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185A -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된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된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185A
KR20180129185A KR1020170064833A KR20170064833A KR20180129185A KR 20180129185 A KR20180129185 A KR 20180129185A KR 1020170064833 A KR1020170064833 A KR 1020170064833A KR 20170064833 A KR20170064833 A KR 20170064833A KR 20180129185 A KR20180129185 A KR 20180129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unit
stopper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섭희
Original Assignee
(주)레몬옐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몬옐로우 filed Critical (주)레몬옐로우
Priority to KR1020170064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9185A/ko
Publication of KR20180129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B65D2081/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음료가 담기는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된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100)의 용기입구(139)에 결합되어 용기본체부(100)를 개폐하는 용기마개로서, 용기입구(139)에 결합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어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가 형성된 마개본체(520)와; 상기 마개본체(520)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선형이동하여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복개하는 복개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마개본체(520)와 결합되는 개폐부재(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된 용기마개 {Vessel and closur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음료가 담기는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된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물로 되어 마시는 음식물을 음료라고 한다. 음료에는 물 외에 녹차·홍차·커피·청량 음료·과일 음료 등의 알코올이 들어 있지 않은 음료와 막걸리·소주·청주·맥주·와인 등의 알코올 음료가 있다.
알코올 음료는, 알코올이 섞여 있어 마시면 취하는 음료, 곧 술을 가리킨다. 술을 만드는 방법에는 누룩이나 과일에 있는 곰팡이를 발효시켜 만드는 방법과, 발효법으로 만든 술을 증류시켜 농도 짙은 술을 만드는 증류법이 있다. 막걸리·약주·청주·포도주·맥주 따위는 발효법으로 만든 술이고, 소주·위스키 등은 증류법으로 만든 술이다.
그리고 비알코올 음료는, 각종 차로는 녹차·홍차·커피·인삼차·율무차·유자차·생강차 등이 있고, 청량 음료로는 소다수·향료·설탕 등을 넣어 만든 사이다·콜라·보리 음료 등이 있다. 과일 음료는 과즙을 사용한 음료로, 청량 음료에 과즙을 조금만 섞은 것부터 천연 과즙으로만 된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최근에는 과립이 든 과일 음료도 나오고 있다. 이 밖에도 우리는 영양을 섭취 하기 위하여 우유 등을 음료로 마시며, 우유를 발효시킨 젖산균 음료도 마신다. 그리고 요즘에는 피로 회복을 돕거나 건강을 돕는 음료도 많이 보급되고 있다.
한편 건강음료의 관심의 증대로서 녹차 등 차종류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으며, 티백 등을 용기 내부에 넣어 우려내어 마시는 등 음료의 종류 및 음료패턴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음료의 종류 및 음료패턴의 증가에 대응하여 음료의 종류 및 음료패턴에 최적화된 음료용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니즈를 인식하여, 티백 등 차를 용기내부에 삽입이 용이하며 식음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된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음료용기(100)의 용기입구(139)에 결합되어 용기본체부(100)를 개폐하는 용기마개로서, 용기입구(139)에 결합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어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가 형성된 마개본체(520)와; 상기 마개본체(520)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선형이동하여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복개하는 복개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마개본체(520)와 결합되는 개폐부재(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상기 개폐부재(510)는, 상기 마개본체(520)의 중심에 결합되도록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중심축부(511)와; 상기 중심축부(511)로부터 이격되어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마개본체(520)의 상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선형가이드홈(522)에 끼워져 상기 마개본체(520)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510)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축부(511)는, 상기 마개본체(520)의 중심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개폐부재(510)가 상기 마개본체(5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마개본체(520)의 저면에서 상기 중심축부(511)와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5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개방하거나,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폐쇄하는 실링부재(5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본체(520)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512)가 상기 중심축부(511)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홈(522)으로부터 연결된 회전가이드홈(5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512)의 끝단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플렌지부(512a)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522) 및 상기 회전가이드홈(523)의 폭은, 상기 플렌지부(512a)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홈(522)은, 상기 회전가이드홈(523)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이드홈(523)은, 상기 가이드홈(522)으로부터 상기 회전가이드홈(523)의 끝단으로 가면서 점차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측에 용기입구(139)가 형성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부(100)와; 상기 용기입구(139)에 결합되어 용기본체부(100)를 개폐하는 용기마개(2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마개(2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용기마개(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를 개시한다.