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261B1 -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 Google Patents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261B1
KR102463261B1 KR1020220054596A KR20220054596A KR102463261B1 KR 102463261 B1 KR102463261 B1 KR 102463261B1 KR 1020220054596 A KR1020220054596 A KR 1020220054596A KR 20220054596 A KR20220054596 A KR 20220054596A KR 102463261 B1 KR102463261 B1 KR 10246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sample
stick
specime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창욱
정중환
김봉윤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PCT/KR2022/00639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55660A1/ko
Priority to CN202280040135.3A priority patent/CN117500440A/zh
Priority to EP22816319.2A priority patent/EP434927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2050/005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with a lid or cover
    • A61B2050/0051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with a lid or cover closable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 채취 스왑과, 검체 채취 스왑을 수용 및 보관하는 검체 보존 용기와, 검체 보존 용기의 개방된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수용공간을 개폐시키는 검체 용기 덮개와, 검체 용기 덮개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내부공간으로 복수개의 스틱부들이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삽입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피검사자의 구강 및 비강 내 타액을 각각의 채취 스왑으로 채취할 시, 채취한 막대를 각각 별도의 밀폐 용기에 보관하지 않고 하나의 밀폐 용기에 동시에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Container cover for preserving of a specimen}
본 발명은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전염성 질환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거나 검사하기 위하여 피검사자로부터 채취한 검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COVID 19(Corona Virus Disease 19)의 확산으로 이에 대한 감염여부의 검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감염여부 검사는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일반적인 호흡기 질환의 경우에는 피검사자의 비강 또는 구강의 내부에 검체 채취용의 면봉을 삽입한 후 비강이나 구강내벽의 점막으로부터 분비물을 채취하고 이를 검사하여 호흡기 질환 여부를 검사한다.
하지만, 최근 유행하는 COVID 19의 경우에는 호흡기 질환이지만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피검사자의 비강과 구강내벽의 점막 모두로부터 분비물을 각각 채취하여 검사를 하고 있으며, 이렇게 검체를 채취한 후에는 채취 스틱을 보존액(배지)에 들어 있는 검체 보존 용기에 담아 보관 및 검사 장소까지 운반한다.
한편, 이러한 검체를 채취 및 보관하기 위한 종래의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는,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스왑과, 배지가 수용되고 검체가 채취된 스왑이 삽입되어 수용할 수 있는 검체 용기와, 검체 용기를 밀폐하는 용기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검체 채취 및 보관용 용기는, 검체 용기에 하나의 스왑만 삽입 및 보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검사 종류에 따라 둘 이상의 다중 신체 부위에서 검체를 채취하는 경우 동일 피검사자임에도 불구하고 각 검체 채취 스왑들을 서로 다른 각각의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에 별도로 보관할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검체 채취 및 보관용 용기는, 각각의 검체 용기에 동일한 피검사자의 정보를 반복 기입해야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은 물론, 보다 많은 검체 채취 및 보관용 용기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보관 및 관리에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검체 채취 및 보관용 용기는, 검사 장소에 운반된 후 검사자가 검체 채취 스왑을 검체 용기에서 일일이 꺼내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스왑을 꺼내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6453호(2011.06.29.)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284703호(2013.07.11.)
