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566B1 -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566B1
KR102465566B1 KR1020220106579A KR20220106579A KR102465566B1 KR 102465566 B1 KR102465566 B1 KR 102465566B1 KR 1020220106579 A KR1020220106579 A KR 1020220106579A KR 20220106579 A KR20220106579 A KR 20220106579A KR 102465566 B1 KR102465566 B1 KR 102465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scattering
condenser
water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택
Original Assignee
오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택 filed Critical 오성택
Priority to KR1020220106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Ventil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2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condensate, e.g. for enhan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기의 상부에 장착되어 승강기 내부로 냉풍을 공급하는 에어컨의 경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결로수를 응축기로 분사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때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거나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결로수를 분사하고 결로수에 형성된 오염물질이 결로수와 함께 재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와 압축된 기체상태의 냉매가 액체상태로 변하면서 방출하는 응축잠열을 대기와 열교환시키는 응축기와 액체 상태의 냉매를 팽창시켜 분무화하는 팽창밸브와 팽창된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체상태로 변하면서 흡수하는 증발잠열을 대기와 열교환시키는 증발기와 이를 수용하는 케이스로 구성되는 승강기 에어컨에 설치되어, 방열팬이 응축기에 공기를 송풍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비산시켜 응축기 및 주변의 공기의 열을 흡수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열팬은 복수 개의 날개와, 원형 링의 형상을 가지고 내측은 상기 날개에 고정되는 슬링거 링과, 상기 슬링거 링의 외경과 이격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내경을 가지고 응축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가이드판의 하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의 하부의 물이 집수되는 집수부를 구비하며;
복수 개의 섬유사를 꼬아 제1 심지부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제1 심지부를 꼬아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집수부에 잠기도록 하고 상부는 상기 가이드판을 관통하여 가이드판의 내경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은 각각의 제1 심지부로 갈라진 형상을 이루는 요동비산부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심지부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The scattering drainage system for elevator air conditioning using capillary action}
본 발명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승강기의 상부에 장착되어 승강기 내부로 냉풍을 공급하는 에어컨의 경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결로수를 응축기로 분사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때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거나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결로수를 분사하고 결로수에 형성된 오염물질이 결로수와 함께 재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의 구조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와, 압축된 기체상태의 냉매가 액체상태로 변하면서 방출하는 응축잠열을 대기와 열교환시키는 응축기와, 액체 상태의 냉매를 팽창시켜 분무화하는 팽창밸브와, 팽창된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체상태로 변하면서 흡수하는 증발잠열을 대기와 열교환시키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되는 공기는 온도가 상승하고,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되는 공기는 온도가 하강하게 되는데,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되는 공기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증발기 표면에서 응결되어 결로수를 발생하게 되며 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을 구비해야 한다.
하지만 에어컨이 승강기에 설치되는 경우에 별도의 실외기를 설치할 수 없어 실외기가 일체로 된 형태의 것이 필요하며 이때 결로수는 단순 배출하는 경우 에어컨이나 승강기 주변 장치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어 결로수를 분사하여 응축기 및 주변 공기의 열을 제거하면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로수를 분사하기 위하여 별도의 펌프를 장착하거나 초음파진동기를 장착하는 경우 장치가 복잡해지고 응축기에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방열팬의 형상에 변화를 주어 고인 결로수와 접촉하여 비산하도록 하는 등의 방열팬에 의한 방법은 비산되는 경로가 불규칙하고 외측으로 많이 분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응축기와 접촉한 후 떨어져 내리는 결로수에 대한 처리 방안과 이러한 물이 내부 장치와의 접촉 및 오염된 외부공기에 의하여 결로수에 많은 이물질이 유입되고 누적되는 것에 대한 대책이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오염된 결로수는 펌프의 작동을 방해하고 누적된 오염물질에 의하여 장치의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556951-0000호 (2006년02월23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937646-0000호 (2010년01월12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621469-0000호 (2016년05월10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859096-0000호 (2018년05월11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2414576-0000호 (2022년06월24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방열팬을 제외하고 별도의 동력이 필요한 장치가 없이 응축기에 결로수를 분사하고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결로수와 분사된 결로수의 일부가 응축기에서 떨어지는 것을 용이하게 수집하여 모을 수 있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응축기로 분사된 후 다시 하부로 떨어지는 결로수에 포함되는 각종 분진 등의 오염물질이 분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와 압축된 기체상태의 냉매가 액체상태로 변하면서 방출하는 응축잠열을 대기와 열교환시키는 응축기와 액체 상태의 냉매를 팽창시켜 분무화하는 팽창밸브와 팽창된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체상태로 변하면서 흡수하는 증발잠열을 대기와 열교환시키는 증발기와 이를 수용하는 케이스로 구성되는 승강기 에어컨에 설치되어, 방열팬이 응축기에 공기를 송풍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비산시켜 응축기 및 주변의 공기의 열을 흡수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열팬은 복수 개의 날개와, 원형 링의 형상을 가지고 내측은 상기 날개에 고정되는 슬링거 링과, 상기 슬링거 링의 외경과 이격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내경을 가지고 응축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가이드판의 하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의 하부의 물이 집수되는 집수부를 구비하며;
복수 개의 섬유사를 꼬아 제1 심지부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제1 심지부를 꼬아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집수부에 잠기도록 하고 상부는 상기 가이드판을 관통하여 가이드판의 내경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은 각각의 제1 심지부로 갈라진 형상을 이루는 요동비산부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심지부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심지부재는 상기 요동비산부를 제외한 부분은 금속편이 장착되어 상기 방열팬의 작동에도 움직이지 않게 형성되며, 상기 요동비산부의 각각의 제1 심지부에는 섬유사와 함께 탄성복원력을 가진 탄성와이어가 장착되어 상기 방열팬의 작동에 요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집수부는 상기 가이드판의 하부와 이격 형성되어 집수부와 인접한 테두리를 따라 다공질의 필터부재가 장착되어 가이드판에 의하여 가압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방열판의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슬링거 링과 인접한 내경면을 따라 함몰된 패드 안착홈과, 상기 패드 안착홈에 삽입되는 링 형상을 가지고 다공질로 이루어져 결로수를 흡수하도록 하며 내경면에는 마찰력이 적은 합성수지 시트가 장착되는 결로수 흡수패드가 장착되고;
상기 슬링거 링 외경에는 돌출되어 상기 결로수 흡수패드를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심지부재은 상기 가이드판의 패드 안착홈 내측으로 관통한 후 응축기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어 가이드판에 형성된 홈을 따라 연장된 후 가이드판의 내경 중심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식으로 가이드판의 내경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단이 결로수가 모이는 집수부에 잠겨 있고 상부는 방열팬의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관통하여 가이드판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심지부재를 구비하여 방열팬에 의한 공기 흐름에 따라 결로수가 기화 또는 미세물방울로 응축기로 이동하여 응축기와 응축기 주변 공기의 온도를 낮춘 후 배출하도록 하여 별도의 동력없이 결로수를 공기 중에 분사 제거함과 함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결로수와 분사된 결로수 중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 떨어지는 물이 경사면을 따라 집수부로 모이도록 하면서 집수부의 테두리를 따라 다공질의 필터부재를 장착하여 집수부에 오염물질 특히 미세분진이 집수부에 모이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하고 심지부재가 최대한 물만 빨아들이도록 하여 오염물질이 에어컨 내부에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에서 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심지부재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면에서 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확대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에서 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심지부재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11)와 압축된 기체상태의 냉매가 액체상태로 변하면서 방출하는 응축잠열을 대기와 열교환시키는 응축기(12)와 액체 상태의 냉매를 팽창시켜 분무화하는 팽창밸브와 팽창된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체상태로 변하면서 흡수하는 증발잠열을 대기와 열교환시키는 증발기(13)와 이를 수용하는 케이스(14)로 구성되는 승강기 에어컨에 설치되어, 방열팬(15)이 응축기(12)에 공기를 송풍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13)에서 발생하는 결로수(100)를 비산시켜 응축기(12) 및 주변의 공기의 열을 흡수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열팬(15)은 복수 개의 날개(151)와, 원형 링의 형상을 가지고 내측은 상기 날개(151)에 고정되는 슬링거 링(152)과, 상기 슬링거 링(152)의 외경과 이격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내경을 가지고 응축기(12)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판(15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4)는 상기 가이드판(153)의 하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3)와 응축기(12)의 하부의 물이 집수되는 집수부(141)를 구비하며;
복수 개의 섬유사를 꼬아 제1 심지부(161)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제1 심지부(161)를 꼬아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집수부(141)에 잠기도록 하고 상부는 상기 가이드판(153)을 관통하여 가이드판(153)의 내경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은 각각의 제1 심지부(162)로 갈라진 형상을 이루는 요동비산부(162)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심지부재(16)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를 나타내었다.
