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858B1 - 하이브리드 타입 rfid 태그를 구비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타입 rfid 태그를 구비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858B1
KR102237858B1 KR1020200035102A KR20200035102A KR102237858B1 KR 102237858 B1 KR102237858 B1 KR 102237858B1 KR 1020200035102 A KR1020200035102 A KR 1020200035102A KR 20200035102 A KR20200035102 A KR 20200035102A KR 102237858 B1 KR102237858 B1 KR 102237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ground
buried
underground buried
rfid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상빈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주)메딕콘
주식회사 안전공학기술
주식회사 케이엠콘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딕콘, 주식회사 안전공학기술, 주식회사 케이엠콘, 김경희 filed Critical (주)메딕콘
Priority to KR1020200035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6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n unthreaded element, e.g. pin or na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경계석과 경계석 간 줄눈에 간단히 설치 가능하고 불필요한 회전변위로 인하여 방향지시가 틀어지지 않으며, 앵커부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앵커부의 지상 돌출로 인한 유지보수 횟수를 줄이며 해킹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면서 무선통신을 통한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타입 RFID 태그를 구비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UNDERGROUND MATERIALS INDICATION NAIL WITH HYBRID TYPE RFID TAG AND UNDERGROUND MATERIAL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계석과 경계석 간 줄눈에 간단히 설치 가능하고 불필요한 회전변위로 인하여 방향지시가 틀어지지 않으며, 앵커부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앵커부의 지상 돌출로 인한 유지보수 횟수를 줄이며 해킹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면서 무선통신을 통한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시설, 도로, 아파트 등의 부지에 가스 배관이나 그 밖의 케이블 등을 매립할 때 지상에서 그 매립물의 위치와 방향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일정 거리마다 지하매설물의 위치와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못을 설치하고 있다.
특히, 도로, 공동주택, 아파트 등의 부지나 도로에 도시 가스배관을 매립하는 경우에는 표시못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가스관의 길이 50m마다 한 개 이상의 표시못을 설치하되, 주요 분기점, 굴곡지점 및 그 주위 50cm 이내에 설치하도록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종래의 표시못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에 지하매설물의 위치와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방향표시부(1)와 하부에 결합부(2)가 형성된 헤드부(3)와 헤드부(3)의 결합부(2)에 나사 결합되도록 일측에 나사부(4)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 지면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다수개의 걸림턱(5)이 형성된 핀부(6)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못을 지면에 설치시 헤드부(3)의 결합부(2)에 핀부(6)의 나사부(4)를 체결하고, 핀부(6)를 지면에 접촉시킨 후 헤드부(3)의 방향표시부(1)를 지하매설물의 진행방향과 일치시킨 후 외부 힘을 가하여 지면으로 소정 깊이만큼 핀부(6)를 삽입하고, 헤드부(3)의 상단면을 향하여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표시못을 지면에 삽입 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하매설물의 위치와 방향이 표시된 방향표시부가 형성된 헤드부는 지상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부가 도로에 주행하는 차량 바퀴 등에 의해 충격을 받게 되면 지면에 박힌 핀부가 끊임없이 변위되면서 회전하거나 유격이 생기게 되고, 그에 따라 헤드부가 회전하게 되어 방향표시 기능을 상실하게 되거나 핀부가 지상으로 돌출되어 재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표시못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핀부가 삽입할 수 있도록 아스팔트 도로나 경계석 등 단단한 지면을 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92374호(2007.09.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계석과 경계석 간 줄눈에 간단히 설치 가능하고 불필요한 회전변위로 인하여 방향지시가 틀어지지 않으며, 앵커부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앵커부의 지상 돌출로 인한 유지보수 횟수를 줄이며 해킹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면서 무선통신을 통한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은, 지상으로 노출된 상면에 지하매설물에 대한 정보가 기입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반에 매립되어 상기 헤드부를 지지해주는 앵커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앵커부는 경계석과 경계석 간 줄눈을 통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전후 폭에 비해 좌우 폭이 좁게 형성된 납작한 직사각 단면의 몸체로 형성되며, 그 하단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예리하게 