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470B1 - 공기조화기 토출부의 물방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토출부의 물방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470B1
KR100534470B1 KR10-2004-0027878A KR20040027878A KR100534470B1 KR 100534470 B1 KR100534470 B1 KR 100534470B1 KR 20040027878 A KR20040027878 A KR 20040027878A KR 100534470 B1 KR100534470 B1 KR 100534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air
main body
discharge
damp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475A (ko
Inventor
문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2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47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대류형송풍기와 냉매사이클의 가동으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를 형성하고 표면에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되는 마찰감쇄판과, 상기 마찰감쇄판의 공간부와 소통가능하게 설계되어 상기 미세구멍을 통해 물방울 유막을 형성하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여 토출공기가 상기 물방울 유막과 접촉하면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토출부의 물방울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water drops at discharging par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 유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본체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대류형송풍기에서 발생되는 풍향에 의한 마찰 소음을 방지하도록 된 공기조화기 토출부의 물방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본체(1)의 상부에 토출구(2)가 구비되고, 이와 이격되는 하부에 흡입구(3)가 구성되며, 상기 토출구(2)의 내측에는 대류형송풍기(4)가 내설되고 그 하부 즉, 흡입구(3)의 내측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증발기(5)가 설치되며, 그 하단의 직하부에는 증발기(5)로 떨어지는 응축수를 고이게 하는 드레인받이(6)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에서 나온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사방밸브를 거쳐 실외 증발기로 들어가고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면서 응축되어 상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된다. 이때, 응축열은 실외팬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고, 증발기(5)에서 나온 냉매는 내경이 매우 가는 모세관과 역지밸브를 통과하면서 감압되어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되며 넓어진 증발기(5)로 들어가 증발하면서 외부로 열을 빼앗게 된다.
그러므로, 실내 열교환기는 냉각되고 대류형송풍기(4)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의 열교환이 일어나 토출구(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통상의 냉방작용을 한다.
그런데, 전술한 냉방작용중 토출구(2)를 통해 토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대류형송풍기(4)에서 발생된 풍향은 본체(1) 직상부로 분사되고, 분사된 풍향은 대류형송풍기(4) 상부에 위치한 본체(1)의 상면과 부딪쳐 본체(1)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2)를 향하여 진행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의 풍향으로부터 일부분은 본체(1)의 상면과 부딪치면서 회류하는 난류층이 형성되며, 이러한 난류층에 의해 마찰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본체 상면의 내부 구조를 변형함과 동시에 본체 내부 표면에 초음파 물방울이 맺히는 구조로 설계하여 대류형송풍기에서 발생되는 토출공기와 본체와의 마찰저항을 최소화시켜 토출구로 인도되기 용이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토출시 난류층에 의한 마찰 소음을 방지하도록 된 공기조화기 토출부의 물방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토출부의 물방울 발생장치는 공기조화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대류형송풍기와 냉매사이클의 가동으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를 형성하고 표면에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되는 마찰감쇄판과, 상기 마찰감쇄판의 공간부와 소통가능하게 설계되어 상기 미세구멍을 통해 물방울 유막을 형성하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여 토출공기가 상기 물방울 유막과 접촉하면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방울 발생장치가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새로운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새로운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되, 상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토출부의 물방울 발생장치는 실내기 본체(1)의 상부에 토출구(2)가 구비되고, 이와 이격되는 하부에 흡입구(3)가 구성되며, 상기 토출구(2)의 내측에는 대류형송풍기(4)가 내설되고 그 하부 즉, 흡입구(3)의 내측에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증발기(5)가 설치되며, 그 하단의 직하부에는 증발기(5)로 떨어지는 응축수를 고이게 하는 드레인받이(6) 등이 구비된다. 이상은 통상의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물방울 발생장치가 공기조화기의 토출부의 토출공기 유로상에 부가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적 특징부인 물방울 발생장치는 공기조화기의 본체(1) 상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부(102)를 형성하고 표면에 다수의 미세구멍(101a)이 형성된 마찰감쇄판(101)과, 상기 마찰감쇄판(101)의 공간부(102)와 소통가능하게 설계되어 초음파 물방울(110)을 공급하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한다.
마찰감쇄판(101)은 본 실시예에서 본체(1) 상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것으로만 도시되었지만, 토출구(2)를 통해 배출되는 토출공기가 지나는 부분이면 어느 부분에라도 다양하게 변형하여 설계할 수 있을 것이고, 토출구(2)측 뿐만 아니라 흡입구(3)측이나 스크롤 케이싱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초음파발생기(120)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초음파를 이용하는데, 전자회로에서 만들어진 초음파 신호를 특수한 초음파 진동자(압전 세라믹스 등)에 가하면 진동을 하여 초음파를 발생하는데 이 진동자를 얕은 물의 밑바닥에 설치하면 그 진동의 효과로 물이 미세한 알갱이 상태로 튀어나가게 된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안개와 같은 초음파 물방울(110)이 본체(1)와 마찰감쇄판(101) 사이의 공간부(102)에 뿜어지게 되고, 이후 마찰감쇄판(101)의 미세구멍(101a)을 통해 물방울(110)이 맺히게 된다.
이상의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그 구성요지 범위내에서 예컨데, 상기 마찰감쇄판(101)의 설치위치는 대류형송풍기(4)가 장착되는 스크롤하우징 등에도 적용하여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는 증발기(5) 및 냉방사이클의 가동과 함께 대류형송풍기(5)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의 열교환이 일어나 토출구(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는 냉방작용을 함에 있어 대류형송풍기(4)에서 발생된 풍향이 본체(1) 직상부에 위치한 마찰감쇄판(101)에 부딪히고, 이 부딪친 풍향은 토출구(2)로 용이하게 안내되어 토출된다. 이때, 초음파발생기(120)에서 발생된 초음파 물방울(110)이 마찰감쇄판(101)의 미세구멍(101a)을 통해 표면으로 새어나와 초음파 물방울(110) 유막을 형성하게 된다. 즉, 마찰감쇄판(101) 표면에 구상의 물방울(110) 유막을 형성하여 볼베어링 위를 구르듯이 토출부의 토출공기의 유동이 상기 초음파 물방울(110) 막과 접촉하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공기의 풍량이나 유속은 본체(1) 표면과 직접 마찰되는 것에 비해 마찰 저항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고, 특히 토출공기와 초음파 물방울이 부딪쳐 파쇄되면서 그에 따라 토출공기 내에 박테리아나 세균의 제거 효과도 있다.
또한, 종래 본체(1)와 직접 부딪쳐 일부분에서 난류층이 형성되던 것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이고, 표면마찰감소로 인한 유속 증대 및 소음을 감쇄할 수 있어 그에 따른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부의 본체와의 직접적인 마찰을 피하면서 공기 유동이 풍속의 손실없이 토출되므로 풍량증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냉방효율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발생기에서 발생된 초음파 물방울이 파쇄되면서 토출공기 중의 박테리아나 세균의 제거효과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방울 발생장치가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토출구
3: 흡입구 4: 대류형송풍기
5: 증발기 6: 드레인받이