본원은 기본적으로 증발기(13)에서 발생하는 결로수(100)가 집수부(141)에 모이게 되면 심지부재(18)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결로수(100)를 빨아들이게 되며 방열팬(15)이 작동하게 되면 요동비산부(162)가 바람에 의하여 요동을 치면서 일부는 급속하게 증발하고 일부는 요동에 의하여 미세물방울로 비산되어 응축기(12) 및 그 주변의 공기를 냉각한 후 배출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결로수(100)를 분사 즉 비산시키기 위한 펌프나 초음파진동기 같은 추가적인 장치가 없이 바람에 젖은천이 빨리 마르는 것과 같이 증발되도록 함과 동시에 요동비산부(162)를 형성하여 일부는 튀어 비산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져 동력의 소비가 적으면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때 주변 환경에 따라 결로수(100)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에는 결로수는 가이드판의 하부가 잠길 정도로 늘어날 수 있으며 이때 방열팬(15)의 슬링거링(152)에 결로수(100)가 묻은 후 회전에 의하여 비산하게 되어 비산되는 결로수(100)의 양을 증가시켜 결로수(100)가 넘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증발기(13)에서 공기가 냉각되는 원리와 같이 심지부재(16)에서 결로수(100)가 증발하면서 주변 온도를 낮추게 되어 결과적으로 보다 저온의 공기를 응축기(12)에 공급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열교환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여 효율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본원은 상기 심지부재(16)는 상기 요동비산부(162)를 제외한 부분은 금속편(163)이 장착되어 상기 방열팬(15)의 작동에도 움직이지 않게 형성되며, 상기 요동비산부(163)의 각각의 제1 심지부(161)에는 섬유사와 함께 탄성복원력을 가진 탄성와이어(164)가 장착되어 상기 방열팬(15)의 작동에 요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는 심지부재(16)가 방열팬(15)의 작동에 의하여 휘어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요동비산부(162)에서는 적당한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여 바람에 단순히 밀리는 것이 아닌 공기 흐름에 각각의 제1 심지부(161)가 휘어지고 복원을 반복하는 운동을 하도록 하여 물의 비산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탄성와이어(164)는 금속에 한정된 것이 아닌 탄성을 가진 섬유사를 포함하는 것으로 탄성와이어(164)와 섬유사의 수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제1 심지부(161)를 형성하고 요동비산부(162)의 길이도 최적의 길이로 형성하여 효율을 높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비산된 결로수(100)의 일부는 응축기(12)의 관 또는 배출 전 케이스의 내벽면과 충돌하면서 일부가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러한 결로수(100)도 집수부(141)에 모이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각종 오염물이 함께 혼합되어 모일 우려가 있다.
