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365B1 - 광 캐비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광 캐비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365B1
KR102464365B1 KR1020170165230A KR20170165230A KR102464365B1 KR 102464365 B1 KR102464365 B1 KR 102464365B1 KR 1020170165230 A KR1020170165230 A KR 1020170165230A KR 20170165230 A KR20170165230 A KR 20170165230A KR 102464365 B1 KR102464365 B1 KR 102464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layer
conductivity
layer
contact
conductivit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632A (ko
Inventor
허진성
이민현
김필립
박성준
박홍근
함돈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지던트 앤드 펠로우즈 오브 하바드 칼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지던트 앤드 펠로우즈 오브 하바드 칼리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962,60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910794B2/en
Publication of KR20190004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40Materials therefor
    • H01L33/42Transpar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발광 소자는, 광 캐비티(photonic cavity)를 포함하며 게이트로 기능하는 기판, 이차원 물질로 형성되는 활성층, 제1 도전형 컨택트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를 포함한다. 광 캐비티로 인하여 발광 소자가 형성하는 광의 파장 영역이 좁아지고, 게이트로 기능하는 기판을 통해 생성하는 광의 세기 및 파장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캐비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photonic cavity}
본 개시는 광 캐비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3족 내지 5족 물질을 이용한 발광 소자는 광 물질 상호작용(light matter interaction)이 약하므로 광 흡수 계수(light absorption coefficient)가 낮고, 대형 면적으로의 성장과 의도한 기판으로의 전이(transfer)가 어려웠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3족 내지 5족 물질을 이차원 물질(2-dimensional material)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2차원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는 종래 기술 대비 광 물질 상호 작용이 강하며, 대형 면적으로의 성장이 용이하다. 또한, 이차원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는 적외선부터 자외선까지 광 스펙트럼이 넓다. 그러나, 이차원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는 간접 천이(indirect bandgap) 로 인한 광 효율의 감소 및 여러 결함(defect)으로 인한 광 효율의 감소가 문제된다. 특히, 이차원 물질이 간접 천이(indirect bandgap)를 가지는 경우 발광 소자가 필요한 수준보다 넓은 대역의 광을 형성하는 것이 문제되었다.
본 개시는 광 캐비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광 캐비티(photonic cavity)를 포함하는기판; 상기 광 캐비티 상에 마련되며, 이차원 물질로 형성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형 컨택트; 및 상기 활성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형 컨택트;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 및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활성층의 사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터널링층;을 더 포함할수 있다.
상기 터널링층은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활성층 사이에 접하는 제1 터널링층과,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활성층 사이에 접하는 제2 터널링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널링층은, 상기 활성층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는 상기 터널링층의 상부면 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는 상기 터널링층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와 접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투명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활성층을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두께 프로파일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의 수직선상의 영역에서의 두께와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의 수직선상의 영역에서의 두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제1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은,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와 접하는 제1 도전형 활성층과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와 접하는 제 2 도전형 활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활성층과 상기 제 2 도전형 활성층은 적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제1 도전형 활성층 사이에 마련되는 제1 터널링층과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제 2 도전형 활성층 사이에 마련되는 제2 터널링층을 포함하는 터널링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와 접하고, 상기 광 캐비티 상에 마련되는 제1 터널링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은 상기 제1 터널링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널링층 상에 적층되는 제1 도전형 활성층, 상기 제1 도전형 활성층 상에 적층되며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와 접하는 제 2 도전형 활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널링층 및 상기 제1 도전형 활성층과 측면에서 접하고, 상기 제 2 도전형 활성층과 상부면에서 접하며,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활성층 사이에 마련되는 제2 터널링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도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차원 물질은 전이금속 다이칼코게나이드(TM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캐비티는 게이트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원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발광 소자는, 게이트로 기능하며, 광 캐비티를 포함하는 기판을 포함하여 활성층에서 형성되는 광의 세기를 증폭(amplification)시키고, 파장 대역을 좁게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발광 소자는, 제1 도전형 활성층과 제2 도전형 활성층을 포함하여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레이저 광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발광 소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폭 및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들에서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100)는 광 캐비티(photonic cavity;pc)를 포함하는 기판(101), 절연층(102), 제1 도전형 컨택트(103), 제 2 도전형 컨택트(104), 활성층(105)를 포함한다.
