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475B1 -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475B1
KR102466475B1 KR1020200124591A KR20200124591A KR102466475B1 KR 102466475 B1 KR102466475 B1 KR 102466475B1 KR 1020200124591 A KR1020200124591 A KR 1020200124591A KR 20200124591 A KR20200124591 A KR 20200124591A KR 102466475 B1 KR102466475 B1 KR 102466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rking enforcement
external server
enforcement information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421A (ko
Inventor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이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민 filed Critical 이경민
Priority to KR1020200124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47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한 주차 단속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 단속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번호 정보 및 상기 위반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회원 계정에 대해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ARKING ENFORCEMENT INFORMAITON}
본 개시는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해서 SMS 인증이 수행된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해 주차 단속 정보를 수신 및 파싱하여 회원 계정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정보 이용 절차를 단일화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정차 단속 알림 기술은 관공서의 CCTV 교통위반단속 시스템과 연계하여 불법주정차 차량에 관한 단속 알림을 차주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에서 제각기 운영하는 시스템에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가입한 후 서로 다른 루트를 통해 시스템에 접근하여 불법주정차 안내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온/오프라인 환경이 구비된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이 주차 단속에 관한 사전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17개의 광역자치단체(예: 서울특별시) 내에 포함되는 수많은 기초자치단체(예: 강서구, 광진구, 구로구 등) 각각에서 서로 다른 플랫폼(예: 각 지역 구청 홈페이지)을 통해 가입 신청을 개별적으로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각의 기초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단속 알림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불편함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단속 알림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리소스 소모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9209호(2014.01.02),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정차위반 단속 알림시스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한 주차 단속 정보를 수신 및 파싱하여 회원 계정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정보 이용 절차를 단일화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한 주차 단속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 단속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번호 정보 및 상기 위반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회원 계정에 대해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단속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해서 SMS 인증이 수행된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단속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회원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 통신 번호를 통해 인증된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MS 인증은 상기 외부 서버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지역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서버는 제 1 지역에 대응되는 제 1 외부 서버 및 제 2 지역에 대응되는 제 2 외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SMS 인증은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지역이 상기 제 1 지역인 경우 상기 제 1 외부 서버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지역이 상기 제 2 지역인 경우 상기 제 2 외부 서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반 지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와 위반 지역 간의 거리 차이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와 위반 지역 간의 거리 차이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한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차량 번호 정보 및 상기 위반 지역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회원 계정을 갱신하고, 갱신된 회원 계정이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단속 정보는 주차 단속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기초하여 과태료 부과 예정 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제 1 잔여 시간 정보 및 차량 견인 예정 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제 2 잔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잔여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시간 정보를 상기 알림 메시지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차량 이동을 대행하는 서비스의 이용을 권장하는 권장 메시지를 상기 알림 메시지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권장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에 상기 차량 번호 정보, 차량 위치 정보 및 차량 이동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이동 대행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는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한 주차 단속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주차 단속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번호 정보 및 상기 위반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회원 계정에 대해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제 4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수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의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을 효과적으로 대행하고, 수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의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주차 단속 정보를 회원에게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하여 회원수보다 현저하게 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함으로써 수많은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주차 단속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고, 리소스 소모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또한, 주차 단속 정보와 연관되어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주차 단속에 따라 차량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들을 적시에 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주차 단속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한 SMS 인증에 기초하여 회원 가입을 대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한 SMS 인증에 기초하여 회원 가입을 대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한 SMS 인증에 기초하여 회원 가입을 대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한 SMS 인증에 기초하여 회원 가입을 대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한 SMS 인증에 기초하여 회원 가입을 대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주차 단속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주차 단속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주차 단속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주차 단속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가 주차 단속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지원'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관련된 동작의 수행을 포함하는 의미로 폭넓게 해석될 수 있으며, 제한하여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제공'은 대상이 특정 정보를 획득하거나 직간접적으로 특정 대상에게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요구되는 관련 동작의 수행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은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200) 및 하나 이상의 회원 디바이스(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예: 서버,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서버(200)는 주차 단속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기관과 연관된 서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주차 단속을 수행하는 복수의 지방자치단체(예: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등)에 의해 각각 운영되는 복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서버(200)는 복수의 지역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외부 서버(210)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 예에서, 제 1 지역에 대응되는 제 1 외부 서버(210) 및 제 2 지역에 대응되는 제 2 외부 서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복수의 지역에 대하여 제 1 지역에 대응하는 제 1 외부 서버(210) 및 제 2 지역에 대응하는 제 2 외부 서버(220)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제 3 지역 내지 제 N 지역(N은 자연수) 각각에 대응하는 제 3 외부 서버 내지 제 N 외부 서버를 더 포함하여 확장 가능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원 디바이스(300)는 사용자와 연관된 컴퓨팅 장치로서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를 나타내며,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가 제공하는 통합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개인 또는 법인에 의해 이용되는 컴퓨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원 디바이스(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로 구현되거나,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와 같이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원 디바이스(300)은 통합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합 정보 제공 서비스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주차 단속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통합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회원 디바이스(300)에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 디바이스(300)와 연결되어 다양한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주차 단속 정보를 회원 디바이스(300)에 통합하여 제공하고, 주차 단속과 관련된 다양한 부가 서비스(예: 주차 단속 알림 내역, 과태료 조회 등)를 지원할 수 있다.
