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542B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3542B1 KR102463542B1 KR1020200151795A KR20200151795A KR102463542B1 KR 102463542 B1 KR102463542 B1 KR 102463542B1 KR 1020200151795 A KR1020200151795 A KR 1020200151795A KR 20200151795 A KR20200151795 A KR 20200151795A KR 102463542 B1 KR102463542 B1 KR 1024635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 cover member
- container body
- bag
- liqu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티백이나 커피 원두 등을 작은 주머니에 담아 용기 내에 수용하였다가 간편하게 물을 부어 액상의 음료로 만들어 먹을 수 있기 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고상(固狀)의 음료주머니; 상기 음료주머니를 수용한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개구부를 막아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시키는 제1 덮개부재; 상기 제1 덮개부재에 부착된 환형의 당김부재; 상기 용기본체를 상협하광(上狹下廣)으로 덮어 상기 개구부를 가리되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된 제2 덮개부재; 및 상기 제2 덮개부재와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음료주머니가 빠지지 않게 잡아주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주머니가 밀폐된 상기 용기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제2 덮개부재를 벗긴 후에 상기 당김부재를 파지(把持)하여 상기 제1 덮개부재를 당겨 상기 개구부에서 분리하고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액체를 부어 상기 음료주머니의 고상의 음료를 녹여 액상의 음료로 만들면서 상기 제2 덮개부재를 다시 덮어 상기 액상의 음료를 보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고상(固狀)의 음료주머니; 상기 음료주머니를 수용한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개구부를 막아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시키는 제1 덮개부재; 상기 제1 덮개부재에 부착된 환형의 당김부재; 상기 용기본체를 상협하광(上狹下廣)으로 덮어 상기 개구부를 가리되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된 제2 덮개부재; 및 상기 제2 덮개부재와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음료주머니가 빠지지 않게 잡아주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주머니가 밀폐된 상기 용기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제2 덮개부재를 벗긴 후에 상기 당김부재를 파지(把持)하여 상기 제1 덮개부재를 당겨 상기 개구부에서 분리하고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액체를 부어 상기 음료주머니의 고상의 음료를 녹여 액상의 음료로 만들면서 상기 제2 덮개부재를 다시 덮어 상기 액상의 음료를 보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티백이나 커피 원두 등이 담겨진 작은 주머니를 밀폐된 용기 내에 수용하였다가 간편하게 물과 같은 액체를 부어 액상의 음료로 만들어 먹을 수 있기 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가정 또는 식당이나 야외에서 생수 또는 음료 등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음료용기에는 뚜껑이 상기 음료용기의 개방부(입구)를 밀폐하도록 구비되어 왔다.
또한, 물로 되어 마시는 음식물을 음료라고 한다. 음료에는 물 외에 녹차·홍차·커피·청량 음료·과일 음료 등이 있다.
또한, 각종 차로는 녹차·홍차·커피·인삼차·율무차·유자차·생강차 등이 있고, 청량음료로는 소다수·향료·설탕 등을 넣어 만든 사이다·콜라·보리 음료 등이 있다. 과일 음료는 과즙을 사용한 음료로, 청량 음료에 과즙을 조금만 섞은 것부터 천연 과즙으로만 된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최근에는 과립이든 과일 음료도 나오고 있다. 이 밖에도 우리는 영양을 섭취 하기 위하여 우유 등을 음료로 마시며, 우유를 발효시킨 젖산균 음료도 마신다. 그리고 요즘에는 피로 회복을 돕거나 건강을 돕는 음료도 많이 보급되고 있다.