기판(101)은 표면 상에 광 캐비티(pc)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캐비티(pc)는 기판(101)의 표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광 캐비티(pc)는 기판(101)의 표면을 식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광 캐비티(pc)는 발광 소자(100)가 형성하고자 하는 광의 파장 영역에 대응되는 길이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100)가 수백 nm 영역의 광을 생성하고자 한다면, 광 캐비티(pc) 각각의 너비는 수백 nm 영역 수준일 수 있다. 캐비티(pc)의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1um 내지 1nm 수준일 수 있다. 광 캐비티(pc)는 복수 개 일 수 있다. 광 캐비티(pc)는 서로 간에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캐비티(pc)는 육각 패턴(hexagonal pattern)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 캐비티(pc)의 형상은 원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광 캐비티(pc)는 활성층(105)과의 광학적 커플링을 통해 생성되는 광의 세기를 증가시키거나 광전 변환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 광 캐비티(pc)는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캐비티(pc)는 게이트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광 캐비티(pc)는 발광 소자(100)의 공명 파장에 해당하는 파장을 흡수하지 않기 위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1)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1)은 금속(metal)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1)은 Pd, Pt, Ru, Au, Ag, Mo, Mg, Al, W, Ti, Ir, Ni, Cr, Nd 또는 Cu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1)은 그래핀(graphene) 또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ium zinc oxide), GZO(gall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판(101)은 활성층(105)에서 생성되는 광의 파장을 고려할 때, 해당 파장의 빛 흡수율이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02)은 기판(101)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102)은 SiO2, SiNx, fO2, Al2O3, La2O3, ZrO2, HfSiO, HfSiON, HfLaO, LaAlO, SrTiO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 재료로 형성 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컨택트(1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104)는 어느 하나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 나머지 하나는 과도핑된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도전형 컨택트(1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104)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컨택트(1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104)는 절연층(102)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전형 컨택트(1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104)는 광 캐비티(pc)를 수직선상에서 가리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활성층(105)은 이차원 물질(2-dimensional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활성층(105)은 예를 들어, 그래핀(graphene), Black phosphorus, hBN(hexagonal Boron nitride)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층(105)은 MoS2, MoSe2, MoTe2, WS2, WSe2, WTe2를 비롯한 전이금속 다이칼코게나이드(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로 형성될 수 있다. 활성층(105)은 전이금속 다이칼코게나이드 단일층(TMD monolayer)일 수 있다. 활성층(105)이 전이금속 다이칼코게나이드 단일층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직접 천이(Direct Bandgap) 특성을 가져 발광 소자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활성층(105)은 다이칼코게나이드 복수층(bilayer, multilayer) 구조 일수도 있다. 활성층(105)의 광학적 밴드갭(optical bandgap) 및 광 스펙트럼에 따라 발광 소자(100)의 공명 파장(resonant wavelength)이 정의될 수 있다. 활성층(105)은 퀀텀닷(quantum dots) 필름이거나, 3 내지 5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활성층(105)의 두께는 1nm 내지 1um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는 수평 p-i-n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도전형 컨택트(1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104)가 활성층(105)의 양 측면에서 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제1 도전형 컨택트(1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104)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활성층(105)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제1 도전형 영역(p or n), 공핍층 영역(i), 제 2 도전형 영역(n or p)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는 예를 들어, 제1 도전형 컨택트(103)을 그라운드 전극(GND)으로 삼고, 제 2 도전형 컨택트(104)에 바이어스 전압(Vbias)을 인가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발광 소자(100)의 구동 특성은 기판(101)으로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Vgate)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는 기판(101) 자체를 게이트 전극으로 삼음으로써 간이하면서도 발광 소자(100)에서 생성하는 광의 특성(i.e, 