본 발명은, 피검사자로부터 두 개 부위 이상의 신체 부위에서 검체를 채취할 시 검체 채취 스왑 복수개를 하나의 검체 채취 용기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은 물론 보관 및 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자가 검체 용기로부터 검체 채취 스왑을 꺼내는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기존의 검체 채취 스왑을 꺼내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스왑을 꺼내는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오염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형상의 측부와, 상기 측부의 일단부에 결합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검체 채취 스왑들이 삽입된 용기의 개방된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결합하는 덮개본체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용기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하나 이상의 상기 검체 채취 스왑의 스틱부들이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삽입결합부와; 상기 삽입결합부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본체가 상기 용기에 결합될 시 상기 스틱부와 걸림 접촉되어 상기 삽입결합부로부터 상기 스틱부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결합부는, 상기 용기가 상기 덮개본체에 결합될 시 상기 내부공간의 임의 위치에 상기 스틱부들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삽입결합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덮개본체가 상기 용기에 나사결합될 시 상기 스틱부가 상기 걸림부를 따라 상기 덮개본체의 저면을 향하여 삽입 안내되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는, 피검사자로부터 두 군데 이상의 신체 부위로부터 검체가 채취된 복수개의 스왑들을 하나의 검체 채취 용기에 보관할 수 있어, 피검사자 정보의 기입과 같은 작업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보관 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보다 용이한 보관 및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는, 검사자가 검체 용기로부터 핀셋 등을 이용하여 검체 채취 스왑들을 꺼내는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 없이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를 분리할 시 검체 채취 스왑도 함께 검체 보존 용기로부터 빼내지도록 구성되어 불필요한 오염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검체 채취 스왑을 꺼내는 작업 및 핀셋과 같은 도구의 소독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는, 검체 보존 용기와 체결력 확보는 물론 기밀부를 통하여 기밀성 및 밀폐력도 향상시킴으로써 검체 배지의 유출 및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는,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소요되는 부품수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와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와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와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의 세부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와 검체 채취 스왑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6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의 회전에 따른 검체 채취 스왑의 삽입과정 및 이탈방지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와 검체 보존 용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를 회전시켜 검체 보존 용기에 밀착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에서 돌출끼움부가 구비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의 사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검체 보관용 덮개의 끼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덮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를 살펴봄에 앞서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는, 검체 채취 스왑(100)과, 검체 보존 용기(200)와, 본 발명의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은,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면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은, 검체가 채취되는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110)와 결합되는 스틱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10)는, 대략 구형의 둥근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섬유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형태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틱부(120)는, 스틱형상으로 일단부가 상기 헤드부(110)에 결합되며 타단부로 검사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틱부(120)는, 비강이나 구강으로 삽입하여 검체를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설정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틱부(120)는, 검사자가 일부를 절개할 수 있도록 절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스틱부(120)는, 검체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긴 상태를 유지하여 검체 채취가 용이하도록 하고, 채취 후 검체 보존 용기(200)에 삽입된 후에는 검체 보존 용기(200)의 길이에 대응되게 절개되어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의 차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는, 일측이 차폐된 컵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10)으로 배지(1)와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을 수용 및 보관할 수 있으며, 개방된 타측으로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이 삽입되는 삽입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된 일측 바닥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는, 내부를 검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는, 제조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합성수지 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개방된 삽입구(230)측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여,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을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210)을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에 결합 시 하나 이상의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들과 결합하여,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도 함께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로부터 빼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는, 덮개본체(350)와, 삽입결합부(400)와, 이탈방지부(700)와, 기밀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본체(350)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일측 외주면과 결합하는 관형상의 측부(310)와, 상기 측부(310)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삽입구(230)를 차폐시키는 바닥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320)에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를 향하는 저면 즉, 상기 수용공간(210)을 향하여 상기 삽입결합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는, 상기 측부(310)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결합부(400) 