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178B1 -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 - Google Patents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178B1
KR102467178B1 KR1020210066620A KR20210066620A KR102467178B1 KR 102467178 B1 KR102467178 B1 KR 102467178B1 KR 1020210066620 A KR1020210066620 A KR 1020210066620A KR 20210066620 A KR20210066620 A KR 20210066620A KR 102467178 B1 KR102467178 B1 KR 102467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wire mesh
fixing
plat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식
Original Assignee
홍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식 filed Critical 홍성식
Priority to KR1020210066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14Specially bending or deforming free wire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04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by means of press-type t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05Wire network per 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철망의 일측단을 고정하는 고정홈이 구비된 다수의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하 및 전,후로 이동되면서 고정부에 고정된 철망의 일측단을 절곡하는 절곡 수단을 형성하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철망을 180°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판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형성하므로서, 제조된 철망의 일측단을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인출 수단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으로 인출되어 철망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하므로서, 상기 인출 수단과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회전판에 놓여진 철망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철망 절곡 작업의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상기 절곡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절곡판에는 철망의 세로 철선과의 마찰로 인해 회전되면서 철망을 하향 절곡 형성하는 절곡 회전판을 더 형성하여, 철망의 일측단을 절곡시키는 절곡 수단이 2번의 작업으로 철망을 하향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 { Fence wire mesh manufacturing equipment }
본 발명은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철망의 일측단을 고정하는 고정홈이 구비된 다수의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하 및 전,후로 이동되면서 고정부에 고정된 철망의 일측단을 절곡하는 절곡 수단을 형성하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철망을 180°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판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형성하므로서, 제조된 철망의 일측단을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인출 수단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으로 인출되어 철망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하므로서, 상기 인출 수단과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회전판에 놓여진 철망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철망 절곡 작업의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상기 절곡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절곡판에는 철망의 세로 철선과의 마찰로 인해 회전되면서 철망을 하향 절곡 형성하는 절곡 회전판을 더 형성하여, 철망의 일측단을 절곡시키는 절곡 수단이 2번의 작업으로 철망을 하향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한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용 철망이란 격자 모양으로 제작되어 공사 현장 내지 건축물 등의 둘레에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사람들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철망은 도 1과 같이 상기 철망(C)은 길이 방향으로 공급되는 세로 철선(I1)과, 상기 세로 철선(I1)의 상부면으로 공급되는 세로 철선(I2)으로 구성되며, 상기 세로 철선(I1)과 가로 철선(I2)을 용접 수단을 이용하여 용접한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철망(C)의 상부와 하부는 날카롭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철망(C)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부 및 하부에 걸려 작업자가 다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철망(C)의 상부와 하부가 절곡되지 않으므로서, 이동하는 도중에 걸려 철망(C)의 이동을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선 등록된 특허 제 10-1679637 호에 같이 철망을 절곡할 수 있는 철망 절곡 장치를 발명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의 문제점은 제작된 철망(C)의 양측단인 상부와 하부를 연속적으로 절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철망(C)의 상부와 하부를 절곡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철망의 일측단을 고정하는 고정홈이 구비된 다수의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하 및 전,후로 이동되면서 고정부에 