세기, 파장 영역)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또한, 기판(101)에 마련되는 광 캐비티(pc)로 인하여 발광 소자(100)에서 좁은 파장 영역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방법은 발광 소자(100)뿐 아니라 후술하는 모든 실시예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200)는 광 캐비티(pc)를 포함하는 기판(201), 절연층(202), 제1 도전형 컨택트(203), 제 2 도전형 컨택트(204), 활성층(205), 터널링층(206,207)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01), 절연층(202), 제1 도전형 컨택트(203), 제 2 도전형 컨택트(204) 및 활성층(205)의 특성 및 조성은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터널링층(206,207)은 제1 도전형 컨택트(2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204)와 활성층(205)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터널링층(206,207)은 제1 도전형 컨택트(2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204)와 활성층(205)의 전기적 직접 접촉을 방지하되, 임계치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터널링 현상(tunneling effect)이 발생할 수 있다. 전자와 정공은 제1 도전형 컨택트(2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204)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때는 터널링 효과로 활성층(205)으로 이동하고,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는 활성층(205)에 가두어질 수 있다(trap). 따라서, 터널링층(206, 207)은 전자 및 정공이 활성층(205)에 오래 머무르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터널링층(206, 207)은 발광 소자(200)가 구동하는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항복 전압(threshold voltage)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터널링층(206, 207)은 예를 들어 Ti 산화물, Ta 산화물, Ni 산화물, Zn 산화물, W 산화물, Co 산화물, Nb 산화물, TiNi 산화물, LiNi 산화물, InZn 산화물, V 산화물, SrZr 산화물, SrTi 산화물, Cr 산화물, Fe 산화물, Cu 산화물, Hf 산화물, Zr 산화물, Al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터널링층(206, 207)은 hBN, black phosphorus, 그래핀 을 비롯한 이차원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도전형 컨택트(2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204)는 활성층(205)의 양 끝단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터널링층(206)은 제1 도전형 컨택트(203)와 활성층(205)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터널링층(207)은 제 2 도전형 컨택트(204)와 활성층(205)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도전형 컨택트(2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204)는 도 1에 따른 발광 소자(100)와 마찬가지로, 활성층(205)을 사이에 두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전형 컨택트(2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204)는 광 캐비티(pc)를 수직선 상에서 가리지 않으면서, 활성층(205)을 사이에 두며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300)는 광 캐비티(pc)를 포함하는 기판(301), 절연층(302), 제1 도전형 컨택트(303), 제 2 도전형 컨택트(304), 제1 도전형 활성층(305-1), 제 2 도전형 활성층(305-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301), 절연층(302), 제1 도전형 컨택트(3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304) 의 특성 및 조성은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제1 도전형 활성층(305-1) 및 제 2 도전형 활성층(305-2)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차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이금속 다이칼고게나이드(TMD) 물질의 경우, 조성에 따라 제1 도전형 성질을 가지거나, 제 2 도전형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MoS2 는 제 2 도전형 성질을 가지고, WSe2는 제1 도전형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제1 도전형 활성층(305-1)을 제1 도전형 성질을 가지는 전이금속 다이칼코게나이드로 형성하고, 제 2 도전형 활성층(305-2)을 제 2 도전형 성질을 가지는 전이금속 다이칼코게나이드로 형성함으로써, p-i-n 구조에 있어서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1 도전형 활성층(305-1) 및 제 2 도전형 활성층(305-2)을 동일한 이차원 물질로 형성하되, 서로 다른 도펀트로 도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전형 활성층(305-1)은 제1 도전형 도펀트로 도핑하고, 제 2 도전형 활성층(305-2)은 제 2 도전형 도펀트로 도핑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200)의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도전형 활성층(305-1) 및 제 2 도전형 활성층(305-2)은 서로 다른 이차원 물질로 형성하며, 서로 다른 도펀트로 도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제1 도전형 활성층(305-1) 및 제 2 도전형 활성층(305-2)의 제1 도전형 및 제 2 도전형의 성질 차이가 커져 광전 변환 효율이 더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발광 소자(300)의 구조를 살피면, 기판(301) 상에 불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절연층(302)이 마련될 수 있다. 절연층(302)은 제1 도전형 컨택트(303)가 마련되는 위치와 제 2 도전형 컨택트(304)가 마련되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302)은 제1 도전형 컨택트(303)가 마련되는 위치에서의 두께가 제 2 도전형 컨택트(304)가 마련되는 위치에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반대도 가능할 수 있다.