형성된 삼각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앵커부의 전측면과 후측면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갖는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지반에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쐐기형 돌기가 구비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와 지반면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앵커부가 지반에 매립될 때 상기 앵커부의 하방향 관통을 허용하는 제1절개부와, 상기 제1절개부의 우측변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앵커부의 하방향 관통 시 상기 앵커부와 접촉하여 하측으로 꺾이면서 상기 앵커부의 우측면과 지반의 매립공 틈새에 억지끼움되는 제1날개부를 구비하는 고무 소재의 제1앵커시트; 상기 제1앵커시트의 하면에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와 지반면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앵커부가 지반에 매립될 때 상기 앵커부의 하방향 관통을 허용하는 제2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좌측변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앵커부의 하방향 관통 시 상기 앵커부와 접촉하여 하측으로 꺾이면서 상기 앵커부의 좌측면과 지반의 매립공 틈새에 억지끼움되는 제2날개부를 구비하는 고무 소재의 제2앵커시트; 상기 제2앵커시트의 하면에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와 지반면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앵커부가 지반에 매립될 때 상기 앵커부의 하방향 관통을 허용하는 제3절개부와, 상기 제3절개부의 전측변과 후측변으로부터 각각 후측과 전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앵커부의 하방향 관통 시 상기 앵커부와 접촉하여 하측으로 각각 꺾이면서 상기 앵커부의 전측면과 지반의 매립공 틈새, 상기 앵커부의 후측면과 지반의 매립공 틈새에 억지끼움되는 한 쌍의 제3날개부를 구비하는 고무 소재의 제3앵커시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앵커부의 매립과 동시에 상기 제1날개부, 제2날개부 및 제3날개부가 매립공과의 틈새를 억지끼움의 형태로 메우면서 상기 앵커부가 지반에 고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앵커시트, 제2앵커시트 및 제3앵커시트는 충격 및 진동 감쇠를 위한 고감쇠고무(High Damping Rubber)를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연성을 유지하면서도 강성을 높이기 위한 강재볼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부가 매립되는 지반이 부서지기 쉬운 연약지반인 경우 매립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연약지반에 먼저 매립된 후 앵커부와 결합되는 앵커링 플러그를 더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앵커링 플러그는, 상기 앵커부가 개방된 상부 입구를 통해 타격에 의해 억지끼움되는 끼움홀을 구비한 중공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금속 소재인 상기 앵커부에 비해 마찰계수가 높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며, 하단부는 하측 끝단으로 갈수록 예리한 삼각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벽과 우측벽에는 상기 앵커부의 쐐기형 돌기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허용하는 노출공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연약지반에 매립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다수의 표면돌기들을 구비하며, 끼움홀 내측면에는 억지끼움된 앵커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가로방향 라인돌기들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에는 900MHz 대역의 극초단파(UHF)를 사용하는 제1RFID 태그와 13.56MHz의 단파(HF)를 사용하는 제2RFID 태그가 하이브리드 형태로 함께 장착되며, 상대적으로 인식거리가 긴 제1RFID 태그는 표시못의 위치 찾기 전용으로 사용되고, 상대적으로 인식거리가 짧은 제2RFID 태그는 표시못이 담당하고 있는 해당 지하매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RFID 태그는 해당 지하매설물의 정보를 식별코드로만 제공하며, 상기 제2RFID 태그가 담당하는 지하매설물의 세부정보는 상기 제2RFID 태그로부터 식별코드를 전달받은 외부의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은, 상기 제1RFID 태그 및 제2RFID 태그가 장착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위치정보와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담당하는 해당 지하매설물의 세부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관리서버;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제1RFID 태그 및 제2RFID 태그를 각각 인식하는 제1리더기 및 제2리더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1RFID 태그 인식에 따른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위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2RFID 태그로부터 제공받은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식별코드를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지하매설물 세부정보를 제공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설치된 지역의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공간정보를 포함하는 AR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의 요청 시 AR 정보를 제공하는 AR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은 앵커부가 납작한 직사각 단면의 몸체로 형성되어 경계석과 경계석 간 줄눈을 통해 쉽게 매립 가능한 것은 물론 불필요한 회전변위로 인하여 방향지시가 