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117B1 - 급식업무와 연계된 병원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급식업무와 연계된 병원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117B1
KR102467117B1 KR1020210074023A KR20210074023A KR102467117B1 KR 102467117 B1 KR102467117 B1 KR 102467117B1 KR 1020210074023 A KR1020210074023 A KR 1020210074023A KR 20210074023 A KR20210074023 A KR 20210074023A KR 102467117 B1 KR102467117 B1 KR 102467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ood
server
management system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니스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니스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니스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10074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식업무와 연계된 병원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앙서버, 진료업무서버, 일반업무서버 및 급식업무서버가 통신네트워크로 연결되고, 급식업무서버에는 식자재 구매의뢰, 업체정보관리, 조리 및 배식관리 업무를 지원하는 기능을 부여하며, 일반업무서버에는 식자재 구매/조달, 원무, 시설관리 업무를 지원하는 기능을 부여하고, 중앙서버에는 진료업무서버, 일반업무서버 및 급식업무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접근권한을 통제할 수 있는 제어기능을 부여하되, 중앙서버의 제어기능에는 급식업무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진료업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기능이 포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진료업무와 급식업무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원활한 협업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병원 내에서의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의 지원을 통해 식자재 구매부터 식단관리, 식재료 입/출고 관리, 대금결재 및 후속 행정처리까지를 체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영양사의 과도한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급식업무와 연계된 병원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The hospi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connection with meal ser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급식업무와 연계된 병원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으로부터 생성되는 각종 진료정보와 시스템적으로 연계시켜 입원환자의 급식업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각 업무부서 사이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입원환자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영양사의 과도한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는 병원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입원환자의 병원 내 급식서비스에 대한 기대수준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현재의 병원 내 급식서비스는 치료의 일종으로 취급되어 위생과 영양관리의 중요성도 크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소수의 영양사가 급식서비스와 관련된 식자재구매에서부터 영양관리, 조리, 배식, 대면상담(Rounding), 비용정산 등의 모든 업무를 처리하고 있어 과도한 업무부담에 시달리는 나머지, 입원환자들의 급식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수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병원에서는 의사가 입원환자의 영양, 식욕, 기호, 소화흡수 등의 상태를 진찰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음식처방을 내리고, 영양사는 그 처방정보에 따라 식단준비, 식자재 구매, 조리 및 배식 등의 전 과정을 관리하게 되는데, 현재의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에서는 급식업무가 원무나 시설관리와 같은 일반업무로 취급되어 치료의 일환으로 평가되는 급식업무의 중요도에 걸맞게 체계적인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영양사는 정보시스템을 통한 의료진(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과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과도한 업무부담으로 이직률이 높아지는 추세이고 후임자의 적응기간 동안에 이루어지는 급식서비스를 두고 불만이 고조되는 등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종래에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병원업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보시스템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특허 제10-538582호에는 병원 내에서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 등이 환자를 진료 또는 간호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버나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거나 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 제2003-17664호에는 회원가입을 전제로 급식제공자가 인터넷을 통해 식재료 관리에서부터 조리방법, 식단준비, 식재료 발주, 입고/출고 관리 및 매출관리까지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제10-538582호는 진료업무 영역에서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 사이의 유기적 협력을 시스템적으로 지원하는 것일 뿐, 그 진료업무와 급식업무가 시스템적으로 연계되어 있지 않고, 공개특허 제2003-17664호도 마찬가지로 병원의 진료업무와 연계되지 않는 별개의 독립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어, 병원 내에서 치료의 일환으로 중시되고 있는 급식서비스가 의료진의 진료업무와 원활하게 소통하고 협업하는 환경을 충분히 지원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에 따라 아직까지도 병원에서는 의사의 급식처방이나 지시사항(order) 등을 기록한 메모지 또는 종이차트(Order Sheet)를 통해 급식업무를 관리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급식업무에 대한 전산화가 이루어졌다 해도 메모지나 종이차트에 기록된 내용을 영양사의 개인 컴퓨터나 단말기에 입력·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정보관리시스템의 지원을 통한 진료업무와 급식업무의 유기적 협업은 여전히 미흡하고, 과도한 업무부담에 시달리는 영양사에게 그다지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었다.
