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237B1 -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 - Google Patents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6237B1 KR102466237B1 KR1020220101792A KR20220101792A KR102466237B1 KR 102466237 B1 KR102466237 B1 KR 102466237B1 KR 1020220101792 A KR1020220101792 A KR 1020220101792A KR 20220101792 A KR20220101792 A KR 20220101792A KR 102466237 B1 KR102466237 B1 KR 1024662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ing block
- rail
- plate
- balloon catheter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2—Insertion or introduction using an inner stiffening member, e.g. stylet or push-ro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1—Means for forcing inflation fluid into the ballo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4—Mean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inflation or def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5—Connections between catheter tubes and inflation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radio-opaque markers in the region of the ballo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현한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체의 손상된 부분의 내부로 삽입되는 벌룬 카테터; 및 상기 벌룬 카테터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확장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현한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손상된 척추의 근처에 관 형태의 카테터를 찔러 넣고 의료용 시멘트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손상된 척추 등의 시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척추 치료용 카테터를 이용하여 좋은 시술 결과를 얻기 위해 서는 시술하고자 하는 척추 속의 손상된 부분을 충분히 팽창시켜 그 팽창된 부분에 적절한 양의 의료용 시멘트를 주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시술 작업 시마다 상기 내측 튜브 내에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내측 튜브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채용은 벌룬 카테터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시술 작업을 위해 벌룬 내에 고압의 공기가 공급될 시 상기 벌룬 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내측 튜브와 상기 벌룬이 길이방향으로 팽창하여 상기 벌룬(13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팽창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벌룬의 작은 팽창 사이즈는 실제 필요로 하는 피시술 부분의 의료용 시멘트 주입공간을 작아지게 하는 문제를 유발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현한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는, 신체의 손상된 부분의 내부로 삽입되는 벌룬 카테터; 및 상기 벌룬 카테터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확장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벌룬 카테터는, 외측 튜브; 상기 외측 튜브의 내면과 유격을 갖도록 상기 외측 튜브 내에 상기 외측 튜브의 길이를 따라 끼워지고 선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상기 외측 튜브 보다 외측으로 길게 뻗은 중실 형태의 강성봉; 선단부가 상기 강성봉의 선단부 주위에 밀봉되게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외측 튜브의 선단부 주위에 밀봉되게 고정되며, 상기 확장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벌룬; 상기 벌룬 내의 강성봉의 양측에 상호 유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는 마커; 및 상기 외측 튜브의 후단부와 밀봉되게 고정되고 상기 강성봉의 전진 이동을 방지하며, 상기 강성봉이 상기 외측 튜브에 대해 유격을 갖도록 상기 강성봉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강성봉 사이의 유격을 통해 상기 벌룬 내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기는, 상기 벌룬 카테터와 연통되는 연결 호스; 상기 연결 호스와 연결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탄성력을 받는 상태로 삽입되는 실린더푸셔; 및 상기 실린더푸셔의 전진을 유도하는 전진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기는, 상기 벌룬 카테터와 연통되는 연결 호스; 상기 연결 호스와 연결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탄성력을 받는 상태로 삽입되는 실린더푸셔; 상기 실린더푸셔의 전진을 유도하는 전진 레버; 및 상기 실린더 내에 가해지는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는, 상기 벌룬 카테터와 상기 확장기를 올려 놓기 위한 장치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 거치대는, 상기 벌룬 카테터와 상기 확장기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 플레이트; 직립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 및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후단 하측에 직립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 지지대로 삽입되거나 상기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거치 플레이트를 승강 이동시켜 주는 승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 플레이트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후단 하측에 직립 설치되는 승강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면을 따라 제1 레일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면을 따라 제2 레일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판의 상측에 안착되며, 일측 및 타측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을 각각 덮고 배치되는 상판; 상기 제1 레일을 덮고 배치되는 상기 상판의 일측 절곡면의 내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상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레일을 덮고 배치되는 상기 상판의 타측 절곡면의 내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제2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상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는 제1 슬라이딩 