외주측면 사이에 사이공간(330)이 형성되며, 상기 사이공간(330)으로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일측 단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이공간(330)은,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가 삽입되는 입구로부터 상기 바닥부(320)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삽입은 용이하고,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삽입 단부와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가 보다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는, 착탈수단(600)을 통하여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착탈수단(6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력과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나사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착탈수단(600)은,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610)과,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의 측부(310)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산(610)과 치합되어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6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착탈수단(600)은, 나사결합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이나, 이 외 체결력 및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스냅방식 등 다양한 착탈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삽입결합부(400)는, 상기 덮개본체(350)의 바닥부(320)로부터 상기 수용공간(21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내부공간(410)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410)에 하나 이상의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의 스틱부(120)들이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결합부(400)는, 노출단부에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내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420)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20)은, 상기 스틱부(120)가 단부에 걸리지 않고 내부공간(410)으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결합부(400)는 내부공간(410)의 형상이 평단면상으로 폐루프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410)으로 상기 스틱부(120)들의 단부가 끼워지고,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상기 삽입결합부(400)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에 복수개의 검체 채취 스왑(1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에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가 결합되면, 상기 스틱부(120)의 결합위치를 따로 설정할 필요 없이 상기 내부공간(410)의 임의 위치에 상기 스틱부(12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결합부(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관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나아가 상기 내부공간(410)에 삽입되는 상기 스틱부(120)의 직경과 최대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내부공간(410)의 평면상 삽입면적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700)는,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이 상기 덮개본체(3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부(700)는, 상기 삽입결합부(400)에 구비되어 상기 스틱부(120)들이 상기 삽입결합부(4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700)는, 상기 덮개본체(350)가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에 결합될 시 상기 스틱부(120)와 걸림 접촉되어,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로부터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를 분리할 시 상기 삽입결합부(400)로부터 상기 스틱부(120)들이 빠져서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700)는, 상기 삽입결합부(40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부(71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710)는, 상기 스틱부(120)가 상기 삽입결합부(400)에 끼워지면 후술되는 상기 스틱부(120)의 돌기부(720)와 걸림 접촉되어 상기 스틱부(120)가 상기 삽입결합부(400)로부터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710)는, 상기 삽입결합부(400)에 돌출된 형태가 아닌 상기 돌기부(720)가 삽입되어 걸림 접촉되는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상기 돌기부(720)를 홈의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710)를 돌출 형성된 돌기형태로 하는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도 형성 가능하다.
상기 이탈방지부(700)는, 상기 덮개본체(350)가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에 나사결합될 시 상기 스틱부(120)가 상기 걸림부(710)를 따라 상기 덮개본체(350)의 저면을 향하여 삽입 안내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부(710)는, 상기 삽입결합부(400)의 내주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복수 회 권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와 검체 보존 용기(200)가 나사결합 시 상기 덮개본체(350)와 상기 삽입결합부(400)가 회전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 걸림부(710)는 나사결합에 의한 상기 덮개본체(350)의 회전에 대응하여 나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삽입결합부(400)가 회전하면 상기 돌기부(720)가 상기 걸림부(710)를 따라 상기 바닥부(320)를 향하여 깊숙이 안내되어 끼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스틱부(120)는, 타단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710)에 걸림 접촉되는 돌기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720)는, 상기 스틱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스틱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7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틱부(120)의 끼움방향에 대하여 반구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다양한 형상으로도 형성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상기한 나선형의 걸림부(710)에 의한 검체 채취 스왑(100)의 끼움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결합될 시,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에 삽입된 복수개의 검체 채취 스왑(100)들의 상기 스틱부(120)가 상기 삽입결합부(400)에 끼워지게 된다.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검사자가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를 회전시켜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나사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는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체결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를 향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틱부(120)는, 상기 내부공간(410)에서 바닥부(320)를 향하여 좀 더 깊숙이 삽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돌기부(720)는 상기 삽입결합부(400)의 회전에 의하여 나선형의 상기 걸림부(710)를 따라 바닥부(320)를 향해 삽입 안내된다.