(선행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0538582호 (선행특허문헌 2) 공개특허 제10-2003-0017664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이 갖고 있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의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진료업무와 급식업무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원활한 협업을 할 수 있고, 과도한 영양사의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오던 병원의 급식업무가 중앙서버에 통합되고, 각 업무부서 사이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급식업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업무분장을 재편하여 각 업무담당자의 전문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식업무절차의 표준화, 전자문서 서식의 표준화, 식단메뉴의 표준화를 지원하고, 그 표준화된 매뉴얼을 통해 병원 내 급식서비스의 안전도 향상 및 관리비용 절감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자재에 대한 정보검색기능을 강화시켜 구매절차를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식자재 구매과정에서 생성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감독기관에 대한 보고자료 등의 후속 사무처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원정보관리시스템(100)은 중앙서버(200), 진료업무서버(300), 일반업무서버(400) 및 급식업무서버(600)가 통신네트워크(500)로 연결되고, 급식업무서버(600)에는 식자재 구매의뢰, 업체정보관리, 조리 및 배식관리 업무를 지원하는 기능을 부여하며, 일반업무서버에는 식자재 구매/조달, 원무, 시설관리 업무를 지원하는 기능을 부여하고, 중앙서버(200)에는 진료업무영역, 일반업무영역 및 급식업무영역으로 구획된 데이터베이스(220)에 접근권한을 통제할 수 있는 제어기능을 부여하되, 중앙서버의 제어기능에는 급식업무서버(600)가 진료업무영역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진료업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기능이 포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병원정보관리시스템은 중앙서버가 표준화된 전자문서 작성지원 기능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전자문서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병원정보관리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220)의 정보저장 구조가 진료업무, 일반업무, 급식업무영역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병원정보관리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220)의 급식업무 영역에는 적어도 거래업체 DB, 식자재 DB, 구매이력 DB, 표준식단 DB, 표준메뉴 DB, 검수이력 DB, 급식대상 DB, 추천메뉴 DB가 포함되고, 표준식단 DB의 데이터파일은 식별번호와 이미지를 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원정보관리시스템(100)의 운영방법은 병원정보관리시템에 접속하여 환자현황을 파악하고 환자현황 데이터를 급식대상 DB에 저장하는 단계, 중앙서버의 데이터베이스(220)에 포함된 진료업무 영역의 저장정보를 통해 의료진의 급식처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220)의 급식업무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식단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위 확인된 식단정보와 추천메뉴 정보 및 표준메뉴 정보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익일 급식계획을 수립하고, 그 급식계획에 따라 소요 식자재 물량을 산출한 후 재고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재고확인을 거쳐 식자재 구매의뢰 물량을 확정하고 구매의뢰서를 작성하여 중앙서버에 전송함과 동시에 구매이력 DB에 저장하는 단계, 구매의뢰서에 따라 역경매절차를 진행하여 납품업체를 선정하고 그 선정결과를 납품업체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납품업체의 납품을 확인하고 납품결과보고서를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병원정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은 구매의뢰서에 납품업체의 납기준수 여부, 식자재의 상태 및 품질 등에 대한 평가의견을 기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병원정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역경매절차에 참여희망 업체 중 1차 평가를 통과한 업체들로 공급업체 풀(Pool)을 구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진료업무와 급식업무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원활한 협업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병원 내에서의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의 지원을 통해 식자재 구매부터 식단관리, 식재료 입/출고 관리, 대금결제 및 후속 행정처리까지를 체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영양사의 과도한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급식업무절차의 표준화, 전자문서 서식의 표준화, 식단메뉴의 표준화가 가능하고, 그러한 표준매뉴얼을 통해 병원 내 급식서비스의 안전도 향상 및 관리비용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영양사가 업무부담이 줄어드는 만큼 환자들의 영양섭취 정보, 음식성향 및 식사행태 등의 파악에 투입되는 시간을 늘릴 수 있어 병원 내 급식서비스의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자재 공급업체 풀(Pool)을 활용하기 때문에 공급업체의 신용도, 행정처분이력 등의 관리가 용이하여 위해식품의 구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급식업무가 연계된 병원정보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합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식자재 구매/조달 시스템 운영체계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급식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물가정보 DB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단가기반의 추천메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급식업무를 관리하기 위한 DB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급식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표준식단 DB의 데이터파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급식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식자재 DB의 데이터파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병원정보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급식업무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급식업무와 연계된 병원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어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점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병원정보관리시스템(1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의 시스템은 중앙서버(20)와 통신네트워크(50)로 연결된 진료업무서버(30) 및 일반업무서버(40)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여기에서 중앙서버(20)는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업무정보를 통합하여 저장, 제어,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진료업무서버(30)는 의사의 진료정보와 간호사의 간호정보 및 검사실의 검사정보를 입력·열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일반업무서버(40)는 진료지원을 위한 환자이송이나 병원의 시설물관리 및 병원행정을 처리하는 원무업무에 대한 지원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도 1의 시스템에서는 치료의 일환으로 평가받는 급식서비스가 단순히 병원행정의 일부로 취급되어 급식업무의 고유특성에 맞는 체계적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즉, 도 1의 시스템은 단순히 행정처리를 위한 환자의 인적사항이나 진료항목, 진료예약, 치료내역, 입원정보 등의 간단한 내용만 정보공유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 정작 급식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환자에 대한 의사의 소견이나 급식오더(Order) 등의 정보를 영양사가 그 시스템상에서 열람할 수 있는 지원기능은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영양사는 전화/팩스/대면상담 등의 전통적인 방법으로 급식정보를 파악하여 메모지나 종이차트에 기록한 다음, 그 내용을 PC 등의 개인단말기에 별도로 입력·저장하여 관리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곧 영양사의 업무부담을 가중시키는 또 하나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었다.
