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226B1 - Rfid 인식칩의 장착 및 보호 기능을 극대화한 원통형 지하매설물 표시못 - Google Patents

Rfid 인식칩의 장착 및 보호 기능을 극대화한 원통형 지하매설물 표시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226B1
KR102465226B1 KR1020210099074A KR20210099074A KR102465226B1 KR 102465226 B1 KR102465226 B1 KR 102465226B1 KR 1020210099074 A KR1020210099074 A KR 1020210099074A KR 20210099074 A KR20210099074 A KR 20210099074A KR 102465226 B1 KR102465226 B1 KR 102465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derground facility
nail
recognition chip
rfid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상빈
Original Assignee
(주)메딕콘
주식회사 케이엠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딕콘, 주식회사 케이엠콘 filed Critical (주)메딕콘
Priority to KR102021009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06K7/1007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 G06K7/100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 G06K7/1009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the collision being resolved in the spatial domain, e.g. temporary shields for blindfolding the interrogator in specific direc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directional antenna or directional interrogation field to resolve the collision the directional field being used for pinpointing the location of the record carrier, e.g. for finding or locating an RFID tag amongst a plurality of RFID tags, each RFID tag being associated with an object, e.g. for physically locating the RFID tagged object in a warehous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3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in pavem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RFID 인식칩의 장착 및 보호 기능을 극대화한 원통형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관한 것으로, RFID 인식칩의 장착이 쉽고, 지면에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 수분으로부터 내장된 RFID 인식칩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원통형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RFID 인식칩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면에 형성된 원통형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부를 덮은 상태로 결합되되 상면 둘레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면이 개구된 개구부로 형성된 헤드커버; 상기 메인바디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RFID 인식칩을 상측에서 덮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커버의 개구부를 하측에서 메워주는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바디의 안착홈에 안착된 RFID 인식칩을 감싼 형태로 상기 안착홈의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헤드커버와 상기 안착홈의 저면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수분 침투를 차단하는 고무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RFID 인식칩의 장착 및 보호 기능을 극대화한 원통형 지하매설물 표시못{Cylindrical underground burial nail that maximize the installation and protection of RFID chip}
본 발명은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관한 것으로, 특히 RFID 인식칩의 장착이 쉽고, 지면에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 수분으로부터 내장된 RFID 인식칩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원통형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시설, 도로, 아파트 등의 부지에 가스 배관이나 그 밖의 케이블 등을 매립할 때 지상에서 그 매립물의 위치와 방향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일정 거리마다 지하매설물의 위치와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못을 설치하고 있다.
특히, 도로, 공동주택, 아파트 등의 부지나 도로에 도시 가스배관을 매립하는 경우에는 표시못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가스관의 길이 50M마다 한 개 이상의 표시못을 설치하되, 주요 분기점, 굴곡지점 및 그 주위 50cm 이내에 설치하도록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특히, 도로, 공동주택, 아파트 등의 부지나 도로에 도시 가스배관을 매립하는 경우에는 표시못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가스관의 길이 20~50M마다 한 개 이상의 표시못을 설치하되, 주요 변곡점 및 분기점과 그 인접한 곳은 주위 10m 이내에 설치하도록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종래의 표시못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에 지하매설물의 위치와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방향표시부(1)와 하부에 결합부(2)가 형성된 헤드부(3)와 헤드부(3)의 결합부(2)에 나사 결합되도록 일측에 나사부(4)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 지면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다수개의 걸림턱(5)이 형성된 핀부(6)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못을 지면에 설치시 헤드부(3)의 결합부(2)에 핀부(6)의 나사부(4)를 체결하고, 핀부(6)를 지면에 접촉시킨 후 헤드부(3)의 방향표시부(1)를 지하매설물의 진행방향과 일치시킨 후 외부 힘을 가하여 지면으로 소정 깊이만큼 핀부(6)를 삽입하고, 헤드부(3)의 상단면을 향하여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표시못을 지면에 삽입 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하매설물의 위치와 방향이 표시된 방향표시부가 형성된 헤드부는 지상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부가 도로에 주행하는 차량 바퀴 등에 의해 충격을 받게 되면 지면에 박힌 핀부가 끊임없이 변위되면서 회전하거나 유격이 생기게 되고, 그에 따라 헤드부가 회전하게 되어 방향표시 기능을 상실하게 되거나 핀부가 지상으로 돌출되어 재설치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 동전 형상을 갖는 RFID 인식칩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어려운 구조인데다가 RFID 인식칩을 장착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RFID 인식칩을 충격 및 수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에는 제약이 따르는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92374호(2007.09.