한편, 건강음료의 관심의 증대로서 녹차 등 차종류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티백 등을 용기 내부에 넣어 우려내어 마시는 등 음료의 종류 및 음료패턴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음료의 종류 및 음료패턴의 증가에 대응하여 음료의 종류 및 음료패턴에 최적화된 음료용기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액상의 음료는 주위 환경 즉, 온도나 장기 보관 등으로 인하여 맛이 변질되거나 또는 식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가 있고, 액상으로 보관 및 운반하는 경우에도 무게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가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티백이나 커피 원두 등이 담겨진 작은 주머니를 밀폐된 용기 내에 수용하였다가 간편하게 물과 같은 액체를 부어 액상의 음료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는 고상(固狀)의 음료주머니; 상기 음료주머니를 수용한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개구부를 막아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시키는 제1 덮개부재; 상기 제1 덮개부재에 부착된 환형의 당김부재; 상기 용기본체를 상협하광(上狹下廣)으로 덮어 상기 개구부를 가리되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된 제2 덮개부재; 및 상기 제2 덮개부재와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음료주머니가 빠지지 않게 잡아주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주머니가 밀폐된 상기 용기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제2 덮개부재를 벗긴 후에 상기 당김부재를 파지(把持)하여 상기 제1 덮개부재를 당겨 상기 개구부에서 분리하고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액체를 부어 상기 음료주머니의 고상의 음료를 녹여 액상의 음료로 만들면서 상기 제2 덮개부재를 다시 덮어 상기 액상의 음료를 보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주머니가 밀폐된 용기본체 내에 수용할 수 있어 내용물이 오랜 기간 보관될 수 있고 외부 환경에 영향을 매우 적게 받을 수 있으며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벼운 이점이 있다.
또한, 음료주머니의 고상(固狀)의 음료를 녹여 액상(液狀)의 음료로 간편하게 만들어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제2 덮개부재를 하방으로 향하여 컵(cup)과 같이 모여지는 관통구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마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걸림부재가 음료주머니의 폭보다 작게 이격되어 음료주머니의 빠짐 및 막힘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용기본체 상측을 조여주는 가압부가 적당히 용기본체를 물고 있어 쉽게 벗겨지거나 액상의 음료가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눈금과 제2 눈금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농도로 음료를 희석하여 마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걸치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 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오늘날 현대인들의 음료수요에 부합하여 커피 또는 차 종류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고 커피 원두나 티백 등을 용기 내부에 넣어 액상의 음료로 만들어 마시는 등, 이러한 음료의 종류 및 음료패턴의 증가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음료용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티백이나 커피 원두분말(가루) 등이 담겨진 작은 주머니를 밀폐된 용기 내에 수용하였다가 간편하게 물과 같은 액체를 부어 액상의 음료로 만들어 먹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 액상의 음료가 주위 환경 즉, 온도나 장기 보관 등으로 인하여 맛이 변질되거나 또는 식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과, 액상으로 보관 및 운반하는 경우에 무게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가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한다는 문제점 등을 해결하고자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음료는 액상(液狀)의 음료 및 분말형태의 고상(固狀)의 음료로 나눌 수 있으나, 고상(固狀)의 음료라고 직접적으로 지칭하지 않는 한 액상(液狀)의 음료로 이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고상(固狀)의 음료주머니(110); 상기 음료주머니(110)를 수용한 개구부(121)가 형성된 용기본체(120); 상기 개구부(121)를 막아 상기 용기본체(120)를 밀폐(密閉)시키는 제1 덮개부재(130); 상기 제1 덮개부재(130)에 부착된 환형(ring)의 당김부재(140); 상기 용기본체(120)를 상협하광(上狹下廣)으로 덮어 상기 개구부(121)를 가리되 일측에 관통구(151)가 형성된 제2 덮개부재(150); 및 상기 제2 덮개부재(150)와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음료주머니(110)가 빠지지 않게 잡아주는 걸림부재(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료주머니(110)가 밀폐(密閉)된 상기 용기본체(120) 내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제2 덮개부재(150)를 벗긴 후에 상기 당김부재(140)를 파지(把持)하여 상기 제1 덮개부재(130)를 당겨 상기 개구부(121)에서 분리하고 상기 용기본체(120) 내부로 액체(온수)를 부어 상기 음료주머니(110)의 고상(固狀)의 음료를 녹여 액상(液狀)의 음료로 만들면서 상기 제2 덮개부재(150)를 다시 덮어 상기 액상(液狀)의 음료를 보온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60)는 상기 제2 덮개부재(150) 하방으로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음료주머니(110)의 폭보다 작게 이격되어 상기 음료주머니(110)의 빠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2 덮개부재(150)는 타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파지(把持)부(153)가 구비되고, 내측으로 상기 용기본체(120) 상측을 조여주는 가압부(15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20)는 농도에 따라 표면에 용량을 지시하는 제1 눈금(L01)과 제2 눈금(L02)이 표시된다.