주차 단속 정보 제공 시스템(1000)에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은 온라인 결제를 위한 결제서버(미도시), SMS 인증 또는 본인 인증 과정에서 이용되는 인증 서버(미도시), 외부 서버(200)의 정보 처리 과정의 일부를 대행하는 대행 서버(미도시) 등이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수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한 주차 단속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110) 및 주차 단속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획득하고,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회원 계정에 대해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10)는 외부 서버(200) 및 회원 디바이스(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이하에서 기술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주차 단속 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고,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or unit)로 구현될 수 있으며, 수신부(110) 및 그 밖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동작 전반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예: 메모리,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가 주차 단속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 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한 주차 단속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해서 SMS 인증이 수행된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주차 단속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표 통신 번호는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관된 통신 번호를 나타내고,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를 운영하는 개인 사업자 또는 법인 사업자(예: IT서비스회사)의 대표 전화 번호(예: 휴대폰 번호, 인터넷 전화 번호 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회원 계정(예: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회원 디바이스(300)로부터 회원 통신 번호(예: 회원의 휴대폰 번호), 회원 이름, 차량 식별 정보(예: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회원 디바이스(300)로부터 주차 단속 정보의 통합 제공을 위해 회원 정보의 이용을 동의하는 사용자 동의 입력이 수신되면, 회원 정보에 포함된 회원 이름 및 차량 식별 정보와 기설정된 대표 통신 번호(예: IT서비스회사의 대표 휴대폰 번호)를 포함하는 가입 신청 정보를 외부 서버(200)에 전송하여, 외부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예: 회원)의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해 회원 계정에 대한 SMS 인증이 수행되면, 대표 통신 번호, 회원 이름 및 차량 식별 정보를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의 회원 정보로서 외부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외부 서버(200)는 국가기관(예: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주차 단속 과정에서 단속된 차량에 대응하는 차량 식별 정보 및 적발 정보(예: 단속 종류, 단속 일시, 단속 장소 등)를 포함하는 주차 단속 정보가 획득됨에 따라, 등록된 회원 정보로부터 차량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대표 통신 번호를 독출하여 대표 통신 번호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예: IT서비스회사의 휴대폰 단말)에 주차 단속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해 외부 서버(200)로부터 회원의 주차 단속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서로 다른 회원 계정 각각에 대하여 회원 정보 및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대한 복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의 가입을 대행할 수 있으며, 주차 단속 과정에서 복수의 서로 다른 회원들 각각의 주차 단속 정보를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표 통신 번호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예: IT서비스회사의 대표 휴대폰)와 연동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외부 서버(200)로부터 대표 통신 번호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에 수신되는 주차 단속 정보를 대표 통신 번호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에 설치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표 통신 번호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예: IT서비스회사의 인터넷 전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SMS 인증은 외부 서버(2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서버(200)는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로부터 가입 신청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가입 신청 정보에 포함된 대표 통신 번호에 대한 SMS 인증을 수행하여 가입을 신청하는 회원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인증 번호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대표 통신 번호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전송한 후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로부터 응답되는 인증 번호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SMS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가입 신청 정보에 포함된 대표 통신 번호, 회원 이름 및 차량 식별 정보를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의 회원 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는 주차 단속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차 단속 상태는 차량의 불법 주정차에 관한 단속 정보를 포함하고, 일 실시 예에서, 차량의 불법 주정차에 관한 사전 경고 정보 및 사후 결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일 실시 예에서, 그밖에 차량의 도로교통법 위반에 관한 단속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MS 인증은 복수의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지역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MS 인증은 복수의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지역이 제 1 지역인 경우 제 1 외부 서버(210)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복수의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지역이 제 2 지역인 경우 제 2 외부 서버(22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회원 디바이스(300)에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을 운영하는 복수의 기초자치단체(예: 서초구, 영등포구 등)에 대한 지역 리스트를 제공하고, 회원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회원 계정에서 신청한 지역(예: 서초구)을 결정하고, 신청한 지역에 대응되는 외부 서버(200)에 가입 신청 정보를 전송하여 외부 서버(200)가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해 회원 계정에 대한 SMS 인증을 수행하면, 신청한 지역(예: 서초구)에서 제공하는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을 대행할 수 있다.