절연층(302)은 제1 절연층(302-1) 및 제2 절연층(30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302-1)의 두께는 균일할 수 있다. 제2 절연층(302-2)의 두께는 균일할 수 있다. 절연층(302)을 제1 절연층(302-1) 및 제2 절연층(302-2)의 층상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간이한 공정으로도 두께 프로파일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절연층(302-1)은 기판(301)의 상부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절연층(302-2)은 제1 절연층(302-1)의 적어도 일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절연층(302-2)은 제1 도전형 컨택트(303) 또는 제 2 도전형 컨택트(304)가 마련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절연층(302-1) 및 제2 절연층(302-2)은 서로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302-1) 및 제2 절연층(302-2)은 절연 효과를 가지기 위한 일체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활성층(305-1)은 절연층(30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활성층(305-1)은 제1 도전형 컨택트(303)와 접하고, 제 2 도전형 컨택트(304)와 접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활성층(305-1)은 제1 절연층(302-1) 상에 마련되며, 제2 절연층(302-2)과 동일한 평면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활성층(305-2)은 절연층(30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활성층(305-2)은 제 2 도전형 컨택트(304)와 접하고, 제1 도전형 컨택트(303)와 접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활성층(305-2)은 제1 활성층(305-1)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활성층(305-2)과 제1 활성층(305-1)이 접하는 면은 수직선 상에서 광 캐비티(pc)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활성층(305-2)은 제2 절연층(302-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0)는 수직 p-i-n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활성층(305-1) 및 제2 활성층(305-2)이 수직선 상에서 층상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제1 도전형 컨택트(3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304)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이 제1 활성층(305-1)으로 전달되고, 전자가 제2 활성층(305-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자와 정공은 제1 활성층(305-1) 및 제2 활성층(305-2)이 접하는 면에서 결합하여 광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400)는 광 캐비티(pc)를 포함하는 기판(401), 절연층(402), 제1 도전형 컨택트(403), 제 2 도전형 컨택트(404), 제1 도전형 활성층(405-1), 제 2 도전형 활성층(405-2), 제1 터널링층(406), 제2 터널링층(407)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401), 절연층(402), 제1 도전형 컨택트(403), 제 2 도전형 컨택트(404), 제1 도전형 활성층(405-1), 제 2 도전형 활성층(405-2)의 특성 및 조성은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터널링층(406,407)은 제1 도전형 컨택트(4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404)와 활성층(405-1, 405-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터널링층(406,407)은 제1 도전형 컨택트(4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404)와 활성층(405-1, 405-2)의 전기적 직접 접촉을 방지하되, 임계치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터널링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와 정공은 제1 도전형 컨택트(403)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404)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때는 터널링 효과로 활성층(405-1, 405-2)으로 이동하고,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는 활성층(405-1, 405-2) 에 가두어질 수 있다(trap). 따라서, 터널링층(406,407)은 전자 및 정공이 활성층(405-1, 405-2)에 오래 머무르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터널링층(406)은 제1 도전형 컨택트(403)와 제1 도전형 활성층(405-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터널링층(406)은 제1 도전형 컨택트(403)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정공을 제1 도전형 활성층(405-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터널링층(407)은 제 2 도전형 컨택트(404)와 제 2 도전형 활성층(405-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터널링층(407)은 제 2 도전형 컨택트(404)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전자를 제 2 도전형 활성층(405-2)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5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500)는 광 캐비티(pc)를 포함하는 기판(501), 절연층(502), 제1 도전형 컨택트(503), 제 2 도전형 컨택트(504), 제1 도전형 활성층(505-1), 제 2 도전형 활성층(505-2), 제1 터널링층(506), 제2 터널링층(507)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501), 절연층(502), 제1 도전형 컨택트(503), 제 2 도전형 컨택트(504), 제1 도전형 활성층(505-1), 제 2 도전형 활성층(505-2)의 특성 및 조성은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500)의 구조를 살피면, 기판(501)과 접하도록 제1 도전형 컨택트(503)와 제1 터널링층(506)이 마련될 수 있다. 절연층(502)은 제 2 도전형 컨택트(504)와 기판(501)이 접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컨택트(503)는 광 캐비티(pc)를 수직선상에서 가리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터널링층(506)은 광 캐비티(pc)의 수직선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터널링층(506)은 제1 절연층(502-1)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도전형 활성층(505-1)은 제1 터널링층(506)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활성층(505-1)은 제2 절연층(502-2)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도전형 활성층(505-2)는 제1 도전형 활성층(505-1) 상에 마련되며, 제1 도전형 활성층(505-1)과 접할 수 있다. 