그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100)의 구성 및 사용을 구체적으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용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주머니(110), 용기본체(120), 제1 덮개부재(130), 당김부재(140), 제2 덮개부재(150) 및 걸림부재(160) 등을 포함한다.
음료주머니(110)는 티백(teabag)이나 커피 원두와 같이 물과 타서 먹을 수 있는 고체상태의 음료가 내용물로 들어있는 작은 주머니(bag)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2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참고로, 티백(teabag)은 차 잎 또는 추출물을 넣은 작은 봉지로, 보리차, 녹차 같은 원료를 위주로 넣는 것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커피 원두는 물에 잘 녹을 수 있는 분말로 음료주머니(110)에 담겨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음료주머니(110)는 커피분말이나 과일분말, 보리차, 녹차 등과 같은 고체상태의 원재료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주머니(bag)로, 음료를 만들기 위한 재료주머니의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다.
용기본체(1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성하여 뜨거운 물질(물)과 혼합될 경우 환경 호르몬과 같은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용기본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개구부(121)가 형성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제1 덮개부재(130)와 일체로 내부 공간이 밀폐(密閉)되어 있고, 그 내부에 음료주머니(110)가 수용되어 있다.
특히, 용기본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덮개부재(130)를 제거하면 개구부(121)가 오픈(open)되어 용기본체(120) 내부로 물(water)과 같은 액체를 부어 넣을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예를 들어, 용기본체(120)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진한 커피 또는 연찬 커피를 먹고 싶을 때 커피의 농도에 따라 표면에 용량을 지시하는 제1 눈금(L01)과 제2 눈금(L02)이 표시되어 선택적으로 물을 투입하여 혼합하면 된다.
특히, 사용자는 제1 눈금(L01) 및 제2 눈금(L02)을 기준으로 선호하는 커피 농도를 알아내어 가상의 제3 눈금, 제4 눈금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눈금(L01) 및 제2 눈금(L02) 사이의 중간 용량이 최적의 맛으로 느낀다면 제1 눈금(L01) 및 제2 눈금(L02) 사이의 가상의 제3 눈금이 생성되어 습관적으로 상기 제3 눈금의 용량으로 음료를 혼합하여 마실 수 있다.
제1 덮개부재(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20)의 개구부(121)를 막아 용기본체(120)를 밀폐(密閉)시키는 부재이다.
특히, 제1 덮개부재(130)는 제조시 용기본체(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가 분리시 소정의 동작으로 분리되는 데, 개구부(121)와 이루는 경계에 쉽게 파단되어 분리될 수 있는 분리홈선이 형성되어 분리가 용이하다.
즉, 제1 덮개부재(130)는 개구부(121)에서 분리되기 전까지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본체(120)와 일체로 용기본체(120)의 내부 공간을 밀폐(密閉)하여 음료주머니(110)가 외부 환경에 크게 영향 없이 장시간 보관할 수 있게 한다.
당김부재(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덮개부재(130)에 부착된 환형(ring)의 부재로, 제1 덮개부재(130)를 쉽게 용기본체(120)에서 분리시키기 파지(把持)부재이다.
즉, 당김부재(140)는 제1 덮개부재(130)와 동일하게 수평으로 눕혀있다가 사용자가 제1 덮개부재(130)를 제거시키고자 할 경우, 환형의 일단에 틈새를 벌려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 타측이 제1 덮개부재(130) 일측을 누르면서 파단하여 분리하기 용이한 공간을 만들어 상기 환형 부분을 잡아당겨 상기 분리홈선을 따라 용기본체(120)에서 제1 덮개부재(130)를 분리시킨다.
제2 덮개부재(1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협하광(上狹下廣)으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20) 상부를 덮는 합성수지재로, 용기본체(120) 상부를 용이하게 개폐(開閉)할 수 있게 탄성적이고, 음료를 마시는 사용자가 마시기 편하게 하방으로 향할 경우 입(mouth)으로 모여지는 컵(cup) 모양이 된다.
또한, 제2 덮개부재(150)는 제1 덮개부재(130)가 제거되어 개구부(121)가 오픈된 후에도 용기본체(120) 내의 내용물이 잘 보존되게 개방된 개구부(121)를 가려 덮는다.
또한, 제2 덮개부재(150)는 관통구(151), 파지(把持)부(153) 및 가압부(155) 등을 포함한다.
관통구(15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제2 덮개부재(150) 상측에 형성된다.