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로드셀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2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자세측정센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측면 외주면과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측면결합부(210)를 구비하는 본체하우징(210)과; 상기 본체하우징(210)의 저면에 설치되어 타 구조물에 지지된 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용기하우징(210)에 지지되는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로드셀부(400)와; 상기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셀부(4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의 (500)로 무선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410)와; 상기 무선통신부(410)와 로드셀부(400)를 제어하는 측정부제어부(420)와; 상기 측정부제어부(420), 무선통신부(410) 및 로드셀부(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상기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용기본체부(100) 내부에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센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상기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측정부(200) 및 상기 용기본체부(100)에서 측정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2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되는 용기마개는, 용기입구에 결합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어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가 형성된 마개본체와, 마개본체에 밀착된 상태로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선형이동하여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 모두를 복개하는 복개위치로 이동되도록 마개본체와 결합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티백 등 차를 용기내부에 삽입이 용이하며 식음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되는 용기마개는, 로드셀과 같은 음료의 양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팜함으로써 분유 등 용기 내 내용물의 음용량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음용량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용량 정보 등을 활용하여 건강을 체크하는 등 사물인터넷의 하나로서 스마트기기와 같은 무선단말을 통한 정보 축적 및 분석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되는 용기마개는, 용기본체부의 자세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자세측정센서가 설치되어 사용 및 미사용시의 구분이 명확하게 구별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되는 용기마개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어 측벙부에서 측정된 음용량 및 내용물에 관련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료용기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료용기에서 용기본체부 및 측정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료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음료용기에서 용기본체부 및 측정부의 결합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변형례로서 도 1의 음료용기에서 용기본체부가 측정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6는, 도 1의 측정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측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볼록도이다.
도 8은, 도 1의 음료용기 및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단말과의 활용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은, 도 1의 음료용기의 용기마개부의 마개부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음료용기의 용기마개부의 개폐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1a은, 도 10에서 A-A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의 용기마개의 단면도(개방상태)이다.
도 11b는, 도 10에서 A-A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의 용기마개의 단면도(복개상태)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9의 마개부본체에 대한 개폐부재의 회전각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a 및 도 12b에 의한 개폐부재의 회전에 따라 실링부재의 회전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되는 용기마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0)는, 도 1 내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부(100)와; 용기본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된 용기입구(139)에 결합되어 용기본체부(100)를 개폐하는 용기마개(2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상부에 용기마개(500)가 구비되며 내부에 액상물질인 음료가 담기는 구성으로서 내용물의 종류, 디자인 등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외부면에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용기본체부(1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사용자, 예를 들면 유아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용기본체부(100)를 잡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부(100)은, 용기의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부(130)와, 본체부(130)의 상단에 형성되어 음료인 내용물이 배출되는 용기입구(139)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30)은, 저면 쪽에 후술하는 측정부(20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측면에는 음료인 내용물의 양을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계량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용기마개(500)는, 용기본체부(100)의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용기본체부(100)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용기마개(500)는, 용기본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된 용기입구(139)에 결합되어 용기본체부(100)를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스크류 결합, 스냅방식 결합 등 다양한 방식에 용기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마개(500)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위하여, 용기입구(139)에 결합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어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가 형성된 마개본체(520)와; 마개본체(520)와 결합되어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복개하는 개폐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본체(520)는, 용기입구(139)에 결합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어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가 형성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는, 마개본체(520)에 대한 개폐부재(510)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개방 내지 복개되도록 마개본체(520)에 형성되는 개구로서 내용물의 배출방식, 실링방식 등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 형상 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는, 서로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가져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적 식음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중 어느 하나는, 티백 등을 용기본체부(100) 내부에 삽입하는 것을 고려하여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고, 나머지 하나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연령, 성별 등 개구의 크기의 선호도에 따라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마개본체(520)는, 하측에 용기입구(139)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 용기입구(139)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 등으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후술하는 개폐부재(510)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형성될 후 있다.