이에 본원은 상기 케이스(14)의 집수부(141)는 상기 가이드판(153)의 하부와 이격 형성되어 집수부(141)와 인접한 테두리를 따라 다공질의 필터부재(144)가 장착되어 가이드판(153)에 의하여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는 심지부재(16)에 의한 결로수(100)의 증발과 비산만 이루어진다면 미세분진과 같은 오염물질은 심지부재(16)가 빨아들이지 않아 일차적으로 오염물질의 비산을 방지하지만 추가적으로 필터부재(142)를 장착하면 오염물질이 포함되는 결로수(100)를 비산시키고 다시 모임을 반복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까지 포함하여 점차 증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주기적으로 필터부재(142)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면에서 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확대도로서, 상기 방열판(15)의 상기 가이드판(153)은 상기 슬링거 링(152)과 인접한 내경면을 따라 함몰된 패드 안착홈(153a)과, 상기 패드 안착홈(153a)에 삽입되는 링 형상을 가지고 다공질로 이루어져 결로수(100)를 흡수하도록 하며 내경면에는 마찰력이 적은 합성수지 시트가 장착되는 결로수 흡수패드(153b)가 장착되고;
상기 슬링거 링(152) 외경에는 돌출되어 상기 결로수 흡수패드(153b)를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출부(152a)를 구비하며;
상기 심지부재(16)은 상기 가이드판(153)의 패드 안착홈(153a) 내측으로 관통한 후 응축기(12)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어 가이드판(153)에 형성된 홈을 따라 연장된 후 가이드판(153)의 내경 중심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식으로 가이드판(153)의 내경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심지부재(16)가 결로수(100)를 빨아들일 수 있는 높이는 한계가 있어 기본적인 구조로는 가이드판(153)의 하부에 몇개가 관통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한계가 있으며 이 경우 결로수(100)의 배출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결로수 흡수패드(153b)는 하부에서 결로수(100)를 흡수하게 되며 주기적으로 회전하는 가압돌출부(152a)는 결로수 흡수패드(153b)를 눌러 회전방향으로 흡입된 결로수(100)를 밀어올리는 역할을 하여 점차적으로 결로수 흡수패드(153b) 전체적으로 결로수(100)가 머금게 되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에 심지부재(16)가 상부에 위치하여도 충분히 결로수(100)를 결로수 흡수패드(153b)를 통하여 빨아들일 수 있게 되어 방사형으로 더 많은 심지부재(16)를 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결로수 처리 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충분한 처리 효율이 보장된다면 결로수(100)의 유입량이 증가하여 슬링거 링(152)의 사용 가능성이 줄어들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슬링거 링(152)을 형성하지 않고 날개(151)에 돌출된 가압돌출부(152a)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의 발전이 가능하게 된다.
1 : 에어컨
11 : 압축기
12 : 응축기
13 : 증발기
14 : 케이스
141 : 집수부 142 : 필터부재
15 : 방열팬
151 : 날개 152 : 슬링거 링
152a : 가압돌출부 153 : 가이드판
153a : 패드 안착홈 153b : 결로수 흡수패드
16 : 심지부재
161 : 제1 심지부 162 : 요동비산부
163 : 금속와이어 164 : 탄성와이어
100 : 결로수

Claims (4)

  1.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11)와 압축된 기체상태의 냉매가 액체상태로 변하면서 방출하는 응축잠열을 대기와 열교환시키는 응축기(12)와 액체 상태의 냉매를 팽창시켜 분무화하는 팽창밸브와 팽창된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체상태로 변하면서 흡수하는 증발잠열을 대기와 열교환시키는 증발기(13)와 이를 수용하는 케이스(14)로 구성되는 승강기 에어컨에 설치되어, 방열팬(15)이 응축기(12)에 공기를 송풍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13)에서 발생하는 결로수(100)를 비산시켜 응축기(12) 및 주변의 공기의 열을 흡수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열팬(15)은 복수 개의 날개(151)와, 원형 링의 형상을 가지고 내측은 상기 날개(151)에 고정되는 슬링거 링(152)과, 상기 슬링거 링(152)의 외경과 이격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내경을 가지고 응축기(12)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판(15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4)는 상기 가이드판(153)의 하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3)와 응축기(12)의 하부의 물이 집수되는 집수부(141)를 구비하며;
    복수 개의 섬유사를 꼬아 제1 심지부(161)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제1 심지부(161)를 꼬아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집수부(141)에 잠기도록 하고 상부는 상기 가이드판(153)을 관통하여 가이드판(153)의 내경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은 각각의 제1 심지부(162)로 갈라진 형상을 이루는 요동비산부(162)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심지부재(16)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재(16)는 상기 요동비산부(162)를 제외한 부분은 금속편(163)이 장착되어 상기 방열팬(15)의 작동에도 움직이지 않게 형성되며, 상기 요동비산부(162)의 각각의 제1 심지부(161)에는 섬유사와 함께 탄성복원력을 가진 탄성와이어(164)가 장착되어 상기 방열팬(15)의 작동에 요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4)의 집수부(141)는 상기 가이드판(153)의 하부와 이격 형성되어 집수부(141)와 인접한 테두리를 따라 다공질의 필터부재(142)가 장착되어 가이드판(153)에 의하여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팬(15)의 상기 가이드판(153)은 상기 슬링거 링(152)과 인접한 내경면을 따라 함몰된 패드 안착홈(153a)과, 상기 패드 안착홈(153a)에 삽입되는 링 형상을 가지고 다공질로 이루어져 결로수(100)를 흡수하도록 하며 내경면에는 마찰력이 적은 합성수지 시트가 장착되는 결로수 흡수패드(153b)가 장착되고;