만일, 제 1 지역(예: 서초구)이 신청된 경우, 제 1 외부 서버(210)(예: 강남구청 서버)를 통해 제 1 가입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SMS 인증을 수행하여 제 1 지역(예: 서초구)에서 제공하는 제 1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사용자가 가입될 수 있고, 제 2 지역(예: 강서구)이 신청된 경우, 제 2 외부 서버(220)(예: 강서구청 서버)를 통해 제 2 가입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SMS 인증을 수행하여 제 2 지역(예: 강서구)에서 제공하는 제 2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사용자가 가입될 수 있다.
단계 S320 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주차 단속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주차 단속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를 기저장된 구문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문자 메시지가 “11가1234 차량이 주차금지구역에 주차되었습니다. 즉시 이동바랍니다. -성동구청-“인 경우,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들을 파싱한 후, 기설정 차량 번호 포맷(예: 숫자2자리 + 한글1자리 + 숫자4자리)에 대응되는 단어를 기초로 차량 번호 정보(예: 11가1234)를 결정하고, 기설정 지역명(예: 성동)를 대응되는 단어를 기초로 위반 지역 정보(예: 성동구)를 결정하고, 기설정 단어(예: 구역)에 대응되는 단어를 기초로 위반 내용(예: 주차금지구역에 주차)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주차 단속 정보를 송신한 외부 서버(200)에 대응되는 지역에 기초하여 상이한 방식으로 주차 단속 정보로부터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외부 서버(210)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 1 지역(예: 서초구)의 정보 제공 양식에 최적화되도록 기설정된 제 1 방식에 따라 문자 메시지를 파싱하여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외부 서버(220)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 2 지역(예: 서초구)의 정보 제공 양식에 최적화되도록 기설정된 제 2 방식에 따라 문자 메시지를 파싱하여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획득하면서 기타 주의 사항 등의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즉, 주차 단속 정보로서 제 1 외부 서버(210)에서 제공하는 제 1 문자 메시지와 제 2 외부 서버(220)에서 제공하는 제 2 문자 메시지는 차랑 번호, 위반 내용, 위반 지역 등에 대한 텍스트 표현이나 주차 단속에 관한 정보 제공 범위 등이 조금씩 상이할 수 있으므로, 각각에 대하여 최적화된 방식으로 파싱하여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정보를 보다 많이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330 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회원 계정에 대해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기저장된 회원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번호 정보(예: 11가1234)에 대응되는 회원 계정(예: 사용자 ID)을 검출하고, 검출된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하나 이상의 지역(예: 서초구, 성동구)과 위반 지역 정보(예: 성동구)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회원 계정을 결정하고, 결정된 회원 계정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방식(예: 문자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등)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와 위반 지역 정보를 비교하여 주차 단속 정보에 회원 계정이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의 위치와 위반 지역 간의 거리 차이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주차 단속 정보에 회원 계정이 대응한다고 결정하고, 디바이스의 위치와 위반 지역 간의 거리 차이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주차 단속 정보에 회원 계정이 대응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회원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 디바이스(300)의 위치 정보를 기설정 주기로 수집할 수 있고, 가장 최근 갱신된 회원 디바이스(300)의 위치 정보와 위반 지역 정보(예: 서초구)와의 거리 차이가 기설정값 이상이거나, 주차 단속 정보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 시간 범위 이내에 수집된 회원 디바이스(300)의 위치 정보가 위반 지역 정보(예: 서초구)로부터 기설정 거리 이상인 경우, 단계 S320 내지 S330에 따른 회원 계정의 결정 과정에 오류가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차 단속 정보에 회원 계정이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파싱된 주차 단속 정보를 통해 해당 차량의 모델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차량 모델 정보를 기초로 기저장된 회원 정보의 차량 번호 및 차량 모델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으며, 본 단계를 통해 차량 번호 오인식 등으로 인하여 잘못된 알림이 회원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주차 단속 정보에 회원 계정이 대응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주차 단속 정보에 회원 계정이 대응한다고 결정된 경우, 알림 메시지를 디바이스에 제공하고, 주차 단속 정보에 회원 계정이 대응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갱신하여 회원 계정을 갱신하고, 갱신된 회원 계정이 주차 단속 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동작에 따라 주차 단속 정보에 회원 계정이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주차 단속 정보에 회원 계정이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때까지 상기 단계 S320 내지 S330을 다시 수행하여 회원 계정을 다시 결정할 수 있고, 기설정 횟수만큼 반복하였음에도 주차 단속 정보에 회원 계정이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와 위반 지역의 위치 차이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코멘트를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켜 특정된 회원 계정에 대응하는 회원 디바이스(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주차 단속 정보에 회원 계정이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술한 반복은 파싱된 주차 단속 정보를 통한 차량 번호 인식 과정에서 가장 인식률 또는 인식 정확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숫자 또는 글자를 기준으로 그 숫자 또는 글자의 치환이 가능한 경우의 수만큼 변화시켜가며 그에 대응되는 회원 계정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예로, 위반 차량 번호가 '21머8900'이고 위반 위치 정보가 '서울시 강남구 OOO'이나 상기 정보의 회원 디바이스(300) 위치 정보가 대응되지 않는 경우, 위 차량 번호에서 가장 인식률 또는 인식 정확도가 낮은 구간이 '8', '89' 또는 '머'인 경우 이를 치환 가능한 다른 숫자 또는 글자로 치환해가며 그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가진 회원 계정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해당되는 계정이 있는 경우 해당 회원 디바이스로(300)로 알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달 과정에서 대응되는 회원 계정이 여러 개로 판단되는 