또한 상기 마개본체(520)는, 후술하는 개폐부재(510)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510)는, 마개본체(520)와 결합되어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복개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개폐부재(510)는, 마개본체(520)에 밀착된 상태로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선형이동하여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복개하는 복개위치로 이동되도록 마개본체(520)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위치는, 도 12b,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510)의 선형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선형이동됨으로써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도록 개폐부재(510)가 위치되는 위치로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복개위치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복개하도록 개폐부재(510)가 위치되는 위치로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510)가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복개함에 있어서, '복개'의 의미는 액상의 내용물, 즉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상태 또는 후술하는 개폐부재(510)가 실링부재(530)가 설치되는 경우 개폐부재(510)가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510)는, 도 9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마개본체(520)의 상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선형가이드홈(522)에 끼워져 마개본체(520)에 대한 개폐부재(510)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512)는,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마개본체(520)의 상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선형가이드홈(522)에 끼워져 마개본체(520)에 대한 개폐부재(510)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재(512) 및 선형가이드홈(522)은, 개폐부재(510)의 안정적인 선형이동을 위하여 마개본체(5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어 한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512)의 끝단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플렌지부(512a)가 형성되며, 가이드홈(522)의 폭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렌지부(512a)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522)의 폭이 플렌지부(512a)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면, 개폐부재(510)가 가이드부재(512) 및 가이드홈(522)의 결합에 의하여 마개본체(5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510)는, 마개본체(5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개폐부재(510)는, 마개본체(520)의 중심에 결합되도록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중심축부(51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개본체(520)는, 중심축부(5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축삽입공(5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축부(511)는, 개폐부재(510)가 마개본체(520)의 중심에 결합되도록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512)는, 중심축부(511)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중심축부(511)는, 마개본체(520)의 중심을 축삽입공(521)을 통하여 관통하여 돌출되고, 개폐부재(510)가 마개본체(5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마개(500)는, 마개본체(520)의 저면에서 중심축부(511)와 결합되어 개폐부재(510)의 회전에 의하여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개방하거나,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폐쇄하는 실링부재(5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30)는, 개폐부재(510)의 회전에 의하여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개방하거나,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폐쇄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실링부재(530)는,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도록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실링부(531, 532) 및 실링부(5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중심축부(511)와 결합되는 결합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31, 532)는,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됨으로써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의 가장자리 저면과 밀착되어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를 밀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530)는,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도록 실리콘재질, 고무재질 등 탄성이 있는 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510)가 마개본체(5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에 있어서, 마개본체(520)의 상면에는, 가이드부재(512)가 중심축부(511)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홈(522)으로부터 연결된 회전가이드홈(5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홈(523)은, 마개본체(520)의 상면에서 가이드부재(512)가 중심축부(511)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홈(522)으로부터 연결되어 형성되는 홈으로서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512)의 끝단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플렌지부(512a)가 형성되는데, 이때 가이드홈(522) 및 회전가이드홈(523)의 폭은, 플렌지부(512a)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522)은, 회전가이드홈(523)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회전가이드홈(523)은, 가이드홈(522)으로부터 회전가이드홈(523)의 끝단으로 가면서 점차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홈(522)이 회전가이드홈(523)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회전가이드홈(523)이, 가이드홈(522)으로부터 회전가이드홈(523)의 끝단으로 가면서 점차 높게 형성되면, 개폐부재(510)의 회전에 의하여 가이드부재(512)가 가이드홈(522)으로부터 회전가이드홈(523)의 끝단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부재(510)가 상측으로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510)의 상승에 의하여 중심축부(511)에 결합된 실링부재(530)는, 중심축부(511)의 회전과 함께 개폐부재(510)에 결합된 중심축부(511)의 상승에 의하여 상승되어 실링부재(530)가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를 복개 및 