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RFID 인식칩의 장착이 쉽고, 지면에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 수분으로부터 내장된 RFID 인식칩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원통형 지하매설물 표시못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은, 지면을 일정 깊이로 천공하여 마련된 매설홀에 매설하고 매설홀에서 남아 있는 공간에 에폭시를 주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으로서, RFID 인식칩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면에 형성된 원통형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부를 덮은 상태로 결합되되 상면 둘레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면이 개구된 개구부로 형성된 헤드커버; 상기 메인바디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RFID 인식칩을 상측에서 덮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커버의 개구부를 하측에서 메워주는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바디의 안착홈에 안착된 RFID 인식칩을 감싼 형태로 상기 안착홈의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헤드커버와 상기 안착홈의 저면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수분 침투를 차단하는 고무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는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몸체로 이루어져서 그 외부에 더해 내부 중공까지 에폭시로 채워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커버는 상기 메인바디 소재에 비해 더 큰 내충격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바디는 내충격성을 갖지만 상기 헤드커버 소재에 비해 상측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더 잘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력 소재인 폴리아미드를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링 형상의 제1돌기라인이 상하로 이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에폭시와의 접합성이 강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 최하단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링 형상의 제2돌기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제2돌기라인의 외주면 하단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매설홀 저면에 에폭시 주입 전 주입되는 초속경 시멘트에 부분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투명 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플레이트 하측에는 도안이나 문자가 인쇄된 표지시트가 더 구비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통해 외부에 보여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 형성되고, 상기 헤드커버에는 상기 메인바디의 수나사에 대응하여 암나사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와 커버플레이트 간 결합이 나사체결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고무와셔는 상측과 하측에서 상부 고무와셔와 하부 고무와셔가 적층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바디와 커버플레이트 간에 상대 회전에 의해 나사체결될 때 뒤틀림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은, RFID 인식칩을 내장하고 있는 지하매설물 표시못;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으로부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하매설물 정보를 취득하는 리더기; 및 상기 리더기로부터 지하매설물 정보를 제공받아 맵상에 표시하는 전용의 관리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시공방법은 지면을 일정 깊이로 천공하여 매설홀을 마련하는 단계; 초속경 시멘트를 매설홀 저면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을 매설홀에 삽입하고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상면과 지면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매설홀에 에폭시를 주입하고 양생하여 지하매설물 표시못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사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은, 지면에 노출되는 헤드커버는 상대적으로 내충격성이 뛰어난 알루미늄 합금을 소재로 이루어지고 그 하측으로 매설되는 메인바디는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 충격을 더 잘 흡수하는 충격흡수력 소재인 폴리아미드를 소재로 이루어진 이종(二種) 소재의 조합으로 지면에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 수분으로부터 내장된 RFID 인식칩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바디와 헤드커버 간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로워서 RFID 인식칩의 장착이 쉬우면서도,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고무와셔가 상부 고무와셔와 하부 고무와셔가 적층된 형태로 구비되어 메인바디와 커버플레이트 간에 상대 회전에 의해 나사체결될 때 뒤틀림에 의한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서 고무와셔의 과도한 변형으로 인한 수분침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은 돌기라인(111)이 형성된 원통형의 메인바디(110)와, 헤드커버(120)와, 커버플레이트(130), 고무와셔(140a,140b) 그리고 표지시트(15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RFID 인식칩(160)의 장착이 쉽고, 지면(G1)에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 수분침투로부터 내장된 RFID 인식칩(16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메인바디(110)는 RFID 인식칩(160)이 안착되는 안착홈(113)이 상면에 형성되며,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메인바디(110)가 사방이 동일한 형태를 갖는 원통형 몸체의 것으로 구비되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어느 한편으로 치우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110)는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진 관계로 도 5d에 도시된 것처럼 시공시 매설홀(H1)에 주입되는 에폭시(G3)가 메인바디(110)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 중공까지 충만하게 채워지게 된다. 이로써 견고한 고정이 가능해진다.