틀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시트 복합체가 지상으로부터 앵커부로 전달되는 반복적인 충격 및 진동을 중간 차단함으로써 앵커부의 지상 돌출로 인한 유지보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인식거리를 갖는 제1RFID 태그와 제2RFID 태그를 하이브리드 타입으로 최적화한 구성에 의하여 해킹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면서 무선통신을 통한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표시못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에서 헤드부의 저면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에서 헤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헤드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옵션으로 추가된 앵커시트 복합체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에서 옵션으로 추가되는 앵커시트 복합체의 각 날개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에서 단말기를 통한 표시못의 위치정보 및 지하매설물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에서 증강현실을 적용하여 지하매설물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단말기 화면을 예시한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에서 헤드부의 저면을 보인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에서 헤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헤드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옵션으로 추가된 다중 앵커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은 지상으로 노출된 상면에 지하매설물에 대한 정보가 기입된 헤드부(100a)와, 상기 헤드부(100a)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반에 매립되어 상기 헤드부(100a)를 지지해주는 앵커부(10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앵커부(100b)가 좌측면과 우측면에 비해 전측면과 후측면이 좁게 형성된 납작한 직사각 단면의 몸체로 형성되어 경계석과 경계석 간 줄눈을 통해 쉽게 매립 가능한 것은 물론 불필요한 회전변위로 인하여 방향지시가 틀어지지 않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은 지상으로부터 앵커부(100b)로 전달되는 반복적인 충격 및 진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앵커부(100b)의 지상 돌출로 인한 유지보수 횟수를 줄이고 무선통신을 이용한 체계적인 유지관리에도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헤드부(100a)는 하우징 본체(110), 표식판(120), 하이브리드 타입의 제1RFID 태그(130a) 및 제2RFID 태그(130b), 제1보호시트(140a) 및 제2보호시트(140b)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100a)의 하우징 본체(110)는 상면에 챔버(111)를 구비하며 챔버(111) 저면에는 독립된 개체로 구비된 제1RFID 태그(130a) 및 제2RFID 태그(130b)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112a) 및 제2안착홈(112b)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110)는 황동을 비롯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금속 소재나 세라믹 소재, 수지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경우 옵션으로 시공되는 앵커시트 복합체(160)의 정확한 위치를 잡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면에 앵커시트 복합체(162) 중 상단부에 위치한 일부가 안착되도록 하는 정위치 홈(113)을 구비한다. 또한, 하우징 본체(110)의 각 모서리에는 볼트공이 구비되어 볼트(115)에 의해 표식판(120)을 체결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볼트(115)를 길이가 충분히 긴 것으로 사용하면 상기 헤드부(100a)를 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헤드부(100a)의 표식판(120)은 상기 하우징 본체(110)의 챔버(111)를 덮어 그 내부에 위치하는 부품들을 은폐 및 보호하며, 상면에는 해당 지하매설물에 대한 기본정보가 기입된다. 이같은 기본정보는 지역 명칭, 해당 지하매설물의 진행방향을 알리는 방향지시 화살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RFID 태그(130a)와 제2RFID 태그(130b)는 서로 간에 인식거리가 다른 900MHz 대역의 극초단파(UHF)를 사용하는 것과 13.56MHz의 단파(HF)를 사용하는 구비되어 제1안착홈(112a)과 제2안착홈(112b)에 각각 안착된다. 인식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제1RFID 태그(130a)의 경우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위치를 찾기 위한 용도를 위해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인식거리가 짧은 제2RFID 태그(130b)의 경우 해당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담당하는 지하매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처럼 인식거리가 다른 제1RFID 태그(130a)와 제2RFID 태그(130b)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형태로 사용하면서 서로에게서 일부 용도는 제한하면서 필요한 것들만 활용하는 독특한 구성에 따르면 원거리에서 지하매설물 정보를 해킹하는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작업자가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근거리 인접한 상태에서만 해당 지하매설물에 대한 세부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인근에 위치한 표시못으로부터 잘못된 정보를 얻을 가능성을 봉쇄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차후에 설명되겠지만 이같은 세부정보는 상기 제2RFID 태그(130b)로부터 직접 얻는 것이 아니라 식별코드를 보내 관리서버로로부터 제공받도록 함으로써 한번 더 인증된 사용자만이 얻을 수 있도록 필터링한다.
