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401B1 - 동물주사용 주사건 - Google Patents

동물주사용 주사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401B1
KR102404401B1 KR1020200073214A KR20200073214A KR102404401B1 KR 102404401 B1 KR102404401 B1 KR 102404401B1 KR 1020200073214 A KR1020200073214 A KR 1020200073214A KR 20200073214 A KR20200073214 A KR 20200073214A KR 102404401 B1 KR102404401 B1 KR 102404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injection
chemical liquid
needl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680A (ko
Inventor
유승모
Original Assignee
유승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모 filed Critical 유승모
Priority to KR102020007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401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61D1/02Trocars or cannulas for teats; Vaccination appliances
    • A61D1/025Vaccinat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4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connected to external reservoirs for multiple re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50/00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주사기의 작동이나 가축 등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방역작업 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동물주사용 주사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단을 통해 주사바늘(51)이 직접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상기 주사바늘(51)이 결합된 일정 길이의 연장파이프(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형태의 외장바디(11)와; 상기 외장바디(11)의 후단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체(12)와; 상기 작동체(12)에 내장되어 슬라이드 작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9)과; 상기 작동체(12)의 하부에 기역자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된 손잡이(13)와; 상기 외장바디(11)에 내장되어 상기 주사바늘(51)에 연통되는 약액실린더(16)와, 상기 약액실린더(16)의 내외로 약액을 흡출하도록 상기 작동체(12)에 의해 왕복작동되는 피스톤(17)과, 상기 외장바디(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약액통(20)이 장착되도록 상기 약액실린더(16)의 일측에 연통 형성된 장착캡(18)으로 구성된 주사유닛(14)을 포함하는 동물주사용 주사건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동물주사용 주사건{Animal injection gun}
본 발명은 동물주사용 주사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주사기의 작동이나 가축 등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방역작업 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동물주사용 주사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나 돼지 등과 같은 가축을 포함한 동물의 방역작업 과정에서는 주사를 놓기 위해 사람이 다가가게 되면 동물이 놀라거나 도망갈 우려가 있음으로 인해, 주사시에 동물이 심리적으로 안정되면서도 방역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람이 지나치게 다가가지 않은 상태에서도 주사가 가능한 원거리 주사기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원거리 주사기의 일례로는 주사액이 담기는 약액통을 실린더 상에 장착하여 주사액을 가축에게 주사하도록 작동되는 주사유닛과, 이 주사유닛이 선단에 장착된 상태로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봉을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손잡이봉은 작업자가 그립한 상태로 가축에게 주사할 때에 미는 과정에서 주사유닛의 실린더 상에 장착되는 피스톤을 가압하여 약액이 주입되도록 작동되고, 다단의 봉구조로 이루어져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주사기는 손잡이봉의 선단에 약액통을 포함한 주사유닛이 장착된 구조로, 이는 주사기의 헤드부분이 손잡이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게 형성됨으로 인해, 작업자가 반복적으로 주사하는 과정에서 힘이 더 들게 되어 작업상의 불편함이 따르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손잡이봉은 일자형태로 연장된 구조로 구비되어 그립감이나 주사시에 힘을 가하여 미는 데에 다소 불편함이 따를 수 있는 것이며, 종래에는 주사유닛을 제작할 때에 수지재질에 의해 실린더와 이에 부피가 큰 약액통을 일체로 성형 제작하고, 실린더의 단부에 약액통에 근접되어 주사바늘을 나사체결하는 구조로 구비되는데, 이는 주사유닛의 실린더의 재질 자체나 구조적인 취약성으로 인해 주사바늘의 체결부위가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5287호(2018. 06. 1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장치의 무게중심을 안정되게 형성하여 주사기의 작동이나 사용 및 가축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방역작업 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동물주사용 주사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주사바늘(51)이 구비된 니들유닛(50)이 선단에 직접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상기 주사바늘(51)이 결합된 일정 길이의 연장파이프(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형태의 외장바디(11)와;
