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875B1 - 동물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동물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875B1
KR102465875B1 KR1020160165909A KR20160165909A KR102465875B1 KR 102465875 B1 KR102465875 B1 KR 102465875B1 KR 1020160165909 A KR1020160165909 A KR 1020160165909A KR 20160165909 A KR20160165909 A KR 20160165909A KR 102465875 B1 KR102465875 B1 KR 102465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jection
medicine
needl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287A (ko
Inventor
박태영
Original Assignee
박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영 filed Critical 박태영
Priority to KR1020160165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8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45Setting modes for dosing
    • A61M5/31548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61M5/3204Needle cap remover, i.e. devices to dislodge protection cover from needle or needle hub, e.g. deshie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8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varying, regulating, indicating or limiting injection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4Filling or re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50/00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관경을 가진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의 연결을 통해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 상기 길이조절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주사바늘부 및 약품통이 결합되며, 상기 길이조절부와 상기 주사바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길이조절부의 가압을 통해 상기 주사바늘부로 약품이 투입되는 약품투입부를 포함하는 동물용 주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물용 주사기{INJECTOR FOR AN ANIMAL}
실시예는 동물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주사시에만 주사 바늘이 돌출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물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나 돼지 등의 가축 도는 동물원에서 사육되는 각종 동물은 전염성 질병 등에 면역력을 지니도록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예방접종을 받거나 각종 질병에 걸린 경우 치료제 등을 접종하게 된다. 이러한 예방접종이나 치료제 드의 접종시에는 통상적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주사기를 사용하거나 주사액이 자동으로 분사되는 건 타입의 주사기에 약제를 넣어 동물에 직접 주사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회용 플라스틱 주사기나 건 타입의 주사기를 사용하는 경우 주사하는 접종자가 동물과 근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주사를 놓도록 되어 있어 소나 말, 돼지 등의 가축이나, 곰, 낙타, 기린 등의 대형 동물의 경우 주사과정에서 동물이 심하게 몸부림치거나 움직이면서 뒷발 등에 채여 심각한 안전사고를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사과정에서 안정적인 주사가 이뤄지지 않아 주사액이 일부 유실되거나 주사 바늘에 의해 동물이 상처를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362534호에서는 공기 압축실과 주사액 장전실, 이동성 고무박킹을 가지는 원거리 발사형 동물주사기가 등장하였다.
원거리 발사형 동물주사기는 상기 주사기의 후단에 삽입 설치되는 가스주입 및 차단용 라텍스고무, 상기 주사기의 후단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라텍스고무 이탈방지용 마개, 주사바늘의 주사액 분출구에 장착되어 주사액의 압출을 방지하는 실리콘마개를 포함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압축액화가스를 공기 압축실에 주입하고 주사액 장전실에는 약액을 주입한 후 별도의 발사장치에 원거리 발사형 동물주사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동물에 발사하면 전방의 주사 바늘이 동물에 박히면서 공기압축실의 압축액화가스에 의해 이동성 고무박킹이 전방으로 밀려 주사액 장전실의 약액이 주사바늘을 통해 주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어서, 반드시 별도의 발사장치를 구비해야 하며 압축액화가스를 공기압축실에 주입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약액을 주사액 장전실에 주입하기도 어려워 전체적인 사용이 불편하였다.
또힌. 종래기술은 발사장치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발사시 동물의 특정 접종부위에 정확하게 명중시시키 어렵고 동물의 뼈부분에 주사기가 맞는 경우에는 주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해당 동물의 뼈가 다쳐 심각한 부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62534호.
실시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주사시에만 주사 바늘이 돌출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물용 주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로 다른 관경을 가진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의 연결을 통해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 상기 길이조절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주사바늘부; 및 약품통이 결합되며, 상기 길이조절부와 상기 주사바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길이조절부의 가압을 통해 상기 주사바늘부로 약품이 투입되는 약품투입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조절부는 길이 조절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조절부 외측면에 연결되는 외벽, 및 상기 제2 조절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은 상기 볼의 유동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의 고정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볼이 상기 제2 조절부 내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사를 가지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벽은 제2 조절부의 외주면에 고정스프링으로 고정되어 상기 외벽의 이동시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벽의 내측면은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외벽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볼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고정홈에는 상기 제1 고정홈과 깊이 및 크기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품투입부는, 주입관을 구비하며, 약품통을 수용하는 커버부; 일측이 상기 주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약품통의 약품을 이송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약품을 상기 주사바늘부로 공급하기 위한 약품준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사바늘부는 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약품준비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바늘이 고정되는 주사부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바늘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보호캡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 내측면에는 지지턱이, 상기 몸체의 내측면 일 영역에 상기 지지턱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걸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호캡의 단부에 연결되는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지턱과 상기 걸림부사이에서 상기 몸체 내측면에 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와 상기 지지턱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위치하여 상기 보호캡이 가압되는 경우 상기 바늘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 조절부를 이용하여 동물의 크기에 따라 주사를 위한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사 바늘이 돌출구조로 마련되어 동물에 직접 주사하는 경우에만 바늘이 돌출되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주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인 길이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인 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구성요소인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구성요소인 약품투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약품투입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구성요소인 주사바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주사바늘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1 구성 요소도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주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주사기(1)는 길이조절부(100), 주사바늘부(300) 및 약품투입부(200)를 포함한다.