상기 메인바디(110)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링 형상의 제1돌기라인(111a)이 상하로 이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 이로써 메인바디(1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동시에 도 5d와 같이 매설홀(H1)에 주입되는 에폭시(G3)와의 접합성을 강화시켜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나아가 상기 메인바디(110)의 외주면 최하단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링 형상의 제2돌기라인(111b)이 형성되되, 상기 제2돌기라인(111b)의 외주면 하단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11c)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것처럼 지하매설물 표시못(100)의 상면이 지면(G1)과 동일하도록 높이를 맞출 때 제2돌기라인(111b)의 하단부가 매설홀(H1) 저면에 주입된 초속경 시멘트(G2)에 쉽게 부분 인입되면서 정밀하게 높이를 맞추는 것을 가능케 한다. 상기 메인바디(11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헤드커버(120)와의 결합을 위하여 수나사(112) 형성된다.
상기 헤드커버(120)는 메인바디(110)의 상단부를 덮은 상태로 결합되며 상면 둘레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면이 개구된 개구부(120a)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커버(120)의 내주면에는 상기 메인바디(110)의 수나사(112)에 대응하여 나사체결되는 암나사(121)가 형성된다.
전술된 메인바디(110)와 헤드커버(120)의 소재를 살펴보면 메인바디(110)의 경우 폴리아미드(폴리아미드 66)를 소재로 하여 이루어지지만 상기 헤드커버(120)는 다른 소재인 알루미늄 합금을 소재로 하여 이루어진다. 헤드커버(120)의 경우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면(G1)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외부 충격 및 하중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더라도 폴리아미드를 소재로 이루어진 메인바디(110)에 비해 더 큰 내충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반면 메인바디(110)의 경우 충격흡수력 소재인 폴리아미드를 소재로 이루어져서 기본적으로 내충격성을 발휘하면서도 상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더 잘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메인바디(110)와 헤드커버(120)는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지 않고 서로 다른 소재인 폴리아미드와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져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지면(G1)에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에 대하여 보다 높은 내구성을 갖게 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30)는 메인바디(110)의 안착홈(113)에 안착되는 RFID 인식칩(160)을 상측에서 덮어 주면서 상기 헤드커버(120)의 개구부(120a)를 메우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플레이트(130)는 헤드커버(120)의 둘레부 하측에 접하는 하부 플레이트(131)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131)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고 하부 플레이트(131) 상면에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어 헤드커버(120)의 개구부(120a)를 메워주는 상부 플레이트(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30)는 투명 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커버플레이트(130) 하측에 로고(151) 등의 도안이나 문자가 인쇄된 표지시트(150)를 위치시키는 구성에 의하여 표지시트(150)의 도안이나 문자가 커버플레이트(130)를 통해 외부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무와셔(140a,140b)는 메인바디(110)의 안착홈(113)에 안착된 RFID 인식칩(160)을 감싼 형태로 안착홈(113)의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어 헤드커버(120)와 안착홈(113)의 저면 사이에서 압착된다. 이로써 외부의 수분이 RFID 인식칩(160)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고무와셔(140a,140b)는 상측과 하측에서 상부 고무와셔(140a)와 하부 고무와셔(140b)가 적층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 이는 메인바디(110)와 커버플레이트(130) 간에 상대 회전에 의해 나사체결될 때 상부 고무와셔(140a)와 하부 고무와셔(140b)가 서로 슬립되면서 과도한 뒤틀림에 의해 변형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만일 상기 고무와셔(140a,140b)가 상부 고무와셔(140a)와 하부 고무와셔(140b)의 적층된 형태로 구비되지 않고 단일의 고무와셔로 구비된다면 메인바디(110)와 커버플레이트(130)가 서로 상대 회전에 의해 나사체결될 때 고무와셔에 뒤틀림이 심하게 발생하더라도 중간에서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과도한 변형이 수반되며 이로 인해 틈새가 생기면서 수분 차단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시공방법을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시공방법은, 지면(G1)을 일정 깊이로 천공하여 매설홀(H1)을 마련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설치위치를 확인한 다음 해당 부위의 지면(G1)을 청소하고 일정 깊이로 코어 천공을 한다. 이후 도 5b와 같이 천공된 부위를 분쇄하고 에어브러쉬로 잔해물을 제거해주면 지면(G1)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매설홀(H1)이 마련된다.
