에 상측을 향하는 외력을 가해, 돌출부(251)를 슬라이딩 홈(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브라켓(10)과 하우징부(25)를 상호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가압 방식으로 하우징부(25)와 브라켓(1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우징부(25)와 브라켓(10)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용이하되, 주행 중 분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체(20)의 하우징부(25)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센서부(21)는 주행 방향으로의 속도 및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후측,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센싱하는 구성으로, 센싱된 정보를 제어부(24)로 송신할 수 있다. 센서부(21)는 3축 가속도 센서 및 3축 각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22)는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알림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부(221) 및 복수의 발광소자로 이루어진 발광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부(221)와 발광부(222) 중 하나만 작동되거나, 스피커부(221)와 발광부(222)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메모리부(23)는 센서부(21)로부터 센싱되는 속도, 가속도 및 각속도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3)는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이전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라이더용 알림 장치(1)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롬과 램 주변회로가 집적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4)는 센서부(21)로부터 센싱되는 속도, 가속도 및 각속도를 바탕으로 주행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알림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24)는 센서부(21)를 통해 센싱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후측,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각속도가 제1각속도 이상이면, 제1각속도 이상의 어느 한 방향 각속도가 센싱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 시간동안 계속해서 제1속도 미만의 주행 방향 속도가 센싱되는지 판단하고, 제1속도 미만의 주행 방향 속도가 계속해서 센싱되면, 주행 상태를 사고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사고 상태 판단에 따라 제어부(24)는 스피커부(221)가 일정 데시벨(db) 이상의 소리 크기로 경고음을 출력함과 동시에 발광부(222)가 점소등을 반복하도록 알림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는 주행 상태를 사고 상태로 판단하고 난 후, 제1속도 이상의 주행 방향 속도가 센싱되면, 주행 상태를 사고 상태 종료로 판단할 수 있다. 사고 상태 종료 판단에 따라 제어부(24)는 스피커부(221)의 경고음 출력을 종료하고 발광부(222)를 소등하도록 알림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센서부(21)를 통해 센싱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의 각속도가 제2각속도 이상이면, 제2각속도 이상의 어느 한 방향 각속도가 센싱된 시점에 주행 방향 속도가 제2속도 이상인지 판단하고, 주행 방향 속도가 제2속도 이상이면, 주행 상태를 방향 전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방향 전환 상태 판단에 따라 제어부(24)는 발광부(222)가 전환 방향 측의 발광소자를 점등하도록 알림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는 방향 전환 상태로 판단하고 난 후, 센서부(21)를 통해 전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2각속도 이상의 각속도가 센싱되면, 주행 상태를 방향 전환 상태 종료로 판단할 수 있다. 방향 전환 상태 종료 판단에 따라 제어부(24)는 발광부(222)를 소등하도록 알림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센서부(21)를 통해 센싱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방향의 각속도가 제3각속도 이상이면, 제3각속도 이상의 전측 방향 각속도가 센싱되는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계속해서 제3각속도 미만의 후측 방향 각속도가 센싱되는지 판단하고, 제3각속도 미만의 후측 방향 각속도가 계속해서 센싱되면, 주행 상태를 전방 미주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전방 미주시 상태 판단에 따라, 제어부(24)는 스피커부(221)가 일정 데시벨(db)미만의 소리 크기로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알림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는 주행 상태를 전방 미주시 상태로 판단하고 난 후, 센서부(21)를 통해 센싱되는 후측 방향의 각속도가 제3각속도 이상이면, 주행 상태를 전방 미주시 상태 종료로 판단할 수 있다. 전방 미주시 상태 종료 판단에 따라 제어부(24)는 스피커부(221)가 경고음 출력을 종료하도록 알림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기설정된 시간동안에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최대값과 우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최대값의 차이가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차이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주행 상태를 밸런스 불균형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밸런스 불균형 상태 판단에 따라, 제어부(24)는 스피커부(221)가 일정 데시벨(db)미만의 소리 크기로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알림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는 밸런스 불균형 상태로 판단하고 난 후, 주어진 시간주기 동안에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최대값과 우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최대값의 차이가 기준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밸런스 불균형 상태 종료로 판단할 수 있으며, 스피커부(221)의 경고음 출력을 종료하도록 알림부(2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고 상태 판단 시 출력되는 경고음, 전방 미주시 상태 판단 시 출력되는 경고음 및 밸런스 불균형 상태판단 시 출력되는 경고음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일정 데시벨은 60데시벨일 수 있다.