실링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530)는,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의 원활한 실링을 위하여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의 평면 크기에 대응되어 돌출부가 형성되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에 대한 밀착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경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510)는, 마개본체(520)의 상면과의 밀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링형상의 오링(51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링(519)은, 개폐부재(510)의 저면 및 마개본체(520)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개폐부재(510)의 저면 및 마개본체(520)의 상면을 밀폐하기 위한 부재로서 탄성 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0)는, 소위 스마트용기로서, 용기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2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200)는, 용기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기본체부(100)의 무게, 구체적으로 무게측정을 통하여 용기본체부(100) 내부에 담긴 음료의 양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측정부(200)는, 용기본체부(100)와 결합되는 본체하우징(210)과;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며 지지된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로드셀부(400)와;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어 로드셀부(4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의 무선단말(30)로 무선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410)와; 무선통신부(410)와 로드셀부(400)를 제어하는 측정부제어부(420)와; 측정부제어부(420), 무선통신부(410) 및 로드셀부(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용기본체부(100)와 결합되며, 후술하는 로드셀부(400), 무선통신부(410), 측정부제어부(420) 및 전원부(43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상측에는 용기본체부(100)가 결합되고 로드셀부(400), 무선통신부(410), 측정부제어부(420) 및 전원부(4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상측에 용기본체부(1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용기본체부(100)의 하단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용기삽입부(219)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후술하는 전장모듈(401)의 설치를 위하여 하부연장부(21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하우징(210)에의 설치의 용이성을 위하여, 무선통신부(410), 측정부제어부(420) 및 전원부(430)은, 로드셀부(400)와 결합된 상태로 하나의 전장모듈(401)로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전장모듈(401)과의 결합시 액상의 물질이 전장모듈(401)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누전의 위험성이 있는바 전기가 인가되는 전기부품들이 액상의 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방수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용기본체부(10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용기본체부(10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서, 본체하우징(200)에 용기본체부(100)의 측면 외주면과 상하로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200), 특히 상기 본체하우징(210)이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용기본체부(100)의 상하로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결합구조는, 용기본체부(100) 및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홈부에 서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부(10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홈부(131)들과, 홈부(131)들 각각에 대응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하우징(210)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2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131)들은, 용기본체부(10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홈(131)들로 후술하는 돌기부(211)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211)는, 용기본체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131)에 대응되어 본체하우징(210)의 내주면, 특히 용기삽입부(219)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거나, 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측정부(200) 사이의 정확한 결합을 위하여 용기부(130)의 표면 및 측정부(200)의 표면에는,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표식(135, 215)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부(130)의 표면 및 측정부(200)의 표면에 형성된 표식(135, 215)을 기준으로 용기본체부(100) 및 측정부(200)를 올바른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장모듈(401)은, 본체하우징(210)로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무선통신부(410), 측정부제어부(420) 및 전원부(430)은, 로드셀부(400)와 결합된 상태로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하우징(210)의 저면 쪽에는, 본체하우징(210), 특히 하부연장부(218)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장모듈(401)이 고정되도록 보조하우징(217)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하우징(217)은, 본체하우징(210)의 저면 쪽에서 본체하우징(210), 특히 하부연장부(218)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장모듈(401)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부재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보조하우징(217)은, 후술하는 로드셀부(40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 등에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전장모듈(401)은, 로드셀부(400)와, 로드셀부(400)를 제외한 무선통신부(410), 측정부제어부(420) 및 전원부(430)를 포함하는 PCB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셀부(400)는,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가 타 구조물에 지지된 상태에 놓였을 때 용기하우징(210)에 지지되는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로드셀부(400)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용기하우징(210)에 지지되는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로드셀의 숫자, 설치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로드셀부(400)는, 용기하우징(210)의 저면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지면 등 타 구조물에 놓였을 때 용기하우징(210)에 지지되는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셀부(400)는, 