도 10은 도 9에서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를 더욱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는 더욱 회전하여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개방된 단부가 상기 덮개본체(350)의 바닥부(32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더욱 기밀하게 밀착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틱부(120)는, 상기 삽입결합부(400)에서 상기 바닥부(320)를 향하여 더욱 깊숙이 삽입되고, 상기 스틱부(120)의 돌기부(720)들이 상기 걸림부(710)에 걸림 접촉되어 상기 삽입결합부(400)로부터 빠져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걸림부(7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결합부(400)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가 나사결합에 의하여 회전하면 상기 돌기부(720)를 안내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걸림 접촉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검사자가 검사를 위해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를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에서 분리하더라도, 상기 삽입결합부(400)에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이 결합된 상태로 함께 함께 꺼내지게 되어, 검사자가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로부터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을 꺼내는 별도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는, 검체 및 배지의 유출은 물론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여 검사의 실효성을 얻기 위하여 피검사자로부터 채취한 검체를 보관 및 운반하는 과정에서 기밀성 확보가 아주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서로 결합되는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와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에 각각 기밀부(800)를 형성함으로써 기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800)는, 상기 덮개본체(350)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결합부(400)의 외측면 사이의 사이공간(330)으로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가 끼움 결합된다고 할 때, 상기 측부(310)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결합부(400)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사이공간(330)으로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가 끼움 결합될 시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상기 덮개본체(350)가 밀착되게 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기밀부(800)는, 제1가압돌출부(810)와, 제2가압돌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가압돌출부(810)는, 상기 덮개본체(350)의 측부(310)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가 서로 체결되면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일측 단부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가압돌출부(810)는, 상기 바닥부(320)로부터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돌출부(820)는, 상기 삽입결합부(400)의 외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가 서로 체결되면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일측 단부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압돌출부(820)는,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의 바닥부(320)로부터 인접하여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돌출부(810)와 상기 제2가압돌출부(8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할 수 있으나, 수평선상 동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는 등 그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가압돌출부(810)와 상기 제2가압돌출부(820)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삽입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기밀부(800)는, 상기 제1가압돌출부(810)와 상기 제2가압돌출부(820)에 의하여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일측 단부 내측와 외측을 각각 가압 밀착하고,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간에 발생될 수 있는 공간을 차단시켜 밀폐력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의 모서리 부분은, 면접촉이 아니라 선접촉되는 구간인 만큼 밀착되는 면적이 작으며, 또한 들뜸이 발생될 수 있어 이러한 모서리부분의 기밀성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상기 기밀부(800)는, 상기한 제1가압돌출부(810)와 상기 제2가압돌출부(820)를 통하여 검체 보존 용기(200)에 대하여 내측면과 외측면 각각의 기밀성을 유지함은 물론, 모서리부분에서도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경사접촉면(831)과 제2경사접촉면(8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경사접촉면(831)은,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단부 모서리가 절개되어 경사진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접촉면(832)은, 상기 제1경사접촉면(831)과 대면하는 상기 삽입결합부(40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접촉면(832)과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경사진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사이공간(330)으로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가 끼워져 결합되면, 상기 제1경사접촉면(831)과 상기 제2경사접촉면(832)은 면접촉하면서 밀착되고, 이를 통해 모서리부분의 기밀성이 확보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경사접촉면(831)과 상기 제2경사접촉면(832)은,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내주측 단부에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외주측 단부 모서리에 형성되거나, 또는 내주측 및 외주측 각각의 단부 모서리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기밀부(800)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일단부 외주면에 상기 덮개본체(350)의 측부(310)과 밀착되도록 돌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상단부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측부(310)를 가압하여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 상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으며, 개수와 이격거리는 다양하게 조정 가능하다.
도 13 및 도 14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가 체결된 상태 및 기밀부(8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기밀부(800)는, 상기 제1가압돌출부(810)와 상기 제2가압돌출부(820)를 통해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각각 가압하여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의 단부가 밀착되게 한다.
또한, 상기 기밀부(800)는, 상기 제1경사접촉면(831)과 상기 제2경사접촉면(832)을 통하여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의 모서리부분에서도 밀착되게 하여 전반적인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는, 상기 사이공간(330)으로 끼움 결합되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를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로 수지계열의 재질을 비롯하여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a)는, 상기 삽입결합부(400a)에 상기 스틱부(120) 하나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a)는, 삽입결합부(400a)의 내부공간(410)의 형상을 결합되는 스틱부(120)의 개수 및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b)는, 바닥부(320)의 저면에 상기 수용공간(21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결합부(400) 사이의 임의 위치에 상기 스틱부(120)들이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끼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b)는, 상기 스틱부(120)들이 끼워져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삽입결합부(400)의 내부공간(410)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스틱부(120)들이 정해진 설정 개수로 끼워져야 한다.
하지만,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b)는, 상기한 돌출끼움부(5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돌출끼움부(500)와 상기 삽입결합부(400) 사이의 임의 위치에 스틱부(120)가 끼워질 수 있게 하며, 이러한 삽입결합부(400)에 끼워질 수 있는 스틱부(120)의 개수제한을 없앨 수 있다.