    상기 슬링거 링(152) 외경에는 돌출되어 상기 결로수 흡수패드(153b)를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출부(152a)를 구비하며;
    상기 심지부재(16)은 상기 가이드판(153)의 패드 안착홈(153a) 내측으로 관통한 후 응축기(12)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어 가이드판(153)에 형성된 홈을 따라 연장된 후 가이드판(153)의 내경 중심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식으로 가이드판(153)의 내경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
KR1020220106579A 2022-08-25 2022-08-25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 KR102465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579A KR102465566B1 (ko) 2022-08-25 2022-08-25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579A KR102465566B1 (ko) 2022-08-25 2022-08-25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566B1 true KR102465566B1 (ko) 2022-11-09

Family

ID=8404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579A KR102465566B1 (ko) 2022-08-25 2022-08-25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56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951B1 (ko) 2003-10-23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비산 장치
KR100937646B1 (ko) 2009-03-20 2010-01-19 (주)쿤엔지니어링 결로수를 응축기로 분사하여 기화시키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장치
KR20110002065U (ko) * 2009-08-24 2011-03-03 주식회사 하나비젼씨스템즈 승강기용 에어컨
KR101621469B1 (ko) 2014-11-20 2016-05-16 (주)에스와이시스템 응축수 비산식 일체형 에어컨
KR20160079542A (ko) * 2014-12-26 2016-07-06 김진고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1859096B1 (ko) 2016-12-23 2018-06-27 김진고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2414576B1 (ko) 2020-10-06 2022-06-30 대한공조(주) 응축수 제거 기능을 갖는 실내 및 실외기 일체형 에어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951B1 (ko) 2003-10-23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비산 장치
KR100937646B1 (ko) 2009-03-20 2010-01-19 (주)쿤엔지니어링 결로수를 응축기로 분사하여 기화시키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장치
KR20110002065U (ko) * 2009-08-24 2011-03-03 주식회사 하나비젼씨스템즈 승강기용 에어컨
KR101621469B1 (ko) 2014-11-20 2016-05-16 (주)에스와이시스템 응축수 비산식 일체형 에어컨
KR20160079542A (ko) * 2014-12-26 2016-07-06 김진고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1859096B1 (ko) 2016-12-23 2018-06-27 김진고 엘리베이터용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2414576B1 (ko) 2020-10-06 2022-06-30 대한공조(주) 응축수 제거 기능을 갖는 실내 및 실외기 일체형 에어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0568B2 (ja) ドレン排水処理装置
AU2003277529B2 (en) Drain water discharge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2465566B1 (ko)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승강기 에어컨용 비산식 배수장치
KR200441282Y1 (ko)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이동식 에어컨디셔너
JP3556730B2 (ja) エレベータ空気調和機
US20210071898A1 (en) Self-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air conditioners
JP3890303B2 (ja) 一体形空気調和機
KR200156397Y1 (ko) 창문형에어컨
KR102414576B1 (ko) 응축수 제거 기능을 갖는 실내 및 실외기 일체형 에어컨
JP2011112302A (ja) 冷凍空調装置
KR20100033594A (ko) 물을 이용한 공기 조화 장치
KR200460933Y1 (ko) 승강기용 에어컨
KR940015417A (ko) 실내 공기 조절기
KR102527001B1 (ko)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장치
JP7126043B2 (ja) 液体微細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機
KR102168889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조화장치
KR100711647B1 (ko) 에어컨 응축수 처리장치
KR20020086774A (ko) 에어컨용 가습장치
KR100539812B1 (ko)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비산 장치
KR100498368B1 (ko) 일체형 에어컨
JP7126044B2 (ja) 液体微細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機
JP2007333266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100498367B1 (ko) 일체형 에어컨
JPS5818594Y2 (ja) 空気調和機
JPH074685A (ja) 加湿冷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