더구나 의사의 급식처방을 준수해야만 하고, 매일 반복되는 업무루틴과 월말에 집중되는 마감작업,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구매/재고 관리, 그리고 감독관청의 실사를 대비한 각종 자료의 작성·보관 업무 등을 감당해야 하는 영양사의 입장에서는 급식업무에 대한 HIS(병원정보관리시스템)의 체계적 지원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병원 내 급식서비스 지원을 위한 정보관리시스템이 개발되고는 있었지만, 이는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을 통해 모든 업무영역을 아우르는 협업개념의 정보공유가 아니라 진료업무와 일반업무의 협업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을 뿐, 급식업무까지 포함된 병원 내 각종 업무영역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시스템적으로 공유하여 원활한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에 대하여는 여전히 현장의 요구수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이 예시되어 있다.
도 2의 시스템은 종래에 독자적으로 운영되어 오던 급식업무서버(600)가 통신망(500)을 통해 중앙서버(200), 진료업무서버(300) 및 일반업무서버(400)와 연계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으며, 의료용품 구매/조달에 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구매담당자가 식자재의 구매업무도 함께 관장할 수 있는 체계로 그 기능을 재편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서 중앙서버(200)와 진료업무서버(300) 사이의 정보공유는 기존에 통용되는 운영체계를 그대로 채택하여 실행가능하지만, 도 2의 시스템은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의 공유범위가 급식업무까지 확대되기 때문에 입원환자의 민감한 개인정보가 무분별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강화하여 그 구조가 새롭게 재편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 2의 시스템은 중앙서버(200)의 DB에 대한 접근권한을 엄격하게 통제하는 새로운 인증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하고, 기존에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급식업무를 단순히 중앙서버(200)와 연결하는 수준을 뛰어넘는 전면적 개편이 전제되어 있다.
이러한 도 2의 시스템에 의하면, 영양사는 중앙서버(200)의 DB에 저장된 의료진(의사, 간호사)의 진료소견이나 간호기록을 쉽게 공유·열람할 수 있으며, 그 공유정보에 근거하여 급식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영양사는 전화/팩스/대면상담 등의 전통적인 방법에 의존하여 파악한 급식정보를 PC 등의 개인단말기에 별도로 입력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앙서버의 데이터베이스(220) 내 급식업무영역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활용하여 급식계획의 수립이 용이해지고, 소요 식자재 물량을 산출하거나 표준메뉴의 영양관리 및 식자재 공급업체의 평가관리 등과 관련된 영양사의 업무부담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의 시스템에 의하면, 영양사가 직접 관장하던 식자재의 구매업무를 구매담당자에게 이관하는 것이 전제되기 때문에 구매담당자의 축적된 노하우와 전문성을 충분히 살려 업무처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그에 상응하여 영양사의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영양사는 업무부담이 경감된 만큼의 시간을 병실 라운딩(Rounding)에 투입하여 입원환자와의 대면접촉을 늘릴 수 있고, 그 대면접촉을 통해 급식대상자의 영양정보 뿐만 아니라 음식성향 및 식사행태 등을 파악하여 급식의 품질을 개선하고 잔반에 따른 식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이는 곧 병원전체의 대외적 이미지 개선으로 연결되는 순기능적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다만, 급식규모가 작은 병원에서는 영양사가 직접 식자재 구매업무를 담당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영양사와 구매담당자의 역할분담은 급식환경에 맞춰 신축적으로 조정할 수는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앙서버(200)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중앙서버(200)에는 병원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업무성격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20)가 구비된다. 그 데이터베이스(220)는 업무특성에 따라 진료업무 영역, 일반업무 영역 및 급식업무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채택한 데이터베이스(220)는 통상의 진료업무 영역 및 일반업무 영역과 함께 급식업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급식업무 영역을 새롭게 포함시켰다는데 그 구조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급식업무가 중앙서버(200)를 통해 진료업무 등과의 협업체제를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또한, 중앙서버(200)에는 병원의 운영관리에 필요한 각종 응용프로그램들이 탑재되고, 그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병원에서 발생되는 각종 업무 데이터와 업무프로세스가 관리 및 제어되도록 하고 있다. 우선 통합관리 지원 프로그램은 병원조직의 업무분장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과 각 업무영역 사이에 정보공유를 통한 협업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 그리고 중앙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취합·분석하여 병원 내 모든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과 감독기관에 제출할 행정서류의 작성을 지원하는 기능이 포함되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인증관리 지원프로그램은 환자의 민감한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220)에 대한 접근권한과 시스템 접속기록(log-in 기록)을 엄격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하며, 통신기능 지원프로그램은 병원 내규에 따른 내·외부망(Intranet, Internet)의 운영규칙을 준수하면서 내부망(Intranet)을 통한 정보공유의 허용범위를 통제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들 3가지 응용프로그램은 특별권한을 부여받은 시스템 관리자의 엄격한 통제에 의해서만 실행 및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관리되고 있다.
