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060B1 -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 - Google Patents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060B1
KR101470060B1 KR1020110140048A KR20110140048A KR101470060B1 KR 101470060 B1 KR101470060 B1 KR 101470060B1 KR 1020110140048 A KR1020110140048 A KR 1020110140048A KR 20110140048 A KR20110140048 A KR 20110140048A KR 101470060 B1 KR101470060 B1 KR 10147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animal
cylinder
liquid supply
ino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567A (ko
Inventor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이경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재 filed Critical 이경재
Priority to KR102011014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060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61D1/02Trocars or cannulas for teats; Vaccination appliances
    • A61D1/025Vaccinat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용 근거리 접종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접종자가 접종대상 동물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도 접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접종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종과정에서 동물이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함은 물론 접종자의 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후측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고 내부에는 접종약액이 수용되어 있는 약액공급부, 후단부가 상기 약액공급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이동로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직선이동이 가능한 약액공급관, 상기 배출공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약액공급관의 전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주사바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INOCULATION DEVICE FOR ANIMAL}
본 발명은 동물의 접종시 사용되는 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람이 동물과 충분히 떨어진 지점에서도 접종이 가능하도록 하여 접종이 신속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이나 애완동물은 질병예방 및 치료를 위한 접종을 실시한다.
이러한 동물의 접종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주사기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일반 주사기를 사용할 경우 사람이 해당 동물을 손으로 잡은 상태로 접종하거나 최소한 아주 가까운 지점까지 접근해야만 한다.
하지만 소 돼지 등의 가축일 경우 사람의 접근을 피해 도망치기 때문에 접종이 쉽지 않고 해당 동물도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접종을 위해 동물을 포획하는 과정이나 접종순간의 통증에 의해 해당 동물이 사람을 공격하여 다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0134310호(1998.10.2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접종자가 접종대상 동물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도 접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접종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종과정에서 동물이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함은 물론 접종자의 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후측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고 내부에는 접종약액이 수용되어 있는 약액공급부, 후단부가 상기 약액공급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이동로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직선이동이 가능한 약액공급관, 상기 배출공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약액공급관의 전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주사바늘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후단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전단부가 접종대상 동물에 접촉되어 가압되었을 때 쉽게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액공급관은 전단부가 상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이 가능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다중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텔레스코픽 구조로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접종자가 동물로부터 실린더의 길이만큼 충분히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 단순히 실린더 전단부를 동물에 접촉시킴과 동시에 주사바늘이 동물에 꽂히기 때문에 손쉬고 신속한 접종이 가능하고 동물의 공격시 다칠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주사바늘이 꽂혀진 상태에서 동물이 앞으로 이동할 경우 약액공급관이 실린더의 배출공으로 부터 인출되기 때문에 주사바늘이 빠지거나 약액공급관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전체 측단면도
도2는 실린더의 절개 사시도
도3은 실린더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4는 접종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5는 접종과정에서 동물이 이동하였을 때 약액공급관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실린더(100)와 약액공급부(200), 약액공급관(300) 및 주사바늘(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실린더(100)는 원거리 접종을 위한 거리 유지기능 및 실질적인 주사기 실린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중공관 형태이고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약액공급관(300)이 삽입될 삽입공(110)이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약액공급관(300)의 인출 및 주사바늘(500)의 설치를 위한 배출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에는 배출공(120) 및 삽입공(110)과 연결된 이동로(130)가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공(120)의 둘레에는 걸림턱122)이 형성되고 후단부 테두리에는 손잡이(140)가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공(110)은 손잡이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린더(100)는 접종 시 접종자가 동물과 충분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제작되며 실리콘 등의 연질재로 이루어져 자체적으로 쉽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접종대상 동물은 종류에 따라 접종자에 대한 경계성이 틀리기 때문에 실시실린더(100)의 길이는 특정치수로 한정되지 않고 접종대상 동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는 [도 1]처럼 항시 일정한 길이를 유지한 상태로 제작되거나, [도 3]처럼 다중관 구조로 구현되어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일명 '텔레스코픽'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렇게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경우 주변환경이나 동물의 종류에 따라 접종자와 해당 동물 간의 적정 접종거리를 설정할 수 있어, 접종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길이를 최소화 시킨 상태로 휴대할 수 있어 휴대가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실린더(100)에는 약액공급부(200)가 연결된다.