블록;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는 제2 슬라이딩 블록; 상기 상판의 일측 절곡면의 내측면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일측 절곡면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거치부; 상기 상판의 일측 절곡면의 내측면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일측 절곡면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2 완충 거치부;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밀착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1 구동휠;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밀착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2 구동휠;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블록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연결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1 연결홈; 상기 제1 연결홈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2 연결홈; 전단이 상기 제1 연결홈의 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연결홈의 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 프레임; 상기 간격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홈의 중단에 배치되되, 상측면 및 하측면이 상기 제1 연결홈의 입구의 상측 및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스프링 거치대; 상기 간격 지지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연결홈의 중단에 배치되되, 상측면 및 하측면이 상기 제2 연결홈의 입구의 상측 및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스프링 거치대; 상기 제1 스프링 거치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프링 거치대를 지지하는 제1 완충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 거치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스프링 거치대를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홈은, 입구의 상측 및 하측이 상기 제1 스프링 거치대의 상측면 및 하측면의 경사면과 평행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홈은, 입구의 상측 및 하측이 상기 제2 스프링 거치대의 상측면 및 하측면의 경사면과 평행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 거치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 승강홈; 상기 상판의 일측 절곡면의 내측면이 설치되며, 상기 측면 승강홈의 중단에 배치되는 완충 플레이트;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벌룬 카테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확장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확장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거치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6의 제1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블록 연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벌룬 카테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확장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확장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거치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6의 제1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블록 연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10)는, 벌룬 카테터(100) 및 확장기(200)를 포함한다.
벌룬 카테터(100)는, 신체의 손상된 부분의 내부로 삽입된다.
확장기(200)는, 벌룬 카테터(100)로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10)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벌룬 카테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벌룬 카테터(100)는, 외측 튜브(110), 강성봉(120), 벌룬(130), 마커(140) 및 바디부(150)를 포함한다.
외측 튜브(110)는, 바디부(150)의 전단에 설치되며, 강성봉(120), 벌룬(130), 및 마커(14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강성봉(120)은, 외측 튜브(110)의 내면과 유격을 갖도록 외측 튜브(110) 내에 외측 튜브(110)의 길이를 따라 끼워지고 선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외측 튜브(110) 보다 외측으로 길게 뻗은 중실 형태로 형성된다.
벌룬(130)은, 선단부가 강성봉(120)의 선단부 주위에 밀봉되게 고정되고 후단부가 외측 튜브(110)의 선단부 주위에 밀봉되게 고정되며, 확장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팽창된다.
마커(140)는, 벌룬(130) 내의 강성봉(120)의 양측에 상호 유격을 두고 각각 고정된다.
바디부(150)는, 외측 튜브(110)의 후단부와 밀봉되게 고정되고 강성봉(120)의 전진 이동을 방지하며, 강성봉(120)이 외측 튜브(110)에 대해 유격을 갖도록 강성봉(120)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외부로부터 외측 튜브(110)와 강성봉(120) 사이의 유격을 통해 확장기(200)로부터 공급되는 벌룬(130) 내로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벌룬 카테터(100)는, 종래 기술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내측 튜브와 가이드 와이어를 대신하여, 상기 외측 튜브(110) 내에 상기 외측 튜브와의 유격을 갖도록 중실 형태의 강성봉(120)을 장착시킨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벌룬 카테터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벌룬 카테터(100)는, 상기 강성봉(120)이 상기 외측 튜브(110)의 휨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내측 튜브와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어려움 없이 벌룬 카테터의 벌룬(130)을 척추 내의 피시술 부분에 편 리하게 정확히 삽입시킬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벌룬 카테터(100)는, 상기 강성봉(120)이 중실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시술 작업을 위해 고압의 유체를 이용하여 벌룬(130)을 팽창시킬 때 상기 강성봉(120)이 벌룬 내의 압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팽창되지 않아 상기 벌룬(130)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적절히 팽창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의 고압은 상기 벌룬(130)을 적정한 크기로 팽창시킬 수 있는 정도의 압력을 말한다.
도 3은 도 1의 확장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기(200)는, 연결 호스(210), 실린더(220), 실린더푸셔(230) 및 전진 레버(250)를 포함한다.