상기 돌출끼움부(500)는, 상기 내부공간(410)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검체 용기 덮개(300)의 저면 즉, 상기 바닥부(320)로부터 상기 수용공간(21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끼움부(500)는, 외측면과 상기 삽입결합부(400)의 내측면 사이의 임의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스틱부(120)들이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스틱부(120)의 개수를 하나부터 복수개까지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끼움부(500)는, 외주면과 상기 삽입결합부(400)의 내주측면 사이에 상기 스틱부(120)가 끼워지도록 외주면과 상기 삽입결합부(400) 내주면과의 거리가 상기 스틱부(120)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설정 직경과 설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끼움부(500)는, 상기 스틱부(120)들의 직경이 동일하다고 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410)의 중심축선 상 즉, 평면상으로 상기 내부공간(41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끼움부(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상기 돌출끼움부(500)는, 상기 내부공간(410)에 위치하여 설정 직경을 갖는 상기 스틱부(120)를 상기 삽입결합부(400)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돌출끼움부(500)는, 상기 내부공간(410)의 임의 위치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스틱부(120)의 개수를 하나부터 복수개까지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돌출끼움부(5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촉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홈은, 상기 스틱부(120)의 외주면 일부 형상과 대응되게 단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틱부(120)의 외주면 일부가 접촉 안착되며, 상기 스틱부(120)들이 설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접촉홈은 상기 스틱부(120)의 위치정렬 기능 등을 고려하여 그 깊이가 설정될 수 있으며, 그 개수 또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끼움부(5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복수 회 권회되어 형성된 나선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돌기는, 상기 걸림부(710)와 유사한 기능으로 상기 덮개본체(350)가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에 나사결합되면서 회전하면, 상기 스틱부(120)의 상기 돌기부(720)가 나선형의 상기 나선돌기를 따라 삽입 안내되고, 상기 스틱부(120)의 상기 돌기부(720)와 걸림 접촉되어 상기 스틱부(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끼움부(5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노출단부 외주면을 따라 볼록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스틱부(120)가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검사자는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을 통해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한 후 이를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수용공간(210)으로 삽입한다.
이후 검사자는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를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를 차폐시킨다. 이때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의 스틱부(120)는 상기 삽입결합부(400)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검사자는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를 회전시켜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나사 결합시키고, 이 과정에서 상기 스틱부(120)는 상기 삽입결합부(400) 내측으로 더욱 삽입된다. 한편, 이때, 상기 돌기부(720)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710)를 따라 삽입결합부(400) 내측으로 안내되고 상기 걸림부(710)에 걸림 접촉된다.
이후 검사자가 상기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를 분리하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700)에 의하여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이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같이 딸려서 나오게 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c)는, 덮개본체(350)와, 삽입결합부(400a)와, 돌출끼움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본체(350)와 돌출끼움부(500)는, 전술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삽입결합부(400a)는 전술한 삽입결합부(400)와 차별되는 특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삽입결합부(400a)는, 통형상으로 일측 단부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와 대면하는 상기 덮개본체(350)의 내측 저면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상기 검체 채취 스왑(100)들의 각 스틱부(120)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430)는, 상기 스틱부(120)들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끼움홈(440)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끼움부(500)는, 상기 끼움부(460)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외측면과 상기 삽입결합부(400a)에서 상기 끼움홈(440)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스틱부(120)들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440)들은, 상기 스틱부(120)의 단부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원통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상기 돌출끼움부(500)를 중심으로 인접하여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끼움부(430)는, 3개의 