경우, 위반 장소와 가장 근접한 디바이스에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대응되는 회원 계정 중 가장 최근에 주차 단속 히스토리가 있는 계정 또는 일정 기간 동안 가장 많은 수의 주차 단속 히스토리가 있는 계정으로 전달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수 많은 사용자들을 대신하여 각 지역의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회원 가입을 대행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대표 통신 번호가 이용됨에 따라, 주차 단속 정보로부터 획득 가능한 정보들 중 회원 계정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차량 번호가 유일할 수 있으므로, 만일 주차 단속 정보로부터 차량 번호가 정확하게 파싱되지 않을 경우에는 회원 계정 식별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파싱을 통해 회원 계정을 1차적으로 결정한 후, 회원 디바이스(300)와 위반 지역의 위치 차이를 이용하여 회원 계정이 정확하게 결정되었는지 이중 점검을 수행함으로써,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회원 계정 식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지역 또는 복수의 회원에 대한 그루핑을 통해 복수의 그룹을 결정하고, 복수의 그룹 각각에 복수의 대표 통신 번호 각각을 할당하고, 그룹 별로 할당된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SMS 인증 및 주차 단속 정보의 수신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역 자치 단체(예: 서울특별시, 경기도 등)별로 그루핑을 수행하고,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그룹에 따라 구분되는 외부 서버(200)에 그룹별로 설정된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회원의 거주지(예: 서울)에 따라 그루핑을 수행하고, 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그룹에 따라 구분되는 회원 계정에 대하여 그룹별로 설정된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원 계정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대표 통신 번호가 회원 계정과 대응되는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추가 점검이 가능하여 회원 계정 식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 계정이 결정되지 않을 경우, 단계 S320 에서 파싱에 이용된 제 1 파싱 알고리즘보다 높은 수준의 정확성을 갖는 제 2 파싱 알고리즘에 따라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다시 획득하여 회원 계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차량 번호 정보(예: 11가1234)에 대응되는 회원 계정(예: 사용자 ID)이 없거나, 위반 지역 정보(예: 성동구)와 차량 번호 정보(예: 11가1234)에 대응되는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지역(예: 강서구, 성동구)과 상이한 경우에는, 상이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차량 번호, 위반 지역 등을 다시 파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회원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회원 계정에 대해 저장된 회원 정보로부터 회원 통신 번호를 독출하고, 회원 통신 번호에 대응되는 회원 디바이스(300)에 통신사 기지국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회원 통신 번호를 통해 인증된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단계 S310 이전에 회원 디바이스(300)로부터 회원 정보 및 사용자 동의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인증 서버와 연동하여 회원 통신 번호를 통해 회원 계정에 대한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인증된 회원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 또는 팝업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주차 단속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메시지는 주차 단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주차 단속 정보로부터 획득된 단속 종류(예: 주정차금지구역에 주차)에 대응하는 예상 과태료 정보 또는 예상 견인 비용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위반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예상 견인 장소, 단속 종류에 대응하는 예상 결과(예: 과태료 부과, 견인 조치) 및 권장 대응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주차 단속 정보에 기초하여 과태료 부과 예정 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제 1 잔여 시간 정보 및 차량 견인 예정 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제 2 잔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잔여 시간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잔여 시간 정보를 알림 메시지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과태료 부과 예정 시점은 주차 단속 정보로부터 획득된 촬영 시간 정보, 차량 주정차 시작 시간 정보 등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1 외부 서버(210)로부터 수신된 제 1 문자 메시지가 “[12가3456] 불법주정차구역에 주차되어 있습니다. 10분 내에 과태료발부 예정이니 신속히 차량을 이동시키기 바랍니다.”인 경우, 제 1 문자 메시지를 파싱하여 획득한 “분”, “과태료발부” 및 “예정”에 기초하여 과태료 부과 예정 시점을 10분 후로 결정하고, 문자 메시지 수신 시각과 과태료 부과 예정 시점을 기초로 제 1 잔여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회원 디바이스(300)에 알림 메시지와 함께 제공하고,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제 1 잔여 시간 정보를 실시간 갱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 2 외부 서버(220)로부터 수신된 제 2 문자 메시지가 “[12가3456] 차량이 주정차금지 및 견인지역에 주차되어 있습니다. 즉시 이동바랍니다.”인 경우, 제 2 문자 메시지를 파싱하여 획득한 “견인” 및 “즉시”에 기초하여 견인 예정 시점을 “즉시”로 설정하고,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 2 지역의 견인 소요 시간, 제 2 지역의 견인 유예 시간에 관한 정책 및 도로교통법 기반 견인에 관한 법률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제 2 잔여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회원 디바이스(300)에 알림 메시지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단속 종류, 잔여 시간 정보 및 회원 디바이스(300)와 위반 지역의 위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긴급도를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과태료 부과 예정 시점까지 남은 시간에 반비례하도록 긴급도를 실시간 갱신하여 회원 디바이스(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잔여 시간 정보, 단속 종류 및 회원 디바이스(300)와 위반 지역의 위치 차이 순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긴급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긴급도가 기설정값 이상이 되거나, 잔여 시간 정보가 기설정값 미만이 되면, 차량을 신속히 이동시킬 것을 권장하는 긴급 메시지 및 잔여 시간 정보를 회원 디바이스(300)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을 리마인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차량 이동을 대행하는 서비스의 이용을 권장하는 