상기 외장바디(11)의 후단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체(12)와;
상기 작동체(12)에 내장되어 슬라이드 작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9)과;
상기 작동체(12)의 하부에 기역자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된 손잡이(13)와;
상기 외장바디(11)에 내장되어 상기 주사바늘(51)에 연통되는 약액실린더(16)와, 상기 약액실린더(16)의 내외로 약액을 흡출하도록 상기 작동체(12)에 의해 왕복작동되는 피스톤(17)과, 상기 외장바디(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약액통(20)이 장착되도록 상기 약액실린더(16)의 일측에 연통 형성된 장착캡(18)으로 구성된 주사유닛(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주사용 주사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장바디(11)와 작동체(12)는 상기 피스톤(17)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바(21)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로 슬라이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주사용 주사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장바디(11)에는 일측에 상기 피스톤(17)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된 조절공(22)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17)은 상기 약액실린더(16)에 결합되는 헤드부(23)와, 상기 헤드부(23)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작동체(12)에 결합되는 로드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17) 상에는 상기 약액실린더(16) 상에서 헤드부(23)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하도록 상기 로드부(24) 상에 나사체결된 조절부싱(25)이 구비되되, 상기 조절부싱(25)은 상기 조절공(22)을 통해 수동조작에 의해 조이거나 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주사용 주사건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바디(11)에 의해 주사유닛(14)을 내장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통상적으로 수지성형물로 제공되는 주사유닛(14)을 외장바디(11)에 의해 보호하여 장치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손잡이(13)가 구비된 주사건(10) 자체를 손으로 그립한 상태로 주사작업이 가능하여 약액통(20)과 같이 어느 정도의 무게가 있는 부분이 작업자 측에 위치됨에 따라, 종래와 같은 주사기의 선단무게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주사과정에서의 처짐이나 작업자의 하중부담을 줄여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바디(11)와 작동체(12)를 가이드바(21)에 의해 상호 연결함에 따라, 작동체(12)의 슬라이드 작동을 가이드바(21)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주사과정에서의 작동체(12)나 피스톤(17)의 왕복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바디(11) 상에 형성된 조절공(22)을 통해 내부의 피스톤(17)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17)의 헤드부(23) 위치에 따라 약액실린더(16) 내부에 충전되는 약액의 양을 조절하여 동물에 따라 주사량을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건(10)은 전체적인 형상이 통상의 권총과 같이 기역자 형태로 구비되어 약액통(20)을 장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잡이(13)를 그립하여 주사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약액통(20)이 장착되는 외장바디(11) 상에 상기 손잡이(13)가 형성된 작동체1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사건(10)은 도 1의 (a)와 같이 주사바늘(51)이 직접적으로 장착되거나 도 1의 (b)와 같이 일정 길이로 된 연장파이프(3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도 2와 도 3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건(10) 상에 주사바늘(51)이 직접적으로 장착하는 경우에는 주사바늘(51)이 구비된 니들유닛(50)이 외장바디(11)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외장바디(11)와 니들유닛(50) 상에는 상호 대응된 커넥터(15,53)가 구비된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건(10) 상에 일정 길이의 연장파이프(3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연장파이프(30)의 일단이 주사건(10)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에 상기 니들유닛(50)이 장착되고, 상기 연장파이프(30) 내에 주사건(10)으로부터 니들유닛(50)에 연결되는 액관(40)이 내장되는데, 상기 연장파이프(3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 파이프(31)와 제2 파이프(32)가 다른 커넥터(33)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거나 상기 액관(40)의 일부에 코일관부(41)를 형성하여 관꼬임 등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주사건(10)에는 상기 작동체(12)의 슬라이드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21)가 구비되고, 상기 외장바디(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약액통(2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착캡(18)과, 측면에 장공형태의 조절공(22)이 형성되어 내부구성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되는데, 이를 포함한 세부적인 구성 및 작동상태 등을 도 4 내지 도 6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건(10)은 양단이 개방된 관형태의 