용기하우징(210)의 저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대신 용기하우징(2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용기본체부(100)를 직접 지지하거나 간접적으로 지지하여 용기본체부(100) 내에 담긴 내용물, 즉 음료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드셀부(400)가 용기하우징(2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경우 용기본체부(100)가 측정부(200), 즉 본체하우징(210)과 결합될 때 그 결합력에 의하여 용기본체부(100)에 담긴 내용물의 무게를 로드셀부(400)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측정부(200), 특히 본체하우징(210)은,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용기본체부(10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하우징(210)은,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용기본체부(10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서, 본체하우징(200)에 용기본체부(100)의 측면 외주면과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200), 특히 상기 본체하우징(210)이 용기본체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용기본체부(100)의 상하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결합구조는, 용기본체부(100) 및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홈부에 서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구조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부(131)와, 홈부(131)에 대응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하우징(210)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2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211)는, 홈부(131)에 끼움결합되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돌기부(211)의 상하폭(T1)이 홈부(131)의 상하폭(D1)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부(131)는, 용기부(1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돌기부(211)가 끼워진 상태에서 돌기부(211)가 홈부(131)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폭(D1)이 돌기부(211)의 상하폭(T1)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부(211)는, 용기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부(131)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부(131)에 돌기부(211)가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홈부(131)의 하측에는 용기부(130)의 외주면에 돌기부(211)가 끼움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34)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34)는, 홈부(131)에 돌기부(211)가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홈부(131)의 하측에는 용기부(130)의 외주면에 돌기부(211)가 끼움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홈으로서, 돌기부(211)가 상하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홈부(131)는, 용기부(1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거나, 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결합구조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32)와, 돌출부(1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하우징(210)에 형성된 요홈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32)는, 요홈부(212)에 끼움결합되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돌출부(132)의 상하폭(T2)가 요홈부(212)의 상하폭(D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32)는, 용기부(1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거나, 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홈부(212)는, 본체하우징(200)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본체하우징(2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일 수 있다.
상기 PCB부는, 로드셀부(400)를 제외한 무선통신부(410), 측정부제어부(420) 및 전원부(4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물리적으로 PCB보드(421) 상에 무선통신부(410), 측정부제어부(420) 및 전원부(430)를 위한 회로소자들이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CB부는, 무선통신부(410), 측정부제어부(420) 및 전원부(430)를 위한 회로소자들이 설치된 PCB보드(421)는, 방수구조에 의하여 본체하우징(210) 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PCB보드(421)는, 전원부(430)가 충전배터리가 사용될 때 충전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43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충전단자(431)는, PCB보드(421)에 설치되고, 전원선(432)에 의하여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본체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충전단자(431)는, 전원부(430)가 충전배터리가 사용될 때 충전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며, 마이크로 USB단자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단자(431)가 마이크로 USB단자 등 통신이 가능한 단자가 사용되는 경우, PCB보드(421)에 설치되어 측정부제어부(420) 를 구성하는 저장매체(미도시)에 저장된 설치 프로그램(펌웨어 등)의 업그레이드 등을 위한 통신단자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410)는,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어 로드셀부(4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의 무선단말(30)로 무선송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무선통신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통신방식은, WIFI,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포트, 기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방식도 가능하며, 하나의 방식만이 아닌 복수의 통신방식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부(410)는, PCB보드(421)에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없는바 PCB보드(421)의 하부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제어부(420)는, 무선통신부(410)와 로드셀부(400)를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물리적 구성보다는 회로적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회로소자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PCB보드(421)에 CPU로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430)는, 측정부제어부(420), 무선통신부(410) 및 