권장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고, 권장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에 차량 번호 정보, 차량 위치 정보 및 차량 이동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이동 대행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되었거나 이하에서 기술될 정보 이외에도, 회원 정보의 이용 과정에서 기본적이거나 부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는 사용자 기본 정보, 정보 제공에 대한 사용자 동의, 가입을 위한 지역별 약관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들이 송수신되는 단계가 부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가적인 단계들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가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한 SMS 인증에 기초하여 회원 가입을 대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가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한 SMS 인증에 기초하여 회원 가입을 대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401 에서 회원 디바이스(300)는 회원 이름, 차량 번호 및 회원 통신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에 전송하고, 단계 S402 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회원 통신 번호를 통한 인증에 기초하여 회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원 디바이스(300)는 기설치된 통합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와 연결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회원 통신 번호 “”을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고,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인증 서버와 연동하여 회원 통신 번호 “01012345678”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휴대폰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인증 성공 시, 회원 통신 번호 “”에 대응되는 회원 계정(예: 회원 ID)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회원 계정이 생성됨에 따라, 주차 단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회원 이름 및 차량 번호의 입력을 회원 디바이스(300)에 요청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회원 디바이스(300)로부터 회원 이름 “홍길동” 및 차량 번호 “11가1234”를 수신하여 회원 계정에 대응시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단계 S403 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지역에 대한 지역 리스트를 회원 디바이스(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을 운영하는 복수의 지방자치단체(예: 서초구, 영등포구 등)의 지역 이름이 포함된 지역 리스트를 회원 디바이스(300)에 제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405 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회원 계정에서 신청한 지역에 기초하여 회원 이름, 차량 번호 및 대표 통신 번호를 포함하는 가입 신청 정보를 외부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회원 디바이스(300)로부터 제 1 지역 “성동구”와 제 2 지역 “강남구”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 1 지역 “성동구”에 대응하는 제 1 외부 서버(210)에 기설정된 대표 통신 번호 “”, 회원 이름 “홍길동” 및 차량 번호 “11가1234”를 포함하는 제 1 가입 신청 정보를 전송하여 성동구청에서 운영하는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대한 회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지역 “강남구”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 2 지역 “강남구”에 대응하는 제 2 외부 서버(220)에 대표 통신 번호 “”, 회원 이름 “홍길동” 및 차량 번호 “11가1234”를 포함하는 제 2 가입 신청 정보를 전송하여 강남구청에서 운영하는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대한 회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406 내지 단계 S407에서 외부 서버(200)는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한 SMS 인증에 기초하여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대한 회원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외부 서버(210)는 제 1 가입 신청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대표 통신 번호 “010-1111-1111”을 이용하여 회원 등록을 위한 SMS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인증 성공 시, 제 1 가입 신청 정보에 따라 성동구청의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회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외부 서버(220)는 제 2 가입 신청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대표 통신 번호 “010-1111-1111”을 이용하여 회원 등록을 위한 SMS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인증 성공 시, 제 2 가입 신청 정보에 따라 강남구청의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회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가입 신청 정보에 대한 외부 서버(200)의 응답을 기초로 회원 계정에서 신청한 지역 이름 및 가입 상태(예: 완료, 진행중 등)를 포함하는 지역별 가입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회원 디바이스(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회원 디바이스(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역에 대한 추가 신청 요청이 수신된 경우, 단계 S405에서와 마찬가지로,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추가 신청된 지역에 대응되는 외부 서버(200)에 대한 회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회원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 이상의 지역을 추가 신청하기 위한 메뉴(예: 주정차 단속알림 지역 추가)를 제공할 수 있고, 제 3 지역이 신청된 경우, 단계 S405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3 지역에 대응하는 제 3 외부 서버에 회원 이름, 차량 번호 및 대표 통신 번호를 포함하는 가입 신청 정보를 전송하고 제 3 외부 서버에 의한 SMS 인증을 통해 추가 신청된 지역의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대한 회원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기설정 개수의 지역에 대한 통합 정보 제공 서비스를 기본 제공하고, 기설정 개수에서 지역이 추가되는 경우, 추가 개수에 대응되는 기설정 금액이 회원 계정에 과금되는 요금 정책에 따라 통합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유료 제공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외부 서버(200) 및 회원 디바이스(300)와 연동하여 각 지역의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가입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지역별 가입 약관 정보, 이에 대한 사용자 동의 입력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수많은 지방자치단체 별로 서비스 신청, 단속 정보 제공 등이 제각기 따로 운영되는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을 효과적으로 대행할 수 있다.