연결 호스(210)는, 벌룬 카테터(100)와 연통되어 압축 공기를 벌룬 카테터(100)로 전달한다.
실린더(220)는, 연결 호스(210)와 연결되며, 실린더푸셔(230)가 내측에 삽입 설치되며,
실린더푸셔(230)는, 실린더(220) 내에 탄성력을 받는 상태로 삽입되며, 전진 레버(250)에 의해 실린더(220) 내에서 전진 이동됨에 따라 압축 공기를 형성시켜 준다.
전진 레버(250)는, 실린더푸셔(230)의 전진을 유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기(200)는, 압축 공기의 정밀한 공급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확장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기(200a)는, 연결 호스(210), 실린더(220), 실린더푸셔(230), 전진 레버(250) 및 압력계(260)를 포함한다.
연결 호스(210)는, 벌룬 카테터(100)와 연통되어 압축 공기를 벌룬 카테터(100)로 전달한다.
실린더(220)는, 연결 호스(210)와 연결되며, 실린더푸셔(230)가 내측에 삽입 설치되며,
실린더푸셔(230)는, 실린더(220) 내에 탄성력을 받는 상태로 삽입되며, 전진 레버(250)에 의해 실린더(220) 내에서 전진 이동됨에 따라 압축 공기를 형성시켜 준다.
전진 레버(250)는, 실린더푸셔(230)의 전진을 유도한다.
압력계(260)는, 실린더(220) 내에 가해지는 압력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기(200a)는, 압축 공기의 정밀한 공급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20)는, 벌룬 카테터(100), 확장기(200) 및 장치 거치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벌룬 카테터(100) 및 확장기(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장치 거치대(400)는, 벌룬 카테터(100)와 확장기(200)를 올려 놓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 거치대(400)는, 거치 플레이트(410), 수직 지지대(420) 및 승강 지지대(430)를 포함한다.
거치 플레이트(410)는, 벌룬 카테터(100)와 확장기(200)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수직 지지대(420)는, 직립 설치되며, 상부에 승강 지지대(430)가 삽입 설치되며, 승강 지지대(430)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43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구동 기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승강 지지대(430)를 승강 이동시켜 준다.
승강 지지대(430)는, 거치 플레이트(410)의 후단 하측에 직립 설치되며, 하부가 수직 지지대(420)에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 지지대(420)로 삽입되거나 수직 지지대(420)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면서 거치 플레이트(410)를 승강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20)는, 시술자의 필요에 따라 벌룬 카테터(100)와 확장기(200)의 지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시술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거치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거치 플레이트(410)는, 하판(411), 상판(414), 제1 슬라이더(415) 및 제2 슬라이더(416)를 포함한다.
하판(411)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후단 하측에 직립 설치되는 승강 지지대(430)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면을 따라 제1 레일(412)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면을 따라 제2 레일(413)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판(414)은, 하판(411)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하판(411)의 상측에 안착되며, 일측(414a) 및 타측(414b)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1 레일(412)과 제2 레일(413)을 각각 덮고 배치된다.
제1 슬라이더(415)는, 제1 레일(412)을 덮고 배치되는 상판(414)의 일측 절곡면(414a)의 내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제1 레일(412)에 안착되어 제1 레일(41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판(414)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제2 슬라이더(416)는, 제2 레일(413)을 덮고 배치되는 상판(414)의 타측 절곡면(414b)의 내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제2 레일(413)에 안착되어 제2 레일(413)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판(414)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거치 플레이트(410)는, 전후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다단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벌룬 카테터(100)와 확장기(200)의 지지 높이 뿐만 아니라, 벌룬 카테터(100)와 확장기(200)의 전후 이동 역시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시술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제1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슬라이더(415)는, 제1 슬라이딩 블록(4151), 제2 슬라이딩 블록(4152), 제1 완충 거치부(4153), 제2 완충 거치부(4154), 제1 구동휠(4155), 제2 구동휠(4156) 및 블록 연결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슬라이더(416)는, 후술하는 제1 슬라이딩 블록(4151)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슬라이딩 블록(4151)의 제2 슬라이딩 블록(4152), 제1 완충 거치부(4153), 제2 완충 거치부(4154), 제1 구동휠(4155), 제2 구동휠(4156) 및 블록 연결부(50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슬라이딩 블록(4151)은, 제1 레일(412)에 안착된다.