한편, 진료업무 지원프로그램과 일반업무 지원프로그램은 각 업무담당자의 업무내용을 입력하고 그 입력정보가 중앙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될 수 있게 지원하는 기능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설계된다. 또한 급식업무지원 프로그램도 영양사나 조리사가 자신의 업무처리 내용을 입력하거나 그 입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과 데이터베이스의 각종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특히, 중앙서버(200)의 급식업무지원 프로그램에는 영양사가 입력하는 영양기준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식자재의 가격동향 및 권장량 영양정보 등을 반영하여 적정 가격대의 추천메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자동생성된 복수의 추천메뉴 이미지가 영양사 단말기의 화면에 전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도 함께 포함시켜 설계한다. 다만, 중앙서버에 구비된 각종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권한과 정보공유의 허용범위는 인증관리 지원프로그램이나 통신기능 지원프로그램의 통제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전제로 급식업무지원 프로그램의 기능이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도 3에 제시된 각종 지원프로그램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병원 경영전략의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응용프로그램을 탑재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도 3의 구성에 따르면, 종래 중앙서버(200)와 별개로 운영되던 급식업무가 중앙서버와 시스템적으로 연계되어 통합운영이 가능하고, 의료진의 진료업무와 영양사의 급식업무가 중앙서버(200)를 통해 원활한 소통과 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게 될 것이다.
도 4는 업무재편에 따른 식자재 구매/조달 시스템의 운영체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의 시스템은 영양사의 단말기(260)와 식자재 공급업체의 단말기(270)가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200)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중앙서버는 업무처리에 필요한 각종 전자문서 서식을 비치하여 각 업무담당자가 필요한 서식을 불러들인 후 필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과 단말기에서 수신한 전자서면의 확인 또는 승인을 표시하는 전자서명기능(결재기능)을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도 4의 시스템은 영양사가 중앙서버(200)를 통해 구매의뢰서를 구매담당자에게 전송하면, 구매담당자는 역경매 방식으로 식자재 공급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식자재 공급업체는 영양사에게 식자재를 납품하면서 납품명세서를 함께 제출하며, 영양사가 납품받은 식자재를 검수한 후 그 검수결과를 중앙서버(200)와 공급업체 단말기(270)에 전송하면, 병원 내규에 정해진 기간 내에 대금결제를 완료하여 식자재 구매업무를 종료하는 방식으로 영양사, 구매담당자, 식재료 공급업체가 각자의 업무를 시스템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때 구매의뢰서, 납품명세서, 검수결과 등은 모두 전자서면 형태로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각 서면에는 클릭을 통해 담당자가 전자서명(결재)을 하는 방식으로 문서수발을 관리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다만, 오프라인 문서를 전적으로 배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극히 예외적으로 발생하는 오프라인 서면도 반드시 전자서면으로 전환시킨 후 도 4의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도 4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식자재 공급업체를 적정한 수로 제한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업공고를 통해 참여업체의 신청을 받은 후, 그 신청업체의 신용도, 행정처분내역, 거래고객의 이용후기 등을 종합평가하여 적정한 수(병원 규모에 따라 20~30개 업체)의 공급업체 풀(Pool)을 구성하고, 그 풀(Pool)에 포함된 업체만을 대상으로 제한경매를 진행하면 업무량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때 참여업체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가락시장의 농수산물 경매시세, 식약처의 회수제품, 판매중지 제품, 단종 