또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하여 회원수보다 현저하게 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함으로써 수많은 사용자들의 가입을 효율적으로 대행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원 디바이스(300)는 행정기관 서버 등과 연동하여 차량 번호를 토대로 과태료 정보를 조회하고 결제/납부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가 주차 단속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가 주차 단속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의 주차 단속 과정에서 회원 계정의 차량이 단속되는 경우, 해당 단속을 실시한 지방자치단체의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해당 차량의 주차 단속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단계 S901에서, 회원 계정의 차량이 단속된 지역이 제 1 지역인 경우,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해 제 1 외부 서버(210)로부터 주차 단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홍길동” 회원의 차량 번호 “11가1234”가 단속된 지역이 제 1 지역(예: 성동구)인 경우, 성동구의 제 1 외부 서버(210)는 차량 단속 결과에 따라 단속된 차량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 및 적발 정보(예: 단속 종류, 단속 일시, 단속 장소 등)를 포함하는 주차 단속 정보를 획득하고, 차량 번호에 기초하여 성동구의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에 저장된 가입 신청 정보로부터 대표 통신 번호 “010-1111-1111”을 조회하고, 조회된 대표 통신 번호 “010-1111-1111”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예: 휴대폰, 인터넷 전화)에 차량 번호 및 적발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표 통신 번호 “010-1111-1111”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예: 휴대폰, 인터넷 전화)와의 연동을 통해 제 1 외부 서버(210)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902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단계 S901에서 수신된 주차 단속 정보를 파싱하여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가1234 차량이 주차금지구역에 주차되었습니다. 즉시 이동바랍니다. -성동구청-“인 경우,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들을 기저장된 구문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파싱하고, 기설정 차량 번호 포맷(예: 숫자2자리 + 한글1자리 + 숫자4자리), 지역명(예: 성동) 및 발신번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 번호 정보(예: 11가1234) 및 위반 지역 정보(예: 성동구)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903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 계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파싱을 통해 결정된 차량 번호 정보 “11가1234”에 대응되는 회원 계정(예: 사용자 ID)을 조회하여 회원 계정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특정된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와 위반 지역 정보를 비교하거나 또는 특정된 회원 계정에서 신청한 지역과 위반 지역 정보를 비교하여 특정된 회원 계정이 주차 단속 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904 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회원 계정에 대하여 제 1 지역의 주차 단속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기설정된 알림 메시지 양식에 따라 주차 단속 정보를 가공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결정된 회원 계정에 대응하는 회원 통신 번호를 통해 인증된 회원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팝업 메시지(도 10(a) 참고) 또는 앱 메시지(도 10(b) 참고)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05 내지 S908은 회원 계정의 차량이 단속된 지역이 제 2 지역인 경우를 나타내며, 단계 S901 내지 S904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표 통신 번호를 통해 수신되는 주차 단속 정보로부터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획득하여 회원 계정을 결정하고 회원 계정에 대하여 제 2 지역의 주차 단속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수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의 주정차 단속 알림 시스템으로부터 주차 단속 정보를 각각 제공 받아 회원에게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회원 가입부터 정보 이용에 이르기까지 사용자 편의성을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하여 회원수보다 현저하게 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함으로써 수많은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주차 단속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위반 지역 정보 및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속 가이드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주차 단속 정보를 파싱하여 위반 위치 정보(예: 주소 등)를 포함하는 위반 지역 정보를 결정하고,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기설정된 지도 이미지 상에 위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위치 좌표 및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회원 디바이스(3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위치 좌표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시킨 단속 가이드 맵을 생성하고, 단속 가이드 맵에 접근하기 위한 하이퍼링크를 알림 메시지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위반 지역 정보에 따른 위반 위치 및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따른 디바이스 위치의 거리 차이 및 단속 실행 예상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단속 실행 예상 시간 대비 위반 위치와 디바이스 위치의 거리 차이(위반 위치와 디바이스 위치의 거리 차이 / 단속 실행 예상 시간)가 제 1 값 이상인 경우에는 이동 주차를 위한 서비스(예: 견인 서비스)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 1 값 미만 제 2 값 이상인 경우에는 택시 또는 오토바이 등의 빠른 이동 수단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 2 값 미만 제 3 값 이상인 경우에는 빠른 이동 경로에 대한 지도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 3 값 미만인 경우에는 단속 실행 예상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계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값은 제 2 값보다 크고, 제 2 값은 제 3 값보다 크다.) 