길이조절부(100)는 주사를 놓는 동물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동물과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한다.
주사바늘부(300)는 주사 바늘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동시 안전을 담보할 수 있으며, 가압시 바늘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주사바늘부(300)는 길이조절부(100)의 전방에 연결될 수 있다.
약품투입부(200)는 약품통이 결합되어 주사바늘부(300)로 약품액을 공급하게 된다. 약품투입부(200)는 길이조절부(100)와 주사바늘부(300) 사이에 위치하며, 길이조절부(100)의 가압을 통해 주사바늘부(300)로 약품이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아래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길이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길이조절부의 구성요소인 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길이조절부(100)는 서로 다른 관경을 구비하는 제1 조절부(110)와 제2 조절부(130)가 삽입되는 구조로 연결되며, 제2 조절부(130) 외측면에는 길이 조절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5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조절부(110)는 원통형의 관 구조로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홈(111)이 형성된다. 제1 고정홈(111)은 길이조절부(100)의 길이가 조절되는 간격을 나타내며, 제1 조절부(110) 외주면에 복수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일실싱예로, 제1 고정홈(111)은 제1 조절부(110)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곡선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볼(140)의 수용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홈(111)에는 제1 고정홈(111)과 깊이 및 크기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홈(112)은 고정부(150)에 구비되는 볼(140)이 안착하기 위한 것으로, 원하는 위치가 감지되는 회전을 통해 고정부(150)가 고정된다. 제2 고정홈(112)은 고정부(150)에 구비되는 볼(140)의 수에 따라 변형실시될 수 있다.
제2 조절부(130)는 제1 조절부(110)보다 관 내경이 넓은 관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조절부(110)는 제2 조절부(13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조절부(130)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1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영역에는 길이가 조절된 후 제1 조절부(110)와 제2 조절부(130)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150)는 제2 조절부(130) 외측면과 연결되는 원통형의 외벽(152), 제2 조절부(130) 외측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140)을 포함하며, 외벽(152)은 볼(140)의 유동을 조절하여 제1 조절부(110)와 제2 조절부(130)의 고정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제2 조절부(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136)이 형성되며, 수용홈(136)에는 구 형의 볼(140)이 위치할 수 있다. 수용홈(136)은 볼(140)이 제2 조절부(130) 내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36)에 위치하는 볼(140)은 별도의 장치가 없더라도 외벽(15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조절부(130) 외벽(15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부(134)가 위치하며, 이는 외벽(152)에 형성되는 제1 돌기부(153)와 결합하여 외벽(15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돌기부(153)와 제2 돌기부(134)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결합을 통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돌기부(153)와 제2 돌기부(134)는 일정폭 및 두께를 가지는 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외벽(152)은 제2 조절부(130) 외주면에 고정스프링(154)으로 고정되어 외벽(152)의 이동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외벽(152)은 제2 조절부(13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돌기부(153)와 제2 돌기부(134)의 결합을 통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외벽(152)에 외력이 제거되면, 외력은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볼(140)을 가압하게 된다.
외벽(152)의 내측면에는 경사부(156)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56)는 외벽(152)의 내측면을 높이가 다른 다단으로 구분한다. 경사부(156)를 기준으로 높이가 높은 부분, 즉 외벽(152)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은 외벽(152)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 볼(140)을 가압하게 되며, 볼(140)은 제1 조절부(110)의 제1 고정홈(111) 또는 제2 고정홈(112)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1 조절부(110)와 제2 조절부(130)는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경사부(156)를 기준으로 높이가 낮은 부분은 도 4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외벽(152)이 이동시 볼(14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며, 볼(140)의 움직임이 조절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길이조절부(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 조절부(110)와 제2 조절부(130)의 결합을 통해 구성되는 길이조절부(100)는 외벽(152)을 당긴 후,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볼(140)이 제1 고정홈(111)에 걸리게 되며, 볼(140)이 걸린 이후 외벽(152)에 가해지는 외력의 제거로 외벽(152)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려고 한다.