또는 일시중단 제품 등의 공지정보, 그리고 회사 홈페이지 게시판을 통한 고객의 이용후기나 언론보도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공정과 투명성이 강조되는 현실을 반영하여 공급업체 풀(Pool)을 6개월 단위로 개편하고, 언론보도나 행정처분 등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을 수시로 중앙서버의 공급업체 DB에 저장하고, 공급업체에서 진행하는 특정품목의 가격할인 행사(사은품 증정, 원플러스원 이벤트 등)나 기후변화 또는 재난발생의 영향으로 가격급등이 우려되는 품목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시로 업데이트 하여 구매절차 진행과정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식자재 품질관리가 우수하고, 신용도나 평판(이용후기 등)이 좋으며, 철저한 납기준수 등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은 업체에 대하여는 납품업체 선정이나 대금결제 과정에서 우대하는 방식의 보상절차를 마련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2개월 이상 소요되는 대금결제의 주기를 1주 이내로 대폭 단축시키면, 우수업체의 적극적 참여를 기대할 수 있고, 상생의 시대정신을 구현한다는 사회적 평판이 개선되어 병원의 이미지 관리전략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도 4의 시스템에 의하면, 구매업무까지 담당하던 영양사의 업무부담을 상당부분 줄일 수 있고, 구매담당자의 전문성과 축적된 경험을 최대한 살릴 수 있어 업무처리의 효율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급식업무 영역의 식자재 가격동향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예시하고 있는데, 농산물, 수산물, 육류, 가공식품, 양념류, 조미료의 가격정보 DB와 식자재별 영양정보 DB 및 권장량 영양정보 D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DB 구성은 도 5에 표시한 항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효율적 관리를 위해 필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하는 등의 변형은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도 5의 가격동향 정보는 한국은행과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물가정보, 농축산식품부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장바구니 물가정보 등을 반영하여 수시로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자재별 영양정보 DB는 조리과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주요 식자재를 중심으로 식자재별 영양(칼로리)정보를 저장하며, 권장량 영양정보 DB는 보건복지부 등의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공시한 일반인의 성별, 나이별, 체중별 권장량 영양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것처럼, 중앙서버(200)의 급식업무지원 프로그램에는 도 5의 DB에 저장된 각 식재료별 가격정보와 영양정보 등을 활용하여 복수의 추천메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그 자동생성된 추천메뉴를 영양사 PC 등의 단말기 화면에 띄워주는 기능과 함께 추천메뉴 DB(도 7 참조)에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영양사가 적정단가와 영양기준을 단말기에 입력하면, 중앙서버의 급식업무지원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식자재의 가격동향 및 권장량 영양정보 등을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근거한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해 적정단가를 기준으로 일정범위의 가격구간별로 복수의 추천메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그 자동생성된 추천메뉴의 이미지를 영양사 PC 등의 단말기 화면에 띄워주도록 작동된다. 도 6에는 영양사 단말기의 화면에 전시된 단가구간별 복수의 추천메뉴 이미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위와 같은 급식업무 프로그램의 지원기능을 이용할 경우, 영양사는 단말기 화면의 추천메뉴 중에서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이미지를 클릭하는 것만으로 권장영양량을 충족하면서도 적정단가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식단을 준비하는데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자재의 가격변동을 반영하여 급식메뉴가 시스템적으로 자동추천되기 때문에 병원측 입장에서도 비용절감을 통한 경영합리화에도 일정부분 기여하게 될 것이다.
