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183B1 - 수소 저장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소 저장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183B1
KR102463183B1 KR1020160170678A KR20160170678A KR102463183B1 KR 102463183 B1 KR102463183 B1 KR 102463183B1 KR 1020160170678 A KR1020160170678 A KR 1020160170678A KR 20160170678 A KR20160170678 A KR 20160170678A KR 102463183 B1 KR102463183 B1 KR 10246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storage
carbon
expanded graphite
nano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716A (ko
Inventor
남동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1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31Intermetallic compounds; Metal alloys;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21Carbon, e.g. active carbon, carbon nanotubes, fullerenes;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84Solid storage mediu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pellets, sintered shaped bodies, sheets, porous compacts, spongy metals, hollow particles, solids with cavities, layered so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복합재는 고체 수소 저장 소재, 팽창흑연, 나노 카본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 카본은 상기 고체 수소 저장 소재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고체 수소 저장 소재와 상기 팽창흑연을 서로 연결한다.

Description

수소 저장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HYDROGEN STORAGE COMPOSI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소 저장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고갈되어 가는 화석 연료의 대체 및 지구의 환경보존과 에너지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미래의 에너지 매체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에너지 관련 기술 중 고효율의 환경친화적 청정에너지 기술개발이 매우 시급하다. 이에 따라 수소에너지의 기술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수소의 제조와 저장, 수송 분야를 포함한 수소에너지 이용기술의 확보는 미래 21세기 에너지 안보 및 국가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수소는 에너지원으로서 사용할 경우에 무한정인 물을 원료로 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다시 물로 재순환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연소 시 극소량의 NOx 발생을 제외하고는 공해물질이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수소는 가스나 액체로서 쉽게 수송할 수 있으며 고압가스, 액체수소, 금속수소화물 등의 다양한 형태로의 저장이 용이하다. 또한, 직접 연소에 의한 연료 또는 연료전지 등의 연료로서의 사용이 간편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소는 산업용의 기초소재로부터 일반 연료자동차, 수소비행기, 연료전지 등 현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거의 모든 분야에 이용될 수 있어, 미래의 에너지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소에너지 시스템(제조, 저장, 수송 및 이용)에서 수소저장기술은 수소의 제조 및 이용기술을 연결하는 핵심 기술로서 효율적인 에너지 체계를 구축하는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특히, 고압기체 수소저장 시스템의 낮은 부피저장밀도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체수소저장 소재 기반의 시스템 개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고체 수소 저장 소재인 수소저장합금 및 금속수소화물은 수소를 저장/방출하는 과정에서 반응열이 필요하므로 외부에서 저장용기 내부의 소재로 지속적인 열공급 또는 냉각이 필요하고, 수소를 저장/방출하는 속도는 열전달 속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고체수소저장 소재의 열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분말 형태의 고체수소저장 소재에 탄소계 물질인 팽창흑연(ENG: Expanded Natural Graphite)를 필러(강화재)로 혼합하고 있다.
그러나, 팽창흑연은 밀도가 낮고 열전도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혼합된 분말을 펠렛 형태로 압축하는 경우, 압축 방향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배열된 방향의 열전도도는 상승하지만 수직 방향의 열전도도 향상은 미미한 문제가 있다. 이렇게 열전도도의 이방성이 크게 되면 열공급을 위한 열교환기 설계에 제약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즉, 팽창흑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열전도도는 향상되나 고체수소저장 시스템의 저장용량이 감소하므로 낮은 필러 함량으로 높은 열전도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전도도가 개선되고 열전도 이방성을 감소시킨 수소 저장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복합재는 고체 수소 저장 소재, 팽창흑연, 나노 카본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 카본은 상기 고체 수소 저장 소재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고체 수소 저장 소재와 상기 팽창흑연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고체 수소 저장 소재는 금속착수소화물, 금속수소화물 및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나노 카본은 그래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의 함량과 상기 나노 카본의 함량비는 100: 1 내지 1:1 사이일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나노카본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복합재의 제조 방법은 고체 수소 저장 소재와 나노 카본을 혼합하여 복합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합 분말과 팽창흑연을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소 저장 복합재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혼합 분말을 몰드에 넣고 압력을 가해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분말과 팽창흑연을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합 분말과 팽창흑연을 볼밀링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혼합 분말을 몰드에 넣고 압력을 가해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에서의 압력은 100 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수소 저장 소재는 금속착수소화물, 금속수소화물 및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나노 카본은 그래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의 함량과 상기 나노 카본의 함량비는 100: 1 내지 1:1 사이일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나노카본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기재에 따른 수소 저장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은 필러로 팽창흑연과 나노 카본을 모두 포함하여, 수소 저장 복합재의 열전도도를 개선하고 열전도 이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복합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복합재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수소 저장 펠렛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수소 저장 펠렛의 이미지이다.