한편, 상기 각 컨텐츠는 위반 지역 정보에 따라 차량 주차가 가능한 곳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단속 실행 예상 시간 대비 위반 위치와 디바이스 위치의 거리 차이,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나이 및 디바이스 위치의 주변 교통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리 차이가 클수록, 성별이 여자인 경우, 사용자의 나이와 20의 차이가 클수록, 주변 교통량이 클수록 제공 지수가 커진다고 할 때,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제공 지수가 제 1 지수 이상인 경우에는 이동 주차를 위한 서비스(예: 견인 서비스)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 1 지수 미만 제 2 지수 이상인 경우에는 택시 또는 오토바이 등의 빠른 이동 수단에 대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 2 지수 미만 제 3 지수 이상인 경우에는 빠른 이동 경로에 대한 지도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 3 지수 미만인 경우에는 단속 실행 예상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계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지수는 제 2 지수보다 크고, 제 2 지수는 제 3 지수보다 크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위반 지역 정보 및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인근 주차장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기저장된 복수의 주차장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위치 좌표와 제 2 위치 좌표를 연결한 라인으로부터 기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주차장을 나타내는 인근 주차장을 검출하고, 인근 주차장의 위치 정보, 주차 비용 정보 및 주차 가능 대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림 메시지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주차 단속 정보로부터 획득된 단속 종류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단속 종류가 “주정차 금지구역에 주차”인 경우에는 불법주정차와 연관되어 기저장된 제 1 제휴 광고 컨텐츠(예: 무료 주차를 지원하는 간편 결제 등록 광고)를, 단속 종류가 “견인구역에 주차”인 경우에는 견인과 연관되어 기저장된 제 2 제휴 광고 컨텐츠(예: 택시 호출 광고, 견인 대행 서비스 광고)를 알림 메시지 또는 단속 가이드 맵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획득되는 목적지 정보 및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주정차 단속 예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100)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현재 진행 중이거나 기설정 시간 내로 단속이 예정된 주정차 단속 위치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주정차 단속 예정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회원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예: 티맵)과의 연동을 통해 목적지를 획득하고, 목적지의 위치 좌표로부터 기설정 거리 이내에 있는 주정차 단속 예정 정보의 위치 좌표를 지도 이미지 상에 매핑시킨 목적지 부근 단속 가이드 맵을 생성하여 회원 디바이스(3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알림 메시지를 통해 주차 단속에 따른 사전 정보(예: 과태료 부과 전의 사전 경고)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전술한 것처럼, 알림 메시지를 통해 주차 단속에 따른 사후 정보(예: 과태료 부과됨, 견인 조치됨) 및 주차 단속에 관한 정책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 및 조합은 일 실시 예이고,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요소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순서, 조합, 분기, 기능 및 그 수행 주체가 추가, 생략 또는 변형된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주차 단속 정보 제공 시스템
100: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
110: 수신부
120: 제어부
200: 외부 서버
210: 제 1 외부 서버
220: 제 2 외부 서버
300: 회원 디바이스

Claims (11)

  1.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한 주차 단속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 단속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번호 정보 및 상기 위반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회원 계정에 대해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단속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해서 SMS 인증이 수행된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단속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대표 통신 번호는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회원 통신 번호와 상이하고,
    상기 SMS 인증은
    상기 외부 서버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지역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제 1 지역에 대응되는 제 1 외부 서버 및 제 2 지역에 대응되는 제 2 외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SMS 인증은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지역이 상기 제 1 지역인 경우 상기 제 1 외부 서버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지역이 상기 제 2 지역인 경우 상기 제 2 외부 서버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주차 단속 정보를 파싱하여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단속 정보가 상기 제 1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지 상기 제 2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지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상기 주차 단속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반 지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와 위반 지역 간의 거리 차이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와 위반 지역 간의 거리 차이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에 저장되는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 각각에 대한 복수의 회원 정보 각각은
    상기 대표 통신 번호 및 각 회원 계정에 대응하는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한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차량 번호 정보 및 상기 위반 지역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회원 계정을 갱신하고,