도 7은 급식업무 영역에 구비된 또다른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예시하고 있는데, 거기에는 거래업체, 식자재, 표준식단, 표준메뉴, 구매이력, 검수이력, 급식대상, 추천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DB가 포함되어 있다. 물론 급식업무 DB 구성은 도 7에 표시한 항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7에 표시된 거래업체 DB에는 경매에 참여를 희망하는 모든 업체의 리스트와 1차 평가를 통과하여 공급업체 풀(Pool)에 포함된 업체를 구분하여 별도로 관리하고, 그 DB에 저장된 각 업체파일에는 신용도, 행정처분이력, 납기준수, 품질관리 등의 평가지표가 포함되도록 데이터 파일을 구성한다. 그리고 식자재 DB에는 1인 급식을 기준으로 식자재의 소요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파일을 구성하고, 표준식단 DB에는 그동안 누적되어 온 월단위의 급식계획이 모두 포함되도록 데이터파일을 구성한다. 또한 표준메뉴 DB에는 영양사가 자신의 전문성을 살려 개발한 표준메뉴를 저장하고, 구매이력 및 검수이력 DB에는 과거의 구매과정에서 발생한 정보(발주 및 납품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추천메뉴 DB에는 단가를 기반으로 자동생성된 도 6의 추천메뉴 정보를 지속적으로 축적하고, 그 축적된 데이터가 식재료의 가격변동에 대응한 추천메뉴의 자동생성 기능을 강화시키는 학습데이터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도 7의 DB구조는 영양사가 업무처리 과정에서 터득한 노하우를 충분히 관리할 수 있도록 지속적 개편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업무처리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별도항목의 DB를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도 8은 각각 영양사가 직접 개발한 표준식단 DB의 데이터파일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도 8의 표준식단 DB의 데이터파일에는 식별번호가 부여된 표준식단이 이미지와 함께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도 9는 식자재 DB의 데이터파일을 예시하고 있는데, 도 9는 식자재의 구매주기를 기준으로 농산물, 수산물, 육류, 가공식품, 양념류, 조미료 등으로 분류하여 기록되어 있다. 도 8, 9의 데이터파일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영양사가 선호하는 업무처리방식에 맞춰 그 구조는 얼마든지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중앙서버(200)는 영양사가 도 8, 9의 데이터파일을 검색하여 자신의 단말기 화면에 띄우고, 그 화면상에 나타난 이미지나 식별번호를 클릭하면, 그 클릭대상과 연관된 배식이력이나 구매이력 또는 가격정보나 영양정보 등이 팝업창에 나타나도록 지원한다. 그에 따라 영양사는 팝업창에 나타난 각종 정보를 참조하여 표준식단 및 표준메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고, 자신의 개성과 전문성을 살려 개발한 표준식단 DB와 표준메뉴 DB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일정기간 동안 축적된 정보가 담겨 있는 표준식단 DB와 표준메뉴 DB를 활용하면, 급식대상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메뉴를 준비하는데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을 이용하여 급식업무를 수행하는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먼저 영양사는 중앙서버(200)에 접속하고 각 업무영역의 DB정보를 활용하여 환자현황을 파악한다. 이때 급식계획은 통상적으로 배식일 전날 수립하기 때문에 배식 당일에 예정된 입원환자와 퇴원환자를 중심으로 환자현황을 파악하여 급식대상자를 확정하게 된다.
그리고 환자의 현황파악을 통해 확정한 급식대상자는 중앙서버(200)에서 제공하는 표준서식을 통해 전자문서로 작성하여 급식대상 DB에 저장한다.
다음단계로 영양사는 각 환자에 대한 특이사항, 즉 의사의 급식처방이나 간호사의 간호정보 및 자신의 환자면담 정보 등을 확인하고, 보통 1개월 단위로 사전에 짜놓은 식단정보에 근거하여 배식일의 급식계획을 수립한다.
그 다음에는 단가기반 추천메뉴 DB와 표준메뉴 DB 등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배식일의 소요 식자재를 파악하여 필요물량을 산출하고, 부식창고의 재고를 확인한 후 구매의뢰 물량을 최종 확정하여 전자문서 형식으로 작성한 구매의뢰서를 구매담당자에게 전송함과 동시에 구매이력 DB에도 저장한다. 이때 급식업무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생성된 단가기반 추천메뉴 DB 정보를 우선적으로 활용하고, 영양사의 표준메뉴 DB 정보를 보완적으로 활용하면, 소요 식자재의 필요물량을 산출하는데 투입되는 시간과 업무량이 대폭으로 줄어드는 장점을 갖게 될 것이다.
한편, 영양사로부터 구매의뢰서를 전송받은 구매담당자는 공급업체 풀(Pool)에 포함된 업체를 대상으로 역경매 절차를 진행하여 납품업체를 선정하고 그 선정된 업체에 식자재의 납품을 의뢰한다. 이때 납품업체는 주문받은 식자재를 납품하면서 그 납품내역의 전자문서 또는 서면으로 영양사에게 제출하여 검수를 받게 된다. 그리고 영양사는 납품내역을 검수하고 그 납품내역을 담은 검수결과를 중앙서버(20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중앙서버는 검수결과보고서가 구매이력 DB에 자동으로 저장되는 기능을 지원하게 된다. 물론 납품내역을 서면으로 제출한 경우에는 당연히 영양사가 표준서식을 통해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영양사는 납품업체별 검수결과보고서에 납품업체의 납기준수 여부, 식자재의 상태 및 품질 등의 평가의견을 입력할 수 있고, 그러한 검수결과보고서는 공급업체 풀(Pool)을 개편할 때, 참여업체를 평가하기 위한 하나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납품업체 DB에 저장해 놓는다.