상기 제1보호시트(140a) 및 제2보호시트(140b)는 완충 가능한 고무를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식판(120)과 제1RFID 태그(130a) 사이, 상기 표식판(120)과 제2RFID 태그(130b)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표식판(120)을 통해 지상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도중에 차단함으로써 제1RFID 태그(130a)와 제2RFID 태그(130b)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앵커부(100b)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좌측면과 우측면에 비해 전측면과 후측면이 좁게 형성된 납작한 직사각 단면의 몸체(150)로 형성되며 하단부(150a)는 지반에 대한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측 끝단으로 갈수록 좁은 폭을 갖는 삼각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납작한 직사각 단면의 몸체(150)를 갖는 앵커부(100b)의 구성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것처럼 경계석과 경계석 간 좁은 줄눈을 통해서도 쉽게 매립 가능하게 되며 불필요한 회전변위로 인하여 방향지시가 틀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앵커부(110b)는 경계석과 경계석 간 줄눈에 설치하기 적당한 형태이기는 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도로의 콘크리트 면 등을 지반으로 설치하는데도 적당하여 범용적인 특성을 갖는다. 이같은 상기 앵커부(100b)의 몸체(150)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쐐기형 돌기(151)가 구비된다. 상기 쐐기형 돌기(151)는 앵커부(100b)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가로로 길게 라인형으로 형성되어 복수개가 상하 이격을 두고 구비된다. 이처럼 쐐기형 돌기(151)가 가로로 길게 라인형으로 형성되면 지반에 대한 지압면적이 넓으므로 부반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하면서 지상으로 빠지기 어려운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같은 구조는 별도의 강도 보강을 하지 않는다면 약한 지반이 될 수 있는 경계석 간의 줄눈에 적용하는데 매우 적당하다. 단, 상기 쐐기형 돌기(151)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로 길게 형성된 라인형 돌기가 경계석 줄눈에 설치되는데 따른 장점이 있지만 반드시 그 형태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짧은 단돌기 형태의 쐐기형 돌기(151)로 다수 구비될 수도 있다.
이같이 폭이 좁게 형성된 직사각 단면의 앵커부(100b) 구성에 따르면 경계석과 경계석 간 줄눈을 통하여 앵커부(100b)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매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지하매설물 표시못을 경계석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 경계석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단축된 공정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회전변위에 의해 방향지시가 틀어지는 문제도 염려할 필요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앵커부(100b)의 매립과 동시에 앵커부(100b)가 매립되는 매립공과 상기 앵커부(100b)와의 틈새를 강제로 메우면서 앵커부(100b)의 상단부를 지반에 견고하게 고착시켜주고, 그 상태에서 외부에서 앵커부(100b)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중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앵커시트 복합체(160)가 옵션으로 구비된다. 이같은 앵커시트 복합체(16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의 형상을 갖는 앵커부(100b)에 최적화되어 서로 다른 위치와 형상의 날개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제1앵커시트(160a)와, 제2앵커시트(160b)와, 제3앵커시트(160c)가 조합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앵커시트(160a)의 경우, 헤드부(100a)와 (경계석 등을 포함하는) 지반면 사이에서 압착된 상태로 위치하며, 앵커부(100b)가 지반에 매립될 때 앵커부(100b)의 하방향 관통을 허용하는 제1절개부(162a)와, 제1절개부(162a)의 우측변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앵커부(100b)의 하방향 관통 시 앵커부(100b)와 접촉하여 하측으로 꺾이면서 앵커부(100b)의 우측면과 지반의 매립공 틈새에 억지끼움되는 제1날개부(161a)를 구비한다. 단, 도 6a 및 도 6b는 앵커부(100b)가 매립공에 배립될 때 제1앵커시트(160a), 제2앵커시트(160b) 및 제3앵커시트(160c)에서 제1날개부(161a), 제2날개부(161b) 및 제3날개부(161c)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제1앵커시트(160a), 제2앵커시트(160b) 및 제3앵커시트(160c)를 상하로 이격시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제1앵커시트(160a), 제2앵커시트(160b) 및 제3앵커시트(160c)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제1날개부(161a), 제2날개부(161b) 및 제3날개부(161c)가 동시다발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도 6a는 전측에서 바라본 단면이라면 도 6b는 좌측에서 바라본 단면이다.