외장바디(11)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선단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니들유닛(50)이나 연장파이프(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15)가 구비되고, 후단에 상기 작동체(12)가 결합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커넥터(15)는 조임나사와 같은 조임방식이거나 걸림볼(15a)과 원터치캡(15b) 등에 의한 걸림구조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작동체(12)는 손잡이(13)가 형성된 기역자 형태로 구비되어 내장된 스프링(19)에 의해 탄성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장바디(11) 상에는 약액을 주사바늘(51)을 통해 분출시키기 위한 주사유닛(14)이 내장되고, 상기 주사유닛(14) 측에 약액을 공급하기 위한 약액통(20)이 외부 일측에 장착되는데, 상기 주사유닛(14)은 약액통(20)으로부터 일정량의 약액이 충전되도록 된 약액실린더(16)와, 이 약액실린더(16) 상에 약액을 흡입 또는 분출하도록 된 피스톤(17) 및 상기 약액통(20)을 체결하기 위한 장착캡(1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주사유닛(14)은 통상적으로 수지성형물로 제공되는 것으로, 이는 자체의 강성이 취약하여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파손의 염려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여 장치를 보호하도록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강성을 갖는 외장바디(11)를 제작하여 주사유닛(14)을 내장하도록 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캡(18)은 약액실린더(16)의 외주상에 상향 돌출되게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 이 장착캡(18)은 외장바디(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약액통(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된 것이고, 이를 약액실린더(16)를 내장 설치하기 위한 외장바디(11)는 복수개의 관체를 상호 결합하거나 상기 장착캡(18)에 대응된 절개공(27)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17)은 약액실린더(16) 내에 약액을 흡입 또는 분출하도록 왕복운동하는 헤드부(23)와 이 헤드부(23)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로드부(24)로 구성되는데, 상기 로드부(24)의 단부는 고정핀(28) 등에 의해 작동체(12) 상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외장바디(11) 측에는 작동체(12)의 작동중에 상기 고정핀(28)이 간섭되지 않도록 슬라이드공(29)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약액통(20)의 일측에는 피스톤(17)의 로드부(24)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바(21)가 설치되는데, 이 가이드바(21)는 일단이 상기 외장바디(11)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작동체(12)에 형성된 가이드홀(60) 상의 볼부싱(61)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17) 상에는 상기 로드부(24)의 외주상에 나사산(26)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부(24) 상에 나사산(26)에 체결되는 조절부싱(25)이 결합되는데, 이 조절부싱(25)은 외장바디(11) 상에 형성된 조절공(22)을 통해 수동조작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 5와 도 6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건(10)은 작업자가 손잡이(13)를 손으로 그립한 상태로 작동체(12)를 밀게 되면, 상기 작동체(12)에 고정 결합된 피스톤(17)이 일체로 밀리면서 약액실린더(16) 내의 약액을 주사바늘(51)로 분출시키게 되고, 주사 이후에 작동체(12)가 스프링(19)에 의해 탄성 복원되는 과정에서 피스톤(17)이 후퇴되면서 약액통(20)의 약액을 약액실린더(16) 내로 흡입하게 된다.
이러한 피스톤(17)의 왕복운동 과정에서는 상기 가이드바(21)에 의해 작동체(12)를 직선적으로 안내함에 따라, 주사과정에서 힘의 불균일에 따른 작동체(12)나 이에 접촉되는 외장바디(11) 부분의 편마모 등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슬라이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바디(11)의 일측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조절공(22)이 형성되고, 이 조절공(22)을 통해 상기 조절부싱(25)의 일부가 노출되는데, 작업자가 조절부싱(25)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나사체결된 피스톤(17)의 로드부(24)가 전후진되게 된다.
이러한 조절과정에서는 상기 로드부(24)에 고정 결합된 작동체(12)가 전체적으로 전후진되고, 상기 스프링(19)의 탄성력이 미세하게 조정되기는 하나,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로 상기 약액실린더(16) 내에서의 피스톤(17)의 헤드부(23)의 위치가 전진 또는 후진된 상태로 조절되어 약액의 흡입량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는 가축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1회 주사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상기 조절부싱(25)의 수동조작시에 회전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외장바디(11)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턱(62)과 이에 대응된 조절부싱(25)의 플랜지부(63)를 나타낸 것이고, 다른 부호는 니들유닛(50) 상에 구비되어 주사상태를 표시하도록 된 마킹캡(52)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주사건 11: 외장바디
12: 작동체 13: 손잡이
14: 주사유닛 15: 커넥터
16: 약액실린더 17: 피스톤
18: 장착캡 19: 스프링
20: 약액통 21: 가이드바
22: 조절공 23: 헤드부
24: 로드부 25: 조절부싱
26: 나사산 28: 고정핀
30: 연장파이프 40: 액관
50: 니들유닛 51: 니들유닛
51: 주사바늘 60: 가이드홀
61: 볼부싱

Claims (3)