제 2 도전형 활성층(505-2)는 제2 절연층(502-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터널링층(507)은 제 2 도전형 컨택트(504)와 제 2 도전형 활성층(505-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6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600)는 광 캐비티(pc)를 포함하는 기판(601), 제1 도전형 컨택트(603), 제 2 도전형 컨택트(604), 활성층(605), 활성층(605)을 둘러싸는 터널링층(6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601), 제1 도전형 컨택트(603), 제 2 도전형 컨택트(604), 활성층(605), 터널링층(606) 의 특성 및 조성은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600)의 구조를 살피면, 기판(601)과 접하도록 제1 도전형 컨택트(603)와 터널링층(606)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컨택트(603)는 광 캐비티(pc)를 수직선상에서 가리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널링층(606)은 절연층의 기능과 터널링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터널링층(606)은 제 2 도전형 컨택트(604)와 기판(601)이 접하지 않도록 이격시킬 수 있다. 터널링층(606)은 활성층(605)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2 도전형 컨택트(604)는 활성층(605) 및 터널링층(606)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투명 전극(609)는 활성층(605)의 수직선상에 위치하며, 제 2 도전형 컨택트(604)와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투명 전극(609)은 제 2 도전형 컨택트(604)와 접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투명 전극(609)은 활성층(605)에 대해 수직선상 방향으로 바이어스 전압을 넓은 영역에 걸쳐 인가시킬 수 있다. 투명 전극(609)은 그래핀이나,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ium zinc oxide), GZO(gall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금속 산화물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발광 소자(600)가 생성하는 광 파장 영역에 따라서, 투명 전극(609)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도전형 컨택트(603)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터널링층(606)을 사이에 두고 활성층(605)과 인접할 수 있다. 제 2 도전형 컨택트(604)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터널링층(606)을 사이에 두고 활성층(605)과 인접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7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700)는 광 캐비티(pc)를 포함하는 기판(701), 제1 도전형 컨택트(703), 제 2 도전형 컨택트(704), 활성층(705), 활성층(705)을 둘러싸는 터널링층(706) 및 제1 도전형 컨택트(703)와 기판(701) 사이에 마련되는 절연층(70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701), 제1 도전형 컨택트(703), 제 2 도전형 컨택트(704), 활성층(705), 터널링층(706) 및 절연층(702) 의 특성 및 조성은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700)의 구조를 살피면, 기판(601)과 제1 도전형 컨택트(603)의 사이에 절연층(702)이 마련될 수 있다. 터널링층(706)은 기판(701) 상에 직접 마련될 수 있다. 활성층(705)은 광 캐비티(pc)의 수직선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컨택트(703)는 광 캐비티(pc)를 수직선상에서 가리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널링층(706)은 절연층의 기능과 터널링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터널링층(706)은 제 2 도전형 컨택트(704)와 기판(701)이 접하지 않도록 이격시킬 수 있다. 터널링층(706)은 활성층(705)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2 도전형 컨택트(704)는 활성층(705) 및 터널링층(706)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컨택트(703)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터널링층(706)을 사이에 두고 활성층(705)과 인접할 수 있다. 제 2 도전형 컨택트(704)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터널링층(706)을 사이에 두고 활성층(705)과 인접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는 광학적 이득이 1이상이 되도록 구성하여, 레이저 광원에 이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레이저 광원(ls)에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led)가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고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 발광 소자
101, 201, 301, 401, 501, 601, 701 : 기판
102, 202, 302, 402, 502, 702 : 절연층
103, 203, 303, 403, 503, 603, 703 : 제1 도전형 컨택트
104, 204, 304, 404, 504, 604, 704 : 제 2 도전형 컨택트
105, 205, 305, 405, 505, 605, 705 : 활성층
206, 207 : 터널링층
pc : 광 캐비티

Claims (22)

  1. 광 캐비티(photonic cavity)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광 캐비티 상에 마련되며, 이차원 물질로 형성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형 컨택트; 및
    상기 활성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형 컨택트;을 포함하며,
    상기 광 캐비티는 상기 기판의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활성층 내부에는 상기 광 캐비티가 마련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 및 제 2 도전형 컨택트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활성층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제1 도전형 영역(p or n), 공핍층 영역(i), 제 2 도전형 영역(n or p)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는 상기 기판의 상부 표면 상에 상기 활성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발광 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 및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활성층의 사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터널링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링층은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활성층 사이에 접하는 제1 터널링층과,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활성층 사이에 접하는 제2 터널링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링층은, 상기 활성층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지는 발광 소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는 상기 터널링층의 상부면 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는 상기 터널링층의 측면과 접하는 발광 소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와 접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투명 전극;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활성층을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두께 프로파일이 균일하지 않은 발광 소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의 수직선상의 영역에서의 두께와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의 수직선상의 영역에서의 두께가 서로 상이한 발광 소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제1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와 접하는 제1 도전형 활성층과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와 접하는 제 2 도전형 활성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 활성층과 상기 제 2 도전형 활성층은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발광 소자.