도 5는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수소 저장 복합분말의 이미지이다.
도 6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수소 저장 복합재의 CNF가 응집된 이미지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복합재는 펠렛 또는 분말형태일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펠렛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펠렛(1000)은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 팽창흑연(200), 나노 카본(300)을 포함하며, 나노 카본(300)은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 사이를 연결하고,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와 팽창흑연(200)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팽창흑연(ENG: Expanded natural graphite)은 고체 수소 저장 소재의 열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필러로 포함된다. 즉,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가 수소를 저장, 방출 하는 과정에서 반응열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소 저장 펠렛은 지속적인 열공급 또는 냉각이 필요하고, 따라서 수소를 저장/ 방출하는 속도는 열전달 속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소 저장 펠렛의 열전도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팽창흑연(200)을 펠렛 내부에 필러로서 포함시키지만, 팽창흑연(200)은 펠렛 형태로 압축할 때에 압축 방향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배열된 방향으로의 열전도도는 개선하지만, 배열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의 열전도도 개선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이는 팽창흑연(200)의 폭이 200 ㎛ 내지 700 ㎛로 크며, 판상 형상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펠렛은 펠렛 내부에 팽창흑연(200) 뿐만 아니라 나노 카본(300)을 포함시켜서, 열전도도를 향상시키고 열전도 이방성도 개선할 수 있다. 즉, 나노 카본(300)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 표면에 분산되고, 펠렛으로 압축하더라도 일정 방향으로 배열되지 않고 무작위 방향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펠렛의 열전도 이방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나노 카본(300)은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를 서로 연결하거나,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와 팽창흑연(200) 사이를 서로 연결하기 때문에 수소 저장 펠렛의 열전도도를 향상시킨다.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는 금속착수소화물, 금속수소화물 및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금속착수소화물은 MAlH4 (M=Li, Na, Al), M(AlH4)2 (M=Mg, Ca), MBH4 (M=Li, Na, K), M(BH4)2 (M=Mg, Ca), M(BH4)3 (M=Al, Ti), MNH2 (M=Li, Na), M(NH2)2 (M=Mg, Ca), Li-N-H (amide, imide), Mg-N-H (amide, imide), Li-Mg-N-H (amide, i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금속수소화물은 M=Li, Na, K, Rb, Cs), MH2 (M=Mg, Ca, Sc, Ti, V)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수소저장합금은 마그네슘 기반 합금, BCC 합금(Ti-Cr-V), TiFe, Pd-X(X=Ba, Y, La), Li-M (M=Ti, V, Zr, Nb, Hf), Mg-Co, LaNi5, La-Ni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나노 카본(300)은 그래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팽창흑연(200)의 함량과 나노 카본(300)의 함량비는 100:1 내지 1:1 사이일 수 있다. 또한, 팽창흑연(200)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나노카본(300)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펠렛은 팽창흑연(200)만을 단일 필러로 포함하는 펠렛에 비하여, 열전도도를 개선할 수 있고, 열전도 이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적이 높은 나노카본(300)이 첨가됨으로서 수소 저장 펠렛의 수소 저장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펠렛은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 팽창흑연(200), 나노 카본(300)을 한번에 혼합하지 않고,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와 나노 카본(300)을 밀링하여 복합 분말을 형성한 후에, 팽창흑연(200)과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단게적으로 밀링되어야 팽창흑연(200)이 파괴되기 않고, 나노 카본(300)이 고르게 분산되어 도 1과 구조를 갖는 수소 저장 펠렛이 제조된다. 도 1에서는 수소 저장 펠렛(1000)의 형태로 성형된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성형되지 않고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 팽창흑연(200), 나노 카본(300)이 분산된 복합 분말의 형태로도 수소 저장에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기재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펠렛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펠렛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를 참고로 하면,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와 나노 카본(300)을 혼합하여 복합 분말(400)을 형성한다.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는 금속착수소화물, 금속수소화물 및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나노 카본(300)은 그래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음, 도 2의 (b)를 참고로 하면 복합 분말(400)과 팽창흑연(200)을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형성한다. 이때 복합 분말(400)과 팽창흑연(200)을 볼밀링 하는 방법으로 혼합 분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혼합 분말의 형성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볼밀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통상적인 분말의 혼합 방법으로 혼합될 수 있다. 다만 볼밀링으로 혼합하는 경우, 분말을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다음, 도 2의 (c)를 참고로 하면 혼합 분말을 몰드에 넣고 압력을 가해 펠렛을 제조한다.