제2 슬라이딩 블록(4152)은, 제1 슬라이딩 블록(4151)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1 레일(412)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완충 거치부(600)는, 측면 승강홈(610), 완충 플레이트(620), 상단 지지 스프링(630) 및 하단 지지 스프링(640)을 포함한다.
측면 승강홈(610)은, 제1 슬라이딩 블록(4151)의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완충 플레이트(620)는, 상판(414)의 일측 절곡면(414a)의 내측면이 설치되며, 측면 승강홈(610)의 중단에 배치된다.
상단 지지 스프링(630)은, 완충 플레이트(6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완충 플레이트(620)의 상측을 지지한다.
하단 지지 스프링(640)은, 완충 플레이트(6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완충 플레이트(62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1 완충 거치부(4153)는, 상판(414)의 일측 절곡면(414a)의 내측면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판(414)의 일측 절곡면(414a)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제1 슬라이딩 블록(4151)의 측면에 설치된다.
제2 완충 거치부(4154)는, 상판(414)의 일측 절곡면(414a)의 내측면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판(414)의 일측 절곡면(414a)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제2 슬라이딩 블록(4152)의 측면에 설치된다.
제1 구동휠(4155)은, 제1 슬라이딩 블록(415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레일(412)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밀착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제1 레일(412)을 따라 제1 슬라이딩 블록(4151)을 이동시켜 준다.
제2 구동휠(4156)은, 제2 슬라이딩 블록(415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레일(412)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밀착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제1 레일(412)을 따라 제2 슬라이딩 블록(4152)을 이동시켜 준다.
블록 연결부(500)는, 제1 슬라이딩 블록(4151)과 제2 슬라이딩 블록(4152) 사이를 연결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슬라이더(415)는, 상판(414)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판(414)의 이동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줌으로써, 상판(414)의 이동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줌은 물론 상판(414)에 안착되어 있는 장비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블록 연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블록 연결부(500)는, 제1 연결홈(510), 제2 연결홈(520), 간격 지지 프레임(530), 제1 스프링 거치대(540), 제2 스프링 거치대(550), 제1 완충 스프링(560) 및 제2 완충 스프링(570)을 포함한다.
제1 연결홈(510)은, 제1 슬라이딩 블록(4151)의 후단에 형성된다.
제2 연결홈(520)은, 제1 연결홈(510)과 대향하는 제2 슬라이딩 블록(4152)의 전단에 형성된다.
간격 지지 프레임(530)은, 전단이 제1 연결홈(510)의 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제2 연결홈(520)의 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슬라이딩 블록(4151)과 제2 슬라이딩 블록(4152)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제1 스프링 거치대(540)는, 간격 지지 프레임(530)의 전단에 설치되어 제1 연결홈(510)의 중단에 배치되되, 상측면 및 하측면이 제1 연결홈(510)의 입구의 상측 및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한다.
제2 스프링 거치대(550)는, 간격 지지 프레임(530)의 후단에 설치되어 제2 연결홈(520)의 중단에 배치되되, 상측면 및 하측면이 제2 연결홈(520)의 입구의 상측 및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한다.
제1 완충 스프링(560)은, 제1 스프링 거치대(54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스프링 거치대(540)를 지지한다.