Claims (1)

  1. 공기조화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대류형송풍기와 냉매사이클의 가동으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공간부를 형성하고 표면에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되는 마찰감쇄판과, 상기 마찰감쇄판의 공간부와 소통가능하게 설계되어 상기 미세구멍을 통해 물방울 유막을 형성하는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여 토출공기가 상기 물방울 유막과 접촉하면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토출부의 물방울 발생장치.
KR10-2004-0027878A 2004-04-22 2004-04-22 공기조화기 토출부의 물방울 발생장치 KR10053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878A KR100534470B1 (ko) 2004-04-22 2004-04-22 공기조화기 토출부의 물방울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878A KR100534470B1 (ko) 2004-04-22 2004-04-22 공기조화기 토출부의 물방울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475A KR20050102475A (ko) 2005-10-26
KR100534470B1 true KR100534470B1 (ko) 2005-12-07

Family

ID=3728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878A KR100534470B1 (ko) 2004-04-22 2004-04-22 공기조화기 토출부의 물방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8169A (zh) * 2016-06-21 2016-09-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出风装置及具有该出风装置的室内立式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475A (ko)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9600B2 (ja) 液体微細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熱交換気装置、空気清浄機又は空気調和機
KR100534470B1 (ko) 공기조화기 토출부의 물방울 발생장치
KR100556948B1 (ko) 창문형 에어컨
KR20000040090A (ko) 창문형 에어컨에서의 응축기 효율 증대장치
KR20080050495A (ko) 냉/난방시스템 장치의 이젝터 펌프
KR100399323B1 (ko) 창문형 에어컨
KR100585797B1 (ko) 창문형 에어컨의 공기 안내 장치
KR100437055B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 가이드
KR100529957B1 (ko) 에어컨 실외기 그릴
JPH0650564A (ja) 冷暖房兼用一体型空気調和機
CN100460766C (zh) 柜式空调室内机的蜗壳结构
KR19980058334U (ko)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 유로구조
KR100339389B1 (ko)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부
KR101291205B1 (ko) 냉장고
JPS5828893B2 (ja) 空調装置における凝縮液騒音を減小させるための装置
KR101122667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유로구조
KR20050039034A (ko)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수 안내 구조
KR100357106B1 (ko) 무냉매 공기조화기
CN100485275C (zh) 具有冷凝水飞散装置的窗式空调器
KR20100007019U (ko) 천장형 에어컨
US20220082294A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3826107A (en) Condensate entrainment device
KR200282064Y1 (ko) 에어컨의 공기필터
JP4248587B1 (ja) 旋回型冷却装置及び熱交換システム
KR200337488Y1 (ko) 공기조화기의 스크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