이때 압력은 100 MPa이상일 수 있다. 나노 카본(300)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압력에 관계없이 펠렛 내부에서 무작위로 배열되어 수소 저장 소재의 열전도도를 극대화하고 열전도 이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2의 (c)와 같이 혼합 분말을 몰드에 넣고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혼합 분말의 형태로 수소 저장 분말을 제조할 수도 있다. 즉, 본 기재에 따른 수소 저장 복합재의 제조 방법은 펠렛이나 분말과 같은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복합재의 제조 방법은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와 나노 카본(300)을 먼저 밀링하여 복합 분말(400)을 형성하고, 다음 복합 분말(400)과 팽창흑연(200)을 밀링하여 혼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 나노 카본 (300) 및 팽창흑연(200)이 하나의 단일 공정으로 밀링되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밀링되기 때문에, 나노 카본(300)의 분산성을 높이면서도 팽창흑연(200)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즉,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 나노 카본(300) 및 팽창흑연(200)을 단일 공정으로 고에너지 밀링하는 경우, 나노 카본(300)이 잘 분산되지만 팽창흑연이 분쇄되기 때문에, 필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즉, 잘게 분쇄된 팽창흑연으로 인해 이방성은 우수해질 수 있으나, 열전도도는 향상시키지 못한다.
또한,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 나노 카본 (300) 및 팽창흑연(200)을 단일 공정으로 텀블러 밀을 사용하여 밀링하는 경우, 밀링 에너지가 부족하기 때문에 나노 카본(300)이 고루 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나노 카본(300)이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 사이의 연결이나, 고체 수소 저장 소재(100)와 팽창흑연(200)사이의 연결을 고루 할 수 없으며, 열전도도 개선 효과 및 이방성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없다.
그러면 이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 저장 펠렛의 열전도도 및 열전도이방성 개선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수소 저장 소재로 MgH2를 사용하고, 열전도 필러로 3.75중량%의 팽창흑연, 1.25중량%의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하여 수소 저장 펠렛을 제조하였다.