또한, 관통구(151)는 입술이 닿아 먹을 수 있는 음료가 잘 흐를 수 있는 통로일 수 있고 스트로우(straw)를 꼽아 사용할 수 있는 통로도 된다.
파지(把持)부(15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20)에 제2 덮개부재(150)가 밀착되어 있어 탈부착이 불편할 수 있으므로, 하측으로 소정 연장되어 손으로 잡거나 벗기기 편리하게 파지부분이 형성된다.
즉, 파지(把持)부(153)는 타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용기본체(120)과 밀착되어 있는 제2 덮개부재(150)를 벗기거나 다시 덮기 편리하게 한다.
가압부(15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용기본체(120) 상측을 조여주는 탄성부재로, 용기본체(120)의 립(lip)부분을 죔새가 발생하는 중간 끼워 맞춤으로 탈착할 수 있다.
즉, 가압부(155)는 소정의 힘으로 용기본체(120)를 끼워 용기본체(120)의 내용물(액상)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억제하고 적당한 탄성으로 용기본체(120)와 간편하게 떨어지게 할 수 있으나 쉽게 분리되지도 않게 한다.
걸림부재(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덮개부재(150)와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음료주머니(110)가 빠지지 않게 잡아주는 부재이다.
즉, 걸림부재(160)는 제2 덮개부재(150) 하방으로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적어도 2개 이상이 음료주머니(110)의 폭보다 작게 이격되어 음료주머니(110)의 빠짐을 방지한다.
걸림부재(160)는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 때,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제2 덮개부재(150)가 하방으로 향하게 되면 용기본체(120) 내의 내용물들이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쏠리게 되고, 특히, 고상의 음료주머니가 관통구(151)를 완전히 덮어 폐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는 홀딩(holding) 또는 스토퍼(stopper)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음료주머니(110)가 밀폐된 용기본체(120) 내에 있다가 제2 덮개부재(150)를 벗긴 후에 당김부재(140)를 파지(把持)하여 제1 덮개부재(130)를 당겨 개구부(121)에서 분리하고 용기본체(120) 내부로 뜨거운 액체(또는 차가운 액체)를 부어 음료주머니(110)의 고상(固狀)의 음료를 녹여 액상(液狀)의 음료로 만들면서 제2 덮개부재(150)를 다시 덮어 액상(液狀)의 음료를 보온하고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제2 덮개부재(150)를 하방으로 향하여 컵(cup)과 같이 모여지는 관통구(151)를 통하여 사용자가 액상(液狀)의 음료를 마실 수 있게 한다.
이때, 걸림부재(160)가 제2 덮개부재(150) 하방으로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적어도 2개 이상이 음료주머니(110)의 폭보다 작게 이격되어 음료주머니(110)의 빠짐을 방지하고, 제2 덮개부재(150)는 타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파지(把持)부(153)가 구비되어 제2 덮개부재(15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하며, 용기본체(120) 상측을 조여주는 가압부(155)가 적당히 용기본체(120)를 물고 있어 쉽게 벗겨지거나 액상의 음료가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사용자는 용량을 지시하는 제1 눈금(L01)과 제2 눈금(L02)을 보고 선호하는 농도로 음료를 희석하여 마실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주머니(110)가 밀폐된 용기본체(120) 내에 수용할 수 있어 내용물이 오랜 기간 보관될 수 있고 외부 환경에 영향을 매우 적게 받을 수 있으며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벼운 이점이 있다.