끼움홈(440)들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하나 내지 세 개의 상기 스틱부(12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끼움부(430)는, 상기 끼움홈(440)들의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복수회 권회되도록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덮개본체(350)가 상기 검체 보존 용기(200)에 나사결합될 시, 상기 스틱부(120)는 상기 걸림돌기를 따라 상기 덮개본체(350)의 저면을 향하여 삽입 안내되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스틱부(120)와 걸림 접촉되어 상기 삽입결합부(400a)로부터 상기 스틱부(120)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덮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18과 차별되는 구성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d)는, 덮개본체(350)와, 삽입결합부(40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결합부(400b)는, 검체 채취 스왑(100)들의 각 스틱부(120)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4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끼움부(430a)는, 도 18과는 달리 서로 인접하여 연통 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440a)들이 포함하고 있으며, 하나 또는 한 쌍의 상기 스틱부(120)들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300c,300d)는 끼움홈(440,440a)의 개수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끼움부(430,43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돌출끼움부(500)의 구성 또한 선택적으로 형성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검체 채취 스왑 110 : 헤드부
120 : 스틱부 200 : 검체 보존 용기
210 : 수용공간 220 : 돌출부
230 : 삽입구
300,300a,300b,300c,300d :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310 : 측부 320 : 바닥부
330 : 사이공간 350 : 덮개본체
400,400a,400b : 삽입결합부 410 : 내부공간
420 : 경사면 430,430a :끼움부
440,440a : 끼움홈 500 : 돌출끼움부
600 : 착탈수단 610 : 제1나사산
620 : 제2나사산 700 : 이탈방지부
710 : 걸림부 720 : 돌기부
800 : 기밀부 810 : 제1가압돌출부
820 : 제2가압돌출부 831 : 제1경사접촉면
832 : 제2경사접촉면

Claims (10)

  1. 복수개의 검체 채취 스왑들이 삽입된 검체 보존 용기의 개방된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덮개본체와;
    통형상으로 일측 단부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와 대면하는 상기 덮개본체의 내측 저면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상기 검체 채취 스왑들의 각 스틱부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된 삽입결합부와;
    상기 끼움부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외측면과 상기 삽입결합부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스틱부들이 끼움 결합되는 돌출끼움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끼움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는, 상기 검체 보존 용기와 착탈 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돌출끼움부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복수 회 권회되도록 형성된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본체가 상기 검체 보존 용기에 나사결합될 시 상기 스틱부가 상기 나선돌기를 따라 상기 덮개본체의 저면을 향하여 삽입 안내되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스틱부와 걸림 접촉되어 상기 삽입결합부로부터 상기 스틱부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끼움부는,
    노출단부 외주면을 따라 볼록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스틱부의 단부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끼움홈들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들은 상기 돌출끼움부를 중심으로 인접하여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끼움홈들의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복수회 권회되도록 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본체가 상기 검체 보존 용기에 나사결합될 시 상기 스틱부가 상기 걸림돌기를 따라 상기 덮개본체의 저면을 향하여 삽입 안내되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스틱부와 걸림 접촉되어 상기 삽입결합부로부터 상기 스틱부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결합부는,
    상기 스틱부들을 안내하도록 노출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결합부의 외측면 사이의 사이공간으로 상기 검체 보존 용기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덮개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결합부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사이공간으로 상기 검체 보존 용기가 끼움 결합될 시 상기 검체 보존 용기와 상기 덮개본체가 밀착되게 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덮개본체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검체 보존 용기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돌출부와,
    상기 삽입결합부의 외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검체 보존 용기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돌출부와,
    상기 검체 보존 검체 보존 용기의 단부 모서리가 절개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접촉면과 대면하는 상기 삽입결합부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접촉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검체 보존 검체 보존 용기가 결합될 시 상기 제1경사접촉면과 밀착되는 제2경사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KR1020220054596A 2021-06-05 2022-05-03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KR102463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6392 WO2022255660A1 (ko) 2021-06-05 2022-05-04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CN202280040135.3A CN117500440A (zh) 2021-06-05 2022-05-04 样本保管用容器盖