먼저, 4.84g의 MgH2와 0.065g의 탄소나노섬유를 고에너지밀링 장비로 혼합하였다. 다음, 0.195g의 팽창흑연을 첨가하여 텀블러 밀로 혼합하였다. 다음, 프레스로 압축한 후 압축 방향에 수직(Radial), 수평(Axial) 방향으로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펠렛의 이미지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수소 저장 소재로 MgH2를 사용하고, 열전도 필러로 3.75중량%의 팽창흑연, 1.25중량%의 그래핀을 이용하여 수소 저장 펠렛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
수소 저장 소재로 5중량%의 MgH2를 사용하고, 열전도 필러로 5중량%의 팽창흑연을 텀블러 밀로 혼합하고 압축하여 수소 저장 펠렛을 제조하였다. 다음, 프레스로 압축한 후 압축 방향에 수직(Radial), 수평(Axial) 방향으로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펠렛의 이미지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수소 저장 소재로 5중량%의 MgH2를 사용하고, 열전도 필러로 5중량%의 카본나노섬유를 고에너지밀링장비로 혼합하고 압축하여 수소 저장 펠렛을 제조하였다. 다음, 프레스로 압축한 후 압축 방향에 수직(Radial), 수평(Axial) 방향으로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3
수소 저장 소재로 MgH2를 사용하고, 열전도 필러로 3.75중량%의 팽창흑연, 1.25중량%의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하여 수소 저장 펠렛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함량은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수소 저장 소재인 MgH2 , 필러인 팽창흑연 및 탄소섬유를 단일 공정으로 고에너지 밀링하였다. 이후 수직(Radial), 수평(Axial) 방향으로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도 5는 본 비교예 3에 따른 수소저장 복합분말에 대하여 고에너지 밀링 전과 밀링 후를 나타낸 이미지로, 밀링 전에는 팽창흑연이 약 350㎛의 크기를 가지고 있었으나. 밀링 후에는 분쇄되어 약 10㎛ 내지 50㎛의 크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4
수소 저장 소재로 MgH2를 사용하고, 열전도 필러로 3.75중량%의 팽창흑연, 1.25중량%의 탄소나노섬유를 이용하여 수소 저장 펠렛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함량은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수소 저장 소재인 MgH2 , 필러인 팽창흑연 및 탄소섬유를 단일 공정으로, 텀블러 밀을 사용하여 밀링하였다. 이후 수직(Radial), 수평(Axial) 방향으로의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본 비교예 4에 의하여 제조된 수소 저장 복합재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고로 하면, 밀링 에너지의 부족으로 인해 나노 카본, 구체적으로 CNF가 분산되지 않고 응집된 상태로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열전도도 및 열전도 이방성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필러 함량 (wt.%) 열전도도 W/m·K) 열전도도 이방성 (Radial/Axial)
ENG Graphene CNF Axial Radial
실시예1 3.75 - 1.25 1.19 2.07 1.7
실시예2 3.75 1.25 - 1.66 2.27 1.3
비교예1 5 - - 1.05 2.06 1.9
비교예2 - - 5 0.82 1.32 1.6
비교예3 3.75 - 1.25 0.91 0.96 0.94
비교예4 3.75 - 1.25 0.97 1.12 0.86
상기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팽창흑연과 나노 카본을 모두 필러로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의 열전도 이방성이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현저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열전도 이방성은 실시예 1보다 낮게 나타나지만, 비교예 2는 팽창흑연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바 열전도도가 실시예 1에 비하여 낮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는 열전도 이방성뿐만 아니라 수직, 수평 방향의 개별 열전도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팽창흑연과 나노 카본을 단일 공정으로 밀링하는 비교예 3 및 4는 열전도도 이방성은 우수하였으나 열전도도가 현저히 낮아 바람직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고체 수소 저장 소재
200: 팽창흑연
300: 나노 카본

Claims (15)

  1. 고체 수소 저장 소재;
    팽창흑연;
    나노 카본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 카본은 상기 고체 수소 저장 소재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고체 수소 저장 소재와 상기 팽창흑연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나노 카본은 탄소나노섬유인 수소 저장 복합재.
  2. 제1항에서,
    상기 고체 수소 저장 소재는 금속착수소화물, 금속수소화물 및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수소 저장 복합재.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팽창흑연의 함량과 상기 나노 카본의 함량비는 100: 1 내지 1:1 사이인 수소 저장 복합재.
  5. 제1항에서,
    상기 팽창흑연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 인 수소 저장 복합재.
  6. 제1항에서,
    상기 나노카본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인 수소 저장 복합재.
  7. 고체 수소 저장 소재와 나노 카본을 건식 혼합하여 복합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합 분말과 팽창흑연을 건식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카본은 탄소나노섬유인 수소 저장 복합재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혼합 분말을 몰드에 넣고 압력을 가해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소 저장 복합재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복합 분말과 팽창흑연을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합 분말과 팽창흑연을 볼밀링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수소 저장 복합재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서,
    상기 혼합 분말을 몰드에 넣고 압력을 가해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에서의 압력은 100 MPa 이상인 수소 저장 복합재의 제조 방법.
  11. 제7항에서,
    상기 고체 수소 저장 소재는 금속착수소화물, 금속수소화물 및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수소 저장 복합재의 제조 방법.