상기 제2앵커시트(160b)는 제1앵커시트(160a)의 하면에 대면한 상태에서 헤드부(100a)와 지반면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위치하며, 앵커부(100b)가 지반에 매립될 때 앵커부(100b)의 하방향 관통을 허용하는 제2절개부(162b)와, 제2절개부(162b)의 좌측변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어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앵커부(100b)의 하방향 관통 시 앵커부(100b)와 접촉하여 하측으로 꺾이면서 앵커부(100b)의 좌측면과 지반의 매립공 틈새에 억지끼움되는 제2날개부(161b)를 구비한다.
상기 제3앵커시트(160c)는 상기 제2앵커시트(160b)의 하면에 대면한 상태에서 헤드부(100a)와 지반면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위치하며, 앵커부(100b)가 지반에 매립될 때 앵커부(100b)의 하방향 관통을 허용하는 제3절개부(162c)와, 제3절개부(162c)의 전측변과 후측변으로부터 각각 후측과 전측으로 연장되어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앵커부(100b)의 하방향 관통 시 앵커부(100b)와 접촉하여 하측으로 각각 꺾이면서 앵커부(100b)의 전측면과 지반의 매립공 틈새, 앵커부(100b)의 후측면과 지반의 매립공 틈새에 억지끼움되는 한 쌍의 제3날개부(161c)를 구비한다.
이같은 앵커시트 복합체(160)의 구성에서 주목할 수 있는 점은 제1앵커시트(160a)와, 제2앵커시트(160b) 및 제3앵커시트(160c)를 하나의 시트로 통합하지 않고 별도의 시트들로 마련하여 적층된 복합체의 형태로 구성하였다는 점에 있다. 이는 앵커부(100b)의 우측면과 좌측면을 담당하는 제1날개부(161a)와 제2날개부(161b), 전측면과 후측면을 담당하는 제3날개부(161c) 모두를 충분한 폭으로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특히 두 개의 날개부가 형성되는 제3앵커시트(160c)와 달리 제1앵커시트(160a)와 제2앵커시트(160b)의 경우에는 제1날개부(161a)와 제2날개부(161b)를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는 폭이 극도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각각 하나의 날개부만 형성되도록 하였다는 점에 유의할 수 있다.
이처럼 제1앵커시트(160a), 제2앵커시트(160b), 제3앵커시트(160c)가 적층되어 조합된 구성에 따르면 앵커부(100b)의 매립과 동시에 상기 제1날개부(161a), 제2날개부(161b) 및 제3날개부(161c)가 사방에서 앵커부(100b)와 매립공의 틈새를 억지끼움의 형태로 메우면서 앵커부(100b)가 지반에 즉시 고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여기서, 상기 제1앵커시트(160a), 제2앵커시트(160b) 및 제3앵커시트(160c)는 고감쇠고무(High Damping Rubber)로 이루어지므로 일반 천연고무보다 유연성이 높은 것은 물론 외부에서 앵커부(100b)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중간 차단하여 준다. 단, 상기 제1앵커시트(160a), 제2앵커시트(160b), 제3앵커시트(160c)의 경우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조합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앵커부(100b)와 매립공의 틈새 너비에 따라 더 많은 개수로 조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더욱이 도 5의 확대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제1앵커시트(160a), 제2앵커시트(160b) 및 제3앵커시트(160c)의 내부에는 강성을 높이기 위한 0.1 내지 1.5mm 정도 입경의 작은 크기를 갖는 강재볼(163)이 첨가되어 있다. 이처럼 강재볼(163)이 내부에 첨가된 구성에 따르면 고감쇠고무가 갖는 유연성은 그대로 살리면서 앵커부(100b)를 지지하는 강성은 증대되어 앵커부(100b)가 변위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부가 부서지기 쉬운 연약지반에 매립되는 경우 그 매립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앵커링 플러그(170)가 더 포함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앵커링 플러그(170)는, 앵커부(100b)가 개방된 상부 입구를 통해 타격에 의해 억지끼움되는 끼움홀(170b)을 구비한 중공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금속 소재인 상기 앵커부(100b)에 비해 마찰계수가 높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플라스틱 소재는 연약지반에 형성되는 매립홀과 앵커부(100b)에 부합되도록 배교적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며, 연약지반에 대해서도, 금속 소재인 앵커부(100b)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착성을 가지므로 연약지반과 앵커부(100b) 사이에서 일체감을 있는 결합구조를 이루어준다. 