EP22816319.2A EP4349272A1 (en) 2021-06-05 2022-05-04 Cover for specimen stor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138 2021-06-05
KR20210073138 2021-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261B1 true KR102463261B1 (ko) 2022-11-04

Family

ID=838038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596A KR102463261B1 (ko) 2021-06-05 2022-05-03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KR1020220054544A KR102458506B1 (ko) 2021-06-05 2022-05-03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544A KR102458506B1 (ko) 2021-06-05 2022-05-03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4349269A1 (ko)
KR (2) KR102463261B1 (ko)
CN (2) CN117500440A (ko)
WO (2) WO202225566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1423A1 (en) * 2005-06-08 2006-12-14 Copan Innovation Limited Device for the withdrawal, collection and transport of specimens for diagnostic analyses
KR20110006453U (ko)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보존용기
KR20120008600A (ko) * 2010-07-19 2012-02-01 (주) 청맥 미생물 수송배지 용기
JP2012526966A (ja) * 2009-05-14 2012-11-01 ディーエヌエー ジェノテック インク 蓋体、収容装置、およびそれらの使用方法
KR102043955B1 (ko) * 2018-08-23 2019-11-13 (주)블루진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용 어댑터
KR102287449B1 (ko) * 2020-06-02 2021-08-09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3998A (en) * 1986-01-27 1989-02-14 Ncs Diagnostics, Inc. Swab retaining vial cap and method of use
JP2008032541A (ja) * 2006-07-28 2008-02-14 Daisen Sangyo Kk 拭き取り検査具
KR101202811B1 (ko) * 2011-11-30 2012-11-19 임효빈 용기마개
KR101366657B1 (ko) * 2012-05-24 2014-02-24 김홍곤 검체 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1423A1 (en) * 2005-06-08 2006-12-14 Copan Innovation Limited Device for the withdrawal, collection and transport of specimens for diagnostic analyses
JP2012526966A (ja) * 2009-05-14 2012-11-01 ディーエヌエー ジェノテック インク 蓋体、収容装置、およびそれらの使用方法
JP5584287B2 (ja) * 2009-05-14 2014-09-03 ディーエヌエー ジェノテック インク 蓋体、収容装置、および試料採取方法
KR20110006453U (ko)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보존용기
KR20120008600A (ko) * 2010-07-19 2012-02-01 (주) 청맥 미생물 수송배지 용기
KR101284703B1 (ko) 2010-07-19 2013-07-11 (주)오성엔지니어링 미생물 수송배지 용기
KR102043955B1 (ko) * 2018-08-23 2019-11-13 (주)블루진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용 어댑터
KR102287449B1 (ko) * 2020-06-02 2021-08-09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00440A (zh) 2024-02-02
WO2022255660A1 (ko) 2022-12-08
EP4349269A1 (en) 2024-04-10
WO2022255656A1 (ko) 2022-12-08
EP4349272A1 (en) 2024-04-10
CN117425437A (zh) 2024-01-19
KR102458506B1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449B1 (ko)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KR102458602B1 (ko)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KR20110006453U (ko) 검체 보존용기
AU2012293414B2 (en)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biological samples, and corresponding method
JPS59228831A (ja) 採血管用蓋組立体
US4419098A (en) Needle shield
US5857981A (en) Biopsy instrument with tissue specimen retaining and retrieval device
KR102339993B1 (ko) 검체채취스틱
KR102463261B1 (ko)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US5930440A (en) Fiber optic probe protector
KR102458507B1 (ko) 검체 채취 및 보관용 용기
JPS61222437A (ja) 血液採取装置
US3783998A (en) Sampling syringe
CN210727789U (zh) 宫颈细胞自采样的采样器、保存容器和采样组件
KR102007498B1 (ko) 검체 수송배지 용기
CN218077991U (zh) 核酸采样用试管
JP2022507240A (ja) 糞便検体
KR20220019864A (ko) 비인두 및 구인두의 가검물 샘플 채취 기기
US20230172590A1 (en) Single-use sampling device configured to collect, transport and dispense oral fluid samples to multiple testing sites
WO2022074175A1 (fr) Capuchon pour dispositif de collecte d'echantillon biologique et dispositif de collecte incluant un tel capuchon
KR20240017476A (ko) 검체 용기
KR20220001796U (ko) 필터 팁과 검체추출튜브가 수용되는 필터 팁 수용홈과 검체추출튜브 수용홈이 형성된 케이스 조립체
JP2022115599A (ja) 検体容器
JP2023008421A (ja) 検体採取容器
KR20230103032A (ko) 바이러스 검체봉 안정 절취구조가 구비된 검체 채취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