그 다음은 통상적인 절차대로 조리, 배송 전 식단확인 단계를 거쳐 배송을 함으로써, 1회의 급식업무가 마무리되는데 이러한 급식 싸이클은 계속 반복되는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다. 다만, 식재료의 구매의뢰는 식재료의 특성이나 보관기간 또는 재고상황 등을 고려하여 그 주기가 결정될 것이다.
그리고 영양사는 본 발명에 의해 업무부담이 완화되는 만큼, 배식시간의 병실 라운딩((Rounding)에서 급식대상자와의 면담 및 잔반관찰을 통해 환자의 요구사항이나 잔반이 많은 메뉴정보를 파악하여 이어지는 다음번 급식업무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0에 예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식자재 구매부터 배식까지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정보가 모두 DB에 저장되기 때문에 후속작업, 즉 감독기관에 대한 보고서의 작성이나 법정 보관자료 등의 정리 작업이 쉬워져 영양사의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서버(200)를 통해 진료업무와 급식업무의 협업이 가능하고, 적절한 업무분장을 통해 업무담당자의 전문성과 노하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DB에 축적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표준식단이나 표준메뉴를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급식서비스의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병원경영자의 입장에서도 병원 내 모든 업무가 시스템(HIS)을 통해 관리되기 때문에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업무정보에 대한 데이터 축적이 가능하고, 그 축적된 정보를 통해 병원 내의 단순한 데이터 취합이나 분석작업이 간편해질 수 있으며, 그 만큼의 여력을 고객서비스 강화에 투입할 수 있음은 물론, 지속적으로 축적한 대규모의 병원정보는 장래 도래할 인공지능(AI) 시대에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부수적 효과도 충분히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100 :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 20, 200 : 중앙서버
30, 300 : 진료업무서버 40, 400 : 일반업무서버
50, 500 : 통신네트워크 600 : 급식업무서버
220 : 데이터베이스 260 : 영양사 단말기
270 : 공급업체 단말기

Claims (10)

  1. 중앙서버(200)와 진료업무서버(300) 및 일반업무서버(400)가 통신네트워크(500)로 연결되어 운영되는 병원정보관리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에는 급식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급식업무서버(600)가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추가로 연계되도록 하되,
    상기 급식업무서버(600)에는 식자재 구매의뢰, 업체정보관리, 조리 및 배식관리 업무를 지원하는 기능이 부여되고,
    상기 일반업무서버(400)에는 식자재 구매/조달, 원무, 시설관리 업무를 지원하는 기능이 부여되며,
    상기 중앙서버(200)에는 상기 진료업무서버(300)와 상기 일반업무서버(400) 및 상기 급식업무서버(600)가 데이터베이스(220)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통제하는 제어기능이 부여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220)는 정보저장 구조가 진료업무영역, 일반업무영역 및 급식업무영역으로 구획되어 구성되며,
    상기 중앙서버(200)의 제어기능에는 상기 급식업무서버(600)가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의 진료업무영역에 저장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기능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정보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200)에는 표준화된 전자문서 작성지원 기능과 상기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전자문서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능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정보관리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의 급식업무 영역에는 적어도 식자재의 가격정보와 영양정보를 저장하는 DB와 거래업체, 식자재, 구매이력, 표준식단, 표준메뉴, 검수이력, 추천메뉴 및 급식대상 정보를 저장하는 DB가 포함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인 병원정보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메뉴 정보를 저장하는 DB와 표준식단 정보를 저장하는 DB의 데이터파일 구조는 이미지를 조합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인 병원정보관리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자재 정보를 저장하는 DB의 데이터파일 구조는 식자재의 구매주기를 기준으로 구매대상물을 배열한 것이 특징인 병원정보관리시스템
  7. 중앙서버(200), 진료업무서버(300), 일반업무서버(400) 및 급식업무서버(600)가 통신네트워크(500)를 통해 연결된 병원정보관리시스템(100)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병원정보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현황을 파악하고 환자현황 데이터를 급식대상 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중앙서버의 데이터베이스(220)에 포함된 진료업무 영역의 저장정보를 통해 의료진의 급식처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서버의 데이터베이스(220)에 포함된 급식업무 영역의 저장정보를 통해 식단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급식처방 정보와 상기 확인된 식단정보, 그리고 상기 급식업무영역의 단가기반 추천메뉴 DB 및 표준메뉴 DB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급식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급식계획에 따라 소요 식자재 물량을 산출하고 재고를 확인하여 식자재 구매의뢰 물량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확정된 물량을 근거로 구매의뢰서를 작성하여 상기 중앙서버에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급식업무영역의 구매이력 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구매의뢰서에 따라 역경매절차를 진행하여 납품업체를 선정하고, 그 결과를 상기 급식업무영역의 거래업체 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납품업체의 납품을 확인하고 납품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중앙서버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급식업무영역의 검수이력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병원정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의뢰서에는 납품업체의 납기준수 여부, 식자재의 상태 및 품질 등에 대한 평가의견을 입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정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경매절차는 