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512B1 -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 Google Patents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512B1
KR102465512B1 KR1020200078733A KR20200078733A KR102465512B1 KR 102465512 B1 KR102465512 B1 KR 102465512B1 KR 1020200078733 A KR1020200078733 A KR 1020200078733A KR 20200078733 A KR20200078733 A KR 20200078733A KR 102465512 B1 KR102465512 B1 KR 102465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olid oxygen
oxygen
filter
fil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730A (ko
Inventor
김명숙
Original Assignee
김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숙 filed Critical 김명숙
Priority to KR1020200078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512B1/ko
Priority to PCT/KR2021/007996 priority patent/WO2021261948A1/ko
Publication of KR2022000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8Respiratory apparatus containing chemicals produc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03Preparation of oxygen from 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29Purification or separation processes
    • C01B13/0248Physical processing on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와 고체 산소 정제의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는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 케이스; 기둥 형상을 가지며, 일정 거리 이격된 내벽과 외벽으로 구성되며, 내벽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외벽은 막힌 구조를 가지며, 상기 흡입 케이스에 형성된 홀은 내벽의 내측과 연결되는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 기둥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인입되며, 고체 산소 정제를 포함하는 고체 산소 필터; 및 상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외벽과 체결되며, 상기 고체 산소 필터와 상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외벽과 연결되는 홀이 형성된 고체 산소 필터 마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Tobacco-shaped oxygen generator}
본 발명은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와 고체 산소 정제의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대기 중의 산소를 흡입하며 살아가며, 도심의 산소 농도는 약 20.9%인 반면 숲의 산소 농도는 22%이다. 즉, 사람은 산소 농도를 1 내지 2%만 증가시키면 숲속에서와 같이 편안한 호흡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소는 스트레스 해소, 기억력 및 집중력을 향상시키며, 작업 성능 향상, 운동 후 피로 해소 등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사람은 더 많은 산소를 호흡하기 위해 요가 호흡, 이중 호흡 등 다양한 형태로 호흡한다.
하지만, 대기 중의 산소를 가장 많이 발생시키는 숲의 도시화 및 화재로 인해 지구의 산소 농도는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특히 지구의 폐라고 불리는 아마존 정글과 호주의 숲은 화재로 인해 그 면적이 감소하고 있다. 러시아의 대기 물리 연구소는 대기 중 산소 농도가 감소한 2010 내지 2014년에는 사망자가 증가했다는 연구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또한, 2017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 및 흡연자의 22.3%가 흡연이 건강에 해롭다는 사실을 알고도 습관적으로 담배를 피우는 것으로 나타난다. 많은 흡연자들은 정부의 강력한 금연 정책으로 인해 전자담배를 사용하지만, 전자담배 역시 흡연 유형으로 분류되어 제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기존 산소 발생기에 적용된 기술은 Zeolite Molecular Sieve라는 결정체의 개개 가스에 대한 흡착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공기로부터 원하는 가스를 분리해 내는 기술인 압력전환흡착(PSA, Pressure Swing Adsorption) 기술과 고체 산소를 활용하는 기술이다. 고체 산소를 활용하는 기술은 고체산소를 구성하는 과산화칼륨(KO2)과 수산화칼슘(CaOH2)이 이산화탄소,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포름알데히드 등을 만나 분해하며 산소를 생성하는 원리이다.