로드셀부(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전원공급장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전원부(430)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0)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바, 충전식 배터리, 건전지 등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는,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자세측정센서(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세측정센서는,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 예를 들면 기운정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자이로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세측정센서는,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 예를 들면 기운정도 등을 측정하며,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 감지에 따라서 앞서 설명한 측정부제어부(420)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0)의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용기본체부(100) 내부에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센서(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센서는, 용기본체부(100) 내부에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용기본체부(100)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용기본체부(100)의 온도 및 내용물의 온도의 상관관계를 실험 등을 통하여 미리 계산된 수식에 의하여 내용물의 온도로 환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측정센서, 자세측정센서등은, 용기본체부(100) 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온도측정센서, 자세측정센서등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 자세정보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측정부(200)의 측정부제어부(42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측정부(200) 및 용기본체부(100)에서 측정된 정보, 예를 들면 용기본체부(100)의 무게, 환산된 내용물의 무게, 사용전 및 사용 후의 무게변화, 온도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2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20)는, 측정부(200) 및 용기본체부(100)에서 측정된 정보, 예를 들면 용기본체부(100)의 무게, 환산된 내용물의 무게, 사용 전 및 사용 후의 무게변화, 온도 등을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LCD패널, OLED패널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음료용기(10)는, 액상물질인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부(100)와, 내용물이 담긴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200)로 구성되고, 측정부(200)는 내용물이 담긴 용기본체부(100)의 무게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단말(30)에 전송이 가능한바,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0) 및 무선단말(30)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30)은, 스마트폰, PC, 스마트패드 등 음료용기(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기이면 어떠한 기기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무선단말(30)은, 음료용기(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음료용기(1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핸들링하는 앱 등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음료용기(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음료용기(1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핸들링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음료용기(10)에서 전송되는 정보의 핸들링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링 알고리즘은, 음료용기(10)에서 전송되는 정보, 구체적으로 음료용기(10)의 용기본체부(100)에 담긴 내용물의 무게정보를 측정시간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링 알고리즘은, 음료용기(10)의 사용 전의 시점 및 사용 후의 시점에서의 무게 차를 계산하여 사용자의 음용량으로서 저장 및 무선단말(30)의 출력부(3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단말(30)의 출력부(31)에 표시할 때 음용시간을, 년월일시 등 다양한 시간형식으로, 표, 그래프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음료용기(10)의 상태에 따라서 작동될 필요가 있는바 음료용기(10)의 사용여부에 대한 신호의 수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세측정센서가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 예를 들면 기운정도 등을 측정하며,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 감지에 따라서 측정부(200)의 측정부제어부(420)는, 음료용기(10)의 사용이 개시되었음을 무선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측정센서가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 예를 들면 수직으로 세운 것으로 측정되면, 음료용기(10)의 사용이 종료되었음을 무선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단말(3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은, 음료용기(10)의 사용 개시신호 및 사용종료신호를 기준으로 음료용기(10)의 사용 전의 시점 및 사용 후의 시점에서의 무게 차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0)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음료용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부(100)의 접촉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용기본체부(100)의 접촉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구성으로서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0)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로드셀부(400)에 의하여 측정되는 하중이 제로되는 시점을 음료용기(10)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0)를 들어 사용하는 경우 로드셀부(400)에 의하여 측정되는 하중은 제로가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유아의 분유의 음용량을 자동으로 저장하고 표, 그래프 등으로 표시하는 육아일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음료용기 20: 무선통신부
100: 용기본체부 200: 측정부

Claims (12)

  1. 음료용기(100)의 용기입구(139)에 결합되어 용기본체부(100)를 개폐하는 용기마개로서,
    용기입구(139)에 결합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어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가 형성된 마개본체(520)와;
    상기 마개본체(520)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선형이동하여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방위치 및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복개하는 복개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마개본체(520)와 결합되는 개폐부재(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용기마개.