참여희망 업체 중 1차 평가를 통과한 업체들로 공급업체 풀(Pool)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이 특징인 병원정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의뢰 물량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급식업무영역의 단가기반 추천메뉴 DB 정보를 우선적으로 반영하고, 영양사가 개발하여 관리하는 상기 급식업무영역의 표준메뉴 DB 정보를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정보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210074023A 2021-06-08 2021-06-08 급식업무와 연계된 병원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467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023A KR102467117B1 (ko) 2021-06-08 2021-06-08 급식업무와 연계된 병원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023A KR102467117B1 (ko) 2021-06-08 2021-06-08 급식업무와 연계된 병원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117B1 true KR102467117B1 (ko) 2022-11-16

Family

ID=8423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023A KR102467117B1 (ko) 2021-06-08 2021-06-08 급식업무와 연계된 병원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1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664A (ko) 2001-08-21 2003-03-04 명문넷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
KR20030022481A (ko) * 2001-09-10 2003-03-17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인터넷을 이용한 진료정보 공유방법
JP2004029867A (ja) * 2002-06-07 2004-01-29 Aisei Century Hospital 精神病院内ネットワークを備えた管理システム
KR20040107899A (ko) * 2003-06-14 2004-12-23 이지케어텍(주)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KR100538582B1 (ko) 2003-07-14 2005-12-22 이지케어텍(주)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의사결정지원 방법
KR20070049862A (ko) * 2005-11-09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식당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664A (ko) 2001-08-21 2003-03-04 명문넷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
KR20030022481A (ko) * 2001-09-10 2003-03-17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인터넷을 이용한 진료정보 공유방법
JP2004029867A (ja) * 2002-06-07 2004-01-29 Aisei Century Hospital 精神病院内ネットワークを備えた管理システム
KR20040107899A (ko) * 2003-06-14 2004-12-23 이지케어텍(주)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KR100538582B1 (ko) 2003-07-14 2005-12-22 이지케어텍(주)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의사결정지원 방법
KR20070049862A (ko) * 2005-11-09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식당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fanou et al. ERP integration in a healthcare environment: a case study
Schoop et al. DOC. COM: a framework for effective negotiation support in electronic marketplaces
US200501877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olidat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JP2002215800A (ja) 統合型在宅介護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統合型在宅介護サービス支援方法、および記憶媒体
Lamoreaux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an overview of major health care databases
KR100432400B1 (ko) 인터넷기반 체인약국 관리 및 업무지원 시스템과 그 방법
Kerwin The role of the internet in improving healthcare quality
WO2020045885A2 (ko) 수치결정시스템 및 그 방법
Mettler et al. E-procurement in hospital pharmacies: an exploratory multi-case study from Switzerland
Rinehart et al. ASHP guidelines on outsourcing sterile compounding services
Mohler Collaboration across clinical silos
KR102467117B1 (ko) 급식업무와 연계된 병원정보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arroll et al. Enablers and barriers for hospital pharmacy information systems
JP2022516160A (ja) 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基盤の論文審査システム
Canales et al. The surgical suite meets the new health economy
Altinkemer et al. Information Systems and Health Care XII: Toward a Consumer-to-Healthcare Provider (C2H) Electronic Marketplace
Major et al. Assessing the information management requirements for behavioral health providers
Scioli Leadership strategies for addressing US pharmaceutical drug shortages and supply chain disruptions
JP2004086474A (ja) 保険加入者募集装置及び保険加入者募集プログラム
Walker Physician compensation: rewarding productivity of the knowledge worker
Wei et al. Electronic business in the home medical equipment industry
Doupi et al. Country Brief: Estonia
Carrasqueiro et al. E-health strategic planning: Defining the e-health services' portfolio
Ammar et al. Multicriteria evaluation of pharmaceutical logistics performance: Case of Sahloul teaching hospital center pharmacy, Sousse
Dreyer et al. Procur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