  12. 삭제
  13. 제7항에서,
    상기 팽창흑연의 함량과 상기 나노 카본의 함량비는 100: 1 내지 1:1 사이인 수소 저장 복합재의 제조 방법.
  14. 제7항에서,
    상기 팽창흑연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인 수소 저장 복합재의 제조 방법.
  15. 제7항에서,
    상기 나노카본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인 수소 저장 복합재의 제조 방법.
KR1020160170678A 2016-12-14 2016-12-14 수소 저장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46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678A KR102463183B1 (ko) 2016-12-14 2016-12-14 수소 저장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678A KR102463183B1 (ko) 2016-12-14 2016-12-14 수소 저장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716A KR20180068716A (ko) 2018-06-22
KR102463183B1 true KR102463183B1 (ko) 2022-11-03

Family

ID=6276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678A KR102463183B1 (ko) 2016-12-14 2016-12-14 수소 저장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6814B2 (en) 2019-02-28 2022-10-11 Hyundai Motor Company Solid hydrogen storage device
KR102201823B1 (ko) * 2019-07-24 2021-01-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금속수소화물 기반 하이브리드 수소 저장 장치
CN112126949B (zh) * 2020-09-24 2021-12-03 中国工程物理研究院核物理与化学研究所 一种多主元合金纳米颗粒的热震荡制备方法及其应用
CN116902911B (zh) * 2023-07-13 2024-01-30 京氢未来新能源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碳纤维支撑的MgH2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460B1 (ko) * 2007-09-21 2009-09-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탄소나노섬유/카본블랙 나노복합재를 포함하는 블래더용고무조성물
KR101546037B1 (ko) * 2013-09-24 2015-08-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그네슘계 수소저장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0926B1 (ko) * 2014-11-21 2018-11-21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수소 저장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31602A (ko) * 2015-05-08 2016-11-16 이연수 탄소·팽창흑연·마그네슘계 에어로겔 수소 저장체 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716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3183B1 (ko) 수소 저장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Wu et al. Recent advances of asymmetric supercapacitors
Zhao et al. Recent developments and understanding of novel mixed transition‐metal oxides as anodes in lithium ion batteries
US11876220B2 (en) Silicon-based an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econdary battery
Chowdhury et al. Three-dimensional graphene-based macrostructures for sustainable energy applications and climate change mitigation
Luo et al. Binder‐free LiCoO2/carbon nanotube cathodes for high‐performance lithium ion batteries
TW585928B (en) Hydrogen-based ecosystem
Zhang et al. Iron‐oxide‐based advanced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US8501307B2 (en) Recompressed exfoliated graphite articles
Yang et al. Nanocarbon-based electrode materials applied for supercapacitors
EP3208877A2 (en) Solid state hydrogen storage device
CN106756164A (zh) 一种高温结构功能一体化B4C/Al中子吸收材料的制备方法
US20090057940A1 (en) Method of producing less anisotropic flexible graphite
CN106356204B (zh) 一种碳基复合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730751A (zh) 一种气-固复合储氢罐
Meng et al. Enhanced capacity for lithium–air batteries using LaFe 0.5 Mn 0.5 O 3–CeO 2 composite catalyst
US6536487B2 (en) Atomically engineered hydrogen storage alloys having extended storage capacity at high pressures and high pressure hydrogen storage units containing variable amounts thereof
US20110165061A1 (en) Method of enhancing thermal conductivity in hydrogen storage systems
Daulbayev et al. A mini-review on recent trends in prospective use of porous 1D nanomaterials for hydrogen storage
KR101652729B1 (ko) 열전도성 금속망이 형성된 핵연료 소결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핵연료 소결체
Boretti et al. MXenes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ydrogen fuel and electrolyzer cells
Wei et al. A review of nanostructured TiO2 application in Li-ion batteries
Luo et al. State-of-art progress and perspectives on alloy-type anode materials for potassium-ion batteries
Sun et al. Flower–like NiCo2O4 Microstructures as Promising Anode Material for High 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Facile Synthesis and its Lithium Storage Properties
CN105947975A (zh) 一种高容量储氢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