  2. 청구항 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510)는,
    상기 마개본체(520)의 중심에 결합되도록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중심축부(511)와;
    상기 중심축부(511)로부터 이격되어 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마개본체(520)의 상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선형가이드홈(522)에 끼워져 상기 마개본체(520)에 대한 상기 개폐부재(510)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재(5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용기마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부(511)는, 상기 마개본체(520)의 중심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개폐부재(510)가 상기 마개본체(5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마개본체(520)의 저면에서 상기 중심축부(511)와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5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개방하거나, 상기 제1개구부(528) 및 제2개구부(529) 모두를 폐쇄하는 실링부재(53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용기마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개본체(520)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512)가 상기 중심축부(511)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홈(522)으로부터 연결된 회전가이드홈(5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용기마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512)의 끝단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플렌지부(512a)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522) 및 상기 회전가이드홈(523)의 폭은, 상기 플렌지부(512a)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용기마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522)은, 상기 회전가이드홈(523)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이드홈(523)은, 상기 가이드홈(522)으로부터 상기 회전가이드홈(523)의 끝단으로 가면서 점차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용기마개.
  7. 상측에 용기입구(139)가 형성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부(100)와;
    상기 용기입구(139)에 결합되어 용기본체부(100)를 개폐하는 용기마개(2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마개(20)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용기마개(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로드셀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2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부(1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자세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자세측정센서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용기본체부(100)의 측면 외주면과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측면결합부(210)를 구비하는 본체하우징(210)과;
    상기 본체하우징(210)의 저면에 설치되어 타 구조물에 지지된 상태에 놓였을 때 상기 용기하우징(210)에 지지되는 용기본체부(10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로드셀부(400)와;
    상기 본체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셀부(4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의 (500)로 무선송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부(410)와;
    상기 무선통신부(410)와 로드셀부(400)를 제어하는 측정부제어부(420)와;
    상기 측정부제어부(420), 무선통신부(410) 및 로드셀부(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상기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용기본체부(100) 내부에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센서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부(100) 및 상기 측정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측정부(200) 및 상기 용기본체부(100)에서 측정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32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1020170064833A 2017-05-25 2017-05-25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된 용기마개 KR20180129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833A KR20180129185A (ko) 2017-05-25 2017-05-25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된 용기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833A KR20180129185A (ko) 2017-05-25 2017-05-25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된 용기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185A true KR20180129185A (ko) 2018-12-05

Family

ID=6474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833A KR20180129185A (ko) 2017-05-25 2017-05-25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된 용기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91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369A (ko) 2020-11-13 2022-05-20 박진영 음료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369A (ko) 2020-11-13 2022-05-20 박진영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02198A3 (en) Insulated food containers
CN213308831U (zh) 一种饮水量感应的智能水杯
WO2004082441A3 (en) Drinking vessels with removable cooling devices
US20150189894A1 (en) Yogurt Fermenter For Home Use
KR20180129185A (ko) 음료용기 및 그에 결합된 용기마개
KR20170071999A (ko) 스마트용기
KR20150088058A (ko) 알콜센서를 구비한 컵
CN104921608A (zh) 一种智能电热水杯
CN104921546A (zh) 一种可称重电热水杯
CN202858676U (zh) 一种可称重的杯子
CN106966039B (zh) 一种多功能瓶盖
CN101467832B (zh) 液体容器
CN206562076U (zh) 简易一次性冷泡茶包装瓶
CN204071511U (zh) 保温养生杯
KR101998062B1 (ko) 스마트 텀블러
KR20110080691A (ko) 온도감지종이컵
CN218908277U (zh) 一种塑料杯子
KR101842629B1 (ko) 탄산음료 용기용 홀더
CN213155225U (zh) 一种具有温度显示功能的饮水杯
CN214986846U (zh) 一种自调和酒瓶
CN209058244U (zh) 一种随身杯
KR20140115554A (ko) 정량토출 용기
CN219166218U (zh) 一种多功能搅拌杯
CN218259184U (zh) 一种缩颈收腰奶粉罐
CN203059156U (zh) 一种手动出液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