상기 앵커링 플러그(170)의 하단부(170a)는 하측 끝단으로 갈수록 예리한 삼각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벽과 우측벽에는 상기 앵커부(100b)의 쐐기형 돌기(151)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허용하는 노출공(171)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앵커링 플러그(170)가 앵커부(100b)를 감싸더라도 앵커부(100b)에 구비된 쐐기형 돌기(151)의 기능을 그대로 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앵커링 플러그(170)의 외측면에는 연약지반에 매립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다수의 표면돌기(172)들을 구비하며, 끼움홀(170b) 내측면에는 억지끼움된 앵커부(100b)가 이탈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가로방향 라인돌기(173)들이 다수 형성된다. 이로써 연약지반, 앵커링 플러그(170), 앵커부(100b) 간에 일체감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어 서로 간에 박리되지 않고 고착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a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100)을 시공할 위치를 선택하여 경계석(S1) 간 줄눈(B1)의 폭이 앵커부(100b)를 매립하기 충분한지 살펴본다. 만일 줄눈(B1)의 폭이 앵커부(100b)를 매립하기 충분하지 않다면 인근에 위치한 다른 줄눈(B1)을 시공위치로 하면 된다.
이후, 도 8b와 같이 공구를 사용하여 앵커부(100b)가 매립될 매립공(H1)을 천공하고 경계석(S1)을 절삭하여 헤드부(100a)가 안착될 헤드 홈(S2)도 마련한다.
이후, 도 8c와 같이 제1앵커시트(160a), 제2앵커시트(160b), 제3앵커시트(160c)를 적층시켜 조합한 앵커시트 복합체(160)를 헤드부(100a) 안착을 위한 헤드 홈(S2)에 미리 정위치 시킨 후 표시못(100)을 타격하여 매립공에 매립시킨다. 이때 앵커부(100b)가 제1앵커시트(160a), 제2앵커시트(160b), 제3앵커시트(160c)의 제1절개부(162a), 제2절개부(162b), 제3절개부(162c)를 동시에 관통하게 되어 제1날개부(161a), 제2날개부(161b), 제3날개부(161c)가 꺾이면서 각각 앵커부(100b)의 우측면, 좌측면, 전측면 및 후측면과 매립공 사이의 틈새에 억지끼움된다. 그러면 도 8d와 같이 헤드부(100a)는 헤드 홈(S1)에 안착된 상태가 되며 앵커부(100b)는 제1앵커시트(160a)의 제1날개부(161a), 제2앵커시트(160b)의 제2날개부(161b), 제3앵커시트(160c)의 제3날개부(161c)에 의해 매립공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가 되어 설치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앵커볼트(115)를 사용하여 헤드부(100a)를 지반이 되는 경계석(S1)에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관리서버, AR 서버, 리더기 혹은 센서를 장착하고 있는 단말기와 함께 무선통신을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을 구성한다.
이에 도 10은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에서 단말기를 통한 표시못의 위치정보 및 지하매설물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에서 증강현실을 적용하여 지하매설물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단말기 화면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의 경우 상기 제1RFID 태그(130a) 및 제2RFID 태그(130b)가 장착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위치정보와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담당하는 해당 지하매설물의 세부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말기는 전용의 단말기를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스마트폰 등에 전용 앱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제1RFID 태그(130a) 및 제2RFID 태그(130b)를 각각 인식하는 제1리더기 및 제2리더기 또는 센서를 구비한다. 이로써 제1RFID 태그(130a) 인식에 따른 해당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위치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2RFID 태그(130b)로부터 제공받은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식별코드를 관리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지하매설물 세부정보를 제공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AR(증강현실) 서버는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설치된 지역의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공간정보를 포함하는 AR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에는 2차원의 공간객체를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점, 선, 면형의 객체에 따라 공간정보를 저장하고 속성필드, 리소스 파일 등을 관리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같은 AR 구현을 위한 기술은 다른 기술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므로 그것을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설치된 지역에 적용하기만 하면 얼마든지 구현 가능하다.