또한, 음료주머니(110)의 고상(固狀)의 음료를 녹여 액상(液狀)의 음료로 간편하게 만들어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제2 덮개부재(150)를 하방으로 향하여 컵(cup)과 같이 모여지는 관통구(151)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마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걸림부재(160)가 음료주머니(110)의 폭보다 작게 이격되어 음료주머니(110)의 빠짐 및 막힘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용기본체(120) 상측을 조여주는 가압부(155)가 적당히 용기본체(120)를 물고 있어 쉽게 벗겨지거나 액상의 음료가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눈금(L01)과 제2 눈금(L02)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농도로 음료를 희석하여 마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용기
110 : 음료주머니
120 : 용기본체
130 : 제1 덮개부재
140 : 당김부재
150 : 제2 덮개부재
160 : 걸림부재
110 : 음료주머니
120 : 용기본체
130 : 제1 덮개부재
140 : 당김부재
150 : 제2 덮개부재
160 : 걸림부재
Claims (4)
- 고상(固狀)의 음료주머니;
상기 음료주머니를 수용한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개구부를 막아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시키는 제1 덮개부재;
상기 제1 덮개부재에 부착된 환형의 당김부재;
상기 용기본체를 상협하광(上狹下廣)으로 덮어 상기 개구부를 가리되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된 제2 덮개부재; 및
상기 제2 덮개부재와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음료주머니가 빠지지 않게 잡아주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주머니가 밀폐된 상기 용기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제2 덮개부재를 벗긴 후에 상기 당김부재를 파지(把持)하여 상기 제1 덮개부재를 당겨 상기 개구부에서 분리하고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액체를 부어 상기 음료주머니의 고상의 음료를 녹여 액상의 음료로 만들면서 상기 제2 덮개부재를 다시 덮어 상기 액상의 음료를 보온하며,
상기 제2 덮개부재와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2 덮개부재 하방으로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적어도 2개 이상이 상기 음료주머니의 폭보다 작게 이격되어 상기 음료주머니의 빠짐을 방지하며,
상기 제2 덮개부재는 타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파지(把持)부가 구비되고, 내측으로 상기 용기본체 상측을 조여주는 가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1795A KR102463542B1 (ko) | 2020-11-13 | 2020-11-13 | 음료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1795A KR102463542B1 (ko) | 2020-11-13 | 2020-11-13 | 음료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5369A KR20220065369A (ko) | 2022-05-20 |
KR102463542B1 true KR102463542B1 (ko) | 2022-11-03 |
Family
ID=8179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1795A KR102463542B1 (ko) | 2020-11-13 | 2020-11-13 | 음료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3542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38379A (en) * | 1988-12-23 | 1990-07-03 | Kellner Louis W | Cover for a beverage can |
KR100714988B1 (ko) * | 2005-08-09 | 2007-05-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산화막이 표면에 형성된 실리콘 구조물 표면을 이용한dna 정제 방법 및 정제장치 |
KR20160059924A (ko) * | 2014-11-19 | 2016-05-27 | 김창수 | 물병 |
KR20180129185A (ko) | 2017-05-25 | 2018-12-05 | (주)레몬옐로우 |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된 용기마개 |
-
2020
- 2020-11-13 KR KR1020200151795A patent/KR10246354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5369A (ko) | 2022-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4212687B2 (en) | Beverag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can, also usable for the extemporaneous preparation of beverages by extraction and/or infusion | |
US6372270B1 (en) | Drink mix apparatus for making personal quantities of beverage | |
US20190150643A1 (en) | Aroma enhancing beverage containers and lids | |
TWM570062U (zh) | Drink cup | |
KR102463542B1 (ko) | 음료용기 | |
US9902537B2 (en) | Multipurpose bottle cap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
US20180042411A1 (en) | Universal lid system and methods | |
KR101919108B1 (ko) | 차 추출용 텀블러 | |
KR200443066Y1 (ko) | 분말 또는 액상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 | |
AU2003255394B2 (en) | Container | |
CN207645025U (zh) | 一种便携式保鲜杯套装 | |
CN2316278Y (zh) | 杯茶包装杯 | |
JP3072556U (ja) | インスタント飲料瓶の蓋 | |
CN215456091U (zh) | 一种便携式食物杯中杯 | |
JP6818170B2 (ja) | 飲料濃縮液を希釈した飲料を調製する方法及び飲料濃縮液の1回使用分が収容された容器詰飲料 | |
CN211269832U (zh) | 一种便携式手冲饮品杯 | |
CN213324541U (zh) | 便携式速溶饮料包装袋 | |
JP3074551U (ja) | 煮出し抽出用調理具 | |
JPS585533Y2 (ja) | 簡易コ−ヒ−抽出器 | |
KR200353233Y1 (ko) | 필터가 구비된 휴대용 컵 | |
KR200200551Y1 (ko) | 병 뚜껑이 달린 용기 | |
CN206275542U (zh) | 防烫手的杯子 | |
JP3001391U (ja) | お茶素材を詰めた棒状包材 | |
KR20200142412A (ko) | 펌핑티 | |
TWM592421U (zh) | 杯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