그러나, PSA 기술은 큰 소음과 낮은 순도를 갖는다는 단점이 있으며, 고체 산소를 활용하는 기술은 전기가 불필요하고, 소음이 작다는 장점이 있으나, 발생되는 산소의 양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체 산소 화합물은 분말 입자 구조가 매우 미세하여 고체 산소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저항력으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소음이 작으며, 소형화가 가능하며, 많은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소형 산소 발생기에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2493호(발명의 명칭: 코 삽입형 산소공급기) 한국등록특허 제10-2004433호(발명의 명칭: 고체산소를 갖는 탁상형 공기청정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음이 작은 산소 발생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소형화가 가능한 산소 발생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산소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산소 발생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멸균이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산소 발생기를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는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 케이스; 기둥 형상을 가지며, 일정 거리 이격된 내벽과 외벽으로 구성되며, 내벽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외벽은 막힌 구조를 가지며, 상기 흡입 케이스에 형성된 홀은 내벽의 내측과 연결되는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 기둥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인입되며, 고체 산소 정제를 포함하는 고체 산소 필터; 및 상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외벽과 체결되며, 상기 고체 산소 필터와 상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외벽과 연결되는 홀이 형성된 고체 산소 필터 마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는 별도의 외부 전원없이 사용자의 호흡과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산소를 생성하므로 소음이 작으며,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체 산소 정제가 담긴 고체 산소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산소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효과적으로 멸균이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단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므로, 고체 산소 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간단하게 교체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체 산소 필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 및 고체 산소 필터 마개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 발생기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일정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는 휴대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산소는 고체 산소 화합물인 수산화칼륨, 산화칼슘, 과산화칼륨, 과산화칼슘, 과산화마그네슘, 과산화바륨 및 과산화나트륨의 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그 중에서 과량의 산화칼륨은 실온에서 수분 및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화학식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 반응에 의해 산소가 생성된다. 즉, 화학반응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는 동시에 산소가 생성된다. 또한, 화학식1에 의해 생성된 산소는 화학식2에서와 같이 포름알데히드를 포름산으로 산화시켜 포름알데히드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활성 카본보다 유해한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화학식 1
2KO2 + H2O → 2KOH + 3/2O2
2KO2 + CO2 → K2CO3 + 3/2O2
화학식 2
HCHO + 1/2O2 → HCOOH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얻어진 고체 산화 화합물은 수 마이크로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입을 통해 호흡하기 어렵고 많은 산소를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과립기를 이용하여 1㎜ 내지 5㎜ 입자 크기를 갖는 정제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 산소 정제는 부직포 또는 메쉬망과 같은 동축 원통형 필터인 고체 산소 필터에 채워질 수 있고, 고체 산소 필터가 삽입될 수 있는 고체 산소 필터 지지대에 채워질 수 있다. 이 때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는 2중 구조로 되어 있으며, 외벽은 막혀 있으며, 내벽은 복수의 허니컴 구조의 개구부가 있으며, 허니컴 구조의 개구부를 통해 고체 산소 필터를 통과하여 호흡하는 동안 산소를 발생시킨다. 물론 고체 산소 필터는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인입된다. 이 때 고체 산소 필터에 멘톨, 니코틴 등의 향기를 첨가하여 무색, 무취의 산소에 필요한 경우 향기를 첨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100)는 세라믹 스트로우(102),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104), 마이크로 필터(106), 필터 지지캡(108), 제1 오링(110), 고체 산소 필터 마개(112), 고체 산소 필터(114),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a), 메인 바디(118), 제2 오링(120), 흡입 케이스(122), 메쉬 필터(124) 및 체크 밸브(126)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에 포함될 수 있다.
세라믹 스트로우(102)는 사용자가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며, 사방 정계 결정 구조(orthorhombic crystal structure)를 갖는 알루미늄 실리콘 산화물로 제조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세라믹 스트로우(102)는 인체의 입과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살균 및 탈취 기능이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EM(Effective micro Organisms) 세라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104)는 일측은 세라믹 스트로우(102)가 체결되며, 내부는 마이크로 필터(106)에 필터링된 산소가 포함된 공기가 이동하는 홀이 형성된다.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104)는 중앙에 형성된 홀에 마이크로 필터(106)의 일부가 삽입되며, 마이크로 필터(106)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세라믹 스트로우(102)를 통해 사용자에게 흡입된다. 세라믹 스트로우(102)와 체결되는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104)의 일측은 경사지게 형성하여 세라믹 스트로우(102)가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104)에 단단히 체결되도록 한다.
마이크로 필터(106)는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104)의 내부에 형성된 홀 및 필터 지지캡(108)에 삽입되며, 흡입되는 산소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걸러내고 외부의 습기를 방지한다. 물론 필요한 경우 마이크로 필터(106)는 필터 지지캡(108)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필터 지지캡(108)은 일측은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104)의 타측과 체결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104)와 필터 지지캡(108) 사이에는 마이크로 필터(106)가 위치한다. 또한, 필터 지지캡(108)의 중앙은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104)와 동일하게 홀이 형성되며, 형성된 홀에 마이크로 필터(106)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필터 지지캡(108)의 타측은 메인 바디(118)와 체결된다. 이를 위해 필터 지지캡(108)의 타측은 나사선을 포함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형성된 체결부를 이용하여 메인 바디(118)와 체결된다.
제1 오링(110)은 필터 지지캡(108)과 메인 바디(118) 사이에 위치하며, 필터 지지캡(108)과 메인 바디(118) 사이를 밀폐한다.
메인 바디(118)의 내측에는 고체 산소 필터(114)와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고체 산소 필터(114),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 및 고체 산소 필터 마개(112)에 대해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고체 산소 필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 및 고체 산소 필터 마개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고체 산소 필터(114)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고체 산소 정제가 채워져 있다. 고체 산소 필터(114)는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고체 산소 필터(114)에 채워진 고체 산소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산소가 생성되며, 생성된 산소는 세라믹 스트로우(102)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호흡된다.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는 고체 산소 필터(114)를 지지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 구조를 갖는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는 내벽과 외벽으로 구성되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고체 산소 필터(114)가 인입된다.