제2 완충 스프링(570)은, 제2 스프링 거치대(55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2 스프링 거치대(55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홈(510)은, 입구의 상측 및 하측이 제1 스프링 거치대(540)의 상측면 및 하측면의 경사면과 평행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연결홈(520)은, 입구의 상측 및 하측이 제2 스프링 거치대(550)의 상측면 및 하측면의 경사면과 평행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블록 연결부(500)는, 상판(414)의 이동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줌으로써, 상판(414)의 이동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줌은 물론 상판(414)에 안착되어 있는 장비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
100: 벌룬 카테터
200: 확장기
400: 장치 거치대
100: 벌룬 카테터
200: 확장기
400: 장치 거치대
Claims (5)
- 신체의 손상된 부분의 내부로 삽입되는 벌룬 카테터; 및
상기 벌룬 카테터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확장기;를 포함하며,
상기 벌룬 카테터와 상기 확장기를 올려 놓기 위한 장치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 거치대는,
상기 벌룬 카테터와 상기 확장기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 플레이트;
직립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 및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후단 하측에 직립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 지지대로 삽입되거나 상기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거치 플레이트를 승강 이동시켜 주는 승강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후단 하측에 직립 설치되는 승강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면을 따라 제1 레일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면을 따라 제2 레일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판의 상측에 안착되며, 일측 및 타측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을 각각 덮고 배치되는 상판;
상기 제1 레일을 덮고 배치되는 상기 상판의 일측 절곡면의 내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상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레일을 덮고 배치되는 상기 상판의 타측 절곡면의 내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제2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상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는 제1 슬라이딩 블록;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는 제2 슬라이딩 블록;
상기 상판의 일측 절곡면의 내측면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일측 절곡면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거치부;
상기 상판의 일측 절곡면의 내측면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일측 절곡면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2 완충 거치부;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밀착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1 구동휠;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밀착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켜 주는 제2 구동휠;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블록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연결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1 연결홈;
상기 제1 연결홈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2 연결홈;
전단이 상기 제1 연결홈의 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연결홈의 입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 프레임;
상기 간격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홈의 중단에 배치되되, 상측면 및 하측면이 상기 제1 연결홈의 입구의 상측 및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스프링 거치대;
상기 간격 지지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연결홈의 중단에 배치되되, 상측면 및 하측면이 상기 제2 연결홈의 입구의 상측 및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스프링 거치대;
상기 제1 스프링 거치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프링 거치대를 지지하는 제1 완충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 거치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스프링 거치대를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홈은,
입구의 상측 및 하측이 상기 제1 스프링 거치대의 상측면 및 하측면의 경사면과 평행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결홈은,
입구의 상측 및 하측이 상기 제2 스프링 거치대의 상측면 및 하측면의 경사면과 평행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완충 거치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 승강홈; 상기 상판의 일측 절곡면의 내측면이 설치되며, 상기 측면 승강홈의 중단에 배치되는 완충 플레이트;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 카테터는,
외측 튜브;
상기 외측 튜브의 내면과 유격을 갖도록 상기 외측 튜브 내에 상기 외측 튜브의 길이를 따라 끼워지고 선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상기 외측 튜브 보다 외측으로 길게 뻗은 중실 형태의 강성봉;