이후, 도 5c와 같이 초속경 시멘트(G2)를 매설홀(H1) 저면에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100)을 RFID 인식칩을 내장한 상태로 매설홀(H1)에 삽입하고 지하매설물 표시못(100)의 상면과 지면(G1)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지하매설물 표시못(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경사면(111c)이 형성된 메인바디(110)의 제2돌기라인(111b) 하단부가 매설홀(H1) 저면에 주입된 초속경 시멘트(G2)에 부분적으로 인입되어 지지되면서 정밀하게 높이를 맞출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5d와 같이 지하매설물 표시못(100)의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매설홀(H1)에 에폭시(G3)를 주입하고 양생하여 지하매설물 표시못(100)을 고정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에폭시(G3) 양생 후에는 주변을 정리하여 시공을 마무리한다.
이에 도 6은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은 다수의 지하매설물 표시못(100)을 비롯하여 관리서버, 리더기,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리서버의 경우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위치정보와 해당 지하매설물의 세부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말기는 전용의 단말기를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스마트폰 등에 전용 소트트웨어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송신하는 신호를 인식하는 리더기 또는 센서를 구비한다. 이로써 해당 지하매설물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위치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 AR(증강현실) 서버를 더 포함시킬 수 있는데, 상기 AR 서버는 상기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설치된 지역의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공간정보를 포함하는 AR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에는 2차원의 공간객체를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점, 선, 면형의 객체에 따라 공간정보를 저장하고 속성필드, 리소스 파일 등을 관리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같은 AR 구현을 위한 기술은 다른 기술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므로 그것을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설치된 지역에 적용하기만 하면 얼마든지 구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리시스템은 최근의 무선통신망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관리서버와 지하매설물 표시못을 중심으로 하는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메인바디 120: 헤드커버
130: 커버플레이트 140a, 140b: 상부 고무와셔, 하부 고무와셔
150: 표지시트 160: RFID 인식칩

Claims (9)

  1. 지면을 일정 깊이로 천공하여 마련된 매설홀에 매설하고 매설홀에서 남아 있는 공간에 에폭시를 주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으로서,
    RFID 인식칩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면에 형성된 원통형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부를 덮은 상태로 결합되되 상면 둘레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면이 개구된 개구부로 형성된 헤드커버; 및 상기 메인바디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RFID 인식칩을 상측에서 덮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커버의 개구부를 하측에서 메워주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커버는 상기 메인바디 소재에 비해 더 큰 내충격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바디는 내충격성을 갖지만 상기 헤드커버 소재에 비해 상측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더 잘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력 소재인 폴리아미드를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바디는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몸체로 이루어져서 그 외부에 더해 내부 중공까지 에폭시로 채워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링 형상의 제1돌기라인이 상하로 이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에폭시와의 접합성이 강화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 최하단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링 형상의 제2돌기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제2돌기라인의 외주면 하단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매설홀 저면에 에폭시 주입 전 주입된 초속경 시멘트에 부분적으로 인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 형성되고, 상기 헤드커버에는 상기 메인바디의 수나사에 대응하여 암나사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와 커버플레이트 간 결합이 나사체결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바디의 안착홈에 안착된 RFID 인식칩을 감싼 형태로 상기 안착홈의 둘레부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헤드커버와 상기 안착홈의 저면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수분 침투를 차단하는 고무와셔를 더 구비하되, 상기 고무와셔는 상측과 하측에서 상부 고무와셔와 하부 고무와셔가 적층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바디와 커버플레이트 간에 상대 회전에 의해 나사체결될 때 뒤틀림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표시못.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투명 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플레이트 하측에는 도안이나 문자가 인쇄된 표지시트가 더 구비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통해 외부에 보여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표시못.