고정된 철망의 일측단을 절곡하는 절곡 수단을 형성하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철망을 180°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판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형성하므로서, 제조된 철망의 일측단을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인출 수단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으로 인출되어 철망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하므로서, 상기 인출 수단과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회전판에 놓여진 철망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철망 절곡 작업의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상기 절곡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절곡판에는 철망의 세로 철선과의 마찰로 인해 회전되면서 철망을 하향 절곡 형성하는 절곡 회전판을 더 형성하여, 철망의 일측단을 절곡시키는 절곡 수단이 2번의 작업으로 철망을 하향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한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후단 상부에 형성되며, 철망의 일측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구비된 고정부와;
고정부에 고정된 철망을 이중으로 절곡시켜 절곡부가 구비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절곡 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절곡 수단,
고정부와 대응되게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는 수직홈이 구비된 이동 프레임과;
수직홈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절곡판과;
수직홈을 따라 절곡판을 상부로 이동시켜 고정부에 고정된 철망을 상부로 절곡시켜 1차 절곡부가 구비되도록 이동 프레임에 설치되는 절곡 상하실린더와;
이동 프레임을 전,후로 이동시켜 1차 절곡부의 중간 부분을 절곡시켜 2차 절곡부가 구비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절곡 전후실린더;로 구성하여 철망의 일측단에 절곡부가 구비되도록 하고,
절곡판의 일측 하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단을 형성하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180°각도로 회전되는 회전판을 고정부로부터 이격되게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형성하여 절곡부가 구비되지 않은 철망의 타측단이 고정부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철망의 일측단을 고정하는 고정홈이 구비된 다수의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하 및 전,후로 이동되면서 고정부에 고정된 철망의 일측단을 절곡하는 절곡 수단을 형성하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철망을 180°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판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면에 형성하므로서, 제조된 철망의 일측단을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으면서, 상기 철망은 회전판에 올려진 상태에서 180°회전되기 때문에 철망의 양측 절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는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인출 수단에 의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으로 인출되어 철망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하므로서, 상기 인출 수단과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회전판에 놓여진 철망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철망 절곡 작업의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절곡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절곡판에는 철망의 세로 철선과의 마찰로 인해 회전되면서 철망을 하향 절곡 형성하는 절곡 회전판을 더 형성하여, 철망에 구비된 철망의 절곡부를 2번의 작동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철망의 절곡부의 형성 시간을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절곡부가 양측에 구비된 철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곡 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의 인출 수단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의 고정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 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절곡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절곡판의 다른 실시 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10)의 후단 상부에 형성되며, 철망(C)의 일측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511)이 구비된 고정부(510)와;
고정부(510)에 고정된 철망(C)을 이중으로 절곡시켜 절곡부(700)가 구비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절곡 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절곡 수단,
고정부(510)와 대응되게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수직홈(531)이 구비된 이동 프레임(530)과;
수직홈(531)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절곡판(540)과;
수직홈(531)을 따라 절곡판(540)을 상부로 이동시켜 고정부(510)에 고정된 철망(C)을 상부로 절곡시켜 1차 절곡부(701)가 구비되도록 이동 프레임(530)에 설치되는 절곡 상하실린더(550)와;
이동 프레임(530)을 전,후로 이동시켜 1차 절곡부(701)의 중간 부분을 절곡시켜 2차 절곡부(702)가 구비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절곡 전후실린더(560);로 구성하여 철망(C)의 일측단에 절곡부(700)가 구비되도록 하고,