선단부가 상기 강성봉의 선단부 주위에 밀봉되게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외측 튜브의 선단부 주위에 밀봉되게 고정되며, 상기 확장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벌룬;
상기 벌룬 내의 강성봉의 양측에 상호 유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는 마커; 및
상기 외측 튜브의 후단부와 밀봉되게 고정되고 상기 강성봉의 전진 이동을 방지하며, 상기 강성봉이 상기 외측 튜브에 대해 유격을 갖도록 상기 강성봉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외측 튜브와 상기 강성봉 사이의 유격을 통해 상기 벌룬 내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기는,
상기 벌룬 카테터와 연통되는 연결 호스;
상기 연결 호스와 연결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탄성력을 받는 상태로 삽입되는 실린더푸셔; 및
상기 실린더푸셔의 전진을 유도하는 전진 레버;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기는,
상기 벌룬 카테터와 연통되는 연결 호스;
상기 연결 호스와 연결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탄성력을 받는 상태로 삽입되는 실린더푸셔;
상기 실린더푸셔의 전진을 유도하는 전진 레버; 및
상기 실린더 내에 가해지는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4088A KR102466242B1 (ko) | 2022-08-16 | 2022-08-19 | 벌룬 카테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101776 | 2022-08-16 | ||
KR1020220101776 | 2022-08-16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4088A Division KR102466242B1 (ko) | 2022-08-16 | 2022-08-19 | 벌룬 카테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6237B1 true KR102466237B1 (ko) | 2022-11-11 |
Family
ID=840427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1792A KR102466237B1 (ko) | 2022-08-16 | 2022-08-16 |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 |
KR1020220104088A KR102466242B1 (ko) | 2022-08-16 | 2022-08-19 | 벌룬 카테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4088A KR102466242B1 (ko) | 2022-08-16 | 2022-08-19 | 벌룬 카테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466237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16640A (ja) * | 2001-10-18 | 2003-04-22 | Uchie Kk | 移動式簡易テーブル |
KR100392757B1 (ko) | 1994-11-23 | 2003-10-11 | 메디놀 리미티드 | 벌룬카테터 |
JP2004505659A (ja) * | 2000-08-08 | 2004-02-26 | アーエルエム | 特に外科手術用に設計した作業テーブル |
KR100896817B1 (ko) * | 2008-09-24 | 2009-05-11 | 광주광역시 남구 | 환자 이동 장치 |
KR101164852B1 (ko) * | 2011-12-05 | 2012-07-11 | 최길운 | 벌룬 카테터 |
KR20120123932A (ko) * | 2011-05-02 | 2012-11-12 | 전정애 | 환자 이동용 침대 |
-
2022
- 2022-08-16 KR KR1020220101792A patent/KR1024662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8-19 KR KR1020220104088A patent/KR1024662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2757B1 (ko) | 1994-11-23 | 2003-10-11 | 메디놀 리미티드 | 벌룬카테터 |
JP2004505659A (ja) * | 2000-08-08 | 2004-02-26 | アーエルエム | 特に外科手術用に設計した作業テーブル |
JP2003116640A (ja) * | 2001-10-18 | 2003-04-22 | Uchie Kk | 移動式簡易テーブル |
KR100896817B1 (ko) * | 2008-09-24 | 2009-05-11 | 광주광역시 남구 | 환자 이동 장치 |
KR20120123932A (ko) * | 2011-05-02 | 2012-11-12 | 전정애 | 환자 이동용 침대 |
KR101164852B1 (ko) * | 2011-12-05 | 2012-07-11 | 최길운 | 벌룬 카테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6242B1 (ko) | 2022-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392243A1 (en) | Low profile valve | |
CN215535144U (zh) | 一种用于眼科手术辅助医生的支撑架 | |
KR102466237B1 (ko) | 벌룬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 | |
CN107380292B (zh) | 三腿式爬壁机器人 | |
CN107049387A (zh) | 一种用于俯卧位椎间孔撑开装置 | |
CN207605018U (zh) | 神经外科手术用头部固定器 | |
CN104688395A (zh) | 一种颈椎牵引装置 | |
KR102540589B1 (ko) | 골 접합용 나사 세트 | |
KR102333735B1 (ko) | 승강 베드를 이용한 도수 치료 시스템 | |
CN213722713U (zh) | 一种神经外科医疗用颈椎牵引板 | |
CN113995529A (zh) | 一种随臂移动的神经外科手术臂托 | |
CN113662798A (zh) | 一种神经外科头部手术定位装置 | |
CN110290748A (zh) | 带有集成的可移动座椅布置的牙科成像设备 | |
CN111184614A (zh) | 头颈部手术快速体位调整及颈椎保护装置 | |
KR102540580B1 (ko) | 골 접합용 장치 세트 | |
ITFI20080057A1 (it) | "apparecchiatura radiologica polivalente" | |
CN221904572U (zh) | 用于经十二指肠镜十二指肠乳头切开取石术的体位垫 | |
CN105125366A (zh) | 一种头部手术固定系统 | |
CN210785255U (zh) | 一种用于术前训练甲状腺手术过伸位的气压软枕 | |
CN219941153U (zh) | 一种康复用训练装置 | |
CN215937589U (zh) | 一种血管介入穿刺定位装置 | |
CN220757612U (zh) | 一种便于使用的辅助设备 | |
CN109512565A (zh) | 躯干康复治疗机 | |
CN219048871U (zh) | 一种超声介入可调节的手术头架 | |
CN215607122U (zh) | 一种术后手臂支撑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