또한, 제1속도와 제2속도는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으며, 제1각속도는 제2각속도 및 제3각속도 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제2각속도는 제3각속도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라이더용 알림 장치(1)의 본체(20)는 통신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6)는 라이더용 알림 장치(1)와 사용자 단말기(A, 도 8 참조)간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제어부(24)로부터 수신한 속도, 가속도 및 각속도를 사용자 단말기(A)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더용 알림 장치(1)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의 (a)는 좌측 방향 전환 상태에서의 라이더용 알림 장치(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좌측 방향 전환 시, 라이더용 알림 장치(1)는 발광부(222)를 이루는 복수의 발광소자 중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에 위치한 발광소자가 점등될 수 있다.
도 6의 (b)는 우측 방향 전환 상태에서의 라이더용 알림 장치(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측 방향 전한 시, 라이더용 알림 장치(1)는 발광부(222)를 이루는 복수의 발광소자 중 중앙부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에 위치한 발광소자가 점등될 수 있다.
라이더용 알림 장치(1)는 방향 전환 시 사용자의 몸이 치우쳐지며 발생하는 각속도를 바탕으로 방향 전환 상태 및 전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더용 알림 장치(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어부(24)는 S10단계에서 센서부(21)를 통해 실시간으로 속도, 가속도 및 각속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를 메모리부(23)에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는 센서부(21)를 통해 주행 방향으로의 속도 및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후측,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S11단계에서 실시간으로 센싱되는 전측, 후측,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각속도가 제1각속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측, 후측,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각속도가 제1각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12단계에서 제1각속도 이상의 어느 한 방향 각속도가 센싱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계속해서 제1속도 미만의 주행 방향 속도가 센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동안 계속해서 제1속도 미만의 주행 방향 속도가 센싱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13단계에서 주행 상태를 사고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동안 계속해서 제1속도 미만의 주행 방향 속도가 센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11단계로 되돌아 갈 수 있다.
한편, 전측, 후측, 좌측 및 우측 방향의 각속도가 모두 제1각속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14단계에서 실시간으로 센싱되는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각속도가 제2각속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각속도가 제2각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15단계에서 제2각속도 이상의 어느 한 방향 각속도가 센싱된 시점에 제2속도 이상의 주행 방향 속도가 센싱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2속도 이상의 주행 방향 속도가 센싱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16단계에서 주행 상태를 방향 전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제2속도 미만의 주행 방향 속도가 센싱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11단계로 되돌아 갈 수 있다.
한편, 좌측 및 우측 방향의 각속도가 모두 제2각속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17단계에서 실시간으로 센싱되는 전측 방향의 각속도가 제3각속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전측 방향의 각속도가 제3각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18단계에서 제3각속도 이상의 전측 방향의 각속도가 센싱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계속해서 제3각속도 미만의 후측 방향의 각속도가 센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후측 방향의 각속도가 제3각속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19단계에서 주행 상태를 전방 미주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후측 방향의 각속도가 제3각속도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11단계로 되돌아 갈 수 있다.
한편, 전측 방향의 각속도가 제3각속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20단계에서 주어진 시간동안에 좌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최대값과 우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최대값의 차를 산출하고, 그 차이값이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산출된 차이값이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21단계에서 주행 상태를 밸런스 불균형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산출된 차이값이 기준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24)는 S11단계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11단계 이전, 주행 방향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속도는 사용자가 주행 중인지 비주행 중인지 판단의 기준이 되는 속도로 시속 5km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더용 알림 장치(1)가 포함된 알림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알림 시스템은 라이더용 알림 장치(1), 라이더용 알림 장치(1)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A)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이더용 알림 장치(1)는 센서부(21)를 이용하여 주행 방향 속도,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후측,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수집할 수 있다. 라이더용 알림 장치(1)는 통신부(26)를 이용하여 센서부(21)를 통해 수집된 각종 정보(속도, 가속도, 각속도)를 사용자 단말기(A)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A)는 서버(B)로부터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라이더용 알림 장치(1)로부터 일정 시간 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A)는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버(B)는 사용자 단말기(A)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정보를 저장 및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A)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라이더용 알림 장치
10 : 브라켓
20 : 본체
10 : 브라켓
20 : 본체
Claims (6)