또한 내벽은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허니컴 구조의 개구부를 갖는다. 도 3은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내벽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의 내벽(116a)은 허니컴 구조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의 내벽(116a)은 기둥 형상으로 구성된다.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의 외벽은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막힌 구조를 가지며, 후크가 형성된다.
고체 산소 필터 마개(112)는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와 체결되며, 특히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의 외벽과 체결된다. 이를 위해 고체 산소 필터 마개(112)는 후크에 체결되는 후크 체결부를 포함한다. 고체 산소 필터 마개(112)는 마개의 중앙을 중심으로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 특히 홀은 고체 산소 필터(114)의 외측과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의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의 내벽(116a)의 개구부를 통해 고체 산소 필터(114)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고체 산소 필터 마개(1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체 산소 필터(114)의 외측과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의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가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의 내벽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고체 산소 필터 마개(112)가 체결되는 일측과 맞은편인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의 타측의 일부는 막힌 구조를 갖는다. 즉,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의 타측 중 내벽과 외벽 사이는 막힌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의하면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외벽의 타측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연장된 부분에 의해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내벽과 외벽 사이는 막힌 구조를 갖는다.
메인 바디(118)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일측은 필터 지지캡(108)과 체결되며, 타측은 흡입 케이스(122)와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18)의 내부는 고체 산소 필터(114)와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가 위치한다. 메인 바디(118) 상에는 핸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핸들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평면 형상을 갖는다. 메인 바디(118)의 일측과 타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타 부재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다.
제2 오링(120)은 메인 바디(118)와 흡입 케이스(122) 사이에 위치하며, 메인 바디(118)와 흡입 케이스(122) 사이를 밀폐한다.
흡입 케이스(122)는 메인 바디(118)에 체결되며, 특히 흡입 케이스(122)의 일측은 메인 바디(118)에 체결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흡입 케이스(122)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형성된 홀은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의 내벽의 내측과 연결된다. 즉, 흡입 케이스(122)의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과한 공기는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116)의 내벽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흡입 케이스(122)는 메쉬 필터(124)와 체크 밸브(126)를 수용할 수 있도록 타측은 수용부가 형성된다.
메쉬 필터(124)는 흡입 케이스(122)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필터링하며, 특히 체크 밸브(126)에 형성된 반구 형상의 개구부를 통해 공급된 공기에 포함한 먼지 또는 벌레 등을 필터링한다.
체크 밸브(126)는 흡입 케이스(122)에 형성된 수용부에 메쉬 필터(124)가 수용된 상태에서 흡입 케이스(122)에 수용된다. 체크 밸브(126)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도 2에 의하면 개구부 '+' 형상으로 절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형상으로 절개된 개구부는 평상시에는 밀폐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공기를 흡입하면 개방된다. 체크 밸브(126)의 개구부는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담배 형상의 산소 발생기를 제안하며, 특히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산소가 발생되므로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고체 산소 정제는 고체 산소 필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뿐만 아니라 공기가 이동하는 다양한 부위에 채워질 수 있으며, 특히 고체 산소 정제는 1 내지 5㎜ 입자 크기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의 단면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한 산소 발생기는 담배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체 산소 필터는 일정 거리 이격된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인입된다.
사용자가 세라믹 스트로우를 이용하여 호흡을 하면, 외부의 공기는 체크 밸브, 메쉬 필터 및 흡입 케이스를 통해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내벽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후 공기는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내벽 및 고체 산소 필터를 필터 지지캡으로 이동하며, 마이크로 필터,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쉬망이나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고체 산소 필터 및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에는 고체 산소 정제가 채워지며, 이동하는 공기와의 화학 반응에 의해 산소가 생성된다. 생성된 산소는 세라믹 스트로우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102: 세라믹 스트로우 104: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
106: 마이크로 필터 108: 필터 지지캡
110: 제1 오링 112: 고체 산소 필터 마개
114: 고체 산소 필터 116: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
118: 메인 바디 120: 제2 오링
122: 흡입 케이스 124: 메쉬 필터
126: 체크 밸브

Claims (8)

  1.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 케이스;