절곡판(540)의 일측 하부에는 절곡단(541)을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며,
모터(65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180°각도로 회전되는 회전판(650)을 고정부(510)로부터 이격되게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면에 형성하여 절곡부(700)가 구비되지 않은 철망(C)의 타측단이 고정부(510)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510)는 베이스 프레임(10)에 형성된 인출 수단(570)에 의해 인출되면서 철망(C)을 착,탈식으로 고정하고,
회전판(650)에는 철망(C)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660)을 더 형성하여 고정부(510)로부터 분리된 철망(C)을 180°각도로 회전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인출 수단(570)은, 베이스 프레임(1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출홈(580)과;
다수의 고정부(510)가 외주면에 결합 되며, 인출홈(580)을 가로지르듯이 형성되는 회전봉(581)과;
회전봉(581)의 일단에 형성되는 작동 연결판(582)과;
베이스 프레임(10)에 구비된 브라켓(585)에 힌지로 결합 되며, 작동 연결판(582)에 결합된 실린더 로드(584)의 인출되는 방향에 따라 회전봉(581)을 상,하로 회전시켜 고정부(510)를 인출홈(580)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또는 인출홈(580)으로 유입하는 인출 실린더(583);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 수단(660)은,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회전판(650)에 형성되는 인출홀(670)과;
인출홀(670)에 형성되는 고정 지그(680)와;
고정 지그(680)가 안착되는 안착홈(691)이 양측단에 구비되며, 회전판(650)의 회전시 안착홈(691)에 안착된 고정 지그(680)를 상부로 이동시켜 인출홀(670)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반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인출 가이드(690);로 구성하며,
상기 인출 가이드(690)는, 안착홈(691)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692)과;
경사면(692)의 끝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면(693);으로 구성하고,
인출 가이드(690)의 상부면을 따라 고정 지그(680)가 구름 이동 되도록 고정 지그(680)의 하부에 롤러(68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철망(C)을 구성하고 있는 세로 철선(I1)을 이중으로 절곡시켜 절곡부(700)가 구비되도록 한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는 도 2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후단 상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부(510)와, 상기 고정부(510)에 결합된 철망(C)의 일측단을 이중으로 절곡하여 절곡부(700)가 구비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절곡 수단과, 상기 절곡부(700)가 구비된 철망(C)을 180°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판(650)으로 구성한다.
상기 철망(C)을 고정하는 고정부(510)의 후단 하부에는 고정홈(511)을 형성하여 철망(C)을 구성하고 있는 세로 철선(I2)을 고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홈(511)에 고정된 철망(C)은 상,하 및 전,후로 이동되는 절곡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절곡판(540)에 의해 도 1과 같이 절곡부(700)를 철망(C)의 일측단에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철망(C)의 일측단에 절곡부(700)가 구비된 모터(65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판(650)이 180°회전 작동되면서 절곡부(700)가 구비되지 않은 철망(C)의 타측단을 고정부(510)에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절곡부(700)가 구비되지 않은 철망(C)의 타측단이 고정부(510)에 결합 되도록 상기 고정부(510)를 베이스 프레임(10)에 출몰 가능하게 인출 수단(570)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650)에는 고정 수단(660)을 형성한다.
따라서, 인출 수단(570)에 의해 고정부(510)가 베이스 프레임(10)에 유입된 상태에서 회전판(650)이 회전 작동시 고정 수단(660)을 구성하고 있는 고정 지그(670)가 회전판(650)으로부터 인출되면서 회전판(650)에 놓여진 철망(C)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부(510)에 구비된 고정홈(511)에 도 3과 같이 철망(C)이 고정되면 절곡 상하실린더(550)를 작동시켜 이동 프레임(530)의 수직홈(531)에 관통되게 결합된 절곡판(540)을 상부로 이동한다.
상기 절곡판(540)이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0)의 후단에 돌출 형성된 세로 철선(I1)은 절곡판(540)에 의해 상부로 절곡되면서 1차 절곡부(701)를 형성한다.
상기 1차 절곡부(710)가 형성되면, 이동 프레임(530)의 전면에 설치된 절곡 상하실린더(560)의 실린더 로드가 유입되면서 이동 프레임(530)을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 프레임(530)이 베이스 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하므로서, 1차 절곡부(701)의 중간 부분을 절곡하기 때문에 2차 절곡부(70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2차 절곡부(702)가 형성됨과 동시에 절곡 상하실린더(550)는 이동 프레임(530)의 하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절곡판(540)에 구비된 절곡단(541)은 2차 절곡부(702)를 가압하여 도 1과 같이 하향 경사진 절곡부(700)를 철망(C)의 일측단이 상부에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인하여 철망(C)의 일측단인 상부에 절곡부(700)가 형성되면, 인출 수단(570)을 구성하고 있는 인출 실린더(583)를 작동시켜 실린더 로드(584)가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 로드(584)가 인출되므로서, 작동 연결판(582)이 구비된 회전봉(581)은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베이스 프레임(10)에 형성된 인출홈(580)의 내측으로 다수의 고정부(510)를 유입한다.