    갱신된 회원 계정이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기초하여 과태료 부과 예정 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제 1 잔여 시간 정보 및 차량 견인 예정 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제 2 잔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잔여 시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잔여 시간 정보를 상기 알림 메시지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이동을 대행하는 서비스의 이용을 권장하는 권장 메시지를 상기 알림 메시지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권장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행 서버에 상기 차량 번호 정보, 차량 위치 정보 및 차량 이동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이동 대행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한 주차 단속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주차 단속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차량 번호 정보 및 위반 지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번호 정보 및 상기 위반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회원 계정에 대해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에 대해서 SMS 인증이 수행된 대표 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단속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회원 계정에 대응되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차 단속 정보가 제 1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지 제 2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지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상기 주차 단속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반 지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와 위반 지역 간의 거리 차이가 기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와 위반 지역 간의 거리 차이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주차 단속 정보에 상기 회원 계정이 대응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상기 대표 통신 번호는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회원 통신 번호와 상이하고,
    상기 SMS 인증은
    상기 외부 서버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지역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제 1 지역에 대응되는 제 1 외부 서버 및 제 2 지역에 대응되는 제 2 외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SMS 인증은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지역이 상기 제 1 지역인 경우 상기 제 1 외부 서버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회원 계정에서 신청된 지역이 상기 제 2 지역인 경우 상기 제 2 외부 서버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디바이스.
KR1020200124591A 2020-09-25 2020-09-25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466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591A KR102466475B1 (ko) 2020-09-25 2020-09-25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591A KR102466475B1 (ko) 2020-09-25 2020-09-25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421A KR20220041421A (ko) 2022-04-01
KR102466475B1 true KR102466475B1 (ko) 2022-11-11

Family

ID=8118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591A KR102466475B1 (ko) 2020-09-25 2020-09-25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4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09B1 (ko) * 2013-02-21 2014-01-08 (주)넥솔위즈빌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정차위반 단속 알림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9236A2 (ko) * 2010-05-23 2011-12-01 Lee Wang Seok 모바일단말을 이용한 주차단속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102470255B1 (ko) * 2015-09-10 2022-11-23 주식회사 오토카지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48647A (ko) * 2015-10-26 2017-05-10 (주)고백기술 소통형 불법주정차 단속경고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5099B1 (ko) * 2017-07-04 2019-03-06 허민 주차위치파악시스템 및, 이 주차위치파악시스템을 구비한 주차단속알림시스템
KR20190025165A (ko) * 2017-08-31 2019-03-11 주식회사 디아이랩 3d 교통단속장치를 이용한 주정차 단속 방법 및 주정차 단속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09B1 (ko) * 2013-02-21 2014-01-08 (주)넥솔위즈빌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정차위반 단속 알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421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5087A1 (en)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mobile and vehicle devices
CN107492063B (zh) 一种上车点推荐处理方法及系统
US89731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requests for tasks from unregistered devices
US101987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based purchasing
CN112398895B (zh) 提供服务信息的方法及装置
EP35254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service flow
WO2016092530A1 (ko) 데이터 중개 시스템 및 방법
US20190228663A1 (en) Taxi Fleet Management Platform Architecture
US202103124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3128508A (zh) 基于车牌号的支付处理方法及装置
CN111125729A (zh) 基于区块链的车辆行驶信息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2466475B1 (ko) 주차 단속 정보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US10402850B2 (en) Reliability metrics for real-time auctions
CN112561483A (zh) 行程处理方法及装置
JP202106796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50084109A (ko)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55577A (ko) 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301374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location data into messages at a communication gateway
CN108446926B (zh) 数据处理方法和服务器
KR20220070976A (ko) 메시지 전송 방법 및 디바이스
CN112714122B (zh) 一种通信系统和方法
KR20140048725A (ko)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이용한 sns 차량 정보 제공 방법
KR101591648B1 (ko) 모바일 쿠폰 전환 시스템, 장치 및 방법
WO2015168001A1 (en) Generating targeted reports of real-time information with selective advertisements
KR20130113620A (ko) 자동차 대리운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