    기둥 형상을 가지며, 일정 거리 이격된 내벽과 외벽으로 구성되며, 내벽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외벽은 막힌 구조를 가지며, 상기 흡입 케이스에 형성된 홀은 내벽의 내측과 연결되는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
    기둥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인입되며, 고체 산소 정제를 포함하는 고체 산소 필터;
    상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외벽과 체결되며, 상기 고체 산소 필터와 상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의 외벽과 연결되는 홀이 형성된 고체 산소 필터 마개; 및
    타측은 고체 산소 필터 마개에 형성된 홀과 연결되는 홀이 형성되며, 일측은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중앙에 형성된 홀은 타측에 형성된 홀과 연결되는 필터 지지캡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2.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에 고체 산소 필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 및 고체 산소 필터 마개가 수용되며, 일측은 상기 필터 지지캡과 체결되며, 타측은 상기 흡입 케이스와 체결되는 메인 바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지지캡의 일측과 체결되는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에 형성된 홀과 상기 필터 지지캡의 일측에 형성된 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는 마이크로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고정 케이스에 체결되는 세라믹스 스트로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산소 필터 지지부재는,
    외벽의 일측은 상기 고체 산소 필터 마개의 후크와 체결되는 후크 체결부가 형성되며, 내벽의 일측 종단과 외벽의 일측 종단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내벽의 타측 종단과 외벽의 타측 종단은 막힌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케이스의 일측은 기둥 형상을 갖는 메인 바디와 체결되며,
    타측은 메쉬 필터와 체크 밸브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이 '+' 형태로 절개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KR1020200078733A 2020-06-26 2020-06-26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KR102465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33A KR102465512B1 (ko) 2020-06-26 2020-06-26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PCT/KR2021/007996 WO2021261948A1 (ko) 2020-06-26 2021-06-25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733A KR102465512B1 (ko) 2020-06-26 2020-06-26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730A KR20220000730A (ko) 2022-01-04
KR102465512B1 true KR102465512B1 (ko) 2022-11-09

Family

ID=7928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733A KR102465512B1 (ko) 2020-06-26 2020-06-26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5512B1 (ko)
WO (1) WO2021261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23777B (zh) * 2023-09-28 2024-04-05 镇江巨茂分子筛有限公司 一种抑菌型制氧分子筛设备及其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4531A1 (en) * 2001-01-18 2002-08-08 Rand Malone Pediatric inhalation device
KR200351789Y1 (ko) * 2004-03-10 2004-05-27 배효욱 휴대용 비상호흡기
KR101555576B1 (ko) * 2014-10-17 2015-10-01 박준혁 정화 호흡기의 기능을 가지는 필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428B1 (ko) * 1999-02-23 2005-08-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흡연자용 휴대형 공기정화장치
KR100441155B1 (ko) * 2002-04-30 2004-07-30 하인물산(주) 휴대용 산소흡입기
KR101047082B1 (ko) * 2008-10-13 2011-07-06 김귀삼 휴대용 자가 산소호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101322493B1 (ko) 2013-03-13 2013-10-28 박정환 코 삽입용 산소공급기
KR102004433B1 (ko) 2018-02-13 2019-07-26 최병철 고체산소를 갖는 탁상용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4531A1 (en) * 2001-01-18 2002-08-08 Rand Malone Pediatric inhalation device
KR200351789Y1 (ko) * 2004-03-10 2004-05-27 배효욱 휴대용 비상호흡기
KR101555576B1 (ko) * 2014-10-17 2015-10-01 박준혁 정화 호흡기의 기능을 가지는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948A1 (ko) 2021-12-30
KR20220000730A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097B1 (ko) 오존 및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에어 클린 마스크
KR102465512B1 (ko) 담배 형상을 갖는 산소 발생기
DE60101451D1 (de) Inhalationsvorrichtung zum dispergieren von in Kapseln enthaltenen pulverförmigen Medikamente durch den Respirationstrakt
JP6302241B2 (ja) 揮発性成分採取方法及び揮発性成分採取具
KR20190133527A (ko) 호흡밸브가 구비된 오존 마스크
KR102028050B1 (ko) 마스크 호흡용 조립체
US6986348B2 (en) Cough-a-lizer
US20210370009A1 (en) Hand-held oxygen generator and air purifier
KR20190030427A (ko) 마우스피스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100794801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US20220176062A1 (en) Nitric oxide generating systems
WO2009131331A3 (ko) 개인용 다기능 컴팩트캡슐
JP2022099404A (ja) マスク内の息の通気路内でウイルスを殺菌する機能を有する殺菌マスク。
JPH0856640A (ja) 吸気具
KR100508428B1 (ko) 피흡연자용 휴대형 공기정화장치
JP2022034591A (ja) マスクのオゾン注入装置
JPH07116277A (ja) 酸素発生器
KR200228802Y1 (ko) 담배연기 제거용 제연기
KR200304089Y1 (ko) 확장흡착형 코마스크의 구조
CN112351823B (zh) 口罩用过滤器保持件及包括其的口罩
KR102241866B1 (ko)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구강 응급호흡장치
KR20230000434U (ko) 일회용 산소캡슐
JP3103296U (ja) 禁煙教育補助器具
KR20220076033A (ko) 휴대용 공기정화 배출장치
JPH02387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