상기 고정부(510)가 유입되면, 회전판(650)에 구비된 모터(651)가 작동되면서 회전판(650)을 도면상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판(650)이 회전됨에 따라 인출 가이드(690)의 양측단에 구비된 고정 지그(680)는 경사면(692)을 따라 구름 이동되면서 인출홀(670)로부터 고정 지그(660)를 인출한다.
상기 인출홈(670)로부터 인출된 고정 지그(680)는, 경사면(692)의 끝단에 구비된 수평면(693)을 따라 구름 이동되면서 철망(C)을 고정하고, 상기 회전판(650)이 180°회전 작동되면 철망(C)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680)는 자체 하중에 의해 안착홈(691)으로 유입되면서 인출홈(670)의 내부로 유입한다.
상기 고정 지그(680)가 안착홈(691)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인출 실린더(583)에 구비된 실린더 로드(584)는 인출 실린더(583)의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인출홈(580)의 내부로 유입된 다수의 고정부(510)를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로 회전이동시켜 180°회전된 철망(C)을 고정하도록 한다.
절곡부(700)가 형성되지 않은 철망(C)의 타측단인 하부가 고정부(510)에 고정되면, 절곡 상하실린더(550)가 작동되면서 이동 프레임(530)의 수직홈(531)에 관통된 절곡판(540)을 상부로 이동시켜 1차 절곡부(701)를 형성하고, 절곡 전후실린더(560)가 작동되면서 절곡판(54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2차 절곡부(702)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2차 절곡부(702)의 형성한 상태에서 절곡 상하실린더(550)가 이동 프레임(530)의 하부로 이동되면서 2차 절곡부(702)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다.
즉, 도 24의 (a)와 같이 회전판(650)이 모터(651)의 회전력에 의해 'A' 부분까지 이동시 인출홀(670)에 결합 된 고정 지그(680)는 도 25의 (a)와 같이 인출 가이드(690)에 구비된 경사면(692)을 따라 구름 이동되면서 회전판(650)의 상부면으로 돌출는 것이다.
그리고 도 24의 (b)와 같이 회전판(650)이 모터(65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B' 부분까지 이동시 인출홀(670)에 결합된 고정 지그(680)는 도 25의 (b)와 같이 인출 가이드(690)의 수평면(693)을 따라 구름 이동되면서 회전판(650)의 상부면에 돌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판(650)은 고정 수단(60)에 의해 상기 회전판(650)의 상부면에 놓여진 철망(C)을 고정한 상태에서 180°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절곡판(54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동일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하부가 개구된 홈(600)을 절곡판(54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곡 회전축(610)을 상기 홈(6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2차 절곡부(702)의 형성과 동시에 그 2차 절곡부(702)를 가압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절곡 회전판(620)을 상기 절곡 회전축(610)에 등 간격으로 형성하며,
상기 절곡 회전판(620)은,
절곡 회전축(610)에 결합 되는 절곡판 몸체(630)와;
절곡판 몸체(63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 절곡단(631)과;
철망(C)을 구성하고 있는 세로 철선(I1)과의 마찰력에 의해 절곡 회전판(620)이 회전되도록 절곡판 몸체(630)와 가압 절곡단(631)의 외주면에 마찰홈(632);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곡판(540)의 다른 실시 예는 절곡판(540)을 이용하여 2차 절곡부(702)를 형성과 동시에 그 2차 절곡부(702)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절곡판(540)에는 하부가 개구된 홈(600)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회전축(610)을 홈(600)에 회전되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610)에는 가로 철망(I1)과 대응되게 절곡 회전판(620)을 형성하는 데, 상기 절곡 회전판(620)을 구성하고 있는 절곡판 몸체(630)의 일측이는 가압 절곡단(631)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판 몸체(630) 및 가압 절곡판(631)의 외주면에는 마착홈(632)을 형성한다.