약액공급부(200)는 접종에 필요한 약액이 수용됨과 동시에 약액주입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약액용기(210)와 약액주입건(220)을 포함한다.
그 중 약액용기(210)는 약액이 실제 수용되는 부분으로 일측에는 약액의 주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약액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약액주입건(220)은 약액용기 내 약액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약액용기(210)가 설치되는 설치본체(222) 및 약액용기(210) 내 약액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레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약액용기(210)가 설치본체(222)에 설치된 상태에서 토출레버(224)를 작동시키면 약액용기(210)의 약액배출구(미도시)가 개방됨과 동시에 약액이 설치본체(222)의 토출구(2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약액공급부(200)의 구조는 특정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약액분사건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약액의 배출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약액공급부(200)는 실린더(100) 외부에 위치되어 접종자 몸에 착용되거나 손으로 들도 있는 형태로 위치된다.
약액공급부(200)에는 약액공급관(300)이 연결된다.
약액공급관(300)은 약액공급부(200)로부터 배출된 약액이 후술하는 주사바늘(500)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공급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기다란 고무관 형태이고 후단부는 약액공급부(200)의 토출구(223)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전단부를 비롯한 일부 구간이 실린더(100)의 삽입공(110)으로 삽입된 뒤 이동로(130)를 지나 전단부가 배출공(120) 내에 위치된 상태로 실린더 내에 배설된다.
이러한 약액공급관(300)은 삽입공(110) 입구와 약액공급부(200) 사이 구간은 충분한 여유길이를 갖도록 하여, 접종과정에서 약액공급관(300)이 실린더(100)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때 충분한 인출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약액공급관(300)의 전단부에는 후술하는 주사바늘(500)의 연결을 위한 어댑터(400)가 형성되는데, 어댑터(400)는 실린더(100)의 배출공(120) 앞쪽에 위치되되 직경이 배출공(120)보다 크게 제작된다.
따라서 약액공급관(300)을 뒤쪽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어댑터(400)가 걸림턱122)에 걸려 배출공(120)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어댑터(400)에는 주사바늘(500)이 나사체결구조를 통해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주사바늘(500)은 단부가 실린더(100)의 전단부로부터 인출된 형태로 위치된다.
참고로 주사바늘(500)과 어댑터(400)간 체결구조는 나사체결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주사바늘(500)의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한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접종자(2)는 접종 시 한쪽 손으로는 손잡이(140)를 이용해 실린더(100)를 들고 다른 손으로는 약액공급부(200)를 들고 있는 상태로 접종대상 동물(1) 주변에 위치한다.
이때 접종자(2)는 해당 동물(1)로부터 실린더(100)의 길이만큼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그 상태에서 실린더(100)의 전단부를 해당 동물(1)에 표면에 접촉시키면 이와 동시에 주사바늘(500)이 해당 동물 피부에 꽂히게 된다.
그리고 이 순간 약액공급관(300)의 토출레버(224)를 작동시키면 약액이 약액공급관(300)을 통해 이동하여 주사바늘을 통해 동물 신체 내부로 공급되어 접종이 완료된다.
이때 주사바늘(500)이 동물 피부에 꽂히고 약액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해당 동물이 놀라 앞쪽으로 이동할 경우 약액공급관(300)도 앞쪽으로 당겨진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약액공급관(300)은 실린더의 배출공 외부에 충분한 여유 길이를 확보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약액공급관(300)이 실린더의 배출공(120)을 통해 동물(1)의 이동거리만큼 원활히 인출된다.
따라서 약액이 공급되기 전에 주사바늘이 동물(1)로부터 뽑히거나 약액공급관(300)이 끊어지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실린더(100)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접종과정에서 동물(1)이 뒤쪽으로 이동하여 실린더(100) 전단부가 뒤쪽으로 눌려지더라도 자체적으로 휘어짐에 따라, 실린더가 부러지는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동물에 가해지는 통증도 최소화 된다.
그리고 접종이 완료되면 접종자가 그 자리에서 약액공급관(300)을 뒤로 당기면 주사바늘(500)이 동물(1)로부터 뽑힘과 동시에 실린더 전단부로 다시 복귀되고, 이 과정에서 어댑터(400)가 걸림턱122)에 걸림에 따라 주사바늘(500)이 실린더 내부로 들어오지 않게 된다.
그 후 주사바늘(500)을 어댑터(400)로부터 분리시켜 교체한 후 다시 앞의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타 동물의 접종이 진행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실린더(100)를 통해 접종자가 해당 동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상태에서 접종이 가능하므로, 과도한 근접에 의한 동물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자연스레 접종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동물과 접종자 간의 충돌로 인한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도 3]처럼 실린더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경우 주변환경이나 접종대상 동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 접종거리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그만큼 접종이 더욱 편리해짐은 물론, 실린더의 길이를 최소화 시킨 상태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효과도 갖는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약액공급관이 실린더를 관통하도록 하고 접종자가 접종대상 동물로부터 실린더의 길이만큼 원거리 지점에서 접종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접종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실린더 110 : 삽입공
120 : 배출공 122 : 걸림턱
130 : 이동로 140 : 손잡이
200 : 약액공급부 210 : 약액용기
220 : 약액주입건 222 : 설치본체
223 : 토출구 224 : 토출레버
300 : 약액공급관 400 : 어댑터
500 : 주사바늘 1 : 접종대상 동물
2 : 접종자