  7. 삭제
  8. RFID 인식칩을 내장하고 있는 제1항 또는 제6항의 지하매설물 표시못;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저장 및 제공하고 각각의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담당하는 지하매설물의 정보도 힘께 저장 및 제공하는 관리서버;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를 인식하는 리더기;
    전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상기 리더기의 지하매설물 표시못 인식에 따른 위치를 맵과 함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6항의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면을 일정 깊이로 천공하여 매설홀을 마련하는 단계;
    초속경 시멘트를 매설홀 저면에 주입하는 단계;
    RFID 인식칩을 내장한 상태의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을 매설홀에 삽입하고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상면과 지면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매설홀에 에폭시를 주입하고 양생하여 지하매설물 표시못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시공방법.
KR1020210099074A 2021-07-28 2021-07-28 Rfid 인식칩의 장착 및 보호 기능을 극대화한 원통형 지하매설물 표시못 KR102465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074A KR102465226B1 (ko) 2021-07-28 2021-07-28 Rfid 인식칩의 장착 및 보호 기능을 극대화한 원통형 지하매설물 표시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074A KR102465226B1 (ko) 2021-07-28 2021-07-28 Rfid 인식칩의 장착 및 보호 기능을 극대화한 원통형 지하매설물 표시못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226B1 true KR102465226B1 (ko) 2022-11-10

Family

ID=8410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074A KR102465226B1 (ko) 2021-07-28 2021-07-28 Rfid 인식칩의 장착 및 보호 기능을 극대화한 원통형 지하매설물 표시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2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374A (ko) 2006-03-09 2007-09-13 조현아 전자태그를 구비한 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매설물정보 검색 시스템
KR20160106887A (ko) * 2015-03-03 2016-09-13 이에스피 주식회사 맨홀 및 지하시설물 운영관리시스템
KR200487137Y1 (ko) * 2017-03-07 2018-08-09 이에스피 주식회사 관로표시장치
KR102038491B1 (ko) * 2018-06-28 2019-10-30 대진기술정보 (주) 매설물 표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374A (ko) 2006-03-09 2007-09-13 조현아 전자태그를 구비한 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매설물정보 검색 시스템
KR20160106887A (ko) * 2015-03-03 2016-09-13 이에스피 주식회사 맨홀 및 지하시설물 운영관리시스템
KR200487137Y1 (ko) * 2017-03-07 2018-08-09 이에스피 주식회사 관로표시장치
KR102038491B1 (ko) * 2018-06-28 2019-10-30 대진기술정보 (주) 매설물 표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avent‐Climent et al. Design energy input spectra for moderate‐seismicity regions
US9890513B1 (en) Locatable slab assembly
WO2010135641A1 (en) System, method and monument for land surveying
CN102277882A (zh) 混凝土打桩监视系统及安装方法
KR102465226B1 (ko) Rfid 인식칩의 장착 및 보호 기능을 극대화한 원통형 지하매설물 표시못
KR102063297B1 (ko) 배전용 전신주의 매립장치
KR20070092374A (ko) 전자태그를 구비한 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매설물정보 검색 시스템
KR102038491B1 (ko) 매설물 표지기
KR100896717B1 (ko) 볼라드
KR102116481B1 (ko) 경계석 간 줄눈에 설치 가능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KR102067633B1 (ko) 매설물 표지판
KR102237858B1 (ko) 하이브리드 타입 rfid 태그를 구비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KR200234904Y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지지구조
KR100540297B1 (ko) 지중 관로용 표시못
KR102237851B1 (ko) 연약지반용 앵커링 플러그를 구비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KR100903274B1 (ko) 지적도근점 설비
KR101014387B1 (ko) 굴절형 차단벽을 위한 풍압력 완화장치
JP4162045B2 (ja) 斜面落石防護構造
KR100538981B1 (ko)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US7308776B2 (en) Pole anchor footing system
JP3233343U (ja) 標示具
KR101445802B1 (ko) 지주 보호장치
KR200275966Y1 (ko) 도로안전표지병
KR101222312B1 (ko) 관통형 앙카를 구비한 경계용 표주 및 그 경계용 표주의 제작방법
CN220342620U (zh) 一种水务信息化监测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