따라서, 2차 절곡부(702)를 형성시 마찰홈(632)에 끼워진 세로 철선(I1)과의 마찰력에 의해 절곡 회전판(620)이 회전되면서 도 27과 같이 하향 경사진 2차 절곡부(700)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회전판(611)은 스프링 장착판(611)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스프링 장착판(611)과 홈(600)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수축 스프링(612)을 더 설치 구성하여 마찰력에 의해 회전된 절곡 회전판(620)을 처음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500: 철망 절곡부재, 510: 고정부,
511: 고정홈, 520: 절곡 수단,
530: 이동 프레임, 531: 수직홈,
540: 절곡판, 541: 절곡단,
550: 절곡 상하실린더, 560: 절곡 전후실린더,
570: 인출 수단, 580: 인출홀,
581: 회전봉, 582: 작동 연결판,
583: 인출 실린더, 584: 실린더 로드,
585: 브라켓, 600: 홈,
610: 회전축, 611: 스프링 장착판,
612: 스프링, 620: 절곡 회전판,
630: 절곡판 몸체, 631: 가압 절곡판,
632: 마찰홈, 650: 회전판,
651: 모터, 660: 고정 수단,
670: 인출홀, 680: 고정 지그,
681: 롤러, 690: 인출 가이드,
691: 안착홈, 692: 경사면,
693: 수평면, 700: 절곡부,
701: 1차 절곡부, 702: 2차 절곡부,
I1: 세로 철선, I2: 가로 철선,
C: 철망,

Claims (3)

  1. 베이스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10)의 후단 상부에 형성되며, 철망(C)의 일측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511)이 구비된 고정부(510)와;
    고정부(510)에 고정된 철망(C)을 이중으로 절곡시켜 절곡부(700)가 구비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절곡 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절곡 수단,
    고정부(510)와 대응되게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수직홈(531)이 구비된 이동 프레임(530)과;
    수직홈(531)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절곡판(540)과;
    수직홈(531)을 따라 절곡판(540)을 상부로 이동시켜 고정부(510)에 고정된 철망(C)을 상부로 절곡시켜 1차 절곡부(701)가 구비되도록 이동 프레임(530)에 설치되는 절곡 상하실린더(550)와;
    이동 프레임(530)을 전,후로 이동시켜 1차 절곡부(701)의 중간 부분을 절곡시켜 2차 절곡부(702)가 구비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절곡 전후실린더(560);로 구성하여 철망(C)의 일측단에 절곡부(700)가 구비되도록 하고,
    절곡판(540)의 일측 하부에는 절곡단(541)을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며,
    모터(65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180°각도로 회전되는 회전판(650)을 고정부(510)로부터 이격되게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면에 형성하여 절곡부(700)가 구비되지 않은 철망(C)의 타측단이 고정부(510)에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고정부(510)는 베이스 프레임(10)에 형성된 인출 수단(570)에 의해 인출되면서 철망(C)을 착,탈식으로 고정하고,
    회전판(650)에는 철망(C)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660)을 더 형성하여 고정부(510)로부터 분리된 철망(C)을 180°각도로 회전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인출 수단(570)은,
    베이스 프레임(1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출홈(580)과;
    다수의 고정부(510)가 외주면에 결합 되며, 인출홈(580)을 가로지르듯이 형성되는 회전봉(581)과;
    회전봉(581)의 일단에 형성되는 작동 연결판(582)과;
    베이스 프레임(10)에 구비된 브라켓(585)에 힌지로 결합 되며, 작동 연결판(582)에 결합된 실린더 로드(584)의 인출되는 방향에 따라 회전봉(581)을 상,하로 회전시켜 고정부(510)를 인출홈(580)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또는 인출홈(580)으로 유입하는 인출 실린더(583);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 수단(660)은,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회전판(650)에 형성되는 인출홀(670)과;
    인출홀(670)에 형성되는 고정 지그(680)와;
    고정 지그(680)가 안착되는 안착홈(691)이 양측단에 구비되며, 회전판(650)의 회전시 안착홈(691)에 안착된 고정 지그(680)를 상부로 이동시켜 인출홀(670)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반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인출 가이드(690);로 구성하며,