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제1 도전형 활성층 사이에 마련되는 제1 터널링층과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제 2 도전형 활성층 사이에 마련되는 제2 터널링층을 포함하는 터널링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 컨택트와 접하고, 상기 광 캐비티 상에 마련되는 제1 터널링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은 상기 제1 터널링층 상에 형성되는 발광 소자.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상기 제1 터널링층 상에 적층되는 제1 도전형 활성층, 상기 제1 도전형 활성층 상에 적층되며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와 접하는 제 2 도전형 활성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링층 및 상기 제1 도전형 활성층과 측면에서 접하고, 상기 제 2 도전형 활성층과 상부면에서 접하며,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 컨택트와 상기 활성층 사이에 마련되는 제2 터널링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는 발광 소자.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원 물질은 전이금속 다이칼코게나이드(TMD)로 형성되는 발광 소자.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캐비티는 게이트 전극으로 기능하는 발광 소자.
  22. 제1 항에 따른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레이저 광원.
KR1020170165230A 2017-07-04 2017-12-04 광 캐비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KR102464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62,600 US10910794B2 (en) 2017-07-04 2018-04-25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photonic ca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28473P 2017-07-04 2017-07-04
US62/528,473 2017-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632A KR20190004632A (ko) 2019-01-14
KR102464365B1 true KR102464365B1 (ko) 2022-11-07

Family

ID=6502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230A KR102464365B1 (ko) 2017-07-04 2017-12-04 광 캐비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006B1 (ko) * 2019-04-22 2024-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이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9443A1 (en) * 2013-09-09 2015-03-12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Light-emitting diode with local photonic crystals
US20170110338A1 (en) * 2015-10-16 2017-04-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ear-Unity Photoluminescence Quantum Yield in MoS2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9443A1 (en) * 2013-09-09 2015-03-12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Light-emitting diode with local photonic crystals
US20170110338A1 (en) * 2015-10-16 2017-04-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ear-Unity Photoluminescence Quantum Yield in MoS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632A (ko)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2635B2 (ja) ZnO系半導体素子
KR101140096B1 (ko) 나노로드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2965B1 (ko)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US9233845B2 (en) Optoelectronic platform with carbon based conductor and quantum dots and transistor comprising such a platform
US10910794B2 (en)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photonic cavity
KR101905898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장치
JP6073530B2 (ja) 電磁波検出器および電磁波検出器アレイ
KR101376732B1 (ko) 다층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을 이용한 투명전자소자, 이를 이용한 광전자 소자 및 트랜지스터 소자
US8643044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0576279B1 (ko) 질화물계 헤테로 구조를 갖는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9000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표시 장치, 이미지 센서, x 선 센서 그리고 x 선 디지털 촬영 장치
US20150014630A1 (en) Tunneling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541993B (zh) 有機發光顯示器及製造其之方法
US20170084792A1 (en) Vertical typ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ransparent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7069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transparent electrode where conducting filaments forme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056504A (ja) 半導体素子
JP2016522578A5 (ko)
EP2760060B1 (en) Quasi-surface emission vertical-type organic light-emitting transisto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iu et al. High Efficiency Light‐Emitting Transistor with Vertical Metal–Oxide Heterostructure
KR102464365B1 (ko) 광 캐비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KR101668629B1 (ko) 2차원 구조의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심자외선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hang et al. Electrically and optically readable light emitting memories
JP2020053529A5 (ko)
JP2010016261A5 (ko)
WO2009104756A1 (ja) ZnO系半導体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