Claims (5)

  1. 후측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고 내부에는 접종약액이 수용되어 있는 약액공급부,
    후단부가 상기 약액공급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을 통해 상기 이동로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직선이동이 가능한 약액공급관,
    상기 배출공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약액공급관의 전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주사바늘
    을 포함하는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실린더의 후단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실린더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전단부가 접종대상 동물에 접촉되어 가압되었을 때 휘어지는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약액공급관은 상기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가능한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실린더는 다중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텔레스코픽 구조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

KR1020110140048A 2011-12-22 2011-12-22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 KR10147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048A KR101470060B1 (ko) 2011-12-22 2011-12-22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048A KR101470060B1 (ko) 2011-12-22 2011-12-22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567A KR20130072567A (ko) 2013-07-02
KR101470060B1 true KR101470060B1 (ko) 2014-12-10

Family

ID=4898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048A KR101470060B1 (ko) 2011-12-22 2011-12-22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875B1 (ko) * 2016-12-07 2022-11-10 박태영 동물용 주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310Y1 (ko) * 1996-03-19 1999-02-01 박지훈 동물용 연속주사기
KR200459867Y1 (ko) * 2011-12-30 2012-04-20 이동열 동물용 원거리 주사장치
KR101247329B1 (ko) * 2012-09-04 2013-03-26 김도경 동물용 주사기
KR200466887Y1 (ko) * 2012-07-17 2013-05-10 최재영 동물용 연속 주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310Y1 (ko) * 1996-03-19 1999-02-01 박지훈 동물용 연속주사기
KR200459867Y1 (ko) * 2011-12-30 2012-04-20 이동열 동물용 원거리 주사장치
KR200466887Y1 (ko) * 2012-07-17 2013-05-10 최재영 동물용 연속 주사기
KR101247329B1 (ko) * 2012-09-04 2013-03-26 김도경 동물용 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567A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8445B2 (en) Injection apparatus
KR101397129B1 (ko) 약액 주사장치
CN204428195U (zh) 畜用连续注射器
KR101470060B1 (ko) 동물용 원거리 접종장치
CN202386819U (zh) 连续注射器
WO2012008842A1 (en) Device for injection
CN104921762A (zh) 一种用于气管镜的内镜穿刺取样针
CN108653879B (zh) 一种猪疫苗接种方法
CN210301920U (zh) 一种注射器
KR101723177B1 (ko) 가온장치가 장착된 자동연속주사기 및 그의 사용방법
CN102293687B (zh) 一种兽医长臂连续注射器
CN202211763U (zh) 一种兽医长臂连续注射器
CN205268334U (zh) 一种兽用多功能连续注射器
CN211158020U (zh) 一种麻醉科临床用局部麻醉装置
KR101254705B1 (ko) 동물 난소 기능 불활화를 위한 약물 주입기구
CN208611041U (zh) 一种新型奶牛结核病检疫注射装置
KR101163953B1 (ko) 가축용 주사장치
CN211131508U (zh) 一种牲畜医用注射装置及一种自动打针装置
CN206777582U (zh) 安全静脉留置针
CN211271380U (zh) 一种动物用吹管注射器
CN201453774U (zh) 犬猫类动物免疫注射装置
CN219983614U (zh) 触发式动物处理设备及动物处理系统
CN219461515U (zh) 一种兽用注射器
CN204446177U (zh) 一种导管式鱼用注射器
CN219814410U (zh) 一种兽用注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