    상기 인출 가이드(690)는,
    안착홈(691)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692)과;
    경사면(692)의 끝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면(693);으로 구성하고,
    인출 가이드(690)의 상부면을 따라 고정 지그(680)가 구름 이동 되도록 고정 지그(680)의 하부에 롤러(68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하부가 개구된 홈(600)을 절곡판(54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곡 회전축(610)을 상기 홈(6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2차 절곡부(702)의 형성과 동시에 그 2차 절곡부(702)를 가압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절곡 회전판(620)을 상기 절곡 회전축(610)에 등 간격으로 형성하며,
    상기 절곡 회전판(620)은,
    절곡 회전축(610)에 결합 되는 절곡판 몸체(630)와;
    절곡판 몸체(63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가압 절곡단(631)과;
    철망(C)을 구성하고 있는 세로 철선(I1)과의 마찰력에 의해 절곡 회전판(620)이 회전되도록 절곡판 몸체(630)와 가압 절곡단(631)의 외주면에 마찰홈(632);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
KR1020210066620A 2021-05-25 2021-05-25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 KR102467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20A KR102467178B1 (ko) 2021-05-25 2021-05-25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20A KR102467178B1 (ko) 2021-05-25 2021-05-25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178B1 true KR102467178B1 (ko) 2022-11-16

Family

ID=8423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620A KR102467178B1 (ko) 2021-05-25 2021-05-25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1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136A (ko) * 2005-07-22 2007-01-25 청구산업(주) 개비온용 육각철망의 절곡장치
KR102101133B1 (ko) * 2019-12-27 2020-04-14 문원호 펜스용 메쉬판 절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136A (ko) * 2005-07-22 2007-01-25 청구산업(주) 개비온용 육각철망의 절곡장치
KR102101133B1 (ko) * 2019-12-27 2020-04-14 문원호 펜스용 메쉬판 절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13328B (zh) 一种电缆施工装置
KR102467178B1 (ko) 휀스 철망용 절곡 장치
US20130233500A1 (en) Positioning apparatus of a window shade
KR100806819B1 (ko) 원통형 구조물의 플랜지 형성장치 및 그 사용방법
CN113275410B (zh) 一种热渗锌钢筋的放卷装置
JP3184507B2 (ja) 鉄筋網曲げ装置
KR102167766B1 (ko) 메쉬 휀스의 제조장치 및 방법
EP1535675B1 (en) Mechanism for iron concrete rod bending with cutting ability of the front and rear end
KR20150117473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
US284418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ending workpieces by pushing them into a curved die-cavity
KR101843949B1 (ko) 분리형 웨지 및 베이스 레일이 구비된 리테이닝 링 확관장치.
US185017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lectric resistance welding
JP4409468B2 (ja) 遮水壁施工装置
JP2021095807A (ja) シャッター装置
EP2818610A1 (en) Closing part for a gate or fenc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JP3204363U (ja) 杭基礎の杭構造
KR102322705B1 (ko) 갱폼 안전 인양장치
JP6410294B2 (ja) 伸縮施工リーダー
JP2007182725A (ja) 開閉装置
CN216369983U (zh) 一种半自动金属丝菱形制网机
CN212190839U (zh) 扁钢煨弯冲孔一体机
CN213806614U (zh) 一种墙体浇筑模板用悬挑支撑
CN210886856U (zh) 一种公路模板固定装置及公路模板安装结构
JP6948544B2 (ja) シート敷設器
JP6888936B2 (ja) 外壁パネルの地組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