이후 제1 조절부(110)와 제2 조절부(130)를 회전하면, 볼(140)이 제2 고정홈(112)에 고정하게 되며, 외벽(152)은 고정스프링(154)의 작용으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약품투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약품투입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약품투입부(200)는 주입관(212)을 구비하며, 약품통을 수용하는 커버부(210), 일측이 주입관(212)과 연결되어 약품통의 약품을 이송하는 이송관(220) 및 이송관(220)의 타측과 연결되어 약품을 주사바늘부(300)로 공급하기 위한 약품준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10)는 약품통이 삽입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삽입되는 약품통의 외측 일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커버부(210) 중심의 일 영역에는 약품통에 삽입되어 약품을 공급받는 주입관(212)이 마련될 수 있다. 주입관(212)은 단부가 날카로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약품통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송관(220)은 약품통과 약품준비부(230)를 연결하여 약품이 약품준비부(230)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송관(220)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약품준비부(230)는 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측에 약품의 준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약품준비부(230)에 준비된 약품은 제1 조절부(110)의 가압을 통해 주사바늘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약품준비부(230)는 관 형상의 본체부(160)와 연결되며, 본체부(160)는 제1 조절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60)는 제1 조절부(110)와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한다.
약품준비부(230) 내부에는 가압을 통해 주사바늘부(300)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주입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약품주입부(170)는 일측이 제1 조절부(110)와 연결되며, 타측에는 헤드부(17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조절부(110)는 원형의 막대형상의 연결부(171)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171)의 일측은 제1 조절부(110)와 타측에는 헤드부(172)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172)는 약품준비부(230)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형상을 구비하며, 그 형상은 약품준비부(23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72)의 외주면, 즉 약품준비부(230)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부분에는 오링(173)이 연결될 수 있다. 오링(173)은 헤드부(172)가 약품준비부(230)를 가압하는 경우, 약품준비부(230)에 있는 약품이 제1 조절부(110)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고, 정해진 용량의 약품이 주사바늘부(300)를 통해 동물에게 공급되도록 한다.
이하, 약품준비부(230)에 준비된 약품이 주사바늘부(300)로 공급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부(160)와 제1 조절부(110)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동물에 대고 제1 조절부(110)를 가압하는 경우 제1 조절부(110)와 연결되는 연결부(171)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171) 상단의 헤드부(172)는 약품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주사바늘부(300)를 통해 동물로 약품을 공급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주사바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주사바늘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주사바늘부(300)는 몸체(310), 주사부본체(330) 및 보호캡(35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0)는 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부에 바늘(332)과 기타 구성요소들이 위치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몸체(310)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동물의 움직임에도 원형을 유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주사부본체(330)는 몸체(310) 내측에 위치하며, 일측은 약품준비부(230)와 연결되어 약품이 이송되며, 타측은 바늘(332)이 고정될 수 있다. 주사부본체(330)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보호캡(350)은 몸체(310)와 연결되고, 바늘(332)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352)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캡(350)은 가압시 이동되어 바늘(332)이 관통홀(352)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연결을 통해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보호캡(350)의 형상은 바늘(332)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꼬깔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호캡(350)은 몸체(310)와 연결되어 탄성복원력을 가진다.
일실시예로, 몸체(310) 내측면에는 지지턱(314)이 구비되며, 몸체(310) 내측면의 일 영역에는 지지턱(314)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걸림부(312)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턱(314)은 내측에 돌출되는 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걸림부(312)와 지지턱(314) 사이에는 탄성스프링(320)이 위치하게 된다. 걸림부(312)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며, 몸체(310)에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별개의 돌기가 돌출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보호캡(350)의 단부에는 이탈방지부가 연결되며, 이탈방지부는 지지턱(314)과 걸림부(312) 사이에서 몸체(310) 내측면에 닿도록 배치되며, 이탈방지부와 지지턱(314) 사이에는 탄성스프링(320)이 위치하여 보호캡(350)이 가압되는 경우 보호캡(350)이 몸체(310) 내부로 이동하여 바늘(332)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보호캡(35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스프링(320)의 복원력에 의해 보호캡(350)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동물용 주사기
100 : 길이조절부 110 : 제1 조절부
111 : 제1 고정홈 112 : 제2 고정홈
130 : 제2 조절부 132 : 손잡이
134 : 제2 돌기부 136 : 수용홈
140 : 볼 150 : 고정부
152 : 외벽 153 : 제1 돌기부
154 : 고정스프링 156 : 경사부
160 : 본체부 170 : 약품주입부
171 : 연결부 172 : 헤드부
173 : 오링
200 : 약품투입부 210 : 커버부
212 : 주입관 220 : 이송관
230 : 약품준비부
300 : 주사바늘부 310 : 몸체
312 : 걸림부 314 : 지지턱