이같은 단말기를 사용하여 주변에 위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을 검색하고 지하매설물의 세부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GPS 수신기와 RFID 인식을 ON 상태로 세팅한 후 주변을 탐색한다. 그러면 극초단파를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원거리 인식이 가능한 제1RFID 태그(130a)에 의하여 주변에 위치한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AR 서버로부터 AR 정보를 제공받아 증강현실을 적용하게 되면 도 12와 같이 화면에는 카메라로 현재 촬영 중인 실제 주변 모습에 설치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위치가 표시된다. 그리고 동일 화면상에 지칭하는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관리하는 해당 지하매설물에 대한 간단한 수준의 기본정보도 함께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제1RFID 태그(130a)에 의해 위치 인식된 지하매설물 표시못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근거리에 근접하면 해당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장착된 제2RFID 태그(130b)가 인식되며, 단말기는 상기 제2RFID 태그(130b)가 제공하는 식별코드를 제공받아 관리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해당 지하매설물에 대한 세부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로써 현재 위치에 설치된 지하매설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갖고 필요한 작업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관리시스템은 최근의 무선통신망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관리서버와 지하매설물 표시못을 중심으로 하는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a : 헤드부 100b : 앵커부
110 : 하우징 본체 120 : 표식판
130a : 제1RFID 태그 130b : 제2RFID 태그
160a : 제1앵커시트 160b : 제2앵커시트
160c : 제3앵커시트 170 : 앵커링 플러그

Claims (5)

  1. 지하매설물 표시못에 있어서,
    지상으로 노출된 상면에 지하매설물에 대한 정보가 기입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반에 매립되어 상기 헤드부를 지지해주는 앵커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앵커부는 경계석과 경계석 간 줄눈을 통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전후 폭에 비해 좌우 폭이 좁게 형성된 납작한 직사각 단면의 몸체로 형성되며, 그 하단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예리하게 형성된 삼각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앵커부의 전측면과 후측면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갖는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지반에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쐐기형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에는 900MHz 대역의 극초단파(UHF)를 사용하는 제1RFID 태그와 13.56MHz의 단파(HF)를 사용하는 제2RFID 태그가 하이브리드 형태로 함께 장착되며, 상기 제2RFID 태그보다 상대적으로 인식거리가 긴 상기 제1RFID 태그는 표시못의 위치 찾기 전용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1RFID 태그보다 상대적으로 인식거리가 짧은 제2RFID 태그는 표시못이 담당하고 있는 해당 지하매설물의 정보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표시못.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RFID 태그는 해당 지하매설물의 정보를 식별코드로만 제공하며, 상기 제2RFID 태그가 담당하는 지하매설물의 세부정보는 상기 제2RFID 태그로부터 식별코드를 전달받은 외부의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표시못.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지반면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앵커부가 지반에 매립될 때 상기 앵커부의 하방향 관통을 허용하는 제1절개부와, 상기 제1절개부의 우측변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앵커부의 하방향 관통 시 상기 앵커부와 접촉하여 하측으로 꺾이면서 상기 앵커부의 우측면과 지반의 매립공 틈새에 억지끼움되는 제1날개부를 구비하는 고무 소재의 제1앵커시트;
    상기 제1앵커시트의 하면에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와 지반면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앵커부가 지반에 매립될 때 상기 앵커부의 하방향 관통을 허용하는 제2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좌측변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앵커부의 하방향 관통 시 상기 앵커부와 접촉하여 하측으로 꺾이면서 상기 앵커부의 좌측면과 지반의 매립공 틈새에 억지끼움되는 제2날개부를 구비하는 고무 소재의 제2앵커시트;
    상기 제2앵커시트의 하면에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와 지반면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앵커부가 지반에 매립될 때 상기 앵커부의 하방향 관통을 허용하는 제3절개부와, 상기 제3절개부의 전측변과 후측변으로부터 각각 후측과 전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앵커부의 하방향 관통 시 상기 앵커부와 접촉하여 하측으로 각각 꺾이면서 상기 앵커부의 전측면과 지반의 매립공 틈새, 상기 앵커부의 후측면과 지반의 매립공 틈새에 억지끼움되는 한 쌍의 제3날개부를 구비하는 고무 소재의 제3앵커시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앵커부의 매립과 동시에 상기 제1날개부, 제2날개부 및 제3날개부가 매립공과의 틈새를 억지끼움의 형태로 메우면서 상기 앵커부가 지반에 고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표시못.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지하매설물 표시못;