  1. 주사바늘(51)이 구비된 니들유닛(50)이 선단에 직접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상기 주사바늘(51)이 결합된 일정 길이의 연장파이프(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형태의 외장바디(11)와;
    상기 외장바디(11)의 후단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체(12)와;
    상기 작동체(12)에 내장되어 슬라이드 작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9)과;
    상기 작동체(12)의 하부에 기역자 형태를 이루도록 연장된 손잡이(13)와;
    상기 외장바디(11)에 내장되어 상기 주사바늘(51)에 연통되는 약액실린더(16)와, 상기 약액실린더(16)의 내외로 약액을 흡출하도록 상기 작동체(12)에 의해 왕복작동되는 피스톤(17)과, 상기 외장바디(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약액통(20)이 장착되도록 상기 약액실린더(16)의 일측에 연통 형성된 장착캡(18)으로 구성된 주사유닛(14)을 포함하며;
    상기 외장바디(11)와 작동체(12)는 상기 피스톤(17)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바(21)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로 슬라이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주사용 주사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바디(11)에는 일측에 상기 피스톤(17)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된 조절공(22)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17)은 상기 약액실린더(16)에 결합되는 헤드부(23)와, 상기 헤드부(23)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작동체(12)에 결합되는 로드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17) 상에는 상기 약액실린더(16) 상에서 헤드부(23)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하도록 상기 로드부(24) 상에 나사체결된 조절부싱(25)이 구비되되, 상기 조절부싱(25)은 상기 조절공(22)을 통해 수동조작에 의해 조이거나 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주사용 주사건.
KR1020200073214A 2020-06-16 2020-06-16 동물주사용 주사건 KR102404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14A KR102404401B1 (ko) 2020-06-16 2020-06-16 동물주사용 주사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14A KR102404401B1 (ko) 2020-06-16 2020-06-16 동물주사용 주사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680A KR20210155680A (ko) 2021-12-23
KR102404401B1 true KR102404401B1 (ko) 2022-05-31

Family

ID=7917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214A KR102404401B1 (ko) 2020-06-16 2020-06-16 동물주사용 주사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4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838B1 (ko) 2012-10-26 2014-01-20 이동열 동물용 연속 주사장치
KR101507361B1 (ko) 2014-04-09 2015-04-01 주식회사 려암 구조 개선된 동물용 주사기
KR101673283B1 (ko) * 2016-10-11 2016-11-07 이동열 동물용 원거리 연속주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329B1 (ko) * 2002-02-04 2004-08-02 주식회사 엠아이텍 가축용 주사기
KR102465875B1 (ko) 2016-12-07 2022-11-10 박태영 동물용 주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838B1 (ko) 2012-10-26 2014-01-20 이동열 동물용 연속 주사장치
KR101507361B1 (ko) 2014-04-09 2015-04-01 주식회사 려암 구조 개선된 동물용 주사기
KR101673283B1 (ko) * 2016-10-11 2016-11-07 이동열 동물용 원거리 연속주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680A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832B1 (ko) 후방충전식 주사기
KR101673283B1 (ko) 동물용 원거리 연속주사장치
US4642099A (en) Injector
US5364362A (en) Front syringe attachment for hypodermic syringes for subcutaneous injection in veterinary medicine
US4676781A (en) Injector
CN102026730B (zh) 喷射装置器械
EG23689A (en) Guard mechanism attachable to standard syringes tomake them into disposable automatic safety syring es and relative disposable automatic safety syringe
US2074401A (en) Drench syringe for veterinary use
US10434257B2 (en) Powered injection device for delivering multiple liquid formulations, including vaccines
KR102404401B1 (ko) 동물주사용 주사건
ATE387924T1 (de) Sicherheitsnadel mit flügeln
CN107158521B (zh) 固定排气并可重复使用的定量注射装置
CN109966593B (zh) 可自主取药的无针注射器
KR102222894B1 (ko) 원거리 자동주사기
CN102772268A (zh) 一种长臂注射器
CN211834863U (zh) 一种畜牧兽医用枪式注射器
CN204562461U (zh) 横握式禽用定量输精器
CN216060871U (zh) 一种可调节的兽医用长柄注射枪
CN110916843A (zh) 断喙注射装置
CN215130828U (zh) 一种兽用注射器
CN215606555U (zh) 一种畜牧养殖灌药装置
CN210992299U (zh) 一种新型的注射手柄
CN216090922U (zh) 一种畜牧兽医用灌药器
CN213552617U (zh) 一种便于控制量程的畜牧兽医用注射器
KR0134310Y1 (ko) 동물용 연속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