320 : 탄성스프링 330 : 주사부본체
332 : 바늘 350 ; 보호캡
352 : 관통홀

Claims (9)

  1. 서로 다른 관경을 가진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의 연결을 통해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
    상기 길이조절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주사바늘부; 및
    약품통이 결합되며, 상기 길이조절부와 상기 주사바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길이조절부의 가압을 통해 상기 주사바늘부로 약품이 투입되는 약품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조절부는 길이 조절 후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조절부 외측면에 연결되는 외벽, 및
    상기 제2 조절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은 상기 볼의 유동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의 고정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볼이 상기 제2 조절부 내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사를 가지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벽은 제2 조절부의 외주면에 고정스프링으로 고정되어 상기 외벽의 이동시 원상태로 복귀하고,
    상기 외벽의 내측면은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외벽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볼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주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홈에는 상기 제1 고정홈과 깊이 및 크기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주사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투입부는,
    주입관을 구비하며, 약품통을 수용하는 커버부;
    일측이 상기 주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약품통의 약품을 이송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약품을 상기 주사바늘부로 공급하기 위한 약품준비부;
    를 포함하는 동물용 주사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부는
    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약품준비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바늘이 고정되는 주사부본체; 및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바늘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보호캡
    을 포함하는 동물용 주사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측면에는 지지턱이, 상기 몸체의 내측면 일 영역에 상기 지지턱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걸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호캡의 단부에 연결되는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지턱과 상기 걸림부사이에서 상기 몸체 내측면에 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와 상기 지지턱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위치하여 상기 보호캡이 가압되는 경우 상기 바늘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주사기.
KR1020160165909A 2016-12-07 2016-12-07 동물용 주사기 KR102465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909A KR102465875B1 (ko) 2016-12-07 2016-12-07 동물용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909A KR102465875B1 (ko) 2016-12-07 2016-12-07 동물용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287A KR20180065287A (ko) 2018-06-18
KR102465875B1 true KR102465875B1 (ko) 2022-11-10

Family

ID=6276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909A KR102465875B1 (ko) 2016-12-07 2016-12-07 동물용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8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948B1 (ko) * 2016-01-27 2018-10-25 이미행 동물용 주사기
KR102222894B1 (ko) 2020-06-01 2021-03-03 유승모 원거리 자동주사기
KR102404401B1 (ko) 2020-06-16 2022-05-31 유승모 동물주사용 주사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577B1 (ko) * 2012-04-26 2013-06-18 김경원 등산용 스틱
KR101673283B1 (ko) * 2016-10-11 2016-11-07 이동열 동물용 원거리 연속주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609A (ko) * 1992-09-08 1994-04-25 남영희 일회용 주사기의 안전캡
KR200362534Y1 (ko) 2004-05-20 2004-09-21 신현수 압축 액체가스를 응용한 원거리 동물주사기 및 반투명연질실리콘 덮개를 씌운 주사바늘
KR101470060B1 (ko) * 2011-12-22 2014-12-10 이경재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577B1 (ko) * 2012-04-26 2013-06-18 김경원 등산용 스틱
KR101673283B1 (ko) * 2016-10-11 2016-11-07 이동열 동물용 원거리 연속주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287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875B1 (ko) 동물용 주사기
US55495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in solid form
KR200459867Y1 (ko) 동물용 원거리 주사장치
US8790293B2 (en) Injector apparatus with fixed plunger and method of use
KR101673283B1 (ko) 동물용 원거리 연속주사장치
US6584910B1 (en) Animal syringe system
JP2005516737A5 (ko)
US20110282279A1 (en) Passive Reuse Prevention Syringe That Uses a Flange Lock
WO2006057604A8 (en) Injection device
KR101397129B1 (ko) 약액 주사장치
KR102209279B1 (ko) 동물용 연속주사기 보조장치
BRPI0713418A2 (pt) sistema de frasco e método para injetor desprovido de agulha
US20150352285A1 (en) Injection dart
KR102077445B1 (ko) 동물용 주사기 보조장치
KR101352838B1 (ko) 동물용 연속 주사장치
US10413669B2 (en) Disposable injector having a sound-proofing layer
JP2022119971A (ja) 無針注射装置用注射ノズル
KR102194415B1 (ko) 동물용 주사장치
US112533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single sensor action plate
CN108294842B (zh) 一种快捷给狗打针辅助工具
CN219983614U (zh) 触发式动物处理设备及动物处理系统
CN209827089U (zh) 实验用动物麻醉药品的注射工具
KR102467542B1 (ko) 동물용 연속주사기
KR102034927B1 (ko) 캡이 설치되는 안전주사기
KR20130004257U (ko) 동물 주사기용 아답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