    상기 제1RFID 태그 및 제2RFID 태그가 장착된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위치정보와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담당하는 해당 지하매설물의 세부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제1RFID 태그 및 제2RFID 태그를 각각 인식하는 제1리더기 및 제2리더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1RFID 태그 인식에 따른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위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2RFID 태그로부터 제공받은 지하매설물 표시못의 식별코드를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지하매설물 세부정보를 제공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매설물 표시못이 설치된 지역의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공간정보를 포함하는 AR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의 요청 시 AR 정보를 제공하는 AR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KR1020200035102A 2020-03-23 2020-03-23 하이브리드 타입 rfid 태그를 구비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KR102237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102A KR102237858B1 (ko) 2020-03-23 2020-03-23 하이브리드 타입 rfid 태그를 구비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102A KR102237858B1 (ko) 2020-03-23 2020-03-23 하이브리드 타입 rfid 태그를 구비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377A Division KR102116481B1 (ko) 2019-11-21 2019-11-21 경계석 간 줄눈에 설치 가능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858B1 true KR102237858B1 (ko) 2021-04-08

Family

ID=7548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102A KR102237858B1 (ko) 2020-03-23 2020-03-23 하이브리드 타입 rfid 태그를 구비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8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113A (ja) * 2003-06-12 2005-01-06 Yunika Kk アンカーピン及び板状部材をアンカーピンにより構造物表面に係止固着する構造
KR20070092374A (ko) 2006-03-09 2007-09-13 조현아 전자태그를 구비한 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매설물정보 검색 시스템
KR20110008452U (ko) * 2010-02-24 2011-08-31 주식회사 블루랜드 개량된 덮개부를 갖는 표시못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113A (ja) * 2003-06-12 2005-01-06 Yunika Kk アンカーピン及び板状部材をアンカーピンにより構造物表面に係止固着する構造
KR20070092374A (ko) 2006-03-09 2007-09-13 조현아 전자태그를 구비한 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매설물정보 검색 시스템
KR20110008452U (ko) * 2010-02-24 2011-08-31 주식회사 블루랜드 개량된 덮개부를 갖는 표시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2492C (en) System, method and monument for land surveying
US5207175A (en) Marker post
US20090072978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cast concrete components
US20120326872A1 (en) Securing a land surveyor&#39;s mark based on use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er tag
KR102038491B1 (ko) 매설물 표지기
KR20070092374A (ko) 전자태그를 구비한 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매설물정보 검색 시스템
KR101677943B1 (ko) 매설관로 표지판
KR102116481B1 (ko) 경계석 간 줄눈에 설치 가능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KR102237858B1 (ko) 하이브리드 타입 rfid 태그를 구비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KR102237851B1 (ko) 연약지반용 앵커링 플러그를 구비한 지하매설물 표시못 및 이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관리시스템
KR200487137Y1 (ko) 관로표시장치
KR101767406B1 (ko) 매설관로에 대한 정보를 통합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방법
KR102067633B1 (ko) 매설물 표지판
US10705249B2 (en) Electronic marker with integral level indicator
KR102465226B1 (ko) Rfid 인식칩의 장착 및 보호 기능을 극대화한 원통형 지하매설물 표시못
KR101892596B1 (ko) 지중케이블 보호판 장착형 rfid 마커 홀더
KR20220101832A (ko)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KR101442016B1 (ko) 근거리 무선 태그 커넥터 및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맨홀 또는 변실을 전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철개의 설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또는 변실의 유지 관리 방법
KR20110096700A (ko) 바코드 탐지용 관로 표지판
KR101025916B1 (ko) 건물표시용 패널
KR102222454B1 (ko)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603391B1 (ko) 지하시설물 정보 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4237015B2 (ja) 識別体を備えた標示杭
KR20190130871A (ko) 지중 선로 표지기 및 이를 지중에 매설하는 방법
KR102259046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측량기준점 표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