- 헬멧에 부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주행 상태를 외부로 알리는 본체로 구성되는 라이더용 알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주행 방향으로의 속도 및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후측,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하는 센서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되는 속도, 가속도 및 각속도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속도, 가속도 및 각속도를 바탕으로 주행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센서부, 상기 메모리부, 상기 알림부 및 상기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브라켓과 결합 가능한 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발광소자로 이루어진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면과 일측면에 걸쳐 슬라이딩 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홈의 양측면에 각각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결속체와 상기 결속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부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등변 사다리꼴 기둥 형태의 돌출부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호 대칭되는 경사면에는 각각 상기 결속체가 삽입 가능한 결속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결속체가 상기 결속홈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브라켓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후측,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각속도가 제1각속도 이상이고, 상기 제1각속도 이상의 어느 한 방향 각속도가 센싱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계속해서 제1속도 미만의 주행 방향 속도가 센싱되면, 사고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스피커부가 일정 데시벨 이상의 소리 크기로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알림부를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측 방향의 각속도가 제3각속도 이상이고, 상기 제3각속도 이상의 전측 방향의 각속도가 센싱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계속해서 상기 제3각속도 미만의 후측 방향의 각속도가 센싱되면, 전방 미주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스피커부가 일정 데시벨 미만의 소리 크기로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알림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더용 알림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되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각속도가 제2각속도 이상이고, 상기 제2각속도 이상의 어느 한 방향 각속도가 센싱된 시점의 주행 방향 속도가 제2속도 이상이면, 방향 전환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더용 알림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동안에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최대값과 우측 방향으로의 가속도 최대값의 차이가 기준값 이상이면, 밸런스 불균형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더용 알림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6775A KR102469599B1 (ko) | 2020-11-05 | 2020-11-05 | 라이더용 알림 장치 |
PCT/KR2020/017303 WO2022097819A1 (ko) | 2020-11-05 | 2020-11-30 | 라이더용 알림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6775A KR102469599B1 (ko) | 2020-11-05 | 2020-11-05 | 라이더용 알림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0784A KR20220060784A (ko) | 2022-05-12 |
KR102469599B1 true KR102469599B1 (ko) | 2022-11-22 |
Family
ID=8145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6775A KR102469599B1 (ko) | 2020-11-05 | 2020-11-05 | 라이더용 알림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9599B1 (ko) |
WO (1) | WO202209781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9412B1 (ko) * | 2023-01-17 | 2023-10-19 | 주식회사 아이로나 | 사용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주행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멧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25426A (ja) * | 2004-02-16 | 2005-08-25 | Shimano Inc | 自転車用照明装置及びそれに装着可能な自転車用表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2179B1 (ko) * | 2009-09-09 | 2012-05-11 | 알엑스바이크 주식회사 | 자전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KR101340008B1 (ko) * | 2011-08-22 | 2013-12-10 | (주)티엘씨테크놀로지 |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
KR101313022B1 (ko) * | 2012-01-27 | 2013-10-01 | 임종효 | 안전주행용 자전거 경고음 발생장치 |
KR101470238B1 (ko) | 2013-11-11 | 2014-12-08 | 류남수 |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헬멧 |
KR20170116895A (ko) * | 2016-04-12 | 2017-10-20 | 이준 | 고글 또는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
2020
- 2020-11-05 KR KR1020200146775A patent/KR1024695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11-30 WO PCT/KR2020/017303 patent/WO202209781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25426A (ja) * | 2004-02-16 | 2005-08-25 | Shimano Inc | 自転車用照明装置及びそれに装着可能な自転車用表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097819A1 (ko) | 2022-05-12 |
KR20220060784A (ko) | 2022-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9599B1 (ko) | 라이더용 알림 장치 | |
TWI586581B (zh) | 一種具有將資訊發信號到一腳踏車騎車者的裝置的電動腳踏車 | |
KR101948768B1 (ko) |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 |
JP2003119612A (ja) | ヘルメット装置 | |
EP3313222A1 (en) | A helmet wearing encouraging and/or controlling system and a method of encouraging and/or controlling use of a helmet when riding a vehicle | |
CN110027668B (zh) | 人力驱动车用的操作装置 | |
DE602005001275D1 (de) | Bordcomputer für Fahrräder mit integrierter Beleuchtungs-, Signal- und Lokalisierungsvorrichtung | |
US5262757A (en) | Electronic signaling device for bicycles and the like | |
US20040058722A1 (en) | Directional signal device | |
WO2021116134A1 (en) | User interaction and visual feedback system for bikes | |
KR102425354B1 (ko) | 주행 환경과 실시간 인터랙션 가능한 헬멧 | |
US20230194707A1 (en) | Object detection and warning training board | |
US20070108755A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haptic signals | |
US4915054A (en) | Warning device for a bicycle | |
TW202406789A (zh) | 無線電傳輸自行車控制裝置 | |
US11175009B1 (en) | Portable indication system | |
GB2381363A (en) | Distance monitoring alarm and locating device | |
KR102017046B1 (ko) | 전방 차량 출발 경보 시스템 | |
US10935094B2 (en) | Wear warning device and warning system | |
KR101985427B1 (ko) | 진동팔찌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장치 | |
GB2125998A (en) | Inactivity alarm | |
KR101979863B1 (ko) | IoT 기반 스마트 장치를 이용한 안전 운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KR101308061B1 (ko) | 졸음운전 방지 장치 | |
EP3609359A1 (en) | Cycling shoe | |
US2023039906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users of saftey measu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